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790A -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790A
KR20110127790A KR1020100047223A KR20100047223A KR20110127790A KR 20110127790 A KR20110127790 A KR 20110127790A KR 1020100047223 A KR1020100047223 A KR 1020100047223A KR 20100047223 A KR20100047223 A KR 20100047223A KR 20110127790 A KR20110127790 A KR 20110127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ssembly
inner panel
door frame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778B1 (ko
Inventor
황주하
홍성운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77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자동차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이너 판넬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도어를 형성할때,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이너 판넬 어셈블리를 용접하여 접합시키므로, 도어트림 어셈블리를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이너 판넬 어셈블리를 용접시킨 후 도어 내면에 결합하여도 용접부가 도어 내부로 노출되어 녹이 발생하거나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켜 도어(700)를 형성한 후 도어트림 에셈블리(100)를 장착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용접부(600)를 커버하는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과 결합되는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결합부(210)(220)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의 형태와 일치되도록 횡단면이 "└┘" 형태의 요입부(230)(240)를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킨 후 용접하여 형성되는 용접부(600)를 구비하는 도어(700);와 측면 양 끝단(310)(320)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 결합부위의 용접부(600)를 덮어 가려주는 용접부 가림부(115)(125)를 구비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a shield structure of door weld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sms 자동차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 판넬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도어를 형성할때,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 판넬 어셈블리를 용접하여 결합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용접부는 도어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 용접부를 가리기 위해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의 양 끝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 형태의 요입부를 형성하고, 수직방향으로는 상부에 용접부가 형성되는 "└┐" 형태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용접하여 결합시킨 후, 도어의 내측면에 장착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 측면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용접부 가림부로 가려줌으로써,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빗물이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녹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용접부를 가리지 않음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도어 아웃터 판넬 어셈블리(door outer panel assembly)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door inner panel assembly) 및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door frame assembly)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어 아웃터 판넬 어셈블리는 도어의 외부 판넬을 지칭하며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는 도어트림 어셈블리(door trim assembly)가 결합되지 전의 도어 내부 판넬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는 도어 윈도우 글라스가 상,하로 이동되는 도어의 프레임인 것이다.
이러한 도어 아웃터 판넬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 및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가 결합되어 도어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는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가 만나는 도어의 양 끝단에 용접을 하여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용접하여 결합시킨 후 용접한 부위에는 용접의 흔적은 용접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결합시킨 후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 외부에 도어트림 어셈블리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용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를 용접하여 결합시킨 후 도어트림 어셈블리(10)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 2 와 같이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를 결합하여 도어(70)를 형성할 때 발생하는 용접부(60)를 별도의 도어 프레임 커버(80)를 장착하여 커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 판넬 어셈블리를 용접 결합할 때 발생하는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외부로 용접부가 빗물이나 이물질 등에 노출되면서 녹이 발생하거나 훼손되어 차량의 안전에 영향을 끼치거나, 또는 녹이 발생하는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의 용접부를 가리기 위해 도어 프레임 커버를 설치하는 경우, 생산단가가 상승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며 별도의 부품이 도어트림과 결합됨으로써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 형태의 요입부가 구비되는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의 요입부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의 양 끝단을 용접시켜 결합한 후,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의 용접부가 형성되는 하단에 "└┐" 형태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결합시키면서 형성되는 용접부가 "└┐" 형태의 요입부에 형성됨으로써, 도어에 도어트림 어셈블리를 결합시킬 때 간섭되지않게 되고, 또한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 용접부를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결합시킨 후 도어의 내측면에 장착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 측면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용접부 가림부로 가려줌으로써,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용접 결합할 때 발생하는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외부로 용접부가 빗물이나 이물질 등에 노출되면서 녹이 발생하거나 훼손되어 차량의 안전에 영향을 끼치거나, 또는 녹이 발생하는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 판넬 어셈블리의 용접부를 가리기 위해 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사용할 경우 생산단가가 상승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며 별도의 부품이 도어트림과 결합됨으로써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결합시켜 도어를 형성한 후 도어트림 에셈블리를 장착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의 용접부를 커버하는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의 양 끝단과 결합되는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의 결합부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의 양 끝단의 형태와 일치되도록 횡단면이 "└┘" 형태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결합시킨 후 용접하여 형성되는 용접부를 구비하는 도어;와 측면 양 끝단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 결합부위의 용접부를 덮어 가려주는 용접부 가림부를 구비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결합시켜 도어를 형성한 후 도어트림 에셈블리를 장착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의 용접부를 커버하는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의 양 끝단과 결합되는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의 결합부의 상부에 용접부가 형성되는 요입부가 구비되도록 종단면을 "└┐" 형태로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결합시킨 후 용접하여 형성되는 용접부를 구비하는 도어;와 측면 양 끝단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 결합부위의 용접부를 덮어 가려주는 용접부 가림부를 구비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며,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의 종단면을 "└┐" 형태로 형성하고, 횡단면을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의 양 끝단의 형태와 일치되도록 "└┘" 형태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의 용접부가 도어트림 어셈블리의 용접부 가림부에 의해 효과적으로 가려줄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 "└┘" 형태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결합시키고, "└┐" 형태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상부 요입부에 용접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도어트림 어셈블리가 도어에 결합될 때 간섭되지 않게 형성하며, 도어트림 어셈블리의 측면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용접부 가림부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이너 판넬 어셈블리의 용접에 의한 결합으로 발생하는 용접부를 가려줌으로써,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이너 판넬 어셈블리의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빗물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녹이 발생하여 사고 발생시 차량의 안전성이 떨어지거나 또는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트림 어셈블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용접부 가림부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이너 판넬 어셈블리의 용접부를 가려줌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낮추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도어트림과 별도의 부재가 마찰됨으로써 발생하는 이음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 는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용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4 는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용접한 후 도어트림 어셈블리를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6, 7,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용접 결합한 후 도어트림 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용접한 후 도어트림 어셈블리를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6, 7,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를 용접 결합한 후 도어트림 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켜 도어(700)를 형성한 후 도어트림 에셈블리(100)를 장착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용접부(600)를 커버하는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과 결합되는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결합부(210)(220)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의 형태와 일치되도록 횡단면이 "└┘" 형태의 요입부(230)(240)를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킨 후 용접하여 형성되는 용접부(600)를 구비하는 도어(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측면 양 끝단(310)(320)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 결합부위의 용접부(600)를 덮어 가려주는 용접부 가림부(115)(125)를 구비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켜 도어(700)를 형성한 후 도어트림 에셈블리(100)를 장착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용접부(600)를 커버하는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과 결합되는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결합부(210)(220)의 상부에 용접부(600)가 형성되는 요입부(250)가 구비되도록 종단면을 "└┐" 형태로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킨 후 용접하여 형성되는 용접부(600)를 구비하는 도어(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측면 양 끝단(310)(320)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 결합부위의 용접부(600)를 덮어 가려주는 용접부 가림부(115)(125)를 구비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100);로 이루어지며, 특히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종단면을 "└┐" 형태로 형성하고, 횡단면을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의 형태와 일치되도록 "└┘" 형태의 요입부(230)(240)를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용접부(600)가 도어트림 어셈블리(100)의 용접부 가림부(115)(125)에 의해 효과적으로 가려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하여 도어(70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양단에는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이 결합되는 결합부(210)(220)에는 요입부(230)(240)가 형성되는데, 이때 요입부(230)(240)는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 양 끝단(310)(320)의 형태와 같이 "└┘"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이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요입부(230)(240)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는 용접을 하여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면 돌출형태의 용접부(60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용접부(600)는 도어(700)에 도어트림 어셈블리(100)를 결합시킬 때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종단면에 "└┐" 형태의 요입부(250)를 형성하고 "└┐" 형태의 요입부(250)에 용접부(600)를 형성하여,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에 형성되는 용접부(600)가 도어트림 어셈블리(100)와 간섭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킨 후 도어트림 어셈블리(100)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트림 어셈블리(100)의 측면 양 끝단에는 용접부 가림부(115)(125)가 도어트림 어셈블리(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킨 후 도어트림 어셈블리(100)를 결합시키면 도어트림 어셈블리(100)의 용접부 가림부(115)(125)가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 판넬 어셈블리(200)의 용접부(600)를 가려주게 되는 것이다.
100 : 도어트림 어셈블리 115 : 용접부 가림부
125 : 용접부 가림부 200 :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
210, 220 : 결합부 230, 240 : 요입부
300 :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 310, 320 : 끝단
600 : 용접부 700 : 도어

Claims (3)

  1.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켜 도어(700)를 형성한 후 도어트림 에셈블리(100)를 장착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용접부(600)를 커버하는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과 결합되는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결합부(210)(220)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의 형태와 일치되도록 횡단면이 "└┘" 형태의 요입부(230)(240)를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킨 후 용접하여 형성되는 용접부(600)를 구비하는 도어(700);와
    측면 양 끝단(310)(320)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 결합부위의 용접부(600)를 덮어 가려주는 용접부 가림부(115)(125)를 구비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1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2.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켜 도어(700)를 형성한 후 도어트림 에셈블리(100)를 장착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용접부(600)를 커버하는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과 결합되는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결합부(210)(220)의 상부에 용접부(600)가 형성되는 요입부(250)가 구비되도록 종단면을 "└┐" 형태로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를 결합시킨 후 용접하여 형성되는 용접부(600)를 구비하는 도어(700);와
    측면 양 끝단(310)(320)에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 결합부위의 용접부(600)를 덮어 가려주는 용접부 가림부(115)(125)를 구비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1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종단면을 "└┐" 형태로 형성하고, 횡단면을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의 양 끝단(310)(320)의 형태와 일치되도록 "└┘" 형태의 요입부(230)(240)를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 어셈블리(300)와 도어 이너판넬 어셈블리(200)의 용접부(600)가 도어트림 어셈블리(100)의 용접부 가림부(115)(125)에 의해 효과적으로 가려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KR1020100047223A 2010-05-20 2010-05-20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KR10112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223A KR101123778B1 (ko) 2010-05-20 2010-05-20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223A KR101123778B1 (ko) 2010-05-20 2010-05-20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790A true KR20110127790A (ko) 2011-11-28
KR101123778B1 KR101123778B1 (ko) 2012-03-16

Family

ID=4539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223A KR101123778B1 (ko) 2010-05-20 2010-05-20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966B1 (ko) * 2015-12-10 2017-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차량용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021B1 (ko) 2017-11-14 2019-04-25 덕양산업 주식회사 이중결합구조의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패널
KR101972025B1 (ko) 2017-11-14 2019-04-25 덕양산업 주식회사 경량화된 도어용 하이브리드 이너패널
KR101982764B1 (ko) 2017-11-14 2019-05-28 덕양산업 주식회사 사출성형용 실링인서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이너패널
KR101982765B1 (ko) 2019-03-22 2019-05-28 덕양산업 주식회사 사출성형용 실링인서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이너패널
KR101994942B1 (ko) 2019-04-02 2019-07-02 덕양산업 주식회사 이중결합구조의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패널
KR101990460B1 (ko) 2019-04-08 2019-06-19 덕양산업 주식회사 경량화된 도어용 하이브리드 이너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463Y1 (ko) * 1995-06-29 1998-06-15 한승준 자동차용 도어
KR19980047048U (ko) * 1996-12-28 1998-09-25 김영귀 자동차 도어의 테두리부 겹침구조
JPH11301269A (ja) 1998-04-20 1999-11-02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ドアの遮蔽窓構造
JP3651604B2 (ja) * 2002-06-11 2005-05-25 ふそう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用ド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966B1 (ko) * 2015-12-10 2017-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차량용 도어
US9815353B2 (en) 2015-12-10 2017-11-1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778B1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778B1 (ko)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JP5459409B2 (ja) 樹脂ルーフ取付構造
KR101668256B1 (ko) 차량의 접경부 구조
US9604675B2 (en) Vehicle body front portion structure, and vehicle body assembly method
WO2014034220A1 (ja) 車両用ドア
US20130181482A1 (en) Body front structure of vehicle
US9731774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of vehicle front structure
JP4596982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KR101112115B1 (ko) 자동차 도어의 용접부 가림구조
JP4098273B2 (ja) スライドドア付き車両の車体構造
CN106143311A (zh) 一种车门上的后视镜安装结构
JP5948137B2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
KR101982862B1 (ko) 대시패널과 사이드부의 결합구조
JP6183159B2 (ja) 車両におけるスプリングハウスの取り付け構造
JP6104128B2 (ja) 建機キャブのルーフパネル構造
CN219154580U (zh) 车辆的侧围外板组件以及车辆
JP6919998B2 (ja) 車両のドア
JP6079794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6094445B2 (ja) 車両のドア取り付け構造
WO2015056497A1 (ja) 車体前部構造
KR20090119146A (ko) 자동차의 쿼터 글라스부 사이드 차체구조
JP2015182551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20180061744A (ko) 자동차용 에이필러부의 윈드실드 글래스 안착 플랜지
JP2015027833A (ja) 車体側部の構造
KR100852062B1 (ko) 자동차의 차체 프론트부 사이드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