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657A -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657A
KR20110098657A KR1020110016551A KR20110016551A KR20110098657A KR 20110098657 A KR20110098657 A KR 20110098657A KR 1020110016551 A KR1020110016551 A KR 1020110016551A KR 20110016551 A KR20110016551 A KR 20110016551A KR 20110098657 A KR20110098657 A KR 20110098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ase
holding
cas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940B1 (ko
Inventor
다케히코 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09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78Quick-disconnect two-parts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oys (AREA)

Abstract

(과제) 유지장치를 보다 간이화한다.
(해결수단) 케이스(1)와, 물품용 배치부(20) 및 일단측의 고정 협지부(24)를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2)와, 고정 협지부(24)와의 사이에 물품(K)을 착탈 가능하게 협지하는 가동 협지부(41)를 형성하고 있는 슬라이더(4)와, 탄지부재(S1)를 구비하고 있는 유지장치로서, 베이스(2)는 케이스(1)에 대해서 고정 협지부(24)가 돌출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 표면에 의해서 케이스(1)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수납상태와 고정 협지부(24)가 돌출되어 있는 측을 케이스(1)의 개구부에서 노출시키는 사용상태로 회전 지지부를 통해서 반전 전환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베이스(2)와 슬라이더(4)의 사이에 형성되며, 슬라이더(4)를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임의의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걸어 걸정하는 위치규제수단(A)과, 베이스(2)와 케이스(1)의 사이에 형성되며, 슬라이더(4)가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에 연동하여 베이스(2)를 케이스(1)에 대해서 각도 변경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정수단(B)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유지장치{HOLDING DEVICE}
본 발명은 특히 휴대 전화기나 게임기, 음악 플레이어의 휴대 기기 또는 이것과 유사한 물품을 차량의 실내 등에서 사용하거나 일시적으로 유지하여 둘 경우에 최적한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유지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품을 배치하는 베이스(기부)와, 베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슬라이드부재 또는 유지부재)와, 슬라이더를 탄지하는 탄지부재를 적어도 구비하고, 협지폭(挾持幅)을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를 통해서 가변시킴으로써 폭 치수가 상이한 물품이라 하더라도 유지 가능하게 한 것이 많다. 즉, 특허문헌 1의 유지구조는 좌우 슬라이더가 서로 대향하는 협지부를 가지고서 베이스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은 슬라이더를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조작함에 의해서 양 협지부의 사이에 끼워서 유지{이하에서는 "끼워서 유지하는 것"을 설명의 편이상 간단히 "협지(挾持)"라고도 한다}하게 된다.
특허문헌 2의 유지구조는 좌우 슬라이더가 서로 대향하는 협지부를 가지고서 베이스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기어와, 상기 기어에 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조작용 버튼과, 상기 조작용 버튼을 상기 기어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를 가지며 좌우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조정 후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걸림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비사용시에는 슬라이더가 탄지력에 의해서 그 협지폭이 가장 넓게 되도록 확대되며, 걸림수단에 의해서 그 상태가 유지된다. 물품은 양 협지부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양 슬라이더를 탄지력에 저항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에 의해서 유지되게 된다. 양 슬라이더는 상기 걸림수단에 의해서 슬라이드 조정 후의 위치에 유지된다. 또, 물품의 유지를 해방시키기 위해서 상기 조작용 버튼을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르면, 상기 기어에 대한 걸어맞춤이 해제됨으로써 양 슬라이더가 탄지력에 의해서 협지폭을 가장 넓게 확대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된다.
그런데, 상기한 각 유지장치는 차량의 실내벽 등에 대해서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서 부착되기 때문에, 비사용시에 있어서 안전성을 해치거나 방해가 된다. 그 대책으로서는 특허문헌 3의 수용장치와 같이 인출식 슬라이더부재와, 슬라이더부재에 조립되며 물품을 유지하는 홀더부재와, 홀더부재의 자세를 제어하는 서포트부재를 구비하고, 홀더부재가 서포트부재를 통해서 슬라이드부재를 인출할 때에 세워지고, 밀어넣는 과정에서 쓰러지도록 한 구조도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4108987호 공보 특허문헌 2 : 독일 특허 제1954272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개 2009-214724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유지구조에서는 간이한 타입이지만 물품을 유지하는 협지력이 탄지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탄지력을 약하게 설정하면 협지력이 부족하게 되고, 반대로 탄지력을 크게 하면 유지 조작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특허문헌 2의 유지구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물품을 베이스에 배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물품을 협지함과 아울러 그 상태를 걸림수단에 의해서 유지하고, 또한 물품에 대한 유지를 조작용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해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지구조에 있어서, 걸림수단은 상기 조작용 버튼을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르지 않는 한 기어와 조작용 버튼에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항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를 그 협지폭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과정에서 기어가 조작용 버튼의 걸어맞춤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것에 기인하여 '딸까닥 딸까닥'하는 맞부딪히는 소음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고급감이 손상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인식하고, 먼저 일본국 특허출원 2009-116258에 기재된 구성을 고안하여 출원하였고, 또 인출구조 내지는 수용구조로서 내측 공간을 억제하거나 간이화에 유리한 구성으로 하여 일본국 특개 2009-274145에 기재된 구성을 고안하여 출원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선출원들의 이점에 부가하여 보다 간이하고, 수용구조를 채용한 경우에도 안길이 치수를 크게 취하는 일이 없는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기구의 부가에 의해서 대상 물품을 보기 쉬운 각도로 미세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를 참고로 하여 특정하면, 수납용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에 배치되며, 물품용 배치부(20) 및 상기 배치부(20)의 일단측에 형성된 고정 협지부(24)를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 협지부(24)와의 사이에 물품(K)을 착탈 가능하게 협지하는 가동 협지부(41)를 형성하고 있는 슬라이더(4)와; 상기 슬라이더(4)를 탄지하는 탄지부재(S1);를 구비하고 있는 유지장치로서, 상기 베이스(2)는 상기 케이스(1)에 대해서 상기 고정 협지부(24)가 돌출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 표면{즉, 커버(3)}에 의해서 케이스(1)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수납상태와 상기 고정 협지부(24)가 돌출되어 있는 측을 케이스(1)의 개구부에서 노출시키는 사용상태로 회전 지지부{일측 축구멍(10)과 축부(25a) 및 타측 축구멍(10)과 축부(25b)}를 통해서 반전 전환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2)와 상기 슬라이더(4)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4)를 상기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임의의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위치규제수단(A)과, 상기 베이스(2)와 상기 케이스(1)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4)가 상기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2)를 상기 케이스(1)에 대해서 각도 변경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정수단(B)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5에서 특정한 바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 상기 각도조정수단(B)은, 상기 슬라이더(4)에 작동 연결되며, 슬라이더(4)가 초기위치에서 상기 탄지수단(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2)의 대응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상태로 되는 제 1 로크부재(7)와; 상기 케이스(1)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2)의 사용상태에서 상기 제 1 로크부재(7)와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로크부재(7)의 돌출상태에서 제 1 로크부재(7)와 걸어 맞춰지되 상기 베이스(2)의 각도 조정 후의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제 2 로크부재(8);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나) 이상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제 1 로크부재(7)는 기단측에 형성된 돌기(7a)와 선단측에 형성된 돌조(7b)를 가지며, 상기 돌기(7a)를 상기 슬라이더(4)에 형성된 긴 홈(42)에 끼워 맞추고, 상기 제 2 로크부재(8)는 상기 케이스(1)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톱니부(8a)를 가지며, 상기 돌조(7b)를 상기 톱니부(8a)에 간헐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청구항 3).
(다) 상기 위치규제수단(A)은 상기 슬라이더(4)에 형성된 래크부(45)와; 상기 래크부(45)와 맞물리는 제 1 기어(65)와, 상기 제 1 기어(65)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제 1 기어(65)를 공전시키는 클러치 차단상태로 되고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클러치 접속상태로 되어 상기 제 1 기어(65)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 2 기어(60)를 가지는 원 웨이 클러치(6)와; 상기 베이스(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기어(60){의 외측기어(62)}와 걸어 맞춰지는 방향으로 탄지된 통상 상태에서 탄지력에 저항한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하는 조작버튼(5);을 가진 가진 구성이다(청구항 4).
(라) 이상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원 웨이 클러치(6)는 상기 슬라이더(4)가 상기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될 때에 상기 클러치 차단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슬라이더(4)가 상기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의해서 슬라이드될 때에 상기 클러치 접속상태로 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조작버튼(5)은 상기 클러치 접속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어(60)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4)를 상기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위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청구항 5).
(마) 상기 베이스(2)는 상기 회전 지지부{일측 축구멍(10)과 축부(25a) 및 타측 축구멍(10)과 축부(25b)}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1)의 원호면을 따라서 180°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수납상태 및 사용상태의 쌍방을 안정하게 위치시키는 반전 스프링(S3)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6).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베이스를 케이스에 대해서 회전 지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전환하는 반전 전환구성에 의해서 특허문헌 3과 같은 인출구성에 비해 사용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케이스의 안길이를 억제하기 쉽기 때문에, 배치개소의 내측 공간이 제약되는 경우에 최적하게 된다. 또, 물품유지조작은 베이스의 사용상태에서 물품을 베이스의 배치부에 놓은 후, 슬라이더를 탄지력에 저항하여 협지폭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위치규제수단에 의해서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후의 위치(물품유지위치)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물품을 고정 협지부와 가동 협지부의 사이에 협지할 수 있는 점에서, 또 슬라이더가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위치로 슬라이드되는 점에서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물품유지자세로서는 베이스가 각도조정수단에 의해서 물품을 유지한 각도, 즉 유지자세를 간단하게 또한 최선의 자세로 조정할 수 있다. 각도조정수단은 슬라이더를 초기위치에서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유효하게 되기 때문에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소음을 일으키는 요인이 발생하기 어렵게 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각도조정수단이 베이스 측에 배치되는 제 1 로크부재와 케이스 측에 배치되며 제 1 로크부재와 걸어 맞춰지되 베이스의 각도 조정 후의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제 2 로크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명한 각도변경조작을 실현할 수 있고,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제 1 로크부재가 돌기와 긴 홈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슬라이더에 작동 연결되기 때문에, 또 제 1 로크부재의 돌조가 제 2 로크부재의 톱니부에 간헐적으로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각도 조정동작의 확실성이 얻어짐과 아울러 구성을 간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위치규제수단, 즉 슬라이더를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임의의 위치에 걸어 고정하거나 이 걸림상태를 누름조작에 의해서 해제하는 구성으로서, 슬라이더에 형성된 래크부, 제 1 기어 및 이 제 1 기어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클러치 차단상태로 되고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클러치 접촉상태로 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 2 기어를 가지는 원 웨이 클러치, 통상 상태에서 제 2 기어와 걸어 맞춰지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조작버튼에 의해서 신뢰성이 높은 걸림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특히 원 웨이 클러치로서는 슬라이더가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될 때에 클러치 차단상태로 전환되고, 슬라이더가 탄지력에 의해서 슬라이드될 때에 클러치 접속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또 조작버튼이 클러치 접속상태에서 제 2 기어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슬라이더를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위치로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걸림동작의 확실성이 얻어짐과 아울러 구성을 간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베이스를 180°반전하여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전환할 때에 반전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서 반전 전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함과 아울러 각 상태에서의 요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지장치를 분해하여 일방향에서 본 개략 구성도
도 2는 상기 유지장치의 분해상태를 도 1의 반대방향에서 본 개략 구성도
도 3은 상기 유지장치의 외관도로서, (a)는 케이스에 대한 베이스(유지구)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베이스(유지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도 3(a)의 수납상태에서의 종단면도(좌우 대략 중간에서 단면한 도면) 및 측면도, 도 4(b)는 도 3(b)의 사용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상기 유지장치의 외관도로서, (a)는 사용상태에서 물품을 협지하는 조작 도중을 나타내는 도면, (b)는 베이스를 각도 변경하는 조작 요령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도 5(a)를 거쳐서 물품을 협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6(b)는 도 5(b)를 거쳐서 베이스를 각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7(a)와 도 7(b)는 도 4(b)의 사용상태에서 도 5(a)의 물품을 협지하는 조작시에 있어서의 작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협지과정에서의 작동도
도 8(a)와 도 8(b)는 상기 유지장치의 위치규제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원 웨이 클러치를 나타내는 직경방향의 모식 단면도와 수평방향의 모식 단면도
도 9(a)와 도 9(b)는 상기 위치규제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도 10은 상기 유지장치의 각도조정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도 5(a)의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및 측면도, (b)는 도 5(b)의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및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장치의 구조를 명확하게 한 후, 작동 특징에 대해서 언급한다.
(장치의 구조)
본 실시형태의 유지장치는 물품(K)을 협지하는 유지구(9)와 상기 유지구(9)를 세로방향으로 대략 180°반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납용 케이스(1)로 이루어진다. 이것들 중, 케이스(1)는 유지구(9)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반전 스프링(S3) 및 크랭크 암(1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구(9)는 대략 L자형의 배치부(20) 및 배치부(20)의 배면에 조립되는 커버(3)로 이루어지는 베이스(2)와; 베이스(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4)와; 슬라이더(4)의 슬라이드에 의해서 탄지력이 축적되거나 축적된 탄지력에 의해서 슬라이더(4)를 슬라이드시키는 탄지부재(S1)와; 베이스(2)와 슬라이더(4)의 사이에 형성되며, 슬라이더(4)를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임의의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위치규제수단(A)과; 베이스(2)와 케이스(1)의 사이에 형성되며, 슬라이더(4)가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에 연동하여 베이스(2)를 케이스(1)에 대해서 각도 변경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정수단(B);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위치규제수단(A)은 슬라이더(4)에 형성된 래크부(45)와; 래크부(45)에 작동 연결되는 원 웨이 클러치(6)와; 원 웨이 클러치(6)의 클러치 접속상태에서 슬라이더(4)를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조작버튼(5);으로 이루어진다.
각도조정수단(B)은 슬라이더(4)에 작동 연결되어 있는 제 1 로크부재(7)와; 케이스(1)에 유지되며, 제 1 로크부재(7)와 해제 가능하게 걸어 맞춰짐과 아울러 걸어맞춤상태에서 베이스(2)의 각도 조정 후의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제 2 로크부재(8);로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스(1), 베이스(2), 커버(3), 슬라이더(4), 조작버튼(5)은 모두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데, 수지 이외의 것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하, 각 부재의 구조를 조립 요령과 함께 명확하게 한다.
케이스(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이 개구된 반 원반형상 내지는 돔형상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1)는 상벽 외측에 있어서 개구측 좌우 중간에 형성된 박스부(11) 및 개구측 좌우단에 내부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상측 걸어맞춤구멍(12)과, 하벽 내측에 있어서 상기 좌우단의 상측 걸어맞춤구멍(12)의 직하(내측 직하)에 형성된 하측 걸어맞춤구멍(13)과, 양 측벽 외측에 있어서 개구측 상하 중간에 관통된 축구멍(10) 및 개구측 상하부에 돌출형성된 부착부(14)를 가지고 있다.
도면부호 15는 반전 스프링(S3)의 일단이 걸려 고정되는 축부이다. 도면부호 16a와 16b는 반전 스프링(S3)를 안정하게 지지하는 리브이다. 도면부호 17은 베이스(2)의 축부(25b)를 축구멍(10)에 배치되는 크랭크 암(18)을 통해서 축지지하는 나사부재이다. 상기 크랭크 암(18)은 축구멍(10)에 삽입되는 원통부(18a)와 반전 스프링(S3)의 타단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18b)를 형성하고 있다.
박스부(11)는 도 4 및 도 10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 및 하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면에 관통된 부착구멍(11a)을 형성하고 있다. 내부공간에는 각도조정수단(B)을 구성하고 있는 제 2 로크부재(8)가 스프링 부재(S4)와 함께 조립된다. 즉, 제 2 로크부재(8)는 후술하는 제 1 로크부재(7)와 함께 각도조정수단(B)을 구성하고 있으며,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톱니부(8a)와, 상면측에 형성된 오목부(8b)와, 오목부(8b)의 중앙부에 돌출형성되며 그 중심에 암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축부(8c)를 가지고 있다.
또한, 톱니부(8a)는 케이스(1)의 전방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 톱니로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로크부재(8)의 하단면에 있어서 폭방향의 중간을 오목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도 4 및 도 10의 각 단면도에서는 이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의 오목형상부를 생략하고, 톱니부(8a)가 제 2 로크부재(8)의 하단면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서 작도하였다. 이것에 대응하여 제 1 로크부재(7)의 돌조(7b)의 형상도 모식화하였다.
그리고, 제 2 로크부재(8)는 예를 들면 오목부(8b)에 스프링 부재(코일 스프링)(S4)의 하단을 배치한 상태로 박스부(11)에 대해서 축부(8c)를 부착구멍(11a)에 끼워 맞춘 후, 와셔(W)를 개재한 나사(10)를 직상에서 축부(8c)의 암나사 구멍에 나사결합함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제 2 로크부재(8)는 슬라이더(4)가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되지 않는 한 도 4b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로크부재(7)와 떨어져 있으며, 슬라이더(4)가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에 연동한 제 1 로크부재(7)의 상승 이동에 의해서 도 10(a)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로크부재(7)와 탄성적으로 걸어 맞춰진다. 또, 제 2 로크부재(8)는 도 10(b)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유지구(9)}의 각도 변경시에 스프링 부재(S4)의 탄지력에 저항한 약간의 상승 이동을 수반하면서 제 1 로크부재(7)와 걸어 맞춰지는 톱니를 변경함으로써 베이스(2)를 각도 변경 후의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유지 가능하게 한다.
유지구(9)를 구성하고 있는 베이스(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부가 되는 물품용 배치부(20)와, 유지구(9)의 수납상태에서 배치부(20)의 상측 가장자리부{사용상태에서는 배치부(20)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돌출되어 있는 하측 받이부(23)와, 배치부(20)의 일측부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 협지부(24)와, 양 측부에 있어서 상하 대략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큰 직경의 축부(25a) 및 작은 직경의 축부(25b)를 가지고 있다.
또, 배치부(20)의 배면에는 상하 중간보다 약간 하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더(4)가 배치되는 슬라이더용 구획부(21)와, 슬라이더용 구획부(21)의 하측에 형성되며 탄지부재(S1)가 배치되는 탄지부재용 구획부(21a)와, 슬라이더용 구획부(21)의 일부가 전후 관통되도록 절결된 창부(21b)와, 슬라이더용 구획부(21)보다 일단(一段) 상측에 형성되며 조작버튼(5)이 배치되는 조작버튼용 구획부(22)와, 탄지부재용 구획부(21a)의 외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조작용 오목부(21c){도 5(b) 참조}와, 배면의 4개의 코너부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커버용 위치결정돌기(26)와, 상측의 커버용 위치결정돌기(26)들의 사이와 하측의 커버용 위치결정돌기(26)들의 사이 및 양 측부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걸어맞춤구멍(26a)과, 하측 받이부(23)측의 좌우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편부(27)와, 탄지부재용 구획부(21a)를 구획하고 있는 외벽에 돌출형성되며 제 1 로크부재(7)를 안내하는 오목형상의 안내부(28)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배치부(20)에 있어서 물품(K)과 맞닿는 배치면에는 창부(21b)를 사이에 두둔 상하부분에 2장의 쿠션재(C1)가 접착된다. 고정 협지부(24)에 있어서 물품(K)의 측부와 맞닿는 내면에는 쿠션재(C2)가 접착된다. 쿠션재(C1,C2)는 두꺼운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며, 양면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조작버튼용 구획부(22)는 상기 창부(21b)가 형성되어 있는 측이 세로벽(22a)에 의해서 칸막이되어 있고, 그 반대측이 외부와 연이어 통하도록 벽이 없는 상태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중앙부에 돌출형성되며 원 웨이 클러치(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29)를 가지고 있다.
한편, 커버(3)는 의장면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손잡이부(30)와, 배면측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용 구획부(21)와 대응한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용 구획부(32) 및 상기 안내부(28)와 대응한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형상의 안내부(31) 및 상기 조작버튼용 구획부(22)와 대응한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버튼용 구획부(33)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용 구획부(32), 안내부(31), 조작버튼용 구획부(33)는 각각 리브에 의해서 구획 형성되어 있다. 조작버튼용 구획부(33)에는 상기 축부(29)와 걸어 맞춰지는 볼록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3)의 일측면에는 상기 축부(25a)를 도피시키는 오목부(35)가 형성되고 있고, 커버(3)의 타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4)를 도피시키는 개구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3)의 배면에는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돌기(26)와 각각 걸어 맞춰지는 오목부(39a,39b)와,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구멍(26a)과 각각 걸어 맞춰지는 복수의 볼록부(38)와, 오목부(39a)를 구획하고 있는 외벽의 좌우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편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커버(3)는 베이스(2)에 대해서 후술하는 슬라이더(4)와 조작버튼(5)과 탄지부재(S1,S2)와 원 웨이 클러치(6)와 제 1 로크부재(7)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2)의 배면측으로의 밀착 조작에 의해서 위치결정돌기(26)와 오목부(39a,39b)의 걸어 맞춤, 걸어맞춤구멍(26a)과 볼록부(38)의 걸어 맞춤, 축부(29)와 볼록부(34)의 걸어 맞춤을 수반하면서 원터치 조작에 의해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서 유지구(9)를 얻을 수 있다.
슬라이더(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용 구획부(21) 및 창부(21b)를 따라서 슬라이드되는 본체(40)와, 본체(40)의 일단측에 돌출형성되며 물품(K)을 고정 협지부(24)와의 사이에 협지하는 가동 협지부(41)와, 본체(40)의 배면측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긴 홈(42)과, 본체(40)의 하측에 있어서 가동 협지부(41)와 가까운 측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볼록형상의 스프링용 받이부(43)와, 본체(20)의 상측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래크부(45)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동 협지부(41)에는 그 협지면에 쿠션재(C2)가 접착됨과 아울러, 조작면이 되는 외면에 요철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쿠션재(C2)는 상기 베이스(2)측의 쿠션재(C2)와 마찬가지로 두꺼운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며, 물품(K)이 탄성적으로 받아들여짐으로써 고정 협지부(24)와 가동 협지부(41)의 사이에 확실하게 협지되도록 한다. 요철부(44)는 의장용 및 미끄럼 방지용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래크부(45)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 웨이 클러치(6)를 구성하고 있는 제 1 기어(65)에 맞물리는 톱니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긴 홈(42)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경사진 세로홈부(42a)와 상기 세로홈부(42a)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홈부(42b)로 이루어진다. 상기 긴 홈(42)은 상기 베이스(2)의 안내부(28)와 상기 커버(3)의 안내부(31)의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로크부재(7)와 작동 연결된다. 즉, 제 1 로크부재(7)는 제 2 로크부재(8) 및 스프링 부재(S4)와 함께 각도조정수단(B)을 구성하고 있으며, 기단측에 형성된 돌기(7a) 및 선단측에 형성된 돌조(7b) 및 중간부에 형성된 볼록부(7c)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 로크부재(7)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7a)가 긴 홈(42)의 세로홈부(42a)에 끼워맞춰져 있으면 안내부(28) 내로 퇴피하는 상태가 되고,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7a)가 긴 홈(42)의 가로홈부(42b)에 끼워맞춰져 있으면 안내홈(28)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각도조정수단(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로크부재(7)의 돌출상태에서 돌조(7b)가 제 2 로크부재(8)의 톱니부(8a)에 걸어 맞춰짐과 아울러, 제 2 로크부재(8)가 스프링 부재(S4)의 탄지력에 저항한 상하 이동을 수반하면서 돌조(7b)와 톱니부(8a)가 간헐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슬라이더(4)는 그 본체(40)를 상기 베이스(2)의 슬라이더용 구획부(21)에 배치한 상태에서, 탄지부재용 구획부(21a)에 배치된 탄지부재(S1)의 일단을 고정 협지부(24)의 내면에 걸어 고정함과 아울러 타단을 받이부(43)에 걸어 고정한 상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슬라이더(4)는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의해서 고정 협지부(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도 7(a)의 초기위치에 배치됨과 아울러,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고정 협지부(24)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된다. 즉, 탄지부재(S1)는 슬라이더(4)가 그 가동 협지부(41)가 고정 협지부(2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에 탄지력이 축적되고, 이 축적된 탄지력에 의해서 슬라이더(4)가 초기위치{가동 협지부(41)가 고정 협지부(22)로부터 가장 멀어지게 되는 위치}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조작버튼(5)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의 조작버튼용 구획부(22)에 배치되는 암부(50)와, 암부(50)의 일단에 돌출형성된 조작부(51)와, 암부(50)의 좌우 대략 중간의 하면측에 형성되며 상기 축부(29)를 도피시키는 오목부(52)와, 암부(50)의 타단{조작부(51)가 돌출형성된 측의 반대측 단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조작부(51)의 돌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조(53)와, 암부(50)의 상기 베이스(2)측으로 배치되는 측면에 형성된 스프링용 수용공간(54)을 가지고 있다. 상기 조작부(51)에는 조작면이 되는 외면에 요철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55)는 의장용 및 미끄럼 방지용으로서 기능한다.
이상의 조작버튼(5)은 슬라이더(4)의 래크부(45) 및 원 웨이 클러치(6)와 함께 슬라이더(4)를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임의의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위치규제수단(A)을 구성하고 있다.
즉, 원 웨이 클러치(6)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크부(45)와 맞물리는 제 1 기어(65)와, 제 1 기어(65)에 유성기어(69)를 통해서 작동 연결되는 제 2 기어(60)로 이루어진다.
제 1 기어(65)는 일단면이 오목부(65a)로 되어 있으며, 오목부(65a)의 중앙부에 돌출된 환형상의 보스(66)와,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래크부(45)와 맞물리는 외측기어(67)와, 오목부(65a)의 내주에 형성되며 상기 유성기어(69)와 맞물리는 내측기어(68)을 가지고 있다.
제 2 기어(60)는 상기 보스(66)가 관통하는 축구멍(61)과,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버튼(5)의 걸림돌조(53)가 해제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는 외측기어(62)와, 상기 오목부(65a)측으로 배치되는 단면에 형성되며 유성기어(69)가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오목부(63) 및 이들 오목부(63) 사이에 돌출형성된 안정 지지용 볼록부(6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오목부(63)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성기어(69)가 오목부(65a)와의 사이에 수납되는 깊은 치수로 설정되고, 또 같은 방향에 있는 일단측에 걸림돌기부(63a)를 형성하고 있으며, 오목부(63) 내의 유성기어(69)의 톱니를 상기 걸림돌기부(63a)측으로 약간 도피시킴에 의해서 유성기어(69)를 정지(이것이 '클러치 접속상태')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조작버튼(5) 및 원 웨이 클러치(6)는 베이스(2)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립된다.
우선, 조작버튼(5)은 그 암부(50)가 수용공간(54)에 탄지부재(S2)를 끼워넣은 상태로 베이스(2)의 조작버튼용 구획부(22)에 배치된다. 탄지부재(S2)는 코일 스프링이며, 일단이 세로벽(22a)에 걸려 고정되고 타단이 탄지력을 발현한 상태로 수용공간(54)의 조작부(51)측의 내단면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조작버튼(5)을 수용공간(54)에서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한다.
조작버튼(5)을 베이스(2)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기어(65)의 보스(66)의 축구멍에 베이스(2)의 축부(29)를 끼워넣음으로써 원 웨이 클러치(6)를 축부(29)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는, 우선 조작버튼(5)을 탄지부재(S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압압 이동시켜서 걸림돌조(53)를 제 2 기어(60)의 외측기어(62)에서 떼어놓고, 이 상태에서 원 웨이 클러치(6)를 축부(2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제 1 기어(65)의 외측기어(67)를 래크부(45)에 맞물리게 한다. 그 후, 조작버튼(5)에 대한 압압을 해방하면, 조작버튼(5)이 탄지부재(S2)의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위치까지 슬라이드되는 것에 수반하여 걸림돌조(53)가 제 2 기어(60)의 외측기어(62)의 톱니에 걸어 맞춰진다.
이상의 유지구(9)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에 대해서 축부(25a)가 일측 축구멍(10)에 끼워 맞춰짐과 아울러, 축부(25b)가 타측 축구멍(10)에 끼워지는 크랭크 암(18)의 원통부(18a) 내에 끼워 맞춰지고 또한 나사부재(17)를 원통부(18a) 내에 끼워 맞춰진 축부(25b)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빠짐방지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유지구(9)는 케이스(1)에 대해서 회전 지지부{즉, 일측 축구멍(10)과 축부(25a)}와 회전 지지부{즉, 타측 축구멍(10)과 축부(25b)}를 지지점으로 하여 고정 협지부(24)가 돌출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 표면, 즉 커버(3)에 의해서 케이스(1)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도 4(a)의 수납상태와, 고정 협지부(24)가 돌출되어 있는 측을 케이스(1)의 개구부에서 노출시키는 도 4(b)의 사용상태로 반전 전환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반전시에는 유지구(9)가 케이스(1)의 원호면을 따라서 대략 180°회동된다.
수납상태에서는 베이스(2) 및 커버(3)의 각 편부(27,37)가 케이스(1)의 대응하는 상측 걸어맞춤구멍(12)에 걸어 맞춰진다. 사용상태에서는 상기 각 편부(27,37)가 케이스(1)의 대응하는 하측 걸어맞춤구멍(13)에 걸어 맞춰진다.
또, 유지구(9)와 케이스(1)의 사이에는 반전 스프링(S3)이 조립된다. 반전 스프링(S3)은 그 일단이 케이스(1)의 축부(15)에 걸려 고정되고 타단이 크랭크 암(18)의 걸림부(18b)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유지구(9)가 수납상태 및 사용상태에서 안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탄지방향을 전환한다. 따라서, 유지구(9)는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전환될 때, 반전 스프링(S3)의 탄지력에 의해서 절도감 있게 조작 가능하게 되며, 각 상태에서의 요동도 확실하게 흡수된다.
(작동)
이어서, 유지구(9)를 케이스(1)를 통해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장비한 경우를 상정하고서 그 작동 특징을 명확하게 한다. 또한, 케이스(1)는 통상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콘솔 등의 적당한 개소에 매설 상태로 장착된다.
(가) 도 3(a) 및 도 4(a)는 유지구(9)가 케이스(1)에 수납된 수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납상태에서는 케이스(1)의 개구부가 유지구(9)의 커버(3)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편부(27,37)가 케이스(1)의 상측 걸어맞춤구멍(12)에 걸어 맞춰져 있으며, 이 걸어맞춤상태를 반전 스프링(S3)의 탄지력에 의해서 안정하게 지지하고 있다.
(나) 도 3(b) 및 도 4(b)는 상기한 수납상태에서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커버(3)의 손잡이부(30)를 통해서 유지구(9)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대략 180°회전 조작함에 의해서 고정 협지부(24)나 가동 협지부(41)가 돌출되어 있는 측이 케이스(1)의 개구부에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각 편부(27,37)가 케이스(1)의 하측 걸어맞춤구멍(13)에 걸어맞춰지고, 이 걸어맞춤상태가 반전 스프링(S3)의 탄지력에 의해서 안정하게 지지되어 있는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유지구(9)가 수납상태에서 사용상태로 또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반전 스프링(S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전환되게 되는데, 전환이 완료되기 직전에 반전 스프링(S3)의 탄지방향이 반전되어 전환방향으로 탄지되게 됨으로써 유지구(9)가 안정하게 지지되게 된다.
(다) 도 5(a)는 유지구(9)의 사용상태에서 휴대 전화기(K)를 협지할 경우의 조작 요령을 나타내고, 도 6은 휴대 전화기(K)를 유지구(9)에 협지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도 10은 그 때의 주요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은 케이스(1), 커버(3), 쿠션재(C1,C2) 및 베이스(2)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모식화하고 있다.
상기 유지구(9)가 수납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전환된 단계에 있어서, 슬라이더(4)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위치에 있고, 각도조정수단(B)을 구성하는 제 1 로크부재(7)는 그 돌기(7a)가 슬라이더(4)의 긴 홈(42)의 세로홈부(42a)에 끼워 맞춰져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있고, 위치규제수단(A)을 구성하는 원 웨이 클러치(6)는 그 제 1 기어(65)의 외측기어(67)가 슬라이더(4)의 래크부(45)와 맞물려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1 기어(65)가 유성기어(69)를 통해서 제 2 기어(60)와 작동 연결된 클러치 접속상태에 있고, 조작버튼(5)은 탄지부재(S2)의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걸림돌조(53)가 제 2 기어(60)의 외측기어(62)에 걸어 맞춰져서 제 2 기어(60)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K)를 협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K)를 고정 협지부(24)측에 대응 측부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가동 협지부(41)가 휴대 전화기(K)에 맞닿을 때까지 {가동 협지부(41)를 손가락 등으로 도 5(a)의 우측방향으로 누르면서} 슬라이더(4)를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고정 협지부(24)측으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이 때, 위치규제수단(A)은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어(65)가 그 외측기어(67)와 래크부(45)의 맞물림을 통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유성기어(69)의 자전을 수반하여 제 2 기어(60)와 비작동 연결된, 즉 클러치 차단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슬라이더(4)의 슬라이드 조작을 정지시킬 때까지 유지된다.
가동 협지부(41)에서 손이나 손가락을 떼면, 슬라이더(4)는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위치로 되돌아가려고 한다. 이 때, 이 구조에서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4)가 초기위치방향으로 슬라이드됨에 따라서 제 1 기어(6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유성기어(69)가 내측기어(68)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오목부(63) 내에서 역회전하려고 하지만,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63) 내의 걸림돌기부(63a)에 맞닿아서 그 역회전이 정지됨으로써 제 2 기어(60)와 작동 연결된, 즉 클러치 접속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규제수단(A)에서는 가동 협지부(41)에서 손이나 손가락을 뗌과 거의 동시에 원 웨이 클러치(6) 및 제 2 기어(60)를 걸림돌조(53)를 통해서 걸어 고정하고 있는 조작버튼(5)에 의해서 슬라이더(4)를 정지상태로 유지한다.
이 결과, 휴대 전화기(K)는 고정 협지부(24)와 가동 협지부(41)의 사이에 협지된다. 이 협지상태는 양측 쿠션재(C2)의 탄성력도 더해짐으로써 확실화되며, 조작버튼(5)을 누르지 않는 한 상기 협지상태가 유지된다. 휴대 전화기(K)는 상기한 바와 같은 양측에서의 협지에 더하여 하측 받이부(23)에 의한 하측에서의 유지에 의해서도 안정하게 유지된다.
(라) 그런데, 휴대 전화기(K)를 유지하는 자세로서는 도 6(a)의 통상의 자세에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각도를 변경하여 휴대 전화기(K)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거나 화면(K1)를 보다 보기 쉬운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 구조에서는 이와 같은 요구를 상기한 슬라이더(4)의 긴 홈(42), 제 1 로크부재(7), 제 2 로크부재(8), 스프링 부재(S4)를 가진 각도조정수단(B)에 의해서 실현하고 있다. 도 5(b) 및 도 10(b)는 상기 각도조정수단(B)에 의해서 유지 각도를 변경할 때의 조작 및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를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고정 협지부(24)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 1 로크부재(7)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슬라이드에 연동하여, 즉 돌기(7a)가 세로홈부(42a)에서 가로홈부(42b)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상승 이동하게 됨으로써,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에 형성된 돌조(7b)가 케이스(1)에 장착된 제 2 로크부재(8)의 톱니부(8a)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유지 각도를 변경할 때에는, 예를 들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의 조작용 오목부(21c)에 손가락을 걸고서 베이스(2)를 전방측으로 인출하도록 하거나 혹은 하측 받이부(23)를 이용하여 케이스(1)의 내측으로 누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로크부재(7)의 돌조(7b)가 케이스(1)의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 2 로크부재(8)의 톱니부(8a)를 구성하고 있는 내측 톱니에서 외측 톱니로 간헐적으로 걸어 맞춰지게 되며, 따라서 유지구(9)는 각도 조정 후의 상태를 상기 걸어맞춤에 의해서 유지하게 된다.
(마) 유지구(9)를 다시 통상의 자세로 되돌릴 경우에는, 즉 베이스(2)를 케이스(1)의 내측으로 눌렀을 때에는 도 10(a)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로크부재(7)의 돌조(7b)가 톱니부(8a)의 내측 톱니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돌조(7b)의 배면이 케이스(1)의 개구연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통상의 자세보다도 더 압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조작은 후술하는 조작버튼(5)을 누름조작하기 전에 실시한다.
(바) 협지된 휴대 전화기(K)를 다시 떼어낼 때에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버튼(5)의 조작부(51)에 손가락을 걸고서 탄지 스프링(S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한 위치규제수단(A)에 있어서, 조작버튼(5)이 도 9(b)의 우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됨으로써 걸림돌조(53)가 제 2 기어(60)의 외측기어(62)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따라서, 원 웨이 클러치(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기어(60)가 유성기어(69)를 통해서 제 1 기어(65)와 작동 연결, 즉 클러치 접속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가 공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 결과, 슬라이더(4)는 래크부(45)와 제 1 기어(65)의 외측기어(67)의 맞물림을 통해서 원 웨이 클러치(6)를 공전시키면서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위치까지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K)에 대한 구속이 해방된다. 그 후는 필요에 따라서 유지구(9)를 상기한 요령으로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 구조에서는 유지구(9)가 케이스(1)에 대해서 반전 전환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도 6의 사용상태 및 각 자세에 있어서 종래의 인출구조에 비해서 돌출부분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간이화 및 안전성에도 우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실질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세부적인 것에 대해서는 그 형태를 참고로 하여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 웨이 클러치(6)로서 댐퍼기구 내지는 제동력을 추가하여 전체 또는 제 1 기어(65)를 완만하게 회전 내지는 공전 가능하게 하거나, 유지구(9)를 배치하는 장치측에 케이스 대응부를 형성하거나, 유지구(9) 내지는 베이스(2)의 반전 구조로서 세로방향으로 반전되는 구조 대신에 일본국 특개 2009-27414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반전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1 - 케이스 10 - 축구멍(회전 지지부)
11 - 박스부 12 - 상측 걸어맞춤구멍
13 - 하측 걸어맞춤구멍
2 - 베이스 20 - 배치부
24 - 고정 협지부 25a,25b - 축부(회전 지지부)
3 - 커버 30 - 손잡이부
38 - 걸어맞춤용 볼록부 39a,39b - 걸어맞춤용 오목부
4 - 슬라이더 40 - 본체
41 - 가동 협지부 42 - 긴 홈{각도조정수단(B)}
45 - 래크부{위치규제수단(A)}
5 - 조작버튼{위치규제수단(A)} 50 - 암부
51 - 조작부 53 - 걸림돌조
6 - 원 웨이 클러치{위치규제수단(A)}
60 - 제 2 기어 65 - 제 1 기어
7 - 제 1 로크부재{각도조정수단(B)}
7a - 돌기 7b - 돌조
8 - 제 2 로크부재{각도조정수단(B)}
8a - 톱니부 8c - 축부
9 - 유지구 C1,C2 - 쿠션재
S1,S2 - 탄지부재 S3 - 반전 스프링
S4 - 스프링 부재{각도조정수단(B)} K - 휴대 전화기(물품)

Claims (6)

  1. 수납용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에 배치되며, 물품용 배치부(20) 및 상기 배치부(20)의 일단측에 형성된 고정 협지부(24)를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 협지부(24)와의 사이에 물품(K)을 착탈 가능하게 협지하는 가동 협지부(41)를 형성하고 있는 슬라이더(4)와; 상기 슬라이더(4)를 탄지하는 탄지부재(S1);를 구비하고 있는 유지장치로서,
    상기 베이스(2)는 상기 케이스(1)에 대해서 상기 고정 협지부(24)가 돌출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 표면에 의해서 케이스(1)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수납상태와 상기 고정 협지부(24)가 돌출되어 있는 측을 케이스(1)의 개구부에서 노출시키는 사용상태로 회전 지지부를 통해서 반전 전환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2)와 상기 슬라이더(4)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4)를 상기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임의의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위치규제수단(A)과,
    상기 베이스(2)와 상기 케이스(1)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4)가 상기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2)를 상기 케이스(1)에 대해서 각도 변경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정수단(B)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정수단(B)은 상기 슬라이더(4)에 작동 연결되며, 슬라이더(4)가 초기위치에서 상기 탄지수단(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2)의 대응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상태로 되는 제 1 로크부재(7)와; 상기 케이스(1)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2)의 사용상태에서 상기 제 1 로크부재(7)와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로크부재(7)의 돌출상태에서 제 1 로크부재(7)와 걸어 맞춰지되 상기 베이스(2)의 각도 조정 후의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제 2 로크부재(8);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크부재(7)는 기단측에 형성된 돌기(7a)와 선단측에 형성된 돌조(7b)를 가지며, 상기 돌기(7a)를 상기 슬라이더(4)에 형성된 긴 홈(42)에 끼워 맞추고, 상기 제 2 로크부재(8)는 상기 케이스(1)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톱니부(8a)를 가지며, 상기 돌조(7b)를 상기 톱니부(8a)에 간헐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수단(A)은 상기 슬라이더(4)에 형성된 래크부(45)와; 상기 래크부(45)와 맞물리는 제 1 기어(65)와, 상기 제 1 기어(65)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제 1 기어(65)를 공전시키는 클러치 차단상태로 되고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클러치 접속상태로 되어 상기 제 1 기어(65)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 2 기어(60)를 가지는 원 웨이 클러치(6)와; 상기 베이스(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기어(60)와 걸어 맞춰지는 방향으로 탄지된 통상 상태에서 탄지력에 저항한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하는 조작버튼(5);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 웨이 클러치(6)는 상기 슬라이더(4)가 상기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될 때에 상기 클러치 차단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슬라이더(4)가 상기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의해서 슬라이드될 때에 상기 클러치 접속상태로 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조작버튼(5)은 상기 클러치 접속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어(60)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4)를 상기 탄지부재(S1)의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위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는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1)의 원호면을 따라서 180°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수납상태 및 사용상태의 쌍방을 안정하게 위치시키는 반전 스프링(S3)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
KR1020110016551A 2010-02-26 2011-02-24 유지장치 KR101233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1230 2010-02-26
JP2010041230A JP5470093B2 (ja) 2010-02-26 2010-02-26 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657A true KR20110098657A (ko) 2011-09-01
KR101233940B1 KR101233940B1 (ko) 2013-02-22

Family

ID=4450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551A KR101233940B1 (ko) 2010-02-26 2011-02-24 유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38977B2 (ko)
JP (1) JP5470093B2 (ko)
KR (1) KR101233940B1 (ko)
CN (1) CN102781727B (ko)
WO (1) WO20111052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1370A (zh) * 2017-11-29 2018-05-08 宁波润佳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车载行车记录仪固定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2814B (zh) * 2013-12-30 2017-06-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移动终端保持装置及具有其的车辆
CN104608705B (zh) * 2015-01-23 2017-02-01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一种隐藏式移动设备夹紧装置
CN108799709A (zh) * 2017-05-05 2018-11-1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夹持装置
US11230336B2 (en) * 2018-03-23 2022-01-25 Neutron Holdings, Inc. Device mounting system for a vehicle
CN110478894A (zh) * 2018-05-15 2019-11-22 上海飞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操控装置
US11313511B2 (en) * 2018-07-18 2022-04-26 Michael F. Dorrian Anti-ligature enclosure for wall-mounted apparatus
CN109327589B (zh) * 2018-11-21 2024-04-02 宁波钜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能快速拆装的手机支架
CN210114266U (zh) * 2019-03-12 2020-02-28 美思特射频技术科技(长兴)有限公司 一种手机无线防盗展示架
FR3107484B1 (fr) * 2020-02-26 2023-01-27 Faurecia Interieur Ind Station d’accueil pour véhicule
US20230114531A1 (en) * 2020-04-28 2023-04-13 Fanuc Corporation Safety swit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744U (ko) * 1989-09-27 1991-05-20
JPH03181605A (ja) 1989-12-08 1991-08-07 Yogou Sumikin Sangyo Kk 連結具
US5305381A (en) * 1992-11-09 1994-04-19 Wang Chin Y Cradle for telephone
JP2707522B2 (ja) 1992-12-15 1998-01-28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カウンタ接続方法及びカウンタ接続具
JP3015036U (ja) * 1995-02-22 1995-08-29 純二 水摩 移動通信機の取付ホルダ
DE19542720C1 (de) * 1995-11-16 1997-06-05 Herbert Richter Halterung zum Einbau in Fahrzeuge
JPH0927843A (ja) * 1996-07-19 1997-01-28 Rinku Kk 携帯電話機等の保持装置
JPH11139216A (ja) * 1997-11-12 1999-05-25 Primo Hanbai Kk 車載用機器のホルダー装置
JP3051744U (ja) * 1998-02-23 1998-09-02 信勇 陶 携帯電話ホルダ
JP3377473B2 (ja) 1999-08-24 2003-02-17 松下電工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の箱前幕板取付構造
KR200215028Y1 (ko) 2000-09-18 2001-02-15 최기범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JP2002127829A (ja) * 2000-10-25 2002-05-09 Inoac Corp 物品ホルダ
JP2002186530A (ja) 2000-12-21 2002-07-02 Cleanup Corp シンクキャビネットの幕板取付構造
US6719358B2 (en) * 2001-09-04 2004-04-13 Lear Corporation Control panel for a vehicle
JP3853677B2 (ja) * 2002-03-14 2006-12-0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載用電話装置
JP2004106794A (ja) 2002-09-20 2004-04-08 Kojima Press Co Ltd 携帯電話機保持装置
US6944294B2 (en) * 2002-11-13 2005-09-13 Wen-Feng Tsay Mobile phone hand-free holder
DE102006008420A1 (de) * 2006-02-23 2007-08-30 Leopold Kostal Gmbh & Co. Kg Gerätehalter zum Einbau in ein Kraftfahrzeug
FR2921316B1 (fr) * 2007-09-26 2010-03-0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rangement d'un boitier electronique dans une partie d'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US8159818B2 (en) * 2007-10-10 2012-04-17 Tomtom International B.V. D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DE102008023469A1 (de) * 2008-05-14 2009-12-0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zeigeeinrichtung
US8172299B2 (en) * 2008-10-06 2012-05-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mpartment door with force and effort control
ITTO20130453A1 (it) * 2013-06-03 2014-12-04 Fiat Group Automobiles Spa Gruppo di supporto e trattenimento per un dispositivo elettronico portatile, e plancia di veicolo provvista di tale gruppo di supporto e tratteniment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1370A (zh) * 2017-11-29 2018-05-08 宁波润佳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车载行车记录仪固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81727B (zh) 2014-12-31
CN102781727A (zh) 2012-11-14
KR101233940B1 (ko) 2013-02-22
US20130002110A1 (en) 2013-01-03
JP2011178180A (ja) 2011-09-15
JP5470093B2 (ja) 2014-04-16
WO2011105236A1 (ja) 2011-09-01
US9038977B2 (en)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940B1 (ko) 유지장치
JP5443140B2 (ja) 保持装置
KR101206683B1 (ko) 물품 유지구
US8177312B2 (en) Monit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2010036671A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JP5657423B2 (ja) 電子機器保持具
EP2463465A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glovebox for automobile and glovebox assembly having the same
JP2005073933A (ja) ヘアカッターのコーム振動防止構造
JP4468776B2 (ja) カツプホルダ装置
JP2010023786A (ja) 引出し装置
US20050077308A1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16078836A (ja) 自動車用パワーアウトレットトレイ
JP2008298131A (ja) フリクションダンパ
JP4467471B2 (ja) 収納具
JP2013234743A (ja) 部材の固定装置
KR101072142B1 (ko) 용기홀더장치
JP5507009B2 (ja) ボタン保持構造
JP2011226188A (ja) 引き戸の閉止装置
JP2007148817A (ja) 携帯機器
KR200411520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JP6069748B2 (ja) 携帯型キー
US20080093405A1 (en) Container And Container Holding Structure
JP2018126976A (ja) プリンタ
US7962072B2 (en) Toner cartridge having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leakage of toner
JP2020033745A (ja) 両開き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