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424B1 - 플랜지 어댑터 - Google Patents

플랜지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424B1
KR102202424B1 KR1020187036918A KR20187036918A KR102202424B1 KR 102202424 B1 KR102202424 B1 KR 102202424B1 KR 1020187036918 A KR1020187036918 A KR 1020187036918A KR 20187036918 A KR20187036918 A KR 20187036918A KR 102202424 B1 KR102202424 B1 KR 102202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ayer
flange adapter
flange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679A (ko
Inventor
스코트 앤더슨
Original Assignee
에리코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코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리코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2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85Joining sheets or plates to strips or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플랜지 어댑터는 복수의 벽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벽은 오버랩핑 벽이다. 오버랩핑 벽은 적어도 두개의 다른 벽들로부터 연장된 오버랩핑 절곡된 섹션들, 또는 적어도 두개의 다른 벽들의 오버랩핑 연장부들로부터 형성된 복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랩핑 벽은 플랜지 어댑터에 지지 구조체를 고정시키도록 복수의 층들을 통해 패스너를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벽들을 포함하는 플랜지 어댑터의 메인 본체는 단일-피스의 재료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랜지 어댑터
관련된 출원들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35 U.S.C. § 119 하에서 2016 년 5 월 20 일에 제출된 U.S. 가출원 특허 No. 62/339,499 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들이 여기에서 참조로써 포함된다.
많은 적용예들에서, 플랜지 어댑터를 사용하여 브레이스, 행잉 부재, 또는 다른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빌딩 구조체 (또는 다른 지지 구조체) 에 플랜지 어댑터를 부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진 브레이스의 파트들을 지지하도록 (예를 들면, 내진 브레이스 부재에 대해 클램프 또는 브래킷을 지지하도록) 루프 빔에 플랜지 어댑터를 부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내진 브레이스들, 및 다른 대상물들을 충분히 지지하도록, 때때로 관련된 빌딩 구조체에서 현저한 부착 강도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과 조합하여 사용을 위한, 지지 구조체에 대상물을 부착하는 플랜지 어댑터를 제공한다. 플랜지 어댑터는 후방 벽, 후방 벽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제 1 측 벽, 후방 벽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제 2 측 벽, 후방 벽, 제 1 측 벽, 및 제 2 측 벽 사이로 연장되는 상단 벽을 갖는 메인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벽은 메인 본체의 후방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절곡된 섹션을 포함하는 제 1 층, 및 제 1 측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절곡된 섹션 및 제 2 측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절곡된 섹션을 포함하는 제 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은 상단 벽을 따라 제 2 층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핑될 수 있다. 애퍼츄어들의 세트는 상단 벽의 제 1 및 제 2 층들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애퍼츄어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을 수용하여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이 제 1 및 제 2 측 벽들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게 지지 구조체를 압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와 조합하여 사용을 위한, 지지 구조체에 대상물을 부착하는 플랜지 어댑터를 제공한다. 플랜지 어댑터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탬핑된 메인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본체는 지지 구조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1 벽, 플랜지 어댑터에 대상물을 고정하도록 제 2-벽 개구를 갖는 제 2 벽, 및 제 1 벽의 연장부 및 제 2 벽의 연장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3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벽의 연장부는 제 3 벽의 제 1 층을 형성하고, 제 2 벽의 연장부는 제 3 벽의 제 1 층과 오버랩핑하는 제 3 벽의 제 2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벽의 제 1 및 제 2 층들은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를 그를 통해 수용하여 플랜지 어댑터에 지지 구조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패스너를 사용하여 지지 구조체에 대상물을 부착하도록 플랜지 어댑터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단일-피스 블랭크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 애퍼츄어는 단일-피스 블랭크의 제 1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애퍼츄어는 단일-피스 블랭크의 제 2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은 단일-피스 블랭크에 형성될 수 있다. 단일-피스 블랭크는 플랜지 어댑터를 형성하도록 벤딩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및 제 2 슬롯들은 지지 구조체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정렬되고, 제 1 및 제 2 애퍼츄어들이 패스너를 동시에 수용하여 제 1 및 제 2 슬롯들 내에 지지 구조체를 고정하게 구성되도록, 단일-피스 블랭크의 제 1 부분은 단일-피스 블랭크의 제 2 부분과 오버랩핑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애퍼츄어들을 정렬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빌딩 지지부에 대상물을 커플링하기 위한 플랜지 어댑터를 제공한다. 플랜지 어댑터는 후방 벽, 제 1 측 벽, 제 2 측 벽, 및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구비한 상단 벽을 갖는 매인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 벽은 후방 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 2 측 벽은 후방 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제 1 측 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단 벽은 후방 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제 1 측 벽 및 제 2 측 벽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단 벽의 내부 층은 메인 본체의 후방 벽으로부터 연장된 제 1 절곡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벽의 외부 층은 제 1 측 벽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절곡된 섹션 및 제 2 측 벽으로부터 연장된 제 3 절곡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층의 제 1 절곡된 섹션은 외부 층의 제 2 절곡된 섹션 및 제 3 절곡된 섹션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핑될 수 있다. 후방 벽, 제 1 측 벽, 제 2 측 벽, 및 상단 벽을 포함하는 메인 본체는 단일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빌딩 지지부에 대상물을 커플링하기 위한 플랜지 어탭터를 제공한다. 플랜지 어댑터는 후방 벽, 제 1 측 벽, 제 2 측 벽, 및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구비한 상단 벽을 갖는 메인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 벽은 후방 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 2 측 벽은 후방 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제 1 측 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단 벽은 후방 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제 1 측 벽 및 제 2 측 벽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단 벽의 외부 층은 메인 본체의 후방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절곡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벽의 내부 층은 제 1 측 벽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절곡된 섹션 및 제 2 측 벽으로부터 연장된 제 3 절곡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층의 제 1 절곡된 섹션은 내부 층의 제 2 절곡된 섹션 및 제 3 절곡된 섹션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핑될 수 있다. 후방 벽, 제 1 측 벽, 제 2 측 벽, 및 상단 벽을 포함하는 메인 본체는 단일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부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에 포함된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예시하고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의 전방, 좌측, 상단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플랜지 어댑터의 후방, 좌측, 상단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플랜지 어댑터의 전방, 좌측, 상단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플랜지의 어댑터 전방, 상단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의 플랜지 어댑터와 유사한 플랜지 어댑터의 전방, 좌측, 상단 사시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플랜지 어댑터에 대한 블랭크의 상단 평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4 의 플랜지 어댑터와 유사한 플랜지 어댑터에 대한 블랭크의 상단 평면도이고;
도 8 은 W 빔에 브레이스를 커플링하는 도 1 의 플랜지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9 는 도 8 의 W 빔에 큰-직경 브레이스를 커플링하는 도 5 의 플랜지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0 은 S 빔에 도 8 의 브레이스를 커플링하는 도 1 의 플랜지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1 은 도 10 의 S 빔에 브레이스를 커플링하는 종래의 플랜지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2 는 웹 조이스트의 앵글 철에 도 8 의 브레이스를 커플링하는 도 1 의 플랜지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3 은 도 12 의 앵글 철에 도 8 의 브레이스를 커플링하는 종래의 플랜지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4 는 웹 조이스트의 앵글 철에 나사산형 로드를 커플링하는 도 1 의 플랜지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형태들이 상세하게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들에 예시되고 다음의 설명에서 전개된 부품들 세트의 배열 및 구성의 상세에의 그 적용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들로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어법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이고 제한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포함하는," "포함되는," 또는 "갖는" 및 그 변형의 사용은 이후에 기재된 아이템들 및 그 등가물들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구체화되거나 또는 제한되지 않는다면, 용어들 "장착된," "연결된," "지지된," 그리고 "커플링된" 및 그 변형은 폭넓게 사용되고 직접적 및 간접적 장착들, 연결들, 지지들, 및 커플링들 양쪽을 포함한다. 추가로, "연결된" 그리고 "커플링된" 은 물리적 또는 기계적 연결들 또는 커플링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다르게 구체화되거나 또는 제한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 및 유사한 다른 구문들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그와 같이, 이러한 구문, 및 유사한 다른 구문들은 A, B, 및/또는 C 의 단일한 또는 복수의 예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임의의 A, B, 및/또는 C 는 요소들의 카테고리, 임의의 요소들의 카테고리 (또는 카테고리들) 의 단일한 또는 복수의 예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다르게 구체화되거나 또는 제한되지 않는다면, 상대적인 배향 (예를 들면, 상부, 하부, 우측, 좌측, 상단, 바닥, 아래, 위, 등) 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논의되는 실시형태 또는 특정한 도면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그와 같이, 이들 용어들은 다르게 구체화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범위의 제한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부" 특징들을 포함하는 바와 같이 설명된 일부 실시형태들은 복수의 배향들로의 사용을 위해 구성될 수 있어서, 일부 사용들 중에 "상부" 특징들은 실제로 "하부" 특징들로서 일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전방" 및 "후방" 특징들을 갖는 실시형태들은 때때로 복수의 배향들에서 사용될 수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방" 특징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어느 정도 하나 이상의 "후방" 특징들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문단은 용어들 "내부" 및 "외부" 등에 적용되지 않는다.
다음의 논의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사용하고 그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예시된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예들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하고, 본원에서의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들 및 적용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대폭의 범위에 따라야 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요소들이 유사한 도면 부호들을 갖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행해질 것이다. 반드시 축척일 필요가 없는 도면들은 선택된 실시형태들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라. 당업자는 본원에 제공된 예들이 많은 유용한 대안예들을 갖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범위 내에서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아래의 논의에서, 다양한 예들은 브레이스들 및 행잉 부재들 (예를 들면, 나사산형 로드들) 과 사용하기 위한 플랜지 어댑터들을 설명한다. 설명된 브레이스들 및 행잉 부재들은 단지 예들로서 제공되고 개시된 플랜지 어댑터들은 다른 구성들, 다른 지지 장치들, 또는 다른 대상물들과, 일반적으로, 지지 구조체들에 브레이스들 및 행잉 부재들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 라벨 "플랜지 어댑터" 에서 용어 "플랜지"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종래의 플랜지들로서 반드시 형성될 필요가 없는 지지 구조체들에 대상물들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때로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플랜지 어댑터들은 플랜지들 또는 다른 빌딩 구조체들에 대상물들 (예를 들면, 내진 브레이스를 위한 브래킷) 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랜지 어댑터들은 다른 잠재적인 결함들 중에서도 제조하는 데 상대적으로 비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종래의 어댑터들은 캐스팅 프로세스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복수의 스탬핑들을 요구할 수 있다. 캐스팅에 의해 형성된 어댑터들은 종종 적절한 최종 형태를 달성하도록 2 차 가공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이는 제조 프로세스들에 시간 및 비용을 추가로 부가할 수 있다. 복수의-스탬핑 어댑터들은 각각의 스탬핑을 위한 별개의 다이, 복수의 프레스들, 각각의 다이 및, 잠재적으로, 복수의 최종 조립 작업들을 위한 상이한 크기의 금속 코일들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시간 및 비용, 뿐만 아니라 제조 프로세스에 대한 복잡성을 추가로 부가시킬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단일한 스탬핑들, 또는 유사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포함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단일-피스 블랭크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강의 블랭크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일한 프레스에서) 연속적인 스탬핑 작업들을 통해, 단일-피스 블랭크는 다중-벽 클램프 구조체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벽들은 오리지날 블랭크의 오버랩핑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다. 단일-피스 블랭크의 그러한 사용은 예를 들면, 또한 전체 제조 시간 및 비용들을 감소시키면서 제조 프로세스들을 현저하게 간단화시킬 수 있다. 추가로, 오버랩핑 벽, 뿐만 아니라 블랭크의 잠재적으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재료는 또한 현저한 클램핑력들을 조장하면서 현저한 일반적인 구조적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다른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플랜지 어댑터들은 플랜지 어댑터가 플랜지에 장착될 때에 플랜지와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장착 표면 (예를 들면, 지지 브래킷 또는 다른 지지형 부품의 부착을 위한 장착 표면)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플랜지 어댑터가 플랜지에 어떻게 장착되는 지에 관해 오퍼레이터가 특별한 주의를 행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착된 대상물에 대해 적절한 클램핑력 또는 클리어런스를 보장하도록, 오퍼레이터는 종래의 플랜지 어댑터가 장착되는 구조체 (예를 들면, W 빔) 의 특정한 측과 관련하여, 그리고 플랜지 어댑터의 스크류들이 맞물리는 특정한 플랜지의 측과 관련하여 매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관련된 플랜지 어댑터에 의해 맞물려지는 플랜지 (또는 다른 구조체) 에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장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유용하게 오퍼레이터가 또한 부착된 부품들 (예를 들면, 내진 브레이스 부재들) 에 대해 잠재적인 배향 또는 이동의 범위 및 엑세스의 현저하게 개선된 범위를 제공하면서 상이한 구성들로 플랜지 (또는 다른 구조체) 에 어댑터를 장착하는 것을 허용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대해, 충분한 클램핑력 및 폭넓은 범위들의 액세스 및 대상물 이동 또는 배향이 S 빔들 및 유사한 다른 구조체들의 각진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관련된 플랜지 (또는 다른 구조체) 의 각 측과 맞물리는 관련된 플랜지 어댑터의 스크류들 (또는 다른 패스너들) 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도 3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 (20) 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플랜지 어댑터 (20) 는 W 빔, S 빔 또는 웹 조이스트와 같은 빌딩 지지부의 플랜지에 브레이스 또는 행잉 부재 (예를 들면, 나사산형 로드) 와 같은 대상물을 커플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랜지 어댑터 (20) 는 W 빔, S 빔, 앵글 철, 또는 빌딩 천장의 또 다른 구조체에 내진 브레이스를 커플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내진 활성 중에, 예를 들면 빌딩 구조체에 내진 브레이스를 적절히 고정함으로써 스프링클러 또는 다른 파이핑 시스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플랜지 어댑터 (20) 는 다른 타입들의 빌딩 구조체들에 대상물을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른 세팅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메인 본체 및 관련된 빌딩 구조체에 메인 본체를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을 포함한다. 도 1-도 3 에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플랜지 어댑터 (20) 는 메인 본체 (22) 및 두개의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의 세트를 포함한다. 메인 본체 (22) 는 후방 벽 (26) 및 후방 벽 (26) 의 대향하는 단부들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대향하는 측 벽들 (28) 의 쌍을 포함한다. 메인 본체 (22) 는 또한 일반적으로 후방 벽 (26) 및 측 벽들 (28) 에 일반적으로 수직한 상단 벽 (30) 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상단 벽 (30) 은 또한 아래에 논의된 바와 같이 재료의 적어도 두개의 구별되는 층들을 포함한다 (즉, "이중 층형" 또는 "오버랩핑" 상단 벽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부착 구조체들이 제공될 수 있고, 이는 관련된 플랜지 어댑터에 브래킷들 또는 다른 부품들을 고정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도 1-도 3 에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후방 벽 (26) 의 중앙 구역은 부착 애퍼츄어 (32) (도 3 에서 도시 생략) 로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구조체를 포함한다. 부착 애퍼츄어 (32) (또는 다른 부착 구조체) 는 또한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후방 벽 (26) 에 (및 일반적으로 메인 본체 (22) 에) 브레이스, 행잉 부재, 또는 또 다른 대상물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대향하는 측 벽들 (28), 뿐만 아니라 상단 벽 (30) 은 후방 벽 (26) 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측 벽들 (28) 및 상단 벽 (30) 은 후방 벽 (26) 의 각각의 연장부들로서 형성된다. 또한 아래에 논의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체 본체 (22) (예를 들면, 측 벽들 (28), 후방 벽 (26), 및 상단 벽 (30)) 는 단일한 금속의 피스 (예를 들면, 단일한 강 플레이트) 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측 벽들 (28) 및 상단 벽 (30) 은 거의 90도의 각도로 (즉, 후방 벽 (26) 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후방 벽 (26) 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벤딩된다 (예를 들면, 스탬핑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빌딩 구조체들 (예를 들면, 구조적 플랜지들) 을 수용하여 빌딩 구조체들에 관련된 플랜지 어댑터들을 부착하는 데 지원하도록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도 3 에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각각의 대향하는 측 벽들 (28) 은 슬롯 (34) 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대향하는 측 벽들 (28) 의 쌍의 각각의 슬롯들 (34) 은 후방 벽 (26) 으로부터 공간적으로 제거된 각각의 측 벽 (28) 의 에지에서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후방 벽 (26) 으로 (예를 들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측 벽들 (28) 과 후방 벽 (26) 사이의 접합부에 대향하는 각각의 측 벽들 (28) 의 전방 표면 (36) 에서의 개구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슬롯들 (34) 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도 8, 도 10, 도 12, 및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지지부의 플랜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플랜지 어댑터 (20) 에서, 슬롯들 (34) 은 일반적으로 라운드형 내부 코너들을 갖는 세장형의, 직사각형 슬롯들로서 형성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또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도 3 에 예시된 실시형태의 상단 벽 (30) 은 후방 벽 (26) 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상단 벽 (30) 은 또한 일반적으로 각각의 대향하는 측 벽들 (28) 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다. 따라서, 후방 벽 (26), 측 벽들 (28) 및 상단 벽 (30) (즉, 이는 메인 본체 (22) 를 형성함) 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박스의 네개의 인접한 측들과 유사한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플랜지 어댑터 (20) 의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박스" 프로파일의 정점들은 플랜지 어댑터 (20) 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스탬핑 작용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라운드형이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플랜지 어댑터 (20) 의 상단 벽 (30) 은 재료의 적어도 두개의 층들을 갖는 이중 층형 또는 오버랩핑 벽으로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는 또한 상대적으로 강한 클램핑력을 조장하면서 플랜지 어댑터 (20) 에 대해 현저한 구조적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도 3 에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상단 벽 (30) 의 오버랩핑 내부 층은 제 1 절곡된 섹션 (38) 을 포함하고 상단 벽 (30) 의 오버랩핑 외부 층은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 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내부 층의 제 1 절곡된 섹션 (38) 은 후방 벽 (26) 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되어 (즉, 별도의 벽이 제 1 절곡된 섹션 (38) 과 후방 벽 (26) 사이에 포함됨이 없이 직접적으로 이어져서), 상단 벽 (30) 의 내부 층은 일반적으로 후방 벽 (26) 의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또한 아래에 논의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후방 벽 (26) 및 제 1 절곡된 섹션 (38) 은 단일한 금속의 피스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 절곡된 섹션 (38) 은 후방 벽 (26) 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되어 상단 벽 (30) 의 내부 층을 형성하도록 (예를 들면, 거의 90도의 각도로) 벤딩된다.
일반적으로, 관련된 구조체에 관련된 플랜지 어댑터를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패스너들을 수용하도록, 오버랩핑 벽의 층들에서 하나 이상의 애퍼츄어들을 포함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도 3 에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1 절곡된 섹션 (38) 은 일반적으로 두개의 애퍼츄어들 (42) (예를 들면, 도 3 및 도 6 을 참조) 을 포함하고, 이는 적절하다면,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과 같은 패스너들을 수용하도록 나사산형 또는 비-나사산형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애퍼츄어들 (42) 은 나사산형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도 1-도 3 에 예시된 것을 포함하여, 애퍼츄어들 (42) 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들 (예를 들면, 직경들) 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상이하게 크기 설정되거나, 성형되거나, 또는 위치된 애퍼츄어들을 갖는 구성, 상이한 수들의 애퍼츄어들을 갖는 구성들 등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상단 벽 (30) 의 내부 층은 일반적으로 후방 벽 (26) 의 연장부 (예를 들면, 제 1 절곡된 섹션 (38)) 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상단 벽 (30) 의 외부 층은 일반적으로 측 벽들 (28) 의 연장부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도 3 에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외부 층의 각각의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 은 각각의 하나의 대향하는 측 벽들 (28) 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들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되어, 상단 벽 (30) 의 외부 층은 일반적으로 측 벽들 (28) 의 연장부들의 세트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아래에 논의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측 벽들 (28) 및 제 2 및 제 3 절곡 섹션들 (40) 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후방 벽 (26) 및 제 1 절곡된 섹션 (38) 을 따라) 단일한 금속의 피스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제 2 및 제 3 절곡 섹션들 (40) 은 각각의 측 벽 (28) 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되어 상단 벽 (30) 의 외부 층을 형성하도록 (예를 들면, 거의 90도의 각도로) 벤딩된다.
제 1 절곡된 섹션 (38) 과 유사하게, 외부 층의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 은 각각의 애퍼츄어 (44) 를 각각 포함하고, 이는 적절하다면,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과 같은 패스너들을 수용하도록 나사산형 또는 비-나사산형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애퍼츄어들 (44) 은 나사산형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애퍼츄어들 (44) 은 플랜지 어댑터 (20) 가 (예를 들면, 도 1-도 3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완성된 형태일 때에 제 1 절곡된 섹션 (38) 의 각각의 하나의 애퍼츄어들 (42) 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애퍼츄어들 (44) 은 일반적으로 애퍼츄어들 (42) 과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애퍼츄어들 (44) 은 일반적으로 애퍼츄어들 (42) 과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애퍼츄어들 (42) 과 관련하여 상기에 유사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절곡된 섹션 (38) 을 통해 연장되는 애퍼츄어들 (42), 및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 을 통해 연장되는 애퍼츄어들 (44) 은 일반적으로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예를 들면 (또한 아래에 논의된 바와 같이) 빌딩 구조체에 플랜지 어댑터 (20) 를 부착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도 1-도 3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형태로 플랜지 어댑터 (20) 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조립 및 설치 중에 적절한 클리어런스들을 허용하도록, 애퍼츄어들 (42 및 44) 의 단지 하나의 세트들만이 나사산형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예를 들면, 애퍼츄어들 (42) 이 나사산형인 한편 애퍼츄어들 (44) 은 비-나사산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애퍼츄어들 (42) 은 비-나사산형인 한편 애퍼츄어들 (44) 이 나사산형일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도 3 에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애퍼츄어들 (44) 이 나사산형이고, 애퍼츄어들 (42) 은 나사산형이 아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의 양쪽은 각각의 바닥 지점 (48) 에 대해 테이퍼지는 각각의 바닥 단부를 각각 갖는 헥스 헤드 스크류들로서 구성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또는 다른 패스너들) 은 (예를 들면, 다른 타입들의 패스너들, 플랫형 바닥들을 갖는 나사산형 패스너들 등으로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 는 또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 (20a) 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플랜지 어댑터 (20a) 는 플랜지 어댑터 (20) (예를 들면, 도 1-도 3 을 참조) 와 유사하고, 유사한 파트들이 유사하게 넘버링되지만 "a" 가 부가된다. 그러나,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플랜지 어댑터 (20a) 의 이중 층형 상단 벽 (30a) 의 내부 및 외부 층들은 상단 벽 (30) 으로서 일반적으로 대향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플랜지 어댑터 (20a) 에서, 후방 벽 (26a) 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되는 제 1 절곡된 섹션 (38a) 은 상단 벽 (30a) 의 외부 층에 포함되는 한편, 측 벽들 (28a) 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되는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a) 은 상단 벽 (30a) 의 내부 층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플랜지 어댑터 (20a) 는 특정한 설치의 필요들에 따라 플랜지 어댑터 (20) 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바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스탬핑된 스톡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형태들에서, 플랜지 어댑터 (20a) 의 양상들은 플랜지 어댑터 (20) 와 관련하여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 는 또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플랜지 어댑터 (20b) 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플랜지 어댑터 (20b) 는 플랜지 어댑터 (20) (예를 들면, 도 1-도 3 을 참조) 와 유사하고, 유사한 파트들은 유사하게 넘버링되지만 "b" 를 첨부한다. 그러나,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빌딩 구조체에 플랜지 어댑터 (20b) 를 부착하기 위한 각각의 슬롯 (34b) 은 치형부들 (46b) 의 세트를 포함하고, 이는 빌딩 구조체와 플랜지 어댑터 (20b) 를 고정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다른 맞물림 구조체들은 유사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비-플랫형 외관들은 치형부들 (46b)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제공될 수 있고, 치형부들 (46b) 은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 (예를 들면, 형상, 수, 스페이싱, 등) 으로 구성될 수 있고, 맞물림 구조체들은 다른 곳에 플랜지 어댑터 (20b) (예를 들면, 슬롯들 (34b) 의 다른 파트들에서) 등에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개시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들은 연속적인 재료의 단일한 피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개시된 플랜지 어댑터들은 스탬핑 작업에서 형성될 수 있다. 스탬핑 작업의 예는 플랜지 어댑터 (20b) 와 관련하여 아래에 논의된다. 유사한 스탬핑 작업은 플랜지 어댑터들 (20 및 20a) 을 포함하는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플랜지 어댑터들 및 명백하게 예시되지 않은 다른 플랜지 어댑터들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추가로, 플랜지 어댑터들 (20, 20a, 및 20b)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플랜지 어댑터들) 을 형성하는 다른 작업들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조의 하나의 예시적 방법에서, 플랜지 어댑터 (20b) 의 메인 본체 (22b) 는 애퍼츄어들 (32b, 42b, 및 44b), 및 슬롯들 (34b) 을 포함하는 도 6 에서 예시된 일반적으로 대칭적인 플랫화된 형상을 갖는 블랭크로 강 플레이트 (또는 시트) 로부터 형성될 (예를 들면, 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지에서 (또는 프로세스에서 또 다른 시간에서), 하나 이상의 애퍼츄어들 (42b 및 44b) 은 나사산형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애퍼츄어들 (42b) 은 나사산형이어서 나사산형 애퍼츄어들은 완성된 어댑터 (20b) 의 상단 벽의 내부 층에 포함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또한 어댑터 (20) 와 관련하여 아래에 논의된 바와 같은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블랭크가 도 6 의 플랫화된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블랭크는 메인 본체 (22b) 의 최종 형태로 (예를 들면, 도 5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성형되도록 벤딩될 (예를 들면, 거의 벤드 라인들 (50b) 또는 다른 것들을 따라 스탬핑 작업을 통해)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랭크는 제 1 절곡된 섹션 (38b) 내에서 후방 벽 (26b) 을 형성하여,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b) 내에서 측 벽들 (28b) 을 형성하고, 절곡된 섹션들 (38b 및 40b) 이 일반적으로 절곡된 섹션 (38b) 의 외측에 대해 절곡된 섹션들 (40b) 과 이중 층형 상단 벽 (30b) (도 5 를 참조) 을 형성하게 하도록 스탬핑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메인 본체 (22b) 에서 (예를 들면, 도 1-도 3 의 패스너들 (24) 과 유사한) 나사산형 패스너들은 제 1 절곡된 섹션 (38b) 및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b) 을 함께 커플링하고 메인 본체 (22b) 에 관련된 구조체들을 고정하도록 구비된 애퍼츄어들 (42b 및 44b)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절곡된 섹션 (38b) 및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b) 이 (예를 들면, 도 1-도 3 의 패스너들 (24) 과 유사한 패스너들에 의해) 함께 커플링된다면, 플랜지 어댑터 (20b) 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형성되고 조립되는 바와 같이 고려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 준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메인 본체 (22b) 는 (예를 들면, 패스너들 (24) 의 삽입을 제외하고) 캐스팅 또는 조립없이 재료의 단일 피스로부터 완전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논의된 제조 방법은 플랜지 어댑터 (20b) (또는 다른 플랜지 어댑터들) 가 2 차 기계 가공 및 조립 작업들에 대한 필요 없이 형성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7 은 플랜지 어댑터 (20a) 와 유사한 플랜지 어댑터 (예를 들면, 도 4 를 참조) 내에 형성될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적인 블랭크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7 에 예시된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플랜지 어댑터는 플랜지 어댑터 (20) (예를 들면, 도 1-도 3 을 참조) 와 유사하고, 유사한 파트들은 유사하게 넘버링되지만 "c" 를 첨부한다.
특히, 도 7 은 치형부들 (46c) 을 갖는 슬롯들 (34b) 및 애퍼츄어들 (32c, 42c, 및 44c) 을 포함하는, 예시된 일반적으로 대칭적인 플랫화된 형상으로 강 플레이트 (또는 시트) 로부터 형성될 (예를 들면, 펀칭될) 수 있는 플랜지 어댑터의 메인 본체에 대한 블랭크를 예시한다. 이러한 스테이지에서 (또는 프로세스에서 또 다른 시간에서), 하나 이상의 애퍼츄어들 (42c 및 44c) 은 나사산형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애퍼츄어들 (44c) 은 나사산형이어서, 나사산형 애퍼츄어들은 완성된 어댑터의 상단 벽의 내부 층에 포함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또한 어댑터 (20) 와 관련하여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블랭크가 도 7 의 플랫화된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그것은 플랜지 어댑터 (20a) (도 4 를 참조) 의 것과 유사한 최종 형태 (도시 생략) 로 성형되도록 (예를 들면, 벤드 라인들 (50c) 또는 다른 것들을 따라 스탬핑 작업을 통해)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랭크는 제 1 절곡된 섹션 (38c) 내에서 후방 벽 (26c) 을 형성하여,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c) 내에서 측 벽들 (28c) 을 형성하고, 절곡된 섹션들 (38c 및 40c) 이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절곡된 섹션 (38a) 에 대해 절곡된 섹션들 (40a) 과 유사하게) 절곡된 섹션 (38c) 의 내측에서 절곡된 섹션들 (40c) 과 이중 층형 상단 벽 (도시 생략) 을 형성하게 하도록 스탬핑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메인 본체에서, 나사산형 패스너들 (도시 생략) 은 제 1 절곡된 섹션 (38c) 및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c) 을 함께 커플링하고, 메인 본체에 관련된 구조체들에 고정하도록 구비된 애퍼츄어들 (42c 및 44c)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복수의 플랜지 어댑터들은 단일한 스타팅 피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일반적으로 대칭의 또는 다른 블랭크들 (도시 생략) 은 재료를 개입함으로써 결합되는 도 6 및 도 7 에 예시된 두개 이상의 형상들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하다면, 플랜지 어댑터들은 그후 블랭크들로부터 동시에 또는 별개로 스탬핑되고 그후 사용을 위해 (예를 들면, 다르게 완전히 형성된 후에)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예들에서, 다양한 상단 벽들 (예를 들면, 상단 벽들 (30, 30a, 및 30b)) 의 상이한 층들은 나사산형 패스너들 (예를 들면, 도 1-도 4 에 예시된 패스너들 (24)) 을 사용하여 함께 커플링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이중 층형 벽의 층들은 (또는 부가적으로) 고강도 접착제, 외부 클램프, 또는 다른 적절한 커플링들에 의해서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형성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는 다양한 구조체들에 다양한 대상물들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 예들에서, 소정 플랜지 어댑터들은 구조적 빔에 내진 브레이스 또는 행잉 부재를 커플링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다른 배열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플랜지 어댑터들이 유사하게 채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들 (예를 들면, 플랜지 어댑터들 (20, 20a, 및 20b)) 은 임의의 수의 상이한 구조체들에 임의의 수의 상이한 대상물들을 고정하도록 아래에 명백하게 설명된 것 이외의 다양한 세팅들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어댑터 (20) 는 W 빔 (54) 과 같은 빌딩 구조체에 브레이스 부재 (52) 와 같은 대상물을 커플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이러한 커플링을 달성하도록, 플랜지 어댑터 (20) 는 처음에 브레이스 부재 (52) 에 커플링될 수 있고 그후 W 빔 (54) 에 커플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플랜지 어댑터 (20) 는 처음에 W 빔 (54) 에 커플링될 수 있고 그후 브레이스 부재 (52) 에 커플링될 수 있다. 각 경우에서, 커플링 브레이스 부재 (52) 에 플랜지 어댑터 (20) 를 커플링하기 위해, 패스너 (56) (예를 들면, 볼트) 는 플랜지 어댑터 (20) 에 브레이스 부재 (52) 를 위한 브레이스 장착부 (예를 들면, 브래킷 (58)) 를 커플링하도록 후방 벽 (26) 의 부착 애퍼츄어 (3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패스너 (56) 는 패스너 (56) 에서 너트 (도시 생략) 를 나사산 결합함으로써 부착 애퍼츄어 (3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패스너 (56) 는 부착 애퍼츄어 (32) 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들 (도시 생략) 과 패스너 (56) 의 맞물림을 통해 부착 애퍼츄어 (3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패스너는 다른 방식으로 부착 애퍼츄어 (3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브래킷 (58) (또는 또 다른 대상물) 은 다른 방식으로 플랜지 어댑터 (20) 에 (예를 들면, 후방 벽 (26) 에) 고정될 수 있다.
W 빔 (54) 에 플랜지 어댑터 (20) 를 커플링하도록, W 빔 (54) 의 수평의 플랜지 (60) 는 처음에 메인 본체 (22) 의 측 벽들 (28) 에서 슬롯들 (34) 내에 수용된다. 수평의 플랜지 (50) 가 슬롯들 (34) 내에 수용된다면, 플랜지 어댑터 (20) 의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은 필수적이라면,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의 바닥 지점들 (48) (도 1 을 참조) 이 수평의 플랜지 (60) 의 상부 벽과 접촉할 때까지 애퍼츄어들 (42 및 44) 를 통해 전진된다. 수평의 플랜지 (60) 에 대해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의 적절한 조임에 의해, 적절한 클램핑력은 그후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의 바닥 지점들 (48) (도 1 을 참조) 과 각각의 슬롯들 (34) 의 대향하는 표면 (62) 사이에 수평의 플랜지 (60) 를 고정하도록, 그리고, 일반적으로 W 빔 (54) 에 브레이스 부재 (52) 를 고정하도록 얻어질 수 있다.
플랜지 어댑터 (20) 가 W 빔 (54) (또는 또 다른 구조체) 에 고정될 때에, 종래의 구성들과 비교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강한 클램핑력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패스너들 (24) 가 전진되어 수평의 플랜지 (50) 와 맞물릴 때에, 그리고 클램핑력들이 패스너들 (24) 로부터 본체 (22) 내로 전달되기 시작할 때에, 제 1 절곡된 섹션 (38) (예를 들면, 도 1-도 3 을 참조) 은 메인 본체 (22) 의 측 벽들 (28) 및 후방 벽 (26) 을 통해 패스너들 (24) 로부터 관련된 힘들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도록 제 2 및 제 3 절곡된 섹션들 (40) 과 로킹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들이 상대적으로 큰 압축력으로 수평의 플랜지 (50) 에 플랜지 어댑터 (20) 를 고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그러나 애퍼츄어들 (44)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즉, 외부 애퍼츄어들) 이 아닌 애퍼츄어들 (42) 의 나사산 결합부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즉, 내부 애퍼츄어들) 가 또한 다수의 구조적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급된 배열에서, 플랜지 어댑터 (20) 가 일반적으로 부하를 받을 때에, 패스너들 (24) 은 인장으로 부하를 받고, 절곡된 섹션 (38) 은 그것이 (패스너들 (24) 들과 함께) 절곡된 섹션들 (40) 과 접촉할 때에 (예를 들면, 도 1-도 3 을 참조) 지나친 휨으로부터 방지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추가의 이점으로서, 및 또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들을 위한 부착 구조체들은 관련된 플랜지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일반적인 배향을 갖거나 또는 표면을 따라 지지형 부품들 (예를 들면, 내진 브레이스들을 위한 브래킷들) 의 부착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 벽 (26) 에서 부착 애퍼츄어 (32) 의 위치는 브래킷 (58) 이 수평의 플랜지 (60) 에 일반적으로 수직한 표면 (즉, 후방 벽 (26)) 에서 플랜지 어댑터 (20) 에 부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예를 들면 원하는 설치 각도들의 범위 또는 모션의 원하는 범위에 대해 브레이스 부재 (52) 에 적절한 클리어런스를 제공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플랜지 어댑터 (20) 의 배향에 대해 (예를 들면, 상단 벽 (30) 의 배향에 대해) 유사한 옵션들이 다른 타입들의 빌딩 구조체들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언급된 구성의 이점들의 또 다른 예가 도 9 에 예시된다. 특히, 도 9 는 W 빔 (54) 의 상부 플랜지 (66) 에 큰-직경 브레이스 부재 (52b) 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는 플랜지 어댑터 (20b) 를 예시한다. 특히, 브레이스 부재 (52b) 가 (예를 들면, 종래의 구성들에서와 같이 상단 또는 바닥 벽보다 오히려) 플랜지 어댑터 (20b) 의 후방 벽 (26b) 에 고정되기 때문에, 충분한 클리어런스가 하부 플랜지 (60) 에 제공된다. 따라서, 브래킷 (58a) 에 의해 지지되는 브레이스 부재 (52b) 는 도 9 에서 브레이스 부재 (52b) 의 위치와 일직선으로 연직의 평면을 따라 연직의 배향으로 (또는 W 빔 (54) 을 향해 심지어 다소 각진 배향으로) 또는 다른 로케이션들에 유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들에서 부착 구조체들 (예를 들면, 애퍼츄어 (32)) 의 언급된 위치는 또한 관련된 플랜지 어댑터 그자체의 설치된 배향에 대해 부가적인 유연성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설치들에서, 플랜지 어댑터 (20) 는 (예를 들면, 도 8 에 예시된 바와 같이) W 빔 (54) 으로부터 멀리 일반적으로 하향으로 향하는 상단 벽 (30) 을 갖고서 설치될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설치들에서, 플랜지 어댑터는 도 8 및 도 9 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브레이스 부재의 배향들 (및 다른 배향들) 을 여전히 허용하면서 (예를 들면, 도 10 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상향으로 향하는 상단 벽 (30) 을 갖고서 W 빔 (또는 다른 구조체) 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된 배향에 대해 유연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들은 또한 다른 타입들의 구조체들에 대상물들을 커플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 에 예시된 설치에서, 플랜지 어댑터 (20) 는 또한 S 빔 (70) 과 같은 상이한 타입들의 빌딩 구조체들에 브레이스 부재 (52) 와 같은 대상물을 커플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S 빔들의 표준 구성들과 일치하게, S 빔 (70) 의 수평의 플랜지 (72) 는 상부 각진 표면 (74) 를 포함하고, 그것은 외향으로 지향되는 테이퍼를 나타내어, 플랜지 (72) 의 외부 에지에서 수평의 플랜지 (72) 의 두께는 플랜지 (72) 의 베이스에서 플랜지 (72) 의 두께보다 작다. 수평의 플랜지 (72) 에 플랜지 어댑터 (20)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플랜지 어댑터) 를 커플링하도록, 플랜지 어댑터 (20) 는 플랜지 (72) 의 각진 표면 (74) 과 정렬되게 오버랩핑 상단 벽 (30) 이 플랜지 (72) 상에 일반적으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두개의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의 바닥 지점들 (48) (예를 들면, 도 1 을 참조) 은 슬롯들 (34) 의 대향하는 표면들 (62) 이 수평의 플랜지 (72) 의 대향하는 (플랫형) 측과 접촉하면서 수평의 플랜지 (72) 의 각진 표면 (74) 과 접촉할 수 있다. 추가로, 후방 벽 (26) 은 수평의 플랜지 (72) 의 플랫형 부분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S 빔 (70) 의 중앙 구조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조합에서, 이들 양상들 (및/또는 다른 것들) 은 어댑터 (20) 가 S 빔 (70) 으로부터 벗어나는 것, 및 부착된 대상물 (예를 들면, 브레이스 부재 (52)) 의 배향들 (또는 이동) 의 상대적으로 큰 범위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현저한 클램핑력을 허용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예를 들면, 도 11 에 예시된 종래의 배열에서, S 빔 (70) 에 유사하게 장착된 종래의 플랜지 어댑터 (76) 는 현저한 클램핑력으로서 나타낼 수 없다. 추가로, 특히 플랜지 어댑터 (76) 에의 브레이스 조립체의 부착의 위치를 고려하여, 플랜지 어댑터 (76) 는 브레이스 부재 (52) 상에서 힘들에 의해 적용된 큰 모멘트들로 인해 벗어나게 만드는 힘을 받을 수 있고, S 빔 (70) 과 조합하여, 브레이스 부재 (52) 의 가능한 배향들의 범위 또는 이동의 범위를 현저하게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들은 다른 타입들의 구조체들에 대상물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어댑터 (20)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플랜지 어댑터들) 는 웹 조이스트 (80) 에 브레이스 부재 (52) 와 같은 대상물을 커플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설치에서, 플랜지 어댑터 (20) 는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브레이스 부재 (52) 에 커플링될 수 있고, 또한 웹 조이스트 (80) 의 앵글 철의 연직의 플랜지 (82) 에 커플링될 수 있다. 플랜지 어댑터 (20) 는 측 벽들 (28) 의 슬롯들 (34) 내에 연직의 플랜지 (82) 를 삽입함으로써 (도 1-도 3 을 참조), 및 연직의 플랜지 (82) 가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의 바닥 지점들 (48) 과 슬롯들 (34) 의 대향하는 표면들 (62) 사이에 고정식으로 클램핑될 때까지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를 전진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도 3 을 참조) 연직의 플랜지 (82) 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들에 의해 제공된 설치부에서 유연성의 또 다른 양상을 예시한다. 예를 들면, 후방 벽 (26) 에서 - 즉, 슬롯들 (34) 으로부터 대향하는 그리고 그에 수직하는 벽에서 - 부착 애퍼츄어 (32) 의 로케이션으로 인해 (예를 들면, 도 1 을 참조), 브레이스 부재 (52) 는 180 도를 초과할 수 있는 범위 (84) 를 따라 임의의 수의 각도들로 (또는 각도를 통해) 피봇될 수 있다. 추가로, 유사한 이유로, 플랜지 어댑터 (20) 에 부착 동안 또는 부착 중에 (예를 들면, 180 도로) 브래킷 (58) 을 피봇함으로써, 플랜지 어댑터 (20) 에 의해 실시될 수 있는 가능한 설치 구성들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및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것들) 은 또한 브레이스 부재 (52), 브래킷 (58), 및 다른 연관된 구조체들에 액세스의 현저하게 개선된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 13 은 웹 조이스트 (80) 에의 종래의 플랜지 어댑터 (76) 의 부착을 예시한다. 도 12 에 예시된 배열과 다르게, 예를 들면, 웹 조이스트 (80) 를 따라 개구들을 통해 브레이스 부재 (52) 에 피봇하거나, 또는 폭넓은 범위의 위치들로부터 브레이스 부재 (52) (및 연관된 구조체들) 을 유용하게 액세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들은 특정한 플랜지 또는 다른 구조체에 나사산형 또는 행잉 부재들과 같은 다른 타입들의 대상물들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4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플랜지 어댑터 (20)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플랜지 어댑터들) 는 웹 조이스트 (80) 에 나사산형 로드 (86) 와 같은 나사산형 행잉 부재를 커플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랜지 어댑터 (20) 는 웹 조이스트 (80) 의 연직의 플랜지 (82) 에 커플링될 수 있고, 나사산형 로드 (86) 는 (예를 들면, 플랜지 어댑터 (20) 및 웹 조이스트 (80) 아래에 다른 부품들을 현수하도록) 부착 애퍼츄어 (32) 내에 고정된다. 상기 설명된 나사산형 패스너 (56) 와 유사하게, 나사산형 로드는 부착 애퍼츄어 (32) 내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들 (도시 생략) 과 나사산으로 맞물림함으로써, 또는 다른 방식으로 너트 (도시 생략) 와 부착 애퍼츄어 (32) (예를 들면, 도 1 을 참조)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배열들에서, 브레이스 부재, 나사산형 로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에 고정된 다른 대상물에 의해 지지되는 부하들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논의된 이중 층형 구성들은 플랜지 어댑터에 현저한 강도 및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들은,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 (예를 들면, 나사산형 패스너들 (24)) 이 커플링 오버랩핑 벽의 층들을 함께 커플링함으로써, 플랜지 어댑터의 잔여부에 대해 이중 (또는 보다 큰) 두께의 단일한 벽으로서 층들을 효과적으로 고정한다면 특히 큰 강도 및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논의된 실시형태들은 단지 예들로서만 제공되고, 다른 실시형태들도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이한 도면에서 명백하게 예시된 플랜지 어댑터들에서, 어떠한 바닥 벽도 제공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플랜지 어댑터는 바닥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플랜지 어댑터는 예를 들면, 상기 논의된 상단 벽 (30) (예를 들면, 도 1-도 3 을 참조) 또는 다른 오버랩핑 벽과 유사할 수 있는 이중 층형 바닥 (또는 다른)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이중 층형 바닥 (또는 다른) 벽은 애퍼츄어들 (42 및 44) (예를 들면, 도 1-도 3 을 참조) 과 유사한 애퍼츄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나사산형 패스너들 (또는 접착제들, 클램프들 등과 같은 다른 커플링들) 은 플랜지 어댑터에 추가로 구조적 강성을 제공하도록 바닥 벽의 두개의 층들을 함께 커플링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들은 도면에 명백하게 예시된 실시형태들과 상이한 (예를 들면, 보다 작은 또는 보다 큰) 두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지지 구조체에 브레이스, 행잉 부재, 또는 또 다른 대상물을 커플링하기 위한 플랜지 어댑터를 제공한다. 개선된 플랜지 어댑터는 종래의 플랜지 어댑터들과 비교되는 바와 같이 개선된 구조적 강성 및 설치에서 증가된 용이성 및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개선된 플랜지 어댑터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단일한 피스의 시트 금속 또는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제조됨으로써, 2 차 기계 가공 및 조립 프로세스들에 대한 요구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의 이전의 설명은 본 기술 분야의 임의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행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이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규정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새로운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폭넓은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과의 사용을 위한, 지지 구조체에 대상물을 부착하는 플랜지 어댑터로서,
    상기 플랜지 어댑터는 후방 벽, 상기 후방 벽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제 1 측 벽, 상기 후방 벽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제 2 측 벽, 상기 후방 벽, 상기 제 1 측 벽, 및 상기 제 2 측 벽 사이로 연장되는 상단 벽을 갖는 메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벽은,
    상기 메인 본체의 상기 후방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절곡된 섹션을 포함하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측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절곡된 섹션 및 상기 제 2 측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절곡된 섹션을 포함하는 제 2 층으로서, 상기 제 2 층은 상기 상단 벽을 따라 상기 제 1 층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핑되는, 상기 제 2 층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어댑터는 상기 상단 벽의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을 통해 연장되는 애퍼츄어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애퍼츄어들의 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을 수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이 상기 제 1 측 벽 및 상기 제 2 측 벽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게 상기 지지 구조체를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플랜지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벽, 상기 제 1 측 벽, 상기 제 2 측 벽, 및 상기 상단 벽을 포함하는 상기 메인 본체는 단일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부품인, 플랜지 어댑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는 스탬핑된 부품인, 플랜지 어댑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퍼츄어들의 세트는 상기 제 1 절곡된 섹션에서의 두개의 제 1-층 애퍼츄어들 및 각각의 상기 제 2 절곡된 섹션 및 상기 제 3 절곡된 섹션에서의 제 2-층 애퍼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층 애퍼츄어 및 상기 제 2-층 애퍼츄어는 각각의 상기 제 2 절곡된 섹션 및 상기 제 3 절곡된 섹션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의 각각의 하나를 수용하여 상기 제 1 측 벽 및 상기 제 2 측 벽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게 상기 지지 구조체를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플랜지 어댑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 벽 내로 연장되는 제 1 슬롯; 및
    상기 제 2 측 벽 내로 연장되는 제 2 슬롯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체에 상기 플랜지 어댑터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 1 슬롯 및 상기 제 2 슬롯은 상기 지지 구조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은 상기 제 1 슬롯 및 상기 제 2 슬롯의 내부 벽들과 맞물리게 상기 지지 구조체의 제 2 측을 압박하도록 상기 지지 구조체의 제 1 측과 맞물리는, 플랜지 어댑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롯 및 상기 제 2 슬롯은 상기 후방 벽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의 개방된 단부들로부터 각각의 폐쇄된 단부들로 연장되는, 플랜지 어댑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벽은 상기 플랜지 어댑터에 상기 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애퍼츄어를 포함하는, 플랜지 어댑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상기 상단 벽의 내부 층이고, 상기 제 2 층은 상기 상단 벽의 외부 층인, 플랜지 어댑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애퍼츄어들의 세트는 상기 제 1 층을 통한 나사산형 애퍼츄어, 및 상기 제 2 층을 통한 비-나사산형 애퍼츄어를 포함하는, 플랜지 어댑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상기 상단 벽의 외부 층이고, 상기 제 2 층은 상기 상단 벽의 내부 층인, 플랜지 어댑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애퍼츄어들의 세트는 상기 제 2 층을 통한 나사산형 애퍼츄어, 및 상기 제 1 층을 통한 비-나사산형 애퍼츄어를 포함하는, 플랜지 어댑터.
  12.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와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에 대상물을 부착하는 플랜지 어댑터로서,
    상기 플랜지 어댑터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탬핑된 메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지지 구조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1 벽;
    상기 플랜지 어댑터에 상기 대상물을 고정하도록 제 2-벽 개구를 갖는 제 2 벽; 및
    상기 제 1 벽의 연장부 및 상기 제 2 벽의 연장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3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벽의 연장부는 상기 제 3 벽의 제 1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벽의 연장부는 상기 제 3 벽의 상기 제 1 층과 오버랩핑되는 상기 제 3 벽의 제 2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벽의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를 그를 통해 수용하여 상기 플랜지 어댑터에 상기 지지 구조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플랜지 어댑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은 상기 제 3 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지지 구조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플랜지 어댑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 2 벽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플랜지 어댑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의 연장부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제 1 벽은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3 벽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상기 제 2 벽의 연장부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제 2 벽은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3 벽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플랜지 어댑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의 연장부는 상기 제 3 벽의 외부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벽의 연장부는 상기 제 3 벽의 내부 층을 형성하는, 플랜지 어댑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는 상기 제 3 벽의 상기 제 2 층에서 나사산형 애퍼츄어 및 상기 제 3 벽의 상기 제 1 층에서 비-나사산형 애퍼츄어를 통해 연장되는, 플랜지 어댑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4 벽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3 벽은 상기 제 2 벽의 연장부와 오버랩핑되는 상기 제 4 벽의 연장부에 의해 추가로 형성되는, 플랜지 어댑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벽의 연장부는 상기 제 1 벽의 연장부와 오버랩핑되지 않는, 플랜지 어댑터.
  20. 패스너를 사용하여 지지 구조체에 대상물을 부착하는 플랜지 어댑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단일-피스 블랭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일-피스 블랭크의 제 1 부분에서 제 1 애퍼츄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일-피스 블랭크의 제 2 부분에서 제 2 애퍼츄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일-피스 블랭크에서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랜지 어댑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단일-피스 블랭크를 벤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슬롯 및 상기 제 2 슬롯이 상기 지지 구조체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상기 제 1 슬롯 및 상기 제 2 슬롯을 정렬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제 1 파트가 상기 플랜지 어댑터의 후방 벽을 형성하게 하고;
    상기 제 2 부분의 제 1 파트가 상기 후방 벽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상기 플랜지 어댑터의 측벽을 형성하게 하고;
    상기 제 1 애퍼츄어 및 상기 제 2 애퍼츄어가 동시에 상기 패스너를 수용하여 상기 제 1 슬롯 및 상기 제 2 슬롯 내에서 상기 지지 구조체를 고정하게 구성되도록, 상기 단일-피스 블랭크의 상기 제 1 부분의 제 2 파트가 상기 단일-피스 블랭크의 제 2 부분의 제 2 파트와 오버랩핑되게 하고 이로써 상기 제 1 애퍼츄어 및 상기 제 2 애퍼츄어를 정렬하게 하는, 플랜지 어댑터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187036918A 2016-05-20 2017-05-17 플랜지 어댑터 KR102202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39499P 2016-05-20 2016-05-20
US62/339,499 2016-05-20
PCT/US2017/033131 WO2017201178A1 (en) 2016-05-20 2017-05-17 Flange adap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679A KR20190020679A (ko) 2019-03-04
KR102202424B1 true KR102202424B1 (ko) 2021-01-12

Family

ID=6032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918A KR102202424B1 (ko) 2016-05-20 2017-05-17 플랜지 어댑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00973B2 (ko)
EP (1) EP3458756B1 (ko)
KR (1) KR102202424B1 (ko)
CN (1) CN109477597B (ko)
AU (1) AU2017268333B2 (ko)
WO (1) WO2017201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1652B2 (en) 2011-02-25 2017-04-04 Dustin M. M. Haddock Mounting device for building surfaces having elongated mounting slot
WO2013101597A1 (en) * 2011-12-29 2013-07-04 Haddock Dustin M M Mounting device for nail strip panels
WO2018081722A1 (en) 2016-10-31 2018-05-03 Haddock Dustin M M Metal panel electrical bonding clip
USD860772S1 (en) * 2017-07-05 2019-09-24 Jiangmen Eurofix Metal And Rubber Products Co., Ltd. Retainer nut
AU2018348090B2 (en) 2017-10-09 2021-11-18 Rmh Tech Llc Rail assembly with invertible side-mount adapter for direct and indirect mounting applications
WO2019183388A1 (en) 2018-03-21 2019-09-26 Rmh Tech Llc Pv module mounting assembly with clamp/standoff arrangement
US10605382B2 (en) 2018-08-21 2020-03-31 Anvil International, Llc Fitting for concentrically loading a brace member
US10816108B2 (en) 2018-08-30 2020-10-27 Anvil International, Llc Adjustable fitting assembly
WO2020124011A1 (en) 2018-12-14 2020-06-18 Rmh Tech Llc Mounting device for nail strip panels
AU2020264348A1 (en) * 2019-11-07 2021-05-27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able tray hold-down
CN115917095A (zh) 2020-03-16 2023-04-04 Rmh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金属屋顶的安装装置
US11041310B1 (en) 2020-03-17 2021-06-22 Rmh Tech Llc Mounting device for controlling uplift of a metal roof
US20220018495A1 (en) * 2020-07-17 2022-01-2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Attachment Device For Clamping To A Structural Component
FR3118108B1 (fr) * 2020-12-17 2022-11-11 A Raymond Et Cie Agrafe de maintien de deux elements plans, assemblage comprenant une telle agrafe
US11905709B2 (en) * 2022-01-27 2024-02-20 ASC Engineered Solutions, LLC Trapeze hanger brace assembly
AU2022221474B1 (en) * 2022-08-25 2023-07-27 Ims Innovations 2022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on to slotted framing systems, retrofitable parts and fittings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4625B2 (en) 2011-05-31 2013-09-17 Cooper B-Line, Inc. Sway brace attachmen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034A (en) 1900-06-25 1900-11-06 Charles H Burwinkle Center.
US1470642A (en) * 1921-03-10 1923-10-16 Nat Company Clamp support
US3232393A (en) * 1960-11-25 1966-02-01 Attwood Dev Co Beam clamp
US3341909A (en) 1965-09-01 1967-09-19 Spring Steel Fasteners Inc Clamp
US4570885A (en) 1983-09-19 1986-02-18 Tolco, Incorporated Hanger clamp body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5897088A (en) 1995-08-01 1999-04-27 Automatic Fire Control, Incorporated Retaining strap
US5947424A (en) 1995-08-01 1999-09-07 Tolco, Incorporated Pipe support assembly with retaining strap
US6098942A (en) * 1999-07-15 2000-08-08 Tolco Incorporated Bar joist clamp with locking bar
US6464422B1 (en) 2001-04-30 2002-10-15 Automatic Fire Control, Incorporated Seismic adapter apparatus and method
US7073754B2 (en) 2002-02-28 2006-07-11 Ductmate Industries, Inc. Cable support systems
GB2388153B (en) * 2002-05-02 2006-01-11 Peter Clarence Barton Clamp
USD512376S1 (en) * 2002-12-13 2005-12-06 Senior Industries, Inc. Ground block
US7281695B2 (en) 2004-03-02 2007-10-16 Access Technologies Limited Pivotable suspension element
FR2878003B1 (fr) 2004-11-17 2007-01-19 Raymond Et Cie Soc En Commandi Dispositif d'attache pour fixer divers elements a un support
US8726607B1 (en) 2006-11-27 2014-05-20 Automatic Fire Control Incorporated Sway brace assembly and method of restraining pipe relative to a building structure
US8235340B2 (en) 2007-05-31 2012-08-07 Carnevali Jeffrey D Portable aviation clamp
US7891618B2 (en) 2007-05-31 2011-02-22 Carnevali Jeffrey D Convertible C-clamp
CN101925770A (zh) * 2008-01-21 2010-12-22 爱瑞柯国际公司 用于地震撑杆的通用结构附接
US7988464B2 (en) 2008-04-09 2011-08-02 Panduit Corp. Beam clamp
US8857771B2 (en) 2009-09-18 2014-10-14 Randy J. Streetman Conduit attachment device for use with a trapeze
US20130020447A1 (en) 2011-07-20 2013-01-24 Nibco, Inc. Beam clamp
EP2604867B1 (de) 2011-12-12 2015-07-01 HILTI Aktiengesellschaft Klemme
US8882056B2 (en) * 2012-02-16 2014-11-11 Greenfield Mfg. Co. Inc. Top beam clam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4625B2 (en) 2011-05-31 2013-09-17 Cooper B-Line, Inc. Sway brace attach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36021A1 (en) 2017-11-23
EP3458756B1 (en) 2021-07-07
CN109477597B (zh) 2019-11-05
US10100973B2 (en) 2018-10-16
AU2017268333B2 (en) 2022-07-28
KR20190020679A (ko) 2019-03-04
WO2017201178A1 (en) 2017-11-23
CN109477597A (zh) 2019-03-15
EP3458756A1 (en) 2019-03-27
EP3458756A4 (en) 2020-01-15
AU2017268333A1 (en)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424B1 (ko) 플랜지 어댑터
JP6768650B2 (ja) チャンネルフレームのための継手
US5702077A (en) Threaded bracket for hanger rod
US5947424A (en) Pipe support assembly with retaining strap
US20160327187A1 (en) Sanitary Utility Hanger System
EP3426946B1 (en) Bracket and bracket system for seismic cable sway bracing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 bracket
US20090173865A1 (en) Support bracket for electrical box
US20130126681A1 (en) Threaded brackets for hanger rod
WO2016077708A1 (en) Beam clamp for strut channel
JP5964470B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機器取付部材
US10851937B2 (en) Mounting bracket with support structure
US20130020447A1 (en) Beam clamp
JP2009102909A (ja) 埋込金物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EP2156083B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JP2019007593A (ja) 固定金具
JP7401870B2 (ja) ブレース連結金具
KR20180001748A (ko) 다단구조를 포함하는 용접지그
US20130206927A1 (en) Threaded flange plate for hanger rod
JP2017155838A (ja) 吊り支持具
JP7237573B2 (ja) 固定具及びそれを用いた目地幅調整治具
KR100886970B1 (ko) 고정클램프
US20220390040A1 (en) Flanged pipe support bracket
KR200397269Y1 (ko) 갱폼 고정용 클램프
JP2023033046A (ja) 溝形鋼用振れ止め金具
JP5425652B2 (ja) 鉄骨材の連結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