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549A -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거운 문짝을 위한 콤팩트한 캐리지 - Google Patents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거운 문짝을 위한 콤팩트한 캐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549A
KR20110133549A KR1020117017952A KR20117017952A KR20110133549A KR 20110133549 A KR20110133549 A KR 20110133549A KR 1020117017952 A KR1020117017952 A KR 1020117017952A KR 20117017952 A KR20117017952 A KR 20117017952A KR 20110133549 A KR20110133549 A KR 2011013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section
control
arm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993B1 (ko
Inventor
볼프강 우에스테펠트
디르크 뮈게
Original Assignee
하우타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371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3354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900401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9004013B4/de
Priority claimed from EP09173096A external-priority patent/EP2216472B1/de
Application filed by 하우타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우타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13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3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05D2015/103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the wing supported on arms extending from the 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지 및 문짝을 평행한 정지 위치에서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과 관련이 있다. 캐스터(20, 21)의 직경이 큰 경우에도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을 얻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의 캐스터(20, 21)를 구비한 하우징 영역(10) 그리고 연장 암(30)을 선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위치(16)가 제공된다. 문짝을 평행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연장 암(30)은 문짝을 위한 먼 지지 위치(100) 그리고 하우징 영역(10)에 더 가깝고 제어 암(35)의 한 단부를 위한 지지 위치(38)를 갖는다. 제어 섹션(40; 41)은 하우징 영역(1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어 암(35)의 다른 단부 영역을 위한 가이드(41)를 갖는다. 연장 암(30)은 안으로 선회된 위치에서는 - 상기 연장 암을 수평 방향에서 바라볼 때 - 제어 암(35)을 완전히 덮는다. 이때 제어 암(35)은 선회 평면에 놓이게 되는데, 이 선회 평면은 연장 암(30)의 상부면 아래에서는 평행하게 변위 배치되어 있고, 연장 암(30)의 하부면 위에서도 평행하게 변위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지는 콤팩트한 동시에 효율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거운 문짝을 위한 콤팩트한 캐리지 {COMPACT CARRIAGE FOR A LONGITUDINALLY MOVABLE, HEAVY DOOR LEAF}
본 발명은 윈도우 또는 도어를 구성하는 문짝을 위한 캐리지의 개량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짝은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평행한 정지 위치를 갖는다. 윈도우 또는 도어를 폐쇄하기 위하여 문짝은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평행한 가동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문짝은 두 개 이상의 캐리지에 의해서 움직이며, 상기 캐리지 각각은 두 개 이상의 캐스터(caster)를 구비하고, 문짝의 이동 시에 문짝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청구된 본 발명은 청구된 캐리지가 상대적으로 더 높고 더 무거운 문짝을 위해서 상대적으로 더 낮은 전체 높이 및 더 무거운 지지 중량을 가질 수 있도록 결정적인 기여를 하는, 공지된 캐리지와 비교되는 몇 가지 개선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때 2중(double) 실시 예에서는 중량이 200kg까지 이를 수 있고, 표준 실시 예에서는 160kg까지 이를 수 있다. 롤러의 크기가 롤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기준으로 할 때 충분히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소음이 없는 안정적인 주행 특성에 도달하게 된다. 롤러는 은폐되어 있고, 전체 캐리지는 콤팩트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평행한 정지 위치에서) 문짝을 위해 125mm까지의 상당히 긴 연장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다.
선행 기술에 따른 해결책들은 특히 DE-A 32 34 677호 및 (GU의) 해당 EP-B 103 725호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상기 간행물에서는 고정 암을 갖는 두 개의 캐리지가 문짝을 평행한 정지 위치로 이동하고, 연장 암의 정지 위치는 상기 간행물의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연장 암은 구부러져 있고, 도면 부호 (19)의 제어 암은 직선 형태이다. 캐리지 자체는 도면 부호(23)의 선행하는 제어 섹션을 구비하며, 스프링에 의해서 하중을 받고 상기 연장 암에 맞물리는 차단 부재(39)에 의하여 폐쇄 위치에 록킹될 수 있다.
다른 해결책은 (GU의) EP-B 201 717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간행물에서는 이 간행물의 도 5에 따른 길게 늘어진 직선 형태의 두 개 연장 암에 의해서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암은 하나의 캐리지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도면 부호 25의 커플링 로드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암도 마찬가지로 캐리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도 3에 도면 부호 (21, 22, 23)으로 도시된 제어 섹션을 구비하며, 가이드 링크(21)가 제어 암(19)에 삽입된 위치의 릴리스 동작은 주행 레일 위에 있는 수용부에 의해서 실현되고, 상기 수용부 안에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볼트(21)가 결합되며, 이와 달리 앞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GU의 간행물의 도 4에는 제어용 돌출부(23), 하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볼트(21) 그리고 블라인드 프레임에 장착된 스탠드 안에 배치된 수용부(32)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록킹 볼트의 하단부가 도면 부호 (32)의 릴리스 갭 또는 릴리스 슬롯의 에지에 충돌하자마자 제어 암의 자유 단부가 이 수용부에 접하도록 형성되었다. 하향으로 돌출하는 볼트로서의 기능을 하는 록킹 부재(21)의 배출 동작은 하부 연장 암의 상대적인 선회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고정 프레임(블라인드 프레임)을 향한 문짝의 역 선회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상기 간행물의 칼럼 7, 46행 내지 칼럼 8, 23행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간행물에서뿐만 아니라 본 경우에도 문짝이 하부 에지에 있는 캐리지에 의해서 고정, 가이드 및 이동될 뿐만 아니라 문짝의 상단부에 문짝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동적인 전단 부재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특별히 상기 캐리지 및 전단 부재에 초점이 맞추어지지 않고, 오히려 문짝의 하부 영역에 본 발명의 무게 중심이 실리게 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전술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비해 개선될 수 있는 캐리지(들)의 구조 및 형상에 무게 중심이 실리게 된다.
EP-B 619 410호(Hautau)의 도 1에서는 캐리지 하우징에 있는 선행하는 제어 섹션에 의해서도 동작이 이루어진다. 두 개의 연장 암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5)를 갖는 캐리지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 안에서는 오로지 하향으로만 돌출하는 단 하나의 볼트가 슬롯(4)에 의해서 가이드 된다. 두 개의 암은 직선으로 그리고 길게 늘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두 개의 암 중에 어느 것도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지 않는다. 문짝이 메인-연장 암의 외부 선회 동작에 의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도달할 수 있는 연장 거리는 상기 간행물의 도 3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의 메인-연장 암(10)은 상기 간행물의 외부 선회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청구된 본 발명의 한 가지 과제는 캐리지를 콤팩트한 동시에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 경우 효율은 높은 파워 및 그와 더불어 큰 문짝 중량을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 평행한 정지 위치로 가이드 할 수 있는 가능성 그리고 그와 동시에 크지 않은 구조적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과 관련이 있으며, 이와 같은 크지 않은 구조적 형상으로 인해 캐리지는 폐쇄 위치에서 문짝 하부에 있는 낮은 설치 영역 내부에 맞게 가늘고 길게 그리고 보기 좋게 적응되어 주행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연장 거리, 즉 문짝을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캐리지의 능력은 커야만 한다. 다시 말하자면 효율적인 동시에 콤팩트해야만 한다는 모든 요구 조건들이 캐리지에 제기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요약된 다수의 제안들을 제시한다. 상기 요약은 각각 개별적으로 요약될 수 있지만 조합적인 형태로도 요약될 수 있는 특징 (a) 내지 (g)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청구항 1의 제 1 부분의 특징들(세 개의 줄표)은 모든 개별적인 특징 (a) 내지 (g)에 그리고 상기 일곱 가지 최소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동일하게 할당될 수 있다.
대안적인 한 가지 해결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해결책이다. 청구항 10에는 청구항 1에 상응하는 도입 섹션과 연관된 두 가지 특징 (A) 및 (E)가 중복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 특징들은 "특징 그룹"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임의의 조합이 가능하다면, 이와 같은 조합은 두 가지 또는 여러 가지 특징들의 조합과도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면 특징 (a)와 (b)의 조합, 또는 특징 (a)와 (g)의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일곱 가지 특징들의 임의의 다중-조합도 가능한데, 본 경우에 예를 들자면 특징 (d), (f)와 (g)의 조합 또는 특징 (a) 내지 (c)의 조합 또는 특징 (b), (f)와 (g)의 조합이 가능하다.
청구된 캐리지 또는 방법(작동 방법 또는 장착 방법)은 문짝을 평행한 정지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캐리지는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을 갖거나 또는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을 가져야만 한다. 상기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롤러는 하우징 영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다시 말하자면 하우징 영역의 전체 높이의 90% 내지 95%를 차지해야만 한다. 캐스터를 위로부터 덮기 위하여 위로부터 롤러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하우징 영역의 상부 면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터는 하우징 영역 안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캐스터는 지지 위치를 가지며, 이와 같은 지지 위치에서는 연장 암이 하우징 영역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장 암은 문짝의 하중을 수용하고 상기 문짝을 평행한 정지 위치에, 다시 말해 (블라인드 프레임으로서)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연장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고정하는 메인 암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연장 암은 문짝을 고정 및 지지하는 먼 지지 위치를 갖는다. 하우징 영역에서 상기 지지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놓인 지지 위치는 연장 암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암의 한 단부를 위해서 제공되었다. 상기 제어 암은 또한 하우징 영역으로부터 계속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어 섹션 안에서 가이드 되는 추가의 단부 영역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섹션은 가이드를 갖는데, 이 가이드는 전술된 제어 암의 "추가" 단부 영역을 가이드 하고, 상기 암의 특정한 이동 과정을 사전에 결정한다.
짧은 요약서에는 선회 가능한 (핸들로서의) 두 개의 암 및 하나의 하우징 영역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제어 섹션은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암의 이동을 제어한다. "폐쇄 위치"(위치 S) 및 개방 위치(위치 O)가 언급되는 경우, 이와 같은 위치 용어는 선회되어 하우징에 인접하는 연장 암의 상태를 의미하거나 또는 문짝의 큰 연장 거리 및 평행 정지 위치를 규정하는 연장 암의 조정된 선회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위치 용어는 문짝의 폐쇄 위치 및 문짝의 개방 위치를 직접 언급하고 있지만, 본 경우에는 문짝 없이 청구된 캐리지의 암의 상응하는 위치 및 선회 위치와 관련이 있다.
본 경우에도 언급해야 할 사항은 문짝의 상부면에 있는 전단 가이드 및 다수의 전단 장치에 대해서는 특별한 설명이 필요치 않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상기 전단 가이드 및 전단 장치는 통상의 구조로 설계되었고, 종래 기술에서 참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사항은 청구된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의 형상이다.
본 발명의 한 대안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연장 암은 이 연장 암이 제어 암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징 그룹 (a)는 재차 선회 평면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선회 평면은 수평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연장 암의 상부면 아래에 그리고 하부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연장 암은 상부 및 하부에서 면들을 규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피가 있는 형상을 갖고, 상기 면들은 수평 확대부에서는 평면으로서 간주 될 수 있다.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평면이 제어 암의 이동에 의해서 규정되는 선회 평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면, "외부로부터" 볼 때, 다시 말해 연장 암의 외부면으로부터 볼 때에는 선회 암이 보이지 않는다. 선회 암은 특히 폐쇄 위치에서는 완전히 덮여 있고, 선회 암 상에서 또는 선회 암의 상부면 위에서 그리고 선회 암의 하부면 아래에서는 관절식으로 연결되지도 않고 움직이지도 않는다.
선행 기술의 후자의 장치들은 대부분 두 개의 편평한 핸들에 의해서 작동되며, 상기 두 개의 핸들은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핸들 중에 어느 것도 부피가 있게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한 측면으로부터 다른 핸들을 덮을 수 없다. 관찰 방향이 외부로부터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관찰 방향은 제어 핸들에 대하여 마주 놓인 연장 암의 측이 된다.
캐리지가 장착된 위치에서는 상기 캐리지가 대부분 공간 내부 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라는 용어는 조립 장소의 외부 공간과 혼동되어서는 안 되고, 오로지 내부로서 간주되는 캐리지를 기준으로 바라보아야만 하며, 외부로부터의 시선은 문짝을 지지하는 연장 암의 후면을 바라보는 시선이다.
추가의 한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는 특히 처음에 언급된 대안적인 실시 예와 중복적으로 폐쇄 위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위치 S는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연장 암의 형상이다. 상기 연장 암은 제어 암이 그 안에 큰 부분으로, 하지만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롯 섹션(갭 섹션)을 갖는다. 이와 같은 상황은 폐쇄 위치와 관련이 있다.
개방 위치에서는 제어 핸들이 상기 슬롯 또는 갭으로부터 외부로 선회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갭은 연장 암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캐리지의 하우징 영역 쪽을 향하고 있다. 슬롯/갭은 제어 암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특징 (a)에 따라 제어 암의 커버링을 개선하며, 추가로 안전 위치 또는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제어 암이 폐쇄 위치에서는 위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리프팅 차단 또는 리프팅에 대한 보호 조치가 조성된다.
슬롯 또는 갭은 상부면으로부터 간격을 갖고, 부피가 있게 형성된 연장 암의 하부면으로부터 간격을 갖는다. 슬롯 또는 갭은 제어 암을 덮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정도 이상으로 연장 암의 지지력을 약화시키지 않기 위하여 지나치게 심하지 않게 높이 방향으로 두드러져 있다.
상기와 같은 내용은 특히 특징 (f)와 관련해서도 관찰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슬롯 또는 갭이 깊이 방향으로 (청구항 6)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특히 본 명세서의 서문에 언급된 바와 같은 중량에 대해서 연장 암의 강도 그리고 그 결과로 지지 능력도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위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수평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탈되는 이동 동작에 대한 추가의 차단은 위로 폐쇄된 제어 블록에 의해서 보장되며, 상기 제어 블록은 삽입 개구 및 그 위 상부 측에 폐쇄된 벽 혹은 면을 갖고, 상기 벽 혹은 면은 바람직하게 볼트로 형성된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의하여 상기 차단 작용을 구현한다(청구항 6의 마지막 부분).
공개된 것으로 간주 될 경우에는 전술된 하나 또는 다수의 대안적인 실시 예의 중복으로도 간주 될 수 있는 추가의 한 대안적인 실시 예에 캐리지의 개방 위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위치 O는 선회된 연장 암과 관련이 있다. 상기 특징 그룹 (c)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들의 작용은 휘어진/구부러진 단부 영역을 갖는 제어 암을 아래로부터 가이드 하는 동작 그리고 상기 단부 영역을 위로부터 릴리스하는 동작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및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이중 돌출부의 의미로 사용되며, 상기 이중 돌출부는 전술된 제어 암의 선회 평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거나 하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돌출부는 바람직하게 볼트로서 형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동작 및 릴리스 동작을 위해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부시 모양으로 재킷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래로부터 이루어지는 가이드 동작은 제어 섹션이 담당하며, 상기 제어 섹션은 하우징 영역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하우징 영역의 세로 방향으로 연속되고, 특히 깊은 홈의 형태로 된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홈 안으로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홈에 의해서 가이드 된다.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는 제어된다. 제어라는 용어의 의미는 특히 상기 돌출부 그리고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휘어진 단부 영역 및 전체 제어 암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거나 느슨하게 하는 릴리스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록킹 해제 동작 또는 릴리스 동작은 해체 가능한 삽입 록킹 위치와 관련이 있으며, 상기 위치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관련된 가이드 홈의 꺾어진 섹션에 의해서 도달하게 된다. 상기 위치 O는 문짝의 평행-정지 동작을 위해서 연장된 위치이고,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통해 가이드 홈의 꺾어진 섹션 안에 록킹되는 제어 핸들을 통해서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연장 위치를 벗어나기 위하여 그리고 문짝을 새로이 블라인드 프레임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어 암은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통해서 위로부터 릴리스 되고, 이 목적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제어 블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블록 안으로는 제어 섹션이 삽입되고, 상기 제어 블록은 하향으로 개방된 팩 홀과 유사한 리세스로서 이용되는 레일 형태의 삽입구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삽입시에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착하여 상기 돌출부를 제어 섹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의 록킹 해제 또는 릴리스 후에는 연장 암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가이드 장치를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된 특징은 가이드 동작과 제어 동작 간에 구별을 만든다. 가이드 동작은 아래로부터 또는 제어 암 아래에 있는 하부 영역에서 이중 돌출부의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중 돌출부의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는 작용적으로 볼 때 제어와 연관되어 있고, 이와 같은 제어는 특히 가이드 장치가 꺾어진 단부 섹션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그로 인해 위치 O로부터의 록킹 해제 또는 릴리스가 가능해진다.
상기 특징은 특히 전술된 특징 (a) 혹은 (b)와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두 가지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추가의 한 대안적인 실시 예에는 가이드 장치의 형상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가이드 장치를 이동시킬 목적으로 가이드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 장치는 위로 개방된 가이드 홈으로 형성되었다. 가이드 홈 자체는 연속하지 않는 바닥을 갖는데, 다시 말하자면 하향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섹션 방식으로 폐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향으로 폐쇄되는 홈의 폐쇄 동작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경우에 따라 홈 안으로 유입되는 오물을 하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관통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지 섹션 방식으로만 이루어진다.
오물의 배출 동작은 위로부터 가이드 홈 안으로 삽입되어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오물을 동반하여 바닥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홈의 개별 단부에 있는 하나 또는 다른 개구(이 개구를 통해 오물이 가이드 홈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됨)에 제공함으로써도 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체 세척 방식은 가이드 홈을 지지하는 제어 섹션의 보강과 연관되어 있다.
하우징의 세로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어 섹션은 강성이 충분하지 않은 주변 벽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바람직하게 편평한 연결부로서 뿐만 아니라 부분 바닥으로서도 간주 될 수 있는 가로 버팀대에 의하여 바닥 측이 보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홈의 개별 단부 영역에서는 바닥의 관통 개구가 개방되어 있다.
가로 방향으로 절단하는 경우에는 제어 섹션의 세로 방향의 적어도 소수의 장소에서 U자 모양의 프로파일이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 섹션의 가이드의 강도 및 안전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선은 제어 섹션이 선행하거나 또는 앞에 설치된 경우에도 가능하며, 폭이 다른 하우징 섹션에 의해서는 측면, 상부 또는 하부가 보강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특징은 특히 전술된 특징과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특징 그룹 (a) 또는 (b)와도 조합될 수 있다.
추가의 한 실시 예(특징 그룹 (e))에서 청구항 1은 제어 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섹션의 형상을 기술한다. 추가의 제어를 위해 제어 블록이 추가되며, 상기 제어 블록은 주행 레일 프로파일에 있는 주행 경로의 단부에 별도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은 기능상 제어 암이 삽입 록킹된 위치, 다시 말해 제어 섹션의 가이드의 한 단부에서 이곳에 놓인 제어 암의 단부가 삽입 록킹되는 위치로부터 파생된다.
삽입 록킹 동작은 해체 가능한 삽입 록킹 동작이고, 릴리스 동작은 가이드 장치의 한 단부로부터 가이드 홈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상기 가이드 장치의 메인 구성 부품의 세로 연장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인출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장치의 한 단부는 단부 영역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꺾어진 단부이다.
제어 섹션은 이 섹션이 캐리지 주행 경로의 마지막에 제어 블록의 가로로 연속하는 수용부 안에 맞물릴 수 있도록 가늘고 길게 그리고 선행하도록 형성되었다. 상기 제어 섹션은 맞물릴 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로 연속하는 (측면이 연속으로 개방된) 수용부를 관통하기도 한다.
상기 코 모양의 가느다란 제어 섹션의 관통 결합의 시간적인 마지막 섹션에서는 제어 블록이 위로부터 작용을 시작한다. 이때 상기 제어 블록은 이 제어 블록이 위로부터 작용하여 제어 암을 삽입 록킹 위치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며, 특히 가이드의 꺾어진 단부 영역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되었다.
바깥쪽으로 제어하기 위한 형상은 바람직하게 측면 쪽으로 개방된 레일 형태의 삽입구로서 형성되었고, 기울어진 상태로 진행하며, 위쪽이 벽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데, 상기 벽은 제어 블록의 전체 상부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특이한 실시 예에서 제어 암의 가이드는 아래로부터 그리고 제어 암의 제어는 위로부터 이중 돌출부에 의해서 구현되며, 상기 이중 돌출부는 상응하게 상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돌출하는 핀으로서 제어 암의 선회 평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징은 후속하는 특징 (f) 및 (g) 중에 하나의 특징과 조합되고, 특별하게는 두 가지 특징과 공통으로 조합된다. 추가의 조합 가능성들은 제어 암의 선회 평면을 기술하는 특징 (d), 특징 (c) 또는 특징 (a)로 구성된다. 특징 (e)와 전술된 두 가지 이상 특징들의 조합도 개시되어 있다.
대안적인 한 실시 예에서는 특징 (a)가 다른 기재 방식으로 규정되어 있다. 본 경우에는 연장 암의 부피 있는 형상이 다루어지고 있다.
부피가 있는 형상이란 입체적으로 두껍고 굵은 형상으로서, 이와 같은 형상은 플레이트 모양의 핸들 형상이 아니라, 오히려 부피가 있는 암으로서 플레이트 모양을 기억하는 상대적으로 편평한 제어 핸들보다 훨씬 더 두껍게 형성되었지만, 상기 제어 핸들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세로 방향으로 향하는 주조부에 의해서 보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강에 의해서도 부피 형태로 형성된 연장 암과 달리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된 핸들로서 유지된다.
적어도 위치 O에서는, 다시 말해 외부로 선회된 위치에서는 연장 암이 직선이다. 상기 연장 암은 지지 영역에서는 하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지만, 이와 같은 형상은 개방 위치에서는 볼 수 없고, 하우징 영역 안에서만 유지된다. 그와 달리 제어 암은 직선 섹션 및 구부러진 섹션을 가지며, 상기 구부러진 섹션은 제어 섹션 쪽을 향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제어 암을 덮을 수 있고, 높은 지지 하중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연장 암을 갖는 캐리지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하나 또는 다수의 특징들과 중복되는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는 또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는 이중 볼트가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이중 볼트는 제어 핸들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부 영역은 제어 섹션의 가이드의 청구항 1의 세 번째 줄표 다음에 할당된 "다른" 단부 영역이다.
이중 볼트는 돌출부로서 상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돌출하며, 이 경우 하부 돌출부는 가이드를 위해서 제공되었고, 상부 돌출부는 삽입 록킹된 위치로부터 릴리스하기 위해서 제공되었다(작동 방법으로서도 볼 수 있음, 청구항 21). 삽입 록킹된 위치는 문짝이 평행하게 정지된 상태에서의 위치 O이다. 문짝은 캐리지 장치의 구성 부품은 아니지만 작동 방법에서는 나타날 수 있다.
본 경우에 양 측면 이중 볼트의 반대편은 명백하게 표현된다. 위로부터 (제어 블록에 의해서) 릴리스 동작이 이루어지고, 아래로부터 또는 "아래에서" (제어 섹션 안에서) 가이드 동작이 이루어진다. 단부 영역에서 바람직하게 제어 핸들의 구부러진 섹션의 형상으로 설치된 이중 볼트의 조립 영역에서는 방사 방향으로 제어 볼트의 치수를 초과하는 주변을 둘러싸는 칼라(collar)가 나타난다. 상기 칼라는 다른 안전의 목적을 위해서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해체 가능한 삽입 록킹 위치(청구항 2)는 가이드의 구부러진 단부 영역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의하여 도달하게 된다. 상기 위치는 고정될 수 있는데, 이 목적을 위해서는 수평 방향으로 압력 또는 파워를 행사하는 스프링 소자가 이용된다. 상기 파워는 측면 플레이트 돌출부를 통하여 전방 단부 영역인 휘어진 섹션에 작용을 한다. 상기 파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구부러진 레일 섹션의 방향으로 작용을 한다.
스프링 소자 자체는 교체 가능하다(청구항 14, 18).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스프링 소자에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직선의 고정 섹션이 제공되고, 상기 스프링 소자는 바람직하게 이 스프링 소자의 고정 섹션의 자유 단부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언더커트(undercut)를 가질 수 있는 챔버 안에 수용될 수 있기 위하여 반 원호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의 록킹을 릴리스하기 위하여 챔버가 위로 개방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챔버는 교체될 수 있다.
제어 핸들의 외부로, 구부러진(휘어진) 단부 섹션 쪽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만곡부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소자의 압력을 행사하는 섹션은 바람직하게 구부러져 있다.
탄력 및 스프링 소자의 고정 작용에 추가로 하우징 영역의 오버랩 섹션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오버랩 섹션은 구부러진 제어 섹션의 측면 플레이트 돌출부에 걸쳐 있다(청구항 2, 15, 16).
상기와 같은 오버랩 현상은 삽입 록킹된 위치에서 존재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존재하지만, 상향으로 돌출하는 핀을 갖는 제어 암은 제어 블록에 의하여 삽입 록킹된 위치로부터 외부로 제어되며, 그리고 제어 블록 및 상기 제어 블록의 레일 형태의 삽입구에 의해서 상기 제어 암의 고정 작용 안에 수용된다.
제어 섹션에서의 삽입 록킹 위치가 블라인드 프레임에서의 제어 블록으로 교체되는 과정은 상기 오버랩 섹션에 의해서 추가로 보장된다(청구항 16). 그럼으로써 상향으로의 록킹 결합 해제 또는 이탈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하우징 영역의 다른 장소, 즉 단부 섹션에는 위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부재는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청구항 3, 20).
상기 스프링 부재는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플레이트 모양이고,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록킹 위치를 갖는다(청구항 4, 5). 상기 두 가지 록킹 위치는 더 외부에 놓인 위치 그리고 더 내부에 놓인 위치이다.
스프링 부재는 모방 절삭된 캐리지 레일 안에 삽입된 위치에서 캐리지의 고정 위치를 지지한다. 이때 캐리지는 처음에는 기울어지고, 삽입-/경사 이동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회전에 의하여 캐리지 레일 안으로 삽입되며, 순간-회전 포인트를 형성하는 캐리지 롤러 위로 가이드 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캐리지는 상기 선회 동작을 실시할 수 있기 위해서 캐리지 레일의 상부 오버랩 섹션으로부터 최소 간격(갭)을 갖는다. 하우징 영역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돌출부는 상기와 같은 갭에도 불구하고 내부로의 선회 동작을 위해서 필요한 상기 오버랩 섹션 하부에 결합된다(청구항 16). 이와 같은 특징은 조립 방법의 범위 안에도 포함된다(청구항 21).
삽입된 상태에서는 삽입의 목적으로 자유롭게 형성된 간극이 방해가 된다. 따라서, 간극의 크기는 스프링이 삽입될 정도로 그리고 간극의 높이가 최소로 줄어들 정도로 축소된다(청구항 20).
이동 동작은 스프링 부재의 록킹 위치로부터 (캐리지 레일 쪽으로) 더 내부에 놓인 동일 스프링 부재의 추가 록킹 위치로 이루어진다.
캐리지가 재차 인출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정렬된 경사 동작을 이용해서 캐리지를 캐리지 레일로부터 외부로 선회시켜서 제거할 수 있기 위하여 스프링이 외부로 역으로 이동된다.
연장 암은 안으로 선회된 위치, 즉 위치 S에서는 하우징 영역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세로 가이드에 대하여 하향으로 꺾어진 제어 섹션의 한 측면 영역에 있는 복부 모양의 만곡부는 연장 암의 복부 모양 리세스 안에 수용된다(청구항 7).
바람직한 높이 치수 및 높이 관계는 연장 암의 높이와 관련이 있고(청구항 9), 그리고 연장 암의 두께는 제어 암에 대하여 상대적이다(청구항 8).
돌출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볼트 부재들이다(청구항 11). 볼트 부재들은 동일한 축을 가질 수 있다. 제어 블록은 바람직하게 상부면을 갖는 벽에 의해서 상부면이 폐쇄되어 있다(청구항 12).
청구항 1의 특징 (a) 및 (e)에 의존하여 요약된 해결책은 특징 (A) 및 (E)를 포함하는 청구항 10에 존재한다. 이와 같이 청구된 캐리지는 청구항 10의 서문에 언급된 세 개의 (-)를 통해 두 개의 암 및 하나의 하우징 영역에 의해서 규정되었고, 하나의 제어 섹션이 보완되었다.
제어 섹션은 제어 암을 제어하고, 이동 가능한 세로 가이드를 위하여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수용한다.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는 특히 캐리지 주행 경로의 마지막에서 제어 블록에 의해 작동되는데, 다시 말해 제어된다. 제어 섹션이 제어 블록의 수용부 안으로 삽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 1 삽입 동작의 마지막에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제어 블록의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레일 형태 삽입구 안으로 삽입되어 제어 암의 구부러진/휘어진 섹션을 이동시키고, 그와 더불어 전체 제어 암을 삽입 위치로부터 외부로 인출시킨다.
상기와 같은 인출 동작은 위로부터의 역 제어에 의해서 그리고 아래로부터의 가이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문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도 간주됨, 청구항 21).
제어 섹션이 제어 블록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제어 섹션이 지나치게 큰 부피로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섹션은 코 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기재되어 있다. 그에 따라 횡단면 치수를 기준으로 할 때 길이에 비해 가느다란 매우 긴 코가 언급되어 있다. 제어 블록 자체는 공간-내부 쪽을 향하는 측에서 주행 레일의 블라인드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고, 캐리지의 주행 경로 안에서 상기 캐리지의 하우징 영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서있다. 제어 블록은 캐스터를 위한 가이드 레일 위에 배치되어 있고, 연장 암의 위치 O를 갖는 캐리지 주행 경로의 마지막을 형성한다. 제어 블록이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통하여 제어 암이 삽입 위치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캐리지는 반대 방향으로 캐스터로 역 이동될 수 있고, 돌출부는 제어 블록의 레일 모양 삽입구 안에 신뢰할만하게 수용되어 고정되며, 연장 암은 제어 암에 의해서 제어되어 위치 S로 역 이동된다. 문짝은 블라인드 프레임 및 폐쇄 위치에 접근한다.
부피 있게 형성된 연장 암의 형상으로 인하여, 슬롯이 한 부분, 즉 제어 암의 주요 섹션을 수용하며 상기 슬롯이 연장 암을 완전히 가로로 관통하지 않고 오히려 깊이 방향으로 제한적으로만 연장되는 경우에는, 시계(視界)가 덮이는 동시에 지지력이 보장될 수 있다.
언급해야 할 사항은, 청구 범위는 청구된 발명을 분명하게 그리고 간결하게 기술하고 있다는 것이다. 명세서의 일반적인 부분에 기재된 설명들은 청구 범위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청구 범위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더 포괄적이고 상세하다. 청구 범위를 뒷받침하는 부분과 청구 범위 자체 간에 문장- 및 단어 동일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명세서는 청구 범위에 모순이 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청구 범위는 일반적인 부분의 명세서 내용만큼 보완되어야만 하며, 그리고 청구 범위는 다른 무엇보다 명확하게 해석되어야만 하고, 설명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명세서의 해당 문단이 인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치에 의해서는 모순들이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으며, 단지 명세서에 의한 보충 설명과 마찬가지로 청구 범위의 간결성에 대한 법적인 요구 조건만이 충족된다. "청구 범위 상위"라는 법칙은 청구된 보호권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청구된 발명과 관련된 다음의 실시 예들은 각각의 페이지 및 각각의 문장에서 "예를 들어" 또는 "특히"라는 용어가 등장하지 않더라도 청구된 본 발명(들)의 연속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된 본 발명은 다수의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고 보완되며, 이 경우 각각의 발명들은 캐리지의 상이한 영역들에 의해서 사전에 결정되었다.
도 1은 연장 암(30)이 배치되어 외부로 선회되지 않은 상태의 폐쇄 위치(위치 S)에서 하우징 영역(10), 연장 암(30)을 구비한 캐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한 캐리어를 연장 암(30)이 외부로 선회된 개방 위치(위치 O)에서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캐리지는 연장 암에 관절식으로 연결된 제어 암(35), 상기 제어 암(35)을 가이드 하는 제어 섹션(40) 그리고 하우징 영역(10)을 구비한다.
도 2a는 도 2의 영역 A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영역 A를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즉 위에 올려지는 핀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돌출부(39a)의 축 방향으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문짝을 위한 지지 위치(100)가 도시된 도 1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이 경우에는 직선 섹션(41a) 및 하향으로 꺾어진 록킹 섹션(41b)을 갖는 제어 섹션(40) 안에 형성된 홈(41)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하우징 섹션의 우측 단부의 정면으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 경우에는 다른 캐리지에 대한 커플링 로드를 위한 수용 개구(19)를 볼 수 있다. 스프링 소자(60)는 위의 제 1 위치에서 삽입 록킹된 상태로 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의 단부와 동일한 단부의 정면으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로서, 단지 스프링(60)의 록킹 위치만 다르다.
도 6a는 연장 암(30)이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연장 암의 시계로부터(외부로부터) 캐리지를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하향으로 꺾어진 연장 암(30)이 도시된 동일한 도면으로서, 이 경우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a)가 제어 블록(50)의 리세스 안으로 삽입되는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어 핸들(35)을 볼 수 있다. 프로파일 레일(70)로서의 캐리지 레일을 각각 볼 수 있는데, 상기 캐리지 레일 상에서는 캐스터를 구비한 캐리지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세 개의 다양한 개구 혹은 리세스(51, 52 및 53) 그리고 커버 벽(55)을 갖는 제어 블록(50)의 두 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하향으로 선회된 연장 암(30),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어 암(35) 그리고 앞에서 이미 언급된 두 개의 캐스터(20, 21)를 구비한 캐리지의 개방된 위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경우 상기 캐스터는 마주 놓인 측에 의해서 덮여 있지만 캐리지 레일(70)의 레일(75) 상에 올리기 위하여 아래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된다.
도 9는 도 8을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 경우 연장 암(30)은 캐리지의 외부면으로부터 측면에서 바라보고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 암의 높이 치수는 하우징 섹션(10)의 높이 치수에 비해 확연하게 눈에 띈다.
도 10은 제어 섹션(40) 안에서 가이드로서 작용을 하는 가이드 홈(41)의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이 경우 상기 제어 섹션은 복부 모양으로 만곡된 측면 영역(42)을 갖는다.
도 11은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이 도면을 보면 가이드 홈(41)과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의 삽입 동작이 명확해진다. 가이드 홈(41)은 제어 섹션(40)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12는 이중 핀(39)의 상부 돌출부를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추가의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본 도면에는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 측에 관통 개구를 갖는 가이드 레일(41)의 우측 단부 섹션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 암(35)의 단부 영역(35b)의 칼라(35b')에 작용을 하는 스프링(14) 및 오버래핑 안전 섹션(15)도 볼 수 있다. 상기 칼라는 제어 암(35)의 휘어진/구부러진 단부에 배치된 이중 핀을 둘러싸고 있다.
도 1은 내측을 향하는 시선 방향으로부터 캐리지를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우징 영역(10)을 볼 수 있는데, 그 우측에는 단부 영역이 있고, 단부 영역에는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된 스프링 소자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장 암으로서의 메인 암(30) 및 제어 암(35)을 포함하는 암 영역도 제어 섹션(40)과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하우징 영역을 위한 개별 캐스터의 각각 하나의 샤프트가 지지된 지지부(12, 11)를 볼 수 있다. 기하학적인 축은 지지부(12)를 위한 20a이고, 해당 캐스터(20)는 도 8에서 볼 수 있다. 캐스터는 연장 암(30)을 위한 메인 지지부(16)의 다른 측에서 하우징 영역(10)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11)는 샤프트(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샤프트의 기하학적인 축은 21a이고, 캐스터(21)는 도 8에서도 아래로부터 볼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영역(10)이 위에서, 즉 캐스터 상부에서 폐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캐스터는 위로부터 덮이고, 유입되는 오물에 대하여 안전하게 보호된다. 캐스터 자체는 도 9에 도시된 캐스터(21)의 절단 영역에서 볼 수 있는 큰 직경을 갖는다. 캐스터는 실제로 하우징 영역의 위에서 커버하는 벽(10a)만큼 축소된, 하우징 섹션의 전체 높이(H)를 취한다.
캐스터는 하우징 영역의 전체 높이의 적어도 90%의 크기를 갖는다. 하우징 영역의 전체 높이는 도 9에서 H10으로서 볼 수 있다. 캐리지는 하우징(10), 캐스터, 전술된 암 및 제어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며, 문짝은 세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문짝은 경사 위치를 거쳐서 평행한 정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은 제어 암이 문짝의 상부 에지에 배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이동 가능하다. 문짝은 또한 그 사이에 놓인 경사 위치 없이도 단지 평행하게만 이동될 수도 있다. 평행한 정지 위치에서 문짝은 캐리지를 통해서 이동된다.
두 개의 캐리지가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캐리지들은 상호 이격되어 있고, 문짝을 하부 에지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문짝은 연장 암(30)에 회전 가능하게 관절 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방식의 연결을 위해서는 그곳에 있는 수용부가 기하학적인 축(100a)을 갖는 지지부(100)로서 이용된다. 문짝에 배치된 볼트가 지지부로서 기능을 하는 리세스 안으로 삽입되어 문짝을 연장 암(30)에 커플링 한다.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캐리지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단 하나의 캐리지만이 하나의 제어 섹션을 사용하고 다른 캐리지는 이와 같은 제어 섹션(40)을 전혀 구비하지 않는 한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 따라 각각 두 개의 자체 캐스터를 구비한, 상호 이격된 두 개 캐리지의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게 형성되었다. 두 개의 캐리지는 하나의 커플링 로드(Ks)(또는 19)를 통해 커플링 되어 있고, 커플링 로드는 도 8을 통해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19') 안으로 삽입된다. 커플링 로드는 각각의 캐리지에서 장착 나사(19b)를 통해 보어(19a) 안에 고정된다. 보어는 기하학적인 축(19a')을 갖고, 이 축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커플링 로드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진행한다. 커플링 로드는 바람직하게는 둥글게 형성되고, 커플링 로드의 간격이 수평의 문짝 치수에 매칭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두 개의 캐리지는 문짝을 지지할 수 있고, 캐리지의 위치 S에서 하부 문짝 에지 아래에 놓일 수 있지만, 하부 문짝 에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문짝 아래에서의 구조적 치수는 작은데, 바람직하게는 40mm 미만이고, 특히 실제로는 35mm의 범위 안에 있다. 문짝의 중량은 연장 암(30) 또는 캐리지가 두 개인 경우에는 연장 암들(30)을 수용하여 하우징(10)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만 하는 반드시 필요한 지지력을 규정한다. 문짝이 단열에 대한 요구 조건 때문에 점점 더 두꺼워지면, 문짝의 중량은 더 무거워진다. 문짝이 시각적인 여러 가지 상황들로 인해 점점 더 높아지면, 문짝의 중량도 마찬가지로 더 무거워진다.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문짝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큰 연장 폭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연장 암(30)은 그에 상응하게 형성되어야 하는 동시에 현대적인 문짝의 기하학적인 치수(높이, 두께)로 인해 점점 더 높아지는 지지력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자체 샤프트(21', 20')를 통해 하우징(10)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가 된 도 8에 따른 캐스터(20, 21)는 캐리지를 지지하고, 주행 트랙 상에서 주행하며, 주행 트랙은 블라인드 프레임 아래에 장착될 수 있는 모방 절삭된 캐리지 레일(70)에 의해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주행 트랙(75)은 도 4a 및 도 5a에서 볼 수 있다. 이때 캐리지 레일(70)은 하부 블라인드 프레임 자유 치수의 범위 안에서 블라인드 프레임에 장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문턱의 하단부와 블라인드 프레임의 하부면 간의 치수는 전술된 40mm 미만의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자유 치수가 심하게 축소되었음에도 캐스터의 직경은 크게 형성되었다. 캐리지의 하우징 영역(10)은 상기 자유 치수에 맞추어져 주행 트랙(75)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주행하며, 그와 동시에 캐스터의 상부는 하우징의 상부 벽(10a)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고 전체 조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그립 제어부는 핸들을 통하여 활주로 상부에 고정된 전단기를 제어한다. 전단기는 핸들을 통해 강제로 제어될 수 있거나, 또는 핸들 자체가 블라인드 프레임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문짝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핸들은 평행한 정지 위치에서 세로 방향으로 문짝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고, (주행 트랙으로도 불리는) 주행 레일(75)을 갖춘 캐리지 레일(70) 상에서 캐스터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지지가 된다.
도 1에 따른 위치 S(폐쇄 위치)는 연장 암(30)이 외부로 선회된 후에는 도 2의 위치 O(개방 위치)로서 나타난다. 하나의 상부 돌출부(39a) 및 하나의 하부 돌출부(39b)를 포함하는 가이드 핀(39)은 (가이드 홈으로서 기능을 하는) 레일 가이드(41)의 반대쪽 단부(우측)에 도달하여 그곳에서 하향으로 꺾어진 레일 섹션(41b) 안에 해체 가능하게 삽입 록킹되며, 이 목적을 위해서는 하부 돌출부(39b)가 바람직하게 볼트로서 이용된다. 볼트(39b)는 제어 섹션(40)의 가이드 홈(41)의 좌측 단부에 있는 도 1의 위치(S)에 놓여 있다. 두 개의 핀 또는 볼트는 동일한 축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축이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레일 가이드는 도 1에 상응하고 제어 섹션(40)의 레일 가이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 3을 참조할 때에 더 명확해진다. 제어 섹션(40)은 홈(41)을 갖고, 홈은 직선 섹션(41a) 및 직선 섹션으로부터 좌측으로 꺾여서 진행하는 삽입 록킹 섹션(41b)으로 이루어진다. 삽입 록킹 섹션은 도 2의 위치 O를 규정한다. 직선 레일 섹션(41a)의 단부는 도 1 및 도 3에 따른 위치 S를 규정한다.
도 2 또는 도 8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제어 핸들(35)은 하향으로 꺾어져 있거나 구부러져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완전히 직선으로 형성되지 않았다. 제어 핸들은 상대적으로 더 긴 직선 섹션 그리고 직선 섹션으로부터 하향으로 꺾여서/구부러져서 진행하는 전방 단부 섹션을 포함하고, 전방 단부 섹션은 두 가지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는 이중 돌출부(39)를 지지한다. 두 가지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중 돌출부(39)가 전방 단부 섹션에 배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어 핸들(35)의 플레이트 재료의 두께 안에서는 주변을 둘러싸는 칼라가 형성되며, 칼라는 제어 섹션(40) 및 제어 섹션의 상부면에서 진행하는 한편,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는 레일(41b, 41a) 안에서 가이드 된다.
핸들(35)의 다른 단부는 축(37)을 통해 연장 암(30)의 지지부 안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개구(38) 및 축(37)은 기하학적인 축(37a)을 갖는다.
제어 핸들(35)이 연장 암(30)에 있는 지지 위치(37/38) 위에 지지가 되고, 연장 암(30)의 선회 동작이 하우징 영역(10)에 기하학적인 축(36a)을 갖는 지지 위치(36/16) 위에 지지가 됨으로써 선회 동작이 가능해지고, 제어 섹션(40)에 의해 선회 동작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제어 핸들(35)의 직선 섹션은 35a이고, 직선 섹션 앞에서 하향으로 구부러졌거나 꺾인 상태로 진행하는 섹션은 35b이다.
두 가지 위치 O 및 S는 다른 시선 방향으로부터, 즉 연장 암(30)의 외부 평탄면(30')을 외부로부터 바라본 상태에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서는 연장 암(30)의 하향으로 꺾어진 단부를 볼 수 있는데, 단부는 위치 O에서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암은 직선으로 작용하고 세로로 연장된다. 그와 달리 제어 핸들(35)은 하향으로 꺾어져 있으며, 이 경우 꺾어진 영역은 가이드 핀(39)을 지지하고, 가이드 핀의 상부 돌출부(39a)는 도 6b에서 제어 블록(50)과 상호 작용을 하며, 제어 블록은 위쪽을 향하는 폐쇄된 표면(55)을 규정하는 상부 벽을 갖는다. 제어 블록은 캐리지 주행 경로의 한 단부에서 캐리지 레일에 장착되어 있다. 제어 블록은 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a)와 상호 작용을 한다. 상호 작용은 가이드 홈(41)의 하향으로 꺾어진 섹션(41b) 안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가 삽입 록킹된 위치에서 도 2a 및 도 2b에 따른 돌출하는 코(15)와 구부러진 섹션(35b)의 칼라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호 작용도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의 다른 시각 방향인 도 6a에서는 연장 암(30)이 암 표면(30')을 바라보는 시각 면으로부터 (외부로부터) 제어 암(35)을 완전히 덮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암(35)은 연장 암(30)의 상부면(30") 위에 배치되지도 않고 하부면 아래에 배치되지도 않으며, 오히려 제어 암의 선회 평면은 이 선회 평면이 상기 두 개의 면(상부면,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다시 말하자면 정면(30')(외부로부터의 시각)이 제어 암(35)을 덮도록 형성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된 핸들(35)은 부피가 있게 형성된 연장 암(30)에 비해 높이 방향으로 가늘다. 부피가 있는 형상은 바람직하게 암과 하우징 영역(10) 사이의 내부 영역을 바라보는 도 2의 시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갭 혹은 슬롯(31)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슬롯/갭(31)은 위치 S에서 제어 암(35)을 수용하기 위해서 제공되었고, 이 목적을 위해 또한 상응하게 형성되었다. 슬롯(31)도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제어 암(35)의 선회 평면 안에 놓여 있지만, 플레이트 모양의 제어 암을 수평 방향으로 평탄하게 연장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어 암(35)의 중간 영역이 용이하게 보강되어 만곡 되더라도, 제어 암은 플레이트 모양으로 평탄하게 유지된다. 보강 만곡부(35c)는 제어 핸들(35)을 이용해서 슬롯/갭(31)에 의하여 수용된다. 도 3의 폐쇄 위치에서는 갭 자체로부터 구부러진 섹션(35b)의 한 부분이 외부로 돌출하고, 폐쇄 위치(S)에서는 제어 핸들(35)의 세로 섹션(35a)이 거의 완전히 갭/슬롯(31) 안에 수용되어 있다.
슬롯/갭(31)은 연장 암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 암(30)의 부피 있는 형상을 관통하지 않으며, 오히려 연장 암(30)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시 면(30')에서는 재료의 가급적 큰 잔류 영역이 남는다. 그럼으로써,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절단 평면에서는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절단됨) 상대적으로 두꺼운 하나의 연결 레그 및 두 개의 웨브를 갖는 U자 모양의 연장 암 프로파일이 얻어지고, 두 개의 웨브 중에서 도 2에 따른 하나의 웨브는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었고, 다른 하나는 상대적으로 더 가늘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갭 또는 슬롯은 연장 암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중간에 배치되지 않고, 오히려 위쪽으로 벗어나기 쉽다.
따라서, 슬롯 또는 갭(31)은 폐쇄 위치에서는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제어 핸들(35)을 수용하고, 위치 O를 위해서는 제어 핸들을 외부로 선회시킨다. 위치 S에서는 제어 핸들이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수용되며, 이 경우 직선의 섹션은 거의 완전하게 수용되고, 구부러진 섹션(35b)은 위치 S에서도 제어 섹션(40)의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연장 암(3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라는 표현은 특히 이중 볼트로서 형성된 이중 돌출부(39)에 의하여 제어 섹션(40)의 가이드 홈(41) 안에서 제어 기능들을 얻기 위해서만 섹션 방식으로 수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암 구조와 관련된 실시 예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 언급할 사실은 직선 섹션(35a) 및 구부러진 섹션(35b)(본 경우에는 종종 구부러진 영역으로도 불림)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제어 암(3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있게 더 두껍게 형성된 연장 암은 적어도 도 2에 따른 위치 O에서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하는 영역에서는 실제로 직선으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었다. 암들의 구조는 도 8에서 아래로부터 바라본 시야에서 볼 수 있다. 위치 S에서 외부로부터 볼 수 있는 도 6a에 따른 잔류 부재(34)는 하향으로 구부러져 있지만, 도 6b에 따른 위치 O에서는 가시면으로부터 (외부로부터) 거의 볼 수 없다. 지지 위치(36/16), 다시 말해 연장 암(30)의 지지 단부에 있는 상기와 같은 구부러진 섹션에도 불구하고, 섹션은 길게 늘어진 직선으로 불릴 수 있다. 섹션의 부피 있는 형상은 이미 갭/슬롯(31)과 관련해서 설명되었다.
이 구조들의 매칭은 가늘고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도 6a에서 매우 명확하게 드러나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서 거의 완전히 콤팩트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미 언급된 제어는 이중 돌출부(39)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이중 돌출부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a) 및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를 갖는다. 두 개의 돌출부는 바람직하게 볼트로서 구현되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가이드 동작 중에 마찰이 드물게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한 슬리브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6b의 모든 시선으로부터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의 모든 시선으로부터 볼 수 있는 이중 돌출부는 형상이 실제로 동일한 경우에는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두 가지 상이한 기능 또는 과제를 갖는다. 이중 돌출부는 제어 핸들(35)의 하향으로 구부러진 (휘어진) 단부 영역(35b) 안에 배치되어 있다. 이중 돌출부는 칼라가 자신의 둘레에 플레이트 형태의 칼라로서 형성되도록 하는데, 다시 말하자면 단부 영역(35b) 안에 있는 제어 암(35)의 외부 에지까지 완전히 접근해서 돌출하지 않는다.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는 아래로부터 가이드 하기 위해서 제공되었다. 도 2에 따른 삽입 록킹된 위치로부터 릴리스하는 동작은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의 과제 및 기능이다. 삽입 록킹된 위치는 문짝의 평행한 정지 동작을 위한 위치이다. 릴리스 동작은 위로부터 이루어진다. 릴리스 동작은 도 6b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가 제어 블록(50)의 측면 리세스(51) 안으로 삽입됨으로써 달성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제어 블록(50)은 도 7a 및 도 7b의 두 가지 사시도로부터 설명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a)가 v39의 방향으로, 특히 (레일 모양의 삽입구로서 기능을 하는) 하나의 경사 수용부(51) 안으로 삽입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어 블록은 좌측에서 충돌하는 적용 예를 위해서 그리고 우측에서 충돌하는 적용 예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경사 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제어 블록(50)은 캐리지 레일(70)에 장착되어 있다. 제어 블록은 위에서 폐쇄된 벽(55)을 갖는다. 하우징(10)을 구비한 활차는 도 6b에서는 - 암(3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주행하며, 이 경우 상기 활차는 주행 경로의 마지막에 선행하는 (전방으로 멀리 돌출하는) 제어 섹션(40)에 의해서 제어 블록(50)의 가로로 연속하는 추가 리세스(53) 안에 삽입된다.
추가의 리세스는 도 7a에 따른 방향 v40으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며, 이와 같은 삽입 가능성은 단순한 삽입 이상일 수 있는데, 특히 관통 결합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관통 결합은 도 6b에서 이루어지는 제어 섹션(40)의 전방 단부의 프리 스탠딩에 의해서 알 수 있다.
이러한 삽입 과정, 특히 가로로 연속하여 제어 블록(50) 안에 제공된 수용부(53)를 관통하는 관통 결합 과정의 시간적인 마지막 영역에는 레일 형태의 삽입구(51)가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a)에 제어 작용을 하는 시점이 놓인다.
가이드 홈(41)의 홈 섹션(41b)이 비스듬하게 세워진 경우에 마찬가지로 비스듬하게 세워진 레일(51)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제어 동작에 의해서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에 대하여 제어 핸들(35)이 하향으로 꺾인 상태로 진행하는 홈 섹션(41b)으로부터 인출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O를 벗어나게 된다.
활차는 역으로, 즉 6b에서는 좌측 하향으로 움직이고, 연장 암(30)은 이 연장 암이 도 6a에 따른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안으로 선회된다. 그곳에서 하우징(10)은 제어 블록(50)으로부터 확실하게 이격된 한편, 제어 블록은 (이중 볼트(39)의) "위로부터 작용을 하는 인출 동작"이 시작될 때에 삽입 록킹된 위치로부터 제어 블록(50)에 도달한다. 삽입 록킹된 위치에서는 제어 섹션(40)이 제어 블록(50)에 관통 결합한다.
"인출 동작"은 가이드 레일(41)의 하향으로 꺾인 단부(41b)로부터 이중 볼트(39)의 하부 섹션(39b)이 릴리스 되는 동작 그리고 이중 볼트의 상향으로 돌출하는 섹션(39a)에 의해서 위로부터 "고정 동작이 실행"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중 볼트는 레일 형태의 삽입구(51) (또는 다른 충돌 방향에서는 (52)) 안에 수용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어 섹션(40)이 제어 블록(50)의 연속하는 추가 리세스(53) 안에 관통 결합한다.
관통 결합을 위해서는 제어 섹션(40)이 전방으로 선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때 제어 섹션은 코 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었고, 이 경우 제어 섹션(40)은 마찬가지로 보강된 상태로 형성되었으며, 이와 같은 형상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두 개의 섹션(41a, 41b)을 갖는 가이드 홈(41)은 코 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어 섹션(40) 안에 제공되어 있다. 이때 하향으로 꺾인 섹션(41b)은 도 10에 따라 복부 모양으로 만곡된 측면 영역(42)(복부) 안에 배치되고, 측면 영역은 연장 암(30)의 위치 S에서 복부 모양의 리세스(33) 안에 삽입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부"(42)가 만곡부(33) 안으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는 도 6a의 삽입 위치이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 의해서는 하향으로 꺾인 섹션(41b)에 의해 평행-정지 동작을 위한 위치 O에 도달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30)에 밀접하도록 연장 암(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위치 S에서 캐리지 레일(70)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위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복부 모양의 리세스(33)가 슬롯/갭(31)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 그리고 연장 암(30)의 강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폐쇄 위치인 위치 S가 하우징 섹션(10) 및 캐리지 레일(70)에 가급적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급적 적은 재료가 부피 있게 형성된 연장 암(3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또 다른 사실은, 복부 모양의 리세스(33)가 높이 방향으로 완전히 연장 암의 하부면까지 관통하여 결합되지 않고, 오히려 연장 암(30)이 세 개의 측면에서 표면적으로 폐쇄되어 있다는 것이다.
가이드 홈(41)은 하향으로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단지 섹션 방식으로만 폐쇄된 상태로 형성된 바닥 구조를 갖는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바닥은 섹션 방식으로 존재하며, 이와 같은 형상은 도 10 및 도 12 그리고 도 8에서 볼 수 있다.
도 10에서는 위로부터 홈(41) 안으로 바라볼 때 상기 홈의 레일 형상을 볼 수 있다; 섹션(41a)은 직선 섹션이고, 하향으로 꺾인 섹션(41b)은 90°보다 약간 더 작은 각도로 하향 진행한다. 그럼으로써, 아래로 꺾인 섹션은 하향으로 돌출부(39b)의 삽입 록킹된 위치 S를 위하여 주머니 모양의 리세스를 형성하게 된다.
도 10에 따른 실시 예에서 두 개의 바닥 세그먼트(44a, 44b)가 형성되도록 홈(41)의 바닥이 개구(41', 41" 및 41*)에 의해 관통된 후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어 섹션(40)의 강도가 증가한다. 세로 연장부에 대하여 수직인 다수의 절단 평면에서는 U자 모양의 프로파일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프로파일은 코 모양으로 가늘고 긴 제어 섹션(40)의 강도를 보증해준다.
레일 제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오염 입자 및 다른 오물이 바닥 개구(들)를 관통할 수 있다. 작동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도 6a에 따라 위로부터 전반적으로 덮인 구성에서도 장애를 일으키는 오염 물질이 레일(41) 안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 오염 입자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가 이동할 때에 보강을 위해서 사용되는 바닥 세그먼트(44a, 44b) 상에 침전될 정도까지 제거된다.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는 바닥 개구(41', 41" 및 41*)와 함께 자유 제거 작용을 한다.
도 2 및 도 6b에 도시된 위치 O는 도 8에서와 마찬가지로 하향으로 꺾인 섹션(41b)에 의해서 고정될 뿐만 아니라, 두 가지 추가 조치에 의해서 신뢰할만하게 지지된다.
도 6b에 명확하게 설명된 순간에는 돌출부(39a)가 제어 블록(50) 및 제어 블록의 레일 형태의 삽입구(51)에 의해서 신뢰할만하게 수용된다. 이와 같은 추가의 조치는 아래와 같이 구조화되었고 기능적으로 형성되었다.
도 2a 및 도 2b의 부분 확대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오버래핑 섹션(15)은 이중 돌출부(39)를 둘러싸는 (그리고 제어 암(35)의 하향으로 구부러진 섹션(35b)의 한 부분인) 칼라(35b')를 오버래핑한다. 이와 같은 코 모양 돌출부(15)에 의한 오버래핑은 돌출부(39b)가 가이드 홈(41)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작 그리고 제어 핸들(35)의 수직 지지 동작을 보증해준다.
상기와 같은 오버래핑은 위치 O의 삽입 록킹된 위치에서 제공될 뿐만 아니라, 도 6b에 따른 삽입시에도 제공되며, 고정 기능은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a)가 안쪽으로 이동할 때(v39)에 가이드 홈(41)의 하향으로 꺾인 섹션(41b)으로부터 제어 블록(50)의 레일 모양 삽입구(51)로 옮겨진다.
이때 제어 암(35)의 하향으로 구부러진 섹션(35b)의 칼라 섹션은 코 모양의 돌출부(15)를 더 아래로 이동시키고, 그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와 같은 이동 동작을 야기하는 스프링 소자(14)에 하중을 가하며, 돌출부(39a)는 제어 블록(50)의 삽입구 또는 레일에 도달하여 그곳에 단단히 고정된다. 삽입 영역은 위로 폐쇄되어 있고(55b), 이와 같은 폐쇄 상황은 제어 블록(50)의 위쪽에서 폐쇄된 벽(55)의 결과이다. 이탈 동작, 수직 이탈 동작 또는 이탈 점프 동작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은 제어 블록(50)의 다른 충돌 방향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레일 모양의 다른 삽입구(52) 및 삽입구의 폐쇄된 커버(55a)에도 적용된다.
스프링 소자(14)로서 언급된 스프링은 도 2b의 평면도에서 더 명확해지고, 도 2a에서 볼 수 있다. 스프링은 코(15) 옆에서 섹션 방식으로 볼 수 있는 아크 영역을 갖지만, 실제로 섹션은 코 모양으로 오버래핑하는 섹션(15)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소자(14)는 고정 섹션(14b, 14c) 안으로 연장되며, 고정 섹션은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도 2b에 도시된 고정 챔버(13)의 위쪽에서 개방된 윈도우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때 스프링은 아래로부터 개구 안으로 삽입되고, 스프링의 자유 단부(14c)는 한 돌출부 뒤에서 고정 챔버(13) 안에 삽입 록킹된다. 이와 같은 삽입 록킹 동작에 의해 스프링은 위치 고정되지만, 그와 동시에 공구에 의해 자유 단부(14c)가 돌출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휘어지고 스프링 소자(14)가 아래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교체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동일하게 형성된 새로운 스프링 소자(14)가 아래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8, 또는 도 11 및 도 12에 따른 삽입 록킹 위치에서의 안전 위치는 스프링 소자(14)에 의해서 추가로 보증된다. 스프링 소자는 제어 암(35)의 리프팅 된 섹션의 칼라로서 기능을 하는 측면 플레이트 돌출부(35b')에 압력을 가하고, 가이드 홈(41)의 하향으로 꺾인 섹션(41b)의 단부에서 측면 플레이트 돌출부를 삽입 록킹된 위치로 확실하게 밀어준다.
상기의 경우 고정 스프링(14)의 아크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 후면의 한 섹션은 코(15) 아래에 그리고 제어 섹션(40)의 상부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캐리지가 캐리지 레일 안으로 선회하는 동작은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해서 설명된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캐리지의 단부 섹션은 도 1 및 도 2의 우측에 배치된 단부 섹션이다. 단부 섹션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나선 보어(19a)를 관통하여 조립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는 연결 로드(19)가 삽입되는 단부 섹션이다. 연결 로드를 위한 고정 섹션(19') 위에는 아래에서 기술되는 두 가지 록킹 위치를 갖는 스프링 부재(60)가 제공되어 있다.
스프링(60)은 도 1에서도 볼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도 4a의 비스듬한 시각에서 확인할 수 있고 도 4b의 정면 시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위치를 갖는다. 이와 같은 위치는 캐리지 단부 위에 (캐리지의 하우징 위에) 배치된 제 1 홈(18a)을 통과해서 도달되는 삽입 록킹 위치이다.
제 2 홈은 제 1 홈 좌측에 도면 부호 (18b)로 기재되어 있고 간격을 갖는다. 따라서, 도 4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두 개의 이격된 홈 섹션이 존재하게 된다.
스프링 소자(60)는 위에 배치되어 있고, 다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갖는다. 탄성 섹션(62)은 U자 혹은 V자 모양의 형상을 갖고, 단부에 파지 섹션을 갖는다. 탄성 섹션은 도 5b에서 홈 섹션(18b) 안에 있는 제 2 록킹 위치에 삽입 록킹된 상태로 가장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스프링 소자(60)는 또한 돌출하는 편평한 섹션(61)을 갖는데,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벤딩부(61a)에 의해 추가의 보강 샤프트 형상(61b)을 이용한 역 가이드에 의해서 편평한 섹션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전방 섹션"은 충분히 안정적인 재료로 이루어진 단순한 플레이트 모양의 부재일 수도 있는데, 부재의 우측 단부에는 스프링 섹션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 섹션은 도 4a에서 확연하게 볼 수 있는 바로 그 섹션(62, 63)에 상응한다.
스프링 소자(60)의 작용은 우선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스프링 소자는 제 1 록킹 위치에서는 홈 섹션(18a)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프링의 전방 섹션(61)은 거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고,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캐리지 레일(70)의 오버래핑 섹션(71)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스프링 소자(60)의 록킹 위치에서는 캐리지가 캐리지 레일(70)의 캐리지 프로파일 안으로 선회될 수 있고, 캐리지 프로파일로부터 외부로 선회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캐리지가 비스듬하게 서있고, 캐스터가 레일(75) 상에 세팅되며, 안쪽으로 향하는 캐리지의 선회 동작이 프로파일 안에서 이루어지면 활차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의 인출 동작도 반대 방향으로의 역 선회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스프링 소자가 도 4b에 도시된 위치에 있고 스프링 소자의 삽입 록킹 동작이 홈(18a) 안에 있는 록킹 섹션(62)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실행된다.
스프링 소자(6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6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스프링 소자는 홈(18b) 안에 있는 제 2 록킹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섹션(61)은 멀리 돌출하여 이전까지 자유로웠던 갭(71a)을 차단한다. 자유 갭은 캐리지의 안으로의 선회 동작 그리고 밖으로의 선회 동작을 위해서 필요하다. 캐리지가 안으로 선회되어 삽입되면, 갭(71a)이 신뢰할만한 동작을 방해하여 캐리지가 자신의 레일(75)로부터 이탈되는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탈 상황은 스프링이 홈(18b) 안에 있는 제 2 록킹 위치를 취할 때에 스프링 소자(60)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방지될 수 있으며, 전방 섹션(61)은 갭 개구를 줄여준다.
캐리지가 밖으로 선회되는 방향으로 또는 밖으로 이탈되는 방향으로 파워가 작용하면, 스프링 소자(60)의 플레이트와 유사한 전방 섹션(61)은 캐리지가 캐리지 레일로부터 분리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전체적으로 스프링 시트로부터 형성된 도 4a 내지 도 5b에 따른 스프링 소자(60)는 영역(62)에 있는 단 하나의 스프링 섹션만을 가질 수 있고, (플레이트와 유사한) 전방 섹션(61)은 -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방식으로 -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레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레이트의 두께는 갭(71)의 높이 치수를 축소하기에 적합하도록 선택되어야만 한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 형상은 단 하나의 섹션만을 차지한다.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 두 개의 홈 쌍(18a, 18b)은 스프링 소자의 록킹 위치(들)를 위해서 이용되고, 안으로의 선회 동작을 가능케 하는 도 4b에 따른 위치에서 그리고 이탈 혹은 밖으로의 선회 동작을 방지하는 도 5b에 따른 위치에서 자신의 위치를 차지한다.
스프링 소자의 플레이트 모양의 섹션(61)은 갭(71a) 안에 안전하게 보호되어 있다. 이때 갭(71a)은 현저하게 축소된다. 축소되는 크기는 도 5b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갭이 거의 완전하게 폐쇄될 정도이다.
언급해야만 할 사실은, 록킹 위치들(18a, 18b) 중에 한 가지 록킹 위치는 생략될 수도 있거나 또는 마찰 혹은 클램핑에 의해서 고정되는 스프링 소자의 위치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록킹 위치는 바람직하게 홈 쌍(18a)의 록킹 위치이다. 이 경우 스프링은 또한 특별히 에지 측에 있는 홈 안에 삽입 록킹되지 않도록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은 도 5a를 참조할 수 있다. 스프링 소자(60)의 안으로의 삽입 동작(F60) 그리고 홈 쌍(18b) 안으로의 삽입 록킹 동작이 비로소 갭(71a) 차단의 신뢰성을 위해서 중요하다.
캐리지 및 연장 암의 전체 높이에 대해서는 도 9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9에서 연장 암은 외부로부터의 가시면으로부터 볼 수 있다. 연장 암은 전체 높이 H30을 갖는다. 전체 높이는 연장 암(30)에 높은 강도 및 지지 능력을 제공해준다. 높이 H30은 거의 캐리지의 하우징 영역(10)과 관련이 있는 전체 높이 H10이다. 이때 높이 H30은 높이 치수 H10의 적어도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을 차지한다.
또한, 거의 크기 H10을 갖는 캐스터(21)의 직경 크기도 알 수 있는데, 이 경우 직경 크기는 높이 H10의 90% 이상 내지 95% 이상을 차지한다.
제어 암(35)과 비교할 때 연장 암(30)의 전체 높이 H30은 훨씬 더 두껍고,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4배만큼 더 두껍게 측정되었다. 이때 제어 암(35)의 높이 연장부는 보강 돌출부(35c)로 인해 점점 더 플레이트 모양으로 보일 수 있다.
도 9에서는 또한 연장 암(30)의 상부면 위에 그리고 하부면 아래에는 제어 암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이로써 연장 암(30)의 전체 높이는 특히 형성되는 갭(31)이 한 실시 예에서 연장 암(30)의 가로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세로 방향으로도 단지 한 섹션만큼만 연장되는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볼 때 암의 지지 능력 및 강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연장 암(30)의 지지 능력 및 강도의 축소는 전혀 야기되지 않는다.
캐리지가 캐리지 레일로서 기능을 하는 프로파일 레일(70)의 구조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가능성은 돌출부(17)에 의해서 방지되며, 이와 같은 상황은 도 1 및 도 2로부터 그리고 도 4b 및 도 5b의 정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알 수 있다. 돌출부는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의 부분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캐리지 레일(70)의 돌출 섹션(71) 아래에서 측정된 갭(71a)의 치수는 돌출부(17)가 돌출 섹션(71)의 아래에서 안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그리고 갭이 축소되는 경우에는 이탈 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 캐리지가 장애를 받을 때에는 돌출부(17)가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71)에 충돌하게 되고, 스프링 부재(60)가 삽입된 경우에는 돌출부(17) 상에 배치된 플레이트 모양의 섹션(61)이 상기 충돌 동작을 담당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섹션(61)은 전술된 충분히 안정적인 재료로 제조된다.
도 2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돌출부(17)의 길이 연장은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재(60)의 플레이트 형태의 섹션이 돌출부(17)의 양단부에서 단부 너머로 세로 방향으로 돌출한다. 작동 상의 이동에 의해서 야기되는 스프링 부재(60)의 인출을 피하기 위하여, 돌출부(17)는 그 위에 놓인 플레이트와 유사한 스프링 부재(60)의 형상(61)을 지지한다.
작용상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된 섹션(61)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돌출부의 전방 단부를 초과해서도 돌출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스프링 부재의 플레이트와 유사한 섹션(61)은 (보강부에 의해 스프링 시트가 U자 모양으로 휘어짐으로써) 정면에서 (좌측으로 볼 때) 안전 돌출부(17)를 초과해서 돌출한다.

Claims (23)

  1. 문짝을 평행한 정지 위치에서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문짝용 캐리지로서,
    캐스터(20, 21)의 직경이 큰 경우에도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을 얻기 위하여,
    - 두 개 이상의 캐스터(20, 21)를 구비한 하우징 영역(10) 및 연장 암(30)을 선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위치(16)가 제공되며;
    - 문짝을 평행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상기 연장 암(30)은 문짝을 위한 먼 지지 위치(100) 및 상기 하우징 영역(10)에 더 가깝고 제어 암(35)의 한 단부를 위한 지지 위치(38)를 가지며;
    - 제어 섹션(40; 41)은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어 암(35)의 다른 단부 영역을 위한 가이드(41)를 가지며;
    (a) 내지 (g)의 특징들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 특징을 갖는, 문짝용 캐리지;
    (a) 안으로 선회된 위치에서는 상기 연장 암(30)이 - 연장 암을 수평 방향으로 바라볼 때 - 상기 제어 암(35)을 완전히 덮으며; 이때 상기 제어 암은 상기 연장 암(30)의 상부면 아래에서 평행하게 변위 배치되고 하부면 위에서 평행하게 변위 배치된 선회 평면에 존재하며;
    (b) 상기 캐리지의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연장 암(3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혹은 갭(31)에 의하여 상기 제어 암(35)이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수용되며;
    (c) 상기 캐리지의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연장 암(30)이 상기 하우징 영역(10)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어 암(35)은 상기 연장 암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어 암(35)의 휘어진 또는 구부러진 섹션(35b)은 상향 및 하향으로 돌출하는 이중 돌출부(39a, 39b; 39)를 가지며, 이 경우 상기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는 상기 제어 섹션(40)의 가이드(4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되며, 상기 제어 암(35)은 상기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에 의해서 제어되고, 특히 상기 가이드(41)의 하향으로 꺾어진 단부 섹션으로부터 록킹 해제되거나 또는 해체될 수 있으며;
    (d) 상기 제어 섹션(40; 41)은 - 단지 섹션 방식으로만 폐쇄된 - 바닥(44a, 44b)을 갖는 가이드 홈(41)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41)은 위로 개방되어 있으며, 하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돌출부(39b)는 상기 제어 암(35)의 다른 단부에서는 위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41) 안으로 삽입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며;
    (e) 캐리지 주행 경로의 한 단부에서 제어 블록(50)의 - 가로로 연속하는 - 수용부(53) 안으로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v40), 상기 제어 섹션(40; 41)은 코 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세로 방향으로 돌출하며, 이 경우 상기 제어 블록은 관통 결합의 시간적인 마지막 섹션에서 위로부터 작용하여(51, 39a) 상기 가이드(41)의 한 단부(41b)에 해체 가능하게 록킹 삽입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어 암(35)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며(51);
    (f) 상기 제어 암(35)은 직선의 섹션(35a) 그리고 구부러진 섹션(35b)을 갖지만, 그와 달리 상기 연장 암(30)은 적어도 상기 하우징 영역(10)으로부터 하향으로 선회된 위치 또는 섹션에서는 상기 제어 암(35)보다 더 두껍게 부피 있게 형성되고, 실제로 직선 형태로 뻗도록 형성되었으며;
    (g) 아래로부터 실행되는 가이드 동작(41, 39b) 그리고 평행-정지 동작을 위해 위로부터 실행되는 삽입 록킹 위치(41b)로부터의 릴리스 동작을 위하여, 상기 제어 암(35)의 다른 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그리고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서의 기능을 하는 이중 볼트(39b, 39a)가 제공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암(35)의 해체 가능한 삽입 록킹 위치는 스프링 소자(14)의 가이드(41)의 하향으로 꺾어진 단부 영역(41b)에 있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돌출부(39b)에 의해서 보호되며, 특히 상기 제어 암(35)의 휘어진 섹션(35b)의 측면 플레이트 돌출부를 오버래핑 하는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오버래핑 섹션(15)에 의해서 추가로 보호되는, 문짝용 캐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경사 동작 후에 캐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 부재(60)의 이동에 의한 캐리지 레일(70)의 오버래핑 섹션(71)에 대하여 캐리지를 보호하고 그와 더불어 갭(71a)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한 단부 섹션에 위쪽을 향하는 상기 스프링 부재(6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문짝용 캐리지.
  4. 전술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60)가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플레이트와 유사하게 형성된, 문짝용 캐리지.
  5. 전술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하우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록킹 위치(18a, 18b)를 가지며, 그 중에 한 가지 위치는 캐리지의 삽입-경사 동작 이전의 상태를 위한 위치이고, 다른 한 가지 위치는 상기 삽입-경사 동작 이후에 갭(71a) 안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인, 문짝용 캐리지.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또는 휘어진 섹션(35b)으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이중 볼트(39a, 39b)가 상부 측이 폐쇄된 제어 블록(50; 55)에 의하여 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됨으로써, 상기 구부러진 또는 휘어진 섹션(35b)을 - 위쪽으로의 리프팅에 대하여 - 보호하고 그리고 상기 섹션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 암(30)의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제어 암의 구부러진 또는 휘어진 섹션(35b)이 연장 암 안에 있는 슬롯 또는 갭(31)으로부터 적어도 한 섹션만큼 외부로 이탈되고, 상기 갭은 또한 상기 제어 암(35)의 직선 섹션을 수용하는, 문짝용 캐리지.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41)의 하향으로 꺾인 단부 섹션(41b)은 복부 형태로 만곡된 측면 영역(42)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측면 영역은 - 상기 연장 암(30)의 폐쇄 위치에서 - 상기 연장 암(30) 안에 있는 복부 모양의 리세스(33) 안에 삽입되는, 문짝용 캐리지.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암(30)이 상기 제어 암(35)보다 더 두껍게 부피 있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 암(35)의 높이 연장부보다 (두께/크기보다) 4배 이상 더 두껍게 형성된, 문짝용 캐리지.
  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연장 암(30)의 최대 높이는 실제로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전체 높이(H10)에 상응하고,
    - 특히 어떤 제어 핸들 또는 제어 암도 상기 연장 암(30)의 상부면 위에 그리고 또한 하부면 아래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은, 문짝용 캐리지.
  10. 문짝을 평행한 정지 위치에서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문짝용 캐리지로서,
    - 두 개 이상의 캐스터(20, 21)를 구비한 하우징 영역(10) 그리고 연장 암(30)을 선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위치(16)가 제공되며;
    - 문짝을 평행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상기 연장 암(30)은 문짝을 위한 먼 지지 위치(100) 그리고 상기 하우징 영역(10)에 더 가깝고 제어 암(35)의 한 단부를 위한 지지 위치(38)를 가지며;
    - 제어 섹션(40; 41)은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어 암(35)의 다른 단부 영역을 위한 가이드(41)를 가지며;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기 캐스터(20, 21)의 직경이 큰 경우에도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을 얻기 위하여,
    (A) 상기 제어 암(35)은 캐리지의 폐쇄 위치에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슬롯 또는 갭(31)에 의해 수용되어 있으며, 안으로 선회된 위치에서 상기 연장 암을 이용하여 - 외부로부터 상기 연장 암을 수평 방향으로 바라볼 때 - 상기 제어 암(35)을 덮기 위하여, 상기 슬롯 또는 갭은 상기 연장 암(3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갭 또는 슬롯의 깊이 방향으로는 상기 연장 암(3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으며;
    (E) 제어 블록(50)이 제공되며, 캐리지 주행 경로의 한 단부에서 상기 제어 블록(50)의 수용부(53) 안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 섹션(40; 41)은 코 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세로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제어 블록은 레일 형태의 삽입구(51)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구는 - 하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9b)를 갖는 가이드(41)의 단부(41b)에서 - 삽입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어 암(35)을 인출시키기 위하여 상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9a)에 작용하는, 문짝용 캐리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돌출부(39a, 39b)가 볼트 부재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축이 동일한 이중 돌출부(39)를 형성하는, 문짝용 캐리지.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50)이 위쪽에서 폐쇄된(55), 문짝용 캐리지.
  13. 제 2 항, 또는 제 1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삽입 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어 암의 휘어진 섹션의 측면 플레이트 돌출부(35b')에 압력을 행사하기 위하여, 스프링 소자(14)가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오버래핑 섹션(15) 아래에 배치되는, 문짝용 캐리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소자(14)는 - 고정 챔버(13) 안에 수용된 상태에서 - 스프링 소자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섹션(14b, 14c)을 갖는, 문짝용 캐리지.
  15. 문짝을 평행한 정지 위치에서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문짝용 캐리지로서, 이 경우 두 개 이상의 캐스터(20, 21)를 구비한 하우징 영역(10) 그리고 연장 암(30)을 선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위치(16)가 제공되며; 그리고 이 경우
    - 문짝을 평행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상기 연장 암(30)은 문짝을 위한 먼 지지 위치(100) 그리고 상기 하우징 영역(10)에 더 가깝고 제어 암(35)의 한 단부를 위한 지지 위치(38)를 가지며;
    - 제어 섹션(40; 41)은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어 암(35)의 다른 단부 영역을 위한 가이드(41)를 가지며;
    - 상기 제어 암(35)의 해체 가능한 삽입 록킹 위치는 스프링 소자(14)의 가이드(41)의 하향으로 꺾어진 단부 영역(41b)에 있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에 의해서 보호되는, 문짝용 캐리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는 추가로 상기 제어 암(35)의 휘어진 섹션(35b)의 플레이트 모양 측면 칼라(35b')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코 모양 오버래핑 섹션(15)에 의하여 보호되는, 문짝용 캐리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내지 (g) 특징들 중에 두 가지 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각각의 조합 형태로 청구항 1의 (a) 내지 (g) 특징들 중에 다수의 특징을 포함하는, 문짝용 캐리지.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섹션(14b, 14c)이 스프링 소자의 위치를 교체 가능하게 고정하는, 문짝용 캐리지.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암(30)의 전체 높이(H30)는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전체 높이(H10)의 80% 이하이거나 또는 90% 이하인, 문짝용 캐리지.
  20. 문짝을 평행한 정지 위치에서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문짝용 캐리지로서, 이 경우 두 개 이상의 캐스터(20, 21)를 구비한 하우징 영역(10) 그리고 연장 암(30)을 선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위치(16)가 제공되며; 그리고
    - 문짝을 평행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상기 연장 암(30)은 문짝을 위한 먼 지지 위치(100) 그리고 상기 하우징 영역(10)에 더 가깝고 제어 암(35)의 한 단부를 위한 지지 위치(38)를 가지며;
    - 제어 섹션(40; 41)은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어 암(35)의 다른 단부 영역을 위한 가이드(41)를 가지며;
    - 삽입-경사 동작 후에 캐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 부재(60)의 이동에 의한 캐리지 레일(70)의 오버래핑 섹션(71)에 대하여 캐리지를 보호하고 그와 더불어 상기 오버래핑 섹션(71) 아래에서 갭(71a)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한 단부 섹션에 위쪽을 향하는 스프링 부재(6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문짝용 캐리지.
  2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 1 항, 제 10 항, 제 15 항 또는 제 20 항 중에 방법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작동 방법 또는 조립 방법으로서의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문짝은 평행한 정지 위치에서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목적을 위하여 하우징 영역(10)은 두 개 이상의 회전 가능한 캐스터(20, 21)를 향해 이동되며, 연장 암(30)은 문짝을 이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하여 지지 위치(16)만큼 선회되며, 그리고 이 경우
    - 상기 연장 암(30)은 문짝을 위한 먼 지지 위치(100) 그리고 상기 하우징 영역(10)에 더 가까운 지지 위치(38)를 갖고, 상기 더 가까운 지지 위치만큼 제어 암(35)이 선회되며; 이 경우 제어 섹션(40; 41)은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어 암(35)의 다른 단부를 가이드 하며;
    - 상기 제어 암(35)의 해체 가능한 삽입 록킹 위치는 스프링 소자(14)의 가이드(41)의 하향으로 꺾어진 단부 영역(41b)에 있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b)에 의해서 보호되는, 방법.
  23. 캐리지를 캐리지 레일(70) 안에 삽입(장착)하기 위한 제 21 항에 따른 방법으로서, 이 경우 캐리지는 두 개 이상의 캐스터(20, 21)를 갖는 하우징 영역(10)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에는 문짝을 위한 연장 암(30)이 선회 가능하게 관절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 삽입-경사 동작 후에 캐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캐리지 레일(70)의 오버래핑 섹션(71)에 대하여 캐리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영역(10)의 한 단부 섹션 안에서는 위쪽을 향하는 스프링 부재(60)가 이동하며, 이 경우 상기 스프링 부재의 이동 동작에 의해서는 상기 오버래핑 섹션(71) 아래에 있는 갭(71a)이 적어도 축소되는, 방법.
KR1020117017952A 2009-01-11 2010-01-11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거운 문짝을 위한 콤팩트한 캐리지 KR101520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04013A DE102009004013B4 (de) 2009-01-11 2009-01-11 Kompakter Laufwagen für einen Flügel zum Längs-Bewegen des Flügels in einer parallel-abgestellten Lage
EP09150358 2009-01-11
DE102009004013.7 2009-01-11
EP09150358.1 2009-01-11
EP09173096.0 2009-10-15
EP09173096A EP2216472B1 (de) 2009-01-11 2009-10-15 Kompakter Laufwagen für einen Flügel und Verfahren zum Längs-Bewegen des Flügels in einer parallel-abgestellten Lage
PCT/IB2010/050084 WO2010079461A2 (de) 2009-01-11 2010-01-11 Kompakter Laufwagen fuer einen laengs-beweglichen, schweren Flueg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549A true KR20110133549A (ko) 2011-12-13
KR101520993B1 KR101520993B1 (ko) 2015-05-15

Family

ID=4223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952A KR101520993B1 (ko) 2009-01-11 2010-01-11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거운 문짝을 위한 콤팩트한 캐리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2384386B1 (ko)
KR (1) KR101520993B1 (ko)
CN (1) CN102348862B (ko)
DK (1) DK2384386T3 (ko)
ES (1) ES2626429T3 (ko)
HR (1) HRP20170788T1 (ko)
HU (1) HUE034462T2 (ko)
LT (1) LT2384386T (ko)
PL (1) PL2384386T3 (ko)
PT (1) PT2384386T (ko)
RU (1) RU2526006C2 (ko)
SI (1) SI2384386T1 (ko)
WO (1) WO201007946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10330U1 (de) * 2010-07-17 2010-10-14 Roto Frank Ag Laufwägen für Schiebefenster und -türen
DE102011000164B3 (de) * 2011-01-16 2012-03-22 Hautau Gmbh Beschlag für parallel verschiebebaren Flügel
CN103459744B (zh) 2010-12-11 2015-08-19 豪塔马有限责任公司 操作友好的用于可平行移动的窗扇的五金件
DE102012202986B4 (de) 2012-02-28 2019-10-24 Roto Frank Ag Beschlag für eine Schiebetür oder ein Schiebefenster
DE102012202985A1 (de) 2012-02-28 2013-08-29 Roto Frank Ag Laufwagenanordnung
DE202012002741U1 (de) * 2012-03-19 2012-04-25 Siegenia-Aubi Kg Beschlag für einen zumindest annähernd parallel abstellbaren und in dieser Parallelabstelllage horizontal verschiebbaren Flügel von Fenstern oder Türen
DE102014212461B3 (de) * 2014-06-27 2015-08-13 Roto Frank Ag Laufwagenanordnung mit einem exzentrischen Steuerzapfen sowie Schiebetür oder Schiebefenster mit einer solchen Laufwagenanordnung
DE102014212463A1 (de) * 2014-06-27 2015-12-31 Roto Frank Ag Laufwagenanordnung mit einer Federausnehmung sowie Schiebetür, Schiebefenster oder dergleichen mit einer solchen Laufwagenanordnung
DE102017003073A1 (de) 2017-03-30 2018-10-04 Roto Frank Ag Wippenförmige Aushebesicherung
DE102017214268B4 (de) * 2017-08-16 2020-07-09 Roto Frank Ag Laufwagen mit einer starren Aushebesicherung
CN110847738A (zh) * 2019-12-17 2020-02-28 深圳市派阁智能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门窗滑轮铰链装置及推拉平移门窗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67048C (de) 1932-12-27 Wilhelm Hautau Rolle fuer Schiebetuergehaenge
DE1225987B (de) 1961-11-18 1966-09-29 Wilhelm Frank Ausstellvorrichtung fuer Drehkippfenster, -tueren od. dgl.
DE3027835A1 (de) 1980-07-23 1982-03-04 Gretsch-Unitas Gmbh Baubeschlagfabrik, 7257 Ditzingen Wahlweise kipp- oder parallel abstellbarer fluegel eines fensters, einer tuer o.dgl.
DE3234677C2 (de) * 1982-09-18 1986-10-23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7257 Ditzingen Beschlag für einen zumindest parallelabstellbaren Flügel eines Fensters, einer Tür od. dgl.
JPS6145571U (ja) 1984-08-27 1986-03-26 不二サッシ株式会社
DE8435367U1 (de) 1984-12-03 1985-04-11 W. Hautau GmbH Baubeschlagfabrik, 3068 Helpsen Sperreinrichtung zum Sperren eines Ausstellarmes für parallel abstellbare Schiebeflügel von Fenstern, Türen oder dgl.
DE8513538U1 (de) * 1985-05-08 1985-06-20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7257 Ditzingen Beschlag für einen zumindest parallelabstellbaren und verschiebbaren Flügel eines Fenster, einer Tür od. dgl.
DE3540346C1 (de) 1985-11-14 1987-06-19 Fuhr Carl Gmbh & Co In Form eines Fensters,Tuere oder dergleichen ausgebildeter Schiebefluegel
DE3711170C1 (de) 1987-04-02 1988-06-30 Siegenia Frank Kg Ausstellvorrichtung fuer den Fluegel eines Fensters,einer Tuer o.dgl.
DE8707044U1 (ko) * 1987-05-15 1987-07-09 W. Hautau Gmbh, 3068 Helpsen, De
DE9305261U1 (ko) 1993-04-06 1993-06-17 W. Hautau Gmbh, 3068 Helpsen, De
DE29516438U1 (de) 1994-10-19 1996-03-07 Linder Gmbh A Schiebetürbeschlag
DE29825215U1 (de) 1997-11-11 2006-03-30 Vkr Holding A/S Schiebefenster - oder Türanordnung
ES2594152T3 (es) 2000-03-11 2016-12-16 Hautau Gmbh Herraje de carro de rodadura para una hoja de corredera
EP1170448B1 (de) 2000-07-04 2005-04-27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Laufwagen für einen Parallelschiebe- und Kippbeschlag eines Gebäudefensters oder einer Gebäudefenstertür sowie Gebäudefenster bzw. Gebäudefenstertür mit einem solchen Parallelschiebe-Kippbeschlag
DE20212222U1 (de) 2002-08-08 2002-10-02 Hettich Heinze Gmbh & Co Kg Laufrollenträger für Schiebetüren
DE202004019098U1 (de) 2004-12-10 2006-04-13 Weber & Co. Gmbh Kg Laufrollenteil für einen Schiebetürbeschlag
DE102005001911A1 (de) 2005-01-14 2006-07-20 SCHÜCO International KG Schiebefenster
DE202005007687U1 (de) 2005-05-17 2006-09-28 Weber & Co. Gmbh Kg Laufrollenteil für einen Schiebetürbeschlag
DE102007022311B4 (de) 2006-12-16 2016-03-10 Hautau Gmbh Höhenverstellbare Lagereinheit für einen Schiebeflügel
CN201062469Y (zh) * 2007-06-04 2008-05-21 闵爱香 一种新型电动平开或悬开窗
DE202008004933U1 (de) * 2008-04-01 2008-06-19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Beschlag für einen zumindest kippbaren und/oder parallelabstellbaren Flügel eines Fensters, einer Tür o.dg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384386T3 (en) 2017-06-06
ES2626429T3 (es) 2017-07-25
LT2384386T (lt) 2017-04-10
EP2384386A2 (de) 2011-11-09
RU2526006C2 (ru) 2014-08-20
PL2384386T3 (pl) 2017-08-31
EP2384386B1 (de) 2017-03-01
WO2010079461A3 (de) 2010-09-23
SI2384386T1 (sl) 2017-07-31
HRP20170788T1 (hr) 2017-08-11
CN102348862B (zh) 2015-03-11
CN102348862A (zh) 2012-02-08
KR101520993B1 (ko) 2015-05-15
RU2011131154A (ru) 2013-02-20
PT2384386T (pt) 2017-06-09
HUE034462T2 (en) 2018-02-28
WO2010079461A2 (de)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3549A (ko)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거운 문짝을 위한 콤팩트한 캐리지
EP2622163B1 (en) Sectional door particularly for garage
JP6013559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US11220857B2 (en) Fire-resistant sliding door system
DK2538009T3 (en) Compact carriage for a door wing with a parallel-shifted and secured position
JP5293928B2 (ja) 折戸の支持構造
KR102209673B1 (ko)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CN102606018A (zh) 有轨平移门
CN111779288A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吊篮
JP2951650B1 (ja) 可動ホーム柵装置
CN112127274B (zh) 一种用于防撞护栏安装与检修的吊篮
EP2292547B1 (en) Interlock mechanism for a landing door
KR102180015B1 (ko) 개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CA2602996C (en) Perforating gun loading bay, table and method
EP2871315B1 (en) Supporting device for doors
EP2065327B1 (en) Mechanism for operating lift doors
JP6184264B2 (ja) 可動式ホーム柵
JP3382877B2 (ja) 引戸の施錠機構
CN108821081B (zh) 一种施工电梯安全门
JP6628560B2 (ja) ホームドア
US11346140B2 (en) Safety brake for vertical lifting doors
CN214301299U (zh) 一种城市高架工程施工防护装置
JP2010196298A (ja) 折り畳み扉
CN109319624B (zh) 一种电梯扒门自救结构
CN208058400U (zh) 一种安防门立柱的铝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