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673B1 -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 Google Patents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9673B1 KR102209673B1 KR1020200058515A KR20200058515A KR102209673B1 KR 102209673 B1 KR102209673 B1 KR 102209673B1 KR 1020200058515 A KR1020200058515 A KR 1020200058515A KR 20200058515 A KR20200058515 A KR 20200058515A KR 102209673 B1 KR102209673 B1 KR 102209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rotatably coupled
- hinge
- rod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자동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로서, 상기 도어는, 주 힌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도어; 보조 힌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설치 장소에 기립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기둥 부재;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도어의 회전 운동과 상기 주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어의 회전 운동을 서로 연동시켜주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하단부에 롤러와 같은 별도의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비탈진 곳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하단부에 롤러와 같은 별도의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비탈진 곳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이식 자동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하단부에 롤러와 같은 별도의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비탈진 곳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자동 도어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의 출입구에 사용되는 문(door)의 종류는 그 형태와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한쪽의 세로틀 또는 거기에 부착한 경첩 등의 철물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형식으로 개폐하는 문을 여닫이문(hinged door)이라고 부르고, 홈이나 레일상을 수평 이동하여 개폐하는 문을 미닫이문(sliding door)라고 부른다.
접이식문(folding door)은, 열릴 때 함께 접히는 2개의 연접식 문짝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을 의미하는데, 비교적 큰 폭을 가진 출입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차량 출입이 많고 보안이 필요한 건물 등의 정문 출입구에는 차량 차단용 방호 게이트(gate)로서 전동 개폐 장치를 구비한 접이식 자동 도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접이식 자동 도어는 신속하게 개폐되는 것이 필수적일 뿐 아니라, 그와 함께 차량 돌진 테러나 외부 침입자를 막기 위하여 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강제로 개방되지 않는 견고한 내구성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자동 도어들은, 개폐 장치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신속하게 개폐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문이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제로 개방될 수 있는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접이식 자동 도어들이 구비한 동력 전달 구조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문이 폐쇄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감속기나 구동 모터에 전달되는 외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커짐으로써, 감속기가 파손되거나 구동 모터가 파손됨으로써 문이 개방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자동 도어들은, 도어가 개폐되는 경로를 미리 정한 경로로 가이드 위하여, 복수 개의 롤러와 롤러 수용부 등을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기도 하였는데, 상기 롤러 수용부는 설치 장소가 수평하고 평평한 곳에서만 설치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의 하단부에 롤러와 같은 별도의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비탈진 곳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접이식 자동 도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동 도어는,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로서, 상기 도어는, 주 힌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도어; 보조 힌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설치 장소에 기립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기둥 부재;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도어의 회전 운동과 상기 주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어의 회전 운동을 서로 연동시켜주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보조 힌지를 중심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도어의 말단부가 상기 주 힌지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근접하거나 상기 주 힌지로부터 직선적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 유닛은,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어 있는 제 3 부재;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도어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제 3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 4 부재; 미리 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3 부재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기둥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로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 부재 및 제 4 부재는, 미리 정한 두께의 판형 부재로서, 상기 기둥 부재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로 배치되어 일부분이 서로 겹쳐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로드 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막대형 부재로서, 양단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 장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두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한 크랭크 부재;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는 상기 크랭크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로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그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로드 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선 방향과 상기 크랭크 부재의 제1 중심축이 미리 정한 거리 이하로 근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는 반경 방향과 상기 제1 로드 부재의 길이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로드 부재는, 미리 정한 길이의 막대형 부재이며, 양단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기둥 부재의 하단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에는, 도어 개폐시에 주변에 있는 사람이나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범퍼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로서, 상기 도어는, 주 힌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도어; 보조 힌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설치 장소에 기립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기둥 부재;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 힌지의 회전 운동과 상기 주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어의 회전 운동을 서로 연동시켜주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므로, 도어의 하단부에 롤러와 같은 별도의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비탈진 곳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이식 자동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동 도어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 3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링크 유닛이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링크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링크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링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동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링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링크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개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어에 장착된 범퍼 센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제2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제3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동 도어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 3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링크 유닛이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링크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링크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링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동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링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링크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개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어에 장착된 범퍼 센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제2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제3 센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이식 자동 도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동 도어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보안이 필요한 건물 등의 정문 출입구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자동 도어로서, 차량 차단용 방호 게이트(gate)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베이스(10)와 기둥 부재(20)와 도어(30)와 개폐 장치(100)와 링크 유닛(200)과 각종 센서(300, 310, 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부재로서, 내부에 철근 등의 보강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제7 중심축(C7)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설치 장소에 배치되어 매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기둥 부재(20)의 하단부를 설치 장소인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중량 이상의 무게를 가진다.
상기 기둥 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중심축(C4)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금속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 부재(2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진 사각형 파이프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기둥 부재(20)는,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대하여 기립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둥 부재(2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0)의 내부 보강 부재와 직접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기둥 부재(20)의 상단부에는, 상기 도어(30)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상측 지지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 지지부(21)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금속판 부재로서, 상기 기둥 부재(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 지지부(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 부재(20)의 전방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둥 부재(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도어(30)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하측 지지부(22)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측 지지부(22)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금속판 부재로서, 상기 기둥 부재(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측 지지부(22)는, 앵커 볼트 등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10)에 견고하게 나사 결합된다.
상기 도어(30)는, 일단부가 상기 기둥 부재(20)에 힌지 결합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가능한 문(door)으로서, 제1 도어(31)와 제2 도어(32)와 주 힌지(33)와 보조 힌지(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도어(31)는, 상기 주 힌지(33)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4 중심축(C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기둥 부재(20)의 상측 지지부(21)와 하측 지지부(22)에 결합되어 있는 문이다.
상기 주 힌지(33)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상측 지지부(21) 및 하측 지지부(2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도어(31)의 하단부는, 후술할 상기 개폐 장치(100)의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도어(32)는, 상기 보조 힌지(34)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31)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문이다.
상기 보조 힌지(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 수개 마련되어 상기 도어(30)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제13 중심축(C13)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한 힌지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어(31) 및 제2 도어(32)는, 복수 개의 금속 파이프 부재 및 금속봉 부재를 용접으로 결합하여 창살형 문으로 제작되어 있다.
상기 개폐 장치(100)는, 상기 도어(30)를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개폐 장치로서, 구동 모터(110)와 감속기(120)와 크랭크 부재(130)와 제1 로드 부재(140)와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모터(110)는,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서보 모터로서, 제1 중심축(C1)을 따라 기립된 상태로 상기 기둥 부재(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 모터(110)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회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축(1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축(111)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1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모터(110)는, 상기 구동축(111)의 회전 속도를 미리 정한 속도로 감소시키는 감속기(120)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기(120)는,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구동축(1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111)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감속기(120)는, 내부에 복잡한 기어 구조를 가지며, 상기 구동 모터(110)의 정지시에는 "브레이크" 내지 "잠금"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모터(110)와 감속기(120)와 구동축(111)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상하로 일렬 배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 부재(130)는, 상기 구동 모터(110)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30)에 전달하는 금속 부재로서, 길이 방향인 제6 중심축(C6)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 부재(130)는, 도 5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심축(C1)을 회전 중심축으로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두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랭크 부재(130)의 일단부는, 상기 구동축(111)의 하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랭크 부재(130)는, 상기 제1 로드 부재(1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31)를 구비하는 "ㄷ"자형 단면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1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로드 부재(140)가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로드 부재(140)를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축(111)의 회전 중심축(C1)과 상기 크랭크 부재(130)의 회전 중심축(C1)은 서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로드 부재(140)는, 길이 방향인 제5 중심축(C5)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막대형 금속 부재로서, 양단부에는 베어링(141, 142)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141, 142)은,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는 나사 결합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41, 142) 사이의 이격 거리는 필요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141)은, 상기 크랭크 부재(130)의 타단부에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베어링(142)은, 상기 제1 도어(31)의 하단부 내측면에 마련된 베어링 지지부재(143)에 제3 중심축(C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143)는, 금속판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31)의 하단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5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110)를 받쳐서 지지하기 위한 금속 부재로서, 하단부가 상기 하측 지지부(22)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50)은, 상기 크랭크 부재(130) 및 제1 로드 부재(140)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일측면에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120)는, 상기 하우징(15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로 배치되며,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50)은, 상기 구동축(111)과 크랭크 부재(130)과 제1 로드 부재(140)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5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3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는 반경 방향(C7)과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의 길이 방향(C5)이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제작된다.
이렇게 상기 도어(30)의 반경 방향(C7)과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의 길이 방향(C5)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3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그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에 가해지는 외력선 방향(C5)과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의 길이 방향(C5)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3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의 길이 방향(C5)과 상기 크랭크 부재(130)의 길이 방향(C6)가 이루는 각도(α1)는 0 내지 1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의 길이 방향(C5)과 상기 크랭크 부재(130)의 길이 방향(C6)가 이루는 각도(α1)가 5도 정도의 값을 가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에 가해지는 외력 작용선(C5)과 상기 크랭크 부재(130)의 제1 중심축(C1)이 미리 정한 거리 이하의 값을 가지게 되고, 상기 외력에 의하여 크랭크 부재(130)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감소하게 된다. 만약 상기 각도(α1)가 0도인 경우에는 아무리 강력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크랭크 부재(130)에 가해지는 외력 모멘트는 0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α1)는 대략 5도의 값을 가진다. 왜냐하면 상기 각도(α1)가 정확히 0도인 경우에는 상기 도어(30)의 개방 내지 폐쇄시에 상기 구동 모터(110)에 가해지는 부하가 너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도어(3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의 길이 방향(C5)과 상기 크랭크 부재(130)의 길이 방향(C6)가 이루는 각도(α2)는 대략 140도이다.
상기 개폐 장치(100)는, 상기 기둥 부재(20)의 하단부 내부에 수용되어 있거나, 상기 기둥 부재(20)의 하단부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 장치(100)가 상기 기둥 부재(20)의 하단부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링크 유닛(200)은, 상기 도어(30)가 개폐되는 경로를 미리 정한 경로로 가이드 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도어(3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힌지(34)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도어(32)의 회전 운동과 상기 주 힌지(33)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어(31)의 회전 운동을 서로 연동시켜주는 링크 유닛이다.
상기 링크 유닛(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210)와 제2 로드 부재(220)와 제3 부재(230)와 제4 부재(240)와 제5 부재(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금속판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기둥 부재(20)의 상측 지지부(21)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재(210)는, 상기 상측 지지부(21)의 전단부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 부재(20)의 외측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로드 부재(220)는, 미리 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막대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제9 중심축(C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3 부재(230)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기둥 부재(20)의 상측 지지부(21)에 제8 중심축(C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로드 부재(2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막대형 부재로서, 양단부에는 제1 베어링(221)과 제2 베어링(222)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 로드 부재(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도어(30)의 반경 방향(C7)과 거의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3 부재(230)는, 미리 정한 두께의 금속 판형 부재로서, 상기 기둥 부재(20)의 길이 방향(C4)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3 부재(230)은, 일단부가 제10 중심축(C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도어(31)의 말단부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4 부재(240)는, 미리 정한 두께의 금속 판형 부재로서, 상기 기둥 부재(20)의 길이 방향(C4)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4 부재(240)은, 일단부가 제12 중심축(C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5 부재(250)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제11 중심축(C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3 부재(230)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부재(230) 및 제 4 부재(2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어 일부분이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5 부재(2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금속판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2 도어(32)의 뿌리부 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제12 중심축(C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4 부재(24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유닛(200)에 포함된 각종 중심축들(C8 내지 C12)들의 상대 위치는 기구학적으로 결정되며, 상기 도어(30)의 구체적인 형상과 크기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 유닛(200)은, 상기 제1 도어(31)가 상기 주 힌지(3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도어(32)가 상기 보조 힌지(34)를 중심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유닛(200)은, 상기 제1 도어(31)가 상기 주 힌지(3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도어(32)의 말단부가 상기 주 힌지(33)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근접하거나 상기 주 힌지(33)로부터 직선적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센서(300)는, 상기 도어(3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 부재(20)의 하단부 앞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센서(31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어(32)의 말단부 하단에 장착된 범퍼 센서(bumper sensor)로서, 상기 제4 중심축(C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 센서(310)는, 상기 도어(30) 개폐시에 주변에 있는 사람이나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범퍼 센서로서, 사람이나 물체가 충격에 의하여 다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탄성이 있는 부재들, 예컨대 고무나 발포수지 등의 완충 부재를 포함하여 제작된다.
상기 제3 센서(32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31) 및 제2 도어(32)의 하단에 장착된 범퍼 센서로서, 상기 제7 중심축(C7)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서(310) 및 제3 센서(320)는, 상기 도어(30)가 닫히는 과정에서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30)가 다시 열리게 되고, 상기 도어(30)가 열리는 과정에서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30)가 정지된다.
상술한 구성의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도어(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개폐 장치(100)를 구비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로서, 상기 도어(30)는, 주 힌지(33)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도어(31); 보조 힌지(34)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31)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도어(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설치 장소에 기립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기둥 부재(20); 상기 도어(3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 힌지(340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도어(32)의 회전 운동과 상기 주 힌지(33)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어(31)의 회전 운동을 서로 연동시켜주는 링크 유닛(20);을 포함하므로, 상기 도어(30)의 하단부에 롤러와 같은 별도의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비탈진 곳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링크 유닛(200)이, 상기 제1 도어(31)가 상기 주 힌지(3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도어(32)가 상기 보조 힌지(34)를 중심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도어(32)가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게 상기 보조 힌지(34)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링크 유닛(200)이, 상기 제1 도어(31)가 상기 주 힌지(3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도어(32)의 말단부가 상기 주 힌지(33)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근접하거나 상기 주 힌지(33)로부터 직선적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도어(32)가 상기 제1 도어(31)에 최대한 밀착한 상태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링크 유닛(200)이,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도어(31)에 결합되어 있는 제 3 부재(230);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도어(32)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제 3 부재(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 4 부재(240); 미리 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3 부재(230)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기둥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로드 부재(220);를 포함하므로, 단순한 구성으로 상기 링크 유닛(200)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부재(230) 및 제 4 부재(240)가, 미리 정한 두께의 판형 부재로서, 상기 기둥 부재(20)의 길이 방향(C4)과 교차하도록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로 배치되어 일부분이 서로 겹쳐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로드 부재(2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막대형 부재로서, 양단부에는 베어링(221, 222)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링크 유닛(200)의 설치 높이를 비교적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로드 부재(2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링크 유닛(200)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개폐 장치(100)가, 구동 모터(110); 상기 구동 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두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한 크랭크 부재(130); 길이 방향(C5)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는 상기 크랭크 부재(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도어(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로드 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3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3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그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에 가해지는 외력선 방향(C5)과 상기 크랭크 부재(130)의 제1 중심축(C1)이 미리 정한 거리 이하로 근접되어 있으므로, 외부 침입자가 상기 도어(30)를 강제적으로 개방하려고 시도할 경우에도, 상기 크랭크 부재(130)가 쉽게 회전되지 않아, 도어(30)의 폐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의 개폐 장치(100)는, 상기 도어(30)를 신속하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도어(3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강제로 개방되지 않으므로 차량 돌진 테러나 외부 침입자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도어(3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3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는 반경 방향(C7)과 상기 제1 로드 부재(140)의 길이 방향(C5)은 실질적으로 수직하므로, 상기 구동 모터(110)의 회전력이 최대한으로 상기 도어(30)에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크랭크 부재(130)가, 상기 제1 로드 부재(140)가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로드 부재(1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31)를 구비하므로, 상기 크랭크 부재(130)와 제1 로드 부재(140) 간의 간섭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개폐 장치(100)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개폐 장치(100)는, 상기 크랭크 부재(130)가, 상기 공간부(131)를 구비하는 "ㄷ"자형 단면의 부재를 포함하므로, 상기 크랭크 부재(130)를 저비용으로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개폐 장치(100)는, 상기 구동 모터(110)가 미리 정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축(111)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111)의 회전 중심축(C1)과 상기 크랭크 부재(130)의 회전 중심축(C1)은 동일한 선상에서 서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둥 부재(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기 쉬운 "기둥형 개폐 장치"로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제1 로드 부재(140)가, 미리 정한 길이의 막대형 부재이며, 양단부에는 베어링(141, 142)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로드 부재(140)가 길이 방향의 외력만이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개폐 장치(100)가, 상기 기둥 부재(20)의 하단부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상기 개폐 장치(100)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한 상기 개폐 장치(10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상기 도어(30)에, 도어 개폐시에 주변에 있는 사람이나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범퍼 센서(310, 32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어(30) 개폐시에 주변에 있는 사람이나 물체가 다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 자체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가 4개의 도어(31, 32)를 구비하고 있으나, 4개 이상의 도어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 1개의 베이스(10)를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기둥 부재(20)에 1개씩 결합된 베이스(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0)의 형상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이식 자동 도어(1000)가 상기 베이스(10)를 포함하고 있으나, 설치 장소에 상기 기둥 부재(20)을 직접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상기 베이스(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에는 상기 기둥 부재(20)의 하단부가 설치 장소에 앵커 볼트 (anchor bolt) 등으로 고정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접이식 자동 도어
10: 베이스
20: 기둥 부재
21: 상측 지지부
22: 하측 지지부
30: 도어
31: 제1 도어
32: 제2 도어
33: 주 힌지
34: 보조 힌지
100: 개폐 장치
110: 구동 모터
111: 구동축
120: 감속기
130: 크랭크 부재
131: 공간부
140: 제1 로드 부재
141: 상기 제1 베어링
142: 상기 제2 베어링
143: 베어링 지지부재
150: 하우징
200: 링크 유닛
210: 제1 부재
220: 제2 로드 부재
221: 제1 베어링
222: 제2 베어링
230: 제3 부재
240: 제4 부재
250: 제5 부재
300: 제1 센서
310: 제2 센서
320: 제3 센서
1000: 접이식 자동 도어
10: 베이스
20: 기둥 부재
21: 상측 지지부
22: 하측 지지부
30: 도어
31: 제1 도어
32: 제2 도어
33: 주 힌지
34: 보조 힌지
100: 개폐 장치
110: 구동 모터
111: 구동축
120: 감속기
130: 크랭크 부재
131: 공간부
140: 제1 로드 부재
141: 상기 제1 베어링
142: 상기 제2 베어링
143: 베어링 지지부재
150: 하우징
200: 링크 유닛
210: 제1 부재
220: 제2 로드 부재
221: 제1 베어링
222: 제2 베어링
230: 제3 부재
240: 제4 부재
250: 제5 부재
300: 제1 센서
310: 제2 센서
320: 제3 센서
Claims (10)
-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로서,
상기 도어는,
주 힌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도어;
보조 힌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설치 장소에 기립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기둥 부재;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도어의 회전 운동과 상기 주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어의 회전 운동을 서로 연동시켜주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유닛은,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어 있는 제 3 부재;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도어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제 3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 4 부재;
미리 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3 부재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기둥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로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보조 힌지를 중심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도어의 말단부가 상기 주 힌지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근접하거나 상기 주 힌지로부터 직선적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부재 및 제 4 부재는, 미리 정한 두께의 판형 부재로서, 상기 기둥 부재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로 배치되어 일부분이 서로 겹쳐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로드 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막대형 부재로서, 양단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장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두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한 크랭크 부재;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는 상기 크랭크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로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그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로드 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선 방향과 상기 크랭크 부재의 제1 중심축이 미리 정한 거리 이하로 근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는 반경 방향과 상기 제1 로드 부재의 길이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부재는, 미리 정한 길이의 막대형 부재이며, 양단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기둥 부재의 하단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도어 개폐시에 주변에 있는 사람이나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범퍼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8515A KR102209673B1 (ko) | 2020-05-15 | 2020-05-15 |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8515A KR102209673B1 (ko) | 2020-05-15 | 2020-05-15 |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9673B1 true KR102209673B1 (ko) | 2021-01-29 |
Family
ID=7423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8515A KR102209673B1 (ko) | 2020-05-15 | 2020-05-15 |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967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27246A1 (fr) * | 2021-09-23 | 2023-03-24 | Lippi Industrie | Portail motorise double vantaux pliants |
KR102587950B1 (ko) | 2023-05-16 | 2023-10-11 | 주식회사한결이엔지 | 거푸집 일체형 전동 게이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6073A (ja) * | 1992-06-18 | 1994-03-08 | Takimoto Seisakusho:Kk | 建物における開閉扉 |
WO2004074616A1 (en) * | 2003-02-21 | 2004-09-02 | Cova Security Gates Limited | Folding leaf gate |
-
2020
- 2020-05-15 KR KR1020200058515A patent/KR1022096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6073A (ja) * | 1992-06-18 | 1994-03-08 | Takimoto Seisakusho:Kk | 建物における開閉扉 |
WO2004074616A1 (en) * | 2003-02-21 | 2004-09-02 | Cova Security Gates Limited | Folding leaf gat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27246A1 (fr) * | 2021-09-23 | 2023-03-24 | Lippi Industrie | Portail motorise double vantaux pliants |
KR102587950B1 (ko) | 2023-05-16 | 2023-10-11 | 주식회사한결이엔지 | 거푸집 일체형 전동 게이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9673B1 (ko) |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 |
US5542811A (en) | Wheelchair lift with laterally displaceable support post for vertical and rotational displacement | |
KR101874013B1 (ko) | 접이식 도어 장치 | |
KR102180015B1 (ko) | 개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 |
KR100770435B1 (ko) | 플랫폼용 스텝장치 | |
KR20170059593A (ko) |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 |
KR20170001691A (ko) |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 | |
JP2951650B1 (ja) | 可動ホーム柵装置 | |
EP3306026B1 (en) | Roll door | |
US20230264925A1 (en) | Collapsible Gate | |
JP2930941B1 (ja) | 可動ホーム柵のロック装置 | |
DK2840217T3 (en) | AUTOMATIC OVERPORT WITH AT LEAST ONE SCANNER TO DETECT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ARTICLE NEAR THE GATE | |
EP3951125A1 (en) | Roll door | |
KR102666015B1 (ko) |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 |
JP3323167B2 (ja) | 回転扉の扉支持機構 | |
EP1722059B1 (en) | A sectional door | |
JP2002194977A (ja) | 伸縮門扉及び門柱収納式伸縮門扉 | |
KR102665530B1 (ko) | 접철이 가능한 사다리식 대문 | |
RU219022U1 (ru) | Ворота двустворчатые подъемно-поворотные | |
KR100405329B1 (ko) | 주차장치 | |
JP3232386B2 (ja) | ゲート駆動装置 | |
US20200040651A1 (en) | Roller assembly for sliding security grilles | |
JP3155496B2 (ja) | 電動伸縮門扉のロック装置 | |
JP3965338B2 (ja) | 引き戸 | |
CN118547953A (zh) | 具有能锁定的滑动门扇的滑动门以及锁定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