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004B1 -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7004B1 KR101357004B1 KR1020110135639A KR20110135639A KR101357004B1 KR 101357004 B1 KR101357004 B1 KR 101357004B1 KR 1020110135639 A KR1020110135639 A KR 1020110135639A KR 20110135639 A KR20110135639 A KR 20110135639A KR 101357004 B1 KR101357004 B1 KR 1013570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r
- bolt
- vertical frame
- temporary structure
- elev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부에 일측방으로 돌출되어 피고정물(1)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턱(11)이 구비된 수직프레임(10);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단에서 상기 지지턱(11)과 동일한 일측방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링체 또는 단관으로 이루어진 가이더(20); 가설구조물(2)을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체결수단(30); 외주면에 숫나사부(51)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더(20)를 관통하면서 승강되어 상기 피고정물(1)의 상면을 가압 고정시키는 승강볼트(50); 상기 수직프레임(10) 또는 가이더(20)에 구비되며 일측에 힌지부(26)가 형성된 지지돌부(25); 일단이 상기 지지돌부(25)의 힌지부(26)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바(40); 및 일면에 상기 승강볼트(50)의 숫나사부(51)의 일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61)가 형성되며, 타면이 상기 회동바(40)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동바(4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승강볼트(50)를 가이더(20)의 내주면에 가압 고정하는 가압너트(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가설구조물에 매우 견고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 등을 시공할 때 옹벽 전방에 비계를 설치하게 되는데, 옹벽을 구성하는 각 블록을 쌓을 때마다 일부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철사를 매설하여 비계용 수직파이프를 상기 철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비계용 수직파이프를 작업자가 철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때, 철사를 수직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여러 번 감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수직파이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수직파이프가 옹벽과 거의 근접되도록 설치하는데, 옹벽의 블록과 수직파이프 사이의 간격이 상당히 좁기 때문에 철사로 수직파이프를 감싸는 작업은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수직파이프에 상하로 복수개의 철사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만 수직파이프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작업이 더욱 번거롭다. 이에 따라, 블록이 상측으로 어느 정도 적재가 되어야만 수직파이프가 고정되므로, 그 이전까지는 비계를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가설구조물에 비계 등의 구조물을 보다 견고하면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단부에 일측방으로 돌출되어 피고정물(1)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턱(11)이 구비된 수직프레임(10);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단에서 상기 지지턱(11)과 동일한 일측방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링체 또는 단관으로 이루어진 가이더(20);
가설구조물(2)을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체결수단(30);
외주면에 숫나사부(51)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더(20)를 관통하면서 승강되어 상기 피고정물(1)의 상면을 가압 고정시키는 승강볼트(50);
상기 수직프레임(10) 또는 가이더(20)에 구비되며 일측에 힌지부(26)가 형성된 지지돌부(25);
일단이 상기 지지돌부(25)의 힌지부(26)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바(40); 및
일면에 상기 승강볼트(50)의 숫나사부(51)의 일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61)가 형성되며, 타면이 상기 회동바(40)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동바(4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승강볼트(50)를 가이더(20)의 내주면에 가압 고정하는 가압너트(6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더(20)가 단관 형상인 경우에는 승강볼트(5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측면에 절개부(21)가 형성되며, 가이더(20)가 링체인 경우에는 한 쌍의 링체가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어 승강볼트(5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가압너트(60)가 절개부(21) 또는 링체간의 사이를 통해 승강볼트(50)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돌부(25)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바(40)와 링크(72)로 결합되어, 회동바(40)를 회동시켜 위치 고정시키는 조작레버(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21)에는 상기 가압너트(60)가 걸려지는 걸림턱(2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너트(60)가 가이더(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볼트(50)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더(20)의 상단면에 걸려지거나 또는 가이더(20)의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형성된 내향돌출턱의 상단면에 걸려지는 확경판(5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고정물(1)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턱(11)이 하단에 구비되고 가설구조물(2)의 일부가 고정되는 체결수단(30)가 구비된 수직프레임(10)의 상단에 승강볼트(50)가 승강가이드되는 가이더(20)를 구비하고, 회동바(40)의 선단에 구비되어 회동바(40)의 회동에 따라 승강볼트(50)를 가이더(20)의 내주면에 가압하면서 나사결합되는 가압너트(60)를 구비한 브래킷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철사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가설구조물(2)을 피고정물(1)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설치시간이 단축되어 추후작업까지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승강볼트(50)를 가이더(20)를 따라 슬라이드시킬 수 있으므로 큰 폭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어서, 피고정물(1)의 상하 또는 좌우길이에 따라 보다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을 피고정물(1)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승강볼트(50)를 가압너트(60)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시킴에 따라 브래킷이 피고정물(1)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처음부터 완전히 결합시킴에 따라 잘못 고정시킨 것을 바로잡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에 비해 곧바로 올바른 위치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40)를 회동시켜 위치 고정시켜주는 조작레버(7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회동바(40)를 보다 간편하게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나 부품의 추가없이 조작레버(70)의 회동에 의해 곧바로 회동바(40)가 위치 고정됨에 따라 가압너트(60)가 승강볼트(50)를 가압하게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가이더(20)에 가압너트(60)가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걸림턱(22)을 형성하여, 가압너트(60)가 이탈되어 외부와의 충돌에 의해 가압면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승강볼트(50)의 상단에 가이더(20)의 상단면에 걸리거나 또는 상부링체(23)에 걸려지는 확경판(53)을 형성하여, 승강볼트(50)가 가이더(2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보다 원활하게 승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인 브래킷을 옹벽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은 하단에 일측방으로 지지턱(11)이 돌출되고 상측에 타측방으로 체결수단(30)이 돌출 설치된 수직프레임(10)과, 이 수직프레임(10)의 상단에서 일측방으로 돌출 구비된 가이더(20)와, 상기 가이더(20)를 관통하면서 승강되는 승강볼트(50)와, 상기 수직프레임(10) 또는 가이더(20)에 구비되며 일측에 힌지부(26)가 형성된 지지돌부(25)와, 일단이 상기 지지돌부(25)의 힌지부(26)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바(40)와, 상기 회동바(40)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동바(4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승강볼트(50)를 가이더(20)의 내주면에 가압 고정하는 가압너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은 피고정물(1)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피고정물(1)이 옹벽인 것을 예시하였고, 설치될 가설구조물(2)이 비계인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하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파이프를 예시하였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0)의 전면 하단에는 지지턱(11)이 돌출되고, 상단에는 상하로 개구된 단관 형상의 가이더(20)가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더(20)도 수직프레임(10)과 동일한 사각파이프인 것을 예시하였으며, 그 배면이 수직프레임(10)의 전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이더(20)와 지지턱(11)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더(20)의 상단 및 하단에 상부 및 하부링체(23, 24)가 각각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부 및 하부링체(23, 24)와 가이더(20)의 내측이 상하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더(20)의 일면에는 소정면적 절개되어 이루어진 절개부(2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개부(21)가 가이더(20)의 전면이 아닌 측면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후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가설구조물(2)인 비계를 구성하는 수직파이프(3)가 고정 결합되는 체결수단(30)이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수단(30)이 클램프인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지지돌부(25)는 상기 가이더(20)의 절개부(21)의 상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것으로 그 선단에는 힌지부(26)가 가이더(20)와 직교되는 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회동바(40)는 일단이 상기 힌지부(26)에 결합되어 힌지부(2)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40)의 타단에는 회동바(4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4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41)는 회동바(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장부(41)가 축부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조임너트 등으로 회동바(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지지돌부(25)의 힌지부(26)가 가이더(20)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지지돌부(25)가 절개부(21)의 측방인 가이더(20)의 전면 또는 수직프레임(10)의 측면에 장착될 것이며, 상기 회동바(40)는 수평으로 회동될 것이다.
상기 승강볼트(50)는 가이더(20)의 내측공간부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숫나사부(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볼트(50)의 상단에는 육각이나 사각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트머리(52)가 구비되어,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승강볼트(50)를 견고하게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승강볼트(50)의 하단에는 피고정물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고정판(5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0)과 간섭되는 가압고정판(54)의 일측부는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볼트(50)의 직경은 가이더(20)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고 상부 및 하부링체(23, 24)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승강볼트(50)가 가이더(20)를 따라 원활하게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승강볼트(50)의 볼트머리(52)의 하단에는 확경판(53)이 구비되어 상부링체(23)에 걸려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승강볼트(50)가 가이더(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도 가이더(20)에서 보다 원활하게 승강된다.
상기 가압너트(60)는 상기 회동바(40)의 연장부(41) 선단에 구비되어, 회동바(40)의 회동에 의해 승강볼트(50)를 가압하여 가이더(2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일면에는 상기 승강볼트(50)의 숫나사부(51) 일부를 감싸도록 단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압면이 형성되고, 이 가압면에는 승강볼트(50)의 숫나사부(51)와 맞물리는 암나사부(6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돌부(25)에는 회동바(40)를 회동시켜 위치 고정시키는 조작레버(70)가 구비된다. 이 조작레버(70)는 일단이 지지돌부(25)에 구비된 제1링크축(27)에 힌지결합되고, 중간부는 링크(71)에 의해 회동바(40)와 연결 설치된다. 이때, 링크(72)의 일단부는 제2링크축(73)에 의해 회동바(4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3링크축(74)에 의해 조작레버(70)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조작레버(70)가 링크(72)에 의해 제1링크축(27)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회동바(40)와 직교될 때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바(40)는 가압너트(60)의 암나사부(61)가 승강볼트(50)의 숫나사부(51)와 맞물릴 때, 조작레버(70)에 의해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조작레버(70)의 타단부에는 후방, 즉 수직프레임(10)의 후면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절곡부(71)가 구비되어, 도 2에서와 같이 조작레버(70)가 피고정물(1)과 근접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레버(70)의 절곡부(71)를 잡고 간편하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번 실시예에서는 피고정물(1)이 베란다 등의 난간인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이번 실시예의 브래킷은 전번 실시예와 기능은 같은데 각 부품의 위치가 약간 변경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먼저, 가이더(20)의 절개부(21)는 가이더(20)의 측면이 아닌 전면에 형성되고, 이에 따라 지지돌부(25)가 가이더(20)의 전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돌부(25)에 구비되는 회동바(40), 가압너트(60) 및 조작레버(70)의 위치도 변경된다. 전번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옹벽인 피고정물(1)과 가이더(20)간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절개부(21)가 가이더(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조인데, 이번 실시예에서는 난간인 피고정물(1)에 설치되기 때문에 절개부(21)가 반드시 가이더(20)의 측면에 구비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다만, 이번 실시예에서는 절개부(21)가 가이더(2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작동상태를 좀 더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절개부(21)가 가이더(20)의 전면에 구비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체결수단(30)은 피고정물(1)인 난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의 수평바(4)가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예시하였다. 한편, 그 이외의 구성은 전번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을 피고정물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작레버(70)를 회동시켜 가압너트(60)의 암나사부(61)와 승강볼트(50)의 숫나사부(51)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피고정물(1)인 난간의 상하방향 길이를 고려하여 승강볼트(50)를 가이더(20)를 따라 승강시킨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0) 하단의 지지턱(11)이 피고정물(1)인 난간의 하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승강볼트(50)를 하강시켜, 승강볼트(50) 하단의 가압고정판(54)이 피고정물(1)인 난간의 상면을 어느 정도 가압하면 조작레버(70)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회동바(40)를 위치 고정시킨다. 즉, 승강볼트(50)를 하강시키고 조작레버(70)를 회동시켜 가압너트(60)의 암나사부(61)가 승강볼트(50)의 숫나사부(51)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브래킷이 피고정물(1)인 난간에 가조립된 상태가 된다. 그런 후에,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승강볼트(50)의 볼트머리(52)를 조여주면, 승강볼트(50)가 좀 더 하강하면서 피고정물(1)인 난간의 상면을 더욱 가압하여 브래킷이 피고정물(1)인 난간에 완전히 결합된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실시예들에서 조작레버(70)가 구비되지 않고, 회동바(40)가 힌지부(26)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가압너트(60)가 승강볼트(50)를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너트(60)의 암나사부(61)가 승강볼트(50)의 숫나사부(51)와 맞물리도록 회동바(40)를 위치 고정시켜주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더(20)의 절개부(21) 하측에서 돌출되어 회동바(40)가 돌기와 홈의 형태 또는 결합핀 등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전번 실시예와 다른 점은 수직프레임(10)이 상측으로 더 연장되고, 체결수단(30)이 클램프가 아닌 U볼트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이더(20)가 수직프레임(10)의 상측만이 아니라 중간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수단(30)은 반드시 수직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 클램프 형태만이 아니라 수직프레임(10)에서 분리될 수 있는 U볼트와 같은 부재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 하단부에 일측방으로 돌출되어 피고정물(1)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턱(11)이 구비된 수직프레임(10);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단에서 상기 지지턱(11)과 동일한 일측방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링체 또는 단관으로 이루어진 가이더(20);
가설구조물(2)을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체결수단(30);
외주면에 숫나사부(51)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더(20)를 관통하면서 승강되어 상기 피고정물(1)의 상면을 가압 고정시키는 승강볼트(50);
상기 수직프레임(10) 또는 가이더(20)에 구비되며 일측에 힌지부(26)가 형성된 지지돌부(25);
일단이 상기 지지돌부(25)의 힌지부(26)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바(40); 및
일면에 상기 승강볼트(50)의 숫나사부(51)의 일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61)가 형성되며, 타면이 상기 회동바(40)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동바(4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승강볼트(50)를 가이더(20)의 내주면에 가압 고정하는 가압너트(6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더(20)가 단관 형상인 경우에는 승강볼트(5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측면에 절개부(21)가 형성되며, 가이더(20)가 링체인 경우에는 한 쌍의 링체가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어 승강볼트(5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가압너트(60)가 절개부(21) 또는 링체간의 사이를 통해 승강볼트(50)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25)에 구비되어 회동바(40)와 링크(72)로 결합되어, 회동바(40)를 회동시켜 위치 고정시키는 조작레버(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1)에는 상기 가압너트(60)가 걸려지는 걸림턱(2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너트(60)가 가이더(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볼트(50)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더(20)의 상단면에 걸려지거나 또는 가이더(20)의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형성된 내향돌출턱의 상단면에 걸려지는 확경판(5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5639A KR101357004B1 (ko) | 2011-12-15 | 2011-12-15 |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5639A KR101357004B1 (ko) | 2011-12-15 | 2011-12-15 |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8127A KR20130068127A (ko) | 2013-06-25 |
KR101357004B1 true KR101357004B1 (ko) | 2014-02-03 |
Family
ID=4886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5639A KR101357004B1 (ko) | 2011-12-15 | 2011-12-15 |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700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76336U (ko) * | 1978-11-20 | 1980-05-26 | ||
KR200254637Y1 (ko) | 2001-08-07 | 2001-12-01 | 김진곤 | 교량용 클램프 |
KR20100010750U (ko) * | 2009-04-23 | 2010-11-02 | 주식회사 흥국에스앤씨 | 철근 안전 난간대 조립 좌대 |
-
2011
- 2011-12-15 KR KR1020110135639A patent/KR1013570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76336U (ko) * | 1978-11-20 | 1980-05-26 | ||
KR200254637Y1 (ko) | 2001-08-07 | 2001-12-01 | 김진곤 | 교량용 클램프 |
KR20100010750U (ko) * | 2009-04-23 | 2010-11-02 | 주식회사 흥국에스앤씨 | 철근 안전 난간대 조립 좌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8127A (ko) | 2013-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9437B1 (ko) | 당김구가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구조물 | |
JP6097121B2 (ja) | ブレース取付金具 | |
KR101357004B1 (ko) | 가설구조물 설치용 브래킷 | |
JP2008115644A (ja) | 折畳式朝顔装置 | |
KR20070117796A (ko) |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을 위한 사각바와 천정바의 고정브라켓 | |
JP5762760B2 (ja) | 足場取付具 | |
KR20160019717A (ko) | 가설구조물용 수직재와 횡재의 연결구조 | |
JP2010091011A (ja) | 配設体支持具 | |
JP4851490B2 (ja) | 配設体の支持具 | |
KR101763077B1 (ko) | 비계용 가설발판 고정장치 | |
KR101304519B1 (ko) | 트랙터용 써레 장착대 | |
KR20080005217U (ko) | U볼트형 가설물 고정장치 | |
KR20160142928A (ko) | 시스템 비계 | |
KR20090006046A (ko) | 가설물고정용 볼트 | |
KR101910250B1 (ko) |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 |
KR100638633B1 (ko) | 전력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 |
KR200365037Y1 (ko) | 안전난간대 설치용 벽 부착형 클램프 | |
KR100924522B1 (ko) |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 |
KR20120087497A (ko) | 확장형 발코니용 브라켓 | |
KR102133937B1 (ko) | 설치가 편리한 덕트 지지용 행거 장치 | |
KR101779063B1 (ko) | 거푸집용 클램프 | |
KR20140000706U (ko) | 건축용 비계의 지지프레임 | |
JP5647706B2 (ja) | 固定具および固定方法 | |
JP3184052U (ja) | 手摺取付金具 | |
JP5269147B2 (ja) | 足場板支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