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575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575A
KR20130054575A KR1020110120038A KR20110120038A KR20130054575A KR 20130054575 A KR20130054575 A KR 20130054575A KR 1020110120038 A KR1020110120038 A KR 1020110120038A KR 20110120038 A KR20110120038 A KR 20110120038A KR 20130054575 A KR20130054575 A KR 20130054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terminal
lost
identifi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은석
장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4575A/ko
Priority to US13/678,337 priority patent/US20130130640A1/en
Publication of KR2013005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제어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SS OF PORTABL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개개인의 필수 통신 장비로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휴대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통화를 위한 수단을 넘어 연락처, 전화번호, 일정관리, 메모 등을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는 개인 정보 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을 위한 수단으로 변화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크고, 실제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휴대용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가 타인에게 유출되거나 분실된 휴대용 단말기가 타인에 의해 악의적으로 사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의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의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비상연락망으로 통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비상연락망으로 통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기 등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기 등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와 비상 연락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기 등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기 등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의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비상 연락망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말의 분실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기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서버에서 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 및 제어하는 제어 서버와 휴대용 단말기는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를 이용하여 제어 서버와 통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제어 서버와 휴대용 단말기는 다른 형식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통신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 무선통신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식별자는, 서비스 사업자에게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신청 시, 서비스 사업자에게 등록된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또는 웹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 식별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고, 사용자 식별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기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101단계에서 사용자 정보 등록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 등록 메뉴를 선택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 등록을 위한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지 확인한다.
사용자 정보 등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1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사용자 암호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등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암호 입력 창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부에 표시된 암호 입력 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사용자 암호를 확인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105단계로 진행하여 103단계에서 확인한 사용자 암호의 인증 여부를 확인한다.
103단계에서 확인한 사용자 암호를 인증하지 못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 암호를 입력한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 등록 권한이 없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103단계에서 확인한 사용자 암호의 인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 암호를 입력한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 등록 권한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10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단말 정보 제어 메뉴를 선택하는지 확인한다.
사용자가 단말 정보 제어 메뉴를 선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10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 또는 변경 또는 삭제한다.
한편, 사용자가 단말 정보 제어 메뉴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11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분실 정보 관리 메뉴를 선택하는지 확인한다.
사용자가 분실 정보 관리 메뉴를 선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11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비상 연락망 정보를 등록 또는 변경 또는 삭제한다.
한편, 사용자가 분실 정보 관리 메뉴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11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암호 제어 메뉴를 선택하는지 확인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암호 제어 메뉴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10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단말 정보 제어 메뉴를 선택하는지 다시 확인한다.
한편, 사용자가 사용자 암호 제어 메뉴를 선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11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정보 등록 권한에 대한 사용자 암호를 등록 또는 변경 또는 삭제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말 정보, 분실 정보 관리 및 사용자 암호를 제어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말 정보, 분실 정보 관리 및 사용자 암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를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 서버가 단말 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 서버가 단말 정보를 요청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전원이 온(ON) 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전원이 새롭게 온 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가 변경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SIM 카드가 변경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된 SIM 카드를 통해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한 후,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203단계에서 확인한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가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 서버는 하기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서버는 301단계에서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확인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 서버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단말 정보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한 경우,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확인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 서버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일정 시간 동안 단말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 서버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단말 정보를 다시 요청한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 단말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로 단말 정보를 요청한 단말 정보 요청 횟수를 확인한다. 만일, 단말 정보 요청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적은 경우, 제어 서버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단말 정보를 다시 요청한다. 한편, 단말 정보 요청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이 단절된 것으로 인식한다. 여기서,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 정보 요청 횟수를 초기화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어 서버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정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한 후, 제어 서버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기 등록된 다수 개의 등록 정보들 중 307단계에서 확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한 등록 정보를 선택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 서버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에 따라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제어 서버는 309단계에서 확인한 등록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자와 307단계에서 확인한 사용자 식별자가 동일한지 확인한다.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제어 서버는 301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한편,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제어 서버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등록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 서버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제어 서버는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로 단말 정보를 요청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가 전송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서버는 40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어 서버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정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한 후, 제어 서버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기 등록된 다수 개의 등록 정보들 중 403단계에서 확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한 등록 정보를 선택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 서버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에 따라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제어 서버는 405단계에서 확인한 등록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자와 403단계에서 확인한 사용자 식별자가 동일한지 확인한다.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제어 서버는 401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제어 서버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등록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 서버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미 도시되었지만, 제어 서버는 도 3과 도 4에서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 후,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 후,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분실이 등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분실이 등록되는 경우, 제어 서버는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모든 서비스를 차단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분실이 등록되지 않는 경우, 제어 서버는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지원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 후,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 상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제어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신의 분실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501단계에서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 서버가 단말 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 서버가 단말 정보를 요청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전원이 온(ON) 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전원이 새롭게 온 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가 변경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SIM 카드가 변경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된 SIM 카드를 통해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에 따라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505단계에서 확인한 등록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자와 503단계에서 확인한 사용자 식별자가 동일한지 확인한다.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이 분실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501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한편,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이 분실되어 타인에게 악용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서버로 분실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확인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 서버는 하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서버에서 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서버는 60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분실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등록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분실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어 서버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제어 서버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미 도시되었지만, 제어 서버는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 후, 분실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 후,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분실이 등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분실이 등록되는 경우, 제어 서버는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모든 서비스를 차단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분실이 등록되지 않는 경우, 제어 서버는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지원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서버는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 후,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 상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신이 분실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서버로 분실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하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신이 분실된 것으로 확인되면, 비상 연락망으로 분실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701단계에서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 서버가 단말 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 서버가 단말 정보를 요청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전원이 온(ON) 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전원이 새롭게 온 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가 변경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SIM 카드가 변경되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된 SIM 카드를 통해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에 따라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705단계에서 확인한 등록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자와 703단계에서 확인한 사용자 식별자가 동일한지 확인한다.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이 분실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701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한편, 단말 식별자에 매칭된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이 분실되어 타인에게 악용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확인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800), 저장부(810), 표시부(820), 입력부(830), 오디오 처리부(840) 및 통신부(850)를 포함한다.
제어부(8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8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고려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 정보, 분실 정보 관리 및 사용자 암호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 또는 변경 또는 삭제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8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하여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8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800)는 저장부(810)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의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이 확인된 경우, 제어부(8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8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800)는 저장부(810)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의 사용자 식별자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이 확인된 경우, 제어부(800)는 저장부(810)에 저장된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해당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저장부(8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8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와 비상 연락망을 저장한다.
표시부(820)는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820)는 정보의 표시 및 입력 수단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83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8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82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입력부(83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부(8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840)는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840)는 제어부(800)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고, 마이크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800)로 제공한다.
통신부(850)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서버는 제어부(900), 저장부(910) 및 통신 인터페이스(920)를 포함한다.
제어부(900)는 제어 서버의 전체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900)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식별자와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고려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90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기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이 확인된 경우, 제어부(900)는 저장부(910)에 저장된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9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분실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저장부(910)에 저장된 비상 연락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해당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저장부(910)는 제어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9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와 비상 연락망을 저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20)는 휴대용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처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6)

  1.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기 등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를 이용하여 전송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비상 연락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비상 연락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등록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통신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기 등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비상 연락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비상 연락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등록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제어 서버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등록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와 비상 연락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기 등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를 이용하여 전송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비상 연락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등록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무선통신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분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것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기 등록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 연락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등록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제어 서버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정보는, 휴대용 단말의 분실 여부, 휴대용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등록한 위치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최종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120038A 2011-11-17 2011-11-1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54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038A KR20130054575A (ko) 2011-11-17 2011-11-1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678,337 US20130130640A1 (en) 2011-11-17 2012-11-15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ss of portabl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038A KR20130054575A (ko) 2011-11-17 2011-11-1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75A true KR20130054575A (ko) 2013-05-27

Family

ID=4842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038A KR20130054575A (ko) 2011-11-17 2011-11-1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30640A1 (ko)
KR (1) KR201300545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8507B1 (en) * 2016-04-25 2019-01-08 Tiptags Inc. Messaging systems for sharing location specific information
CN109076308A (zh) * 2016-05-24 2018-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紧急任务用户与其用户设备的关联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51110C2 (de) * 1996-12-09 1998-11-12 Ericsson Telefon Ab L M USSD-Positionierung
US7890083B2 (en) * 2004-12-03 2011-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cking stolen mobile device connected to wireless or wired network
US8036707B2 (en) * 2006-09-14 2011-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instant messaging
US9729696B2 (en) * 2006-09-20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M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30640A1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70571B (zh) 一种查看信息内容的方法及终端
US8209426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nabling access to content in a network service
KR101316007B1 (ko)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313870B2 (en)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20078801A (ko) 통신 단말기의 분실 모드 수행 방법 및 장치
CN103098452A (zh) 移动终端、远程操作系统、移动终端的数据发送控制方法以及非瞬时计算机可读介质
KR20130085509A (ko)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EP34072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loss of card or device associated with account number or stolen of account number
KR20120007534A (ko)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CN109246094B (zh) 用户终端的验证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6113139B2 (ja) 携帯通信端末搭載プログラムを用いた携帯通信端末間の遠隔制御方法
US9007172B2 (en) Smart key card
KR2013005457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1223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기반의 인핸스드 어드레스 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243159A (zh) 业务操作的验证方法、服务器及终端
KR101483400B1 (ko)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KR201101085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1693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N110139230B (zh) 转发短信的方法、装置及智能设备
CN110768995B (zh) 安全验证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0983146B1 (ko) Voip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voip 통신 지원 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4497023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通信端末
CN107645505B (zh) 信息获取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60012853A (ko) 통신단말기 인증처리시스템, 통신단말기, 단말기 인증서버 및 그 인증처리방법
KR20110082807A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