KR20120017395A - 모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395A
KR20120017395A KR1020110071731A KR20110071731A KR20120017395A KR 20120017395 A KR20120017395 A KR 20120017395A KR 1020110071731 A KR1020110071731 A KR 1020110071731A KR 20110071731 A KR20110071731 A KR 20110071731A KR 20120017395 A KR20120017395 A KR 20120017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liminary base
switching
preliminary
link member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850B1 (ko
Inventor
히사시 가미야
히사미 후쿠시마
타쿠야 오카다
야스히토 나카니시
다이스케 이마이즈미
켄타로 미우라
요시히로 다이
타케후미 가토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83003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77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4165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52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713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672105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예비모재부재를 제 1의 형태 및 제 2의 형태로 능률 좋게 전환할 수 있으며, 기체가 흔들려도 모가 예비모재부재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예비모재부재를 제 1의 형태로 했을 때에 최상단 및 상하 중앙단에 위치하는 예비모재부재를 기체앞쪽 집합에 위치시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모 상자나 모 잡기 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수용할 수 있는 모 이식기를 제공한다.
주행 차체에 고정된 지지 부재(24)에 링크 부재를 통하여 모를 재치하는 예비모재부재를 설치하고, 링크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예비모재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줄선 제 1의 형태와 상하 방향으로 줄선 제 2의 형태로 전환 자유자재로 구성하고, 예비모재부재의 전후에 앞쪽 돌출부와 뒤쪽 돌출부를 형성하여, 앞쪽 돌출부와 뒤쪽 돌출부에 예비모재부재의 모 재치면보다 높은 앞쪽 스토퍼부 및 뒤쪽 스토퍼부를 형성하고, 앞쪽 스토퍼부의 앞측 표면에 뒤쪽이 올라간 안내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모 이식기{Seeding transplanter}
본 발명은, 주행 장치를 가지는 기체의 측부에 예비모재부를 갖춘 모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모 이식장치를 기체 후부에 갖춘 모 이식기에 있어서, 기체의 측부에, 복수의 예비모재부재로 구성하는 예비모재부를 갖춘 모 이식기가 알려져 있다.
하기의 특허 문헌 1에는, 1개의 긴 주 링크 부재와 2개의 짧은 앞쪽 및 뒤쪽의 부 링크 부재로 구성하는 링크 기구에 복수의 예비모재부재를 장착하고, 이 링크 기구를 회동시키면 복수의 예비모재부재가 상하 다단이 되어 평면시로 중복하는 제 1의 형태와 복수의 예비모재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대략 일직선상태가 되어 전개되는 제 2의 형태로, 상기 복수의 예비모재부재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모 이식기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 기재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예비모재부재의 형태의 전환을 간이 또는 신속히 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예비모재부재의 형태의 전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9-232809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09-240224호 공보
종래의 승용형 모내기기에서는, 수용 상태의 예비모재부재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비모재부재를 제 1의 형태 또는 제 2의 형태로 전환할 때마다 이 스토퍼의 작용 상태를 수작업으로 해제할 필요가 있으며, 작업 능률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는 동시에, 이 스토퍼를 작용 상태와 비 작용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어, 예비모재부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예비모재부재를 제 2의 형태로 전환했을 때, 적재한 모가 예비모재부재의 앞쪽 및 뒤쪽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받기 부재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 받기 부재의 상부가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모를 예비모재부재에 실을 때, 작업자는 이 받기 부재의 상부를 피해 모를 실어야만 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모를 싣지 못하고, 모의 보충 작업의 능률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예비모재부재끼리의 사이에 모의 이동을 보조하는 반송 보조 회전체 등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모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필요로 하는 노력이 증대하는 동시에, 작업 능률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비모재부재를 제 1의 형태에서 제 2의 형태로 바꿀 때 및 제 2의 형태에서 제 1의 형태로 바꿀 때에는, 작업자가 링크 기구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 되며, 그 때문에 다른 작업을 중단하는 시간을 필요로 하여, 작업 효율이 저하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고려하여, 예비모재부재를 제 1의 형태 및 제 2의 형태로 능률 좋게 전환할 수 있으며, 예비모재부재에 모를 용이하게 실을 수 있고, 모를 뒤쪽으로 능률 좋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예비모재부재로부터 적재한 모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예비모재부재의 구성이 간결한 모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다음의 해결 수단으로 해결된다.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은, 밭에 모를 심는 이식부(16)를 주행 차체에 설치하고 이 주행 차체에 운전 좌석(12) 및 조종 핸들(18)을 가지는 운전부(1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에 고정된 지지 부재(24)에 링크 부재를 통하여 모를 재치하는 복수의 예비모재부재를 설치하고, 이 링크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예비모재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줄선 제 1의 형태와 상하 방향으로 줄선 제 2의 형태에 전환 자유자재로 구성하고, 상기 예비모재부재의 뒷부분에 뒤쪽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예비모재부재의 앞 부분에 앞쪽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뒤쪽 돌출부에는 예비모재부재의 모 재치면보다 높은 뒤쪽 스토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앞쪽 돌출부에는 예비모재부재의 모 재치면보다 높은 앞쪽 스토퍼부를 형성하고, 이 앞쪽 스토퍼부의 앞측 표면에 뒤쪽이 올라간 안내면을 갖추고, 상기 제 1의 형태에서 측면시로 상기 안내면 또는 안내면보다 뒤쪽에 뒤쪽 스토퍼부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이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앞쪽 스토퍼부에 받기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받기 부재로 뒤쪽 스토퍼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또,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앞쪽 스토퍼부를 예비모재부재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뒤쪽 스토퍼부를 예비모재부재의 좌우 중앙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앞쪽 스토퍼부의 좌우간에 또는 예비모재부재의 저부에 뒤쪽 스토퍼부를 받는 받기 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또,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받기 부재를 좌우 앞쪽 스토퍼부에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좌우의 받기 부재를 앞쪽 스토퍼부의 좌우 사이로 돌출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또,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은, 유전(游輾)하여 모의 반송을 보조하는 반송 보조 회전체를, 뒤쪽이 올라간 안내면보다 위쪽으로 돌출시켜 상기 앞쪽 스토퍼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항에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또, 청구항 6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부재(24)에 상기 링크 부재의 회동 지점축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 지점축에 링크 부재를 회동시키는 톱니바퀴(32)를 설치하고, 상기 톱니바퀴(32)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 1의 형태 또는 제 2의 형태로 전환하는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전환 조작하는 전환 조작 장치(7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항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또, 청구항 7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전동 모터로 하고, 예비모재부재가 제 1의 형태 또는 제 2의 형태가 되는 위치에서 상기 링크 부재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링크 부재가 정지 부재에 접촉하고 이 전동 모터에 부하가 걸리면 통전 상태를 정지하여 상기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통전 전환 부재(9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또, 청구항 8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링크 부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예비모재부재를 제 1의 형태로 정지시키는 제 1의 정지 부재와 제 2의 형태로 정지시키는 제 2의 정지 부재를 예비모재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또, 청구항 9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뒤쪽 스토퍼부 및 앞쪽 스토퍼부 중의 한쪽에 받기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받기 부재로 앞쪽 스토퍼부 및 뒤쪽 스토퍼부 중의 다른 한쪽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모 이식기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예비모재부재의 뒤측 돌출부에 예비모재부재의 모 재치면보다 높은 뒤쪽 스토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예비모재부재의 앞쪽 돌출부에 예비모재부재의 모 재치면보다 높은 앞쪽 스토퍼부를 형성함으로써, 앞쪽 스토퍼부와 뒤쪽 스토퍼부에서 예비모재부재에 재치한 모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낙하한 모를 주울 필요가 없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 앞쪽 스토퍼부의 앞측 표면에 뒤쪽이 올라간 경사 자세의 안내면을 형성함으로써, 모는 이 안내면에 실려 뒤쪽의 예비모재부재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그리고, 예비모재부재를 제 1의 형태로 했을 때, 측면시로 안내면 또는 안내면보다 뒤쪽에 뒤쪽 스토퍼부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의 형태로 하면 복수의 예비모재부재를 전후방향으로 늘어놓을 수 있으므로, 모를 뒤쪽으로 이동시키기 쉬워져,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한, 예비모재부재를 제 1의 형태 또는 제 2의 형태로 전환할 때, 앞쪽 스토퍼부 및 뒤쪽 스토퍼부를 작용 상태 또는 비 작용 상태로 전환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비모재부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앞쪽 스토퍼부에 형성한 받기 부재로 뒤쪽 스토퍼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2의 형태로 했을 때에 예비모재부재가 너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비모재부재가 대략 같은 높이로 나란해지기 때문에, 모의 짐 싣기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앞쪽 스토퍼부를 예비모재부재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하고, 뒤쪽 스토퍼부를 예비모재부재의 좌우 중앙부에 형성함으로써, 제 2의 형태로 했을 때에 앞쪽에 위치하는 예비모재부재의 뒤측 스토퍼부를 뒤쪽에 위치하는 앞쪽 스토퍼부의 좌우간에 비집고 들어가게 할 수 있으므로, 모를 뒤쪽으로 이동시키기 쉬워져,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 앞쪽 스토퍼부의 좌우간에 또는 예비모재부재의 저부에 뒤쪽 스토퍼부를 받는 받기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제 1의 형태로 했을 때에 받기 부재에서 뒤쪽 스토퍼를 받아 들일 수 있으므로, 예비모재부재가 너무 낮아지는 것이 방지되고 예비모재부재가 대략 같은 높이에 줄선 자세가 되기 때문에, 모의 짐 싣기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받기 부재를 좌우의 앞쪽 스토퍼부에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좌우의 받기 부재를 앞쪽 스토퍼부의 좌우 사이에 돌출시켜 형성함으로써, 제 1의 형태로 했을 때에 앞쪽 스토퍼부의 좌우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는 뒤쪽 스토퍼부를 좌우의 받기 부재로 확실히 받을 수 있으므로, 전후방향으로 줄선 예비모재부재가 너무 낮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예비모재부재가 대략 같은 높이에 줄선 자세가 되기 때문에, 모의 짐 싣기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서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모의 반송을 보조하는 반송 보조 회전체를 안내면보다 위쪽으로 돌출시켜 앞쪽 스토퍼부에 설치함으로써, 예비모재부재에 적재한 모를 이동시킬 때, 반송 보조 회전체가 확실히 작용하므로, 모의 이동에 가해지는 힘이 경감되어 작업자의 노력이 경감된다.
청구항 6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항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전환 액츄에이터(22)에 의해서 예비모재부재를 자동적으로 제1의 형태와 제 2의 형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예비모재부재의 전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청구항 7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전동 모터로 하고, 이 전동 모터에 통전 전환 부재(92)를 설치함으로써, 링크 부재가 정지 부재에 접촉하여 전동 모터에 부하가 걸리면 통전 전환 부재(92)가 통전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전환 액츄에이터(22)의 정지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고, 다른 조작에 집중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 예비모재부재가 제 1의 형태 또는 제 2의 형태가 되었을 때에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스위치 등의 구성 부재나 전기 회로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가 큰 폭으로 삭감되는 동시에, 간결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8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예비모재부재에 링크 부재를 받아 제 1의 형태로 정지시키는 제 1의 정지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링크 부재를 제 1의 정지 부재에 접촉시켜 제 1의 형태로 하면 링크 부재가 그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기체의 진동으로 링크 부재가 움직여 예비모재부재가 전후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어 모의 낙하가 방지된다.
또, 예비모재부재에 링크 부재를 받아 제 2의 형태로 정지시키는 제 2의 정지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링크 부재가 정지 부재에 접촉하므로, 링크 부재를 제 2의 정지 부재에 접촉시켜 제 2의 형태로 하면 링크 부재가 그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기체의 진동으로 링크 부재가 움직여 예비모재부재가 전후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어 모의 낙하가 방지된다.
청구항 9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뒤쪽 스토퍼부 및 앞쪽 스토퍼부 중 한쪽에 형성한 받기 부재로 앞쪽 스토퍼부 또는 뒤쪽 스토퍼부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의 형태로 했을 때에 예비모재부재가 너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비모재부재가 대략 같은 높이로 나란해지기 때문에, 모의 짐 싣기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한다.
도 1은, 예비모 재치부를 적층 형태로 한 모 이식기의 측면도
도 2는, 예비모 재치부를 전개 형태로 한 모 이식기의 측면도
도 3은, 예비모 재치부를 적층 형태로 한 모 이식기의 평면도
도 4는, 예비모 재치부를 전개 형태로 한 모 이식기의 평면도
도 5는, 예비모 재치부를 적층 형태로 한 모 이식기의 정면도
도 6은, 모 이식기의 외측에서 본, 적층 형태로 한 예비모 재치부의 측면도
도 7은, 모 이식기의 운전부 측에서 본, 적층 형태로 한 예비모 재치부의 측면도
도 8은, 모 이식기의 외측에서 본, 전개 형태로 한 예비모 재치부의 측면도
도 9는, 모 이식기의 운전부 측에서 본, 전개 형태로 한 예비모 재치부의 측면도
도 10은, 정지 부재를 설치한, 적층 형태로 한 예비모 재치부의 측면도
도 11은, 정지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적층 형태로 한 예비모 재치부의 주요부 측면도
도 12는, 정지 부재를 설치한, 전개 형태로 한 예비모 재치부의 측면도
도 13은, 정지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전개 형태로 한 예비모 재치부의 주요부 측면도
도 14(a)는, 적재한 모의 이동을 나타내는, 앞쪽 돌출부와 반송 보조 회전체를 설치한 예비모 재치부의 주요부 측면도
도 14(b)는, 적재한 모의 이동을 나타내는, 앞쪽 돌출부와 반송 보조 회전체를 설치한 예비모 재치부의 주요부 측면도
도 14(c)는, 앞쪽 돌출부와 반송 보조 회전체를 설치한 예비모 재치부의 주요부 평면도
도 14(d)는, 앞쪽 돌출부와 반송 보조 회전체를 설치한 예비모재부재의 확대 측면도
도 15는, 전개 형태의 예비모 재치부의 평면도
도 16은, 예비모 재치부의 작동 제어 블럭도
도 17은, 전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8(a)는, 예비모재부의 전환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
도 18(b)는, 예비모재부의 전환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
도 19는, 예비모 재치부의 전환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주요부 측면도
도 20은, 예비모 재치부를 적층 형태로 했을 때의 전환부의 확대 모식도
도 21은, 예비모 재치부를 전개 형태로 했을 때의 전환부의 확대 모식도
도 22는, 다른 실시 예의 적층 형태를 나타내는 예비모 재치부의 주요부 측면도
도 23(a)는, 다른 실시 예의 적층 형태를 나타내는 예비모 재치부의 측면도
도 23(b)는, 다른 실시 예의 지지 부재의 평면도
도 24(a)는, 다른 실시 예의 예비모재부재의 적층 상태의 측면도
도 24(b)는, 다른 실시 예의 예비모재부재의 전환 도중의 측면도
도 24(c)는, 다른 실시 예의 예비모재부재의 전개 상태의 측면도
도 24(d)는, 다른 실시 예의 예비모재부재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예비모 재치부가 적층 형태, 즉 예비모재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줄선 제 2의 형태일 때의 모 이식기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예비모 재치부가 전개 형태, 즉 예비모재부재가 전후방향으로 줄선 제 1의 형태일 때의 모 이식기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제 1의 형태를 전개 형태, 제 2의 형태를 적층 형태라고 호칭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 1의, 예비모 재치부가 적층 형태일 때의 모 이식기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예비모 재치부가 전개 형태일 때의 모 이식기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 1의 모 이식기의 부분 정면도이며, 예비모 재치부가 적층 형태로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실시의 한 형태이며, 특허 등록의 범위를 구속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전후, 좌우의 방향 기준은, 운전석에서 보고, 차체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서 전후, 좌우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의 운전부(10)에 있어서의 플로어(11)의 후부에는 운전 좌석(12)이 갖춰져 있다. 또, 엔진을 가리는 보닛(13)을 플로어(11)의 전방에 갖추고, 이 보닛(13)의 상부에는 전륜(14)을 조향조작하는 조종 핸들(18)이 갖춰져 있다. 상기 플로어(11)의 좌우 양외측에는, 오른쪽 및 왼쪽의 보조 스텝(27)이 갖춰져 있다. 이후 차체의 좌측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6은 차체의 뒤쪽에 장착된 이식부, 15는 후륜, 17은 시비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차체 좌측의 보조 스텝(27)의 외측에는, 예비모재대(20u, 20m, 20d)를 복수 설치하여 구성하는 예비모 재치부(19)가, 차체에 고정된 전후방향으로 긴 기초 지지 프레임(23)의 전후 양단부에 고정된 주 지지 프레임(24) 및 부 지지 프레임(25)에 의해서 지지를 받고 있다. 이 기초 지지 프레임(23)은, 그 하단부가 굴곡하고 있고, 그 굴곡부가 보조 스텝(27)의 아래쪽으로 돌아, 차체 프레임의 브래킷(26)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 지지 프레임(23)의 상단부에서 또는 전후 양단부 고정된 주 지지 프레임(24) 및 부 지지 프레임(25)은, 거의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고 있다.
또, 차체 우측의 보조 스텝(27)의 외측에는, 예비모를 재치하는 고정된 고정 예비모 재치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 지지 프레임(24)의 상단부에 전환부(21)가 고정되어 있고, 3개의 예비모재대(20u, 20m, 20d)를 연결하는 주 링크 부재(41)를 전환부(21)에 의해서 회동시킴으로써, 예비모 재치부(19)를 적층 형태와 전개 형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전환부(21)는, 상기 주 지지 프레임(24)의 상단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주 지지 프레임(24)의 상하 길이를 억제하면서 예비모 재치부(19)의 링크 기구의 회동 궤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위치가 너무 높아져 모의 짐 싣기나 취득이 곤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환부(21)를 구성하는 반원 형상의 톱니바퀴(32)에 작업자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환부(21)는 전환부 커버(31)에 의해서 덮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이 전환부 커버(31)는, 상기 톱니바퀴(32)를 작동시키는 전환 액츄에이터(22)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환부(21)가 콤팩트하게 구성된다. 또한, 전환부 커버(31)에 전환 액츄에이터(22)의 상부의 덮개부를 형성하고, 전환 액츄에이터(22) 전체를 가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빈 모 상자나 모 뜨기 판 등을 수납하는 빈 모 상자 수용부(33)를, 상기주 지지 프레임(24) 및 부 지지 프레임(25)에 고정하고, 차체의 안쪽에 설치하고 있다. 이 빈 모 상자 수용부(33)는, 본건에 있어서는 금속제의 봉체를 조합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도 1부터 도 4에서는, 빈 모 상자 수용부(3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빈 모 상자 수용부(33)를 설치함으로써, 다 사용한 모의 빈 상자나 모 뜨기 판을 수용해 둘 수 있으므로, 모 상자나 모 뜨기 판이 바람에 날아가 밭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주워 모으는 수고를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또, 상기 빈 모 상자 수용부(33)를 예비모 재치부(19)와 보닛(13)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는 차체상을 거의 이동하지 않고 모 상자나 모 뜨기 판을 빈 모 상자 수용부(33)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노력이 경감된다.
상기 빈 모 상자 수용부(33)를 차체의 외측에 배치하면, 빈 모 상자 수용부(33)의 돌출에 의해 차체가 벽에 가까이 닿지 않게 되는 동시에, 운전자로부터 빈 모 상자 수용부(33)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며, 빈 모 상자나 모 뜨기 판이 닿기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안쪽 주변에 배치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이것에 의해 모 이식기의 조작성 및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의 모 이식기의 차체가, 본 발명의 주행 차체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 주 지지 프레임(24) 및 부 지지 프레임(25)이, 본 발명의 지지 부재의 일례에 해당한다. 그리고, 전환부(21)가, 본 발명의 전환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고, 전환부 커버(31)가, 본 발명의 커버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빈 모 상자 수용부(33)가, 본 발명의 수용 부재의 일례에 해당한다.
다음에, 예비모 재치부(19)와 전환부(21)와의 접속 구성 및 예비모 재치부(19)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 1의, 적층 형태에 있어서의 예비모 재치부(19)의, 모 이식기의 외측에서 본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7은, 모 이식기의 안쪽에서 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실시형태 1의, 전개 형태에 있어서의 예비모 재치부(19)의, 모 이식기의 외측에서 본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9는, 모 이식기의 안쪽에서 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의 전환부(21)는, 예비모 재치부(19)의 적층 형태에 있어서, 측면시로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전후 폭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전후 폭으로 하고 있다. 전환부(21)의 전후 폭을,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전후 폭보다 짧게 함으로써, 적층 형태에 있어서 전환부(21)가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전후 폭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환부(21)의 전후 폭은,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전후 폭과 대략 동일하다고 해도 좋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예비모재대(20u, 20m, 20d)는, 주 링크 부재(41)에 간격을 비워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예비모재대(20u)와 예비모재대(20m)는 앞쪽의 제 1 부 링크 부재(42)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예비모재대(20m)와 예비모재대(20d)는 뒤쪽의 제 2 부 링크 부재(4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예비모재대(20u)는, 제 1 부 링크 부재(42)에 회동 자유자재로 회동부(46)를 통하여 접속되며, 주 링크 부재(41)에 회동 자유자재로 회동부(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예비모재대(20m)는, 제 1 부 링크 부재(42)에 회동 자유자재로 회동부(48)를 통하여 접속되며, 주 링크 부재(41)에 회동 자유자재로 종 회동축(45)을 통하여 접속되는 동시에, 제 2 부 링크 부재(43)에 회동 자유자재로 회동부(4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예비모재대(20d)는, 주 링크 부재(41)에 회동 자유자재로 회동부(50)를 통하여 접속되며, 제 2 부 링크 부재(43)에 회동 자유자재로 회동부(51)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기 주 링크 부재(41)의 중앙부에서 또는 상기 종회동축(45)보다 앞쪽 위치에는, 주 링크 부재(41)를 앞쪽의 주 지지 프레임(24)에 회동 자유자재로 장착하는 주 회동축(4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주 회동축(44)은 본 발명의 축의 일례에 해당하며, 주 링크 부재(41)에 주 회동축(44)이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 본 발명의 링크 기구의 회동 중심의 부분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 상기 제 2 부 링크 부재(43)는, 예비모재대(20m)에 가까운 부분에서, 부 지지 프레임(25)의 상단부에 회동축(5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이 회동축(52)을 중심으로 제 2 부 링크 부재(43)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 회동축(44)은, 전환부(21)의 전환 액츄에이터(22)의 구동에 의해서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주 회동축(44)의 회동에 수반하여 주 링크 부재(41)가 회동하고, 주 링크 부재(41)의 회동에 수반하여, 그 양단에 접속되는 예비모재대(20u) 및 예비모재대(20d)가 각각 제 1 부 링크 부재(42) 및 제 2 부 링크 부재(43)에 의해서 규제되면서, 거의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한다.
또, 주 링크 부재(41)의 회동에 수반하고, 종 회동축(45)으로 접속되는 예비모재대(20m)도, 제 1 부 링크 부재(42) 및 제 2 부 링크 부재(43)에 의해서 규제되면서, 거의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한다.
도 6에서 나타내는 예비모 재치부(19)의 적층 형태에 있어서, 주 링크 부재(41)가 좌회전으로 회동하면, 예비모재대(20u)는, 상승한 후, 하강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해 가고, 예비모재대(20d)는, 하강한 후, 상승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해 간다. 그리고, 예비모 재치부(19)는, 도 8에 나타내는 전개 형태가 된다.
도 15는, 전개 형태에 있어서의 예비모 재치부(19)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예비모 재치부(19) 및 전환부(21) 이외의 부분 도시는 생략 하고 있다.
상기 주 링크 부재(41), 제 1 부 링크 부재(42) 및 제 2 부 링크 부재(43)는, 예비모재대(20u, 20m, 20d)에 대해서 평행으로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도 1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형태에서는 이러한 링크 부재(41, 42, 43)가 서로 겹치는 상태가 된다.
또, 도 5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부(10) 측에서 차체 외측을 향해, 전환부(21), 각 링크 부재(41, 42, 43),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비모재대(20u, 20m, 20d)에 재치되는 모의 움직임을 방해 하는 부재가 없어, 모 매트의 짐 싣기가 용이하게 된다.
종래의 승용형 모내기기에서는, 수용 상태의 예비모재부재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비모재부재를 제 1의 형태 또는 제 2의 형태로 전환할 때마다 이 스토퍼의 작용 상태를 수작업으로 해제할 필요가 있고, 작업 능률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는 동시에, 이 스토퍼를 작용 상태와 비 작용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어, 예비모재부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예비모재부재를 제 2의 형태로 전환했을 때, 적재한 모가 예비모재부재의 앞쪽 및 뒤쪽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받기 부재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 받기 부재의 상부가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모를 예비모재부재에 실을 때, 작업자는 이 받기 부재의 상부를 피하여 모를 실어야 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모를 싣지 못하고, 모의 보충 작업 능률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비모재부재끼리의 사이에 모의 이동을 보조하는 반송 보조 회전체 등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모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필요로 하는 노력이 증대하는 동시에, 작업 능률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도 10, 도 12 및 도 1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앞쪽 양단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를 각각 형성하고, 뒤쪽 단부 중앙에 후방을 향해 돌출하는 뒤쪽 돌출부(38a2, 38b2, 38c2)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제 2, 제 3 예비모재대(20u, 20m, 20d)를 제 2의 형태로 했을 경우에, 기체 앞쪽에 위치하는 예비모재대(20u, 20m)의 후부 돌출부(38a2, 38b2)가 기체 뒤쪽에 위치하는 예비모재대(20m, 20d)의 앞쪽 돌출부(38b1, 38c1)와 측면시로 중복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는 앞쪽 스토퍼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뒤쪽 돌출부(38a2, 38b2, 38c2)는 뒤쪽 스토퍼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제 1, 제 2, 제 3 예비모재대(20u, 20m, 20d)가 전후방향으로 줄선 전개 형태에 있을 때는, 제 1, 제 2, 제 3 예비모재대(20u, 20m, 20d)를 전후방향으로 늘어놓을 수 있으므로, 예비모재대(20u, 20m, 20d)에 싣는 모 상자(68)를 원활하게 뒤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능률이 종래보다 향상한다.
그리고, 앞쪽 스토퍼부(38a1, 38b1, 38c1) 및 뒤쪽 스토퍼부(38a2, 38b2, 38c2)를 작용 상태 또는 비 작용 상태로 전환 조작하지 않고 예비모재부재(20u, 20m, 20d)를 제 1의 형태 또는 제 2의 형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예비모재부재(20u, 20m, 20d)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 도 10, 도 12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에 뒤쪽이 올라간 경사 형상(뒤쪽이 올라간 경사부)의 안내면을 형성하고, 이 안내면을 각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모재면보다 높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제 1의 형태에 있어서, 측면시로 상기 안내면 또는 안내면보다 뒤쪽에 뒤쪽 스토퍼부를 배치한다.
또, 제 1, 제 2, 제 3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뒤쪽 돌출부(38a2, 38b2, 38c2)를 각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모재면보다 높게 하고, 또한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의 표면과 같은지 또는 상기 표면보다 낮게 하고 있다.
상기대로,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를 뒤쪽이 올라간 경사부로 함으로써, 제 1, 제 2, 제 3 예비모재대(20u, 20m, 20d)를 전개 상태로 했을 때, 앞쪽의 예비모재대(20u, 20m)로부터 뒤쪽의 예비모재대(20m, 20d)에 모 상자(68)(도 12 참조) 등을 이동시킬 때, 이 모 상자(68)는 뒤쪽이 올라간 경사부에 실려 뒤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모 상자(68)의 이동이 용이해지며, 작업 능률이 종래보다 향상한다.
또,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의 안내면과, 뒤쪽 돌출부(38a2, 38b2, 38c2)를 각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모재면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제 1, 제 2, 제 3 예비모재대(20u, 20m, 20d)를 적층 형태로 했을 때,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와 뒤쪽 돌출부(38a2, 38b2, 38c2)로 각 예비모재대(20u, 20m, 20d)에 재치한 모 상자(68) 등의 전후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각 예비모재대(20u, 20m, 20d)로부터 모 상자(68)가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되며, 낙하한 모 상자(68)를 주울 필요가 없어져, 작업 능률이 종래보다 향상한다.
상기 각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한 쌍의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의 좌우 간에서, 또는 해당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저부에 앞쪽의 예비모재대(20u, 20m)의 뒤측 돌출부(38a2, 38b2) 등을 받기 위한 받기 부재(38a3, 38b3, 38c3)를 각각 설치하고, 이 받기 부재(38a3, 38b3, 38c3)는 한 쌍의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 끼리 간의 공간부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 예비모재대(20m, 20d)의 앞쪽 돌출부(38b1, 38c1)의 좌우간에 받기 부재(38b3, 38c3)로, 각각의 앞쪽의 예비모재대(20u, 20m)의 뒤측 돌출부(38a2, 38b2)를 받아 들일 수 있으므로, 각 예비모재대(20u, 20m, 20d)가 너무 낮아지지 않고, 전개 상태의 각 예비모재대(20u, 20m, 20d)가 확실히 거의 같은 높이에 줄선 자세가 되기 때문에, 모 상자(68)의 짐 싣기 작업이 용이해지며, 작업 능률이 종래보다 향상한다.
또,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저부에 받기 부재(38a3, 38b3, 38c3)를 설치함으로써, 뒤쪽 돌출부(38a2, 38b2, 38c2)의 상단부는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의 상단부와 대략 같은 높이, 또는 아래 쪽에 위치하므로, 뒤쪽이 올라간 경사부를 가지는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에 실리는 모 상자(68)의 이동이 원활히 행해지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종래보다 향상한다.
또, 제 1, 제 2, 제 3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좌우 측면의 전후의 4개소에 모 상자(68)의 낙하를 방지하는 제 1, 제 2, 제 3 칸막이 벽(38a4, 38b4, 38c4)을 각각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 2 이동 링크 부재(39b)의 회동 지점(39b3)을 제 2 예비모재대(20m)의 회동축(37b1)과 같은 축 상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는, 중앙의 제 2 예비모재대(20m)가 전후로 이동하지 않는 구성이 된다.
도 14(a), 도 14(b)는, 전개 형태로 한 예비모재대(20u, 20m, 20d) 상을 이동하는 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4(c)는 모를 생략한 평면도이다. 또, 도 14(c), 도 14(d)는, 모의 반송을 보조하는 보조 반송 롤러를 설치한 평면도와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상기 세 개의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앞쪽 돌출부(38a1, 38b1, 38c1) 중, 제 2의 예비모재대(20m) 및 제 3의 예비모재대(20d)의 앞쪽 돌출부(38b1, 38c1)에는, 유전하여 모의 반송을 보조하는 반송 보조 회전체(47b, 47c)를 각각 배치한다.
이때, 반송 보조 회전체(47b, 47c)의 표면은, 상기 앞쪽 돌출부(38b1, 38c1)의 뒤쪽이 올라간 경사면의 상부보다 위쪽으로 돌출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앞쪽 돌출부(38b1, 38c1)에 반송 보조 회전체(47b, 47c)를 설치함으로써, 전개 형태일 때 작업자가 제 2의 예비모재대(20m) 및 제 3의 예비모재대(20d)에 모를 눌러 이동시킬 때, 모의 이동에 가해지는 힘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노력이 경감된다.
그리고, 반송 보조 회전체(47b, 47c)의 표면이 앞쪽 돌출부(38b1, 38c1)보다 위쪽에 위치함으로써, 보조 회전 회전체(47b, 47c)가 확실히 작용한다.
도 17은, 전환부(21)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 지지 프레임(24)이 차체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주 링크 부재(41)가 주 지지 프레임(24)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또, 주 지지 프레임(24)의 상단부에 고정 지지판(58)이 고정되어 있고, 고정 지지판(58)에는 전환 액츄에이터(2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주 회동축(44)은 주 링크 부재(41)에 고정되어 있고, 또 치부(55)가 형성되어 있는 원호의 중심의 위치를 관통하도록 톱니바퀴(32)에도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주 회동축(44)은, 주 지지 프레임(24)에 회동 자유자재로 접속되어 있고, 주 회동축(44), 톱니바퀴(32) 및 주 링크 부재(41)가 일체가 되어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의 안쪽에서 외측을 향해, 주 지지 프레임(24), 전환 액츄에이터(22), 톱니바퀴(32), 주 링크 부재(41)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도 1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링크 부재(41)의 외측에 예비모 재치부(19)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조 스텝(27) 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보고, 주 링크 부재(41), 제 1 부 링크 부재(42) 및 제 2 부 링크 부재(43)보다 전환부(21)가 앞 측에 위치하는 구성이 되므로, 회동 중의 주 링크 부재(41), 제 1 부 링크 부재(42) 및 제 2 부 링크 부재(43)에 작업자의 손이나 팔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한다.
상기 전환부(21)를 구성하는 전환 액츄에이터(22), 이 전환 액츄에이터(22)의 출력축(도시 생략)에 피복하는 회동 톱니바퀴(61) 및 톱니바퀴(3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지지 프레임(24)의 상부와 함께, 상기 전환부 커버(31)로 가리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환부 커버(31)는, 예를 들면, 하부가 개방된 상자형 형상으로 하고, 전환부(21)의 상부로부터 씌우는 구조라고 해도 좋다. 또, 측면이 개방된 상자형 형상으로 하여, 주 지지 프레임(24) 측의 측면에서 씌워 전환부(21)를 가리게 하고, 그 다음에 개방된 측면 부분에 뚜껑을 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전환부 커버(31)를, 아래쪽이 개방된 상자형 형상으로서 전환부(21)의 위쪽에서 착탈 자유자재로 장착하는 구조로 하면, 전환부 커버(31)의 제외가 용이하게 되므로, 유지보수성이 향상한다.
또한, 전환 액츄에이터(22)를 톱니바퀴(3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만큼, 전환부(21)의 사이즈를 보다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주 지지 프레임(24)을 내부가 공동의 파이프 형상으로 하고, 전환 액츄에이터(22)에 전원을 공급하는 안전 벨트를 주 지지 프레임(24)의 내부를 통하여, 전환 액츄에이터(22)에 접속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 지지 프레임(24)을 회동시키면 예비모 재치부(19)가 차체의 안쪽을 향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전환 액츄에이터(22)에 전원을 공급하는 안전 벨트가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예비모 재치부(19)의 적층 형태 및 전개 형태를 바꾸기 위한 조작 부재, 즉 전환 액츄에이터(22)를 구동하기 위한 전환 조작 스위치(73)(도 16에 표시)는, 조종 핸들(18)의 근원의 핸들 포스트(30)에 배치해도 좋다. 이 핸들 포스트(30)에 전환 조작 스위치(73)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는 예비모 재치부(19) 상태의 전환을 운전부(10)로 조작할 수 있다.
또, 운전 좌석(12)에 앉은 상태에서는 조금 손을 뻗지 않으면 닿지 않는 위치에 전환 조작 스위치(73)가 배치되기 때문에, 오조작을 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혹은, 예비모 재치부(19) 상태를 바꾸는 전환 조작 스위치(73)를, 핸들 포스트(30)에 설치하는 동시에, 보닛(13)의 앞쪽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운전자와는 다른 보조자도 조작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위험하다고 느꼈을 때에 예비모 재치부(19)의 회동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비모 재치부(19) 상태를 바꾸는 전환 조작 스위치(73)를, 예비모 재치부(19)나 전환부(21)에 설치해도 좋다.
도 10은 정지 플레이트(73a1, 73a2)를 설치한 적층 형태의 예비모 재치부(19)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정지 플레이트(73a1, 73a2)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정지 플레이트(73a1, 73a2)를 설치한 전개 형태의 예비모 재치부(19)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3은 정지 플레이트(73a1, 73a2)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또, 도 16은, 예비모 재치부(19)를 조작하고, 주 링크 부재(41), 제 1 및 제 2 부 링크 부재(42, 43)가 정지 플레이트(73a, 73a2)에 접촉하여 전환 액츄에이터(22)에 부하가 생기면 전환 액츄에이터(22)가 정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 제어 블럭도이다.
상기 전환 조작 스위치(73)를 조작하여 예비모 재치부(19)를 적층 형태 및 전개 형태로 전환했을 때, 주 링크 부재(41), 제 1 및 제 2 부 링크 부재(42, 43)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동을 규제하는 정지 플레이트(73a1, 73a2)를 설치한다. 이 정지 플레이트(73a1, 73a2)는, 적층 형태로 중앙의 예비모재대(20m)와 하단의 예비모재대(20d)의 측면에 각각 설치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비모 재치부(19)가 적층 상태가 되면, 아래 쪽에 위치하는 정지 플레이트(73a2)에 주 링크 부재(41)가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동을 규제하고, 이 회동 규제가 계속됨으로써 전환 액츄에이터(22)에 일정 이상의 부하가 생긴다, 또는 과열 상태가 되면 제어장치(100)가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정지시킨다.
또, 도 12 및 도 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비모 재치부(19)가 전개 형태가 되면 앞쪽에 위치하는 정지 플레이트(73a1)에 주 링크 부재(41)가 접촉하고 그 이상의 회동을 규제하여, 이 회동 규제가 계속됨으로써 전환 액츄에이터(22)에 일정 이상의 부하가 생긴다, 또는 과열 상태가 되면 제어장치(100)가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 액츄에이터(22)의 정지는 제어장치(100)를 통하여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전동 모터로 하여, 이 전동 모터의 내부에 통전 전환 부재(92)를 이용한 통전 경로를 배치하고, 부하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이 통전 전환 부재(92)가 구부러져 통전 상태에서 비 통전 상태로 강제적으로 바꾸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예비모 재치부(19)를 적층 형태 또는 전개 형태로 전환했을 때, 작업자는 전환 조작 스위치(73)를 조작하여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다른 조작에 집중할 수 있어서 작업 능률이 종래 이상으로 향상한다.
또, 예비모 재치부(19)가 적층 형태 또는 전개 형태가 될 때, 주 이동 링크 부재(41)가 정지 플레이트(73a1, 73a2)에 접촉하는 구성이 되므로, 기체의 진동으로 주 링크 부재(41), 제 1 및 제 2 부 링크 부재(42, 43)가 움직여 예비모 재치부(19)가 전후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며, 모의 낙하가 방지되는 동시에, 흔들림에 의한 예비모 재치부(19) 및 그 외의 구성 부재의 마모가 경감된다.
또한, 예비모 재치부(19)를 적층 형태 또는 전개 형태로 전환했을 때,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정지시키는 스위치 등의 구성 부재 및 회로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가 큰 폭으로 삭감되는 동시에, 구성이 간결하게 된다.
도 20, 도 21에서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정지 스위치(59, 60)를 이용하는 구성예와 상기 구성을 비교하면, 제 1 및 제 2 정지 스위치(59, 60)를 이용하는 구성 예에서는, 제 1 또는 제 2 정지 스위치(59, 60)에 주 링크 부재(41) 및 제 1, 제 2 부 링크 부재(42, 43)가 접촉하는 동시에 정지 신호를 보내는 케이블이나 회로가 필요하므로, 부품 점수가 증가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적층 형태로 멈추는 제 1 정지 스위치(59)와, 전개 형태로 멈추는 제 2 정지 스위치(60)가 최저한 필요하기 때문에, 더 부품수가 증가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이것에 비해, 본 구성 예에서는, 전환 액츄에이터(22) 내에 설치한 통전 전환 부재(92)가 부하에 의한 과열에 의해서 구부러지면 전환 액츄에이터(22)가 자동 정지하므로, 정지 신호를 전동하는 경로가 불필요해지며,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적층 형태 또는 전개 형태로 조작하는 전환 조작 스위치(73)를 설치해 두면, 이 전환 조작 스위치(73)와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만으로 좋아지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감소 및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서, 본건의 전환부(2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환부(21)를 구성하는 커버 플레이트(78)를 설치하고, 주 링크 부재(41)를 움직이는 톱니바퀴(32)보다 차체의 외측 주변이 되는 위치에 보조 플레이트(79)를 장착한다. 그리고, 이 커버 플레이트(78)와 보조 플레이트(79)의 좌우간에 보관 유지 플레이트(80)를 장착하고, 이 보관 유지 플레이트(80)를 보조 플레이트(79) 측에 연장하여 설치시켜 이 보조 플레이트(79)에 의해 지지하고, 이 보조 플레이트(79)와 보관 유지 플레이트(80)로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좌우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했다.
상기 구성으로 한 전환부(21)에서는, 커버 플레이트(78)와 보조 플레이트(79)의 좌우간에 보관 유지 플레이트(80)를 설치하고, 이 보관 유지 플레이트(80)와 보조 플레이트(79)로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좌우에서 지지함으로써, 주 링크 부재(41), 제 1 및 제 2 부 링크 부재(42, 43)가 정지 플레이트(73a1, 73a2)에 접촉하고 부하를 작용시킬 때, 전환 액츄에이터(22)가 이동하려고 하는 힘이 보관 유지 플레이트(80)에 가해져도, 그 힘을 커버 플레이트(78)와 보관 유지 플레이트(80)로 받을 수 있으므로, 전환 액츄에이터(22)는 충분한 강도로 적확하게 지지를 받는다.
또, 전환 액츄에이터(22)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전환 액츄에이터(22)와 톱니바퀴(32)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환부(21)의 조정 작업이 불필요해져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도 19는 전환부(2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중단의 예비모재대(20m)의 측면부를 중심으로 전환부(21)를 가리는 전환부 커버(31)를 설치하고, 이 전환부 커버(31)를, 톱니바퀴(32)를 가리는 메인 커버(83)와, 전환 액츄에이터(22)를 가리는 보조 커버(82)에 분할한다. 그리고, 이 메인 커버(83)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78)에 고정하는 동시에, 이 보조 커버(82)를 메인 커버(83)와 커버 플레이트(78)의 사이에 착탈 자유자재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했다.
도 19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해, 보조 커버(82)를 벗기면 전환 액츄에이터(22) 및 보관 유지 플레이트(80)가 노출하므로, 전환부 커버(31) 전체를 유지보수마다 벗기지 않고 조정이나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성이 향상한다.
도 20 및 도 21에서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정지 스위치(59, 60)를 이용한 전환부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예비모 재치부(19)가 적층 형태일 때의 전환부의 확대 모식도이며, 톱니바퀴(32)를 원호 부분에 치부(55)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하고, 이 치부(55)를 형성한 측의 반대 측에는 돌기부(56)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56)의 첨단 부분에 핀(57)을 세워 설치한다.
상기 주 지지 프레임(24)의 상단 부분이며, 또한 톱니바퀴(32)와 대략 평행이 되는 위치에 고정 지지판(58)이 고정되며, 이 고정 지지판(58)에는, 전환 액츄에이터(22), 제 1 정지 스위치(59) 및 제 2 정지 스위치(60)를 장착한다. 또한,도 20 및 도 21에서는, 전환 액츄에이터(22) 및 주 지지 프레임(24)의 도시는 생략 한다.
상기 전환 액츄에이터(22)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동 톱니바퀴(61)는, 톱니바퀴(32)의 치부(55)와 서로 맞물리게 하여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주 링크 부재(41) 및 톱니바퀴(32)에 고정하는 주 회동축(44)은, 주 지지 프레임(24)의 상단부에 있어서, 주 지지 프레임(24)에 회동 자유자재로 접속한다.
상기 회동 톱니바퀴(61)가 전환 액츄에이터(22)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면, 치부(55)가 회동 톱니바퀴(61)와 서로 맞물리고, 톱니바퀴(32)는 주 회동축(4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톱니바퀴(32)의 회동에 수반해 주 회동축(44)이 회동하고, 주 회동축(44)의 회동에 수반해 주 링크 부재(41)가 회동한다.
도 20은, 예비모 재치부(19)가 적층 형태가 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 톱니바퀴(32)의 핀(57)이 제 1 정지 스위치(59)에 접촉하여, 이 제 1 정지 스위치(59)를 온으로 한 상태이다. 상기 예비모 재치부(19)를 전개 형태에서 적층 형태로 전환할 때에, 우회전으로 회동하고 있는 톱니바퀴(32)는, 적층 형태가 된 위치에서 핀(57)이 제 1 정지 스위치(59)에 접촉하여 전환 액츄에이터(22)가 정지함으로써, 회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내는 예비모 재치부(19)를 적층 형태에서 전개 형태로 전환할 때, 전환 액츄에이터(22)를 구동하여 회동 톱니바퀴(61)를 역회전시켜, 톱니바퀴(32)를 좌회전으로 회동시킨다.
도 21은, 예비모 재치부(19)가 전개 형태가 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 톱니바퀴(32)의 핀(57)이 제 2 정지 스위치(60)에 접촉하여, 제 2 정지 스위치(60)를 온으로 한 상태이다. 상기 예비모 재치부(19)를 적층 형태에서 전개 형태로 전환할 때에, 좌회전으로 회동하고 있는 톱니바퀴(32)는, 적층 형태가 된 위치에서 핀(57)이 제 2 정지 스위치(60)에 접촉하여 전환 액츄에이터(22)가 정지함으로써, 회동을 정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 액츄에이터(22)를 구동함으로써 톱니바퀴(32)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으로 회동시켜, 핀(57)을 제 1 정지 스위치(59) 또는 제 2 정지 스위치(60)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전환 액츄에이터(22)가 정지하기 때문에, 예비모 재치부(19)를 적층 형태가 되는 위치 또는 전개 형태가 되는 위치에서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지 스위치(59, 6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는, 작업자는 전환 액츄에이터(22)의 구동 및 정지 동작을 수동으로 행할 필요가 있고, 예비모 재치부(19)가 적층 형태 또는 전개 형태, 혹은 적층 형태와 전개 형태 간의 임의의 위치가 된 순간에 정지 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며, 다른 작업에 집중하기 어려워져 작업 능률이 향상하지 않는다.
혹은, 전환 장치를 갖추지 않은 예비모 재치부를 수작업으로 조작할 때보다, 작업 능률이 저하하는 문제가 생긴다.
제 1 및 제 2 정지 스위치(59, 60)를 설치함으로써, 전환 액츄에이터(22)를 작동시킨 후, 작업자는 모 이식기의 조종 등, 예비모 재치부(19) 이외의 조작을 행하고 있어도, 톱니바퀴(32)의 핀(57)이 제 1 및 제 2 정지 스위치(59, 60)에 접촉하면 전환 액츄에이터(22)가 정지하므로, 작업자는 다른 작업에 집중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 전환 액츄에이터(22)는 예비모 재치부(19)가 적층 형태 또는 전개 형태로 변형하는 동시에 정지하므로, 부하에 의해 전환 액츄에이터(22)나 주 회동축(44)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전환부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그 변형 예의 적층 형태에 있어서의 예비모 재치부를, 모 이식기의 외측에서 본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과 같은 구성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의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부(21)를 주 지지 프레임(24)의 상단부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22에서 나타내는 변형 예에서는, 전환부(65)를 부 지지 프레임(25)의 상단부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전환부(65)의 구조는, 전환부(21)와 같은 구조로 한다.
도 22의 구성에서는, 제 2 부 링크 부재(43) 중, 제 2의 예비모재대(20m)에 가까운 위치에 주 회동축(68)이 고정되어 있고, 전환부(65)에 의한 주 회동축(68)의 회동에 수반해, 제 2 부 링크 부재(43)가 회동한다. 제 2 부 링크 부재(43)가 회동함으로써, 연동하여 주 링크 부재(41) 및 제 1 부 링크 부재(42)가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2 부 링크 부재(43)의 주 회동축(68)이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 본 발명의 뒤측의 부 링크 부재(43)의 회동 중심의 부분의 일례에 해당한다.
상기 전환부(65)는, 도 6의 전환부(21)의 경우보다 뒤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운전부(10)로부터의 운전자의 시선 방향은, 전환부(21)에 의해서 차단되는 것이 아니라, 차체의 좌측 전방 하부의 위치가 보기 쉬워져, 운전부(10)로부터 사이드 마커의 위치를 확인하기 쉬워진다.
또, 운전자는, 밭에 심어진 모를 시인할 수 있으며, 차체를 직진 방향으로 향하기 쉬워져, 모의 이식 정밀도가 향상한다.
또한, 도 22에서는 전환부(65)를 운전자에게 가까운 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제 1 부 링크 부재(42)를 전환부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운전자보다 먼 측에 전환부를 배치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전환부가 운전자의 시선의 방해가 되지 않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전환부 및 예비모 재치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a)는 변형 예의 적층 형태에 있어서의 예비모 재치부를 모 이식기의 외측에서 본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3(b)는 그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과 같은 구성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도 23(b)에서는 지지 프레임 부분만을 도시하고, 전환부 및 예비모 재치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3(a) 및 도 23(b)에서 나타내는 변형 예에서는, 기초 지지 프레임(66)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V자형 모양을 가지는 V자형 지지 부재(67)가 장착되어 있고, 이 V자형 지지 부재(67)의 양단부에, 주 지지 프레임(24) 및 부 지지 프레임(25)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기초 지지 프레임(66)은, 기초 지지 프레임(23)과 마찬가지로 그 하단부가 굴곡하고 있고, 그 굴곡부가 보조 스텝(27)의 아래쪽으로 돌아, 차체 프레임의 브래킷(26)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기초 지지 프레임(66)이, 2개의 주 지지 프레임(24)와 부 지지 프레임(25)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주 지지 프레임(24)과 부 지지 프레임(25)으로 지지를 받는 예비모 재치부의 밸런스가 향상한다.
도 2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단식의 예비모재대(20u, 20m, 20d)의 상부에 또한 1단의 제 4의 예비모재대(20s)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렇지만, 이 제 4의 예비모재대(20s)를 장착할 때, 제 4의 예비모재대(20s)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49x)를 상기 주 지지 프레임(24) 및 부 지지 프레임(25)의 상부에 장착할 필요가 있지만, 제 4의 예비모재대(20s)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49x)의 상하 길이를 길게 하지 않으면, 전개 상태와 적층 상태로 전환할 때에 제 1의 예비모재대(20u)에 재치한 모 상자(68)가 제 4의 예비모재대(20s)에 접촉하여 모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 24(a)부터 도 24(c)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 1, 제 2, 제 3의 예비모재대(20u, 20m, 20d)를 지지하는 주 지지 프레임(24) 및 부 지지 프레임(25)의 사이에 브리지(96)를 설치하고, 이 브리지(96)에 톱니바퀴(97)를 가지는 전환 액츄에이터(22)를 배치한다. 이때, 톱니바퀴(97)는 측면시로 계란형의 캠(97b)으로서 이 캠(97b)을 통상 작업할 때는 도 24(a)에 나타내는 상태로 하고, 도 24(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캠(97b)을 90도 회동시켜 도 24(b)에 나타내는 상태로 했을 때, 캠(97b)의 첨단이 상기 브리지(96)에 해당되며, 지지 틀(49)의 다리를 높이(L)만큼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이것에 의해, 제 1의 예비모재대(20u)와 제 4의 예비모재대(20s)의 사이에도 높이(L)만큼 커지며, 제 1의 예비모재대(20u) 상의 모 상자(68)가 4단째의 예비모재대(20s)에 해당되는 것이 방지되어 모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도 2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단식의 예비모재대(20u, 20m, 20d)를 전개 상태로 했을 때에는 브리지(96)는 캠(97b)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제 4의 예비모재대(20s)가, 도 24(d)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의 제 4의 예비모재대(20s)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작업자는 제 4의 예비모재대(20s)에 손이 닿기 쉬워진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 이식기는, 예비모재대를 적층 형태와 전개 형태로 자동적으로 바꿀 수 있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전환을 행할 필요가 없고, 또 정지 조작을 행하지 않아서 적층 형태 또는 전개 형태가 되면 전환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모 이식기는, 예비모 재치대의 적층 형태 및 전개 형태를 자동으로 바꿀 수 있으므로, 승용형 모내기기 등, 주행 장치를 가지는 기체의 측부에 예비모대를 갖춘 모 이식기 등,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
10. 운전부 12. 운전 좌석
16. 이식부 18. 조종 핸들
22. 전환 모터 73. 전환 조작 스위치
92. 통전 전환 부재

Claims (9)

  1. 밭에 모를 심는 이식부를 주행 차체에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에 운전 좌석 및 조종 핸들을 가지는 운전부(1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에 고정된 지지 부재에 링크 부재를 통하여 모를 재치하는 복수의 예비모재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예비모재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줄선 제 1의 형태와 상하 방향으로 줄선 제 2의 형태로 전환 자유자재로 구성하고, 상기 예비모재부재의 뒷부분에 뒤쪽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예비모재부재의 앞 부분에 앞쪽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뒤쪽 돌출부에는 예비모재부재의 모 재치면보다 높은 뒤쪽 스토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앞쪽 돌출부에는 예비모재부재의 모 재치면보다 높은 앞쪽 스토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앞쪽 스토퍼부의 앞측 표면에 뒤쪽이 올라간 안내면을 갖추고, 상기 제 1의 형태에서 측면시로 상기 안내면 또는 안내면보다 뒤쪽으로 뒤쪽 스토퍼부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쪽 스토퍼부에 받기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받기 부재로 뒤쪽 스토퍼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앞쪽 스토퍼부를 예비모재부재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뒤쪽 스토퍼부를 예비모재부재의 좌우 중앙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앞쪽 스토퍼부의 좌우간에 또는 예비모재부재의 저부에 뒤쪽 스토퍼부를 받는 받기 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기 부재를 좌우 앞쪽 스토퍼부에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좌우의 받기 부재를 앞쪽 스토퍼부의 좌우 사이로 돌출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5. 제 1항부터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游輾)하여 모의 반송을 보조하는 반송 보조 회전체를, 뒤쪽이 올라간 안내면보다 위쪽으로 돌출시켜 상기 앞쪽 스토퍼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링크 부재의 회동 지점축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 지점축에 링크 부재를 회동시키는 톱니바퀴를 설치하고, 상기 톱니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 1의 형태 또는 제 2의 형태로 전환하는 전환 액츄에이터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 액츄에이터를 전환 조작하는 전환 조작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액츄에이터를 전동 모터로 하고, 예비모재부재가 제 1의 형태 또는 제 2의 형태가 되는 위치에서 상기 링크 부재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링크 부재가 정지 부재에 접촉하고 이 전동 모터에 부하가 걸리면 통전 상태를 정지하여 상기 전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통전 전환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예비모재부재를 제 1의 형태로 정지시키는 제 1의 정지 부재와 제 2의 형태로 정지시키는 제 2의 정지 부재를 예비모재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 스토퍼부 및 앞쪽 스토퍼부 중 한쪽에 받기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받기 부재로 앞쪽 스토퍼부 및 뒤쪽 스토퍼부 중 다른 한쪽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KR1020110071731A 2010-08-18 2011-07-20 모 이식기 KR101331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3003 2010-08-18
JP2010183003A JP5707776B2 (ja) 2010-08-18 2010-08-18 苗移植機
JP2010241655A JP5505258B2 (ja) 2010-10-28 2010-10-28 苗移植機
JPJP-P-2010-241655 2010-10-28
JP2011071361A JP5672105B2 (ja) 2011-03-29 2011-03-29 苗移植機
JPJP-P-2011-071361 2011-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95A true KR20120017395A (ko) 2012-02-28
KR101331850B1 KR101331850B1 (ko) 2013-11-22

Family

ID=457894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490A KR101331849B1 (ko) 2010-08-18 2011-07-19 모 이식기
KR1020110071731A KR101331850B1 (ko) 2010-08-18 2011-07-20 모 이식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490A KR101331849B1 (ko) 2010-08-18 2011-07-19 모 이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331849B1 (ko)
CN (3) CN102369802B (ko)
MY (2) MY1640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849B1 (ko) * 2010-08-18 2013-11-22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 이식기
TWI576041B (zh) * 2012-04-27 2017-04-01 Iseki Agricult Mach Seedlings transplant machine
JP6429752B2 (ja) * 2015-09-03 2018-11-2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植物移植装置
CN107046888B (zh) * 2016-11-10 2019-01-29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多功能插秧机机身
CN106385893B (zh) * 2016-11-10 2018-07-06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插秧机机架
JP6816631B2 (ja) * 2017-04-28 2021-01-20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6897618B2 (ja) * 2018-03-30 2021-06-30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917A (ja) * 2001-05-31 2002-12-10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乗用型田植機の苗補給装置
ITCR20020024A1 (it) * 2002-11-14 2004-05-15 Ferrari Cost Mecc Snc Unita' trapiantatrice di vegetali distributore rotante per trapianto a doppia fila
JP4750516B2 (ja) * 2005-09-12 2011-08-17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車
JP4638810B2 (ja) * 2005-11-21 2011-02-23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の予備苗収容構造
JP4389122B2 (ja) * 2006-02-27 2009-12-2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4764240B2 (ja) * 2006-04-14 2011-08-31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の予備苗収容構造
CN201008266Y (zh) * 2007-03-27 2008-01-23 重庆北卡农业科技有限公司 自动移栽机
CN101040579A (zh) * 2007-04-29 2007-09-26 国家林业局哈尔滨林业机械研究所 自走式苗木移植机
JP5285315B2 (ja) * 2008-03-28 2013-09-11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
JP5123705B2 (ja) * 2008-03-28 2013-01-23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
JP5123709B2 (ja) 2008-03-31 2013-01-23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
JP5297106B2 (ja) 2008-07-04 2013-09-25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KR101331849B1 (ko) * 2010-08-18 2013-11-22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 이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850B1 (ko) 2013-11-22
KR101331849B1 (ko) 2013-11-22
KR20120017394A (ko) 2012-02-28
CN202310549U (zh) 2012-07-11
CN102369803B (zh) 2014-06-18
CN102369803A (zh) 2012-03-14
CN102369802B (zh) 2014-07-23
MY157408A (en) 2016-06-15
MY164006A (en) 2017-11-15
CN102369802A (zh)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850B1 (ko) 모 이식기
CN102648347B (zh) 风力设备以及在风力设备中使用机架的方法
CN105083976A (zh) 电子设备生产系统
CN109071182A (zh) 用于乘客运输系统的承载结构的机器人辅助生产方法
EP3885173A1 (en) Electric powered work vehicle
JP5633547B2 (ja) 苗移植機
KR20100136425A (ko) 작업기
KR20120085651A (ko) 금속박판 가공기용 공구홀더를 포함하는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KR101530239B1 (ko) 모종 이식기
JP4856455B2 (ja) 移植機
JP6962118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10149954A (ja) タイヤ式クレーンの給電切替装置及びタイヤ式クレーンシステム
JP5707776B2 (ja) 苗移植機
JP6056750B2 (ja) 苗移植機
CN210298513U (zh) 集约化秧苗装载装置以及插秧机
JP2012039920A5 (ko)
JP2013000031A (ja) 乗用型田植機
JP6315073B2 (ja) 苗移植機
CN216067542U (zh) 一种平衡力矩可调节的机械手
CN201962030U (zh) 一种开关手车的升降平台
JP5290028B2 (ja) 移植機
JP6620835B2 (ja) 苗移植機
JP2013094078A (ja) 苗移植機
JP2015043720A (ja) 苗移植機
JP2010081921A (ja) 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