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024A - 튜브를 받침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 및 이러한 체결 장치를 갖는 운반 및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튜브를 받침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 및 이러한 체결 장치를 갖는 운반 및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024A
KR20120016024A KR1020110080615A KR20110080615A KR20120016024A KR 20120016024 A KR20120016024 A KR 20120016024A KR 1020110080615 A KR1020110080615 A KR 1020110080615A KR 20110080615 A KR20110080615 A KR 20110080615A KR 20120016024 A KR20120016024 A KR 20120016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tube
hole
fastening device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998B1 (ko
Inventor
우도 쉬츠
Original Assignee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2012001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the containers being mounted on a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15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 Y10T29/49917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by necking in cup or tub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를 받침 구조물(bearing structure), 구체적으로 액체 용기를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운반 팰릿에 부착된 메시 케이지(mesh cage)의 수평 메시 프레임 튜브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로서, 체결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튜브가 압박에 의해 생성되어 있는 평탄 지역(25)을 갖는 체결부를 가지며, 이 평탄 지역에는 체결부를 받침 구조물에 연결하는 체결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 구멍(26)이 제공되며, 체결 구멍은, 체결부가 받침 구조물에 연결되는 체결 평면에 대하여 α 각도로 경사진 평면인, 볼트 헤드부와 체결부 간의 힘 인가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된 구멍 둘레(27)를 가지며, 구멍 둘레는, 체결 축(21)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칼라(collar)(29)에 의해 형성되고, 힘 인가 평면에 위치된 볼트 헤드부에 대한 받침 표면(38)을 형성하는 구멍 엠브라저(hole embrasur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를 받침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 및 이러한 체결 장치를 갖는 운반 및 보관 용기{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TUBE TO A BEARING STRUCTURE AND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WITH SUCH A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튜브를 받침 구조물(bearing structure), 구체적으로 액체 용기를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운반 팰릿에 부착된 메시 케이지(mesh cage)의 수평 메시 프레임 튜브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로서, 체결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튜브가 압박에 의해 생성되어 있는 평탄 지역을 갖는 체결부를 가지며, 이 평탄 지역에는 체결부를 받침 구조물에 연결하는 체결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 구멍이 제공되며, 체결 구멍은, 체결부가 받침 구조물에 연결되는 체결 평면에 대하여 α 각도로 경사진 평면인, 볼트 헤드부와 체결부 간의 힘 인가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된 구멍 둘레를 가지며, 구멍 둘레는, 체결 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칼라(collar)에 의해 형성되고, 힘 인가 평면에 위치된 볼트 헤드부를 위한 받침 표면을 형성하는 구멍 엠브라저(hole embrasur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체결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체결 장치가 구비된 액체용 운반 및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타입의 체결 장치는 구체적으로 메시 케이지를 IBC로도 지칭되는 액체 운반 및 보관 용기에 고정하기 위해 이용되며, 메시 케이지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운반 팰릿에 위치된 액체 용기를 유지 및 보호하도록 작용한다. IBC의 내측 용기는 독성 액체 또는 화학적으로 공격성을 갖는 액체를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체결 장치의 신뢰성이 특히 중요하다.
메시 케이지를 운반 팰릿에 고정하기 위해, 하위의 수평 연장 메시 프레임 튜브가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설명한 타입의 체결 수단을 통해 운반 팰릿에 부착된다. 메시 케이지 또는 하위 수평 프레임 튜브가 메시 케이지 외측으로부터 운반 팰릿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지의 체결 장치는, 일반적으로 체결 나사의 형태를 갖는 체결 볼트가 외측으로 경사진 체결 축 또는 볼트 연결 축으로 체결부에 형성된 체결 구멍을 통해 운반 팰릿의 베이스 내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 구멍의 둘레의 내측부가 운반 팰릿의 팰릿 베이스에 의해 형성된 체결 평면으로부터 먼 쪽으로 굽어지게 되는 한편, 구멍 둘레의 외측부가 체결 평면에 위치되며, 이로써, 볼트 연결 축 또는 나사 체결 축이 외측을 향해 경사짐에도 불구하고, 내측 및 외측 상의 체결 나사의 볼트 헤드부를 위한 받침 표면이 생성된다. 이 점에서, 나사 헤드부는 내측 구멍 둘레부의 영역에 있는 원형 칼라에 의해서만 브레이싱(bracing)되며, 그 결과 나사가 IBC를 취급할 시에 발생할 수도 있는 과도하게 높은 조임 토크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조작 부하를 받게 되면, 나사 헤드부에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가 가해지게 되며, 극단적인 경우에, 체결 나사의 파손으로 인해 일부분이 고장이 발생하거나, 또는 나사 헤드부가 떨어져 나가게 될 수도 있다.
이것은 IBC를 사용 불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체결 장치의 고장의 결과로 상당한 금전적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부품의 고장에 의해 내측 용기가 손상을 입게 되면, 내측 용기에 유지된 액체가 흘러나오게 되어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고장을 초래할 수도 있는 위험을 동반하지 않고서도 나사 체결 축 또는 볼트 연결 축을 체결 평면 쪽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는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타입의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안정성이 향상된 액체용 운반 및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및 저장 용기는 청구항 8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에서, 구멍 둘레는, 체결 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칼라에 의해 형성되고, 힘 인가 평면에 위치된 볼트 헤드부를 위한 받침 표면을 형성하는 엠브라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볼트 헤드부를 위한 평평한 받침 표면이 구멍 둘레의 내측부와 구멍 둘레의 외측부 상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튜브의 체결부에 가해지는 힘이 볼트 헤드부의 원주 둘레에 고르게 확산하게 된다. 또한, 체결 축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 칼라의 결과로, 과도하게 조여지는 토크 또는 높은 동적 조작 부하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는 볼트 헤드부 상에 작용하는 증가된 신장 응력(tensile stress)의 경우에도 이 응력이 대응하는 변형을 통해 소산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이 체결부에 형성된다.
볼트 헤드부를 위한 받침 표면이 환형 칼라의 브레이싱 풋(bracing foot)에 의해 구멍의 에지 상에 형성된 접힘 가능한 테두리(foldable rim)에 의해 형성된다면, 이로써 볼트 헤드부를 위한 체결부의 접촉 표면이 튜브 재료의 매끄러운 표면에 의해 형성되고, 어떠한 노치 작용(notch effect) 없이 나사 헤드부로부터 체결부로 힘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이롭다.
접힘 가능한 테두리가 또한 인접한 구멍 둘레 영역 위에서 상승되는 돌출 테두리를 갖고, 이 돌출 테두리가 나사 헤드부를 위한 접촉 표면을 형성하면, 접촉 표면을 특히 정교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가 체결 구멍을 통해 연장하는 S-만곡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구멍 둘레를 갖고, 이로써 구멍 둘레의 환형 칼라뿐만 아니라 구멍 둘레의 전체 영역이 그 기하학적 순응성(geometricla conformation)에 의해 특히 높은 변형 성능을 갖게 되어, 볼트 헤드부에 가해질 동적 조작 부하로 인한 응력 피크가 소산될 수 있다면, 체결 볼트 또는 볼트 헤드부와 체결부 간의 힘의 특히 매끄러운 전달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5에서 청구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튜브의 영역이 평탄화되어 체결부를 형성한 후에, 먼저 체결 볼트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 초기 보어를 형성한다.
딥 드로잉 공정으로, 초기 보어 내로 딥 드로잉 맨드릴(deep drawing mandrel)을 도입하여 보어를 확장시키는 동시에 구멍의 테두리 둘레에 딥 드로잉 공정에 의해 구멍 둘레의 버클링(buckling)에 의해 생성되는 환형 칼라를 형성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체결 볼트가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초기 보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체결 구멍이 후속하여 생성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체결부는 인접 튜브부에 대하여 오프셋되며, 그에 따라 힘 인가 평면, 즉 힘이 체결 볼트의 헤드부로부터 체결부로 전달되는 평면이 체결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된다.
환형 칼라에 의해 소켓 형태를 따르는 구멍 벽부를 생성하기 위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체결부와 볼트 헤드부 간에 힘이 전체 원주 둘레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구멍 둘레의 영역에서 노치 작용을 초래할 재료 가공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체결 볼트를 수용하기에 필요한 직경을 갖는 이러한 체결 구멍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대신, 체결부의 재료에 형성된 구멍 테두리가 재성형 공정의 결과로 환형 칼라의 높이만큼 힘 인가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인접 튜브부에 대한 체결부의 오프셋이 초기 보어에 삽입된 딥 드로잉 맨드릴의 선회 움직임(swivelling motion)에 의해 이루어진다면, 이로써 오프셋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제거되거나 최소화되기 때문에, 특히 이롭다.
딥 드로잉 맨드릴의 선회 움직임이 딥 드로잉 맨드릴의 딥 드로잉 움직임에 겹쳐지면, 체결 구멍의 오프셋 및 형성이 단일 재성형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체결 장치에 의하여, 청구항 8에 청구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액체용 운반 및 보관 용기는, 부품 고장에 대항하는 메시 케이지와 운반 팰릿 간의 연결을 위한 우수한 보호를 제공하며, 그러므로 내측 용기에 대한 보호를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아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체결 장치, 이러한 체결 장치를 갖는 운반 및 보관 용기의 구성, 및 이러한 체결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운반 팰릿 상에 고정되고 내측 용기를 수용하는 메시 케이지를 갖는 IBC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메시 케이지의 저부 수평 튜브의 체결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변형되지 않은 수평 튜브의 횡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압박에 의해 평탄화된 수평 튜브의 횡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딥 드로잉에 의해 재성형된 수평 튜브의 체결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1의 Ⅵ-Ⅵ 라인을 따라 절취한 부착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은 운반 팰릿(10) 상에 탑재된 IBC 형태의 운반 및 보관 용기(12)의 메시 케이지(11)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메시 케이지(11)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운반 팰릿(10) 상에 위치된 액체 용기(13)를 보호하도록 작용한다. 체결 축(21)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시 케이지(11)의 저부 수평 튜브(14)는 복수의 체결 장치(15, 16)를 통해 운반 팰릿(10)의 팰릿 베이스(17)에 연결되어 있다. 체결 장치(15)는 메시 케이지(11)의 모서리 영역(18)에 위치되고, 메시 케이지(11)의 장측부(19) 및 단측부(20)에 위치된다. 메시 케이지(11)의 모서리 영역(18)에 있는 체결 장치(15)가 하위 수평 튜브(14)의 곡선부에 걸쳐 연장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점에서 이들은 하위 튜브(14)의 직선부에 위치되어 있는 체결 장치(16)와 정확하게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체결 장치(15, 16)는 도 1에서의 체결 축(21)을 따라 체결 나사(22)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나사(22)가 메시 케이지(11) 외측으로부터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용이하게 조여서 메시 케이지(11)와 운반 팰릿(10) 간의 나사 체결 연결을 발생하도록 정렬된다.
이하에서는 체결 장치(16)의 구조를 도 2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 6은 체결 나사(22)가 운반 팰릿(10)의 팰릿 베이스(17) 내로 나사 체결되는 상태에서의 도 1의 장측부(19)에 배치된 체결 장치(16)의 체결부(23)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설명의 이해를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분리하여 예시된 체결부(23)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3)는 프리 튜브 횡단면(24)을 변형시킴으로써 생성된 평탄 영역(25)을 가지며, 이 영역에는 대략 S-만곡 형상 횡단면을 갖는 구멍 둘레(27)를 갖는 체결 구멍(26), 및 브레이싱 풋(30)의 영역에 접힘 가능한 테두리(foldable rim)(31)를 형성하는 환형 칼라(collar)(29)를 갖는 구멍 엠브라저(hole embrasure)(28)가 있으며, 이 테두리는 체결 축(21)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멍 둘레 부분(32, 33)과 통합(merge)된다.
도 2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 둘레(27)는 환형 칼라(29)를 갖는 구멍 엠브라저(28)로 인해 기본적으로 소켓 방식으로 따르게 되며, 환형 칼라의 브레이싱 풋(30)은 구멍 둘레부(32, 33)의 S-만곡 형상 구성으로 인해 접힘 가능한 테두리(31)의 영역에 테두리 상승부(rim elevation)(34)를 형성하며, 이 상승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팰릿 베이스(17)에 나사 체결된 체결 나사(22)의 나사 헤드부(35) 또는 볼트의 아래쪽에 지지되어 있다.
환형 칼라(29)의 브레이싱 풋(30) 및 접힘 가능한 테두리(31)는 체결 나사(22)의 볼트 헤드부(35)를 위한 브레이싱 표면(38)(도 2)을 형성하여, 팰릿 베이스(17)에 의해 정해지는 체결 평면(37)에 대한 α의 각도로 경사지는 힘 인가 평면(36)을 형성한다.
도 6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칼라(29)의 브레이싱 풋(30)에 의해 형성된 브레이싱 표면(38)(도 2)은 볼트 헤드부(35) 아래의 전체 원주에 접촉하는 브레이싱 표면(38)을 생성하여, 그에 대응하여 체결 장치(16)의 볼트 헤드부(35)와 체결부(23) 간에 힘을 균일하게 전달한다. 또한, 환형 칼라(29)는 특히 S-만곡 형상 구멍 둘레부(32, 33)와 연동하여 변형 몸체를 형성하며, 이로써 체결 나사(22)에 추가의 부하를 가하지 않고서도 체결부(23) 또는 구멍 둘레부(32, 33)에서의 이러한 변형 몸체의 변형에 의해 응력 피크(stress peak)가 소산될 것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체결 장치(16)의 체결부(23)를 구성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비교 도면인 도 3과 도 4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 없이 프리 튜브 횡단면(39)으로부터 체결부(23)를 발생하기 위해, 튜브(14)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평탄 영역(25)을 발생하도록 압축되어, 프리 튜브 횡단면(39)의 대향하는 내벽 영역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프리 튜브 횡단면(39)의 형상이 평탄 횡단면(40)으로 변형된다. 이 평탄 횡단면(40)에 직경 D1을 갖는 초기 보어홀(borehole)을 형성하고, 직경 D1보다 큰 직경 D2를 갖는 체결 구멍(26)을 체결부(23)에 형성하며,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체결 구멍에 체결 나사(22)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그 후, 여기에서는 추가로 설명되지 않는 딥 드로잉 공정으로 직경 d2를 갖는 딥 드로잉 맨드릴(deep drawing mandrel)(42)이 초기 보어홀에 삽입되어, 보어홀을 확장시키고, 도 5에 도시된 환형 칼라(29)를 생성하며, 또한 체결 구멍(26)을 D2 직경까지 확대시킨다.
전술한 딥 드로잉 공정과 동시에, 딥 드로잉 맨드릴(42)은 도 5에 도시된 오프셋을 형성하도록 각도 α로 피봇되어, 체결부(23)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지 않은 인접한 튜브부(43, 44)에 대하여 오프셋되고, 힘 인가 평면(36)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특히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딥 드로잉 공정은 도 4에 도시된 초기 보어홀에 의해 형성된 구멍 둘레(45)가 힘 인가 평면(36)으로부터 오프셋되도록 하고, 힘 인가 평면(36)을 형성하는, 환형 칼라(29)의 높이 h에 대응하는 브레이싱 표면(38)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재위치되도록 한다. 이로써, 구멍 둘레(45)에 의해 유도된 노치 작용(notch effect)이 시프트되어 힘 인가 평면(36)에서 벗어나게 되며, 그에 따라 힘 인가 평면(36)에서의 응력에 노출되는 횡단면의 약화에 더 이상 기여할 수 없게 된다.

Claims (8)

  1. 튜브를 받침 구조물(bearing structure), 구체적으로 액체 용기를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운반 팰릿(10)에 부착된 메시 케이지(mesh cage)(11)의 수평 메시 프레임 튜브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15, 16)로서,
    상기 체결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튜브가 압박에 의해 생성되어 있는 평탄 지역(25)을 갖는 체결부(23)를 가지며, 이 평탄 지역에는 상기 체결부를 상기 받침 구조물에 연결하는 체결 볼트(22)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 구멍(26)이 제공되며, 상기 체결 구멍은, 상기 체결부가 상기 받침 구조물에 연결되는 체결 평면(37)에 대하여 α 각도로 경사진 평면인, 볼트 헤드부(35)와 상기 체결부 간의 힘 인가 평면(36)을 형성하는 형태로 된 구멍 둘레(27)를 가지며,
    상기 구멍 둘레는, 체결 축(21)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칼라(collar)(29)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힘 인가 평면에 위치된 볼트 헤드부에 대한 받침 표면(38)을 형성하는 구멍 엠브라저(hole embrasure)(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표면(38)은 상기 구멍 둘레(27) 상의 상기 환형 칼라(29)의 브레이싱 풋(bracing foot)(30)에 의해 생성된 접힘 가능한 테두리(foldable rim)(31)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가능한 테두리(31)는 인접한 구멍 둘레 영역 위에 돌출하는 테두리 상승부(34)를 갖는, 체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3)는 상기 체결 구멍(26)을 통해 연장하는 S-만곡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구멍 둘레(27)를 갖는, 체결 장치.
  5. 프리 튜브 횡단면(24)을 갖는 튜브를 그 일부분을 압박에 의해 변형하여, 체결부(23)에 튜브의 평탄 영역(25)이 생성되어 있는 상기 튜브를 받침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15, 16)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전체 원주 둘레에 연장하는 구멍 둘레(27)를 갖는 체결부(23)에 직경 D1의 초기 보어(4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초기 보어에 딥 드로잉 맨드릴(deep drawing mandrel)(42)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초기 보어를 연장하는, 직경 D2의 체결 구멍(26)을 생성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구멍 둘레(27)에 환형 칼라(29)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23)를 인접 튜브부(43, 44)에 대하여 오프셋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튜브부(43, 44)에 대한 상기 체결부(23)의 오프셋은, 상기 초기 보어(41) 내로 도입된 상기 딥 드로잉 맨드릴(42)의 피봇 움직임에 의해 생성되는, 체결 장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딥 드로잉 맨드릴(42)의 피봇 움직임은 상기 딥 드로잉 맨드릴(42)의 딥 드로잉 움직임에 겹쳐지는, 체결 장치 제조 방법.
  8.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태핑 피팅(tapping fitting)의 연결을 위한 배출 꼭지(drain spigot) 및 폐쇄 가능한 주입 포트를 갖는 내측 용기(13), 수직 및 수평 메시 프레임 튜브(14)로 구성되는 메시 케이지(11)로서 구성된 외측 싸개(outer mantle), 및 스태커 트럭(stacker truck), 보관 및 회수 기기, 또는 유사한 운반 수단을 이용하여 취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물을 갖는, 액체용 운반 및 보관 용기(12)로서, 운반 팰릿(10)이 상기 내측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팰릿 베이스(17)를 가지며, 상기 메시 케이지를 상기 운반 팰릿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팰릿에 인접한 수평 메시 프레임 튜브가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체결 장치(15, 16)를 통해 상기 운반 팰릿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및 보관 용기.
KR1020110080615A 2010-08-12 2011-08-12 튜브를 받침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 및 이러한 체결 장치를 갖는 운반 및 보관 용기 KR101324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9254.5 2010-08-12
DE102010039254A DE102010039254B4 (de) 2010-08-12 2010-08-12 Befestigungsvor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Rohres mit einer Tragstruktur sowie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mit einer solchen Befest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Befestigung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024A true KR20120016024A (ko) 2012-02-22
KR101324998B1 KR101324998B1 (ko) 2013-11-04

Family

ID=4450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615A KR101324998B1 (ko) 2010-08-12 2011-08-12 튜브를 받침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 및 이러한 체결 장치를 갖는 운반 및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567626B2 (ko)
EP (1) EP2418391B1 (ko)
JP (1) JP5400106B2 (ko)
KR (1) KR101324998B1 (ko)
CN (1) CN102442460B (ko)
AR (1) AR082611A1 (ko)
AU (1) AU2011203540B2 (ko)
BR (1) BRPI1103930B1 (ko)
CO (1) CO6620013A1 (ko)
DE (1) DE102010039254B4 (ko)
ES (1) ES2401869T3 (ko)
MX (1) MX2011008372A (ko)
MY (1) MY160592A (ko)
PL (1) PL2418391T3 (ko)
RU (1) RU2505717C2 (ko)
SA (1) SA111320635B1 (ko)
ZA (1) ZA2011053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825B1 (ko) 2012-09-21 2020-04-16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팔레트 컨테이너
CN104907832B (zh) * 2014-03-13 2017-12-29 镇江市润州金山包装厂 一种用于ibc集装桶框架的生产装置及生产方法
DE202015000995U1 (de) 2015-02-11 2015-03-02 Protechna S.A. Palettenartiges Untergestell fü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202015000994U1 (de) * 2015-02-11 2015-03-02 Protechna S.A. Palettenartiges Untergestell fü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102015012163B4 (de) * 2015-09-23 2019-07-04 Mauser-Werke Gmbh Palettencontainer
US10601360B2 (en) 2017-09-08 2020-03-24 Unirac Inc. Replacement tile mount for mounting solar panels on tile roofs
CN114580216B (zh) * 2022-05-06 2022-07-22 山西海普瑞科技有限公司 一种缠绕式超高压容器内径变形的获取方法、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6049A (en) * 1949-10-13 1951-11-20 Balcrank Inc Joint for tubular furniture frames
US3352070A (en) * 1965-06-15 1967-11-14 Rohr Corp Truss type panel structures
US4062167A (en) * 1977-06-02 1977-12-13 Simpson Manufacturing Co., Inc. Tubular strut with asymetrical end design and drawn hole
US4094116A (en) 1977-06-06 1978-06-13 Simpson Manufacturing Co., Inc. Web tube with separated end walls
US4291996A (en) * 1980-07-01 1981-09-29 Simpson Manufacturing Co., Inc. Positive nail angling device for metal connectors
US4676373A (en) * 1984-11-20 1987-06-30 Helmhold Schneider Plastic pallet container
JPS6433378A (en) * 1987-07-29 1989-02-03 Ohi Seisakusho Co Ltd Door locking device for car
US4909387A (en) * 1988-11-24 1990-03-20 Schuetz Udo Pallet container with an exchangeable inner container of a synthetic resin and an outer jacket of metal lattice bars
US4981388A (en) * 1989-04-17 1991-01-01 Green-Mountain Precision Frames, Inc. Timber joining system
DE4005633A1 (de) * 1990-02-22 1991-08-29 Schuetz Werke Gmbh Co Kg Palettenbehaelter
RU2010113C1 (ru) * 1991-03-25 1994-03-30 Николай Иванович Быкмухамед Не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ержня с тонкостенной деталью
DE4341539C2 (de) * 1993-12-06 1998-07-09 Protechna Sa Behälter für den Transport und die Lagerung von Flüssigkeiten
DE19511723C1 (de) * 1995-03-30 1996-08-29 Protechna Sa Palettenbehälter
AU4782397A (en) * 1996-10-17 1998-05-15 R. Woeste & Co. Gmbh & Co. Kg Joint and collapsible transport and storage frame provided therewith
DE19957215C2 (de) * 1999-11-27 2001-10-18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Innenbehälters des Transport- und Lagerbehälters
DE10154388A1 (de) * 2001-11-06 2003-05-15 Roth Werke Gmbh Gitterkorb für einen Behälter
DE10301517B3 (de) * 2003-01-17 2004-03-11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JP3944883B2 (ja) 2003-05-12 2007-07-18 株式会社タナカ 火打
US20080101855A1 (en) * 2006-10-31 2008-05-01 Jin-Jie Lin Nail guide with curved opening
DE102008009327A1 (de) * 2008-02-15 2009-08-27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102008045758A1 (de) * 2008-09-04 2010-03-18 Protechna S.A. Beschriftungstafel fü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und Schüttg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05717C2 (ru) 2014-01-27
DE102010039254A1 (de) 2012-02-16
JP2012042051A (ja) 2012-03-01
DE102010039254B4 (de) 2012-04-05
AR082611A1 (es) 2012-12-19
MX2011008372A (es) 2012-02-20
KR101324998B1 (ko) 2013-11-04
RU2011132105A (ru) 2013-02-10
ZA201105321B (en) 2013-03-27
JP5400106B2 (ja) 2014-01-29
EP2418391B1 (de) 2012-12-26
US8567626B2 (en) 2013-10-29
SA111320635B1 (ar) 2015-01-08
PL2418391T3 (pl) 2013-05-31
EP2418391A1 (de) 2012-02-15
BRPI1103930B1 (pt) 2021-03-09
ES2401869T3 (es) 2013-04-25
BRPI1103930A2 (pt) 2012-12-25
CN102442460B (zh) 2014-12-10
CO6620013A1 (es) 2013-02-15
US20120037528A1 (en) 2012-02-16
MY160592A (en) 2017-03-15
AU2011203540B2 (en) 2015-08-06
CN102442460A (zh) 2012-05-09
AU2011203540A1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998B1 (ko) 튜브를 받침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 및 이러한 체결 장치를 갖는 운반 및 보관 용기
KR102202424B1 (ko) 플랜지 어댑터
JP5234908B2 (ja) 床パネルの支持構造
JP2010018993A (ja) 連結金具
KR200450860Y1 (ko) 볼트 풀림방지용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78598Y1 (ko) 배관용 간격유지구
US20180127206A1 (en) Structural member connection having improved structural support
KR101661999B1 (ko) 파이프 플렌지 용접 변형 방지 장치
JPH1119012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担持具
AU2019101754A4 (en) Mounting sleeve
JP5198750B2 (ja) 吊り治具を用いた吊上げ方法
KR101977210B1 (ko)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KR20200110533A (ko) 가구용 파이프결합모듈
CN218452917U (zh) 一种边缘为斜面的货盘的夹持装置
KR20140003801U (ko) 클램프 및 클램프 지지부재
KR20180067399A (ko) 호스 클램프용 토크 컨트롤 캡
CN102758554B (zh) 一种塔筒架
JP6493892B2 (ja) 他物固定具
KR20140000404U (ko) 클램프 및 클램프 지지부재
JP6954758B2 (ja) 床パネル固定具
KR20160129151A (ko) 유압 램 지지 장치
KR101754955B1 (ko) 싱크대용 받침다리
JP6230555B2 (ja) 他物固定具
JP2022061481A (ja) フランジ補強具
KR20230101084A (ko)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