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534A -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534A
KR20120007534A KR1020117026907A KR20117026907A KR20120007534A KR 20120007534 A KR20120007534 A KR 20120007534A KR 1020117026907 A KR1020117026907 A KR 1020117026907A KR 20117026907 A KR20117026907 A KR 20117026907A KR 20120007534 A KR20120007534 A KR 2012000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rang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519B1 (ko
Inventor
히로무 가토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38System on C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다른 단말이 구비하는 다양한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정보 처리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복수의 설정 기능이 등록된 기억 수단과,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기억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에 설정하는 장치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INFORMATION PROCESSOR, EXTERNAL DEVICE EXTENSION SYSTEM, EXTERNAL DEVICE EXTENSION METHOD, EXTERNAL DEVICE EXTENSION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와 휴대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 통신 단말을 이용해서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3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을 이용해서 다른 기기와의 상호 인증을 행하거나, 휴대 통신 단말을 이용해서 다른 기기를 제어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국 특개2000-99187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5-217646호 공보 WO 03/015451 A1
최근, 휴대 통신 단말 등의 각종 단말의 기능은 다양화·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3과 같이, 휴대 통신 단말을 다른 기기와의 상호 인증 또는 제어 등의 특정한 용도만으로 이용하지 않고, 휴대 통신 단말 등의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단말이 구비하는 다양한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정보 처리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복수의 설정 기능이 등록된 기억 수단과,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기억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에 설정하는 장치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기능 확장 시스템은, 상기의 정보 처리 장치와, 휴대 정보 단말을 구비한 기능 확장 시스템이다. 여기에서, 장치 제어 수단은,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휴대 정보 단말에 설정한다. 한편, 휴대 정보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설정된 기능에 대해서,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기기로서 동작시키는 단말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기능 확장 방법은,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한다. 여기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설정 기능이 등록된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기능 확장 방법은,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기억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에 설정한다.
또한,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은, 복수의 설정 기능이 등록된 기억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의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은,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기억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에 설정하는 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복수의 설정 기능이 등록된 기억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의 컴퓨터에,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기억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에 설정하는 절차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의하면, 정보 처리 장치는,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이 구비하는 복수의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확장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도.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 확장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4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 확장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5는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6은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7은 휴대 통신 단말 설정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8은 휴대 통신 단말 설정 테이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9는 휴대 통신 단말과 정보 처리 장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0은 휴대 통신 단말을 정보 처리 장치의 Web 카메라로서 이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및 외부 기기 확장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 기기 확장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고,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1)와, 기억부(22)와, 장치 제어부(23)를 구비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1)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장치와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기억부(22)는, 복수의 설정 기능이 등록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부(22)에는, 설정 기능으로서, 기억 기능, 카메라 기능, 마우스 기능, 키 입력 기능 등이 등록되어 있다. 장치 제어부(23)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1)가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기억부(22)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의 장치에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23)는, 소정의 설정 기능을,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의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하거나,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간에 의거하여 선택하거나, 유저가 미리 설정한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하거나 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20)의 기능을 확장하는 절차에 대해서, 도 2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2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1)는,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S101의 YES), 수신했음을 장치 제어부(23)에 통지한다. 장치 제어부(23)는,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에 관한 통지를 받았을 때, 기억부(22)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S102),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의 장치에 설정한다(S103).
이상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는,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의 장치에 소정의 기능을 설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20)는,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의 장치의 종류,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한 시간 또는 유저가 설정한 정보 등에 의거하여 기억부(22)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한다. 송신원의 장치는, 소정의 기능이 설정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20)의 외부 기기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송신원의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20)의 외부 기기로서 기능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20)가 원래 구비하고 있지 않은 기능이어도, 송신원의 장치가 구비하는 복수의 기능을 마치 정보 처리 장치(20)가 구비하는 기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원이 구비하는 복수의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정보 처리 장치(20)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여기에서, 기억부(22)에 송신원의 장치의 식별 ID를 등록해 두고, 송신원의 장치의 식별 ID가 기억부(22)에 등록되어 있는 식별 ID와 일치했을 때에만, 당해 송신원의 장치에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20)는,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때,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의 장치의 식별 ID를, 직접 입력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전자 메일로서 수신하는 등에 의해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식별 ID가 기억부(22)에 등록되어 있는 식별 ID와 일치했을 때에만, 당해 송신원의 장치에 소정의 기능을 설정한다. 이 경우, 악의를 가진 제삼자에게 정보 처리 장치(20)가 부당하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에 조작부를 설치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21)가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한 후에 유저가 당해 조작부를 이용해서 기능 확장에 관한 입력을 행했을 경우에, 송신원의 장치에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능 설정의 대상이 아닌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당해 기능 설정의 대상이 아닌 장치에 자동적으로 기능이 설정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 확장 시스템은, 휴대 통신 단말(10)과 정보 처리 장치(20A)를 구비한다. 도 3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 확장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10)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11)와, 조작부(12)와, 계측부(13)와, 단말 제어부(14)를 구비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1)는, 근거리 무선 통신권(圈) 내의 단말이나 장치와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조작부(12)는, 키보드, 마우스 등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기능 확장에 관한 입력을 접수한다. 계측부(13)는, 조작부(12)가 유저로부터의 기능 확장에 관한 입력을 접수했을 때, 휴대 통신 단말(10) 주변의 전계 강도를 계측하고, 당해 계측 결과를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전자 메일 등을 이용해서 정보 처리 장치(20A)에 송신한다. 단말 제어부(14)는, 정보 처리 장치(20A)로부터 설정된 기능에 대해서, 정보 처리 장치(20A)의 외부 기기로서 동작하도록, 각 수단을 제어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20A)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1)와, 기억부(22A)와, 장치 제어부(23A)를 구비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1)는, 근거리 무선 통신권 내의 단말이나 장치와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기억부(22A)는, 단말 식별 정보와 기능 설정 테이블을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능 설정 테이블에는, 복수의 설정 기능이 전계 강도의 크기에 대응되어서 등록되어 있다.
장치 제어부(23A)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1)가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신한 휴대 통신 단말(10)의 단말 식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전자 메일 등에 의해 취득하고, 당해 취득한 단말 식별 정보를 인증한다. 그리고, 인증할 수 있었을 경우, 전계 강도의 계측 결과가 송신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장치 제어부(23A)는, 계측 결과를 수신했을 경우, 기억부(22A)의 기능 설정 테이블을 참조해서, 당해 수신한 계측 결과에 대응되어 있는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신한 휴대 통신 단말(10)에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20A)는, 큰 전계 강도를 나타내는 계측 결과를 수신했을 경우는 휴대 통신 단말(10)에 정보 처리 장치(20A)의 외부 접속의 기억 장치로서의 기능을 설정한다. 또한, 중간 정도의 전계 강도를 나타내는 계측 결과를 수신했을 경우는 마우스로서의 기능을 설정하고, 작은 전계 강도를 나타내는 계측 결과를 수신했을 경우는 정보 처리 장치(20A)의 외장형의 카메라로서의 기능을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측된 전계 강도에 따라 원하는 기능이 선택되어서 휴대 통신 단말(10)에 설정된다.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10)과 정보 처리 장치(20A)의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휴대 통신 단말(10)에 최적인 기능이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A)가 기능 설정 테이블을 유지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기능 설정 테이블을 휴대 통신 단말(10)에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10) 대신에, 정보 처리 장치(20A)에 전계 강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기능 확장 시스템의 블록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기능 확장 시스템은,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동작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100)과 정보 처리 장치(200)를 구비한다.
휴대 통신 단말(100)은, 휴대전화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의 단말이다. 도 4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01), 방송 수신부(102), 근거리 무선 통신부(103), 카메라부(104), 표시부(105), 음성 처리부(106), 스피커(107), 조작부(108), 제어부(109), 기억부(110)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101)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 기지국 장치와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방송 수신부(102)는, 도시하지 않은 방송국(지상국, 위성 등)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당해 방송 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정보 데이터 등을 복조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03)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d)이나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서 다른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카메라부(104)는, 주변의 화상 정보를 취득한다. 표시부(10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며, 화상, 도형, 문자, 기호 등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한 신호를 정보로서 표시한다.
음성 처리부(106)는, 송화부(106a)(마이크 등) 및 수화부(106b)(스피커, 이어폰 등)를 통해서 입출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스피커(107)는, 음악이나 통지음 등의 유성음 출력을 행한다. 조작부(108)는, 텐 키(ten key), 스크롤 키, 십(十)자 키, 결정 키 등을 구비하고, 당해 휴대 통신 단말(100)의 유저로부터 각종 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제어부(109)는, 전화 기능, 메일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근거리 통신 기능, 카메라 기능, 텔레비전 수신 기능, 콘텐츠 재생 기능 등의 당해 휴대 통신 단말(100)이 갖는 각종 기능이나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109)는,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을 인증한다. 그리고, 인증할 수 있었을 경우, 인증 상대의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소정의 기능을 제어한다.
기억부(110)는, 전화 번호부 정보, 송수신 메일 정보, 발착호 정보, 콘텐츠 정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 촬영 화상 정보, 및, 당해 휴대 통신 단말(100)의 제(諸)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부(110)는,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과 인증 정보(111)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인증 정보(111)는, 정보 처리 장치(200)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이며, 정보 처리 장치(200)의 장치 ID나 패스워드 등이다. 한편,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200)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각종의 정보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도 4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03), 표시부(205), 조작부(208),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 제어부(209), 기억부(210)를 구비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03)는, 무선 LAN이나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서 다른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표시부(20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며, 화상, 도형, 문자, 기호 등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유저에게 정보로서 제시한다. 조작부(208)는, 키보드, 마우스 등이며, 당해 정보 처리 장치(200)의 유저로부터 각종 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는, 근방에 존재하고, 또한, 상호 인증이 얻어진 상대(휴대 통신 단말(100))와의 사이의 정보 수수(授受)용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는, 휴대 통신 단말(100) 및 당해 휴대 통신 단말(100)에 설정된 기능의 종류에 따라, 기능 제어에 관한 정보의 변환이나 교환을 행한다.
제어부(209)는, 각종 연산 처리 기능, 문서 처리 기능, 화상 처리 기능, 메일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근거리 통신 기능, 카메라 기능, 텔레비전 수신 기능, 콘텐츠 재생 기능 등의 정보 처리 장치(200)가 갖는 각종 기능이나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209)는,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을 인증한다. 그리고, 인증할 수 있었을 경우, 인증 상대(휴대 통신 단말(100))의 유저에게 당해 정보 처리 장치(200)의 이용을 허가한다. 또한, 인증 상대에게 소정의 기능을 설정하고,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해서 인증 상대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능을 설정한다」란, 인증 상대가,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기능에 관한 제어를 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기억부(210)는, 문서 정보, 화상 정보, 송수신 메일 정보, 콘텐츠 정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 및,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부(210)는,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과 인증 정보(211)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인증 정보(211)는, 휴대 통신 단말(100)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이며, 휴대 통신 단말(100)의 단말 ID나 패스워드 등이다. 한편,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 및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의 일례를, 도 6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에는, 복수의 외부 기능(112b)(예를 들면, 기억 장치, 카메라, 마우스, 키 입력 장치 등)이 접속 정보 처리 장치(112a)에 대응되어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200)가 제 1 정보 처리 장치일 경우, 휴대 통신 단말(100)은 제 1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접속의 기억 장치로서 동작한다. 마찬가지로, 휴대 통신 단말(100)은, 정보 처리 장치(200)가 제 2 정보 처리 장치일 경우는 제 2 정보 처리 장치의 카메라로서 동작하고, 제 3 정보 처리 장치일 경우는 마우스로서 동작하고, 제 4 정보 처리 장치일 경우는 키 입력 장치로서 동작한다.
한편, 도 6에 있어서,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A)에는, 복수의 외부 기능(112d)이 계측된 전계 강도의 크기(112c)에 대응되어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계측된 전계 강도가 제 1 강도 임계값 이상일 경우(휴대 통신 단말(100)과 정보 처리 장치(200)의 거리가 짧을 경우), 휴대 통신 단말(100)은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접속의 기억 장치로서 동작한다. 마찬가지로, 휴대 통신 단말(100)은, 전계 강도가 제 1 강도 임계값 미만이고 제 2 강도 임계값 이상일 경우(휴대 통신 단말(100)과 정보 처리 장치(200)의 거리가 중간 정도일 경우)는 정보 처리 장치(200)의 마우스로서 동작한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100)은, 전계 강도가 제 2 강도 임계값 미만일 경우(휴대 통신 단말(100)과 정보 처리 장치(200)의 거리가 길 경우)는 카메라로서 동작한다.
다음으로,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의 일례를, 도 8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에는, 복수의 기능(212b)(예를 들면, 기억 장치, 카메라, 마우스, 키 입력 장치 등)이 접속 휴대 통신 단말(212a)에 대응되어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휴대 통신 단말(100)이 제 1 휴대 통신 단말일 경우, 휴대 통신 단말(100)에 외부 접속의 기억 장치로서의 기능을 설정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200)는, 휴대 통신 단말(100)이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장형의 기억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휴대 통신 단말(100)이 제 2 휴대 통신 단말일 경우는 카메라 기능을, 제 3 휴대 통신 단말일 경우는 마우스 기능을, 제 4 휴대 통신 단말일 경우는 키 입력 장치 기능을 설정한다.
한편, 도 8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A)에는, 복수의 기능(212d)이 휴대 통신 단말(100)과 정보 처리 장치(200) 사이의 전계 강도의 크기(거리)(212c)에 대응되어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200)는, 전계 강도가 제 1 강도 임계값 이상일 경우, 휴대 통신 단말(100)에 외부 접속의 기억 장치로서의 기능을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장치(200)는, 전계 강도가 제 1 강도 임계값 미만이고 제 2 강도 임계값 이상일 경우는 마우스 기능을, 전계 강도가 제 2 강도 임계값 미만일 경우는 카메라 기능을, 휴대 통신 단말(100)에 설정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기능 확장 시스템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휴대 통신 단말(100)을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기기로서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9의 (A), (B)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9의 (A)는, 유저가 소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100)과 정보 처리 장치(200)의 거리가 멀어, 휴대 통신 단말(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03)와 정보 처리 장치(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03)가 서로 통신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100)의 유저는 정보 처리 장치(200)를 이용할 수는 없다.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200)에 접근해서, 휴대 통신 단말(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03)와 정보 처리 장치(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03)가 통신 가능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B)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100)과 정보 처리 장치(200)는, 각각의 기억부(110, 2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111, 211)를 교환한다.
휴대 통신 단말(100) 및 정보 처리 장치(200)의 어느 한쪽에서, 인증 정보로서 서로 교환한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상대측의 ID, 패스워드 등과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 휴대 통신 단말(100)의 유저는 정보 처리 장치(200)를 이용할 수 없다(도 9의 (B1)).
한편, 휴대 통신 단말(100) 및 정보 처리 장치(200)의 각각에서, 교환한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하고 있는 인증 정보와 일치했을 경우, 휴대 통신 단말(100)의 유저는 정보 처리 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도 9의 (B2)).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200)와 휴대 통신 단말(100)이 서로를 인증할 수 있었을 경우, 휴대 통신 단말(100) 및 정보 처리 장치(200)는 각각이 참조하는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과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의 내용의 정합성이 유지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더 검증한다. 그리고, 각각이 참조하는 테이블의 내용의 정합성이 유지될 수 있을 경우, 휴대 통신 단말(100)에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기기로서의 기능이 설정된다. 또한, 테이블의 내용의 정합성이 유지될 수 없을 경우는, 기능의 설정은 행하지 않는다.
휴대 통신 단말(100)에 기능을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10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100)은, 도 5의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을 참조하고, 예를 들면, 취득한 장치 ID가 제 2 정보 처리 장치의 장치 ID와 일치했을 경우, 외부 기능(112b)으로서 카메라를 선택한다. 휴대 통신 단말(100)의 제어부(109)는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카메라부(104)를 구동하고, 휴대 통신 단말(100)은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접속용의 카메라(Web 카메라)로서 동작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200)는, 도 7의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을 참조하고, 예를 들면, 취득한 단말 ID가 제 2 휴대 통신 단말의 단말 ID와 일치했을 경우, 카메라를 선택한다.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09)는, 휴대 통신 단말(100)이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장형의 기억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설정한다. 기능 설정 후, 정보 처리 장치(200)는,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를 이용해서 휴대 통신 단말(100)을 외부 접속용의 카메라(Web 카메라)로서 제어한다.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03)를 통해서 카메라(Web 카메라)로서의 휴대 통신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통신 단말(100)이 취득한 화상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받아들인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100) 및 정보 처리 장치(200)가, 도 6의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A) 및 도 8의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A)을 참조해서, 휴대 통신 단말(100)에 설정하는 기능을 선택할 경우는, 이하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03) 및 정보 처리 장치(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03)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의 전계 강도를 계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휴대 통신 단말(100)의 조작부(108) 또는 정보 처리 장치(200)의 조작부(208)가, 유저로부터의 기능 확장에 관한 입력을 접수했을 때, 근거리 무선 통신부(103, 203)는 그 때의 전계 강도를 계측해서, 제어부(109, 209)에 각각 송신한다. 제어부(109, 209)는, 계측한 전계 강도를 기억부(110, 210)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임계값과 비교한다.
휴대 통신 단말(100)의 제어부(109)는, 도 6의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A)을 참조해서, 예를 들면, 계측한 전계 강도가 제 2 강도 임계값 미만일 경우, 외부 기능(112d)으로서 카메라를 선택한다. 휴대 통신 단말(100)은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카메라부(104)를 구동하고, 휴대 통신 단말(100)은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접속용의 카메라(Web 카메라)로서 동작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200)의 제어부(209)는, 도 8의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A)을 참조해서, 예를 들면, 계측한 전계 강도가 제 2 강도 임계값 미만일 경우, 기능(212d)으로서 카메라를 선택한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를 이용해서 휴대 통신 단말(100)을 외부 접속용의 카메라로서 제어한다.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2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03)를 통해서 카메라(Web 카메라)로서의 휴대 통신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통신 단말(100)이 취득한 화상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 받아들인다.
이상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200)가 카메라(Web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여도, 휴대 통신 단말(100)을 정보 처리 장치(200)에 접근시킴으로써, 당해 휴대 통신 단말(100)이 구비하는 카메라 기능을, 정보 처리 장치(200)의 기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접속용의 외부 기기로서, 휴대 통신 단말(100)을 간단히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다른 휴대 통신 단말(100)을 이용하거나, 혹은, 휴대 통신 단말(100)과 정보 처리 장치(200) 사이의 거리(전계 강도)를 변경함으로써, 휴대 통신 단말(100)에 설정되는 기능이 변경된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휴대 통신 단말(100)을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기억 장치로서 이용하거나, 외부 접속의 마우스로서 이용하거나, 혹은, 외부 접속의 키 입력 장치로서 이용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 져서, 휴대 통신 단말(100)이 구비하는 복수의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100)은, 정보 처리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에 있어서의 상호 인증이 얻어진 경우에만 외부 기기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삼자에게 정보가 부주의하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100)과 정보 처리 장치(200) 사이에서 상호 인증하여, 휴대 통신 단말(100)과 정보 처리 장치(200)의 쌍방이 휴대 통신 단말(100)에 설정하는 기능을 선택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200)가 휴대 통신 단말(100)을 인증하고, 인증할 수 있었음을 휴대 통신 단말(100)에 통지하거나, 혹은, 정보 처리 장치(200)가 휴대 통신 단말(100)에 설정하는 기능을 선택해서 휴대 통신 단말(100)에 통지하는 등도 가능하다.
또한, 도 5, 도 6의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112, 112A), 도 7, 도 8의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212, 212A)의 설정 내용은, 유저가 재기입할 수 있다. 유저는, 각각의 휴대 통신 단말(100)이 구비하는 기능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기기로서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1대의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하여, 복수의 휴대 통신 단말(100)을 접근시켜서, 각각의 휴대 통신 단말(100)을 동시에 정보 처리 장치(200)의 외부 기기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통신 단말(100)을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200)에 접근시켜서, 휴대 통신 단말이 구비하는 복수의 기능을,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200)에 각각 동시에 외부 기능으로서 이용시킬 수도 있다.
(제 4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은, 휴대 통신 단말을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기기로서 사용하는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이다. 여기에서, 휴대 통신 단말 및 정보 처리 장치는, 각각, 상대측의 정보 처리 장치 또는 휴대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근거리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적어도 구비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 근거리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당해 무선 통신 신호로서 송신되어 온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의 인증 정보와 당해 정보 처리 장치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인증 정보의 대조 결과로서, 휴대 통신 단말의 인증이 얻어졌을 경우, 당해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설정 테이블에 미리 설정 등록되어 있는 당해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기기로서 휴대 통신 단말을 할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외부 기기 확장 방법으로서 설명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기기 확장 방법은, 휴대 통신 단말을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기기로서 사용하는 외부 기기 확장 방법이다. 여기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 근거리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당해 무선 통신 신호로서 송신되어 온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의 인증 정보와 당해 정보 처리 장치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인증 정보의 대조 결과로서, 휴대 통신 단말의 인증이 얻어졌을 경우, 당해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설정 테이블에 미리 설정 등록되어 있는 당해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기기로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을 할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및 외부 기기 확장 방법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접속용의 외부 기기로서, 풍부한 기능을 갖는 휴대 통신 단말을 간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서, 정보 처리 장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와 휴대 통신 단말의 조합에 따라, 혹은, 전계 강도(즉 정보 처리 장치와 휴대 통신 단말 사이의 거리)에 따라, 휴대 통신 단말의 풍부한 기능 중 임의의 기능을,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을 용이하게 확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을 정보 처리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로 이동시켜서, 인증이 얻어졌을 경우에만 외부 기기로서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삼자에게 정보가 부주의하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조금도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 출원은, 2009년 5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2009-117598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받아들인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휴대전화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의 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의 각종의 정보 처리를 행하는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휴대 통신 단말
101 : 무선 통신부
102 : 방송 수신부
103 : 근거리 무선 통신부
104 : 카메라부
105 : 표시부
106 : 음성 처리부
106a : 송화부
106b : 수화부
107 : 스피커
108 : 조작부
109 : 제어부
110 : 기억부
111 : 인증 정보
112, 112A : 외부 기능 설정 테이블
112a : 접속 정보 처리 장치
112b : 외부 기능
112c : 전계 강도
112d : 외부 기능
200 : 정보 처리 장치
203 : 근거리 무선 통신부
205 : 표시부
208 : 조작부
209 : 제어부
210 : 기억부
211 : 인증 정보
212, 212A : 휴대 통신 단말 기능 설정 테이블
212a : 접속 휴대 통신 단말
212b : 기능
212c : 전계 강도
212d : 기능
220 : 외부 기능 인터페이스부

Claims (10)

  1.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복수의 설정 기능이 등록된 기억 수단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에 설정하는 장치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휴대 정보 단말의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장치 제어 수단은,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신한 휴대 정보 단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일치했을 경우, 당해 휴대 정보 단말에 상기 기능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기능 설정 테이블을 구비하고, 당해 기능 설정 테이블에 상기 복수의 설정 기능이 상기 송신원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등록되고,
    상기 장치 제어 수단은 상기 취득한 휴대 정보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설정 기능을 상기 기능 설정 테이블로부터 선택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정 기능에는, 기억 기능, 카메라 기능, 마우스 기능, 키 입력 기능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와, 휴대 정보 단말을 구비하는 기능 확장 시스템으로서,
    상기 장치 제어 수단은 상기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상기 휴대 정보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휴대 정보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설정된 기능에 대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기기로서 동작시키는 단말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기능 확장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기능 설정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접수한 기능 설정 입력을 기능 설정 입력 신호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장치 제어 수단은,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와 상기 기능 설정 입력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휴대 정보 단말에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 확장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설정 입력을 접수했을 때에 전계 강도를 계측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계측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기능 설정 테이블을 구비함과 함께 당해 기능 설정 테이블에, 상기 복수의 설정 기능이 상기 전계 강도에 대응되어 등록되고,
    상기 기능 설정 테이블은 상기 수신한 전계 강도에 대응하는 설정 기능을 상기 기능 설정 테이블로부터 선택하는 기능 확장 시스템.
  8. 복수의 설정 기능이 등록된 기억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기능 확장 방법으로서,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 확장 방법.
  9. 복수의 설정 기능이 등록된 기억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의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으로서,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에 설정하는 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10. 복수의 설정 기능이 등록된 기억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의 컴퓨터에,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설정 기능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한 설정 기능에 관한 기능을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의 송신원에 설정하는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7026907A 2009-05-14 2010-05-13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1449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7598 2009-05-14
JPJP-P-2009-117598 2009-05-14
PCT/JP2010/058480 WO2010131771A1 (ja) 2009-05-14 2010-05-13 情報処理装置、外部機器拡張システム、外部機器拡張方法、外部機器拡張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34A true KR20120007534A (ko) 2012-01-20
KR101449519B1 KR101449519B1 (ko) 2014-10-13

Family

ID=4308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907A KR101449519B1 (ko) 2009-05-14 2010-05-13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58726A1 (ko)
EP (1) EP2431903A4 (ko)
JP (1) JP5505412B2 (ko)
KR (1) KR101449519B1 (ko)
CN (1) CN102422297B (ko)
WO (1) WO2010131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3413B2 (en) * 2013-07-31 2018-08-2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660242B1 (ja) * 2013-09-06 2015-01-28 株式会社リコー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接続プログラム
CN104077509B (zh) * 2013-09-25 2017-04-19 中安智慧安全技术(徐州)有限公司 一种解锁装置
WO2015072492A1 (ja) 2013-11-13 2015-05-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WO2015072495A1 (ja) 2013-11-13 2015-05-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システム
US10506053B2 (en) * 2014-03-07 2019-12-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Location aware security system
JP6235387B2 (ja) * 2014-03-19 2017-11-22 株式会社東芝 端末管理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及び端末管理プログラム
CN104463042A (zh) * 2014-12-18 2015-03-25 山东超越数控电子有限公司 一种国产计算机上对外接口加密方法
JP2018163601A (ja) * 2017-03-27 2018-10-18 富士通株式会社 対応付け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対応付け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9896A (en) * 1996-10-15 2000-05-30 Motorola, Inc. Capability addressable network and method therefor
FI104866B (fi) * 1997-10-29 2000-04-14 Nokia Mobile Phones Ltd Paikallisverkko
US6989748B2 (en) * 1998-08-12 2006-01-24 Mrsi International, Inc. Battery with integrated tracking device
JP2000099187A (ja) 1998-09-24 2000-04-07 Sanyo Electric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7164885B2 (en) * 2000-12-18 2007-01-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ervice access
JP2002244829A (ja) 2001-02-14 2002-08-30 Ricoh Co Ltd 出力装置指定方式および無線システム
KR100433897B1 (ko) * 2001-02-22 2004-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한 원격제어 방법
WO2003021978A1 (en) * 2001-08-10 2003-03-13 Strix Systems, Inc. Virtual linking using a wireless device
JP2003108451A (ja) 2001-09-27 2003-04-11 Sharp Corp 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制御システム
JP2003319470A (ja) * 2002-04-19 2003-11-07 Toshiba Corp 家電制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家庭電化機器及び遠隔制御装置
FI115190B (fi) * 2003-01-21 2005-03-15 Nokia Corp Menetelmä paikkariippuvan toiminnon käynnistämiseksi, järjestelmä ja laite
US7468969B2 (en) * 2003-11-07 2008-12-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entral control of mesh networks
JP4455076B2 (ja) 2004-01-28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の認証方法、無線通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7067724A (ja) * 2005-08-30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7148924A (ja) * 2005-11-29 2007-06-14 Brother Ind Ltd 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装置
US7729664B2 (en) * 2006-04-20 2010-06-01 Palm, Inc. Technique for reducing interference to radio operations on a computing device
US8155636B2 (en) * 2006-05-05 2012-04-10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mobile stations
DE602006009493D1 (de) * 2006-06-23 2009-11-12 Research In Motion Ltd Paarung eines drahtlosen Peripheriegeräts bei Sperrschirm
US20100022239A1 (en) * 2006-09-28 2010-01-28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and access control method
US8149799B2 (en) * 2006-09-29 2012-04-0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facing to a plurality of antennas
US7734299B2 (en) * 2007-03-20 2010-06-08 Microsoft Corporation Facilitating use of a device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technology
JP2009117598A (ja) 2007-11-06 2009-05-28 Denki Kagaku Kogyo Kk 回路基板と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1903A1 (en) 2012-03-21
CN102422297A (zh) 2012-04-18
EP2431903A4 (en) 2016-10-05
CN102422297B (zh) 2015-04-08
US20120058726A1 (en) 2012-03-08
JP5505412B2 (ja) 2014-05-28
KR101449519B1 (ko) 2014-10-13
WO2010131771A1 (ja) 2010-11-18
JPWO2010131771A1 (ja)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519B1 (ko)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US8775801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RU237985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па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о технологии bluetooth
EP371657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nabling access to content
US20070126562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JP2010206295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0011298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2010161654A (ja) 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JP2008017083A (ja) 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方法およ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JP5359198B2 (ja) ハンズフリー装置
KR20140128764A (ko) 연결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050086980A (ko) 원격 기능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05956A (ko)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블루투스연결 방법
KR100743402B1 (ko) Rfid 기술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1522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332928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05277620A (ja) 認証機能を有する電話機および電話システム
KR20080089915A (ko) 컴퓨터 보안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2008085423A (ja) 電子機器及び暗証コード設定方法
JP6400895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KR20120055843A (ko)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802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유저의 프라이버시를 위한 통화 및문자전송 제어시스템과 그 방법
KR2013005457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79884B1 (ko) 영상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영상 통화 트래픽을다른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9193524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端末装置間の遠隔設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