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666A -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666A
KR20110098666A KR1020110016943A KR20110016943A KR20110098666A KR 20110098666 A KR20110098666 A KR 20110098666A KR 1020110016943 A KR1020110016943 A KR 1020110016943A KR 20110016943 A KR20110016943 A KR 20110016943A KR 20110098666 A KR20110098666 A KR 2011009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end surface
rectangular plate
glass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019B1 (ko
Inventor
유스께 이마자또
준 오까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판의 깨짐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의 일단부면에 접촉하고, 당해 일단부면으로부터 그의 반대측의 타단부면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유리판의 표면에 꺾음 절단의 기점이 되는 흠집을 넣고, 상기 타단부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표면 및 타단부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는 커터를 구비한 절단기를 사용하여, 유리 기판의 깨짐을 검사하는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터가 유리 기판의 일단부면에 접촉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커터가 유리 기판의 일단부면에 접촉한 시점의 당해 커터의 위치를, 유리 기판의 일단부면의 위치로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유리 기판의 일단부면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한 유리 기판의 일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BREAKAGE IN RECTANGULAR PLATE MATERIAL}
본 발명은, 유리판 등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판 등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절단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신속하게 깨짐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품질 관리상, 유리판 등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단부면의 깨짐을 검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 요구에 따르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투명 기판의 단부면을 촬상하고, 당해 촬상한 화상을 사용하여 투명 기판의 단부면의 결함 등을 검출하는 검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국제 공개 제04/079352호 팸플릿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검사 장치는, 투명 기판의 절단 후에 당해 절단 후의 투명 기판의 단부면을 촬상하고, 당해 촬상한 화상 중의 광의 강도(농도 등)에 기초하여 깨짐 등의 결함을 검출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투명 기판의 단부면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투명 기판의 절단의 완료를 기다려야 하므로, 신속하게 단부면을 검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리판 등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절단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신속하게 깨짐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하고, 당해 일단부면으로부터 그의 반대측의 타단부면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직사각형 판상물의 표면에 꺾음 절단의 기점이 되는 흠집을 넣고, 상기 타단부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표면 및 타단부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는 커터를 구비한 절단기를 사용하여,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을 검사하는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터가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커터가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한 시점의 당해 커터의 위치를,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의 위치로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커터가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한 시점의 당해 커터의 위치를,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의 위치로서 검출하고, 당해 검출한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고, 당해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때문에, 직사각형 판상물의 절단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직사각형 판상물의 절단 도중에 있어서,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 즉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표면에 꺾음 절단의 기점이 되는 흠집을 넣는 동시에, 당해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커터가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한 것으로 깨짐의 검출을 행하기 때문에, 비접촉으로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오판정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상기 표면 및 타단부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커터의 상기 표면 및 단부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된 시점의 당해 커터의 위치를,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타단부면의 위치로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타단부면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타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커터가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표면 및 타단부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된 시점의 당해 커터의 위치를,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타단부면의 위치로서 검출하고, 당해 검출한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타단부면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고, 당해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타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때문에, 직사각형 판상물의 절단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직사각형 판상물의 절단 도중에 있어서, 직사각형 판상물의 타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 즉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표면에 꺾음 절단의 기점이 되는 흠집을 넣는 동시에, 당해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직사각형 판상물이 FPD용 유리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밀도로 단부면의 가공을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하고, 당해 일단부면으로부터 그의 반대측의 타단부면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직사각형 판상물의 표면에 꺾음 절단의 기점이 되는 흠집을 넣고, 상기 타단부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표면 및 타단부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는 커터를 구비한 절단기를 사용하여,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가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커터가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한 시점의 당해 커터의 위치를,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의 위치로서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구성의 절단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공정에서의 처리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신뢰성이 높은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 판상물의 꺾음 절단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데, 형상 품위나 단부면 품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전자 디바이스용의 유리판의 제조에 적합하다. 특히, FPD용 유리 기판의 제조에 적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판 등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절단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신속하게 깨짐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유리판의 깨짐 검사 방법에 사용되는 유리 절단기(10)에 사용되는 유리 커터부의 동작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유리판의 깨짐 검사 방법에 사용되는 유리 절단기(10)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유리판의 제조 공정(절단 이후의 후공정)의 설명도.
도 4는 유리판(20)의 깨짐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유리판의 깨짐 검사 방법에 사용되는 유리 절단기(10)에 사용되는 유리 커터부의 움직임(변형예)의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의 깨짐 검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유리판의 깨짐 검사 방법에 사용되는 유리 절단기(10)에 사용되는 유리 커터부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유리판의 깨짐 검사 방법에 사용되는 유리 절단기(10)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유리판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의 설명도이다.
[유리 절단기의 개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의 유리판(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용의 유리판,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용의 유리판, 유기 EL 디스플레이 혹은 유기 EL 평면 광원용의 유리판)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두께로 제조된 유리판을 소정 크기로 꺾음 절단하는 꺾음 절단 공정(T1), 당해 꺾음 절단 후의 유리판의 단부면에 대하여, 연삭 지석이나 연마 지석을 사용하여 모따기 가공을 실시하는 모따기 공정(T2), 당해 모따기 가공 후의 유리판에 대하여, 세정·건조를 행하는 세정·건조 공정(T3), 당해 세정·건조 후의 유리판의 외형 형상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T4) 등을 거쳐 제조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절단기(10)는, 커터(12b)가 구비된 장치이다. 커터(12b)는,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20)의 일단부면(예를 들어 20a)에 접촉하여, 당해 일단부면(예를 들어 20a)으로부터 그의 반대측의 타단부면(예를 들어 20b)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당해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20)의 표면에 절단의 기점이 되는 흠집을 넣기 위한 장치이다. 꺾음 절단 공정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20)은, 직사각형의 유리판(예를 들어 길이 수m×폭 수m×두께 수mm 정도)이며, 공지의 반송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송되어, 유리 절단기(10)의 테이블(도시하지 않음) 상에 위치 결정되어 적재된다.
유리 절단기(10)는, 커터(12b)를 사용하여, 당해 테이블 상에 위치 결정 적재된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20)의 표면에 절단의 기점이 되는 흠집을 넣는다. 또한, 그와 동시에, 당해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20)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유리 절단기의 구성]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의 유리 절단기(10)는, 유리판(20)의 4변에 대응하여 4개의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 4개의 커터 구동 기구(14X1 내지 14Y2), 제어 장치(16), 기억 장치(1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는 각각 커터 블록(12a), 당해 커터 블록(12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커터(12b)(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칩), 당해 커터(12b)가 유리판(20)의 단부면(예를 들어 20a)에 접촉하거나 하여 커터 블록(12a)에 대하여 소정량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에 통전하고, 당해 접촉이 해제되어 커터(12b)가 커터 블록(12a)에 대하여 원상태로 복귀한 경우에 비통전으로 되는 접촉 센서로서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
유리 커터부(12X1, 12X2)는 각각, 예를 들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유리 커터부(12Y1, 12Y2)는, 예를 들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터 구동 기구(14X1, 14X2)는 각각 유리 커터부(12X1, 12X2)를 X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따라 X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예를 들어, 유리 커터부(12X1, 12X2)에 연결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 당해 볼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는 서보 기구이다. 마찬가지로, 커터 구동 기구(14Y1, 14Y2)는 각각 유리 커터부(12Y1, 12Y2)를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Y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예를 들어, 유리 커터부(12Y1, 12Y2)에 연결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 당해 볼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는 서보 기구이다.
제어 장치(16)는, MPU나 CPU 등의 연산·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당해 연산·제어 수단이 기억 장치(18)에 읽어 들여진 소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가 원점 위치부터 명령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서보 모터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등으로서 기능한다.
기억 장치(18)는, RAM 등의 기억 장치이며,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예를 들어, 깨짐이 없는 정상적인 유리판의 단부면의 위치±수 ㎜의 범위)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유리판의 깨짐 검사 방법]
이어서, 상기의 유리 절단기(10)를 사용하여, 유리판의 깨짐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당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주로 제어 장치(16)가, 기억 장치(18)에 읽어 들여진 소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의 처리에 있어서는,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20)이 유리 절단기(10)의 테이블(도시하지 않음) 상에 위치 결정되어 적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어 장치(12)는,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의 커터(12b))가 원점 위치부터 명령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각 서보 모터를 제어한다(단계 S10).
각 서보 모터는, 제어 장치(16)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여, 볼 나사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유리 커터부(12X1, 12X2)는 원점 위치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X 방향(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유리 커터부(12Y1, 12Y2)는, 원점 위치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Y 방향(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도 1 참조).
유리 커터부(12X1, 12X2)는, 이어서 각각의 커터(12b)가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20b)에 접촉하여, 유리판(20) 표면에 올라앉은 형태로 된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유리 커터부(12X1, 12X2) 각각의 커터(12b)가 커터 블록(12a)에 대하여 소정량 상방으로 이동하고, 접촉 센서로서의 스위치가 통전한다.
마찬가지로, 유리 커터부(12Y1, 12Y2)는, 이어서 각각의 커터(12b)가 유리판(20)의 단부면(20c, 20d)에 접촉하여, 유리판(20) 표면에 올라앉은 형태로 된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유리 커터부(12Y1, 12Y2) 각각의 커터(12b)가 커터 블록(12a)에 대하여 소정량 상방으로 이동하고, 접촉 센서로서의 스위치가 통전한다.
제어 장치(16)는, 접촉 센서로서의 스위치 각각의 통전 상태를 체크함으로써(단계 S12),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 각각의 커터(12)가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내지 20d)에 접촉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제어 장치(16)는, 당해 스위치의 통전을 검출한 경우에는(단계 S14: "예"의 방향으로의 분기), 즉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 각각의 커터(12)가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내지 20d)에 접촉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당해 통전한 시점의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 각각의 커터(12b)의 위치(당해 위치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16)로부터 취득한다)를,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내지 20d)의 위치로서 검출한다(단계 S16).
그리고 제어 장치(16)는,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내지 20d)의 위치 각각과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예를 들어, 기억 장치(18)에 미리 저장된 깨짐이 없는 정상적인 유리판의 단부면의 위치±수 ㎜의 범위)를 비교함으로써, 유리판(20)의 깨짐 판정을 행한다(단계 S18).
즉, 제어 장치(16)는,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내지 20d)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 밖이면,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내지 20d)에 깨짐이 존재한다고 판정하여(단계 S18: "아니오"의 방향으로의 분기), 알람 등을 표시함으로써 그 취지를 통지한다(단계 S30).
한편, 제어 장치(16)는,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내지 20d)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 내이면,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내지 20d)에 깨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여(단계 S18: "예"의 방향으로의 분기),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가 명령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각 서보 모터를 제어한다(단계 S20).
각 서보 모터는, 제어 장치(16)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여, 볼 나사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유리 커터부(12X1, 12X2)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X 방향(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유리 커터부(12Y1, 12Y2)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Y 방향(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도 1 참조).
유리 커터부(12X1, 12X2)는, 유리판(20) 표면에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흠집을 넣으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어서 각각의 커터(12b)가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b, 20a)에 도달하여, 유리판(20) 표면 및 단부면(20b, 20a)에 대한 접촉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유리 커터부(12X1, 12X2) 각각의 커터(12b)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즉 각각의 커터(12b)가 커터 블록(12a)에 대하여 소정량 하방으로 이동하여), 접촉 센서로서의 스위치가 비통전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유리 커터부(12Y1, 12Y2)는, 유리판(20) 표면에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흠집을 넣으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어서 각각의 커터(12b)가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d, 20e)에 도달하여, 유리판(20) 표면 및 단부면(20d, 20e)에 대한 접촉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유리 커터부(12Y1, 12Y2) 각각의 커터(12b)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즉 각각의 커터(12b)가 커터 블록(12a)에 대하여 소정량 하방으로 이동하여), 접촉 센서로서의 스위치가 비통전으로 된다.
제어 장치(16)는, 접촉 센서로서의 스위치 각각의 통전 상태를 체크함으로써(단계 S22),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 각각의 커터(12)의 유리판(20)의 표면 및 타단부면(20a 내지 20d)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제어 장치(16)는, 당해 스위치의 비통전을 검출한 경우에는(단계 S24: "예"의 방향으로의 분기), 즉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 각각의 커터(12)의 유리판(20)의 표면 및 타단부면(20a 내지 20d)에 대한 접촉이 해제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당해 비통전으로 된 시점의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 각각의 커터(12b)의 위치(당해 위치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16)로부터 취득한다)를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a 내지 20d)의 위치로서 검출한다(단계 S26).
그리고 제어 장치(16)는,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a 내지 20d)의 위치 각각과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예를 들어, 기억 장치(18)에 미리 저장된 깨짐이 없는 정상적인 유리판의 단부면의 위치±수 ㎜의 범위)를 비교함으로써, 유리판(20)의 깨짐 판정을 행한다(단계 S28).
즉, 제어 장치(16)는,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a 내지 20d)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 밖이면,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a 내지 20d)에 깨짐이 존재한다고 판정하여(단계 S28: "아니오"의 방향으로의 분기), 알람 등을 표시함으로써 그 취지를 통지한다(단계 S30).
한편, 제어 장치(16)는,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a 내지 20d)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 내이면,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a 내지 20d)에 깨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단계 S28: "예"의 방향으로의 분기),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절단기(10)는, 커터(12b)를 사용하여,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20)의 표면에 꺾음 절단의 기점이 되는 흠집을 넣는 동시에, 당해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20)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커터(12b)가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인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등에 접촉한 시점의 당해 커터(12b)의 위치를,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등의 위치로서 검출하고,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등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고(단계 S18), 당해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등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단계 S18) 때문에, 유리판(20)의 절단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유리판(20)의 절단 도중에 있어서, 당해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등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커터(12)가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20)의 일단부면(20a) 등에 접촉한 것으로 깨짐의 검출을 행하기 때문에, 비접촉으로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오판정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커터(12b)가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인 유리판(20)의 표면 및 타단부면(20b) 등에 대한 접촉이 해제된 시점의 당해 커터(12b)의 위치를,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b) 등의 위치로서 검출하고, 당해 검출한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b) 등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고, 당해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b) 등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단계 S28) 때문에, 유리판(20)의 절단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유리판(20)의 절단 도중에 있어서, 당해 유리판(20)의 타단부면(20b) 등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꺾음 절단 대상의 유리판(20)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의 유리판인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의 유리판 또는 수지판 등의 모든 직사각형 판상물을, 꺾음 절단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리 커터부(12X1, 12X2)(유리 커터부(12Y1, 12Y2)도 마찬가지) 각각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리 커터부(12X1, 12X2)(유리 커터부(12Y1, 12Y2)도 마찬가지) 각각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유리 커터부(12X1 내지 12Y2) 각각을 설치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 내지 3개 또는 5개 이상의 유리 커터부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의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의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10 : 유리 절단기
12X1 내지 12Y2 : 유리 커터부
14X1 내지 14Y2 : 커터 구동 기구
16 : 제어 장치
18 : 기억 장치
20 : 유리 기판

Claims (3)

  1.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하고, 당해 일단부면으로부터 그의 반대측의 타단부면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직사각형 판상물의 표면에 꺾음 절단의 기점이 되는 흠집을 넣고, 상기 타단부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표면 및 타단부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는 커터를 구비한 절단기를 사용하여,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을 검사하는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터가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커터가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한 시점의 당해 커터의 위치를,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의 위치로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 검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상기 표면 및 타단부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커터의 상기 표면 및 타단부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된 시점의 당해 커터의 위치를,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타단부면의 위치로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타단부면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타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 검사 방법.
  3.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하고, 당해 일단부면으로부터 그의 반대측의 타단부면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직사각형 판상물의 표면에 꺾음 절단의 기점이 되는 흠집을 넣고, 상기 타단부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표면 및 타단부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는 커터를 구비한 절단기를 사용하여,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가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커터가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접촉한 시점의 당해 커터의 위치를,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의 위치로서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의 위치와 미리 정해진 설정 범위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한 상기 꺾음 절단 대상의 직사각형 판상물의 일단부면에 깨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 검사 장치.
KR1020110016943A 2010-02-26 2011-02-25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KR101800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2749 2010-02-26
JP2010042749A JP5418983B2 (ja) 2010-02-26 2010-02-26 矩形板状物の割れ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666A true KR20110098666A (ko) 2011-09-01
KR101800019B1 KR101800019B1 (ko) 2017-11-21

Family

ID=4460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943A KR101800019B1 (ko) 2010-02-26 2011-02-25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18983B2 (ko)
KR (1) KR101800019B1 (ko)
CN (1) CN102192972B (ko)
TW (1) TWI4970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6291B2 (ja) * 2011-03-04 2015-03-18 旭硝子株式会社 矩形板状物の切断装置及び製造方法
JP6706423B2 (ja) * 2016-12-26 2020-06-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の破損検出方法、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の切断装置
CN113889013B (zh) * 2021-11-17 2024-05-17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面板裂纹检测电路、方法、显示模组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8710A (ja) * 1982-05-13 1983-11-18 Nippon Sheet Glass Co Ltd 自動型検査装置
JPS63150649A (ja) * 1986-12-15 1988-06-23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海苔検査装置
JPH09156940A (ja) * 1995-12-01 1997-06-17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製造装置の板割れ検出機
AUPO023596A0 (en) * 1996-05-31 1996-06-27 University Of Queensland, The Detection of defects in glass
JPH11160006A (ja) * 1997-11-28 1999-06-18 Takasago Ind Co Ltd 陶磁製タイルの自動検査装置
JP2000018901A (ja) * 1998-07-03 2000-01-21 Fukuyama Tekkosho:Kk ガラス板通過位置センサー
JP3595226B2 (ja) 1999-11-25 2004-12-0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エッジ欠陥検出方法及び同検出装置
JP2002005923A (ja) * 2000-06-27 2002-01-09 Nippon Kayaku Wasser 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4599507B2 (ja) * 2000-08-23 2010-12-15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形状測定方法及び形状測定装置
KR100535569B1 (ko) * 2003-05-31 2005-12-08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유리 기판에 존재하는 결함의 깊이방향 위치 검출방법
JP4176622B2 (ja) * 2003-11-21 2008-11-0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板状ガラスの欠陥検出方法及び欠陥検出装置
JP2006300663A (ja) * 2005-04-19 2006-11-02 Asahi Glass Co Ltd 欠点検出システム
JP2009202911A (ja) * 2008-02-28 2009-09-10 Sato Knowledge & Intellectual Property Institute ラベル検出装置
JP5333816B2 (ja) * 2008-03-26 2013-11-06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切線加工装置及び切線加工方法
JP2009263200A (ja) * 2008-04-28 2009-11-12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脆性材料スクライブ装置及び脆性材料スクライブ方法
CN201397292Y (zh) * 2009-05-08 2010-02-03 合肥星辰电线电缆股份有限公司 漆包线表面质量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79890A (ja) 2011-09-15
KR101800019B1 (ko) 2017-11-21
JP5418983B2 (ja) 2014-02-19
CN102192972A (zh) 2011-09-21
TW201135212A (en) 2011-10-16
CN102192972B (zh) 2015-01-28
TWI497050B (zh)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454B1 (ko) 광학 검사용 장치
TWI486578B (zh) Plate glass inspection unit and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044788B1 (ko) 글라스 기판 검사 장치
KR101374529B1 (ko) 프로브 장치 및 프로브 장치의 프로브 카드 장착 방법
KR100898208B1 (ko) 유리기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US20160238372A1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ive edges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other objects using multiple sensors
KR100927956B1 (ko) 유리기판의 파단 검사장치
KR20110098666A (ko) 직사각형 판상물의 깨짐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TW201140043A (en) End face inspection method for light-pervious rectangular sheets and end face inspection apparatus
JP6193028B2 (ja) 検査装置
WO2012153718A1 (ja) ガラスシートの端面検査方法、及びガラスシートの端面検査装置
KR101730039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에지 검사장치 및 방법
JP5470456B2 (ja) 点灯検査装置
KR101516642B1 (ko) 투헤드 타입 재료 두께측정 및 fpcb 이중가접 검사장치와 검사방법
WO2009131270A1 (en) Substrate quality tester
KR101310808B1 (ko) 글라스 절단 시스템 및 스크라이빙 위치 촬상 또는 측정방법
KR101452781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가공 면취 절단면 검사 방법
KR20180016757A (ko) 광학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1219285B1 (ko) 기판 검사방법 및 장치
JP6880696B2 (ja) 停止装置及び、基板検査装置
JP7336308B2 (ja) シート体の検査装置
KR102657517B1 (ko) 기판 표면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284046B1 (ko) 이미지 트래킹을 이용한 기판 불량 검사 시스템
CN109253923B (zh) 一种端面强度检测装置与方法
JP6875243B2 (ja) 板状体の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