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084A -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 Google Patents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084A
KR20230101084A KR1020210190875A KR20210190875A KR20230101084A KR 20230101084 A KR20230101084 A KR 20230101084A KR 1020210190875 A KR1020210190875 A KR 1020210190875A KR 20210190875 A KR20210190875 A KR 20210190875A KR 20230101084 A KR20230101084 A KR 20230101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bolt
flange
pipe
alignment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272B1 (ko
Inventor
송훈
오경석
조정현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27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9087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0272B1/ko
Publication of KR20230101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의 플랜지를 맞대어 볼트를 체결시, 마주하는 플랜지의 볼트 구멍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고, 연결되는 플랜지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Flange arrangement jig for pipe connection}
본 발명은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플랜지를 맞대어 볼트를 체결시, 마주하는 플랜지의 볼트 구멍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고, 연결되는 플랜지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등의 산업현장에는 대, 중, 소 구경의 배관들이 널리 사용된다.
배관은 설비에 필요한 물, 공기, 가스 및 기타 특수 물질의 보호 기능을 비롯하여 유체의 유동 유로 등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배관은 통상 플랜지를 매개로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배관들은 누수 또는 파손이 발생 될 경우, 수리를 위해 플랜지에 결합 된 볼트와 너트를 임시로 해체한 상태에서 이상이 발생된 배관을 교체 또는 수리를 실시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수리를 모두 마친 배관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플랜지들을 정렬시켜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연결용 플랜지 정렬지그는 두 배관의 정렬이 다소 정확하게 이뤄지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며 작업 시간이 다소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122호 (2008.06.25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배관의 플랜지를 맞대어 볼트를 체결시, 마주하는 플랜지의 볼트 구멍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고, 연결되는 플랜지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제2배관플렌지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볼트체결홀과 제2볼트체결홀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배관플렌지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배관플렌지의 볼트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볼트체결홀에 체결되어 제1배관플렌지와 제2배관플렌지의 축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2배관플렌지를 가압하는 잭볼트; 및 상기 제2볼트체결홀에 체결되어 제1배관플렌지와 제2배관플렌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배관플렌지와 제2배관플렌지 사이에 끼워지는 간격유지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구에 끼워지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제2배관플렌지의 볼트홀에 삽입되는 지지축부 및 상기 지지축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축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축경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1배관플렌지의 볼트홀에 삽입되는 편심축부를 포함하는 편심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편심볼트는, 상기 헤드부와 지지축부 사이에 형성되어 제2배관플렌지의 측면에 지지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편심볼트의 지지축부가 끼워지는 상측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편심볼트의 편심축부가 끼워지는 하측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간격유지볼트는, 상기 제2볼트체결홀에 체결되는 나선축부재; 및 상기 나선축부재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며, 제1배관플렌지와 제2배관플렌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배관플렌지와 제2배관플렌지 사이에 끼워지는 쇄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나선축부재는, 하측 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쇄기부재는, 상기 걸림부가 측방향으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수용홈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간격유지볼트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는 고정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쇄기부재는, 제1배관플렌지와 제2배관플렌지에 접하는 양측면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배관의 플랜지를 맞대어 볼트를 체결시, 마주하는 플랜지의 볼트 구멍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고, 연결되는 플랜지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의 간격유지볼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의 간격유지볼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는 배관의 플랜지를 맞대어 볼트를 체결시, 마주하는 플랜지의 볼트 구멍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고, 연결되는 플랜지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1, 제2배관플렌지(12, 22)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볼트체결홀(112)과 제2볼트체결홀(114)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배관플렌지(12)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배관플렌지(12)의 볼트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걸이부(150)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하는 몸체(100); 제1볼트체결홀(112)에 체결되어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2배관플렌지(22)를 가압하는 잭볼트(200); 및 제2볼트체결홀(114)에 체결되어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 사이에 끼워지는 간격유지볼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몸체(100)는 메인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대략 평판 형상으로 제1, 제2배관플렌지(12, 22)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볼트체결홀(112)과 제2볼트체결홀(114)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된다.
지지프레임(120)은 대략 평판 형상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배관플렌지(12)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배관플렌지(12)의 볼트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걸이부(150)가 형성된다.
이때, 제1볼트체결홀(112)과 제2볼트체결홀(114)은 메인프레임(110)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걸이부(150)는 지지프레임(120)의 제1배관플렌지(12)와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다.
잭볼트(200)는 제1볼트체결홀(112)에 체결되어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2배관플렌지(22)를 가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는 잭볼트(200)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배관플렌지(22)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하게 되고,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는 잭볼트(200)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배관플렌지(12)의 축 중심을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간격유지볼트(300)는 제2볼트체결홀(114)에 체결되어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제2볼트체결홀(114)에 체결되는 나선축부재(310); 및 나선축부재(31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며,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 사이에 끼워지는 쇄기부재(410);를 포함한다.
나선축부재(310)는 제2볼트체결홀(114)에 체결되는 것으로, 걸림홈(418)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끼움부(312)가 하측 단부에 형성되고, 수용홈(412)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걸림부(314)가 끼움부(312)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다.
쇄기부재(410)는 나선축부재(31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부(314)가 측방향으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수용홈(412)이 형성된다.
이때, 나선축부재(310)의 걸림부(314)는 수용홈(412)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게 된다.
쇄기부재(410)는 나선축부재(310)가 일방향 회전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즉, 쇄기부재(410)는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나선축부재(310)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 회전시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조절된 간격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쇄기부재(410)는,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에 접하는 양측면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간격유지볼트(300)는, 걸림부(314)가 수용홈(4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홈(412)에 설치되는 고정블록(420);을 더 포함한다.
고정블록(420)은 걸림부(314)가 수용홈(4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홈(412)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볼트(430)가 체결되는 제3볼트체결홀(422)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블록(420)은 상측으로 단턱지게 지지턱(424)이 형성되며, 수용홈은 하측으로 단턱지게 걸림턱(41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3볼트체결홀(422)에 고정볼트(430)를 체결시키게 되면, 지지턱(424)이 걸림턱(414)에 지지되어 고정블록(420)을 쇄기부재(4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공구에 끼워지는 헤드부(510)와, 헤드부(510)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제2배관플렌지(22)의 볼트홀에 삽입되는 지지축부(32)와, 지지축부(32)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되, 지지축부(3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축경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1배관플렌지(22)의 볼트홀에 삽입되는 편심축부(540) 및 헤드부(510)와 지지축부(530) 사이에 형성되어 제2배관플렌지(22)의 측면에 지지되는 스토퍼부(520)를 포함하는 편심볼트(5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100)는,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편심볼트(500)의 지지축부(530)가 끼워지는 상측고리부(122)가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20)의 일측에 편심볼트(500)의 편심축부(540)가 끼워지는 하측고리부(12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편심볼트(500)를 상측고리부(122)와 하측고리부(124)에 끼워 몸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150)을 제1배관플렌지(12)의 볼트홀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잭볼트(200)를 일방향 회전시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2배관플렌지(22)를 가압한다.
그리고,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볼트홀에 볼트를 끼워넣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이 일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 경우, 본 발명의 작동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150)을 제1배관플렌지(12)의 볼트홀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간격유지볼트(300)를 일방향 회전시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쇄기부재(410)를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 사이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잭볼트(200)를 일방향 회전시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2배관플렌지(22)를 가압한다.
그리고,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볼트홀에 볼트를 끼워넣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편심볼트(500)의 작동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플렌지(12)가 제2배관플렌지(22)의 하측에 배치된 경우, 편심축부(540)의 축 중심이 지지축부(530)의 축 중심보다 아래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배관플렌지(12)의 볼트홀에 편심축부(540)가 배치되고, 제2배관플렌지(22)의 볼트홀에 지지축부(530)가 배치되도록 끼워넣는다.
그리고, 편심볼트(500)를 일방향 회전시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볼트홀에 볼트를 끼워넣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제1배관플렌지(12)가 제2배관플렌지(22)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 편심축부(540)의 축 중심이 지지축부(530)의 축 중심보다 아래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배관플렌지(22)의 볼트홀에 편심축부(540)가 배치되고, 제1배관플렌지(12)의 볼트홀에 지지축부(530)가 배치되도록 끼워넣는다.
그리고, 편심볼트(500)를 일방향 회전시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볼트홀에 볼트를 끼워넣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관의 플랜지를 맞대어 볼트를 체결시, 잭볼트(200)및 편심볼트(500)를 통해 마주하는 플랜지의 볼트 구멍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고, 간격유지볼트(300)를 통해 연결되는 플랜지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1배관 20 : 제2배관
100 : 몸체 110 : 메인프레임
112 : 제1볼트체결홀 114 : 제2볼트체결홀
120 : 지지프레임 122 : 상측고리부
124 : 하측고리부 150 : 걸이부
200 : 잭볼트 300 : 간격유지볼트
310 : 나선축부재 312 : 끼움부
314 : 걸림부 410 : 쇄기부재
412 : 수용홈 414 : 걸림턱
416 : 경사면 418 : 걸림홈
420 : 고정블록 422 : 제3볼트체결홀
430 : 고정볼트 500 : 편심볼트
510 : 헤드부 520 : 스토퍼부
530 : 지지축부 540 : 편심축부

Claims (8)

  1. 제1, 제2배관플렌지(12, 22)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볼트체결홀(112)과 제2볼트체결홀(114)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배관플렌지(12)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배관플렌지(12)의 볼트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걸이부(150)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하는 몸체(100);
    상기 제1볼트체결홀(112)에 체결되어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축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2배관플렌지(22)를 가압하는 잭볼트(200); 및
    상기 제2볼트체결홀(114)에 체결되어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 사이에 끼워지는 간격유지볼트(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구에 끼워지는 헤드부(510)와, 상기 헤드부(510)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제2배관플렌지(22)의 볼트홀에 삽입되는 지지축부(32) 및 상기 지지축부(32)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축부(3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축경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1배관플렌지(22)의 볼트홀에 삽입되는 편심축부(540)를 포함하는 편심볼트(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볼트(500)는,
    상기 헤드부(510)와 지지축부(530) 사이에 형성되어 제2배관플렌지(22)의 측면에 지지되는 스토퍼부(5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상기 편심볼트(500)의 지지축부(530)가 끼워지는 상측고리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일측에 상기 편심볼트(500)의 편심축부(540)가 끼워지는 하측고리부(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볼트(300)는,
    상기 제2볼트체결홀(114)에 체결되는 나선축부재(310); 및
    상기 나선축부재(31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며,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 사이에 끼워지는 쇄기부재(4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부재(310)는,
    하측 단부에 걸림부(314)가 형성되고,
    상기 쇄기부재(410)는,
    상기 걸림부(314)가 측방향으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수용홈(41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314)가 상기 수용홈(412)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볼트(300)는,
    상기 걸림부(314)가 상기 수용홈(4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홈(412)에 설치되는 고정블록(4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쇄기부재(410)는,
    제1배관플렌지(12)와 제2배관플렌지(22)에 접하는 양측면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KR1020210190875A 2021-12-29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KR10267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875A KR102670272B1 (ko) 2021-12-29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875A KR102670272B1 (ko) 2021-12-29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084A true KR20230101084A (ko) 2023-07-06
KR102670272B1 KR102670272B1 (ko) 2024-05-28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122U (ko) 2006-12-21 2008-06-2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연결용 플랜지 정렬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122U (ko) 2006-12-21 2008-06-2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연결용 플랜지 정렬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3567B1 (en) Pipe clamp assembly with tightening element bushing
US8408606B2 (en) Pipe clamp assembly with tightening element keeper
KR100756870B1 (ko) 밸브조립장치
WO2008088646A3 (en) Orifice plate alignment device
KR101802286B1 (ko)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용 진공배관 지지장치
KR20100109022A (ko) 배관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DK1771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OVALITY IN WIND TURBINE TOWERS
KR101763077B1 (ko) 비계용 가설발판 고정장치
KR100710835B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핑 장치
US20080315580A1 (en) Coupling with crossable means for couplings to connect endportions of pipes and valves
JP2022171879A (ja) 弁ケース分割部の固定治具の取付方法
US9845908B2 (en) Lightweight quick connector system
KR20230101084A (ko)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KR102670272B1 (ko) 배관 플랜지용 정렬지그
KR200478598Y1 (ko) 배관용 간격유지구
JP2018168869A (ja) 配管支持装置
KR20080002122U (ko) 배관연결용 플랜지 정렬지그
KR101340231B1 (ko) 파이프 연결 지그
JP4804738B2 (ja) 水道用等のメータユニット
CN204487442U (zh) 一种带法兰盘大管径铁管安装的辅助扳手
JP5674335B2 (ja) 支持手段
US20160138740A1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KR101868690B1 (ko) 용접용 지그
CN200986513Y (zh) 汽轮机喷嘴强度试验装置
CN203797162U (zh) 一种小间隙可调节管道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