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843A -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843A
KR20120055843A KR1020100117263A KR20100117263A KR20120055843A KR 20120055843 A KR20120055843 A KR 20120055843A KR 1020100117263 A KR1020100117263 A KR 1020100117263A KR 20100117263 A KR20100117263 A KR 20100117263A KR 20120055843 A KR20120055843 A KR 20120055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cradle
cradle device
conten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668B1 (ko
Inventor
박덕현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6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등의 통신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통신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연결시키는 크래들 장치에 있어서, 크래들 장치에 통신 단말기가 거치되는 경우 네트워크상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설정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신받아 거치된 통신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단말기를 크래들 장치에 거치하는 동작만으로 미리 설정된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CRADDLE, TERMINAL, SYSTEM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크래들(cradle)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연결시키며, 단말기가 거치되는 경우 네트워크상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설정된 컨텐츠(contents)를 자동으로 수신받아 거치된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휴대폰 등의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 경량화 되고 있으며, mp3, 카메라,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어 복합 단말기로 발전되고 있다.
즉, 이러한 단말기는 위와 같이 언급한 기능 외에도 수신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송신자가 수신자의 음성 사서함 또는 팩스 사서함에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보이스 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ice), 단말기에 음성 인식장비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기억/등록시킨 후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 일일이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고 음성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다이얼 서비스(voice activated dialing service), 단말기 화면을 통해 숫자 및 문자메시지 또는 다양한 생활정보를 문자로 받을 수 있고, 소리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소리샘에 메시지가 도착될 때 휴대폰으로 통보해 주며, 휴대폰 호출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 등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근래 들어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휴대폰 등의 단말기가 결합된 형태의 단말기도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고사양의 단말기를 회사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충전 기능 및 포트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크래들에 거치시켜 두게 된다. 이를 위해 크래들에는 배선과 적절한 커넥터(connector)에 의해 컴퓨터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에 구비된 표준접속단자 슬롯이 삽입되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포트 접속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사용자는 단말기의 구입시에 함께 제공되는 싱크(sync) 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싱크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는 컴퓨터 있는 자료를 단말기로 다운로드받거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컴퓨터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크래들은 단순히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거치하여 컴퓨터와 접속시키며,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로 접속하도록 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일 뿐, 네트워크상 단말기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장치와의 능동적인 컨텐츠 다운로드(contents download) 등의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연결시키며, 단말기가 거치되는 경우 네트워크상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설정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신 받아 거치된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컨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크래들 시스템으로서, 단말기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와 연결되며, 단말기의 접속 시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접속된 단말기와 관련된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크래들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크래들 장치로서, 단말기와 네트워크상 컨텐츠 관리장치를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와 컨텐츠 관리장치간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접속 시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단말기로 자동 다운로드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컨텐츠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접속 시 상기 단말기의 잔여 메모리 용량을 검사하여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한지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접속 시, 상기 단말기의 단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등록된 단말인지를 인증한 후, 인증된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완료 시, 상기 메모리부내 저장된 상기 컨텐츠를 삭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단말기로서, 네트워크와 연결된 크래들 장치와 컨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크래들 장치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크래들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다운로드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크래들 장치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크래들 장치로 상기 메모리부의 잔여 용량을 검사하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래들 장치와 단말기와 컨텐츠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크래들 시스템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크래들 장치가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 상기 단말기와 관련된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에서 상기 크래들 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크래들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요청한 상기 크래들 장치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크래들 장치가 인증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크래들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크래들 장치에서 상기 단말기의 잔여 메모리 용량을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잔여 메모리 용량과 상기 컨텐츠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경우 상기 크래들 장치가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연결시키는 크래들 장치에 있어서, 크래들 장치에 단말기가 거치되는 경우 네트워크상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설정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신받아 거치된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를 크래들 장치에 거치하는 동작만으로 미리 설정된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와 컨텐츠 관리장치간 연결을 설정하는 신호처리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에서 단말기의 인증 절차를 위한 신호처리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와 컨텐츠 관리장치간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처리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에서 단말기로의 컨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신호처리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크래들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기(terminal)(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의 통화 기능과 통신망과의 접속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크래들 장치(craddle device)(102)에 접속되는 경우 크래들 장치(102)로부터 단말기 인증이 수행되어 네트워크(network)와 접속되며, 컨텐츠 관리장치(contents management device)(104)로부터 크래들 장치(102)로 전송된 미리 설정된 단말기 관련 컨텐츠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받는다.
크래들 장치(102)는 단말기(100)를 거치하여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며, 네트워크상 컨텐츠 관리장치(104)와 단말기(100)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크래들 장치(102)는 네트워크상 단말기(100)에서 사용될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장치(104)와 접속하며, 단말기(100)가 거치되는 경우 컨텐츠 관리장치(104)로부터 단말기 관련 컨텐츠를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아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컨텐츠 관리장치(104)는 단말기(100)로 제공할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크래들 장치(102)에 단말기(100)가 거치되어 크래들 장치(102)로부터 단말기 관련 미리 설정된 컨텐츠의 요청이 있는 경우, 크래들 장치(102)를 인증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 관련 컨텐츠를 크래들 장치(102)로 전송한다. 이때, 컨텐츠 관리장치(104)는 컨텐츠 전용 서버, 웹 서버 또는 특수 목적의 서버 등 단말기(100)로 제공할 컨텐츠를 관리하는 모든 종류의 서버가 해당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102)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크래들 장치(102) 각부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통신부(200)는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커넥터(connector)를 구비하여 통신 단말기(100)가 거치되는 경우 단말기(100)를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며,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크래들 장치(102)가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 존재하는 컨텐츠 관리장치(104)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100)가 거치되는 경우 제어부(202)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100)와 관련된 미리 설정된 컨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02)는 메모리부(204)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크래들 장치(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02)는 통신부(200)를 통해 단말기(100)가 접속되는 경우 인터넷 등의 통신망상 미리 설정된 컨텐츠 관리장치로 연결하여 해당 단말기(100)로 다운로드되도록 설정된 단말기 관련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후,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단말기(100)가 크래들 장치(102)에 거치될 때 자동으로 컨텐츠 관리장치(104)로부터 단말기 관련 컨텐츠가 다운로드되어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는 크래들 장치(102)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등의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크래들 장치(102)에 거치되는 단말기(100)를 인식하고, 단말기(100)와 통신을 통해 컨텐츠 다운로드 시 단말기(100)의 메모리 용량 정보를 확인하여, 메모리 용량이 가능한 경우 컨텐츠를 다운로드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RF부(308)는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무선 통신망으로부터의 음성 및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에서 1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다시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는 중간주파수 처리와, 이를 다시 제어부(306)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처리한다.
통신부(314)는 크래들 장치(102)와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306)의 소정 제어에 의해 크래들 장치(102)에 접속되는 경우, 크래들 장치(102)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어부(306)로 인가한다.
오디오부(310)는 제어부(306)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키패드(300)는 다수의 숫자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306)로 출력한다. 위와 같은 키패드(300)는 제조사별, 국가별로 문자 배열의 차이가 있고, 또는 일부 스마트폰(smart phone)에서는 물리적인 키패드 대신,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필요 시마다 표시부(304)상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식으로 표시되는 키패드를 제공하기도 한다.
표시부(304)는 제어부(306)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10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키패드(300)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306)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306)는 메모리부(302)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위와 같은 동작 프로그램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뿐만 아니라, 표시부(304)와 키패드(300)를 연결하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하거나, 단말기(100)의 내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동작시키도록 제조 시 미리 프로그램밍(programing)되는 소프트웨어(software)를 통칭한다.
또한, 제어부(30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100)가 크래들 장치(102)에 접속되는 경우 통신부(200)를 통해 크래들 장치(102)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기 관련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단말기(100) 상에서 실행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102)와 컨텐츠 관리장치(104)간 연결을 설정하는 신호처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크래들 장치(102)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PC(personal computer)(101)에 연결하는 경우 PC(101)는 크래들 장치(102)와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한다(S400).
이어, 사용자가 PC(101)를 이용하여 단말기 관련 컨텐츠를 구비하고 있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상 특정 컨텐츠 관리장치(104)의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PC(101)는 해당 컨텐츠 관리장치(104)로 접속하여 웹페이지(web page)를 요청한다(S402).
그러면, 컨텐츠 관리장치(104)는 PC(101)에 연결된 크래들 장치(102)로 크래들 장치(102)의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S404), 크래들 장치(102)는 크래들 장치(102)의 정보를 PC(101)를 통해 컨텐츠 관리장치(104)로 전송하게 된다(S406).
위와 같이 크래들 장치(102)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관리장치(104)는 PC(101)로 웹페이지를 전송하게 되고(S408), PC(101)는 크래들 장치(102)와 컨텐츠 관리장치(104)간 통신을 위한 환경설정을 수행하여 크래들 장치(102)와 컨텐츠 관리장치(104)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S41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102)에서 단말기(100)의 인증 절차를 위한 신호처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크래들 장치(102)에 거치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통신부(314)를 통해 크래들 장치(102)에 접속하여 크래들 장치(102)로 단말 연결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S500).
그러면, 크래들 장치(102)는 크래들 장치(102)의 컨텐츠 자동 다운로드 동작을 제어하는 크래들 클라이언트(craddle client)(206)로 단말기(100)로부터의 단말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S502), 크래들 클라이언트(206)에서는 단말 연결을 요청하는 단말기(100)에 대한 장치 인식을 수행한다(S504).
이어,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는 단말기(100)로 단말 전화번호 등의 단말 정보를 요청하고(S506), 단말기(100)는 단말 전화 번호를 전송한다(S508).
위와 같이, 단말기(100)로부터 단말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는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단말 전화번호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기(100)가 등록된 단말기인지를 확인한다(S51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102)와 컨텐츠 관리장치(104)간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처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PC(101) 등을 이용하여 크래들 장치(102)로 컨텐츠 관리장치(104) 접속을 위한 인증키를 입력하여 크래들 장치(102)의 인증 동작을 실행시키는 경우 크래들 장치(102)는 네트워크상 미리 설정된 컨텐츠 관리장치(104)로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S600).
그러면, 위와 같이 크래들 장치(102)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 관리장치(104)는 크래들 장치(102)로 서버 연결을 위한 인증키를 요청하게 된다(S602).
위와 같이, 컨텐츠 관리장치(104)로부터의 인증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크래들 장치(10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키를 컨텐츠 관리장치(104)로 전송하게 된다(S604).
그러면, 컨텐츠 관리장치(104)는 크래들 장치(102)로부터 전송된 인증키를 컨텐츠 관리장치(104)에 미리 저장된 인증키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크래들 장치(102)인지를 인증한 후,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 크래들 장치(102)와 컨텐츠 관리장치(104)간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S60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102)에서 단말기(100)로의 컨텐츠 다운로드(contents download)를 위한 신호처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크래들 장치(102)에 거치시키는 경우 단말기(100)는 크래들 장치(102)로 단말 연결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S700).
그러면, 크래들 장치(102)는 크래들 장치(102)의 컨텐츠 다운로드 동작을 관장하는 크래들 클라이언트(craddle client)(206)로 단말 연결을 요청한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S702),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는 요청된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704).
이어,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는 크래들 장치(102)로 단말기(100)에 전송할 컨텐츠 파일의 크기를 요청한다(S706). 이에 따라 크래들 장치(102)는 단말기(100)에 전송할 컨텐츠 파일의 크기를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로 전달하게 되고(S708),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는 단말기(100)에 전송할 컨텐츠 파일의 크기를 인식하게 된다.
위와 같이, 단말기(100)에 전송할 컨텐츠 파일의 크기를 인식한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는 단말기(100)로 단말기(100)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을 요청한다(S710).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메모리 용량을 검사하여 단말기(100)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 정보를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로 전송한다(S712).
그러면,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받은 메모리 용량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한지를 검사하고, 다운로드가 가능한 경우 단말기(100)로 컨텐츠 관리장치(104)로부터 수신 받은 컨텐츠를 전송하여 컨텐츠의 자동 다운로드를 수행하게 된다(S714).
이어, 크래들 클라이언트(206)는 크래들 장치(102)로 단말기(100)에 전송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삭제 요청을 전송하여(S716), 단말기(100)로 전송된 컨텐츠가 크래들 장치(102)에서 삭제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로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연결시키는 크래들 장치에 있어서, 크래들 장치에 단말기가 거치되는 경우 네트워크상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설정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신받아 거치된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를 크래들 장치에 거치하는 동작만으로 미리 설정된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연결시키는 크래들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를 크래들 장치에 거치하는 동작만으로 미리 설정된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하여 컨텐츠 다운로드가 가능한 크래들 장치에 활용할 수 있다.
100 : 단말기 102 : 크래들 장치
104 : 컨텐츠 관리장치 206 : 크래들 클라이언트

Claims (10)

  1. 단말기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와 연결되며, 단말기의 접속 시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접속된 단말기와 관련된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크래들 장치
    를 포함하는 크래들 시스템.
  2. 단말기와 네트워크상 컨텐츠 관리장치를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와 컨텐츠 관리장치간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접속 시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단말기로 자동 다운로드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컨텐츠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는 크래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접속 시 상기 단말기의 잔여 메모리 용량을 검사하여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한지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접속 시, 상기 단말기의 단말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등록된 단말인지를 인증한 후, 인증된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완료 시, 상기 메모리부내 저장된 상기 컨텐츠를 삭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장치.
  6. 네트워크와 연결된 크래들 장치와 컨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크래들 장치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크래들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다운로드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크래들 장치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크래들 장치로 상기 메모리부의 잔여 용량을 검사하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크래들 장치와 단말기와 컨텐츠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크래들 시스템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크래들 장치가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 상기 단말기와 관련된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에서 상기 크래들 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크래들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요청한 상기 크래들 장치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크래들 장치가 인증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크래들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크래들 장치에서 상기 단말기의 잔여 메모리 용량을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잔여 메모리 용량과 상기 컨텐츠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경우 상기 크래들 장치가 상기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KR1020100117263A 2010-11-24 2010-11-24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101475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263A KR101475668B1 (ko) 2010-11-24 2010-11-24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263A KR101475668B1 (ko) 2010-11-24 2010-11-24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843A true KR20120055843A (ko) 2012-06-01
KR101475668B1 KR101475668B1 (ko) 2014-12-30

Family

ID=4660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263A KR101475668B1 (ko) 2010-11-24 2010-11-24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6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60B1 (ko) * 2015-06-03 2016-02-11 (주)지피아이코리아 채증용 바디캠의 자동 다운로드 시스템
WO2019177360A1 (ko) * 2018-03-13 2019-09-19 하인크코리아(주)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서리
KR20210132456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격리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581B1 (ko) * 2001-06-20 2004-10-14 (주)잉카엔트웍스 인터넷 사이트의 컨텐츠 자료를 개인용 정보 처리기로 오토 싱크하는 싱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자료 동기화 방법
KR100796958B1 (ko) * 2006-06-22 2008-01-22 신가정 휴대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ip 어댑터 및 이를이용한 컨텐츠 전송 방법
KR100839049B1 (ko) * 2006-08-08 2008-06-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제공 시스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매체 및 하드웨어 어댑터
KR101546280B1 (ko) * 2009-03-23 2015-08-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동영상 컨텐츠의 심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사용자단말, 서버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60B1 (ko) * 2015-06-03 2016-02-11 (주)지피아이코리아 채증용 바디캠의 자동 다운로드 시스템
WO2019177360A1 (ko) * 2018-03-13 2019-09-19 하인크코리아(주)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서리
KR20190108017A (ko) * 2018-03-13 2019-09-23 하인크코리아(주)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서리
KR20210132456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격리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668B1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463B1 (ko) 통신 단말들간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670571B (zh) 一种查看信息内容的方法及终端
KR100776968B1 (ko) 유연한 메시징 시스템
KR101017912B1 (ko)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00319055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449519B1 (ko)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20070100077A (ko) 휴대 단말기에서 과금 서비스 제한 장치 및 방법
CN105208089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系统
US2010011298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3038434A (zh) 设备注册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JP5359198B2 (ja) ハンズフリー装置
CN106303085B (zh) 移动终端以及保密通话的方法和装置
CN115208873A (zh) 文件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07000585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사진 등록 방법
KR101475668B1 (ko)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865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221885B1 (ko) 단문 문자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 공유방법 및 장치
KR100832337B1 (ko) 인터넷 가상저장공간을 이용한 휴대폰의 데이터 관리방법
KR102597423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US11575793B2 (en) Service system supporting voice call using digital assistant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20064471A (ko) 통신 단말 장치,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 단말 장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JP2011172068A (ja) 携帯端末の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その遠隔操作方法
KR102324391B1 (ko) 발신자 단말기의 등록전화번호정보를 사용해 ip 폰에서 전화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0245A (ko) 컴퓨터 기반 이동통신 단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7425B1 (ko) 단말 장치 연동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