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178A -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178A
KR20110115178A KR1020117022923A KR20117022923A KR20110115178A KR 20110115178 A KR20110115178 A KR 20110115178A KR 1020117022923 A KR1020117022923 A KR 1020117022923A KR 20117022923 A KR20117022923 A KR 20117022923A KR 20110115178 A KR20110115178 A KR 20110115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w axis
retardation
phase difference
base film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2661B1 (ko
Inventor
미츠나리 호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663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8280B6/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15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1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with a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va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입체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좌우 영상의 언밸런스가 생기기 어려운 위상차 소자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위상차 소자(30)의 기재{基材; base} 필름(31)은, 예를 들면 광학 이방성{異方性}을 가지는 얇은 수지 필름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기재 필름(31)의 지상축{遲相軸; slow axis} AX3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고, 위상차 소자(30)의 오른쪽눈{右目}용 영역(32A)의 지상축 AX1 및 왼쪽눈{左目}용 영역(32B)의 지상축 AX2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재 필름(31)의 광학 이방성에 기인{起因}하는 영향이 기재 필름(31)을 투과하는 각각의 광에 미치{及}고, 기재 필름(31)을 투과하는 오른쪽눈용에 대응하는 광 및 왼쪽눈용에 대응하는 광중 어느 것인가 한쪽의 광에만, 그 영향이 극단적으로 크게 미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PHASE DIFFERENCE ELEMENT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학 이방성{異方性}을 가지는 위상차 소자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광{偏光} 안경을 이용한 입체 영상의 관찰시에 매우 적합{好適}하게 이용되는 위상차 소자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편광 안경을 이용하는 타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서, 왼쪽눈{左目}용 화소와 오른쪽눈{右目}용 화소에서 다른 편광 상태의 광을 사출{射出}시키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서는, 시청자가 편광 안경을 쓴 다음{上}, 왼쪽눈용 화소로부터의 사출광을 왼쪽눈에만 입사시키고, 오른쪽눈용 화소로부터의 사출광을 오른쪽눈에만 입사시키는 것에 의해, 입체 영상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왼쪽눈용 화소와 오른쪽눈용 화소에서 다른 편광 상태의 광을 사출시키기 위해서 위상차 소자가 이용되고 있다. 이 위상차 소자에서는, 하나의 방향으로 지상축{遲相軸; slow axis} 또는 진상축{進相軸; fast axis}을 가지는 조각모양{片狀; flake-like} 위상차 부재가 왼쪽눈용 화소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상기 조각모양 위상차 부재와는 다른 방향에 지상축 또는 진상축을 가지는 조각모양 위상차 부재가 오른쪽눈용 화소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제3360787호 공보
상기의 표시 장치에서는, 왼쪽눈용 화소로부터 사출된 왼쪽눈용 영상광이 왼쪽눈에만 입사되고, 오른쪽눈용 화소로부터 사출된 오른쪽눈용 영상광이 오른쪽눈에만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왼쪽눈용 영상광이 약간 오른쪽눈에 입사되어 버리거나, 오른쪽눈용 영상광이 약간 왼쪽눈에 입사되어 버리거나 하는 고스트라고 불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특허 문헌 1에 기재{記載}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기재{基材; base}가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재가 얼마 안되게{僅} 존재하는 광학 이방성에 기인{起因}해서, 왼쪽눈 또는 오른쪽눈에만 고스트가 강하게 보여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왼쪽눈과 오른쪽눈에서 영상의 색이 달라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생기는 일이 있다. 그와 같은 언밸런스가 생긴 경우에는, 입체 영상의 관찰이 하기 어렵게 되거나, 시청자가 위화감을 느끼게 되어 버리거나 해 버린다.
또, 언밸런스의 문제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한해서 생기는 것은 아니며, 입사광을 2종류 이상의 편광 상태의 광으로 분리하는 위상차 소자나, 그와 같은 위상차 소자를 이용하는 디바이스에서 공통으로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입체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좌우 영상의 언밸런스가 생기기 어려운 위상차 소자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제1 위상차 소자는,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 위에 형성되고,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위상차 층을 구비한 것이다. 위상차 층은 지상축의 향함{向; direction; 방향}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위상차 영역을 가지고 있고, 2종류 이상의 위상차 영역은, 기재 필름의 면내 방향에, 인접해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위상차 영역은 서로 인접하는 위상차 영역의 경계선과 직교 이외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에 지상축을 가지고 있으며, 기재 필름은 경계선과 평행한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에 지상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제1 표시 장치는, 화상 신호에 의거해서 구동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표시 패널과의 관계로 백라이트 유닛과는 반대측에 설치된 위상차 소자를 구비한 것이다. 이 표시 장치에 내장{內藏}된 위상차 소자는, 상기한 제1 위상차 소자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위상차 소자 및 제1 표시 장치에서는, 지상축의 향함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위상차 영역이 기재 필름의 면내 방향에, 인접해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위상차 영역측(기재 필름의 반대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편광 상태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광으로 분리된 후, 기재 필름을 투과한다. 여기서, 각 위상차 영역은 경계선과 직교 이외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에 지상축을 가지고 있고, 기재 필름은 경계선과 평행한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에 지상축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기재 필름의 광학 이방성에 기인하는 영향이 기재 필름을 투과하는 각각의 광에 미치{及}고, 기재 필름을 투과하는 2종류 이상의 광중 하나의 종류의 광에만, 그 영향이 극단적으로 크게 미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제2 위상차 소자는,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 위에 형성되고,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위상차 층을 구비한 것이다. 위상차 층은 지상축의 향함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위상차 영역을 가지고 있고, 2종류 이상의 위상차 영역은, 기재 필름의 면내 방향에, 인접해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재 필름의 지상축 및 각 종류의 위상차 영역의 지상축이 서로 교차하고 있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제2 표시 장치는, 화상 신호에 의거해서 구동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표시 패널과의 관계로 백라이트 유닛과는 반대측에 설치된 위상차 소자를 구비한 것이다. 이 표시 장치에 내장된 위상차 소자는, 상기한 제2 위상차 소자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위상차 소자 및 제2 표시 장치에서는, 지상축의 향함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위상차 영역이 기재 필름의 면내 방향에, 인접해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위상차 영역측(기재 필름의 반대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편광 상태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광으로 분리된 후, 기재 필름을 투과한다. 여기서, 기재 필름의 지상축 및 각 종류의 위상차 영역의 지상축이 서로 교차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재 필름의 광학 이방성에 기인하는 영향이 기재 필름을 투과하는 각각의 광에 미치고, 기재 필름을 투과하는 2종류 이상의 광중 하나의 종류의 광에만, 그 영향이 극단적으로 크게 미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위상차 소자 및 제1 및 제2 표시 장치에 의하면, 기재 필름의 광학 이방성에 기인하는 영향이 기재 필름을 투과하는 각각의 광에 미치고, 기재 필름을 투과하는 2종류 이상의 광중 하나의 종류의 광에만 극단적으로 크게 미치지 않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왼쪽눈 또는 오른쪽눈에만 고스트가 강하게 보이거나, 왼쪽눈과 오른쪽눈에서 영상의 색이 달라져 버리거나 하는 등의 언밸런스를 저감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언밸런스가 생기기 어려운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계된 표시 장치의 구성의 1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내의 투과축 및 지상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위상차 소자의 구성 및 지상축의 1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위상차 소자의 구성 및 지상축의 다른{他} 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와 편광 안경과의 관계에 대해서 도시하는 시스템도,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영상을 오른쪽눈으로 관찰할 때의 투과축 및 지상축의 1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영상을 오른쪽눈으로 관찰할 때의 투과축 및 지상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영상을 왼쪽눈으로 관찰할 때의 투과축 및 지상축의 1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영상을 왼쪽눈으로 관찰할 때의 투과축 및 지상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도 1의 위상차 소자의 다른 예에 대해서 도시하는 구성도,
도 11은 도 1의 위상차 소자의 그 밖의 예에 대해서 도시하는 구성도,
도 12는 도 1의 위상차 소자의 또 그 밖의 예에 대해서 도시하는 구성도,
도 1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해서 도시하는 구성도,
도 1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그 밖의 예에 대해서 도시하는 구성도,
도 15는 편광 안경의 위상차 필름의 리타데이션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16은 오른쪽눈용 영역 및 왼쪽눈용 영역의 리타데이션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17은 기재 필름의 리타데이션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18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소광비{消光比; extinction ratio}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9는 편광 안경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파장 분포를 도시하는 분포도,
도 20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21은 도 1의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의 1예에서 이용되는 제조 장치의 구성의 1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2는 도 21에 이어지는 공정에서 이용되는 제조 장치의 구성의 1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3은 도 1의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형태(표시 장치, 위상차 소자)
2. 변형예(표시 장치, 위상차 소자)
3. 실시예(표시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계된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계된 위상차 소자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의 구성]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는, 후술하는 편광 안경(2)을 안구{眼球} 앞에 장착{裝着}한 관찰자(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편광 안경 방식의 표시 장치이다. 이 표시 장치(1)는, 백라이트 유닛(10), 액정 표시 패널(20)(표시 패널) 및 위상차 소자(30)를 이 순{順}으로 적층해서 구성된 것이다. 이 표시 장치(1)에서, 위상차 소자(30)의 표면이 영상 표시면으로 되어 있고, 관찰자측으로 향해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상 표시면이 수직면(연직{鉛直}면, 도 1의 y-z 평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표시 장치(1)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영상 표시면은, 예를 들면 장방{長方; rectangular}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영상 표시면의 긴쪽{長手; longitudinal} 방향이 수평 방향(도면중의 y축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관찰자는 편광 안경(2)을 안구 앞에 장착한 다음, 영상 표시면을 관찰하는 것으로 한다.
[백라이트 유닛(10)]
백라이트 유닛(10)은, 예를 들면 반사판, 광원 및 광학 시트(어느 것이나 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반사판은, 광원으로부터의 사출광을 광학 시트측으로 되돌려보내는 것이며, 반사, 산란, 확산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반사판은, 예를 들면 발포{發泡}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원으로부터의 사출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광원은, 액정 표시 패널(20)을 배후{背後}로부터 조명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복수의 선모양{線狀} 광원이 등간격으로 병렬 배치되거나, 복수의 점모양{点狀} 광원이 2차원 배열되거나 한 것이다. 또한, 선모양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열 음극관(HCFL; Hot Cathode Fluorescent Lamp), 냉음극관(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등을 들 수 있다. 또, 점모양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시트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면내 휘도 분포를 균일화하거나,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발산각{發散角}이나 편광 상태를 원하는{所望} 범위내로 조정하거나 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확산판,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반사형 편광 소자, 위상차 판 등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광원은, 에지 라이트 방식이라도 좋고, 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도광{導光} 판이나 도광 필름을 이용한다.
[액정 표시 패널(20)]
액정 표시 패널(20)은, 복수의 화소가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2차원 배열된 투과형 표시 패널이며, 영상 신호에 따라 각 화소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 액정 표시 패널(2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0)측으로부터 차례{順}대로, 편광판(21A), 투명 기판(22), 화소 전극(23), 배향막(24), 액정층(25), 배향막(26), 공통 전극(27), 컬러 필터(28), 투명 기판(29)(대향 기판) 및 편광판(21B)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편광판(21A)은, 액정 표시 패널(20)의 광 입사측에 배치된 편광판이며, 편광판(21B)은 액정 표시 패널(20)의 광 사출측에 배치된 편광판이다. 편광판(21A, 21B)는, 광학 셔터의 일종이며, 어떤 일정의 진동 방향의 광(편광)만을 통과시킨다. 편광판(21A, 21B)은 각각, 예를 들면 편광축이 서로 소정의 각도만큼(예를 들면 90도)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10)으로부터의 사출광이 액정층을 거쳐서 투과하거나, 혹은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편광판(21A)의 투과축(도시하지 않음)의 향함은, 백라이트 유닛(10)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투과가능한 범위내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 유닛(10)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편광축이 수직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편광판(21A)의 투과축도 수직 방향을 향하고 있고, 백라이트 유닛(10)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편광축이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편광판(21A)의 투과축도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0)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직선 편광광인 경우에 한{限}해지는 것은 아니며, 원{圓} 편광이나, 타원 편광, 무{無}편광이더라도 좋다.
편광판(21B)의 편광축 AX4(도 2)의 향함은, 액정 표시 패널(20)을 투과한 광을 투과가능한 범위내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편광판(21A)의 편광축(도시하지 않음. 또한, 편광축과 투과축은 동의{同義}이다)의 향함이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편광축 AX4는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수직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도 2의 (a)), 편광판(21A)의 편광축의 향함이 수직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편광축 AX4는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다(도 2의 (b)).
투명 기판(22, 29)은,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에 대해서 투명한 기판이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0)측의 투명 기판에는, 예를 들면 투명 화소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동 소자로서의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 등을 포함하는 액티브형 구동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23)은, 예를 들면 산화 인듐 주석(ITO; Indium Tin Oxide)으로 이루어지고, 화소마다의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배향막(24)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고, 액정에 대해서 배향 처리를 행한다. 액정층(25)은, 예를 들면 VA(Vertical Alignment) 모드, TN(Twisted Nematic) 모드 또는 STN(Super Twisted Nematic) 모드의 액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액정층(25)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로부터의 인가 전압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10)으로부터의 사출광을 화소마다 투과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공통 전극(27)은, 예를 들면 ITO로 이루어지고, 공통의 대향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컬러 필터(28)는, 백라이트 유닛(10)으로부터의 사출광을, 예를 들면 빨강{赤}(R), 초록{綠}(G) 및 파랑{靑}(B)의 삼원색으로 각각 색 분리하기 위한 필터부(28A)를 배열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컬러 필터(28)에서는, 필터부(28A)는 화소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는 부분에, 차광 기능을 가지는 블랙 매트릭스부(28B)가 설치되어 있다.
[위상차 소자(30)]
다음에, 위상차 소자(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의 (a)는, 본 실시형태의 위상차 소자(30)의 구성의 1예를 사시적{斜視的}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위상차 소자(30)의 지상축에 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4의 (a)는, 본 실시형태의 위상차 소자(30)의 구성의 다른 예를 사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위상차 소자(30)의 지상축에 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의 (a), (b)에 도시한 위상차 소자(30)와, 도 4의 (a), (b)에 도시한 위상차 소자(30)는, 기재 필름(31)(후술)의 지상축 AX3의 향함의 점에서 상위{相違}하다.
위상차 소자(30)는, 액정 표시 패널(20)의 편광판(21B)을 투과한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위상차 소자(3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 필름(31)과, 위상차 층(32)을 가지고 있다.
기재 필름(31)은, 예를 들면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얇은 수지 필름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광학 이방성이 작은, 다시 말해 복굴절{複屈折}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TAC(트리아세틸 셀룰로스), COP(시클로올레핀 폴리머), PMMA(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COP로서는, 예를 들면 제오노아{ZEONOR}나 제오넥스{ZEONEX}(일본 제온(주){ZEON CORPORATION} 등록상표), 아톤{ARTON}(JSR(주) 등록상표) 등이 있다. 기재 필름(31)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 이상 5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기재 필름(31)의 리타데이션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31)은, 단층 구조이더라도 좋으며, 다층 구조이더라도 좋다. 기재 필름(31)이 다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기재 필름(31)의 표면에, 위상차 층(32)의 재료를 배향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수지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수지층은, 종래의 광 배향막이나, 폴리이미드 배향막과는 달리, 수지층에서 광 흡수나 착색{色付; coloring}은 거의 생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경화형{硬化型} 수지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단정{斷}이 없는 한, 상기 수지층이 형성된 기재 필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재 필름(31)의 표면(상기 수지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지층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위상차 층(32)의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에 대응한 복수(여기에서는 2종류)의 홈{溝} 영역(도시하지 않음)이 패터닝 형성되어 있다. 그 홈 영역은, 예를 들면 스트라이프모양으로, 번갈아{交互} 배열되어 있다. 이들 스트라이프 폭은, 예를 들면 표시 장치(1)에서의 화소 피치와 동등한 폭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홈 영역에서는 각각, 복수의 미세 홈이 서로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 extend}하고 있다. 그리고, 오른쪽눈용 영역(32A)에 대응하는 복수의 미세 홈의 연재 방향과, 왼쪽눈용 영역(32B)에 대응하는 복수의 미세 홈의 연재 방향은, 예를 들면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 이들 복수의 홈의 연재 방향은, 홈 영역의 스트라이프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각각, -45°, +45°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복수의 미세 홈의 개구 폭(복수의 미세 홈의 피치)은, 예를 들면 2㎛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미세 홈의 피치가 2㎛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제조 과정에 있어서, 복수의 미세 홈 위에 위상차 층(32)을 구성하는 재료(예를 들면, 후술하는 액정 재료)를 배향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기재 필름(31)의 지상축 AX3은, 예를 들면 도 3∼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도 3의 (b)) 또는 수평 방향(도 4의 (b))을 향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축 AX3은, 후술하는 위상차 층(32)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의 짧은 쪽{短手; short-side} 방향 또는 긴쪽{長手; long-side}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경계선 L1의 향함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 지상축 AX3은, 지상축 AX1, AX2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지상축 AX1과 지상축 AX2와의 이등분 선(수직 방향의 이등분 선 또는 수평 방향의 이등분 선)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평행」, 「직교」, 「수직」, 「동일한 방향 」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損}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각각 대략{略; substantially} 평행, 대략 직교, 대략 수직, 대략 동일한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제조 오차{誤差; error}, 편차{variation} 등의 제{諸; various}요인에 기인하는 오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위상차 층(32)은,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얇은 층이다. 이 위상차 층(32)은, 기재 필름(31)의 표면에 설치된 것이며, 액정 표시 패널(20)의 광 사출측의 표면(편광판(21B))에 점착제{粘着劑}(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붙여져{貼付; attached} 있다(도 1). 이 위상차 층(32)은, 지상축의 향함이 서로 다른 2종류의 위상차 영역(오른쪽눈용 영역(32A), 왼쪽눈용 영역(32B))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오른쪽눈용 영역(32A)이 본 발명의 「한쪽 종류의 위상차 영역」의 1구체예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의 왼쪽눈용 영역(32B)이 본 발명의 「다른쪽 종류의 위상차 영역」의 1구체예에 상당한다.
위상차 층(32)은, 예를 들면 중합성의 고분자 액정 재료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위상차 층(32)에서는, 상술한 기재 필름(31)의 표면(상기 수지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지층의 표면)에 패터닝 형성된 복수의 홈 영역 위에, 액정 분자가 배향·고정되어 있다. 고분자 액정 재료로서는, 상전이{相轉移} 온도(액정상{液晶相}-등방상{等方相}), 액정 재료의 굴절률 파장 분산 특성, 점성{粘性} 특성, 프로세스 온도 등에 따라 선정된 재료가 이용된다. 단, 중합기로서 아크릴로일기 혹은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투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중합성 관능기{官能基}와 액정 골격 사이에 메틸렌 스페이서가 없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스시의 배향 처리 온도를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위상차층(32)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10㎛가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차 층(32)은, 중합한 고분자 액정 재료만으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그의 일부에 미{未}중합의 액정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 층(32)에 포함되는 미중합의 액정성 모노머는, 배향 처리(가열 처리)에 의해서, 그 주위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과 마찬가지 방향으로 배향하고, 고분자 액정 재료의 배향 특성과 마찬가지 배향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기재 필름(31)과 위상차 층(32)은, 직접 접해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층이 개재{介在}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층으로서는, 기재 필름(31)과 위상차 층(32)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앵커층 등을 들 수 있다. 또, 기재 필름(31)(또는 기재 필름 위에 설치된 수지층)과 위상차 층(32) 사이에, 위상차 층(32)을 구성하는 소정의 재료(예를 들면, 상기 액정 재료)의 배향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무배향성 박막을 별도 설치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조 과정에서 기재 필름(31) 위에 위상차 층(32)을 형성한 경우에, 기판 필름(31) 표면의 분자 배향의 영향이, 위상차 층(32)에 미치는 비율{割合}을 저감할 수가 있다.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은, 예를 들면 도 1, 도 3의 (a),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하는 하나의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띠모양{帶狀; strip}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은, 기재 필름(31)의 면내 방향에, 인접해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의 짧은쪽 방향(수직 방향)에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을 격리{隔; separating}하는 경계선 L1은,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의 긴쪽 방향(수평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오른쪽눈용 영역(32A)은, 도 3∼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왼쪽눈용 영역(32B)과의 경계선 L1과 직교 이외의 각도 θ1(0°〈θ1〈90°)로 교차하는 방향에 지상축 AX1을 가지고 있다. 한편, 왼쪽눈용 영역(32B)은, 도 3∼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오른쪽눈용 영역(32A)과의 경계선 L1과 직교 이외의 각도 θ2(0°〈θ2〈90°)로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또한 지상축 AX1의 향함과는 다른 방향에 지상축 AX2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지상축 AX1의 향함과는 다른 방향」이란 단지, 지상축 AX1의 향함과는 다르다고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계선 L1에 관해서, 지상축 AX1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시 말해, 지상축 AX1, AX2는, 경계선 L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지상축 AX1의 각도 θ1과, 지상축 AX2의 각도 θ2는, 절대값으로서는 (회전 방향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들이, 제조 오차 등에 의해서 약간, 서로 달라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조 오차보다도 큰 각도로 서로 달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조 오차로서는,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을 제조하는 기술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예를 들면 최대로 5° 정도이다.
앞으로{今後}, 특별히 단정이 없는 한, 편광 안경(2)이 원 편광 타입이며, 표시 장치(1)로서는 원 편광 안경용의 표시 장치인 경우에 대해서 언급한다. 이 경우 , 각도 θ1, θ2는, 예를 들면, 각도 θ1이 +45°로 되고, 각도 θ2가 -45°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상축 AX1, AX2는, 도 2∼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어느 방향과도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기재 필름(31)의 지상축 AX3과도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 지상축 AX1, AX2는, 지상축 AX1과 지상축 AX2와의 수평 방향의 이등분 선이 경계선 L1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바와 같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상축 AX1, AX2는, 도 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20)의 광 사출측의 편광판(21B)의 편광축 AX4와도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 지상축 AX1은, 후술하는 편광 안경(2)의 오른쪽눈용 위상차 필름(41B)의 지상축 AX5의 향함과 동일한 방향이나, 또는 그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왼쪽눈용 위상차 필름(42B)의 지상축 AX6의 향함과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한편, 지상축 AX2는, 지상축 AX6의 향함과 동일한 방향이나, 또는 그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지상축 AX5의 향함과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편광 안경(2)]
다음에, 편광 안경(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편광 안경(2)의 구성의 1예를, 표시 장치(1)와 함께 사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편광 안경(2)은, 관찰자(도시하지 않음)의 안구 앞에 장착되는 것이며, 영상 표시면에 비추어지는{映出; imaged} 영상을 관찰할 때에 관찰자에 의해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 편광 안경(2)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눈용 안경(41) 및 왼쪽눈용 안경(42)을 가지고 있다.
오른쪽눈용 안경(41) 및 왼쪽눈용 안경(42)은, 표시 장치(1)의 영상 표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오른쪽눈용 안경(41) 및 왼쪽눈용 안경(4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 수 있는 한 하나의 수평면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소 기울어진 평탄면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오른쪽눈용 안경(41)은, 예를 들면 편광판(41A) 및 오른쪽눈용 위상차 필름(41B)을 가지고 있다. 한편, 왼쪽눈용 안경(42)은, 예를 들면 편광판(42A) 및 왼쪽눈용 위상차 필름(42B)을 가지고 있다. 오른쪽눈용 위상차 필름(41B)은, 편광판(41A)의 표면으로서, 또한 표시 장치(1)로부터 사출된 광 L 입사측에 설치된 것이다. 왼쪽눈용 위상차 필름(42B)은, 편광판(42A)의 표면으로서, 또한 광 L의 입사 측에 설치된 것이다.
편광판(41A, 42A)은, 편광 안경(2)의 광 사출측에 배치되어 있고, 어떤 일정의 진동 방향의 광(편광)만을 통과시킨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편광판(41A, 42A)의 편광축 AX7, AX8은 각각, 편광판(21B)(표시 패널의 사출측)의 편광축 AX4와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편광축 AX7, AX8은 각각, 예를 들면, 도 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축 AX4가 수직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고, 편광축 AX4 가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직 방향을 향하고 있다.
오른쪽눈용 위상차 필름(41B) 및 왼쪽눈용 위상차 필름(42B)은,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얇은 필름이다. 이들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이들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광학 이방성이 작은, 다시 말해 복굴절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COP(시클로올레핀 폴리머), PC(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COP로서는, 예를 들면 제오노아나 제오넥스(일본 제온(주) 등록상표), 아톤(JSR(주) 등록상표) 등이 있다. 오른쪽눈용 위상차 필름(41B)의 지상축 AX5 및 왼쪽눈용 위상차 필름(42B)의 지상축 AX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어느 방향과도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편광판(41A, 42A)의 편광축 AX7, AX8과도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 지상축 AX5, AX6은, 지상축 AX5, AX6과의 수직 방향의 이등분 선이, 경계선 L1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바와 같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상축 AX5는, 지상축 AX1의 향함과 동일한 방향이나, 또는 그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지상축 AX2의 향함과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 한편, 지상축 AX6은, 지상축 AX2와 동일한 방향이나, 또는 그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지상축 AX1의 향함과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리타데이션]
도 6∼도 9를 참조해서, 위상차 소자(30)와 편광 안경(2)의 리타데이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위상차 층(32)의 오른쪽눈용 영역(32A)에 입사한 오른쪽눈용 화상광 L2에만 주목{着目}하고, 편광 안경(2)을 거쳐서, 광 L2가 좌우의 눈에서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 도 8 및 도 9는, 위상차 층(32)의 왼쪽눈용 영역(32B)에 입사한 왼쪽눈용 화상광 L3에만 주목하고, 편광 안경(2)을 거쳐서, 광 L3이 좌우의 눈에서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실제로는, 오른쪽눈용 화상광 L2 및 왼쪽눈용 화상광 L3은, 혼재{混在}한 상태로 출력되지만, 도 6∼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오른쪽눈용 화상광 L2와 왼쪽눈용 화상광 L3을 별개로 나누어 기술했다.
그런데, 편광 안경(2)을 이용해서 관찰한 경우에, 예를 들면 도 6의 (a), (b), 도 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눈에는 오른쪽눈용 화소의 화상을 인식할 수 있고, 왼쪽눈에는 오른쪽눈용 화소의 화상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동시에, 예를 들면 도 8의 (a), (b), 도 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눈에는 왼쪽눈용 화소의 화상을 인식할 수 있고, 오른쪽눈에는 왼쪽눈용 화소의 화상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오른쪽눈용 위상차 필름(41B)의 리타데이션 및 왼쪽눈용 영역(32B) 및 왼쪽눈용 위상차 필름(42B)의 리타데이션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의 리타데이션중 한쪽이 +λ/4로 되고 있고, 다른쪽이 -λ/4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리타데이션의 부호가 역{逆}으로 되어 있는 것은, 각각의 지상축의 향함이 90° 다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오른쪽눈용 위상차 필름(41B)의 리타데이션은 오른쪽눈용 영역(32A)의 리타데이션과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왼쪽눈용 위상차 필름(42B)의 리타데이션은 왼쪽눈용 영역(32B)의 리타데이션과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 동작]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에서 화상을 표시할 때의 기본 동작의 1예에 대해서, 도 5∼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백라이트 유닛(1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액정 표시 패널(20)에 입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영상 신호로서 오른쪽눈용 화상 및 왼쪽눈용 화상을 포함하는 시차{視差} 신호가 액정 표시 패널(20)에 입력된다. 그러면, 예를 들면 홀수행의 화소로부터 오른쪽눈용 화상광 L2가 출력되고(도 6의 (a), (b) 또는 도 7의 (a), (b)), 짝수행의 화소로부터 왼쪽눈용 화상광 L3이 출력된다(도 8의 (a), (b) 또는 도 9의 (a), (b)).
그 후, 오른쪽눈용 화상광 L2 및 왼쪽눈용 화상광 L3은, 위상차 소자(30)의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에 의해서 타원 편광으로 변환되고, 위상차 소자(30)의 기재 필름(31)을 투과한 후, 표시 장치(1)의 화상 표시면으로부터 외부로 출력된다. 이 때, 오른쪽눈용 영역(32A)을 통과한 광과 왼쪽눈용 영역(32B)을 통과한 광은 모두, 기재 필름(31)에 존재하는 얼마안되는 광학 이방성의 영향을 받는다.
그 후, 표시 장치(1)의 외부에 출력된 광은, 편광 안경(2)에 입사하고, 오른쪽눈용 위상차 필름(41B) 및 왼쪽눈용 위상차 필름(42B)에 의해서 타원 편광으로부터 직선 편광으로 되돌려보내진 후, 편광 안경(2)의 편광판(41A, 42A)에 입사한다.
이 때,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광판(41A, 42A)에의 입사광중 오른쪽눈용 화상광 L2에 대응하는 광의 편광축은, 편광판(41A)의 편광축 AX7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편광판(42A)의 편광축 AX8과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편광판(41A, 42A)에의 입사광중 오른쪽눈용 화상광 L2에 대응하는 광은, 편광판(41A)만을 투과하고, 관찰자의 오른쪽눈에 도달한다.
한편,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광판(41A, 42A)에의 입사광중 왼쪽눈용 화상광 L3에 대응하는 광의 편광축은, 편광판(41A)의 편광축 AX7과 직교하고 있고, 편광판(42A)의 편광축 AX8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편광판(41A, 42A)에의 입사광중 왼쪽눈용 화상광 L3에 대응하는 광은, 편광판(42A)만을 투과하고, 관찰자의 왼쪽눈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해서, 오른쪽눈용 화상광 L2에 대응하는 광이 관찰자의 오른쪽눈에 도달하고, 왼쪽눈용 화상광 L3에 대응하는 광이 관찰자의 왼쪽눈에 도달한 결과, 관찰자는 표시 장치(1)의 영상 표시면에 입체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것처럼 인식할 수가 있다.
[효과]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 소자(30)의 기재 필름(31)은, 예를 들면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얇은 수지 필름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오른쪽눈용 영역(32A)을 통과한 광과, 왼쪽눈용 영역(32B)을 통과한 광은 모두, 기재 필름(31)에 존재하는 얼마안되는 광학 이방성의 영향을 받는다. 그 때문에, 관찰자의 눈에 도달한 오른쪽눈용 화상광 및 왼쪽눈용 화상광에 고스트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 관찰자의 눈에 도달한 오른쪽눈용 화상광 및 왼쪽눈용 화상광이 당초의 색과는 다른 색조{色合; color}로 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필름(31)의 지상축 AX3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을 향하고 있고, 지상축 AX1, AX2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재 필름(31)의 광학 이방성에 기인하는 영향이 기재 필름(31)을 투과하는 각각의 광에 미치고, 기재 필름(31)을 투과하는 오른쪽눈용에 대응하는 광 및 왼쪽눈용에 대응하는 광중 어느것인가 한쪽의 광에만, 그 영향이 극단적으로 크게 미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왼쪽눈 또는 오른쪽에만 고스트가 강하게 보이거나, 왼쪽눈과 오른쪽눈에서 영상의 색이 달라져 버리거나 하는 등의 언밸런스를 저감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언밸런스가 생기기 어려운 위상차 소자(30) 및 표시 장치(1)를 실현할 수가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 기재 필름(31)의 지상축 AX3이, 지상축 AX1과 지상축 AX2와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의 이등분 선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재 필름(31)의 광학 이방성에 기인하는 영향이 기재 필름(31)을 투과하는 각각의 광에 균등하게 미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왼쪽눈 또는 오른쪽눈에만 고스트가 강하게 보이거나, 왼쪽눈과 오른쪽눈에서 영상의 색이 달라져 버리거나 하는 등의 언밸런스를 없앨 수가 있다. 따라서, 좌우 영상의 언밸런스가 생기지 않는 위상차 소자(30) 및 표시 장치(1)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 소자(30)의 위상차 층(32)을 지지하는 기재로서, 얇은 기재 필름(예를 들면, 수지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위상차 층(32)의 지지기재로서 유리판을 이용한 경우보다도 위상차 소자(30)를 저렴하게 수율{步留; yield} 좋게 제조할 수가 있다. 또, 위상차 층(32)의 지지 기재로서 얇은 기재 필름(예를 들면,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표시 장치(1)를 박형화할 수도 있다.
[위상차 소자(30)의 제조 방법]
여기서, 본 발명에 관계된 위상차 소자(30)의 제조 방법의 1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위상차 소자(30)에 복수의 홈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며, 그 홈 영역을 형성할 때에, 롤모양의 원반{原盤; master}을 이용한 경우와, 판모양{板狀; sheet-like}의 원반을 이용한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롤모양의 원반을 이용한 경우)
도 21은, 롤모양의 원반에 의해 복수의 미세 홈을 형성하는 제조 장치의 구성의 1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에 기재된 제조 장치는, 권출{卷出; unwind; 풀어내는} 롤(200)과, 가이드 롤(220, 230, 250, 260)과, 닙 롤(240)과, 형{型; pattern} 롤(210)과, 권취{卷取; take-up; 감는} 롤(270)과, 토출기{吐出機; discharger}(280)와, 자외선 조사기{照射機}(29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권출 롤(200)은, 기재 필름(44)을 동심원 모양으로 감은 것이며, 기재 필름(31)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권출 롤(200)로부터 권출된{풀어내어진} 기재 필름(31)은, 가이드 롤(220), 가이드 롤(230), 닙 롤(240), 형 롤(210), 가이드 롤(250), 가이드 롤(260)의 순으로 흘러 가며, 최후에 권취 롤(270)에서 권취되도록{감기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롤(220, 230)은, 권출 롤(200)로부터 공급된 기재 필름(31)을 닙 롤(240)에 인도{導}하기 위한 것이다. 닙 롤(240)은, 가이드 롤(230)로부터 공급된 기재 필름(31)을 형 롤(210)에 꽉 누르는{押當; press} 것이다. 형 롤(210)은, 닙 롤(240)과 소정의 간극{間隙; gap}을 거쳐서 배치되어 있다. 형 롤(210)의 둘레면{周面}에는, 위상차 소자(30)의 오른쪽눈용·왼쪽눈용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미세 홈의 반전{反轉}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롤(250)은, 형 롤(210)에 휘감겨{卷付; wound} 있는 기재 필름(31)을 벗겨내기{剝; separate} 위한 것이다. 또, 가이드 롤(260)은, 가이드 롤(250)에 의해서 벗겨내어진 기재 필름(31)을 권취 롤(270)에 인도하기 위한 것이다. 토출기(280)는, 권출 롤(200)로부터 공급된 기재 필름(31)중 가이드 롤(230)과 접하는 부분과 소정의 간극을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토출기(280)는, 예를 들면 UV 경화 아크릴 수지액을 포함하는 UV 경화 수지액(43D)을, 기재 필름(31) 위에 적하{滴下; drop}하도록 되어 있다. 자외선 조사기(290)는, 권출 롤(200)로부터 공급된 기재 필름(31)중 닙 롤(240)을 통과한 후의 부분으로서, 또한 형 롤(210)과 접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조 장치를 이용해서, 기재 필름(31)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권출 롤(200)로부터 권출된 기재 필름(31)을, 가이드 롤(220)을 거쳐서 가이드 롤(230)에 인도한 후, 기재 필름(31) 위에, UV 경화 수지액(43D)을, 예를 들면 토출기(280)로부터 적하해서, UV 경화 수지층(43)을 형성한다. 기재 필름(31) 위의 UV 경화 수지층(43)을 닙 롤(240)로, 기재 필름(31)을 거쳐서 형 롤(210)의 둘레면에 꽉 누른다. 이것에 의해, UV 경화 수지층(43)이 형 롤(210)의 둘레면에 접하고, UV 경화 수지층(43)에, 형 롤(210)의 둘레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이 전사{轉寫}된다.
그 후, 자외선 조사기(290)로부터, UV 경화 수지층(43)에 대해서 자외선 UV를 조사해서, UV 경화 수지층(43)을 경화시킨다. 이어서, 가이드 롤(250)로, 기재 필름(31)을 형 롤(210)로부터 박리한 후, 가이드 롤(260)을 거쳐서 권취 롤(270)에 권취한다{감는다}. 이와 같이 해서, 수지층이 형성된 기재 필름(31′)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또 상기 무배향성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재 필름(31)에 복수의 미세 홈을 설치한 후에 행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미세 홈의 표면에, 예를 들면 UV 경화 수지층을 배치한다. 그 UV 경화 수지층은,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UV 경화 수지층과 동일 재료이더라도, 다른 재료이더라도 좋다. 다음에, 그 UV 경화 수지층에 UV광을 조사해서, 경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미세 홈의 표면에 따라서{倣} 무배향성 박막이 형성된다. 무배향성 박막은, 도 21의 제조 장치와 일련의 구조의 장치를 이용해서, 형성할 수가 있다(도시하지 않음).
다음에, 위상차 층(32)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출 롤(350)로부터 기재 필름(31')을 권출한 후, 복수의 미세 홈(또는 무배향성 박막)의 표면에, 액정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액정(46D)을 토출기(360)로부터 적하해서, 액정층(46)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목적으로, 히터(370)를 이용해서, 기재 필름(31′)의 표면에 도포된 액정층(46)의 액정성 모노머의 배향 처리(가열 처리)를 행한 후, 액정층(46)을 상전이 온도보다도 조금 낮은 온도까지 서냉{徐冷}한다. 이것에 의해, 액정성 모노머는, 기재 필름(31′)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 홈(또는 무배향성 박막)의 패턴에 따라 배향한다.
다음에, 자외선 조사기(380)로부터, 배향 처리후의 액정층(46)에 대해서, UV광을 조사해서, 이 액정층(46) 내의 액정성 모노머를 중합시킨다. 또한, 이 때, 처리 온도는, 일반적으로 실온{室溫} 부근인 것이 많지만, 리타데이션 값을 조정하기 위해서 온도를 상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까지 올려도 좋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미세 홈의 패턴을 따라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가 고정되고, 위상차 층(32)(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이 형성된다. 이상에 의해, 위상차 소자(30)가 완성된다. 그 후, 위상차 소자(30)를 권취 롤(390)에 권취한다.
또한, UV 경화 수지층(43)을 설치하지 않고, 기재 필름(31)에 직접, 원반의 반전 패턴을 전사해서, 복수의 미세 홈이 형성된 기재 필름을 완성시켜도 좋다. 이 경우, 상기의 UV 경화 수지층(43)의 형성 공정을 생략하는 것 외는, 상기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위상차 소자(30)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와 같이 배향막을 이용해서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경우와 달리, 고온에서의 가열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 재료 등에 비해서, 가공하기 쉽고, 또한 저렴한 기재 필름(예를 들면,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가 있다.
(판모양의 원반을 이용한 경우)
다음에, 도 23을 참조해서, 판모양의 원반을 이용한 경우의 위상차 소자(30)의 제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기재 필름(31)을 준비한다. 그리고, 위상차 소자(30)의 오른쪽눈용·왼쪽눈용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미세 홈의 반전 패턴(110A)이 형성된 판모양의 원반(110)의 표면에, 예를 들면 UV 경화 수지층(43)(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을 배치한 후, UV 경화 수지층(43)을, 기재 필름(31)으로 봉지{封止; enclose}한다. 다음에, UV 경화 수지층(43)에 UV 광을 조사해서 경화시킨 후, 원반(110)을 박리한다. 이것에 의해, 수지층이 형성된 기재 필름(31′)이 형성된다(도 23의 (a)).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또 상기 무배향성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재 필름(31)에 복수의 미세 홈을 설치한 후에 실시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미세 홈의 표면에, 예를 들면 UV 경화 수지층을 배치한다. 그 UV 경화 수지층은, UV 경화 수지층(43)과 동일 재료이더라도, 다른 재료이더라도 좋다. 다음에, 그 UV 경화 수지층에 UV 광을 조사해서, 경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미세 홈의 표면에 따라서 무배향성 박막이 형성된다.
다음에, 위상차 층(32)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도 23의 (b)). 우선, 복수의 미세 홈(또는 무배향성 박막)의 표면에, 액정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액정층(46)을, 예를 들면 롤 코터 등으로 코팅해서 형성한다. 이 때, 액정층(46)에는, 필요에 따라, 액정성 모노머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 중합 개시제, 중합 금지제, 계면 활성제, 레벨링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정성 모노머의 용해성이 높고, 실온에서의 증기압이 낮고, 또 실온에서, 증발하기 어려운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온에서 증발하기 어려운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1-메톡시-2-아세폭시 프로판(PGMEA), 톨루엔, 메틸에틸 케톤(MEK), 메틸이소부틸 케톤(MIBK)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실온에서 증발하기 쉬운 용매를 이용하면, 액정층(46)을 도포 형성후의 용매의 증발 속도가 너무 빨라, 용매의 증발후에 형성되는 액정성 모노머의 배향에 흐트러짐{亂; disorder}이 생기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액정층(46)의 액정성 모노머의 배향 처리(가열 처리)를 행한다. 이 가열 처리는, 액정성 모노머의 상전이 온도 이상으로서, 특히 용매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 용매가 건조하는 온도 이상의 온도로 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앞 공정에서의 액정성 모노머의 코팅에 의해서, 액정성 모노머와 미세 홈과의 계면에 전단 응력{shearing stress}이 작용하고, 흐름에 의한 배향(유동 배향)이나 힘에 의한 배향(외력 배향)이 생겨 액정 분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배향해 버리는 일이 있다. 상기 가열 처리는, 이와 같은 의도하지 않을 방향으로 배향해 버린 액정성 모노머의 배향 상태를 일단 캔슬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 액정층(46)에서는, 용매가 건조해서 액정성 모노머만으로 되고, 그 상태는 등방상으로 된다.
다음에, 액정층(46)을 상전이 온도보다도 조금 낮은 온도까지 서냉한다. 이것에 의해, 액정성 모노머가, 복수의 미세 홈(또는 무배향성 박막)의 패턴에 따라 배향한다.
다음에, 배향 처리후의 액정층(46)에 대해서, 예를 들면 UV광을 조사 하는 것에 의해, 액정성 모노머를 중합시킨다. 또한, 이 때, 처리 온도는, 일반적으로 실온 부근인 것이 많지만, 리타데이션 값을 조정하기 위해서 온도를 상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까지 올려도 좋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미세 홈(또는 무배향성 박막)의 패턴을 따라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가 고정되고,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이 형성된다. 이상에 의해, 위상차 소자(30)가 완성된다(도 23의 (b)) .
또한, UV 경화 수지층(43)을 설치하지 않고, 기재 필름(31)에 직접, 원반의 반전 패턴(110A)을 전사해서, 복수의 미세 홈이 형성된 기재 필름을 완성시켜도 좋다. 이 경우, 상기의 UV 경화 수지층(43)의 형성 공정을 생략 하는 것 외는, 상기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위상차 소자(30)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와 같이 배향막을 이용해서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경우와 달리, 고온에서의 가열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 재료 등에 비해서, 가공하기 쉽고, 또한 저렴한 기재 필름(예를 들면,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가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 소자(30)에는, 지상축의 향함이 서로 다른 2종류의 위상차 영역(오른쪽눈용 영역(32A), 왼쪽눈용 영역(32B))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지상축의 향함이 서로 다른 3종류 이상의 위상차 영역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차 소자(30)에, 오른쪽눈용 영역(32A), 왼쪽눈용 영역(32B) 외에, 이들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의 지상축 AX1, AX2의 향함과는 다른 방향의 지상축을 가지는 제3 영역(32C)을 새롭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 소자(30)의 위상차 영역(오른쪽눈용 영역(32A), 왼쪽눈용 영역(32B))이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었지만, 그 이외의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차 소자(30)의 위상차 영역(오른쪽눈용 영역(32A), 왼쪽눈용 영역(32B))이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위상차 소자(30)의 위상차 영역(오른쪽눈용 영역(32A), 왼쪽눈용 영역(32B))이 위상차 소자(30)의 수평 방향 혹은 수직 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재하고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쌍방에 2차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2차원 배치한 경우이더라도, 각 위상차영역의 경계선은, 수직 방향의 경계선이라고 정의{定義}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위상차 소자(30)를 표시 장치(1)에 적용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었지만, 다른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20)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발산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별히 마련{設}하고 있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20)과 위상차 소자(30) 사이에, 블랙 스트라이프부(40)를 설치해도 좋다. 이 블랙 스트라이프부(40)는, 액정 표시 패널(20)내의 화소 전극(23)과의 대향 영역내에 설치된 투과부(40A)와, 이 투과부(40A) 주위에 설치된 차광부(40B)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가 기울기{斜} 상측이나 기울기 하측으로부터 화상 표시면을 관찰한 경우에, 왼쪽눈용 화소를 통과한 광이 오른쪽눈용 영역(32A)에 들어가거나, 오른쪽눈용 화소를 통과한 광이 왼쪽눈용 영역(32B)에 들어가거나 하는 크로스토크라고 불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한, 블랙 스트라이프부(40)를 항상, 액정 표시 패널(20)과 위상차 소자(30) 사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20)내의 편광판(21B)과 투명 기판(29)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편광 안경(2)이 원 편광 타입이며, 표시 장치(1)로서는 원 편광 안경용 표시 장치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했지만, 편광 안경(2)이 직선 편광 타입이며, 표시 장치(1)로서 직선 편광 안경용 표시 장치인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의 실시예 1, 2에 대해서, 비교예 1, 2와 대비해서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기재 필름(31)의 지상축 AX3을 경계선 L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향하게 한 것을 실시예 1로 하고, 도 4 와 같이 기재 필름(31)의 지상축 AX3을 경계선 L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향하게 한 것을 실시예 2로 했다. 다시 말해, 실시예 1, 2에서는, 지상축 AX3을 지상축 AX1, AX2와 교차시키고, 게다가 지상축 AX1, AX2의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의 이등분 선의 방향과 대체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했다. 한편, 기재 필름(31)의 지상축 AX3을 왼쪽눈용 영역(32B)의 지상축 AX2와 동일 방향으로 한 것을 비교예 1로 하고, 기재 필름(31)의 지상축 AX3을 오른쪽눈용 영역(32A)의 지상축 AX1과 동일 방향으로 한 것을 비교예 2로 했다.
우선,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해서 소광비를 계측하고, 평가했다. 소광비는, 이하의 산출 식 (1), (2)에 의해서 구해지는 것이며, 어느 정도 고스트가 생겨 버리는가 하는 정도를 정량적{定量的}으로 구할 수가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2]
Figure pat00002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광 안경(2)에서의 편광판(41A 및 42A)의 투과축 AX7 및 AX8은, 표시 장치(1)의 광사출측의 편광판(21B)의 투과축 AX4와의 관계로, 각각 크로스 니콜{crossed nicol}의 배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출사{出射; emitting}측의 편광판(21B)의 투과축 AX4를 수직 방향으로 하고, 투과축 AX7 AX8을 수평 방향으로 했다. 또, 위상차 층(32)의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의 리타데이션을, 거의 λ/4 로 했다. 또, 왼쪽눈용 영역(32B)의 지상축 AX2와 왼쪽눈용 위상차 필름(42B)의 지상축 AX6을 같은 향함{同向}으로 하고, 오른쪽눈용 영역(32A)의 지상축 AX1과 오른쪽눈용 위상차 필름(41B)의 지상축 AX5를 같은 향함으로 했다. 이와 같은 배치에서,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의 소광비의 계산을, 확장 죤즈 행렬법{expanded Jones Matrix method}을 이용해서 행했다.
또한, 편광 안경(2)의 좌우의 위상차 필름(41B, 42B), 및 위상차 소자(30)의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의 리타데이션은, 모든 파장에서 λ/4 또는 그것과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편광 안경(2)의 위상차 필름(41B, 42B)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상정{想定}하고,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의 재료로서 액정 폴리머를 상정했다.
편광 안경(2)의 위상차 필름(41B, 42B)은, 오른쪽눈용이나 왼쪽눈용이나 리타데이션이 동일한 것으로 하고, 도 15에 도시하는 리타데이션 값으로 했다. 또, 오른쪽눈용 영역(32A) 및 왼쪽눈용 영역(32B)에 대해서도 리타데이션이 동일한 것으로 하고, 도 16에 도시하는 리타데이션 값으로 했다. 한편, 위상차 소자(30)의 기재 필름(31)은, 약간의 리타데이션을 가진다. 여기에서는, 기재 필름(31)으로서 100㎛ 두께의 제오노아(일본 제온(주) 등록상표) 필름을 상정하고, 도 17에 도시하는 리타데이션 값으로 했다. 다시 말해, 기재 필름(31)의 리타데이션은 가시{可視} 영역에서, 약 6㎚로 했다.
소광비의 계산 결과를 도 18에 도시했다. 비교예 1에서는, 왼쪽눈용 영역(32B)의 소광비가 낮게 되어 버렸다. 이것은, 왼쪽눈용 화소의 영상이 왼쪽눈 뿐만 아니라, 오른쪽눈에도 들어오고 있으며, 오른쪽눈의 영상에 고스트가 생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예 2에서는, 오른쪽눈용 영역(32A)의 소광비가 낮게 되어 버렸다. 이것은, 오른쪽눈용 화소의 영상이 오른쪽눈 뿐만 아니라, 왼쪽눈에도 들어오고 있으며, 왼쪽눈에 고스트가 생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한쪽{片方}의 눈만 강한 고스트가 생겨 버려, 입체 영상의 관찰이 하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한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양쪽 눈 모두 같은 소광비이며, 한쪽의 눈만 강한 고스트가 생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입체 영상의 관찰이 하기 쉬워, 매우 적합하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해서 색도를 계측하고, 평가했다. 편광 안경(2)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파장 분포를 도 19에 도시했다. 이 경우의 색도는, CIE(국제 조명 위원회)의 L*u*v* 표색계{表色系; color system}에서, U=0.1947, v′=0.39060으로 된다. 이에 대해,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색도를 도 20에 도시했다. 이 도면으로부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왼쪽눈과 오른쪽눈에서 색도가 다르고, 색의 보임법{見方}이 달라져 버리는데 대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왼쪽눈이나 오른쪽눈이나 색도가 똑같고, 색의 차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표시 장치, 2…편광 안경, 10…백라이트 유닛, 20…액정 표시 패널, 21A, 21B…편광판, 22, 29…투명 기판, 23…화소 전극, 24, 26…배향막, 25…액정층, 27…공통 전극, 28…컬러 필터, 28A…필터부, 28B…블랙 매트릭스부, 30…위상차 소자, 31…기재 필름, 32′…수지층이 형성된 기재 필름, 32…위상차 층, 32A…오른쪽눈용 영역, 32B…왼쪽눈용 영역, 32C…제3 영역, 40…블랙 스트라이프부, 40A…투과부, 40B…차광부, 41…오른쪽눈용 안경, 42…왼쪽눈용 안경, 41A, 42A…편광판, 41B…오른쪽눈용 위상차 필름, 42B…왼쪽눈용 위상차 필름, 43…UV 경화 수지층, 43D…UV 경화 수지액, 46…액정층, 46D…액정, 110…원반, 11A…반전 패턴, 200, 350…권출 롤, 210…형 롤, 220, 230, 250, 260…가이드 롤, 240…닙 롤, 270, 390…권취 롤, 280, 360…토출기, 290, 380…자외선 조사기, 370…히터, AX1, AX2, AX3, AX5, AX6…지상축, AX4, AX7, AX8…편광축(투과축), L…표시 장치(1)로부터 사출된 광, L1…경계선, L2 …오른쪽눈용 화상광, L3…왼쪽눈용 화상광, θ1, θ2…각도.

Claims (5)

  1. 광학 이방성{異方性}을 가지고, 광 출사측으로 되는 기재{基材; base}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위에 형성되고,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광 입사측으로 되는 위상차 층
    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층은 지상축{遲相軸; slow axis}의 향함{向; direction}이 서로 다른{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을 가지고,
    상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은, 상기 기재 필름의 관찰방향의 반대측 표면 위에, 동등한 폭의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번갈아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각 위상차 영역은 서로 인접하는 위상차 영역의 경계선과 직교 이외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에 지상축을 가지고,
    상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중 한쪽 종류의 위상차 영역의 지상축을 제1 지상축으로 하고, 상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중 다른쪽 종류의 위상차 영역의 지상축을 제2 지상축으로 한 경우에, 해당{當該} 제1 지상축과 해당 제2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과 상기 기재 필름의 지상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경계선과 평행한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에 지상축을 가지고,
    상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은 각각, λ/4의 리타데이션을 가지고,
    상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의 지상축의 향함이 90° 다른,
    위상차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소자.
  3. 화상 신호에 의거해서 구동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표시 패널과의 관계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는 반대측에 설치된 위상차 소자
    를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소자는,
    광학 이방성을 가지고, 광 출사측으로 되는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위에 형성되고,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광 입사측으로 되는 위상차 층
    을 가지고,
    상기 위상차 층은 지상축의 향함이 서로 다른 2종류의 위상차 영역을 가지고,
    상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은, 상기 기재 필름의 관찰방향의 반대측 표면 위에, 동등한 폭의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번갈아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각 위상차 영역은 서로 인접하는 위상차 영역의 경계선과 직교 이외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에 지상축을 가지고,
    상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중 한쪽 종류의 위상차 영역의 지상축을 제1 지상축으로 하고, 상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중 다른쪽 종류의 위상차 영역의 지상축을 제2 지상축으로 한 경우에, 해당 제1 지상축과 해당 제2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과 상기 기재 필름의 지상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경계선과 평행한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에 지상축을 가지며,
    상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은 각각, λ/4의 리타데이션을 가지고,
    상기 2종류의 위상차 영역의 지상축의 향함이 90° 다른,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위상차 소자측의 면에 제1 편광판을 가지고, 상기 위상차 소자와는 반대측의 면에 제2 편광판을 가지며,
    상기 기재 필름의 지상축은, 상기 제1 편광판의 투과축과 평행 혹은 수직인 방향을 향하고 있는 표시 장치.
  5. 제3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KR1020117022923A 2008-10-15 2009-10-14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1342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6314 2008-10-15
JP2008266314A JP4508280B6 (ja) 2008-10-15 位相差素子および表示装置
PCT/JP2009/067770 WO2010044414A1 (ja) 2008-10-15 2009-10-14 位相差素子および表示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630A Division KR101227120B1 (ko) 2008-10-15 2009-10-14 광학 적층체, 위상차 소자를 갖춘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178A true KR20110115178A (ko) 2011-10-20
KR101342661B1 KR101342661B1 (ko) 2013-12-16

Family

ID=4210657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923A KR101342661B1 (ko) 2008-10-15 2009-10-14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20117006630A KR101227120B1 (ko) 2008-10-15 2009-10-14 광학 적층체, 위상차 소자를 갖춘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1020107012619A KR101157576B1 (ko) 2008-10-15 2009-10-14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630A KR101227120B1 (ko) 2008-10-15 2009-10-14 광학 적층체, 위상차 소자를 갖춘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1020107012619A KR101157576B1 (ko) 2008-10-15 2009-10-14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089569B2 (ko)
EP (1) EP2237087B1 (ko)
KR (3) KR101342661B1 (ko)
CN (1) CN101896842B (ko)
BR (1) BRPI0906067A2 (ko)
TW (1) TWI408459B (ko)
WO (1) WO2010044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565A (ko) * 2010-03-31 201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이를 구비한 3d 디스플레이 및 3d 영상 형성 방법
CN102253495B (zh) * 2010-05-18 2013-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双视显示设备和系统
JP5055406B2 (ja) * 2010-06-30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位相差素子および表示装置
US20120200792A1 (en) * 2010-10-06 2012-08-09 Arisawa Mfg. Co., Ltd. Phase shift plate and stereoscopic displa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178811B2 (ja) * 2010-12-10 2013-04-10 株式会社有沢製作所 立体画像表示装置
KR101556817B1 (ko) * 2011-03-23 2015-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2012220853A (ja) * 2011-04-12 2012-11-12 Keiwa Inc メガネ用位相差フィルム、3dメガネ用光学シート及び3dメガネ
JP2012242512A (ja) * 2011-05-17 2012-1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配向層用原版、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長尺状配向膜および長尺位相差フィルム
KR101814777B1 (ko) * 2011-08-05 2018-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472180B1 (ko) * 2011-08-09 2014-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터
WO2013022258A2 (ko) * 2011-08-09 2013-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터
JP5783846B2 (ja) * 2011-08-19 2015-09-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d画像表示用光学フィルム、3d画像表示装置及び3d画像表示システム
US9066090B2 (en) * 2011-09-09 2015-06-23 Lg Display Co., Ltd.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635571B2 (ja) 2011-09-27 2014-12-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パターン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JP6029246B2 (ja) 2011-11-17 2016-11-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光学素子およびこれを含む立体映像表示装置
GB2497619B (en) * 2011-12-15 2016-04-06 Lg Display Co Ltd Polarization glasses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TWI480593B (zh) * 2011-12-15 2015-04-11 Lg Display Co Ltd 偏光眼鏡型立體影像顯示器
CN103163652B (zh) * 2011-12-15 2015-12-16 乐金显示有限公司 偏振眼镜型立体图像显示器
KR20130069306A (ko) * 2011-12-15 2013-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2591069B (zh) 2012-03-27 2014-08-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立体影像显示装置
KR101970526B1 (ko) 2012-04-26 2019-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396085B1 (ko) * 2012-05-02 2014-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7241B1 (ko) 2012-05-23 2019-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편광 필름
KR101455312B1 (ko) * 2012-06-21 2014-10-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536053B (zh) * 2012-06-26 2016-06-01 Far Eastern New Century Corp The method of making the phase difference plate and the prepared phase difference plate and the phase difference plate layer fit
KR101370416B1 (ko) * 2012-07-02 2014-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5526B1 (ko) 2012-09-12 2013-1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US20140078426A1 (en) * 2012-09-19 2014-03-2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Patterned Retarder 3D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866529A (zh) * 2012-09-19 2013-01-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偏光式三维液晶显示器及其制作方法
KR20140070483A (ko)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시 장치
JP6050694B2 (ja) * 2013-01-25 2016-12-21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製造方法および製造支援装置
WO2015008666A1 (ja) 2013-07-19 2015-01-22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6641005B2 (ja) 2016-06-02 2020-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視野角制御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719558B2 (ja) * 2016-06-30 2020-07-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210028407A1 (en) * 2018-03-29 2021-01-28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0787B2 (ja) 1996-12-02 2002-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JPH10160933A (ja) * 1996-12-04 1998-06-19 Sharp Corp 偏光素子、位相差素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H10268233A (ja) 1997-01-22 1998-10-09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
JP3767962B2 (ja) 1997-02-19 2006-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
JPH10239641A (ja) * 1997-02-27 1998-09-11 Sharp Corp 偏光眼鏡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3461680B2 (ja) * 1997-03-13 2003-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GB2331812A (en) 1997-11-26 1999-06-02 Sharp Kk Optical retardation devices
JP2003055477A (ja) * 2001-08-15 2003-02-26 Fuji Photo Film Co Ltd 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フイルム、光学補償シート、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5049865A (ja) 2003-07-17 2005-02-24 Arisawa Mfg Co Ltd 光学位相差素子の製造方法
JP4506333B2 (ja) 2003-07-31 2010-07-21 Dic株式会社 光学異方体の製造方法
JP4591753B2 (ja) 2003-07-31 2010-12-01 Dic株式会社 光学異方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49879B1 (ko) * 2003-08-18 2004-09-22 주식회사 참비전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4027898B2 (ja) 2004-01-29 2007-12-26 株式会社有沢製作所 偏光透過スクリーン、及び当該偏光透過スクリーンを用いた立体画像表示装置
JP4349963B2 (ja) 2004-04-05 2009-10-21 株式会社有沢製作所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5339766A (ja) 2004-04-23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GB0500420D0 (en) * 2005-01-10 2005-02-16 Ocuity Ltd Display apparatus
WO2007024713A2 (en) * 2005-08-19 2007-03-01 Colorlink, Inc. Stereoscopic eyewear
US7808564B2 (en) * 2007-08-09 2010-10-05 Arisawa Mfg. Co., Ltd.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pplying a resin, degassing the resin in a vacuum furnace then laminating an image display section with a retarder
TWI381191B (zh) * 2007-12-03 2013-01-01 Au Optronics Corp 立體顯示器及其製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96842A (zh) 2010-11-24
US8305503B1 (en) 2012-11-06
BRPI0906067A2 (pt) 2015-06-30
KR101342661B1 (ko) 2013-12-16
JP2010096900A (ja) 2010-04-30
EP2237087A1 (en) 2010-10-06
KR101227120B1 (ko) 2013-01-28
TWI408459B (zh) 2013-09-11
JP4508280B2 (ja) 2010-07-21
US20100265433A1 (en) 2010-10-21
US8089569B2 (en) 2012-01-03
EP2237087B1 (en) 2014-05-14
US8223280B2 (en) 2012-07-17
CN101896842B (zh) 2014-06-11
WO2010044414A1 (ja) 2010-04-22
EP2237087A4 (en) 2011-03-23
US20120268435A1 (en) 2012-10-25
KR20100089873A (ko) 2010-08-12
KR20110034048A (ko) 2011-04-04
US20110149208A1 (en) 2011-06-23
TW201027183A (en) 2010-07-16
KR101157576B1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661B1 (ko)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1689780B1 (ko)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JP4645772B1 (ja) 位相差素子用配向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位相差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CN102713726B (zh) 用于光取向膜取向处理的粘性薄膜
JP5524903B2 (ja) パターン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画象表示システム
KR20120002442A (ko)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JP2010169951A (ja)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5915530B2 (ja) 配向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2012179878A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US9164322B2 (en) Display unit
WO2015008850A1 (ja) 光学フィルム、円偏光フィルム、3d画像表示装置
JP2013101262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