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089A -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089A
KR20110118089A KR1020110036485A KR20110036485A KR20110118089A KR 20110118089 A KR20110118089 A KR 20110118089A KR 1020110036485 A KR1020110036485 A KR 1020110036485A KR 20110036485 A KR20110036485 A KR 20110036485A KR 20110118089 A KR20110118089 A KR 20110118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cument
rotatably
link arm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026B1 (ko
Inventor
쿠라모치 류타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07Holders for the original in copying cameras
    • G03B27/6221Transparent copy platens
    • G03B27/6228Platen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25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2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고 압착판의 개폐 시에 그 원고 압착판이 수평으로 콘택트 유리의 상면에 스무즈하게 상승, 하강하도록 구성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겹쳐지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상기 취부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한 제1 링크아암과, 상기 리프트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부 측을 상기 제1 링크 아암의 타단부 측에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킨 제2 링크아암과, 상기 연결수단에 작용하는 캠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Opening-closing device of manuscript pressing plate and office machine}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프린터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이나, 복사기능 외에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등 각종 기능을 가진 소위 복합기라고 불리는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 혹은 ADF장치(자동원고이송장치)가 부착된 원고 압착판(본원에 있어서, 이 모든 것을 포함하여 원고 압착판이라고 한다.)을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데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리프트 기능이 부착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사무기기 원고 압착판의 대부분은,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후단부가 기기 본체의 뒷부분 상단에 설치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에 부착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사무기기의 기기 본체에 부착 설치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제1 힌지 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서로 겹쳐지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2 힌지 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 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수단을 가지고 있고, 원고 압착판은 그 후단부를 제1 힌지 샤프트를 지점(支點)으로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은, 책과 같은 두께가 두꺼운 원고의 경우에는, 이 두꺼운 원고를 스캐너부의 콘택트 유리면 상에 얹어두고, 원고 압착판을 닫아서 처리할 때에, 그 두꺼운 원고의 뒷부분 상면의 에지부와 원고 압착판의 하면에 맞닿을 때에, 한층 더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원고 압착판을 아래로 밀음으로서, 그 원고의 에지부를 지점으로 하는 지래대 원리로 리프트 부재를 개재하여 원고 압착판의 리프트 동작이 행해지고, 두꺼운 원고의 상면을 수평 상태로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프트 부재에 대신하여 취부부재에 취부 다리부를 설치하고, 이 취부 다리부를 기기 본체의 뒷부분 상단에 설치한 삽입통과공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도 공지이다.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원고가 책과 같은 두께가 두꺼운 원고의 경우에는, 원고 압착판을 닫으면, 그 원고 압착판의 하면이 두꺼운 원고의 상면에 맞닿으므로, 한층 더 원고 압착판을 아래로 밀음으로서, 취부 다리부가 삽입통과공 내를 상방으로 슬라이드 동작하여 원고 압착판으로 두꺼운 원고의 상면을 수평 방향으로 덮을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성의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사무기기의 기기 본체에 부착 설치되는 곳의 특허 문헌 1의 취부부재에 상당하는 고정측 힌지체와, 이 고정측 힌지체에 대하여 제1 힌지 샤프트에 상당하는 고정측 힌지핀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특허 문헌 1의 지지부재에 상당하는 제1 가동측 힌지체와, 이 제1 가동측 힌지체에 슬라이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캠부를 형성한 슬라이더와, 상기 제1 가동측 힌지체에 겹쳐지는 동시에 그 제1 가동측 힌지체의 자유단부에 상기 제1 가동측 힌지체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2 힌지 샤프트에 상당하는 가동측 힌지핀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특허 문헌 1의 리프트 부재에 상당하는 제2 가동 힌지체와, 상기 고정측 힌지체와 상기 제1 가동측 힌지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가동 힌지체를 상기 제1 가동측 힌지체와 서로 겹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양단부에 각각 규제 핀을 가지고, 한쪽의 규제핀이 상기 고정측 힌지체에 형성된 캠홈에 삽입 설치되는 동시에 다른쪽의 규제핀이 상기 제2 가동측 힌지체에 형성된 캠홈에 삽입 설치된 링크 암과, 상기 고정측 힌지체에 부착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의 캠부가 탄성적으로 맞닿는 캠부를 형성한 고정측 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특개 2006-010979호 공개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06-039440호 공개공보
  [특허 문헌 3] 특개 2005-164804호 공개공보
상기 특허 문헌 1과 2에 각 기재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원고를 스캐너부의 콘택트 유리상에 얹어놓고, 원고 압착판을 닫으면, 바람이 콘택트 유리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는 것이기 때문에, 이 바람에 의해 원고의 얹어놓은 위치가 어긋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원고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원고 압착판을 조용하게 닫거나 혹은 그 원고 위에서 손으로 밀면서 원고 압착판을 닫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복사조작에 시간이 걸리거나 손을 끼이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특허 문헌 1에 기재의 종래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구성에서는, 두꺼운 원고에 걸리는 부하가 크고, 그 부하에 의한 인쇄위치의 어긋남 발생이나 두꺼운 원고의 파손이나 스캐너부 콘택트 유리에 대한 과부하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가 제안되고 있는 것이지만, 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원고 압착판을 열면, 링크 아암에 의해 그 원고 압착판이 폐쇄상태에서 개방 시 및 소정의 개방 각도에서 폐쇄 시에 원고 압착판이 수평으로 상하 동작할 수가 있다.
그러나, 링크 아암의 양단부에 부착 설치된 규제핀의 한쪽이 고정측 힌지체에 형성된 캠홈에 삽입 설치되고, 다른쪽이 제2 가동측 힌지체에 형성된 캠홈에 삽입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고 압착판의 리프트동작이 스무즈하게 되지 못하는데다가, 링크 아암의 동작이 캠홈의 형상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제2 가동측 힌지체의 동작을 복잡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 때문에, 원고 압착판은, 리프트된 상태로 열리기 때문에, 90°의 전체 개방 시에 원고 압착판의 뒷부분이 기기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버리므로, 사무기기를 벽 옆에 붙여서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의 제1 목적은, 원고 압착판을 닫은 상태에서 열 때, 및 원고 압착판을 소정의 개방 각도에서 닫을 때, 그 원고 압착판이 수평상태에서 콘택트 유리의 상면으로 스무즈하게 상승, 하강(즉, 수직방향)하도록 구성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고 압착판을, 폐쇄상태에서 개방 시에 최초는 수평으로 리프트 할 수가 있고, 게다가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원고 압착판이 반전하여 원래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부착 설치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제1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겹쳐지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2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원고 압착판의 개폐조작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취부부재 측에 그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한 제1 링크아암과, 상기 리프트부재 측에 그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부 측을 상기 제 1 링크 아암의 타단부 측에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킨 제2 링크아암과, 상기 연결수단에 작용하는 캠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부착 설치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제1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겹쳐지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2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슬라이드동작이 가능하게 수장되고, 상기 취부부재 측의 압력 받음 수단에 맞닿은 캠슬라이더와, 이 캠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 측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원고 압착판의 개폐조작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취부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한 제1 링크 아암과, 상기 리프트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부측을 상기 제 1 링크 아암의 타단부측에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 제2 링크 아암과, 상기 연결수단에 작용하는 캠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부착 설치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제1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겹쳐지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2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이 리프트부재 측에 설치한 작동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측에 설치한 압력받음 수단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슬라이드동작이 가능하게 수장되고, 상기 압력받음 수단에 맞닿은 캠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자유단 측에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수장되고, 상기 작동부재에 맞닿은 스프링받이 부재와, 이 스프링받이 부재와 상기 캠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원고 압착판의 개폐조작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취부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제1 링크 아암과, 상기 리프트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부 측을 상기 제 1 링크 아암의 타단부 측에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킨 제2 링크 아암과, 상기 연결수단에 작용하는 캠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부착 설치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제1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겹쳐지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2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이 리프트부재 측에 설치한 작동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측에 설치한 압력받음 수단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수장되고, 상기 압력받음 수단에 맞닿은 캠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자유단 측에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수장되고, 상기 작동부재에 맞닿은 스프링받이 부재와, 이 스프링받이 부재와 상기 캠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이 탄성수단 중에 수용되어 상기 캠슬라이더와 상기 스프링받이 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꼭대기판 사이에 설치한 댐퍼 장치와, 상기 원고 압착판의 개폐조작에 따라 상기 리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취부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한 제1 링크 아암과, 상기 리프트 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부 측을 상기 제 1 링크 아암의 타단부 측에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킨 제2 링크 아암과, 상기 연결수단에 작용하는 캠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아암은, 그의 일단부를 상기 제 1 힌지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축착(軸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부재를 가지는 것은, 상기 제 2 링크 아암의 일단부를 상기 작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은, 상기 연결수단에 설치한 제1 캠 부재와, 이 제1 캠부재에 맞닿아서 상기 캠슬라이더에 설치한 제2 캠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수단을, 상기 제 1 링크 아암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 2 링크 아암을 회전가능하게 축착시킨 연결샤프트로 하고, 상기 제 1 캠부재는 상기 연결 샤프트에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과 같이 구성하면, 링크기구의 프리(free)한 상태에 있는 연결수단에 작용하는 캠수단에 의하여, 제1 링크 아암과 제2 링크 아암에 의한 원고 압착판의 스무즈한 리프트동작이 이루어져 조작성이 향상 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수단에 설치한 캠수단에 의하여, 리프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고, 원고 압착판의 폐쇄위치에서 소정의 개방각도까지는 원고 압착판을 수평방향으로 상승, 하강시켜 열 수가 있고, 소정의 개방각도에서는 원고 압착판을 원래 위치에 되돌려서 통상의 개폐동작이 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의 일예로서 복사기의 원고 압착판을 열어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특히 압력받음 수단과 캠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가 닫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특히 압력받음 수단과 캠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원고 압착판을 30ㅀ까지 열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특히 압력받음 수단과 캠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원고 압착판을 60°까지 열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특히 링크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가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특히 링크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원고 압착판을 15ㅀ까지 열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특히 링크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원고 압착판을 30ㅀ까지 열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특히 링크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원고 압착판을 40ㅀ까지 열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특히 링크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원고 압착판을 60°까지 열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무기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복사기, 인쇄기, 프린터 등의 단일체로서의 사무기기, 복사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각종 기능을 겸비하는 복합기 등이 열거되고, 이하에 복사기를 예로서 열거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무기기(복사기 이하 같음)(11)의 기기본체(11a)의 후단부에, 원고 압착판(12)을 개폐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통상적으로 한 쌍으로 설치되고, 지시기호(1A)와(1B)로 나타내고 있다. 실시 예에서는 지시기호(1B)로 나타낸 것은, 탄성수단이 1개이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그러나, 동일구성의 것도 좋고,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B)는, 탄성수단을 가지지 않는 다른 구성인 것이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시기호(1A)로 나타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원고 압착판(12)의 상부에는, 예를 들면, 공지구성의 원고자동이송장치(12b)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자동이송장치는, 여러 장의 원고를 효율 좋게 복사하거나 송신하거나
하기 위한의 것이다.
이 원고자동이송장치(12b)는, 원고 압착판(12)의 상부의 일측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는 원고이송부를 구비하고, 이 원고이송부에 원고를 세트하면, 자동적으로 원고가 순차적으로 송출되어 복사나 송신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A)는, 도 2 이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무기기(11)의 기기본체(11a)에 부착 설치되는 취부부재(2)와, 이 취부부재(2)에 제1 힌지샤프트(15)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3)와, 이 지지부재(3)에 겹쳐지는 동시에 이 지지부재(3)의 자유단부에 제2 힌지샤프트(17)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12)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부재(4)와, 취부부재(2)와 지지부재(3)사이에 설치되고, 원고 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동시에 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와 서로 겹치는 방향으로 힘을 가 하는 탄성수단(5)을 구비하고,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켜 기기본체(11a)의 상면을 원고 압착판(12)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그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탄성수단(5)이 리프트 부재(4)를 회전하는 힘을 가하지 않고,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리프트부재(4)가 제2 힌지샤프트(17)에 감은 뒤틀림 코일스프링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구성의 것도 있다.
취부부재(2)는, 예를 들면, 기기본체(11a)에 부착 설치되는 바닥판(21)과, 바닥판(21)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바닥판(2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뻗은 양측판(22)과, 바닥판(21)의 일단부(후단부)에서 바닥판(2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뻗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후판(23)으로 구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2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나사나 비스 등으로 기기본체(11a)에 부착 설치된다.
측판(22)에는, 베어링공(26a)을 가지는 둘레 멈춤 부착의 베어링부재(26)를 부착 설치하는 샤프트공(24)이 설치되어 있다.
측판(22)의 샤프트공(24)에서 전방으로, 또한, 내측(전방)에 치우친 위치에는, 압력받음 수단(16)이 장착되는 압력받음 핀공(25)이 설치되어 있다.
압력받음 수단(16)은, 실시 예에서는 캠슬라이더(52)의 바닥부의 외부 표면이 맞닿는 압력받음 롤러(29a)이고, 이 압력받음 롤러(29a)는, 압력받음 핀공(25)에 부착 설치한 압력받음 핀(29b)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압력받음 수단(16)은, 단순한 압력받음 핀이어도 좋고, 캠부재 이어도 좋다.
지지부재(3)는, 예를 들면, 천정판인 상판(31)과, 상판(31)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상판(3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뻗은 양측판(32)과, 이들 양측판(32)의 하단부측을 서로 대향하는 측에 90ㅀ 절곡되는 포지(抱持)판(3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상판(31), 양측판(32), 포지판(33)으로, 다음에 설명하는 캠슬라이더나 탄성수단의 수용부(34)가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3)의 양측판(32)의 일단부(후단부)에는, 제2 힌지샤프트(17)가 삽입통과되는 제2 힌지샤프트공(38)이 설치되는 동시에, 다음에 설명하는 작동부재(18)와 링크기구(6)의 연결수단(9)이 삽입되는 절결부(35a,35b)가 설치되어 있다.
양측판(32)의 타단부(전단부)에는, 또한, 제1 힌지샤프트(15)의 샤프트 삽입통과공(3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3)의 양측판(32)의 샤프트 삽입통과공(36)과 취부부재(2)의 측판(22)에 부착 설치된 베어링부재(26)의 베어링공(26a)이 구멍 맞춤되는 동시에 이들 샤프트 삽입통과공(36)과 베어링부재(26)사이 즉 지지부재(3)의 측판(32)과 취부부재(2)의 측판(22)사이에 스페이서(27)와 와셔(28)가 설치되고, 이들 샤프트 삽입통과공(36)과 베어링공(26a)과 스페이서(27)와 와셔(28)에 제1 힌지샤프트(15)가 삽입 통과됨으로서, 지지부재(3)가 취부부재(2)에 제1 힌지샤프트(15)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리프트 부재(4)는, 책과 같은 두꺼운 원고이어도, 원고 압착판(12)으로 기기본체(11a)의 상면에 안정하게 압착시키고, 그의 상면을 수평으로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리프트 부재(4)에는, 상판(41)과, 이 상판(41)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판(4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뻗은 양측판(42)과, 이들 양측판(42)의 하단부 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원고 압착판(12)의 부착판(44)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지지부재(3)를 상측에서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프트 부재(4)의 일단부(후단부)중앙에서 상판(41)측의 개소에는 제2 힌지샤프트 삽입통과공(43)이 설치되는 동시에, 제2 힌지샤프트 삽입통과공(43)에서 타단부측으로, 한편, 중앙에서 상판(41)측과는 반대 측의 개소에는, 작동부재(18)가 삽입통과되는 작동부재 부착공(45)이 설치되어 있다. 양측판(42)의 작동부재 부착공(45)에 작동부재(18)가 삽입 통과되어 고정되어 있다.
리프트부재(4)의 양측판(42)의 제2 힌지샤프트 삽입통과공(43)과 지지부재(3)의 양측판(32)의 제2 힌지샤프트공(38)이 구멍 맞춤되고 이들 구멍에 제2 힌지샤프트(17)가 삽입 통과됨으로서, 리프트부재(4)와 지지부재(3)가 제2 힌지샤프트(17)를 축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작동부재는, 리프트부재(4)측에 부착 설치되면, 핀 형상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지시기호(39)의 것은 스페이스이다.
탄성수단(5)은, 실시 예에서는 원고 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동시에, 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와 서로 겹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또한, 원고 압착판(12)이 임의의 회전각도 이하 일 때, 원고 압착판(12)을 힘을 가하는 탄성력이 원고 압착판(12)의 모멘트보다 작아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방방향이란,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킬 때에 원고 압착판(12)이 콘택트 유리(13)에서 사이를 두고 떨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폐쇄방향이란, 개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원고 압착판(12)을 회전시킬 때에 원고 압착판(12)이 콘택트 유리(13)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회전각도란, 기기 본체(11a)의 상면인 콘택트 유리(13)면에 대한 원고 압착판(12)의 각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임의의 회전 각도란, 탄성수단(5)의 가하는 힘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어서, 예를 들면, 탄성수단(5)에 의한 원고 압착판(12)을 가하는 힘이 원고 압착판(12)의 모멘트보다 작지 않은 각도이다.
탄성수단(5)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53)이다.
압축코일스프링(53)은, 지지부재(3)내에 수장되어 작동부재(18)와 압력받음 수단(16) 사이에 탄력설치 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53)과 작동부재(18) 사이에는, 탄성수단(5)의 요입부(51a)를 가지는 스프링받이 부재(51)가 설치되는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53)의 압력받음 수단(16) 사이에는, 캠슬라이더(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3)에 꼭대기판을 설치한 것은, 스프링받이 부재(51)를 생략할 수가 있다.
또한, 지시기호(52a)의 것은, 탄성수단(5)의 수용부이다.
압축코일스프링(53)은,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1개이어도 2개 이상이어도 좋고, 스프링받이 부재(51) 및 캠슬라이더(52)를 각각 서로 사이를 두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다.
압축코일스프링(53)은, 원고 압착판(12)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동시에, 원고 압착판(12)이 소정의 회전각도(예를 들면, 15ㅀ(15ㅀ 전후도 포함.)) 이하 일 때, 원고 압착판(12)을 가하는 힘인 탄성력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하는 힘이 원고 압착판(12)의 회전모멘트보다 작아지는 것이다. 압축코일스프링(53)은, 또한, 반경방향과 축방향으로 겹쳐서 2중, 3중으로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스프링받이 부재(51) 및 캠슬라이더(52)는, 단면이 직사각형을 가진 바닥통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받이 부재(51) 및 캠슬라이더(52)는, 서로의 개구부「요입부(51a)와 수용부(52a)」가 마주봄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53)이 수용된 상태로 지지부재(3)의 수용부(34)에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끼워맞춘 상태로 수장되어 있다.
스프링받이 부재(51) 및 캠슬라이더(52)는, 취부부재(2)의 바닥판(21)과 지지부재(3)(상판(31))가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을 때(예를 들면 기기본체(11a)의 상면의 콘택트 유리(13) 상에 원고 압착판(12)을 밀착시켰을 때(원고 압착판(12)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지지부재(3)의 수용부(34) 내에 수장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받이 부재(51)는, 압축코일스프링(53)의 가하는 힘에 의해 작동 부재(18)를 밀어 눌러서, 지지부재(3)와 리프트부재(4)가 서로 겹치도록 힘을 가하는 동시에, 원고 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압축코일스프링(53)의 가하는 힘에 의해 리프트부재(4)의 상판(41)이 지지부재(3)의 상판(31)에 맞닿음 또는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에, 상판(41)이 예를 들면 콘택트 유리(13)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슬라이더(52)의 바닥부(폐색부라 하는 것이 있다.)의 외부표면에는, 경사 캠부(56)가 설치되고, 압력받음 수단(16)에 누름 접합되어 있다. 폐쇄위치에 있는 원고 압착판(12)(도3 참조.)을 콘택트 유리(13)에서 사이를 두고 떨어진 방향(위쪽)에 제1 힌지샤프트(15)를 축으로 회전시키면, 압력받음 수단(16)에 맞닿는 개소가 돌기부(56a)에서 경사부(56b)로 서서히 슬라이드 동작하여 이동하는 동시에, 캠슬라이더(52)가 압축코일스프링(53)에 의해 지지부재(3) 내를 후단부 측으로 밀어 눌러서 슬라이드 동작하고, 압축코일스프링(53)이 서서히 신장된다.
링크기구(6)는, 지지부재(3)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1 힌지샤프트 (15)의 양단에 각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한쌍의 제1 링크아암(7)과, 제2 힌지샤프트(17)의 양단에 각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동일하게 한 쌍의 제2 링크아암(8)과, 이들 한쌍의 제1 링크아암(7)와 동일하게 한쌍의 제2 링크아암(8)의 각 자유단을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수단(9)과, 이 연결수단(9)에 설치된 제1 캠부재(19)와 캠슬라이더(52)의 양측부에 설치된 제2 캠부재(54)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캠수단(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링크기구(6)는, 한 쌍의 제1 링크아암(7)과, 한 쌍의 제2 링크아암(8)과, 한 쌍의 연결 수단(9)과, 한 쌍의 캠수단(10)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어느 것인가 1개이어도 좋다.
또한, 지시기호(7b)의 것은 연결수단(9)의 연결공이고, 지시기호(8a)의 것은 와셔이며, 지시기호(8b)와(8c)는, 작동부재(18)와 연결수단(9)의 연결 공이다.
연결수단(9)은, 제1 링크아암(7)과 제2 링크아암(8)의 각각의 자유단 측을 연결하는 연결샤프트(14)이고, 이 연결샤프트(14)의 변형축부(14a)에 제1 링크아암(7)의 변형부착공(7a)이 삽입 결합되고 있고, 동시에 변형축부(14a)에 제1 캠부재(19)가 그 변형부착공(19a)에 삽입통과하여 결합시켜, 한층 더 고정핀(19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압착판(12)이 닫혀져 기기본체(11a)의 스캐너부의 콘택트 유리(13)상에 압착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원고 압착판(12)은 그의 자중에서 코일스프링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하는 힘을 제외한 힘으로 두께가 얇은 원고(도시하지 않음)를 그 콘택트 유리(13)상에 압착시키고 있다.
또한, 이곳은, 원고 압착판(12)을 그의 자중에 더하여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A)로 압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폐쇄상태에 있어서, 탄성수단(5)은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 있다. 또한, 링크기구(6)의 캠수단(10)의 제1 캠부재(19)와 제2 캠 부재(54)는 서로 맞닿은 상태에 있다.
다음에, 원고 압착판(12)을 열 수 있도록, 그의 가까운 측에 설치된 손잡이(12a)를 손으로 잡고 개방방향으로 열면, 그 원고 압착판(12)은 리프트부재(4)와 지지부재(3)가 함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A)의 제1 힌지샤프트(15)를 지점으로 회전하여 열린다.
그런데 이때에, 지지부재(3)가 제1 힌지샤프트(15)를 지점으로 원고 압착판(12)의 개방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것이 되지만, 링크기구(6)의 제1 링크아암(7)과 제2 링크아암(8)이 그의 제1 캠부재(19)를 캠슬라이더(52)에 설치한 제2 캠부재(54)로 밀게 됨으로서, 제1 링크아암(7)과 제2 링크아암(8)을 개재하여 리프트부재(4)를 지지부재(3)의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것이어서, 그 리프트부재(4)는 제2 힌지샤프트(17)를 지점으로 지지부재(3)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과, 이 리프트부재(4)에 부착 설치한 원고 압착판(12)은, 도 7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 유리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수직방향으로 여는 것이 된다.
이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원고 압착판(12)이 열리는 것은, 지지부재(3)의 회전각도가 도 7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ㅀ까지이며, 이 각도를 넘으면, 링크기구(6)의 캠수단(10)에 의해 리프트부재(4)가 방금 전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부재(3)와 서로 겹치도록 되는 것이어서, 60°의 개방위치에 있어서는, 도 8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압착판(12) 그리고 리프트부재(4)와 지지부재(3)가 서로 겹치고, 그런 후에 이 상태에서 열리는 것이 되는 것이어서, 도 1에 나타낸 전체 개방상태에 있어서는, 원고 압착판(12)의 뒷부분이 기기본체(11a)의 뒷부분에 불필요하게 돌출할 수가 없다. 이 점이 특허 문헌 3의 것과 크게 다른 본 발명의 특징이다.
다음에, 열린 원고 압착판(12)을 닫아 가면, 도 8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각도 60°까지는, 리프트부재(4) 그리고 원고 압착판(12)은 지지부재(3)와 서로 겹치고, 그 지지부재(3)와 함께 회전하여 닫힌다.
그리고 폐쇄각도 60°을 넘으면, 캠슬라이더(52)의 측에 설치한 링크기구(6)의 제2 캠부재(54)가 제1 캠부재(19)를 아래로 밀음으로서, 도 7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압착판(12)은 제1 링크아암(7)과 제2 링크아암(8)을 개재하여 리프트부재(4)가 반전함으로서, 콘택트 유리(13)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수직방향으로 닫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원고 압착판(12)이 콘택트 유리(13)에 대하여 수평상태에서 닫히게 되는 것이어서, 풍압에 의해 그 콘택트 유리(13) 상의 두께가 얇은 원고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책과 같은 두꺼운 원고(D)에 대해서도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닫히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것보다도 원고 압착판(12)의 상면을 수평으로 덮기 위하여 원고 압착판을 탄성수단(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반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택트 유리(13) 및 두꺼운 원고(D)에 대하여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없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 예 2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1C)의 압축코일스프링(100)내에는, 공지 구성의 댐퍼장치(10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댐퍼장치(101)는, 원고 압착판(12)이 폐쇄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원고 압착판(12)은 임의의 회전각도 이하의 특정 회전각도 이하(예를 들면 10ㅀ 전후 이하)에 있어서만, 피스톤 로드(102)의 앞단이 캠슬라이더(103)의 내부 바닥부에 맞닿아서 그의 원고 압착판(12)의 폐쇄속도를 감속시키도록 동작하여, 원고 압착판이 급속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 예 1의 것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댐퍼 장치는, 도 14에 나타낸 이외의 구성의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그 외의 구성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댐퍼 장치(101)는, 예를 들면, 오일 댐퍼장치 등이다. 이 댐퍼장치(101)는, 원고 압착판(12)의 특정의 각도 이하(예를 들면, 10ㅀ전후 이하)에 있어서만 그의 원고 압착판(12)의 회전속도를 감속 시킬 수가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층 더 이 댐퍼 장치(101)는,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 등의 오일이 충전되어 있는 실린더(104)와, 실린더(104)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104)에서 노출하는 노출 길이가 길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피스톤 로드(10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 예 2의 댐퍼장치(101)는, 공지 구성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또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그 외의 실시예로서, 리프트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에 더하여, 혹은 이 탄성수단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 제2 힌지샤프트에 감은 뒤틀림 코일스프링으로 지지부재와 겹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작동부재는, 실시 예의 것은, 리프트부재의 양측판에 축 걸침으로 설치한 핀 형상의 것이지만, 리프트부재 측에 설치되면, 실시 예의 핀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것은 예를 들면, 리프트부재의 제2 힌지샤프트 측에 설치한 꼭대기판 그 자체를 가공하거나, 혹은 꼭대기판 측에 부착 설치되는 것어어도 좋다.
또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의 일단부는, 지지부재의 자유단 측에 설치한 꼭대기판 측에 맞닿는 구성의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리프트부재는 뒤틀림 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부재와 서로 겹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것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서, 복사기, 인쇄기, 프린터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이나, 복사기능 외에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각종 기능을 가지는 소위 복합기라 칭하는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을, 장치본체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것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리프트 기능을 갖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A: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1B: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1C: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2: 취부부재 3: 지지부재
4: 리프트 부재 5: 탄성수단
6: 링크기구 7: 제1 링크아암
7a: 변형 부착공 7b: 연결공
8: 제2 링크아암 8a: 와셔
8b: 연결공 8c: 연결공
9: 연결수단 10: 캠수단
11: 사무기기 11a: 기기본체
12: 원고 압착판 12a: 손잡이
12b: 원고 자동이송장치 13: 콘택트 유리
14: 연결샤프트 14a: 변형축부
15: 제1 힌지샤프트 16: 압력받음 수단
17: 제2 힌지샤프트 18: 작동부재
19: 제1 캠부재 19a: 변형 부착공
21: 바닥판 22: 양측판
22: 측판 23: 후판
24: 샤프트공 25: 압력받음핀 공
26: 베어링 부재 26a: 베어링 공
27: 스페이서 28: 와셔
29a: 압력받음 롤러 29b: 압력받음 핀
31: 상판 32: 양측판
33: 포지판 34: 수용부
35a: 절결부 35b: 절결부
36: 샤프트 삽입통과공 38: 제2 힌지샤프트 공
39: 스페이서 41: 상판
42: 양측판 43: 삽입통과공
44: 설치판 45: 작동 부재 부착공
51: 스프링 받이부재 51a: 요입부
52: 캠슬라이더 52a: 수용부
53: 압축코일스프링 54: 제2 캠부재
56: 경사 캠부 56a: 돌기부
56b: 경사부
100: 압축코일스프링 101: 댐퍼장치
102: 피스톤로드 103: 캠슬라이더
104: 실린더

Claims (9)

  1.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부착 설치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제1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겹쳐지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2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원고 압착판의 개폐조작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취부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한 제1 링크아암과, 상기 리프트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부 측을 상기 제 1 링크 아암의 타단부 측에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킨 제2 링크아암과, 상기 연결수단에 작용하는 캠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2.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부착 설치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제1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겹쳐지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2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슬라이드동작이 가능하게 수장되고, 상기 취부부재 측의 압력받음 수단에 맞닿은 캠슬라이더와, 이 캠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 측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원고 압착판의 개폐조작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취부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한 제1 링크 아암과, 상기 리프트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부측을 상기 제 1 링크 아암의 타단부측에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 제2 링크 아암과, 상기 연결수단에 작용하는 캠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3.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부착 설치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제1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겹쳐지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2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이 리프트부재 측에 설치한 작동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측에 설치한 압력받음 수단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슬라이드동작이 가능하게 수장되고, 상기 압력받음 수단에 맞닿은 캠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자유단 측에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수장되고, 상기 작동부재에 맞닿은 스프링받이 부재와, 이 스프링받이 부재와 상기 캠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원고 압착판의 개폐조작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취부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제1 링크 아암과, 상기 리프트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부 측을 상기 제 1 링크 아암의 타단부 측에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킨 제2 링크 아암과, 상기 연결수단에 작용하는 캠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4.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부착 설치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제1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겹쳐지는 동시에 그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2 힌지샤프트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원고 압착판에 부착 설치되는 리프트부재와, 이 리프트부재 측에 설치한 작동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측에 설치한 압력받음 수단과, 상기 지지부재 내에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수장되고, 상기 압력받음 수단에 맞닿은 캠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자유단 측에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수장되고, 상기 작동부재에 맞닿은 스프링받이 부재와, 이 스프링받이 부재와 상기 캠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 압착판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이 탄성수단 중에 수용되어 상기 캠슬라이더와 상기 스프링받이 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꼭대기판 사이에 설치한 댐퍼 장치와, 상기 원고 압착판의 개폐조작에 따라 상기 리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취부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한 제1 링크 아암과, 상기 리프트 부재 측에 그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부 측을 상기 제1 링크 아암의 타단부 측에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킨 제2 링크 아암과, 상기 연결수단에 작용하는 캠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아암은, 그의 일단부를 상기 제1 힌지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암은, 그 일단부를 상기 작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은, 상기 연결수단에 설치된 제1 캠부재와, 이 제1 캠부재에 맞닿아서 상기 캠슬라이더에 설치한 제2 캠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링크 아암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 링크 아암을 회전가능하게 축착시킨 연결샤프트로서, 상기 제1 캠부재는 상기 연결샤프트에 고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
KR1020110036485A 2010-04-22 2011-04-20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245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98689A JP5807943B2 (ja) 2010-04-22 2010-04-22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JP-P-2010-098689 2010-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089A true KR20110118089A (ko) 2011-10-28
KR101245026B1 KR101245026B1 (ko) 2013-03-18

Family

ID=4488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485A KR101245026B1 (ko) 2010-04-22 2011-04-20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07943B2 (ko)
KR (1) KR101245026B1 (ko)
CN (1) CN102236282B (ko)
TW (1) TWI4210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0829B2 (ja) * 2016-08-01 2021-05-1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開閉装置並びに産業機器
JP6924364B2 (ja) * 2017-04-03 2021-08-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N108221298B (zh) * 2017-12-15 2022-08-23 佛山市顺德海尔电器有限公司 一种铰链安装结构及洗衣机
CN108060554B (zh) * 2017-12-15 2022-09-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铰链安装结构及洗衣机
JP7134470B2 (ja) * 2018-06-26 2022-09-1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各種機器
CN108769452B (zh) * 2018-07-31 2024-04-16 苏州格莱博扫描有限公司 一种按压式扫描仪升降结构
JP7223400B2 (ja) * 2018-12-28 2023-02-1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0891Y2 (ja) * 1991-06-26 1998-05-13 ニスカ株式会社 原稿押さえ装置
JPH11174597A (ja) * 1997-12-10 1999-07-02 Kato Electrical Mach Co Ltd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899213B2 (ja) * 1999-11-30 2007-03-28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368376B2 (ja) * 2000-02-09 2003-01-20 日発販売株式会社 開閉装置
JP2003005309A (ja) * 2001-06-27 2003-01-08 Nisca Corp ヒンジ装置
TWI224245B (en) * 2002-07-09 2004-11-21 Teco Image Sys Co Ltd Lid hinge device of the original draft
JP4420656B2 (ja) * 2003-12-01 2010-02-24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開閉体のヒンジ
JP2005221860A (ja) * 2004-02-06 2005-08-18 Noritsu Koki Co Ltd 写真処理装置
JP3963390B2 (ja) * 2004-12-09 2007-08-22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4898215B2 (ja) * 2005-12-27 2012-03-14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4898216B2 (ja) * 2005-12-27 2012-03-14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5429767B2 (ja) * 2007-08-31 2014-02-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382760B2 (ja) * 2007-11-02 2014-01-0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312832B2 (ja) * 2008-03-26 2013-10-09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026B1 (ko) 2013-03-18
CN102236282A (zh) 2011-11-09
CN102236282B (zh) 2014-07-30
JP5807943B2 (ja) 2015-11-10
TW201138597A (en) 2011-11-01
JP2011227370A (ja) 2011-11-10
TWI421011B (zh) 201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026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241616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675668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TWI412876B (zh) Original press pl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ur) and the original platen of the office equipment
JP2009071804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966164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2011227370A5 (ko)
KR100860922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N110187623B (zh) 盖体开合装置及各种机器
KR101341690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588113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JP2008257167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2012155096A5 (ko)
KR20130009617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JP7134470B2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各種機器
KR101378244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N106468871B (zh) 开合支撑装置及具备此开合支撑装置的设备
KR100821293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US8464393B2 (en) Hinge device for use in office machine
JP2013050551A5 (ko)
JP6663208B2 (ja) ヒンジ
CN105460648A (zh) 纸张宽度对齐装置及纸张输送装置
JP2022085726A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事務機器
JP7025009B2 (ja) 蓋体の昇降装置並びに各種機器
JP2023077954A (ja) 差し込みヒンジ並びにこの差し込みヒンジを用いた事務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