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151A - 유압 램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램 지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9151A KR20160129151A KR1020150060529A KR20150060529A KR20160129151A KR 20160129151 A KR20160129151 A KR 20160129151A KR 1020150060529 A KR1020150060529 A KR 1020150060529A KR 20150060529 A KR20150060529 A KR 20150060529A KR 20160129151 A KR20160129151 A KR 201601291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aulic ram
- fixing
- plate
- body portion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63B9/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 B63B9/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유압 램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램 지지 장치는, 측면에 유압 램의 파지가 가능한 유압 램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플랜지 중 임의의 지점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압 램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혹은 해양 플랜트와 같은 해양 구조물의 건조는 다수의 선체 블록들을 독립적으로 제작한 다음 이들 블록들을 도크에서 서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각 블록을 제작하고 이들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용접이 수행되며, 이는 전체 해양 구조물의 건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수백 개의 선체 블록들이 필요하며, 선체 블록 내부에는 용접 셀이 수백 개 정도 존재한다. 즉, 1척의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 상당한 수의 교차 지점에서의 용접이 요구된다.
도 1은 선박 내벽에 설치되는 블록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선박에서 블록 조립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블록 조립체는 다수 개의 티바(T-bar)(30)가 일정 간격으로 용접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다수 개의 지지 브라켓(40)이 용접된 수직 지지대(20)가 서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 때 티바(30)는 플랜지(32)의 중심부를 따라 웹(34)이 직각 방향으로 부착되어 형성된다. 티바(30)는 블록 조립체에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로서 이용된다.
티바(30)를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 결합하고, 지지 브라켓(40)을 수직 지지대(20)에 용접 결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수직 지지대(20)를 서로 수직으로 용접 결합한다. 티바(30)의 웹(34)과 지지 브라켓(40)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한 후, 티바(30)와 지지 브라켓(40)을 서로 수직으로 용접 결합한다.
이러한 용접 과정에서 티바(30)의 상부에서 지지 브라켓(40)과 수직 지지대(20)가 결합되는 부분은 용접으로 인해 수직 지지대(20)에 휘어짐이 발생하여, 수직 지지대(20)의 뒷면에서 부재 직선도를 맞추기 위한 추가 작업(유압 램 작업)이 요구된다.
도 2 및 도 3에는 부재 직선도를 맞추기 위한 종래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부재 직선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유압 램(50)을 이용하여 휘어진 부분(용접부분 뒷면)을 가압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티바(30)의 플랜지(32) 상면에 지지 피스(60)를 부착하거나(도 2 참조) G-클램프(70)로 체결하여(도 3 참조) 유압 램(50)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지지 피스(60) 부착 방식은 양면 가용접 이후 유압 램 작업을 실시하고, 지지 피스(60)를 철거하고 그라인더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G-클램프(70)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유압 램(50)이 완전 지지되지 않은 불안정한 상태에서 유압 램 작업이 진행되어, 유압 램(50)이 작업 중에 주변으로 이탈할 위험이 놓은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유압 램 작업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1-0002857호에는 유압 램 작업의 대상이 되는 회동체의 끼움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부품지지셔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스 부착 없이 바로 유압 램 작업이 가능하고 쉽고 간편하게 부재 직선도 맞춤이 가능한 유압 램 지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압 램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고정 볼트의 규격을 키우고 나사산 간격을 최소화하여 조인트 힘을 배가시킴으로써 유압 램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지지 장치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한 유압 램 지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측면에 유압 램의 파지가 가능한 유압 램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플랜지 중 임의의 지점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유압 램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유압 램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와; 상기 벽체의 상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설치된 이탈방지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 덮개는 상방으로 볼록한 판재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 덮개는 상기 유압 램의 후미 형상에 상응하여 벤딩 정도 혹은 절곡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유압 램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되며, 상기 유압 램 파지부 사이에는 지지대가 상기 벽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와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후미에서 종방향으로 하향 돌출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서 상기 밀착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고정 클램프와;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고정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판은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볼트는 직경이 상기 고정판의 대각선의 1/2 이상이고, 상부에 좁은 간격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 부착 없이 바로 유압 램 작업이 가능하고 쉽고 간편하게 부재 직선도 맞춤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압 램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고정 볼트의 규격을 키우고 나사산 간격을 최소화하여 조인트 힘을 배가시킴으로써 유압 램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지지 장치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박 내벽에 설치되는 블록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부재 직선도를 맞추기 위한 종래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램 지지 장치의 입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압 램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블록 조립체에서 유압 램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부재 직선도를 맞추기 위한 종래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램 지지 장치의 입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압 램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블록 조립체에서 유압 램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램 지지 장치의 입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압 램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블록 조립체에서 유압 램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는 수직 지지대(20), 플랜지(32), 유압 램(50), 유압 램 지지 장치(100), 몸체부(110), 고정부(120), 고정 클램프(122), 고정홀(124), 개구부(126), 고정 볼트(130), 손잡이(132), 유압 램 파지부(140a, 140b, 이하 '140'으로 통칭함), 벽체(142a, 142b, 이하 '142'로 통칭함), 이탈방지 덮개(144a, 144b, 이하 '144'로 통칭함), 지지대(150), 보강부재(16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램 지지 장치(100)는 선박, 해양 플랜트와 같은 해양 구조물의 건조 시 이용되는 블록 조립체에서 용접에 의해 발생된 수직 지지대의 휘어짐을 없애기 위해 부재 직선도를 맞추는 유압 램 작업 시에 유압 램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주변으로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위험성을 낮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압 램 지지 장치(100)는 티바의 플랜지(32)에 고정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티바 이외에 앵글(angle)과 같이 상부에 클램핑이 가능한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곳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램 지지 장치(100)는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 골격으로 한다.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의 하측에 마련되며, 고정 클램프(122)와 고정 볼트(130)를 포함한다.
고정 클램프(122)는 플랜지(32)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플랜지(32)와 밀착되는 밀착판과, 밀착판의 후미에서 종방향으로 하향 돌출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하단에서 밀착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밀착판은 몸체부(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밀착판, 지지판 및 고정판 구조는 'ㄷ'자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게 되며, 밀착판과 고정판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개구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구부(126)를 통해 플랜지(32) 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정판에는 고정홀(124)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 볼트(13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볼트(130)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밀착판을 플랜지(32)에 밀착시켜 고정 클램프(122)가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부(120)에 의한 고정 지점은 유압 램(50)의 길이에 상응하여 결정되며, 유압 램 작업 대상이 되는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유압 램(50)의 길이에 상응하여 이격된 지점일 수 있다.
고정 볼트(130)는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고정 볼트(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13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볼트(130)는 일반적인 클램핑용 고정 볼트에 비해 그 직경을 크게 하고, 나사산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조인트 힘, 즉 고정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볼트(130)의 직경은 고정판의 대각선의 1/2 이상일 수 있다.
몸체부(110)의 측면에는 유압 램 파지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유압 램 파지부(140)는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142) 및 벽체(142)의 상부에서 외측(좌우측)으로 설치된 이탈방지 덮개(144)를 포함한다.
이탈방지 덮개(144)는 상방으로 볼록한 판재 구조물로, 유압 램(50)의 형상에 상응하여 그 벤딩(bending)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유압 램(50)의 형상이 원통이 아닌 다각 기둥 형상인 경우 이탈방지 덮개(144)는 다각 기둥 형상에 상응하여 절곡된 판재 구조물일 수도 있다.
유압 램(50)의 후미는 벽체(142)와 만나고, 후미 상측은 이탈방지 덮개(144)에 의해 덮여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유압 램(50)이 안전하게 파지될 수 있게 된다.
유압 램(50)에 유압이 공급되어 수직 지지대(20)의 휘어진 부분(용접부분 뒷면)을 향해 압력을 가할 때, 그 반작용으로 후미 측으로 가해지는 반발력에 대해서는 벽체(142)가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유압 램(50)의 후미 형상에 상응하여 벤딩된 이탈방지 덮개(144)가 유압 램(50)을 견고하게 잡아주어, 유압 램(50)이 힘이 가해지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유압 램 작업 시 유압 램(50)의 불의의 이탈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유압 램 파지부(140)는 몸체부(1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선체 블록에서 유압 램 작업을 필요로 하는 위치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고정 지점을 정하고 좌측 혹은 우측 어디든지 유압 램(50)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유압 램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양측에 마련된 유압 램 파지부(140a, 140b) 사이에는 지지대(150)가 두 벽체(142a, 142b)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어, 유압 램 작업 시 유압 램(50)에 의해 가해지는 반발력에 대응하도록 한다.
지지대(150)의 외측 방향, 특히 고정부(120)의 개구부(126)와는 반대 방향으로는 몸체부(110)의 후미에 부착되는 보강부재(160)가 마련되어 있어, 고정부(120)의 고정력을 강화시키고, 유압 램(50)의 반발력에 의한 몸체부(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바닥 플레이트
20: 수직 지지대
30: 티바 32: 플랜지
34: 웹 40: 지지 브라켓
50: 유압 램 100: 유압 램 지지 장치
110: 몸체부 120: 고정부
122: 고정 클램프 124: 고정홀
126: 개구부 130: 고정 볼트
132: 손잡이 140a, 140b: 유압 램 파지부
142a, 142b: 벽체 144a, 144b: 이탈방지 덮개
150: 지지대 160; 보강부재
30: 티바 32: 플랜지
34: 웹 40: 지지 브라켓
50: 유압 램 100: 유압 램 지지 장치
110: 몸체부 120: 고정부
122: 고정 클램프 124: 고정홀
126: 개구부 130: 고정 볼트
132: 손잡이 140a, 140b: 유압 램 파지부
142a, 142b: 벽체 144a, 144b: 이탈방지 덮개
150: 지지대 160; 보강부재
Claims (5)
- 측면에 유압 램의 파지가 가능한 유압 램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플랜지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유압 램 지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램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와;
상기 벽체의 상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설치된 이탈방지 덮개를 포함하는 유압 램 지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덮개는 상방으로 볼록한 판재 구조물인 유압 램 지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램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되며,
상기 유압 램 파지부 사이에는 지지대가 상기 벽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압 램 지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와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후미에서 종방향으로 하향 돌출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서 상기 밀착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고정 클램프와;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고정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판은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유압 램 지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0529A KR20160129151A (ko) | 2015-04-29 | 2015-04-29 | 유압 램 지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0529A KR20160129151A (ko) | 2015-04-29 | 2015-04-29 | 유압 램 지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9151A true KR20160129151A (ko) | 2016-11-09 |
Family
ID=5752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0529A KR20160129151A (ko) | 2015-04-29 | 2015-04-29 | 유압 램 지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915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5102A (ko) | 2021-11-04 | 2023-05-1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잠수함 플랫폼 이동용 그리퍼 잭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02857A1 (en) | 2003-08-04 | 2011-01-06 | Foamix Ltd. | Oleaginous pharmaceutical and cosmetic foam |
-
2015
- 2015-04-29 KR KR1020150060529A patent/KR201601291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02857A1 (en) | 2003-08-04 | 2011-01-06 | Foamix Ltd. | Oleaginous pharmaceutical and cosmetic foa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5102A (ko) | 2021-11-04 | 2023-05-1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잠수함 플랫폼 이동용 그리퍼 잭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O125545B (ko) | ||
JP2010095856A (ja) | 親綱支柱 | |
KR20160129151A (ko) | 유압 램 지지 장치 | |
JP2007138413A (ja) | 振止め具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 |
KR20150094247A (ko) |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 |
US3945740A (en) | Means for detachably secur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to a horizontal member to support same | |
JP4274991B2 (ja) | 吊り治具 | |
JP2024021163A (ja) | 親綱支柱 | |
KR20130035441A (ko) | 체인 핀 보정 지그 | |
JP6381299B2 (ja) | パネル設備の固定具 | |
JP4804274B2 (ja) | 壁パネル取付装置 | |
JP6908821B2 (ja) | スタンションポールの取付装置及び当該取付装置の設置構造 | |
KR101419439B1 (ko) | 스탠션 바 | |
KR20120005745U (ko) | 가설물 고정 클램프 | |
JP2005220930A (ja) | クランプ | |
KR101767417B1 (ko) | 가설용 발끝막이판 고정구 | |
KR200246690Y1 (ko) |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 |
JP2018123474A (ja) | 仮設足場用支持部材 | |
JP3232692U (ja) | 支柱支持具 | |
JP6347483B2 (ja) | 床板の固定具 | |
JP6383684B2 (ja) | 建造物 | |
JP7098807B1 (ja) | 足場用ジャッキ固定具 | |
JP2017039191A (ja) | 共廻り防止治具 | |
KR101357004B1 (ko) |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 |
JP7216417B2 (ja) | 単管クラン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