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651A - 금속박판 가공기용 공구홀더를 포함하는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박판 가공기용 공구홀더를 포함하는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651A
KR20120085651A KR20117014277A KR20117014277A KR20120085651A KR 20120085651 A KR20120085651 A KR 20120085651A KR 20117014277 A KR20117014277 A KR 20117014277A KR 20117014277 A KR20117014277 A KR 20117014277A KR 20120085651 A KR20120085651 A KR 2012008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metal sheet
mounting
holder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1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뷔트너
슈테판 커셔
마르크 클링크함메르
Original Assignee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filed Critical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08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0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 B21D43/11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using rotatable work or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4Particular arrangements for handling and holding in place complete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4Particular arrangements for handling and holding in place complete dies
    • B21D37/145Die storage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6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non-rotary tools
    • B23Q3/1557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non-rotary tools the tool being taken from a storage device and transferred to a tool holder by means of transfe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83/00Tool changing
    • Y10T483/17Tool changing including machine tool or component
    • Y10T483/1729Reciprocating tool machine tool [e.g., broaching machine, shaping machine, etc.]
    • Y10T483/1731Reciprocating tool machine tool [e.g., broaching machine, shaping machine, etc.] including matri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제 1 공구 홀더(10, 39)를 제공하는 금속박판 장착 및 인출 장치(1)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서 공구(11)는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부터 금속박판 가공기(12, 33)에 통합된 제 2 공구 홀더(15)에 또는 금속박판 가공기(21, 33)의 공구 홀더(24, 25, 34, 35) 속으로 전달되며, 따라서 금속박판 가공기(21, 33) 속에서 자동으로 교환 가능한 공구(11)의 개수가 경제적이고 공간 절감 방식으로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박판 가공기용 공구홀더를 포함하는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LOADING AND UNLOADING UNIT FOR SHEET METAL COMPRISING A TOOL HOLDER FOR A SHEET METAL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금속박판 가공기용 공구 홀더를 포함하는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박판 가공기의 한 유형, 즉 펀칭가공기는 금속박판 부품을 제조할 때 특정 기계가공 단계를 실시하기 위해 마련된 펀칭 공구를 저장하기 위한 통합된 매거진을 포함한다. 부품들을 제조하는 완전한 기계 가공 중에서처럼 많은 여러 가지 기계가공 단계, 예를 들어 여러 가지 형상을 갖는 펀칭 단계, 나사 성형, 및 성형(forming)이 이루어질 때 많은 여러 가지 공구들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펀칭가공기에 통합된 공구 매거진의 저장 능력이 종종 충분하지 못하다.
통합형 공구 매거진에 수용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개수의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다.
한편, 기계 가공이 정지된 동안에 공구 매거진에서 공구들을 수동으로 교환할 수 있지만, 이는 기계 가공의 기계가공 및 수동 노력의 중단을 의미하므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 다른 대안책은 펀칭가공기에 통합된 공구 매거진에 자동으로 교환될 수 있게 하고 또한 기계가공을 위해 매거진으로부터 공구 홀더 속으로 픽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펀칭 공구가 저장되는 추가의 별도의 공구 매거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추가의 기계 구성부품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비용과 공간 확장의 필요성과 관련된다. 많은 수의 여러 가지 기계가공 단계 때문에, 저장될 공구의 가능한 개수는 추가용량이 필요하도록 별도의 표준 공구 매거진이 사용되는 경우라도 경제적인 생산을 보장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다른 유형의 금속박판 가공기, 즉 휨장치에 있어서, 공구의 자동 교환이 가능하다. 휨가공 공구도 휨가공 장치의 공구 매거진에 저장되며 이들은 자동으로 휨가공 스테이션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휨가공 공구의 치수가 크기 때문에 그 휨장치에 필요한 개수의 휨가공 공구를 장전하는 것은 펀칭 공구보다 비용이 많이 든다.
자동적인 공구 교환이 기본적으로 가능한 또 다른 유형의 금속박판 가공기는 예를 들어 펀칭/휨 가공기 또는 펀칭/레이저 가공기 같은 조합기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의 공간 및 큰 자본 지출의 필요성이 전혀 없이 금속박판 가공기에서 공구를 자동으로 교환하여 장착하고 인출하는 취급 시스템과 공구를 교환하여 장착하고 인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청구항 7에 따른 금속박판 가공기 및 청구항 11 또는 12에 다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전개는 각각의 종속항에 설명되어 있다.
청구하는 대상 및 방법들은 여러 가지 작업을 달성하기 위한 동일 조립체를 사용하고 여기서는 공구 취급 시스템으로서 금속박판용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를 사용할 기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휨가공 공구용 공구 매거진과 휨가공 공구용 공구 홀더를 구비한 금속박판 채집부의 기본 설명도;
도 2는 펀칭가공기의 사시도;
도 3은 휨가공기의 사시도;
도 4a 내지 제 4c는 휨가공기의 공구 교환 절차를 보여준다.
도 1은 금속박용 장착 및 인출 장치(1)의 측면도이다. 금속박판용 장착 및 인출 장치(1)는 고정부(2)를 포함한다. 고정부(2)에는 두 개의 수직 스탠드(3)와 수평 선형부(4)를 갖는 프레임이 제공된다. 수평 선형부(4)의 가동 요소에는 수직 선형부(5)가 제공되는데 이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하단부에서 수직 선형부(5)는 금속박판 채집부(6)를 포함한다. 하측에서 금속박판 채집부(6)는 나중에 도시하는 금속박판을 채집하기 위한 파지기(gripper), 흡착기(sucker) 또는 자석을 갖고 금속박판을 채집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장치를 구비한다.
수직 선형부(5)에는, 수직 선형부(5)를 금속박판 채집부(6)와 함께 수평 선형부(5)를 따라서 제 1 수평방향(X방향)으로 이동시키기고 그리고 제 2 수평방향(Y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7)와 금속박판 채집부(6)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8)가 각각 제공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하나의 단일 구동부가 제공될 수 있다.
금속박판 채집부(6)의 상측에는 도 1a에 도시한 회전 홀더(9)가 제공된다. 회전 홀더(9)는 금속박판을 기계가공하기 위한 공구를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제 1 공구 홀더(10)를 포함한다. 홀더(9)는 수직축선(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축선(12)의 방향으로 볼 때, 공구 홀더(10)들은 고정적으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다. 여기서 이 소정 각도는 90°이지만, 다른 값, 예를 들어 180°가 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단지 하나의 공구 홀더(10)가 제공되거나 다수의 공구 홀더(10)가 금속박판 채집부(6)에서 X방향으로 나란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이상의 공구 홀더(10)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들은 축선(12)을 중심으로 리볼버 방식으로 배치된다. 축선(1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 외에도, 회전 홀더(9)의 Y방향으로의 병진운동 및/또는 홀더(9)에서의 제 1 공구 홀더(10)의 병진 반경방향 운동이 특정 실시형태에서 가능하다. 또한, 공구 채집부(6)에서 나란하게 제공된 공구 홀더(10)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Y방향으로 병진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제 1 공구 홀더(10)의 개폐 운동은 공기압으로 구동된다. 회전 홀더(9)의 회전 운동은 또한 도시하지 않은 공기압 회전 구동부에 의해 일어난다. 다른 방법으로서 구동부는 특히 두 개 이상의 제 1 공구 홀더가 회전 홀더(9)에 있는 경우에 전기 구동부,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금속박판 채집부(6)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공구 홀더(10)에 의한 추가의 중량을 항상 운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금속박판 채집부(6)와 공구 홀더(10)나 결국 공구 홀더(10)가 배치되는 회전 홀더(9)중의 하나 사이의 죠인트가 될 수 있다. 다수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또한 Y방향으로 병진운동할 수 있거나 이 병진운동은 병진운동을 위한 장치에 의해 인터페이스에 고정된 공구 홀더에 의해 또는 회전 홀더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에서의 회전 홀더 또는 공구 홀더의 고정은 자기력, 형태끼움 부착 또는 그 외의 적절한 기술에 의해 가능하다.
여기서, 두 개의 수직 스탠드(3) 사이에는 펀칭 공구용 제 1 공구 매거진(13)이 제공된다. 이 공구 매거진(13)에는 다수의, 여기서는 6개의 펀칭 공구용 제 2 공구 홀더(14)가 제공되는데, 이들은 X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있다. 여기서, 이들 제 2 공구 홀더(14)에서, 펀칭 공구(11) 중의 하나는 각각 고정되어 있다.
다수의 제 2 공구 홀더(14)를 제공하기 위해, 공구 매거진(13)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공구 홀더(14)도 몇 개의 수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공구 홀더(14)들이 Y축선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나의 수평면에 공구 홀더(14)가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공구 홀더(14)가 X방향 및 Y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휨가공기에 적용되는 경우, 휨가공 공구에 적절한 제 2 공구 홀더가 제공되는데, 이들도 역시 두 개의 스탠드 사이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펀칭 공구용 제 1 공구 매거진(13) 또는 휨가공 공구용 매거진은 고정부(12)에 통합되지 않는다. 대신에 매거진은 금속박판 채집부(6)의 활동 범위에 배치된 가공기의 별개의 구성요소이다.
또한 금속박판 채집부(6)에 제 1 공구 매거진(13)이 제공된 다른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는 제 2 공구 매거진(15)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b는 하측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도시된 단 하나의 제 4 공구 홀더(39), 여기서는 흡착기를 갖는 금속박판 채집부(6)의 기본 설명도를 보여준다. 또한, 제 2 공구 홀더(14)와 휨가공 공구(11)를 갖는 제 1 공구 매거진(13)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방법으로서 흡착기나 파지기 또는 자석 같은 다수의 제 4 공구 홀더(39)가 제공된다. 이들은 적절한 방식으로 설계된 공구를 잡을 뿐만 아니라 금속박판도 잡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공구 홀더로서 흡착기나 자석을 사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큰 편평부를 포함하는 공구 형상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는 휨가공 공구(11)에 관한 경우이다.
도 2에는 금속박판 가공기의 일 실시형태, 즉 펀칭가공기(2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금속박판용 장착 및 인출 장치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펀칭가공기(21)의 필수 요소는 C프레임(22)이다. C프레임(22)은 비틀림에서 강직한 강용접(steep-welding) 구조로 구성된다.
C프레임(22)의 후단부에는 유압장치(23)가 제공되는데, 이에 따라서 램(25)이 도시하지 않은 램구동부에 의해 유압방식으로 구동된다.
C프레임(22)의 하측에는 펀칭 공구(11)의 공구의 하측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측 공구 홀더(24)가 제공된다. 공구의 하측부는 회전 구동부에 의해 약 360도 회전 가능하며 어떤 원하는 각도 위치에서도 록크될 수 있다.
C프레임(22)의 상부 내측에는 램(25)이 제공된다. 상측 공구 홀더를 갖는 램(25)은 형태끼움되고 백래시가 없는 방식으로 펀칭공구(11)의 상측부를 고정한다. 램(25)도 약 360도 회전 가능하며 어떤 원하는 각도 위치에서도 록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회전 구동부가 제공된다.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장치(1)의 구동 장치(7, 8) 뿐만 아니라 회전 구동부도 별도의 제어실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기계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램 제어기와 금속박판(26)을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부 및 특수한 기능, 예를 들어 부분 플랩(27)의 상향 선회 및 하향 선회 기능용 액튜에이터 전부는 기계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기는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으로서 키보드 및 모니터를 포함한다. 이 제어 기능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시된다. 기계가공 프로그램 및 동작 변수들은 제어기의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C프레임(22)의 하부 내측에는 선형 매거진을 갖는 크로스 레일(29), 제 2 공구 매거진(25)을 포함하는 테이블(28)이 배치된다. 크로스 레일(29)에는 금속박판(26)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핑 집게(30)가 배치된다. 클램핑 집게(30)는 적절한 위치에 크로스 레일(29)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금속박판(26)이 기계가공될 부위에서 파지되지 않더라도 금속박판(26)이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재위치될 수 있다. 선형 매거진(15)에는 다수, 여기서는 두 개의 펀칭 공구를 위한 다수, 여기서는 세 개의 제 3 공구 홀더(31)가 존재한다. 하측 공구 홀더(24)의 전방에는 외측방향의 작은 금속박판부를 전달하기 위한 부분 플랩(27)이 중심에 배치된다.
동작시에, 펀칭을 위해 테이블(28)은 금속박판(26)이 고정되는 클램핑 집게(30)가 고정되는 크로스 레일(29)과 함께 프로그램된 위치에서 Y방향으로 이동하며 크로스 레일(29)은 프로그램된 위치에서 Y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금속박판(26)은 테이블(28) 위에서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램(25)에 의해 펀칭 스트로크가 실시된다. 이후 동일한 원리로 다음의 펀칭 위치에 도달한다.
펀칭 공구(11)는 기계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교환되고 제어된다. 게다가 제 2 공구 매거진(15)으로부터 공구(11)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교환될 공구(11)의 X위치가 하측 공구 홀더(24)의 X위치에 대응하도록 크로스 레일(29)이 도시하지 않은 선형 구동부에 의해 일정 위치에서 X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또 다른 선형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크로스 레일(29)은 테이블(28)과 함께 특정 위치에서 Y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여기서 펀칭 공구(11)의 축선은 펀칭 공구(11)가 하측 공구 홀더(24)와 아암(25)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측 공구 홀더(24) 및 램(25)의 중심축선과 대응한다. 아암(25) 및 하측 공구 홀더(24)에 공구가 존재하는 경우, 이 공구는 이전에 선형 매거진 내의 자유공간에 분배된다.
도 1에서 상측 및 하측 공구 홀더(24, 25)내의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부터 공구(11)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요한 펀칭 공구(11)가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부터 인출된다. 게다가 금속박판 채집부(6)는 도 1에서 X방향으로 회전 홀더(9)의 축선(12)이 원하는 펀칭 공구(11)의 중심축선에 대응하도록 X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에 금속박판 채집부(6)는 제 1 공구 홀더(10)가 펀칭 공구(11)를 파지하도록, 즉 제 1 공구 홀더(10)의 개구부(16)가 펀칭 공구(11)를 형태끼움 방식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도면의 지면에 대하여 Y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1 공구 홀더(10)의 폐쇄 동작이 실시되고 펀칭 공구가 금속박판 채집부(6)의 제 1 공구 매거진(13)의 제 2 공구 홀더(14)로부터 전방이동에 의하여 반대방향인 Y방향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금속박판 채집부(6)는 펀칭 공구의 중심축선(17)이 상측 및 하측 공구 홀더(24, 25)의 중심축선에 대응할 때까지 펀칭가공기(21)의 방향으로 X방향으로 이동하며, 이후에 금속박판 채집부(6)는 마찬가지로 Y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펀칭 공구(11)가 종래의 방식으로 공구 홀더(24, 25) 위로 인출된다. 게다가 교환 장착 및 인출을 위한 움직임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측 공구 홀더(25)의 전방에 자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하측 공구 홀더의 전방에 자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부분 플랩(27)이 하방으로 수직하게 이동한다. 단독으로 플랩을 하방으로 선회시키는 것은 충분하지 않은데, 이 경우 부분 플랩(27)의 선회축선이 교환될 공구와의 충돌 영역에서 변화 없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금속박판 채집부(6)가 Y방향으로 움직이는데 대한 다른 대안으로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공구 홀더(10) 또는 회전 홀더(9) 자체만이 Y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공구 홀더(10)의 움직임은 Y방향으로 이루어지지만, 기본적으로는 펀칭 공구(11)가 공구 홀더(14)로부터 인출되거나 거기로 전달될 수 있게 제 2 공구 홀더(14)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선택된다.
제 1 공구 매거진(13) 및 제 2 공구 매거진(15)의 공구 홀더(24, 25)에 펀칭공구를 교환 장착 및 인출하기 위한 각각의 전술한 방법 이외에 펀칭 공구(11)를 교환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제 2 공구 매거진(15) 내의 교환될 펀칭 공구(11)는 제 1 공구 홀더(10) 중의 하나에 의해 공지의 방식으로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부터 인출된 다음에 상측 및 하측 공구 홀더(24, 25)로의 인계가 실시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공구 매거진 내의 소정의 제 3 공구 홀더(31)에 전달된다. 펀칭 공구(11) 제 1 공구 홀더(10)로부터 지나가게 될 제 3 공구 홀더(31) 내에 펀칭 공구(11)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공구 홀더(10) 중의 두 번째 홀더가 제 3 공구 홀더(31) 내에 존재하는 펀칭 공구(11)와 함께 제거되게 위치하도록 회전 홀더(9)가 약 90도 회전되거나 또는 금속박판 채집부(6)가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교환될 펀칭 공구(11)를 제 3 공구 홀더(31)에 보내기 위해 회전 홀더(9)가 반대 방향으로 약 90도 회전되거나 또는 금속박판 채집부(6)가 반대방향인 X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2 공구 매거진(15)로부터 인출된 펀칭 공구(11)는 제 1 공구 매거진(13) 속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상측 및 하측 공구 홀더(24, 25)에 삽입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펀칭 공구(11)는 제 2 공구 매거진(15)으로부터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 보내질 수 있다.
제 1 공구 홀더(10) 중의 두 개 이상이 금속박판 채집부(6)상에 나란하게 배치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동시에 펀칭 공구(11) 중의 몇 개를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부터 제 2 공구 매거진(15)으로 그리고 그 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판 채집부(6)상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 1 공구 홀더(10)의 개수 또는 회전 홀더에 존재하는 공구 홀더의 개수에 따라서, 펀칭 공구(11) 중의 몇 개를 이용할 수 있는데, 즉 다른 공구 홀더에 보내질 수 있다.
펀칭 공구를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부터 교환하기 위한 방법은 펀칭가공기(21)에 금속박판을 적재하는 것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먼저 필요한 펀칭 공구(11)가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부터 인출된 다음, 파지기 또는 흡착기에 의해 금속박판(26)이 고정부(2)의 영역의 매거진으로부터 인출되고 이렇게 얻어진 펀칭 공구(11)는 금속박판(26)과 함께 펀칭가공기로 이동된다. 여기서 펀칭 공구(11)는 제 2 공구 매거진(15) 또는 상측 및 하측 공구 홀더(24, 25)로 보내진다. 금속박판(26)은 테이블(28)상에 배치되어 클램핑 집게(30)로 보내진다. 제조된 금속박판의 인출에는 또한 제 1 공구 매거진(13) 내의 펀칭 공구(11)의 교환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휨가공기(33)의 기본 설명도를 보여준다. 휨가공기(33)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2에서 설명한 펀칭가공기(21)와 동등하다. 휨가공기(33)는 그 중에서도 구동부(36)를 갖는 상측 공구 홀더(34) 및 하측 공구 홀더(35)와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를 포함한다. 일부 기계 부품들, 예를 들어 공구 홀더(34, 35) 및 구동장치(36)는 휨가공 공구에 의한 휨가공 공정에 대하여 최적화되어있다. 도 3에는 어떻게 금속박판(26)에 절제부(37)가 구비된 다음에 상방으로 휘어진 금속박판부(38)로 개조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금속박판 가공공구(11), 여기서는 휨가공 공구를 휨가공기의 제 1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또는 제 1 공구 매거진(13)의 휨가공기로부터 교환 장착 및 인출하는 것도 휨가공기의 제 2 공구 매거진에서 직접 또는 공구 홀더(34, 35)에서 직접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휨가공 공구(11)용 상측 공구 홀더(34) 및 하측 공구 홀더(35)와 제 4 공구 홀더(39)(도 1b)를 갖는 금속박판 채집부(6)가 각각 도시되어있다. 휨가공 공구(11)는 각각 공구의 하측부(a1, b1)와 공구의 상측부(a2, b2)로 구성된다. 휨가공 공구를 공구 홀더(34, 35)로부터 그리고 공구 홀더(34, 35) 속으로 교환하는 것은 다음의 단계들을 갖는 방법에서 설명한다.
제 1 단계 이전에 공구의 하측부(a1) 및 공구의 상측부(a2)를 갖는 휨가공 공구는 공구 홀더(34, 35) 속에 공급된다. 제 1 단계에서, 금속박판 채집부(6)는 제 3 공구 홀더(39)가 하측부(a1) 위에 위치하도록 이동하며, 제 4 홀더(39)는 공구의 하측부(a1)를 집는데(도 I 참조), 여기서 공구의 하측부는 하측 공구 홀더(35)로부터 해제되고, 제 4 홀더(39)는 공구의 하측부(a1)를 하측 공구 홀더(35)로부터 제거한다(도 II).
다음의 제 2 단계에서는, 공구의 하측부(b1)가 하측 공구 홀더(35)에 삽입되어 거기에 고정된다(도 III).
제 3 단계에서는, 공구의 상측부(a2)를 갖는 상측 공구 홀더(34)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공구의 상측부(a2)는 상측 공구 홀더(34)로부터 해제되므로 공구의 하측부(b1)상에 놓여 진다(도 IV).
제 4 단계에서는, 제 4 공구 홀더(39)가 공구의 하측부(a1)에 놓여진 공구의 상측부(a2) 위에 위치하도록 금속박판 채집부(6)가 이동한 다음에 공구의 상측부(a2)를 집어 올린다(도 V 참조).
그리고 제 5 단계에서는, 공구의 상측부(a2)가 가공기로부터 제거된다(도 VI). 제 6 단계에서는, 공구의 상측부(b2)가 제 4 공구 홀더(39)를 갖는 금속박판 채집부(6)에 의해 공구의 하측부(b1)상에 놓여 진다(도 VII).
상측 공구 홀더(34)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공구의 상측부(b1)를 집어 올린 다음(도 VIII), 상방으로 복귀하므로(도 IX), 휨가공 공구의 교환이 완료된다.
공구를 제 1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제거하거나 제 1 공구 매거진 속에 배치하는 것은 생산시간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금속박판이 금속박판 가공기에서 가공되는 동안에 이 가공과정에 방해를 전혀 주지 않으면서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1)에 의해 공구가 제 1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제거되어 제 1 공구 매거진에 놓여 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Claims (16)

  1. 금속박판 가공기(21)용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1)로서, 고정부(2)를 가지며 금속박판을 집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39)를 구비한 금속박판 채집부(6)를 가지며 금속박판 채집부(6)를 적어도 하나의 수평축선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장치(7)를 갖는 장착 및 인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판 채집부(6)는 금속박판 가공 공구(11)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구 홀더(10, 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공구 홀더(14)를 구비한 제 1 공구 매거진(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인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판 채집부(6)는 적어도 두 개의 공구 홀더(10, 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구 홀더(10)는 금속박판 채집부(6)에 대하여 제거 가능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구 홀더(10)는 다른 홀더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구 홀더(10)는 금속박판 채집부(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7. 제어기를 구비한 금속박판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판 가공기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한 항에 따른 금속박판 장착 및 인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가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는 상측 공구 홀더(25) 및 하측 공구 홀더(24)를 구비하는 펀칭가공기(21)가 되도록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가공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는 상측 공구 홀더(34) 및 하측 공구 홀더(35)를 구비하는 휨가공기가 되도록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가공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공구(11)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 2 공구 매거진(15)의 제 1 공구 매거진(13) 또는 공구 홀더(24, 25)로부터 전달되며, 상기 공구(11)는 제 2 공구 매거진(15) 또는 공구 홀더(24, 25)로부터 이어 받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가공기.
  11. 공구(11)의 교환 장착 방법 및 인출 방법에 있어서, 1단계에서는 공구(11)가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한 항에 따른 장착 및 인출 장치에 의해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부터 제 2 공구 매거진(15) 속으로 전달되며, 다른 단계에서는 공구(11)가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한 항에 따른 장착 및 인출 장치에 의해 제 2 공구 매거진(15)으로부터 제 1 공구 매거진(13) 속으로 넘겨받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공구(11)의 교환 장착 방법 및 인출 방법에 있어서, 1단계에서는 공구(11)가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한 항에 따른 장착 및 인출 장치에 의해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부터 공구 홀더(24, 25)로 전달되며, 다른 단계에서는 공구(11)가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한 항에 따른 장착 및 인출 장치에 의해 공구 홀더(24, 25)로부터 넘겨 받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공구(11)를 전달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한 단계에는 금속박판(26)의 장착이 추가되거나, 또는 공구(11)를 이어 받는 단계 중의 한 단계에는 제조된 금속박판부의 인출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11)는 금속박판(26)이 금속박판 가공기에서 기계가공되는 동안에 제 1 공구 매거진(13)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제 1 공구 매거진(13)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11)는 공구의 하측부(a1, b1) 및 공구의 상측부(a2, b2)를 포함하며, 공구의 상측부(a2, b2)는 일 단계에서 상측 공구 홀더(34)에 의해 공구의 하측부(a1, b1)상에 놓여지며, 이후의 단계에서 금속박판 채집부(6)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11)는 공구의 하측부(a1, b1) 및 공구의 상측부(a2, b2)를 포함하며, 공구의 상측부(a2, b2)는 일 단계에서 금속박판 채집부(6)에 의해 공구의 하측부(a1, b1)상에 놓이며, 이후의 단계에서 상측 공구 홀더(3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117014277A 2008-12-22 2009-12-23 금속박판 가공기용 공구홀더를 포함하는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KR20120085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80022326 EP2198991B1 (de) 2008-12-22 2008-12-22 Blechbelade- und Blechentladeeinheit mit einer Werkzeugaufnahme für Blechbearbeitungsmaschinen
PCT/EP2009/009253 WO2010072411A1 (de) 2008-12-22 2009-12-23 Blechbelade- und blechentladeeinheit mit einer werkzeugaufnahme für blechbearbeitungsmaschin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651A true KR20120085651A (ko) 2012-08-01

Family

ID=4087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14277A KR20120085651A (ko) 2008-12-22 2009-12-23 금속박판 가공기용 공구홀더를 포함하는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308362A1 (ko)
EP (1) EP2198991B1 (ko)
JP (1) JP5769633B2 (ko)
KR (1) KR20120085651A (ko)
CN (1) CN102348518B (ko)
AT (1) ATE518610T1 (ko)
PL (1) PL2198991T3 (ko)
WO (1) WO2010072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44173B1 (de) * 2010-10-20 2013-11-27 TRUMPF Sachsen GmbH Maschinelle Anordnung zum Bearbeiten von Blechen sowie Verfahren zum Werkzeugwechsel an einer derartigen maschinellen Anordnung
EP2457675B1 (de) * 2010-11-29 2013-03-20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Aufnahmeeinheit für Werkstücke
EP2692455B1 (de) 2012-08-01 2015-06-24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maschine zum Bearbeiten von plattenartigen Werkstücken, insbesondere von Blechen
EP2724797B1 (de) 2012-10-26 2019-07-31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magazin für Werkzeuge einer Werkzeugmaschine, maschinelle Anordnung mit einem derartigen Werkzeugmagazin sowie Verfahren zum Verwalten von Werkzeugen an einer derartigen maschinellen Anordnung
EP2939756B1 (de) * 2014-05-02 2016-07-06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maschine zum Bearbeiten eines Werkstücks mit einer Werkzeughandlingvorrichtung und einem Werkzeugmagazin sowie Verfahren und Bearbeitungsprgramm zum Betreiben einer derartigen Werkzeugmaschine
ES2582566T3 (es) * 2014-05-23 2016-09-13 Trumpf Maschinen Austria Gmbh & Co. Kg. Dispositivo de cambio de herramienta para una prensa de conformación
WO2020049701A1 (ja) * 2018-09-06 2020-03-12 ヤマザキマザック株式会社 工具保管装置、工作機械及び複合加工機械
CN113110331B (zh) * 2021-04-15 2022-04-29 湘潭大学 一种订单式机器人冲压单元排版选配与调度集成优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0762C2 (de) * 1983-06-09 1994-10-27 Trumpf Gmbh & Co Stanzmaschine mit einem stationären Magazin
CH668035A5 (en) * 1986-09-19 1988-11-30 Beyeler Machines Sa Folding press with die or matrix replacement system - has arms on rear mobile supports having pins which engage with holes in dies and matrices
DE3818001C3 (de) * 1988-05-27 1998-02-12 Trumpf Gmbh & Co Stanzmaschine mit ein- und auswechselbarem Stanzwerkzeug und mit einem Werkstückvorschub
US5342276A (en) * 1990-05-01 1994-08-30 Amada Company, Limited Turret punch press with a die exchanging device
JPH0471734A (ja) * 1990-07-11 1992-03-06 Amada Co Ltd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
US5320595A (en) * 1990-08-22 1994-06-14 Amada Company, Limited Punch press and a tool magazine for the press
JP2515611Y2 (ja) * 1992-04-28 1996-10-30 株式会社アマダメトレックス 自動交換用可変段曲げ金型
DE4309643C2 (de) * 1993-03-25 2002-06-13 Schuler Pressen Gmbh & Co Umsetzeinrichtung für den Werkstücktransport
JPH0788578A (ja) * 1993-09-20 1995-04-04 Komatsu Ltd パンチプレス機における材料搬出方法および搬出装置
JPH1034241A (ja) * 1996-07-18 1998-02-10 Cad World:Kk ロボットを備えた曲げ加工プレス
JPH115133A (ja) * 1997-06-12 1999-01-12 Toyotomi Kiko Kk 複合型物品搬送装置
IT1293247B1 (it) * 1997-07-16 1999-02-16 Rainer Srl Macchina punzonatrice a torretta.
US5882285A (en) * 1997-10-03 1999-03-16 Amada Mfg America, Inc. Punching tool storing and interchanging system
DE60134035D1 (de) * 2000-11-06 2008-06-26 Amada Co Ltd Stanzpresse, verfahren zum austausch des stanzstempels und der matrize für die stanzpresse und stanzsystem
DE102005028358A1 (de) * 2005-06-18 2006-12-21 Alfing Keßler Sondermaschinen GmbH Bearbeitungsmaschinenanordnung mit Roboter und Werkzeugmagaz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18610T1 (de) 2011-08-15
WO2010072411A1 (de) 2010-07-01
JP2012513308A (ja) 2012-06-14
EP2198991B1 (de) 2011-08-03
US20110308362A1 (en) 2011-12-22
PL2198991T3 (pl) 2011-12-30
JP5769633B2 (ja) 2015-08-26
EP2198991A1 (de) 2010-06-23
CN102348518B (zh) 2015-11-25
CN102348518A (zh)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5651A (ko) 금속박판 가공기용 공구홀더를 포함하는 금속박판 장착 장치 및 인출 장치
JP4731653B2 (ja) 工作機械
EP1712337B1 (en) Machining centre with two operating units with part handling means
KR930007943B1 (ko) 공작기계
JPH0716722B2 (ja) 交換可能な押抜き工具とワーク送り装置を有する押抜き機
CN103826795B (zh) 用于在卧式车床中更换部件的设备和机械手
US8092357B1 (en) Spindle gripping device and method
EP1745871B1 (en) Improved automatic riveting system
EP2163334B2 (en) Machine comprising a drum having workpiece supporting spindle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rum
JP7203278B2 (ja) 板金を曲げる曲げ加工機における曲げ加工工具を付け替える装置
US4590661A (en) Hobbing machine tool changer hav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vable jaws
KR102057727B1 (ko) 멀티 가공형 머시닝 센터
KR102004471B1 (ko) 멀티형 공구교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멀티 가공형 머시닝 센터
US9707652B2 (en) Machine tool for processing plate-like workpieces, in particular metal sheets
US20060075625A1 (en) Multiple side processing machine and positioning device for a workpiece
JP5624311B2 (ja) 生産ラインおよび工作機械
JP2007301673A (ja) 工作機械システム
JP2611097B2 (ja) 金型自動交換装置
CN212216696U (zh) 一种十轴数控折弯设备
CN213858241U (zh) 一种立式加工中心用的工件定位夹爪
JP2760935B2 (ja) 工作機械のストック用工具交換装置
JP7378541B1 (ja) 加工システム
JP2004136412A (ja) 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交換装置
WO2023217794A1 (en) Machine too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machine tool
JP2000061759A (ja) 自動工具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