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606A - 방사성 핵종 착화에 있어서 완충액의 용도 - Google Patents

방사성 핵종 착화에 있어서 완충액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606A
KR20110115606A KR1020117021102A KR20117021102A KR20110115606A KR 20110115606 A KR20110115606 A KR 20110115606A KR 1020117021102 A KR1020117021102 A KR 1020117021102A KR 20117021102 A KR20117021102 A KR 20117021102A KR 20110115606 A KR20110115606 A KR 20110115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chelate
vectorized
advantageously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포트
크리스텔르 메디나
Original Assignee
게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브 filed Critical 게르브
Publication of KR20110115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6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9/00Introduction of isotopes of elements into organic compounds ; Labelled organic compounds per s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78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9/84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49/00 - C07D253/00
    • C07D25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49/00 - C07D253/00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Syst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 핵종을 완충 용액 중 킬레이트에 첨가하여 방사성 핵종, 유리하게는 갈륨과 킬레이트를 착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착화는 유리하게 주위 온도에서 가열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진행되고, 상기 용액의 완충액은 방사성 핵종과의 배위 결합 작용기를 2~5개 포함하며, 상기 완충액이 1개 이상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2개 이하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포함한다는 조건 하에 상기 배위 결합 작용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카복실산 작용기 및 하이드록실 작용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로 인하여 생성된 주입 가능한 용액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방사성 핵종 착화에 있어서 완충액의 용도{USE OF BUFFERS FOR RADIONUCLIDE COMPLEXATION}
본 발명은 콘트라스트 제제의 개선된 조성물과 이러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PET(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이미징에 사용되는 제품, 구체적으로 PET 이미징에 사용되는 방사성 핵종, 바람직하게는 갈륨 68을 함유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출원인 명의로 출원된 문헌 WO 제2007/042504호에는 특히 병원 인근 장소 또는 병원 내부에서 부피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드는 사이클로트론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유리한 갈륨 68(Ga68)을 사용하는 PET 이미징의 이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소형 전용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Ga68은 아직 표지화되지 않은 "벡터화 킬레이트(vectorized chelate)" (본원에 있어서는 "냉각 키트(cold kit)"와 구별하지 않고 사용됨)와 커플링되는데, 이 경우 배위 결합 반응(냉각 키트에 의한 방사성 핵종의 착화)을 통하여 Ga68 "방사성 표지화 벡터화 킬레이트" (본원에 있어서는 "착화된 벡터화 킬레이트(complexed vectorized chelate)"와 구별하지 않고 사용됨)가 제공되는데, 이는 PET 이미징시 환자에게 투여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그리고 매우 유리하게, 상기 벡터화된 킬레이트는 특이적인 생물 표적(예를 들어, 세포 수용체), 특히 진단을 필요로 하는 병리학적 부위를 표적화하는, "표적화 부분(targeting part)" (본원에 있어서는 "표적화 제제" 또는 "바이오벡터 (biovector)"와 구별하지 않고 사용됨)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표적화 부분은 화학적 링커(임의의 적당한 결합기를 통한 공유 결합)에 의해 통상적으로 신호 부분을 구성하는 킬레이트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킬레이트는 방사성 핵종(예를 들어, 매크로시클릭 킬레이트, 예를 들어 DOTA, NOTA 또는 PCTA)을 착화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사성 Ga68의 용액, 즉 갈륨 생성기 용리액은 병원 내 보호 시설이 갖추어진 특수한 장소에서(여기서 장소는 방사성 약물 취급 장소를 말함), 콘트라스트 제제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어 미리 준비된 벡터화 킬레이트 용액(냉각 카트)과 혼합된다.
유리하게도, 상기 혼합 과정은 한편으로는 생성기 용리액인 Ga68 투여형과, 다른 한편으로는 (아직 Ga68로 방사능 표지화되지 않은) 벡터화 킬레이트 투여형이 도입되어 있는 자동화 장치 내에서 수행된다.
임상 실습에서 방사성 핵종의 반감기는 짧은데(갈륨 68의 경우 68분), 이러한 물질을 사용하는 목적은 항상 방사능 표지화된 콘트라스트 제제를 제조하는 조건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특히 방사능 표지화된 킬레이트의 순도를 더욱 높여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착화를 실행시키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기 물질을 사용하는 목적은 방사능 표지화된 킬레이트의 수율과 순도, 즉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으로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착화를 실행시키는 것이다.
갈륨을 사용하는 기법에 있어서, 선행 기술에는 무엇보다도 15분 이상의 시간 동안 75℃에서 95℃의 온도로 가열하여 갈륨을 착화하는 것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상기 온도에서 HEPES(설폰산 유도체) 또는 아세트산염 완충액을 사용하였을 때 만족할만한 정도의 순도가 얻어졌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갈륨68 동위 원소의 반감기는 짧은 데에 비해, 상기와 같은 가열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비교적 길며, 적당한 장치를 필요로 한다.
본원의 출원인은 지금까지 이러한 완충액만이 갈륨 착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이유는 아마도 착화에 바람직한 물리 화학적 조건(특히, pH 3.5~4.5) 하에서 효능이 입증되었으며, 일반적으로 PET-화합물 생화학 분야에서 사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완충액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 상기 완충액을 사용할 때 매우 특이적인 물리 화학적 조건(특히, 농도 및 pH 조건)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착화에 대하여 넓은 pH 작용 범위를 얻을 수 없게 하는데, 이러한 점은 사용자에게 한정적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점은 작업 조건에 제약을 가져와 작업 규정을 어기게 될 위험도 따르게 되는데, 이는 물론 약학 제품의 품질에 큰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만일 생성기로부터 유래하는 Ga68 용리액 용액의 산성이 더 강하면, 사용된 완충액은 필요한 만큼의 완충 능력을 더 이상 가질 수 없게 될 수 있는데, 이로써 착화가 방해될 수 있고/있으며, 바이오벡터가 손상을 입게 되므로, 상기 약학 제품은 환자에 주입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을 갖추지 못함을 의미한다;
- HEPES 완충액은 약전에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람에 임상용으로 사용할 경우 제약학적 규정과 관련된 복합적인 문제점들을 일으킬 수 있다.
착화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선행된 당업계 연구에서는 사용될 수 있는 완충 용액에는 관심을 갖지 않았으나, 가열 방법이나 이와 같은 가열의 필요성에는 관심을 가졌다.
따라서, 이후의 선행 기술은 문헌 WO 제2004/089425호에서 여전히 동일한 완충액을 사용하면서 가열 단계는 수행하지 않도록 고안한, 더욱 신속한 극초단파 배위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 극초단파 단계는 또한 사용자에게 제약을 가하고, 사실 종종 이 처리법에 감수성인 벡터화 킬레이트, 약리학적 바이오벡터, 특히 펩티드, 유기 약물 특이 분자단, 비타민 및 단백질이 손상 및/또는 분해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문헌[Velikyan et al, Bioconjugate Chem, 2008, 19, 569-573]에서는 주위 온도에서 행하여지고 극초단파를 이용하지 않되, 임의의 매우 특정한 농도 및 pH 수준에서 이미 이전에 사용된 완충액, 더욱 정확하게는 HEPES 또는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을 사용하는 배위 방법을 기술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HEPES 완충액은 pH 4.6~4.8 및 농도 1M에서 효과적이고, 아세트산염 완충액은 pH 4.6~4.8 및 농도 0.4M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대체로 선행 기술은, 특히 주위 온도에서 행해지는 착화에 매우 특정한 물리 화학적 조건 하에서 임의의 완충액(HEPES, 아세트산염)만을 사용해야 한다고 교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선행 기술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매우 특정하고 아주 엄격한 임의의 물리 화학적 조건만이 주위 온도에서 이 조건과 맞는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갈륨 착화에 효율적이고 다양한 화학적 조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완충액을 제조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놀랍게도, 본원의 출원인은 특히 주위 온도에서, 가열 단계를 진행하지도 않고 극초단파도 사용하지 않으며, 선행 기술의 경우에 비하여 덜 엄격하고 제한도 적은 물리 화학적 착화 조건(특히, 농도와 pH) 하에서 착화 반응에 HEPES와 아세트산염 이외에 약전에 제시된 임의의 적당한 완충액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착화의 신속성(15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10분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분, 예를 들어 5~8분)과 방사능 표지화된 킬레이트의 품질의 관점에서 성공적으로 착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게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출원인은 몇몇 킬레이트(특히, NOTA 및 PCTA)와, 물리 화학적 특성이 유사한 것으로 파악된 몇몇 완충액을 사용할 경우,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주위 온도에서, 가열 단계를 수행하지 않거나 극초단파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특히 선행 기술에 비하여 놀라울 정도로 개선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완충액은 주위 온도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시한 약전 완충액은 가열 단계에서, 또는 극초단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또는 착화를 수행하는 자동화 장치가 자동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면) 상기 완충액은, 예를 들어 임의의 바이오벡터용으로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시한 완충액은 적당한 착화도(유리하게는 92%, 95% 및 97% 이상), 및 충분한 순도(92%, 95% 및 97% 이상)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거될 침전물을 생성하지 않고, 만족할만한 정도로 착화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하에 기술되고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갈륨 68 배위 결합 작용기를 포함하는 완충액을 사용하여 매우 유리한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효과에 대하여 제1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방사성 핵종, 유리하게는 갈륨과 킬레이트를 착화하는 방법(본원에서는 "방사능 표지화 방법(method of radiolabeling)"과 구별하지 않고 사용됨)에 관한 것으로서, 이 착화는 유리하게는 주위 온도에서 가열하지 않고, 완충 용액 중 킬레이트에 방사성 핵종을 첨가하여 수행되는데, 이 경우 이 용액의 완충액은 방사성 핵종과 배위 결합하는데 관여하는 작용기를 2~5개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배위 결합 작용기는 완충액이 1개 이상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2개 이하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포함한다는 조건 하에, 카복실산 작용기와 하이드록실 작용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완충액을 착화 속도가 충분히 신속하여 다양하고 가변적인 사용 조건(특히, pH 및 가열 조건)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현명하게 선택하였다.
본원에 있어서, "카복실산 배위 결합 작용기"란 표현은 임의의 카복실산 작용기인 COOH와 Ga68 착화의 관점에서 COOH와 동등한 역할을 하는 작용기를 의미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화학식을 가지는 고리 내에 포함된 산 작용기
Figure pct00001
; 및
- 이소테릭 작용기(isoteric functional group), 예를 들어 PO3H2(특히, 인산으로 나타남).
설폰산 작용기는 상기 카복실산 작용기의 정의에서 제외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완충액은 카복실산 작용기 중 C=O기의 탄소(탄산염 완충액의 경우), P=O기의 P(인산염 완충액의 경우), 또는 기타 탄소 사슬(즉, 알파, 베타, …, 오메가 하이드록시 카복실산)의 다른 탄소상에 직접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Ka가 2~13이고, 동일한 작용기와 결합되어 있는(특히, 인산 완충액의 경우) 다가 산/염기 작용기를 가지는 완충액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있어서 착화는 완충액이 2개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함유하고, 또한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경우에 결과가 더욱 좋다(착화 이후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할 필요없이 착화가 더 잘 됨).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완충액이 하이드록실 작용기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표지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의하면, 사용되는 완충액은 2개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작용기, 그리고 특히 1개 또는 2개의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의하면, 사용되는 완충액은 1개 이상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완충액은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말산염, 말레산염, 숙신산염, 아스코르브산염, 탄산염 및 인산염 완충액과, 이의 혼합물의 완충액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출원에 있어서, "인산염 완충액" 및 "인산 완충액"이란 용어는 호환되어 사용됨). 완충액은 모노하이드록실화되었고, 선택적으로는 디-, 트리- 또는 테트라하이드록실화되었으며, 선택적으로는 불포화된(특히,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가지는) C1-C10 모노카복실산이거나, 또는 선택적으로는 모노-, 디- 또는 트리하이드록실화되었고, 선택적으로는 불포화된(특히,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가지는) C1-C10 디카복실산인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완충액은 약전에 속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상기 완충액은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및 말산염 완충액, 또는 이의 혼합물의 완충액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 타르타르산염은 2개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2개의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가지며;
- 락트산염은 1개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1개의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갖는다.
HEPES 및 아세트산은 각각 카복실산 작용기를 0개 및 1개 가진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완충액의 화학식을 제시한 것이다.
Figure pct00002
하기 표 2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액의 화학식을 제시한 것이다.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완충액을 사용하여 착화하는데 사용되는 용액의 pH는 유리하게는 1~14, 통상적으로는 3~11, 유리하게는 3~7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완충 능력은 pKa 값 +/- 1임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인데, 이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염의 경우 3.75~5.75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원의 완충액으로 인하여, 상기 범위는 훨씬 더 넓어지게 되는데, 예를 들어 타르타르산염의 경우에는 [2.04~5.37], 탄산염의 경우에는 [5.35~11.33], 그리고 인산염의 경우에는 [1.12~13.67]이다. 뿐만 아니라, 특히, 완충 능력 범위, 및 킬레이트와 바이오벡터의 선택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몇몇 완충액들을 혼합할 수도 있는데(완충액 혼합물), 여기서 집고 넘어가야 할 사항은 고려된 완충액에 따라서 모든 킬레이트가 반드시 동일하게 착화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NOTA는 락트산염, 탄산염 또는 타르타르산염 완충액용으로 특히 유리하다.
정확한 기작에 관하여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와 같은 사후 결과들을 설명하기 위해 본원의 출원인은 가설, 즉 매우 효율적인 완충액은 다음과 같은 작용기를 포함한다는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 갈륨을 충분히 착화하는데에는 충분한 수의 배위 결합 작용기가 필요함: 하나의 작용기만을 함유하는 아세트산염은 다양한 착화 조건(농도 및 pH)에 효율적이 되도록 충분히 착화되지 않을 것이고; 1개의 설폰산염 작용기와 1개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HEPES는 또한 충분히 착화되지 않을 것임;
- 갈륨이 너무 많이 착화되지 않게 만들기 위해서는 배위 결합 작용기를 너무 많이 가지고 있지 않아야 함: 3개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함유하는 시트르산염은 과다하게 착화되는 것으로 파악됨.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logK Ga68 값이 3~6, 바람직하게는 3~5인 완충액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완충액에 의한 Ga68 착화 상수(2~4개의 배위 결합 작용기를 포함하는 완충액의 logK Ga68)는 2~6인 것이 매우 유리하고, 3~5인 것이 매우 유리하며, 약 4(특히, 3.5~4.5)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임의의 방법에서, 본원의 출원인은 갈륨 착화제로서 공지의 유기 화합물, 예를 들어 락트산염을 사용해야 한다는 편견을 버렸는데, 여기서 이러한 화합물은 치료법에 있어서 항암 약물 또는 종양 조영제로 사용된다(이와 같은 화합물은 갈륨 착화에 있어서 킬레이트를 간섭할 수 있었음).
본 발명의 구체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완충액은 상기 완충액들 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서, 예를 들어 락트산염 완충액과 타르타르산염 완충액의 혼합물이다. 상기 혼합물은 모두 본 발명의 완충액들을,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2개 완충액의 혼합물의 경우에는 90/10, 80/20, 60/40 또는 50/50, 그리고 3개 완충액의 혼합물의 경우에는 80/10/10 또는 60/20/2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락트산염류 완충액의 혼합물이 소정의 킬레이트에 매우 효율적이지만, 이 킬레이트에 대해 효율성이 덜한 완충액도 사용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덜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서 매우 효율적인 완충액(예를 들어, 락트산염 완충액)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효율적이지 못한 완충액(특히, 시트르산염 완충액)의 혼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효율적이지 않은 상기 완충액을 착화를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히 소량으로 사용하는 조건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킬레이트는 유리(즉, 벡터화되지 않은) 킬레이트 또는 벡터화된 킬레이트로서, 이 킬레이트는 방사성 핵종을 착화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는 벡터화된 킬레이트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을 위해서, "벡터화된 킬레이트"란 용어는 (화학 링커에 의해서) 특이적인 생물 표적, 특히 진단을 필요로 하는 부위를 표적화하는 부분에 결합된 임의의 킬레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러므로, 상기 킬레이트는 특이적인 생물 표적, 특히 진단을 필요로 하는 부위를 표적화하는 제제로 벡터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벡터화된 킬레이트의 킬레이트 부분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Ga68 착화용으로 바람직한 킬레이트, 예를 들어 NOTA 및 이의 유도체, PCTA 및 이의 유도체, AAZTA 및 이의 유도체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벡터화된 킬레이트는 벡터화된 NOTA, 벡터화된 PCTA, 벡터화된 DOTA, 벡터화된 AAZTA, 유리하게는 디데아자(dideaza)-NOTA, 디데아자 PCTA, 엽산 NOTA, 엽산 PCTA 및 엽산 AAZTA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원의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완충액을 사용하였을 때 특히 유리한 결과를 얻었다:
- NOTA의 경우, 락트산, 타르타르산 또는 탄산 완충액; 및
- PCTA의 경우, 락트산 또는 탄산 완충액.
본 발명의 제품의 킬레이트 부분에는, 특히 다음과 같은 킬레이트들이 다수 사용될 수 있다:
a) 다음과 같은 화학식을 가지는 매크로시클릭 킬레이트:
여기에서,
M-M1-M2는 피리딘 핵을 형성하거나, 또는
M1 및 M2가 존재하지 않으면 M은 단일 결합을 나타내거나, 또는
M이 N-R이면, M1과 M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을 나타내는데, 이 경우 R은 CH2CO2-, H 또는 CHX-CO2-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1개 이상의 R은 CHXCO2-이고, X는 L(링커)-B(바이오벡터)임;
b) 선형 킬레이트, 특히 EDTA, DTPA, 디에틸렌트리아미노펜타아세트산, N-[2-(비스(카복시메틸)아미노)-3-(4-에톡시페닐)프로필]-N-[2-[비스(카복시메틸)아미노]에틸]-L-글리신(EOB-DTPA), N,N-비스[2-[비스(카복시메틸)아미노]에틸]-L-글루탐산(DTPA-GLU), N,N-비스[2-[비스(카복시메틸)아미노]에틸]-L-리신(DTPA-LYS), DTPA의 모노아미드 또는 비스아미드 유도체, 예를 들어 N,N-비스[2-[카복시메틸[(메틸카바모일)메틸]아미노]에틸] 글리신(DTPA-BMA), 4-카복시-5,8,11-트리스(카복시메틸)-1-페닐-2-옥사-5,8,11-트리아자트리데칸-13-온산(BOPTA)으로부터 선택되는 선형 킬레이트.
특히, 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DOTA), 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트리아세트산(DO3A), 10-(2-하이드록시프로필)-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트리아세트산(HPDO3A), 2-메틸-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MCTA), (알파, 알파', 알파", 알파'")-테트라메틸-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DOTMA) 및 3,6,9,15-테트라아자비시클로[9.3.1]펜타데카-1(15),11,13-트리엔-3,6,9-트리아세트산(PCTA)으로부터 선택되는 매크로시클릭 킬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카복실 기가 이에 상응하는 염,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의 형태로 존재하는 유도체; 또는 하나 이상의 카복실 기가 포스폰 기 및/또는 포스핀 기로 치환된, 상응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4-카복시-5,11-비스(카복시메틸)-1-페닐-12-[(페닐메톡시)메틸]-8-(포스포노메틸)-2-옥사-5,8,11-트리아자트리데칸-13-온산, N,N'-[(포스포노메틸이미노)디-2,1-에탄디일]비스[N-(카복시메틸)글리신], N,N'-[(포스포노메틸이미노)디-2,1-에탄디일]비스[N-(포스포노메틸)글리신], N,N'-[(포스피노메틸이미노)디-2,1-에탄디일]비스[N-(카복시메틸)글리신], 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10-테트라키스[메틸렌(메틸포스폰)] 산, 또는 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10-테트라키스[메틸렌(메틸포스핀)]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HOPO 및 공지된 유도체, AAZTA, DOTA 가도플루오린, DO3A, HPDO3A, TETA, TRITA, HETA, DOTA-NHS, M4DOTA, M4DO3A, PCTA 및 이의 2-벤질-DOTA-알파-(2-페네틸)-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아세틱-4,7,10-트리스(메틸아세트)산, 2-벤질-시클로헥실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2-벤질-6-메틸-DTPA, 6,6"-비스[N,N,N",N"-테트라(카복시메틸)아미노메틸]-4'-(3-아미노-4-메톡시페닐)-2,2':6',2"-터피리딘, N,N'-비스(피리독살-5-포스페이트)에틸렌디아민-N,N'-디아세트산(DPDP) 및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포스폰)산(EDTP)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킬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 광범위하게, 신호 개체(signal entity)를 형성하는 킬레이트(들)는 문헌 WO 제2007/042504호(화학식 및 이와 관련된 정의들에 관한 참고 문헌으로서 포함됨) 및 문헌 WO 제01/60416호에 개시된 화학식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하기 화학식 참조):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상기 화학식 중,
X는 금속 양이온과 배위 결합할 수 있는 기(바람직하게는, O-, OH, NH2, OPO3-, NHR로서, 여기서 R은 지방족 사슬임)이고, Y는 바이오벡터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기(예를 들어, Y는 (CH2)n-CO2H로서, 여기서 n은 1~5, 유리하게는 2임)임.
C-작용기화된 것으로 표시된 NOTA 화합물(바이오벡터와 커플링할 수 있는 NOTA의 탄소 원자에 하나 이상의 Y기가 그라프트를 형성하고 있는 화합물) 및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부가 CH2 기를 보유하는 NOTA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을 가지는 NOTA 유도체가 유리하다:
Figure pct00007
P730 또는 DOTA-GA라고 명명된 본원의 킬레이트, 특히 문헌 EP 제661279호(US 제5,919,432호)의 화학식 V 및 화학식 VI의 킬레이트, 특히 다음의 화학식을 가지는 킬레이트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는 특히 상기 문헌 26~32 페이지에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고, 이 킬레이트는 US 제6,440,956호에서 본 출원인이 구체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이 PCTA 골격을 갖는다:
Figure pct00008
NOTA 유도체, NODA 유도체, NODA-GA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과 같은 킬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DIP-LICAM 킬레이트 또는 유도체(DIP-LICAMS 및 TIP-LICAMS)에는 설폰산 작용기가 존재하므로 간으로 분비되던 것을 신장으로 분비되도록 만들 수 있다.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일반적으로, Ga3 + 주위에 충분히 안정된 케이지, 특히 임의의 지방족 매크로시클릭 또는 선형 아민, 또는 3차 아민을 가지는 매크로시클릭 아민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킬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 벡터화된 킬레이트 표적화 부분은 진단을 필요로 하는 병리학적 부위를 표적화하는 바이오벡터로서, 이 바이오벡터는 아미노산, 유리하게는 4~15개, 또는 4~1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티드, 폴리펩티드, 비타민, 단당류 또는 다당류, 항체, 핵산, 비시클람 또는 앱타머인 것이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벡터 표적화 세포 수용체(특히, 이하에 기술된 모든 수용체), 약물 특이 분자단(약리 활성을 가지는 유기 분자), 혈관 신생 표적화 바이오벡터, MMP 표적화 바이오벡터, 티로신 키나제 표적화 펩티드, 죽상 플라크 표적화 펩티드 또는 아밀로이드 플라크 표적화 바이오벡터, VCAM 표적화 바이오벡터(펩티드성 또는 비펩티드성 바이오벡터)일 수도 있다.
더욱 광범위하게, 바이오벡터(들)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목록의 것으로부터 선택된다(삽입된 문헌 및 참고문헌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목록에 나열된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님):
1) 안지오포이에틴과 VEGF 수용체를 표적화하는 바이오벡터(WO 제01/97850호에 기술됨), 폴리히스티딘과 같은 중합체(US 제6,372,194호), 피브린 표적화 폴리펩티드(WO 제2001/9188호), 인테그린 표적화 펩티드(WO 제01/77145호, WO 제02/26776호(αvβ3에 관함), WO 제02/081497호(예를 들어, RGDWXE에 관함)),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 MMP를 표적화하는 펩티드 및 슈도펩티드(WO 제03/062198호, WO 제01/60416호), 예를 들어 KDR/Flk-l 수용체 또는 Tie-1 및 2 수용체를 표적화하는 펩티드(예를 들어, WO 제99/40947호 참조), 시알릴 루이스 글리코시드(WO 제02/062810호 및 Mueller et al, Eur. J. Org. Chem, 2002, 3966-3973),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WO 제02/40060호), 터프트신 표적화 바이오벡터(예를 들어, US 제6,524,554호), G 단백질 수용체, GPCR을 표적화하는 바이오벡터, 특히 콜레시스토키닌(WO 제02/094873호), 인테그린 길항제와 구아니딘 모방체(mimic) 사이의 결합체(US 제6,489,333호), αvβ3 표적화 또는 αvβ5 표적화 퀴놀론(US 제6,511,648호), 인테그린을 표적화하는 벤조디아제핀 및 유사체(US A 제2002/0106325호, WO 제01/97861호), 이미다졸 및 이의 유사체(WO 제01/98294호), RGD 펩티드(WO 제01/10450호), 항체 또는 항체 단편(TNF 유도성 또는 IL 유도성인 FGF, TGFβ, GV39, GV97, ELAM, VCAM(US 제6,261,535호)), 표적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개질된 표적화 분자(US 제5,707,605호), 아밀로이드 침착물을 표적화하는 제제(예를 들어, WO 제02/28441호), 절단된 카텝신 펩티드(WO 제02/056670호), 미토잔트론 또는 퀴논(US 제6,410,695호), 상피 세포 표적화 폴리펩티드(US 제6,391,280호),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억제제(WO 제99/54317호), 문헌[US 제6,491,893호(GCSF), US 제2002/0128553호, WO 제02/054088호, WO 제02/32292호, WO 제02/38546호, WO 제2003/6059호, US 제6,534,038호, WO 제01/77102호, EP 제1 121 377호, Pharmacological Reviews(52, No. 2, 179: growth factors PDGF, EGF, FGF, etc.), Topics in Current Chemistry(222, W.Krause, Springer),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11, 2003, 1319-1341; αvβ3-targeting tetrahydrobenzazepinone derivatives)]에 개시된 바이오벡터.
2) 신생 혈관 형성 억제제, 특히 임상 실험에서 테스트되었거나 또는 이미 시판중인 것, 특히 다음과 같은 것:
- FGFR 또는 VEGFR 수용체가 관여하는 신생 혈관 형성의 억제제, 예를 들어 SU101, SU5416, SU6668, ZD4190, PTK787, ZK225846, 아자시클릭 화합물(WO 제00/244156호, WO 제02/059110호);
- MMP가 관여하는 신생 혈관 형성의 억제제, 예를 들어 BB25-16(마리마스타트), AG3340(프리노마스타트), 솔리마스타트, BAY12-9566, BMS275291, 메타스타트, 네오바스타트;
- 인테그린이 관여하는 신생 혈관 형성의 억제제, 예를 들어 EC-ECM을 차단하는 어드헤신(adhesion) 분자, SM256, SG545 (예를 들어, EMD 121-974 또는 비탁신);
- 항 혈관 신생 활성 기작이 더욱 간접적인 약물, 예를 들어 카복시아미도트리아졸, TNP470, 스쿠알라민, ZD0101;
- 문헌 WO 제99/40947호에 기술된 억제제, KDR 수용체와의 결합에 매우 선택적인 모노클로날 항체, 소마토스타틴 유사체(WO 제94/00489호), 셀렉틴 결합 펩티드(WO 제94/05269호), 성장 인자(VEGF, EGF, PDGF, TNF, MCSF, 인터루킨); 문헌[Nuclear Medicine Communications, 1999, 20]에 기술된 VEGF 표적화 바이오벡터;
- 문헌 WO 제02/066512호의 억제 펩티드.
3) 수용체 CD36, EPAS-1, ARNT, NHE3, Tie-1, 1/KDR, Flt-1, Tek, 뉴로필린-1, 엔도글린, 플레이오트로핀, 엔도시알린, Axl., alPi, a2ssl, a4P1, a5pl, eph B4(에프린), 라미닌 A 수용체, 뉴트로필린 수용체 65, 렙틴 수용체 OB-RP, 케모카인 수용체 CXCR-4(및 문헌 WO 제99/40947호에 언급된 기타 수용체), 봄베신/GRP, 가스트린 수용체, VIP, CCK를 표적화할 수 있는 바이오벡터.
4)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류의 바이오벡터.
5) 이하 (1) 및 (2)로부터 선택되는 공지의 GPIIb/IIIa 수용체 억제제: (1) GPIIb/IIIa 수용체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인 앱시사이맵(Abciximab)의 Fab 단편, (2) 정맥 내 주사된 소형 펩티드 및 펩티도모방체(peptidomimetic) 분자, 예를 들어 엡티피바타이드 및 티로피반.
6)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 펩티드(EP 제425 212호), IIb/IIIa 수용체 리간드 펩티드, 피브리노겐 리간드, 트롬빈 리간드, 죽상 플라크를 표적화할 수 있는 펩티드, 혈소판, 피브린, 히루딘계 펩티드, IIb/IIIa 수용체를 표적화하는 구아닌계 유도체.
7) 당업자에게 항혈전 활성, 항혈소판 응집 활성, 항죽상 경화 활성, 항재협착 활성 또는 항응고 활성을 가지는 약물인 것으로 알려진 바이오벡터의 생물학적 활성 단편 또는 기타 바이오벡터.
8) US 제6,537,520호에 DOTA와 함께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ανβ3을 표적화하는 바이오벡터의 생물학적 활성 단편 또는 기타 바이오벡터: 미토마이신, 트레티노인, 리보무스틴, 젬시타빈, 빈크리스틴, 에토포시드, 클라드리빈, 미토브로니톨, 메토트렉세이트, 독소루비신, 카보큐온, 펜토스타틴, 니트라크린, 지노스타틴, 세트로렐릭스, 레트로졸, 랄티트렉시드, 다우노루비신, 파드로졸, 포테무스틴, 티말파신, 소부족산, 네다플라틴, 시타라빈, 비칼루타미드, 비노렐빈, 베스나리논,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암사크린, 프로글루미드, 아세트산엘립티늄, 케탄세린, 독시플루리딘, 에트레티네이트, 이소트레티노인, 스트렙토조신, 니무스틴, 빈데신, 플루타미드, 드로제닐, 부토신, 카모퍼, 라족산, 시조필란, 카보플라틴, 미토락톨, 테가퍼, 이포스파미드, 프레드니무스틴, 피시바닐, 레바미솔, 테니포시드, 임프로설판, 에노시타빈, 리수라이드, 옥시메톨론, 타목시펜, 프로게스테론, 메피티오스탄, 에피티오스타놀, 포르메스탄, 인터페론-알파, 인터페론-2 알파, 인터페론-베타, 인터페론-감마, 콜로니 자극 인자-1, 콜로니 자극 인자-2, 데니루킨 디프티톡스, 인터루킨-2, 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인자.
9) 특정한 종류의 암을 표적화하는 임의의 바이오벡터, 예를 들어 대장암과 관련된 ST 수용체 또는 타키키닌 수용체를 표적화하는 펩티드.
10) 포스핀류 화합물을 이용하는 바이오벡터.
11) P-셀렉틴, E-셀렉틴을 표적화하는 바이오벡터; 예를 들어, 문헌[Morikawa et al, 1996, 951]에 기술된 8-아미노산 펩티드, 및 다양한 당.
12) 세포 사멸 과정을 표적화하는 바이오벡터 또는 어넥신 V.
13) 파지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적화 기술로 획득되고, 선택적으로는 비천연 아미노산으로 개질되는(http//chemlibrary.bri.nrc.ca) 임의의 펩티드로서, 예를 들어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로부터 유래하는 펩티드(RGD, NGR, KGD, RGD-4C).
14) 특히 문헌 WO 제2003/014145호에 언급된 바와 같이, 죽상 플라크를 표적화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타 펩티드 바이오벡터.
15) 비타민, 특히 엽산 수용체를 표적화할 수 있는 엽산 및 엽산의 공지된 유도체.
16) 호르몬 및 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
17) 오피오이드 수용체 표적화 바이오벡터.
18) 키나제, 예를 들어 티로신 키나제를 표적화하는 바이오벡터.
19) LB4 및 VnR 길항제.
20) 니트로이미다졸 및 벤질구아니딘 화합물.
21) 문헌[Topics in Current Chemistry, vol.222, 260-274, Fundamentals of Receptor-based Diagnostic Metallopharmaceuticals]에 요약 제시되어 있는 바이오벡터로서 특히 다음과 같은 것:
- 종양 내에서 과다 발현되는 펩티드 수용체(예를 들어, LHRH 수용체, 봄베신/GRP, VIP 수용체, CCK 수용체, 타키키닌 수용체]를 표적화하는 바이오벡터, 특히 소마토스타틴 또는 봄베신의 유사체, 선택적으로 글리코실화된 옥트레오티드 펩티드 유도체, VIP 펩티드, 알파-MSH, CCK-B 펩티드;
- 다음과 같은 것들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 RGD 시클릭 펩티드, 피브린 표적화 펩티드, 터프트신 표적화 펩티드, fMLF 펩티드(수용체: 라미닌).
22) 올리고당류, 다당류 및 단당류 유도체, Glut 수용체를 표적화하는 유도체(단당류 수용체) 또는 글루타민 수송체(glutamine transporter).
23) 스마트 타입(smart-type) 제품에 사용되는 바이오벡터.
24) 심근 생존능 마커(예를 들어, 테트로포스민 및 헥사키스(2-메톡시-2-메틸프로필이소니트릴)).
25) 당 및 지방 대사 관여 미량 성분.
26) 신경 전달 물질 수용체(D, 5HT, Ach, GABA, NA, NMDA 수용체)의 리간드.
27)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앱타머.
28) 조직 인자.
29) WO 제03/20701호에 기술된 바이오벡터, 특히 말초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의 PK11195 리간드.
30) 피브린 결합 펩티드, 특히 WO 제03/11115호에 기술된 펩티드 서열.
31) 예를 들어, WO 제02/085903호에 기술된 아밀로이드 플라크 응집 억제제.
32) 알츠하이머 병을 표적화하는 화합물, 특히 벤조티아졸, 벤조푸란, 스티릴벤족사졸/티아졸/이미다졸/퀴놀린, 스티릴피리딘류 및 이의 공지된 유도체의 주쇄를 포함하는 화합물.
33) 케모카인 수용체, 특히 CXCR4를 표적화하는 제제.
특히 임의의 RGD 펩티드가 유리하게 사용된다.
하나의 특정 구체예에서, 바이오벡터는 케모카인 수용체를 표적화, 특히 CXCR4를 표적화하는 제제이다.
CXCR4를 표적화하기 위해서, 비시클람(예를 들어, WO 제2006/032704호에 기술된 모든 유도체) 및 펩티드(특히, 시클릭 펩티드), 특히 3~10개의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3~8개의 아미노산, 예를 들어 4~6개의 아미노산의 펩티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할 것이다.
다음과 같은 펩티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a) 시클로(D-Tyr-X-Arg-Nal-Gly)
Figure pct00014
b) 시클로(D-Tyr-Orn-Arg-Nal-Gly)
c) 시클로(D-Tyr-Arg-Arg-X-Gly)
Figure pct00015
Bth는 다음의 화학식을 가짐:
Figure pct00016
d) 시클로(D-Tyr-Arg-Arg-Nal-D-Ala): IC50 = 11nM
e) 시클로(D-Tyr-Arg-Arg-Nal-D-Asp), 시클로(D-Tyr-Arg-Arg-Nal-D-Glu), 시클로(D-Tyr-Arg-Arg-Nal-D-Lys), 시클로(D-Tyr-Arg-Arg-Nal-Gly)
Figure pct00017
바이오벡터로 사용되며, 본 발명의 완충 용액 중에서 갈륨을 착화하는 킬레이트에 커플링되었거나, 또는 선행 기술의 기타 완충액(특히, 아세트산염)과 함께 상기 킬레이트와 커플링된 화합물 a) 내지 e)는 당업계에 공지되지 않은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CXCR4를 표적화하는 슈도펩티드류 또는 비펩티드류의 임의의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ct00018
유리한 구체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바이오벡터는 엽산 수용체 표적화 바이오벡터, 예를 들어 엽산 또는 임의의 공지된 엽산 유도체, 특히 문헌 WO 제2004/112839호의 화학식을 가지는 유도체이다.
Figure pct00019
상기 식 중,
*는 바이오벡터가 킬레이트에 결합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a) G1은 할로, Rf2, ORf2, SRf3 및 NRf4Rf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G1은 NH2 또는 OH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b) G2는 할로, Rf2, ORf2, SRf3 및 NRf4Rf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c) G3, G4는 -(Rf6')C=, -N=, -(Rf6')C(Rf7')-, -N(Rf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2가 기를 나타내며; G3을 포함하는 고리가 방향족 고리일 때, G3은 -N=(엽산) 또는 -CH-(이하, CB3717, 랄티트렉시드, MAI로 기술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G3을 포함하는 고리가 비 방향족 고리일 때, G3은 -NH- 또는 -CH2-(이하, AG-2034, 로메트렉솔로 기술되는 화합물)이며; G3을 포함하는 고리가 방향족 고리일 때, G4는 -CH- 또는 -C(CH3)-인 것이 바람직하고; G3을 포함하는 고리가 비방향족 고리일 때, G4는 -CH2- 또는 -CH(CH3)-이며;
e) G5는 존재하지 않거나(페메트렉시드 화합물) 또는 -(Rf6')C=,-N=, -(Rf6')C(Rf7')-, -N(Rf4')-로부터 선택되며;
f) J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릭 또는 비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고리로서, 고리에 포함된 원자는 C, N, O, S일 수 있고;
g) G6은 N 또는 C이고(이하, 3-데아자-ICI-198,583으로 기술되는 화합물);
h) K1 및 K2는 -C(Zf)-, -C(Zf)O-, -OC(Zf)-, -N(Rf4")-, -C(Zf)-N(Rf4), -N(Rf4")-C(Zf), -O-C(Zf)-N(Rf4")-, -N(Rf4")-C(Zf)-O-, N(Rf4")-C(Zf)-N(Rf5")-, -O-, -S-, -S(O)-, -S(O)2-, -N(Rf4")S(O)2-, -C(Rf6")(Rf7")-, -N(C≡CH)-, -N(CH2-C≡CH)-, C1-C12 알킬 및 C1-C12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데; 여기서, Zf는 O 또는 S이고; K1은 -N(Rf4")- 또는 -C(Rf6")(Rf7")-인 것이 바람직하며, 식 중 Rf4", Rf6" 및 Rf7"은 H이고; K2는 선택적으로는 아미노산에 공유 결합되어 있으며;
i) Rf2, Rf3, Rf4, Rf4', Rf4", Rf5, Rf5'", Rf6" 및 Rf7"는 H, 할로, C1-C12알킬, C1-C12알콕시, C1-C12알카노일, C2-C12알케닐, C2-C12알시닐, (C1-C12 알콕시)카보닐 및 (C1-C12알킬아미노)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h) Rf6' 및 Rf7'은 H, 할로, C1-C12알킬 및 C1-C12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f6' 및 Rf7'은 함께 O=를 형성하며;
i) Lf는 적당할 때 아미드 결합의 알파-아미노 기를 통하여 K2 또는 K1에 결합되어 있는 천연 아미노산 또는 천연 폴리아미노산을 포함하는 2가 링커이고;
j) p, r 및 s는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며;
k) x는 1~5의 정수이되, 1인 것이 유리하다.
화학식 (E)는 호변 이성체 형, 예를 들어 G1이 OH, SH 또는 NH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K1, K2, Rf1, Rf2, Rf3, Rf4, Rf4', Rf4", Rf5, Rf5", Rf6, Rf7", Rf6, Rf7, Rf6'및 Rf7' 기 중 하나 이상이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카노일,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카보닐 또는 알킬아미노카보닐 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기는 1~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즉, C1-C6),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즉, C1-C4).
상기 화합물 중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히 다음과 같은 유도체에 초점을 맞추었다:
a)
Figure pct00020
b)
Figure pct00021
그러므로, 바이오벡터는 엽산 또는 엽산 유도체인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엽산 유도체는 엽산 수용체를 표적화할 수 있는 프테로폴리글루탐산 및 프테리딘(특히, 테트라하이드로프테린, 테트라하이드로엽산, 디하이드로엽산)과 같은 화합물을 포함한다.
엽산 유도체는 또한 아미노프테린, 아메토프테린(메토트렉세이트), N-메틸엽산, 2-디아미노하이드록시엽산; 및 이의 데아자 유도체, 예를 들어 1-데아자메토프테린 또는 3-데아자메토프테린, 그리고 3',5'-디클로로-4-아미노-4-데옥시-N-메틸프테로일글루탐산(디클로로메토트렉세이트)과 같은 화합물을 포함한다.
엽산 유도체로서는 데아자 또는 디데아자 화합물을 포함한다. "데아자" 및 "디데아자"란 용어는 엽산의 질소 원자 G3, G5, G6을 보유하지 않는 공지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데아자 유도체로서는 1-데아자, 3-데아자, 5-데아자, 8-데아자 및 10-데아자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 WO 제2007/042504호 및 WO 제2004/112839호(본원에 참고용으로 포함됨)에는 다양한 바이오벡터와 다양한 킬레이트 사이에서 일어나는 (통상적으로, 화학 링커를 통한) 화학적 커플링에 관한 다수의 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링커를 언급할 것이다:
1) 아미노산.
2) 하나 이상의 바이오벡터 작용기 및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 작용기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링커 L. 상기 L은 특히 치환 또는 비치환, 포화 또는 불포화, 그리고 직쇄 또는 분지쇄 펩티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인 알킬 사슬을 포함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것을 언급할 것이다:
3) a.1) (CH2)2-페닐-NH, (CH2)3-NH, NH-(CH2)2-NH, NH-(CH2)3-NH, 단일 결합이 존재하지 않거나 한개 존재, (CH2)n, (CH2)n-CO-, -(CH2)nNH-CO-(식 중, n = 2~10임), (CH2CH2O)q(CH2)r-CO-, (CH2CH2O)q(CH2)r-NH-CO-(식 중, q = 1~10이고 r=2~10임), (CH2)n-CONH-, (CH2)n-CONH-PEG, (CH2)n-NH-,
Figure pct00022
(식 중, n=1~5이고, 유리하게 n=4 또는 5임), HOOC-CH2-O-(CH2)2-O-(CH2)2-O-CH2-COOH; HOOC-(CH2)2-CO2-(CH2)2-OCO-(CH2)2-COOH; HOOC-CH(OH)-CH(OH)-COOH; HOOC-(CH2)n-COOH; NH2-(CH2)n-NH2(식 중, n=0~20임); NH2-(CH2)n-CO2H; NH2-CH2-(CH2-O-CH2)n-CO2H(식 중, n=1~10), 문헌 WO 제2006/095234호(104~105 페이지)에 A8~A32로서 명명되어 있는 링커.
a.2)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P1-l-P2(식 중, P1 및 P2는 O, S, NH, CO2, NHCO, CONH, NHCONH, NHCSNH, SO2NH-, NHSO2- 및 스쿠아레이트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l은 알킬, 알콕시알킬, 폴리알콕시알킬(PEG), 1개 이상의 스쿠아레이트가 방해되어 있거나 1개 이상의 아릴이 방해되어 있고, 유리하게는 페닐이 방해되어 있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 또는 -NH-, -O-, -CO-, -NH(CO)-, -(CO)NH-, -O(CO)-, 또는 -(OC)O-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기가 방해되어 있는 알킬임).
L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300~2000g/mol, 특히 300~1000g/mol일 것이다.
그러므로, P1과 P2는 한편으로는 킬레이트와, 다른 한편으로는 바이오벡터와 링커를 커플링시키는 기이다.
4) US 제6,264,914호에 기술된 링커로서, (바이오벡터 및 킬레이트의) 아미노, 하이드록실, 설프히드릴, 카복실, 카보닐, 탄수화물, 티오에테르, 2-아미노알콜, 2-아미노티올, 구아니디닐, 이미다졸릴 및 페놀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는 것(이에 대한 정의는 WO 제2007/042504호에 요약되어 있음).
5) US 제6,537,520호에 기술된 임의의 링커로서, 화학식 (Cr6r7)g-(W)h-(Cr6ar7a)g'-(Z)k-(W)h'-(Cr8r9)g"-(W)h"-(Cr8ar9a)g"'인 것(이에 대한 정의는 상기 특허에 개시되어 있음).
6) 문헌 WO 제02/085908호에 기술된 임의의 링커로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선형 또는 분지형 링커 사슬:
- CR6"'R7"'-, - (R6"')C=C(R7"')=, -CC-, -C(O)-, -O-, -S-, -SO2-, -N(R3"')-, -(R6"')C=N-, -C(S)-, -P(OO(OR3"'))-, -P(O)-(OR3"')O-(식 중, R"'3은 질소 또는 산소와 반응할 수 있는 기임),
- 시클릭 부위(2가 시클로알킬, 2가 복소환)
- 폴리알킬렌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7) 문헌 WO 제03/011115호(124~125 페이지)의 링커, 특히 다음과 같은 것:
Figure pct00023
특히 링커(구조 및 크기)는 생물학적 표적화 및/또는 생물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찾으려는 진단 증상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 특히 생성물의 하전, 친유성 및/또는 친수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생체 내 생분해 가능한 링커, PEG 링커 또는 미니-PEG 링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벡터화 및 방사능 표지화된 생성물, 그리고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선택된 완충액(특히,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및 말산염 완충액)을 사용하여 완충 용액 중에 용해된 생성물은 다음과 같은 화학식을 가지는 갈륨 금속 착물을 형성한다:
Figure pct00024
식 중, 링커와 바이오벡터에 관한 용어의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사용된 완충액은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짝 이온, 특히 나트륨 또는 암모늄, 또는 유기 염기의 이온(유리하게는, 유기 다가 염기, 예를 들어 메글루민,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을 포함하는 완충 용액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 락트산염 완충액은 락트산나트륨 또는 락트산암모늄으로서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 경우에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능 표지화 콘트라스트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 방사성 핵종, 유리하게는 갈륨 68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 벡터화된 킬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 유리하게는, 주위 온도에서 가열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극초단파도 사용하지 않는 조건 하에, 15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10분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7분 미만의 시간 동안, 본 발명에 의한 완충 용액 중에서 방사성 핵종 용액과 벡터화된 킬레이트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유리하게, 상기 완충액은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말산염, 숙신산염, 말레산염, 아스코르브산염, 탄산염 및 인산염 완충액, 그리고 이의 혼합물, 더욱 유리하게는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및 탄산염 완충액, 그리고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당업자는 관례상 이와 같은 혼합물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통상적으로, 벡터화된 킬레이트(아직 방사능 표지화되지 않은 것)를 농축된 수용액 형태로 준비한 후, 이것을 Ga68의 산성 용리액(pH 약 2)과 완충 용액에 첨가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부피 0.4ml인 0.6nM Ga68 용액을, 완충 용액 1ml와 1.2M의 벡터화된 킬레이트 용액 20㎕를 함유하는 반응기에 첨가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착화가 균등한 정도로 진행되도록 만들어주는 모든 변형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적당히 희석된 Ga68 용액을 보다 다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벡터 보관시, 표지화된 킬레이트는 완충 용액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고, 완충액과 상이한 수용액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적당한 경우 본 발명의 완충 용액 중에서 착화되는데 필요한 다양한 중간 생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음과 같은 것에 관한 것이다:
- 98% 아세톤 용액 및 0.05M HCl 중 Ga68의 용리액(이 용리액은 Ga68 생성기에 의해 생성됨);
- 본 발명의 완충액, 유리하게는 락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아스코르브산, 인산 및 탄산 완충액과,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완충 용액;
- 아직 Ga68 방사성 핵종과 착화되지 않은, 완충 용액 또는 수 중 벡터화 킬레이트(여기서, 상기 완충액은 본 발명의 완충액, 유리하게는 락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아스코르브산, 인산 및 탄산 완충액과,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됨).
또한 완충액의 조합, 특히 상기 언급한 2개 이상의 완충액의 조합, 예를 들어 락트산-숙신산 혼합 완충액 또는 락트산-타르타르산 혼합 완충액을, 유리하게는 2개 완충액의 조합을 90/10, 80/20, 70/30, 60/40, 50/50의 비율로 하여 착화 완충 용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완충액과 방사성 핵종으로 착화된 킬레이트를 포함하는 주입 가능 용액에 관한 것으로서, 이 완충액은 방사성 핵종과의 배위 결합에 관여하는 작용기를 2~5개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완충액이 하나 이상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2개 이하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배위 결합 작용기는 카복실산 작용기와 하이드록실 작용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완충액과 킬레이트의 특징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유리하게, 상기 완충 용액은 완충액을 기준으로 0.05~1.5M인 용액, 바람직하게는 완충액을 기준으로 0.1~1M인 용액, 유리하게는 완충액을 기준으로 0.1~0.5M인 용액, 예를 들어 0.1~0.3M인 용액이다.
유리하게, 방사능 표지화된 벡터화 킬레이트의 주입 가능 완충 용액 중 농도는 0.1~100μM, 예를 들어 0.5~20μM, 특히 1~10μM이다.
유리하게, 환자에게 투여된 용액은 또한 방사선 분해, 즉 투여된 진단용 화합물의 분해의 한정에 적당한 부형제를 하나 이상 포함하기도 한다. 이는 제품을 성공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복수 투여용/다수 환자용 진단 용액을 제조할 때 특히 유리하다. 방사선 분해 방지 제제에 관하여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WO 제2007/042504호 및 WO 제2005/009393호에 요약되어 있다(예를 들어, 유리 라디칼 차단제, 디티오카바메이트, PDTC, 가용성 셀레늄 화합물, 예를 들어 셀레노메티오닌 또는 셀레노시스틴(적당한 경우, 아스코르브산나트륨 포함), 산화된 아미노산, 예를 들어 메티오닌을 환원할 수 있는 유도체, 특히 시스테인의 티올 유도체, 머캡토에탄올 및 디티오트레이톨). 아르기닌 또는 리신 제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충 용액 중 제품은 가열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긴 하지만, 적당한 경우, 방사성 약물 처리 장치에 때때로 가열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착화 기구가 장착되지 않으면, 상기 제품은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공지의 양이온 또는 음이온 수지가 충전된 다양한 자동 착화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자동화 기구(즉, 착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방사성 핵종 발생기, 더욱 구체적으로, Ga68 발생기에 의해 제공된 방사성 핵종 용액, 즉 착화되지 않은 벡터화 킬레이트 용액 및 완충 용액을 혼합하는 구획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인데, 여기서 상기 완충액은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말레산염, 숙신산염, 말산염, 아스코르브산염, 탄산염 및 인산염 완충액, 그리고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그러므로, 임의의 적당한 장치가 제조된다. 예를 들어, 제공된 Ga68은 자동화된 기계, 즉 자동화된 기계 내 분배 장치에 의해 1회 투여분씩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자동화된 기계의 앞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가 이 자동화된 기계에 삽입되는 1회 투여용 용기에 의해 1회 투여분씩 분리되어 있는 멸균 용액이다. 자동화된 기계는, 예를 들어 1명 이상의 환자에게 주입 가능한 방사능 표지화 제품의 수 회 투여분을 제조할 수 있는 혼합 구획을 포함한다. 자동화된 기계는 또한 몇 개의 혼합 부분 구획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각각의 구획은 특히 Ga68 방사성 핵종 투여분과 벡터화 제품 투여분을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자동화된 기계는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자동화된 기계를 적당히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경우, 이 기계는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한 바이오벡터를 상이한 투여량과 농도로 포함하는 몇 개의 상이한 주입 가능 제품을 제조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생산될 제품의 종류와 주입 방법(즉, 손으로 직접 주입하는지 아니면 자동으로 주입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적당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제품, 방법 및 기구는 또한 임의의 적당한 이미징 방식, 특히 PET 이미징, 다모드 이미징(multimodal imaging)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적당할 경우 특히 분석 방법 및 이미지 처리 방법과 함께 PET/MRI, PET/스캔, PET/스캔/MRI 및 광학 이미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복수회 주입용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착화 기구를, MRI 및/또는 XR-스캔 및/또는 광학 장치와 함께 포함하는 임의의 의학용 이미징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착화 화합물 및 본 발명에 제시된 조건에 적당한, 선행 기술에 의한 임의의 장치(특히, WO 제2007/042504호에 요약됨)를 사용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 본 발명의 완충액의 효능 입증(실시예 1 참조)
- NOTA 및 PCTA 킬레이트, 그리고 엽산 및 펩티드 바이오벡터를 사용하여 벡터화된 킬레이트(킬레이트 + 바이오벡터)를 제조하는 방법의 예시(아울러, 당업자는 다수의 기타 바이오벡터, 다수의 기타 링커, 다수의 기타 킬레이트를 사용하여 유사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함).
실시예 1: 완충액과의 착화 간 비교
pH 4인 완충액을 제조하였다. 이 완충액은 0.1M의 약산과 0.1M의 약 염기를 혼합하여 얻었다.
NOTA 및 PCTA 킬레이트에 관한 방법을 예시를 위하여 상세히 기술하였다(다른 킬레이트를 사용하여 유사한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도 있음):
NOTA 또는 PCTA 50mg(0.16mmol)을 0.1M 완충액 5ml 중에 용해하였다. 69GaCl3(1.5eq)의 0.5M 용액 0.5ml를 첨가하였다. 반응 매질을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15분 동안 규칙적으로 샘플을 취하고, 이를 LC/MS로 분석하였다.
하기 표에서, "완전한 착화(complete complexation)"란 킬레이트가 갈륨을 성공적으로 착화하였음을 의미한다.
나트륨 및 암모늄 완충액을 사용하였을 경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시트르산 완충액(선행 기술 참조)에 있어서, 착물(킬레이트와 착화된 갈륨)은 소량만이 존재한 반면, 리간드(갈륨과 착화하지 않은 킬레이트)는 다량으로 존재하였기 때문에, 착화는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NOTA 및 PCTA에 대한 경우를 이하에 예시하였다:
NOTA :
Figure pct00025
PCTA :
Figure pct00026
실시예 2 : 디데아자 - NOTA 의 합성
Figure pct00027
단계 1:
K2CO3 0.6g 존재 하에 중간체 2 0.5g을 CH3CN 20ml에 용해하였다. 여기에 CH3CN 20ml 중 브롬화 유도체(중간체 1)의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매질을 아르곤 대기하에 환류 상태로 유지하면서, 18시간 동안 자석으로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주위 온도로 복귀시킨 후, 반응 매질을 여과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물 20ml에 녹인 다음, 이를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가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Et2O에 녹이고 나서 여과하였다. 생성물 1.2g을 얻었다. [M + H]+ = 423.16
단계 2:
이전 단계에서 얻은 중간체 0.6g을 에탄올 2.4ml 중에 현탁하였다. 여기에 1M NaOH 6ml를 첨가한 후 용해를 마쳤다. 반응 매질을 70℃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주위 온도로 복귀시킨 후, 상기 매질에 6N HCl을 첨가하여 pH를 1로 만들었다. 얻은 현탁액을 여과한 다음, 이를 물, 그 다음 에탄올로 철저하게 세정하였다. 이를 건조시킨 후, 생성물 0.35g을 얻었다(수율 = 80%). [M + H]+ = 311.10
단계 3:
주위 온도 및 건조 조건(CaCl2 트랙) 하에서, 중간체 4(1.8mmol)와 중간체 5(1.8mmol)를 DMF 중에 용해하였다. 반응 매질에 HOBT 1.4eq(2.5mmol)를 첨가한 다음, EDCI 1.4eq(2.5mmol)을 첨가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밤새도록 반응을 진행시킨 후, 반응 매질을 물 250ml로부터 침전시켰다. 여과 후, 잔류물을 물로 세정한 다음, 이를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황색 결정 0.85g을 얻었다(수율 = 81%)[M + H]+ = 638.30
단계 4:
이전 단계에서 얻은 중간체 0.266mmol을 TFA 1.8ml 중에 용해하였다. 반응 매질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증발시켰다. Et2O 25ml를 결정화하여 이로부터 생성물을 얻었다. 황색 결정 180mg을 얻었으며, 이를 RP2 실리카 상 개방 컬럼 내에서 정제하였는데, 이때 용리는 물(TFA 0.05%)/CH3CN로 수행하였다. 동결 건조 후, 백색 생성물 50mg을 얻었다(수율 = 31%). BP: [M + H]+ = 482.22, [M + 2H]2+ = 241.68
단계 5:
활성화된 에스테르의 생성:
NOTAGA(tBu)3 75mg을 CH2Cl2 2ml 중에 용해한 후, NHS 15mg(1eq)을 첨가한 다음, DCC 28mg(1eq)을 첨가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30분 동안 반응을 진행시킨 후, 생성된 DCU를 와트만 지(Whatman paper)를 통해 여과하고, 이 여과물을 최종 부피 약 0.5ml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아미드화 :
이전 단계에서 얻은 중간체 50mg을 NEt3(40㎕) 2eq의 존재 하에 DMSO 2.5ml 중에 용해하였다. 여기에 CH2Cl2 중 활성화된 에스테르 용액을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킨 다음, 반응 매질을 Et2O 25ml로부터 침전시켰다. 50/50(수성 용리 상(TFA pH2.8)/CH3CN) 중에 용해시킨 다음, 얻은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Merck SVF D26-RP18 25-40㎛-31g, 실리카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정제 과정에 사용하였다. 이를 동결 건조한 결과, 백색 결정 24mg을 얻었다(수율 = 28.4%). BP: [M + H]+ = 1007.5, [M + 2H]2+ = 504.44
단계 6:
이전 단계에서 얻은 중간체 24mg을 TFA 1ml 중에 용해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 매질을 증발시키고, Et2O 25ml에 녹였다. 결정 10mg을 얻었다.
단계 7:
단계 6에서 얻은 화합물의 수용액(1mg/ml) 20㎕ 및 0.5M 락트산나트륨 완충액 1ml(pH 3.9)를 반응 바이알에 넣었다. 이후, HCl 0.05M/아세톤 혼합물 중 68GaCl3 용액 400㎕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항온 처리하였다. 반응 바이알을 물 6ml로 세정하고, 반응 혼합물을 1ml 에탄올과 1ml 초순수로 미리 컨디셔닝한 C-18 컬럼에 옮겨 넣었다. 50% 에탄올/물 용액 1ml를 사용하여 카트리지로부터 최종 생성물을 용리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0.22㎛ 밀리포어 필터에 통과시키고 나서, NaCl 0.9%를 사용하여 6ml 이하로 희석하였다.
락트산염 완충액, 숙신산염 완충액, 인산염 완충액, 말레산염 완충액 및 말산염 완충액에 대해서도 유사한 과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엽산- NOTA 의 합성
a)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pct00028
Boc2O 20g(91.7mmol)을 CH2Cl2 40ml 중에 용해하였다. 이후, CH2Cl2 200ml 중 디아미노에탄 용액 22g (366.6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바이알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우선, 생성물을 물로 추출하여 정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이후,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CH2Cl2/메탄올 구배). 황색 오일 4g을 얻었다. m/z = 161 (ES+)
b)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pct00029
Fmoc-Glu-OtBu 10.27g(24mmol)을 CH2Cl2 300ml 중에 용해하였다. 여기에 NHS 2.8g 및 DCC 4.98g을 첨가하였다. 45분 경과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다음, 여기에 a)에서 얻은 생성물을 CH2Cl2 50ml 중에 용해한 용액 3.869g을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경과 후, 생성물을 물로 추출하여 첫번째로 정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한 다음 여과하였다. 이후, 이를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CH2Cl2/아세톤 구배). 생성물 7g을 얻었다. m/z = 568 (ES+)
c)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pct00030
b)에서 얻은 생성물 6.5g(11.4mmol)을 아세토니트릴 91ml 중에 용해하였다. 피페리딘 19.5ml와 아세토니트릴 78ml을 사용하여 얻은 용액을 적가하였다. 아르곤 대기 하에 실온에서 2시간 경과 후,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CH2Cl2/메탄올 구배). 오일 3.65g을 얻었다. m/z = 346 (ES+)
d)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pct00031
프테론산 3.3g(10.5mmol) 및 c)에서 얻은 생성물 3.65g을 아르곤 대기 하에 DMSO 335ml 중에 용해하였다. EDCI 3.038g 및 HOBT 1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도록 40℃까지 가열한 다음, 이를 물에 침전시켰다. 잔류물을 여과하고, 처음에는 물로 세정한 다음 Et2O로 세정하였다. 적색 분말 6g을 얻었다.
m/z = 640 (ES+)
e)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pct00032
d)에서 얻은 생성물 6g(9.3mmol)을 TFA 74ml 중에 용해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경과 후, 반응 혼합물을 Et2O 800ml 중에 침전시켰다. 여과한 후, 황색 분말 4.5g을 얻었다. m/z = 484 (ES+)
f)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pct00033
다음과 같은 것을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2의 단계 5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 e)에서 얻은 화합물 85mg 및
- NOTAGA(tBu)3 75mg.
화합물 15mg을 얻었다. m/z (ES+) = 1009
g)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pct00034
f)에서 얻은 화합물 20mg을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2의 단계 6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화합물 4mg을 얻었다. m/z (ES+) = 841
h)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pct00035
실시예 2의 단계 7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4: PCTA -엽산( PEG 링커)의 합성
Figure pct00036
처음 두 단계에 관하여는 문헌[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0 (2000) 2133-2135]에 기술되어 있다.
단계 3: Py-시클렌(cyclen) 1.77g 및 N+But4Br- 381mg을 물 8ml 중에 용해하였다. 이후, 아세토니트릴 4ml 중 트리에틸아민 1.63ml 및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 3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6시간 동안 50℃까지 가열하였다. 증발 후, 여기에 Et2O 50ml를 첨가하고, 용액을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CH2Cl2 중에 용해하고, 물로 추출하여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 및 증발시켰다. 오일 1.7g을 얻었다. m/z = 483.31 (ES+)
단계 4: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700mg과 K2CO3 650mg을 아세토니트릴 10ml 중에 용해하였다.
아세토니트릴 15ml 중 브로모아세트산에틸 450mg으로 이루어진 용액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7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나서, 이를 다시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및 증발 후,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80ml 중에 녹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한 후, 여과 및 증발시켰다. 오일 0.77g을 얻었다. m/z (ES+) = 711.36
단계 5:
단계 4에서 얻은 화합물 400mg을 에탄올 30ml에 용해하였다. 여기에 팔라듐을 첨가한 다음, 현탁액을 H2 대기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및 증발시킨 후, 오일 0.3g을 얻었다. 생성물을 C18 개질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25-40㎛ Merck GX024090320LK)(구배 = 0.05% HCOOH, 수용액 및 아세토니트릴). 오일 0.15g을 얻었다. m/z (ES+) = 621.65
단계 6:
다음과 같은 것을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2의 단계 5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 본원의 단계 5에서 얻은 화합물 300mg 및
- PCT/FR/01520호 중 실시예 11의 e)에서 얻은 화합물 366mg,
화합물 50mg을 얻었다. m/z (ES+) = 1246.88
단계 7:
단계 6에서 얻은 화합물 20mg을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2의 단계 6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화합물 18mg을 얻었다. m/z (ES+) = 1078.47
단계 8:
실시예 2의 단계 7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실시예 5: 펩티드로 벡터화된 킬레이트
예를 들어, WO 제2007/042504호(참고용으로 포함됨)의 41~77 페이지 실시예에 기술된 펩티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였다. 펩티드 바이오벡터를 제조한 다음, 이를 선행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이, 킬레이트(NOTA, PCTA, DOTA...)와 커플링하였다. 특히 다음과 같이 커플링하였다:
1) PCTA 킬레이트의 경우:
PCTA 킬레이트(WO 제2007/042504호 내 실시예 6의 단계 3(52 페이지)에서 얻은 화합물(갈륨으로 착화되지 않은 상태인 화학식을 가지는 것))를 WO 제2007/042504호의 실시예 7(52~53 페이지)에 제시한 펩티드에 커플링하였다.
2) NOTA 킬레이트: NOTA 킬레이트(WO 제2007/042504호 내 실시예 4(49 페이지)에서 얻은 화합물로서, 갈륨으로 착화되지 않은 것)를 WO 제2007/042504호의 실시예 5(50 페이지)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펩티드와 커플링하였는데; WO 제2007/042504호(50 페이지)의 예시적인 화합물(갈륨으로 착화되지 않은 화학식을 가지는 것)은 상이한 스쿠아레이트 링커를 통해 NOTA에 커플링된 펩티드로서; 정확히 말해서, 다수의 기타 링커, 예를 들어 (CH2)n, PEG는 유사하게 제조되었다.
얻은 화합물의 예[펩티드(선형 또는 환형) + 링커 + 킬레이트]를 하기 표에 제시하였다.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펩티드 CXCR4에 적당한 프로토콜 또는 본원의 23~24 페이지에 개시된 펩티드(펩티드 a) 내지 e))를 대상으로 하여 적당한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얻은 화합물(킬레이트 + 펩티드, 최종 링커 포함)과 완충 용액(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말레산염 및 숙신산염 완충액 등)을 혼합한 것을 본원의 실시예 3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갈륨 생성기로부터 얻어진 갈륨 용액에 첨가하였다.

Claims (12)

  1. 방사성 핵종을 완충 용액 중 킬레이트에 첨가하여 이 방사성 핵종, 유리하게는 갈륨과 킬레이트를 착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착화는 유리하게 주위 온도에서 가열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진행되고, 상기 용액의 완충액은 상기 방사성 핵종과의 배위 결합 작용기를 2~5개 포함하며, 상기 완충액이 1개 이상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2개 이하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포함한다는 조건 하에 상기 배위 결합 작용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카복실산 작용기 및 하이드록실 작용기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액은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핵종은 갈륨, 유리하게는 Ga68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액은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말산염, 말레산염, 숙신산염, 아스코르브산염, 탄산염 및 인산염 완충액과, 이의 혼합물, 유리하게는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및 탄산염 완충액과,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는 벡터화된 킬레이트, 유리하게는 진단을 필요로 하는 병리학적 부위를 표적화하는 제제, 즉 아미노산, 펩티드, 폴리펩티드, 비타민, 단당류 또는 다당류, 항체, 핵산, 비시클람 또는 앱타머부터 선택되는 제제로 벡터화된 킬레이트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화된 킬레이트는 벡터화된 NOTA, 벡터화된 PCTA, 벡터화된 AAZTA, 벡터화된 DOTA, 유리하게는 디데아자-NOTA, 엽산 NOTA, 디데아자 PCTA 또는 엽산 PCTA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완충액과, 방사성 핵종으로 착화된 킬레이트를 포함하는 주입 가능한 용액으로서, 여기서 상기 완충액은 방사성 핵종과의 배위 결합에 사용되는 작용기를 2~5개 포함하고, 상기 완충액이 1개 이상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2개 이하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포함한다는 조건 하에, 각각의 배위 결합 작용기는 카복실산 작용기 및 하이드록실 작용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용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핵종은 갈륨인 용액.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액은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말산염, 말레산염, 숙신산염, 아스코르브산염, 탄산염 및 인산염 완충액과, 이의 혼합물, 유리하게는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및 탄산염 완충액과,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액.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는 벡터화된 킬레이트, 유리하게는 진단을 필요로 하는 병리학적 부위를 표적화하는 제제, 즉 아미노산, 펩티드, 폴리펩티드, 비타민, 단당류 또는 다당류, 항체, 핵산, 비시클람 또는 앱타머부터 선택되는 제제로 벡터화된 킬레이트인 용액.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화된 킬레이트는 벡터화된 NOTA, 벡터화된 PCTA, 벡터화된 AAZTA, 벡터화된 DOTA, 유리하게는 디데아자-NOTA, 엽산 NOTA, 디데아자 PCTA 또는 엽산 PCTA로부터 선택되는 용액.
  12. 유리하게는 가열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자동화 기구로서, 방사성 핵종 발생기, 더욱 구체적으로 Ga68 발생기에 의해 제공된 방사성 핵종 용액, 즉 착화되지 않은 킬레이트 용액 및 완충 용액을 혼합하는 구획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완충액은 락트산염, 타르타르산염, 말산염, 말레산염, 숙신산염, 아스코르브산염, 탄산염 및 인산염 완충액, 그리고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기구.
KR1020117021102A 2009-02-13 2010-02-11 방사성 핵종 착화에 있어서 완충액의 용도 KR201101156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0944A FR2942227B1 (fr) 2009-02-13 2009-02-13 Utilisation de tampons pour la complexation de radionucleides
FR0950944 2009-02-13
US15465009P 2009-02-23 2009-02-23
US61/154,650 2009-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606A true KR20110115606A (ko) 2011-10-21

Family

ID=4087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102A KR20110115606A (ko) 2009-02-13 2010-02-11 방사성 핵종 착화에 있어서 완충액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09124A1 (ko)
EP (1) EP2396040B1 (ko)
JP (1) JP2012517974A (ko)
KR (1) KR20110115606A (ko)
CN (1) CN102341127B (ko)
CA (1) CA2752181C (ko)
FR (1) FR2942227B1 (ko)
WO (1) WO2010092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6650B2 (en) 2005-10-07 2015-03-24 Guerbet Complex folate-NOTA-Ga68
EP1940841B9 (fr) 2005-10-07 2017-04-19 Guerbet Composes comprenant une partie de reconnaissance d'une cible biologique, couplee a une partie de signal capable de complexer le gallium
US8545809B2 (en) 2007-01-11 2013-10-01 Immunomed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ed 18F labeling of proteins, peptides and other molecules
WO2012082618A2 (en) * 2010-12-13 2012-06-21 Immunomed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ed f-18 labeling of proteins, peptides and other molecules
ITFI20110180A1 (it) 2011-08-12 2013-02-13 Advanced Accelerator Applic S A Processo per la preparazione di complessi di 68ga.
FR2980193B1 (fr) * 2011-09-15 2014-02-14 Guerbet Sa Procede de purification de produits de contraste
ES2576990T3 (es) 2011-12-09 2016-07-12 Bellerophon Bcm Llc Conjugados de alginato marcados para aplicaciones de formación de imagen molecular
US8658580B2 (en) * 2012-03-01 2014-02-25 Uchicago Argonne, Llc Superabsorbing gel for actinide, lanthanide, and fission product decontamination
CN102709192A (zh) * 2012-06-21 2012-10-03 复旦大学 一种集成阻变存储器的mos晶体管结构的制造方法
WO2014207491A1 (en) * 2013-06-28 2014-12-31 Bbs Nanotechnology Ltd. Tumorspecific pet/mr(t1), pet/mr(t2) and pet/ct contrast agent
BE1021191B1 (fr) 2014-08-29 2015-10-27 Anmi S.A. Kit pour radiomarquage.
US11027030B2 (en) 2014-08-29 2021-06-08 Anmi S.A. Kit for radiolabelling
JP7104274B2 (ja) * 2016-08-19 2022-07-21 Pdrファーマ株式会社 緩衝剤を含む組成物
US10016520B1 (en) * 2017-01-09 2018-07-10 SeeCure Taiwan Co., Ltd.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umor imaging and tumor therapy
IT201800002279A1 (it) * 2018-01-31 2019-07-31 Azienda Usl Di Reggio Nellemilia Sintesi di derivati della curcumina con un gruppo chelante per la complessazione di metalli e radionuclidi
DE102018126558A1 (de) * 2018-10-24 2020-04-30 Helmholtz-Zentrum Dresden - Rossendorf E.V. Markierungsvorläufer mit Quadratsäure-Kopplung
KR20220139883A (ko) * 2020-01-10 2022-10-17 퓨전 파마슈티칼즈 인크. 마크로시클릭 킬레이트 및 그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5946A (en) * 1988-02-09 1995-03-07 Goedemans; Wilhelmus T. Bifunctional chelating agents
US5965132A (en) 1992-03-05 1999-10-1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argeting the vasculature of solid tumors
US5716596A (en) 1992-06-23 1998-02-10 Diatide, Inc. Radioactively labeled somatostatin-derived peptides for imaging and therapeutic uses
WO1994005269A1 (en) 1992-09-08 1994-03-17 Centocor, Inc. Peptide inhibitors of selectin binding
ATE199550T1 (de) 1993-12-30 2001-03-15 Guerbet Sa Polyaminierte liganden, metallkomplex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diagnostische und therapeutische verwendungen
US5476644A (en) * 1994-04-13 1995-12-19 Sterling Winthrop Inc. Cyclic triamine chelating agents
DE19505960A1 (de) 1995-02-21 1996-08-22 Deutsches Krebsforsch Konjugat zur individuellen Dosierung von Arzneimitteln
US5707605A (en) 1995-06-02 1998-01-13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agents for the detection of physiological agents
ATE314097T1 (de) 1996-10-28 2006-01-15 Amersham Health As Kontrastmittel
US6045774A (en) 1997-01-10 2000-04-04 Epicyte Pharmaceutical Inc. J chain polypeptide targeting molecule linked to an imaging agent
AU735018B2 (en) 1997-03-18 2001-06-28 Toshihiro Akaike MRI contrast media recognizing microenvironmental changes
CA2320339A1 (en) 1998-02-11 1999-08-19 Resolution Pharmaceuticals Inc. Angiogenesis targeting molecules
US6537520B1 (en) 1998-03-31 2003-03-25 Bristol-Myers Squibb Pharma Company Pharmaceuticals for the imaging of angiogenic disorders
CA2333927A1 (en) 1998-04-01 1999-10-07 Dupont Pharmaceuticals Company Pyrimidines and triazines as integrin antagonists
WO1999051628A1 (en) 1998-04-03 1999-10-14 Du Pont Pharmaceuticals Company Radiopharmaceuticals for imaging infection and inflammation and for imaging and treatment of cancer
NZ507696A (en) 1998-04-23 2003-10-31 Cortech Inc Triazole, oxadiazole and thiadiazole derivatives useful as cysteine protease inhibitors
CA2341672A1 (en) 1998-10-13 2000-04-20 Milind Rajopadhye Chelator incorporated arg-gly-asp (rgd) mimetic synthetic disintegrins as imaging agents
CN1356913A (zh) 1998-12-18 2002-07-03 杜邦药品公司 玻连蛋白受体拮抗剂药物
ATE420665T1 (de) 1999-01-19 2009-01-15 Molecular Insight Pharm Inc Konjugate des granulozyten-kolonie stimulierenden faktors zur gezielten bildgebung von infektionen und entzündungen
FR2794744B1 (fr) 1999-06-09 2001-09-21 Guerbet Sa Complexes metalliques de polyaminoacides bicycliq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imagerie medicale
JP2003508027A (ja) 1999-07-29 2003-03-04 ダイア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フィブリン結合性部分
WO2001010450A1 (en) 1999-08-10 2001-02-15 Imarx Therapeutics, Inc. Targeted thrombolytic agents
US6656448B1 (en) 2000-02-15 2003-12-02 Bristol-Myers Squibb Pharma Company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US6534038B2 (en) 2000-04-07 2003-03-18 Bristol-Myers Squibb Pharma Company Ternary ligand complexes useful as radiopharmaceuticals
US6565828B2 (en) 2000-04-07 2003-05-2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acrocyclic chelants for metallopharmaceuticals
CN1230441C (zh) 2000-04-12 2005-12-07 安盛药业有限公司 结合整联蛋白的肽衍生物
WO2001097861A2 (en) 2000-06-21 2001-12-27 Bristol-Myers Squibb Pharma Company Vitronectin receptor antagonist pharmaceuticals
EP1296678A2 (en) 2000-06-21 2003-04-02 Bristol-Myers Squibb Pharma Company Vitronectin receptor antagonist pharmaceuticals for use in combination therapy
KR20080068151A (ko) 2000-06-23 2008-07-22 바이엘 쉐링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VEGF/VEGF 수용체 및 안지오포이에틴/Tie수용체의 기능을 방해하는 조합 제제 및 조성물과 이들의용도 (Ⅱ)
NO20004795D0 (no) 2000-09-26 2000-09-26 Nycomed Imaging As Peptidbaserte forbindelser
WO2002028441A2 (en) 2000-10-04 2002-04-1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gents for in vivo labeling and detection of amyloid deposits
WO2002032292A2 (en) 2000-10-18 2002-04-25 The Board Of Trustes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for development and use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agents
JP2004526671A (ja) 2000-10-31 2004-09-02 ブラッ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ベー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診断および治療への適用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抗酸化剤の金属キレート配位子との結合体
EP1343758A1 (en) 2000-11-08 2003-09-17 K.U. Leuven Research & Development Substituted bis-indole derivatives useful as contrast agent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intermediates for producing them
WO2002055111A2 (en) 2000-11-27 2002-07-18 Bristol Myers Squibb Medical I Simultaneous imaging of cardiac perfusion and a vitronectin receptor targeted imaging agent
WO2002044156A2 (en) 2000-11-29 2002-06-06 Glaxo Group Limited Benzimidazole derivatives useful as tie-2 and/or vegfr-2 inhibitors
AU2002251678A1 (en) 2000-11-29 2002-08-19 Bracco International B.V. Linkable sialyl lewis x analogs
IL156306A0 (en) 2000-12-21 2004-01-04 Glaxo Group Ltd Pyrimidineamines as angiogenesis modulators
WO2002054088A2 (en) 2001-01-05 2002-07-11 Duke University Contrast enhancement agent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WO2002056670A2 (en) 2001-01-05 2002-07-25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ctivatable imaging probes
CA2432932A1 (en) 2001-02-16 2002-08-29 Mark A. Scialdone Angiogenesis-inhibitory tripeptides, compositions and their methods of use
JP2004529884A (ja) * 2001-02-26 2004-09-30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スクイブ・ファーマ・カンパニー 金属放射性医薬のためのアスコルビン酸類似体
US6562319B2 (en) 2001-03-12 2003-05-13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Radiolabeled irreversible inhibitors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and their use in radioimaging and radiotherapy
US7556925B2 (en) 2001-04-04 2009-07-07 University Of Rochester ανβ3 integrin-binding polypeptide monobodies and their use
DE60217090T2 (de) 2001-04-23 2007-07-12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myloid plaque aggregationshemmer und diagnostische bilderzeugungsmittel
EP1389209B1 (en) 2001-04-24 2009-04-08 Purdue Research Foundation Folate mimetics and folate-receptor binding conjugates thereof
ITMI20011057A1 (it) 2001-05-22 2002-11-22 Bracco Imaging Spa Preparazione ed uso di peptidi ciclici e ramificati e loro deriati marcati come agenti terapeutici agonisti o antagonisti della colecistochi
US20040241160A1 (en) 2001-07-13 2004-12-02 Yan Wu Vegfr-1 antibodies to treat breast cancer
TWI240632B (en) 2001-07-30 2005-10-01 Epix Medical Inc Purified peptides for peptide-based multimeric targeted contrast agents
WO2003014145A2 (en) 2001-08-10 2003-02-20 Novartis Ag Peptides that bind to atherosclerotic lesions
CA2459724C (en) 2001-09-04 2011-02-15 Texas Tech University System Multi-use multimodal imaging chelates
WO2003062198A1 (en) 2002-01-24 2003-07-31 Barnes Jewish Hospital Integrin targeted imaging agents
GB0308408D0 (en) * 2003-04-11 2003-05-21 Amersham Plc Microwave activation
GB0314695D0 (en) * 2003-06-24 2003-07-30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PE20050285A1 (es) * 2003-06-24 2005-06-09 Novartis Ag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analogos ciclicos de somatostatina
FR2856689A1 (fr) 2003-06-25 2004-12-31 Guerbet Sa Composes specifiques a forte relaxivite
CA2526556C (en) 2003-07-24 2012-09-25 Bracco Imaging S.P.A. Stable radio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FR2875410B1 (fr) 2004-09-23 2012-11-16 Guerbet Sa Composes de diagnostique pour le ciblage de recpteur a chimiokines
ITMI20050328A1 (it) 2005-03-03 2006-09-04 Univ Degli Studi Milano Composti peptidomimetrici e preparazione di derivati biologicamente attivi
EP1940841B9 (fr) * 2005-10-07 2017-04-19 Guerbet Composes comprenant une partie de reconnaissance d'une cible biologique, couplee a une partie de signal capable de complexer le gallium
WO2008125618A1 (en) * 2007-04-11 2008-10-23 Merck Eprova Ag Folate-conjugates and corresponding metal-chelate complexes for use in diagnostic imaging and radio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41127A (zh) 2012-02-01
US20120009124A1 (en) 2012-01-12
FR2942227B1 (fr) 2011-04-15
FR2942227A1 (fr) 2010-08-20
JP2012517974A (ja) 2012-08-09
CA2752181A1 (en) 2010-08-19
CN102341127B (zh) 2014-08-27
WO2010092114A1 (en) 2010-08-19
EP2396040B1 (en) 2017-04-05
CA2752181C (en) 2018-03-06
EP2396040A1 (en)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5606A (ko) 방사성 핵종 착화에 있어서 완충액의 용도
JP5706926B2 (ja) ガリウムと錯体形成することが可能なシグナル部分にカップリングされた、生物学的標的の認識のための部分を含んでなる化合物
AU2018200419B2 (en) Labeled inhibitors of 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their use as imaging agents and pharmaceutic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TWI238722B (en) Conjugates of macrocyclic metal complexes with biomolecules and their use for the production of agents for NMR diagnosis and radiodiagnosis as well as radiotherapy
BR112020001785A2 (pt) radiotraçador e compostos radioterapêuticos bimodais
AU2002321236B2 (en) Macrocyclic metal complexes and use thereof for production of conjugates with biomolecules
AU2018373675B2 (en) A double-labeled probe for molecular imaging and use thereof
AU2371600A (en) Vitronectin receptor antagonist pharmaceuticals
CA2413957A1 (en) Vitronectin receptor antagonist pharmaceuticals for use in combination therapy
JP2020502131A (ja) 黄体化ホルモン放出ホルモン受容体(lhrh−r)コンジュゲートおよびその使用
JP2005538030A (ja) 組み合わせ療法での使用のための血管新生障害の画像診断用医薬
JP2005506952A (ja) 心臓潅流およびビトロネクチンレセプター標的造影剤の同時造影
AU2002331042B2 (en) Simultaneous imaging of cardiac perfusion and a vitronectin receptor targeted imaging agent
KR20230162589A (ko) 이중 모드 방사성 트레이서 및 -치료제
AU2002331042A1 (en) Simultaneous imaging of cardiac perfusion and a vitronectin receptor targeted imaging agent
JP2007521254A (ja) 診断画像用化合物
JP2004521066A (ja) 併用療法用ビトロネクチン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医薬
ES2434418T3 (es) Conjugado de biciclamo para IRM y gammagrafía de enfermedades asociadas al receptor CXCR4
JP4878119B2 (ja) エナンチオマー純粋な(4S,8S)−及び(4R,8R)−4−p−ニトロベンジル−8−メチル−3,6,9−トリアザ−3N,6N,9N−トリカルボキシメチル−1,11−ウンデカン二酸及びそれらの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医薬品の製造のためのそれらの使用
US20240115744A1 (en) Fibrin-binding compounds for imaging and treatment
WO2024026072A1 (en) Fibroblast activation protein-target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TW202340226A (zh) 碳酸酐酶ix配位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