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024A - 헤드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024A
KR20110096024A KR1020117008377A KR20117008377A KR20110096024A KR 20110096024 A KR20110096024 A KR 20110096024A KR 1020117008377 A KR1020117008377 A KR 1020117008377A KR 20117008377 A KR20117008377 A KR 20117008377A KR 20110096024 A KR20110096024 A KR 20110096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pair
plate portion
headrest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도카이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5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20Measures for elimination or compensation of play or 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금속 플레이트 (2) 및 금속 스테이 (1) 와는 별도로 형성된 심재 (3) 를 갖는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심재 (3) 의 제 1 분할체 (4) 에, 금속 플레이트 (2) 의 평판부 (21) 를 제 1 분할체 (4) 에 기계적으로 걸어맞춰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일체로 형성하고, 평판부 (21) 를 제 1 분할체 (4) 에 강고하게 고정시킨다. 제 1 분할체 (4) 만으로 응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덜거덕거림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장치{HEADREST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백 등에 유지되어 사용되는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 본체가 금속 스테이에 대해 요동함으로써 승차자의 헤드부 위치에 맞춰서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000388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헤드레스트 장치는, 시트백에 지지되는 1 쌍의 세로 지지봉부와 이들을 연결하는 가로 지지봉부를 갖는 대략 コ자 형상의 금속 스테이와, 가로 지지봉부에 대해 소정의 마찰력을 유지하면서 요동할 수 있게 유지된 금속 플레이트와, 금속 플레이트와 금속 스테이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성형된 수지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금속 플레이트와 금속 스테이를 내부에 포함하는 수지 커버가 발포 성형틀 내에 배치되고, 수지 커버 주위에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패드부가 일체로 성형되고, 표피를 씌움으로써 헤드레스트가 제조된다. 이 헤드레스트에 의하면, 금속 플레이트를 수지 커버 중에 매설하여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1 쌍의 세로 지지봉부를 시트백에 고정시키고, 가로 지지봉부를 회전 운동 중심으로 하여 헤드레스트 본체를 금속 플레이트와 함께 요동시킴으로써, 승차자의 헤드부 위치에 맞춰서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 장치에서는, 금속 플레이트와 금속 스테이를 성형틀 내에 배치하고, 사출 성형에 의해 수지 커버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러나, 금속 스테이의 세로 지지봉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굴곡된 것도 있어, 이 경우에는 성형품의 탈형 (脫型) 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상기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범용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금속 스테이의 굽힘 정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사출 성형시의 시일성이 저하된다. 또한, 금속 스테이 및 금속 플레이트가 수지 커버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하기 곤란하여, 리사이클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5137호에는 금속 플레이트와는 별체로 성형된 후에 금속 플레이트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금속 플레이트 및 금속 스테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세로 지지봉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지 커버를 구비한 헤드레스트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지 커버를 금속 플레이트 및 금속 스테이와는 별도로 형성하여, 금속 플레이트 및 금속 스테이를 내부에 끼우도록 하면 범용성이 높고 리사이클도 용이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0003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5137호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수지 커버는, 전커버와 후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금속 플레이트 및 금속 스테이를 협지 (挾持) 하도록 전커버와 후커버를 요철 걸어맞춤에 의해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지끼리의 끼워맞춤 구조에서는, 수지 커버 제조시에 있어서의 성형 후의 수축이나 금속 플레이트의 형상 정밀도 등에 의해, 수지 커버와 금속 플레이트 사이 혹은 수지 커버와 금속 스테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또, 전커버와 후커버로 금속 플레이트 및 금속 스테이를 협지하여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시트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전커버와 후커버의 협지가 느슨해져 상기와 같은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간극이 생기면, 차량 주행시의 진동 등에 의해 수지 커버와 금속 플레이트의 충돌 혹은 수지 커버와 금속 스테이의 충돌이 발생하여 이음 (異音) 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수지 커버와 금속 플레이트 사이 혹은 수지 커버와 금속 스테이 사이에 슬래브 우레탄 시트 등의 완충재를 개재시키거나 혹은 전커버와 후커버를 점착 테이프 등으로 고정시키는 등의 수단에 의해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부품 점수가 많아져 설치 공수가 다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헤드레스트 본체를 요동시켜 전후 위치를 조정할 때에는, 금속 플레이트가 금속 스테이의 가로 지지봉부에 대해 마찰하면서 회전 운동하는데, 이 때에 전커버와 후커버의 맞댐면에 국부적으로 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전커버와 후커버에 의한 협지력이 느슨해져 작동에 덜거덕거림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금속 플레이트 및 금속 스테이와는 별도로 형성된 수지 커버를 갖는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이음의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덜거덕거림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장치의 특징은, 서로 간격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레그부와 1 쌍의 레그부를 연결하는 가로 봉을 갖는 대략 コ자 형상의 금속 스테이와, 금속 스테이의 가로 봉에 소정의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감아 유지되고 가로 봉에 대해 마찰하면서 회전 운동하는 금속 플레이트와, 금속 스테이의 적어도 가로 봉과 금속 플레이트와 1 쌍의 레그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수지제 심재 (芯材) 를 구비한 헤드레스트 장치로서,
심재는 각각 별도로 성형된 제 1 분할체 및 제 2 분할체가 서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지고, 내부에 1 쌍의 레그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을 갖고, 금속 플레이트는 가로 봉에 코킹된 코킹부와, 코킹부로부터 레그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평판부를 갖고, 제 1 분할체는 평판부를 제 1 분할체에 기계적으로 걸어맞춰서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일체로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장치에 의하면, 제 1 분할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 수단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의 평판부가 제 1 분할체에 강고하게 걸어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백으로부터 금속 플레이트 및 금속 스테이에 진동이 전달되어도, 평판부로부터 작용하는 응력은 제 1 분할체에만 작용하여,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의 맞댐면이 벌어지는 문제가 없다. 또, 헤드레스트 본체를 요동시켜 전후 위치를 조정할 때에도, 평판부로부터 작용하는 응력은 제 1 분할체에만 작용하여, 제 1 분할체만으로 응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의 결합 강도가 느슨해지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슬래브 우레탄 시트 등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작동의 덜거덕거림이나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평판부의 표면과 맞닿는 맞닿음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맞닿음면을 가짐으로써, 평판부가 제 1 분할체로부터 들뜨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덜거덕거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분할체에는 평판부의 이면의 적어도 일부를 맞닿게 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평판부는 맞닿음면과 지지부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평판부를 제 1 분할체에 더욱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덜거덕거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평판부를 맞닿음면으로 안내하는 테이퍼면 등의 가이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를 가짐으로써 금속 플레이트의 제 1 분할체에 대한 장착 작업성이 향상된다.
지지부는 제 1 분할체의 적어도 2 지점에 형성되고, 고정 수단은 2 개의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평판부를 적어도 3 점에서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고정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평판부는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루고, 고정 수단은, 평판부의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단면 (端面) 에 각각 대향하는 밑둥부와 1 쌍의 밑둥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어 평판부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 쌍의 유지 클로로 이루어지고, 헤드부의 하면이 맞닿음면을 구성하고, 평판부는 1 쌍의 유지 클로의 헤드부와 지지부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부는 1 쌍의 유지 클로의 헤드부와 제 1 분할체의 지지부에 의해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 플레이트를 제 1 분할체에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헤드레스트 본체를 요동시켜 전후 위치를 조정할 때에도, 응력은 제 1 분할체에만 작용하고, 유지 클로로 강고하게 유지하여 제 1 분할체만으로 응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의 결합 강도가 느슨해지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작동의 덜거덕거림이나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분할체에는 평판부의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단면을 제외한 단면에 대향하는 밑둥부와 밑둥부로부터 돌출되어 평판부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제 2 유지 클로가 일체로 형성되고, 평판부는 제 2 유지 클로의 헤드부와 지지부에 의해서도 협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지 클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평판부의 유지 강도가 증대됨과 함께, 먼저 평판부를 제 2 유지 클로에 걸어맞추게 하고, 이어서 1 쌍의 유지 클로에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지레 원리에 의해 평판부의 고정 작업이 용이해진다.
헤드부의 평판부에 맞닿는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지지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간격 치수는, 평판부의 두께 이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밑둥부의 탄성력에 의한 헤드부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평판부를 제 1 분할체에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제 2 분할체에는 제 1 연결핀과 끼워맞춤과 함께 제 2 단차부를 갖는 제 2 연결핀을 구비하고, 제 2 단차부가 평판부의 표면에 맞닿아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단차부에 의해 평판부의 들뜸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분할체를 헤드레스트의 후방측에 배치하고, 제 2 분할체를 헤드레스트의 전방측에 배치하면, 제 1 분할체의 평면 부분을 많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평판부를 넓은 범위에서 지지할 수 있어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에 사용한 금속 플레이트가 유지된 금속 스테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에 사용한 제 1 분할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제 1 분할체에 금속 플레이트가 유지된 금속 스테이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제 1 분할체에 금속 플레이트가 유지된 금속 스테이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제 1 분할체에 금속 플레이트가 유지된 금속 스테이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장치는 금속 스테이와, 금속 플레이트와, 심재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 스테이는 종래 사용되고 있었던 것과 동일한 대략 コ자 형상의 것으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시트백에 삽입되는 1 쌍의 레그부와, 1 쌍의 레그부를 연결하는 가로 봉으로 이루어진다.
금속 플레이트는 금속 스테이의 가로 봉에 소정의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감아 코킹된 코킹부와, 코킹부로부터 레그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평판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금속 플레이트는 가로 봉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지만, 코킹부와 가로 봉의 마찰 저항에 의해 인체 헤드부로부터의 압력 정도로는 회전 운동하지 않을 정도로 코킹된다.
또, 심재는 금속 스테이의 적어도 가로 봉과 금속 플레이트와 1 쌍의 레그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수지제인 제 1 분할체 및 제 2 분할체로 이루어진다. 제 1 분할체 및 제 2 분할체가 서로 일체화됨으로써, 내부에 금속 스테이의 1 쌍의 레그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분할체에는 평판부의 이면에 맞닿는 지지부와, 적어도 1 쌍의 유지 클로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들을 고정 수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최대의 특징은, 금속 플레이트의 평판부가 제 1 분할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 수단에 의해 제 1 분할체에 기계적으로 걸어맞춰져 고정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 고정 수단은 평판부를 제 1 분할체에 고정시키는 것인데, 평판부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걸어맞춰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평판부가 대략 사각 형상인 경우에는, 평판부의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단면에 각각 대향하는 밑둥부와 1 쌍의 밑둥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어 평판부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 쌍의 유지 클로로 고정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헤드부의 하면이 평판부의 표면과 맞닿는 맞닿음면을 구성한다.
제 1 분할체에는 평판부의 이면의 적어도 일부를 맞닿게 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형성하여, 평판부를 맞닿음면과 지지부로 협지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수단이 상기한 1 쌍의 유지 클로인 경우에는, 평판부는 1 쌍의 유지 클로의 헤드부의 하면과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지지부는 평판부의 이면에 맞닿는 표면을 가지면 되고, 그 형성 위치는 평판부의 배치 면적 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평판부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제 1 분할체로부터 돌출되는 연결핀을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었지만, 이 경우에는 연결핀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단차부가 관통공 주위에서 평판부의 이면에 맞닿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차부가 지지부를 구성한다.
제 1 분할체에는 평판부의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단면을 제외한 단면에 대향하는 밑둥부와, 그 밑둥부로부터 돌출되어 평판부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제 2 유지 클로를 추가로 형성하여, 평판부는 제 2 유지 클로의 헤드부와 지지부에 의해서도 협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평판부의 좌우 방향 (X 방향), 상하 방향 (Y 방향) 및 두께 방향 (Z 방향) 의 3 차원 방향에서 평판부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고, 또한 1 쌍의 유지부와 제 2 유지부로 평판부를 두께 방향으로 협지할 수 있어, 평판부의 유지 강도가 증대된다. 또, 먼저 평판부를 제 2 유지 클로에 걸어맞추게 하고, 이어서 1 쌍의 유지 클로에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지레 원리에 의해 평판부의 고정 작업이 용이해진다.
적어도 1 쌍의 제 1 유지 클로 및 제 2 유지 클로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헤드부의 평판부에 맞닿는 하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지지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간격 치수는, 평판부의 두께 이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평판부를 고정시켰을 때에 유지 클로 및 평판부의 적어도 일방이 탄성 변형되고, 그 탄성 반력에 의해 제 1 분할체에 평판부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분할체에 제 1 단차부를 갖는 제 1 연결핀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 2 분할체에는 제 1 연결핀과 끼워맞춤함과 함께 제 2 단차부를 갖는 제 2 연결핀을 형성하여, 제 1 단차부와 제 2 단차부로 평판부를 두께 방향으로 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금속 플레이트를 더욱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과 함께, 평판부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여 시일할 수 있기 때문에, 패드의 성형시에 발포 수지가 심재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적어도 1 쌍의 제 1 유지 클로의 헤드부의 표면은, 각각 평판부의 표면을 향하여 경사지는 테이퍼면 (가이드부) 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평판부를 제 1 분할체를 향하여 가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금속 플레이트 및 금속 스테이가 고정된 제 1 분할체는, 제 2 분할체와 고정되고, 내부에 1 쌍의 레그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을 갖는 심재가 형성된다.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의 고정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아 나사나 볼트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는 클로 끼워맞춤 등의 기계적인 걸어맞춤만으로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이 향상됨과 함께 리사이클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분할체는 헤드레스트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제 2 분할체가 헤드레스트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레스트의 후방측에는 인체 헤드부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분할체의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 평면부를 많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플레이트의 평판부와의 맞닿음부를 많이 형성할 수 있어, 보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금속 플레이트 및 금속 스테이를 내부에 갖는 심재는, 적절히 시일된 후에 발포 성형틀 내에 인서트 배치되어, 발포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드가 성형된다. 주머니 형상의 표피를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고, 패드의 성형 후에 주머니 형상의 표피를 씌울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 스테이의 1 쌍의 레그부가 시트백의 정상부에 삽입되어 헤드레스트로서 이용된다. 이 때, 심재를 개재하여 금속 플레이트를 가로 봉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승차자의 헤드부 위치에 맞춰서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에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도를 나타낸다. 이 헤드레스트 장치는 금속 스테이 (1) 와, 금속 플레이트 (2) 와, 심재 (3) 를 헤드레스트 본체 (100) 내에 내장하고 있다. 금속 스테이 (1) 는 시트백 (200) 에 끼워넣어 고정되어 있다. 금속 플레이트 (2) 는 금속 스테이 (1) 의 가로 봉에 마찰 저항을 가지고 요동할 수 있게 유지되고, 심재 (3) 에 고정되어 있다. 또, 심재 (3) 에는 금속 스테이 (1) 의 레그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 (101)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헤드레스트 장치에 의하면, 헤드레스트 본체 (100) 를 개재하여 심재 (3) 및 금속 플레이트 (2) 를 금속 스테이 (1) 에 대해 요동시킴으로써,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스테이 (1) 는 서로 간격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레그부 (10) 와, 1 쌍의 레그부 (10) 를 연결하는 가로 봉 (11) 을 갖는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고, 스테인리스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 (2) 는 금속 파이프 (1) 의 가로 봉 (11) 에 감겨져 코킹된 코킹부 (20) 와, 코킹부 (20) 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사각 형상의 평판부 (21) 로 이루어진다. 코킹부 (20) 의 타단에는 1 쌍의 관통공 (22) 이 형성되어 있다. 코킹부 (20) 의 타단은 평판부 (21) 상으로 연장되고, 평판부 (21) 로부터 돌출되는 버링부 (23) 가 관통공 (22) 에 삽입 통과된 후에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넓히도록 찌그러뜨려 코킹됨으로써, 코킹부 (20) 의 타단이 평판부 (21) 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버링부 (23) 의 코킹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가로 봉 (11) 에 대한 코킹부 (20) 의 회전 운동 마찰 저항력이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정해져 있다. 또, 평판부 (21) 에는 후술하는 제 1 연결핀 (45) 이 삽입 통과되는 좌우 1 쌍의 구멍부 (24) 가 형성되고, 평판부 (21) 와 코킹부 (20) 단부의 중첩 부분에는 양자를 관통하는 창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심재 (3) 는 제 1 분할체 (4) 와 제 2 분할체 (5) 로 이루어지는 2 분할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4 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분할체 (4) 는 대략 용기 형상을 이루고, 대략 사각 형상의 평판 형상의 바닥부 (40) 와, 바닥부 (40) 의 외주를 일주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외주 벽부 (41) 와, 외주 벽부 (41) 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단면이 장공 형상인 동부 (42 ; 洞部) 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 (40) 로부터는 좌우 1 쌍의 유지 클로 (43) 가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좌우 1 쌍의 유지 클로 (43) 는, 바닥부 (40) 로부터 돌출되는 밑둥부 (43a) 와, 밑둥부 (43a) 의 선단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좌우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클로부 (43b) 로 이루어지고, 클로부 (43b) 의 표면에는 테이퍼 형상의 가이드면 (43c) 이 형성되어 있다.
또, 1 쌍의 유지 클로 (43) 의 하방에는 제 2 유지 클로 (44) 가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 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유지 클로 (44) 는 바닥부 (40) 로부터 돌출되는 밑둥부 (44a) 와, 밑둥부 (44a) 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클로부 (44b) 로 이루어지고, 클로부 (44b) 의 표면에는 테이퍼 형상의 가이드면 (44c)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부 (40) 에는 4 개의 제 1 연결핀 (45) 과 걸림 클로부 (46) 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결핀 (45) 은 바닥부 (40) 로부터 높아진 단차부 (45a) 와, 단차부 (45a) 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핀부 (45b) 와, 탄성적으로 축경 (縮徑) 할 수 있는 헤드부 (45c) 로 이루어진다. 걸림 클로부 (46) 는 창부 (25) 를 관통하도록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부 (40) 및 외주 벽부 (41) 에는 금속 스테이 (1) 를 지지하거나 보강 효과를 부여하는 복수의 리브 (47)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 벽부 (41) 의 선단에는 홈부 (41a) 가 3 변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홈부 (41a) 에는 외주측의 벽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6 개의 걸어맞춤 구멍 (41b)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분할체 (5) 는 제 1 분할체 (4) 와 거의 대칭 형상을 이루는 대략 용기 형상을 이루고, 표면이 볼록 형상으로 높아진 바닥부 (50) 와, 바닥부 (50) 의 외주를 일주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외주 벽부 (51) 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 (50) 에는 이면측으로 돌출되는 4 개의 제 2 연결핀 (52) 과, 단면이 사각 형상인 제 3 연결핀 (53) 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2 연결핀 (52) 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 (50) 로부터 높아진 제 2 단차부 (52a) 와, 제 2 단차부 (52a) 의 선단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 구멍 (52b) 으로 이루어진다. 제 3 연결핀 (53) 의 선단에는 걸림 클로부 (46) 와 걸어맞춰지는 도시되지 않은 걸어맞춤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부 (50) 및 외주 벽부 (51) 에는 금속 스테이 (1) 를 지지하거나 보강 효과를 부여하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 벽부 (51) 의 3 변의 선단은 홈부 (41a) 에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고, 6 개의 걸어맞춤 돌기 (51a) 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장치를 조립하려면, 먼저 금속 플레이트 (2) 가 마찰 저항을 받으면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유지된 금속 스테이 (1) 를 준비하고, 1 쌍의 레그부 (10) 를 1 쌍의 동부 (42) 에 각각 삽입 통과시킴과 함께 창부 (25) 에 걸림 클로부 (46) 를 삽입 통과시키고, 좌우 1 쌍의 구멍부 (24) 에 상측의 좌우 1 쌍의 제 1 연결핀 (45) 을 삽입 통과시키면서 제 1 분할체 (4) 에 배치한다. 이어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 (21) 의 하단부를 제 2 유지 클로 (44) 에 걸어맞추게 하고, 평판부 (21) 의 좌우 양 단부가 1 쌍의 유지 클로 (43) 에 맞닿게 배치한다. 그리고, 가로 봉 (11) 및 코킹부 (20) 를 바닥부 (40) 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평판부 (21) 의 좌우 양 단부가 가이드면 (43c) 에 의해 안내되어, 1 쌍의 밑둥부 (43a) 가 각각 좌우 방향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탄성 변형됨으로써, 평판부 (21) 의 좌우 양 단부가 클로부 (43b) 의 하측으로 비집고 들어가고, 밑둥부 (43a) 의 탄성 변형이 해제됨으로써 1 쌍의 클로부 (43b) 가 평판부 (21) 의 좌우 양 단부를 덮는다. 이 때, 평판부 (21) 의 선단이 제 2 유지 클로 (44) 에 걸려 지지점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지레 원리에 의해 가압력이 작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이 상태에서는, 도 6,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 (21) 의 이면은 제 1 연결핀 (45) 의 단차부 (45a) (지지부) 에 맞닿게 되고, 코킹부 (20) 는 리브 (47) 에 맞닿게 되어, 평판부 (21) 는 좌우 1 쌍의 유지 클로 (43) 의 클로부 (43b) 와 단차부 (45a) 및 리브 (47) 에 의해 협지되고 있다. 여기에서, 1 쌍의 유지 클로 (43) 의 클로부 (43b) 의 하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단차부 (45a) 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간격은 평판부 (21) 의 두께와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평판부 (21) 는 리브 (47) 의 표면 및 제 1 연결핀 (45) 의 단차부 (45a) 사이에서 1 쌍의 유지 클로 (43) 와 맞닿아 3 점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평판부 (11) 및 금속 스테이 (1) 는 좌우 1 쌍의 구멍부 (24) 에 삽입 통과된 좌우 1 쌍의 제 1 연결핀 (45) 과, 제 2 유지 클로 (44) 의 밑둥부 (44a) 에 의해 제 1 분할체 (4) 에 대한 상대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로써, 평판부 (21) 는 제 1 분할체 (4) 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분할체 (5) 를 제 1 분할체 (4) 에 장착한다. 이 경우에는, 제 2 분할체 (5) 의 외주 벽부 (51) 의 선단을 제 1 분할체 (4) 의 외주 벽부 (41) 의 선단의 홈부 (41a) 에 삽입하여, 걸어맞춤 구멍 (41c) 에 걸어맞춤 돌기 (51a) 를 걸어맞추게 한다. 그러면, 4 개의 제 1 연결핀 (45) 과 4 개의 제 2 연결핀 (52) 이 걸어맞춰지고, 걸림 클로부 (46) 와 제 3 연결핀 (53) 이 걸어맞춰져 제 1 분할체 (4) 와 제 2 분할체 (5) 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4 개의 제 2 연결핀 (52) 중 상부 2 개의 제 2 단차부 (52a) 가 평판부 (21) 의 표면에 맞닿아, 평판부 (21) 는 제 2 단차부 (52a) 와 단차부 (45a) 사이에서 협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장치에 의하면, 평판부 (21) 는 제 1 분할체 (4) 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본체를 요동시켜 전후 위치를 조정할 때에는, 금속 스테이 (1) 의 가로 봉 (11) 이 금속 플레이트 (2) 의 코킹부 (20) 에 대해 회전 운동하여, 1 쌍의 레그부 (10) 는 1 쌍의 동부 (42) 내를 이동한다. 이 회전 운동시에 혹은 진동시에 평판부 (21) 로부터 작용하는 응력은 제 1 분할체 (4) 에만 작용하여, 제 1 분할체 (4) 만으로 응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분할체 (4) 와 제 2 분할체 (5) 의 결합 강도가 느슨해지는 경우도 없다. 또한, 평판부 (21) 는 제 1 분할체 (4) 와 제 2 분할체 (5) 사이에서도 협지되고 있다. 따라서, 슬래브 우레탄 시트 등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작동의 덜거덕거림이나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헤드레스트 장치는 금속 스테이 (1) 및 금속 플레이트 (2) 를 일체로 유지하는 심재 (3) 를 주머니 형상의 표피 내에 배치하고, 그것을 적절히 시일하여 발포 성형틀 내에 배치하고, 발포 우레탄 수지를 발포 성형함으로써 헤드레스트 본체 (100) 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장치에 의하면, 평판부 (21) 는 제 1 분할체 (4) 에 강고하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본체 (100) 를 요동시켜 전후 위치를 조정할 때에도, 평판부 (21) 로부터 작용하는 응력은 제 1 분할체 (4) 에만 작용하여, 제 1 분할체 (4) 만으로 응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분할체 (4) 와 제 2 분할체 (5) 의 결합 강도가 느슨해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평판부 (21) 는 제 1 분할체 (4) 와 제 2 분할체 (5) 사이에서도 협지되고 있다. 따라서, 슬래브 우레탄 시트 등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작동의 덜거덕거림이나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9 에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장치는, 제 2 분할체 (5) 의 4 개의 제 2 연결핀 (52) 중 상부 2 개의 제 2 단차부 (52a) 가 평판부 (21) 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구조이다. 이 경우에서도, 평판부 (21) 는 제 1 분할체 (4) 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본체 (100) 의 요동시에 평판부 (21) 로부터 작용하는 응력은 제 1 분할체 (4) 에만 작용하여 제 1 분할체 (4) 만으로 응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 및 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0 에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장치는, 제 2 유지 클로 (44) 대신에 표면에 테이퍼부 (47a) 를 갖는 돌기 (47) 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구조이다. 이 경우에서도, 평판부 (21) 는 리브 (47) 의 표면 및 제 1 연결핀 (45) 의 단차부 (45a) 사이에서 1 쌍의 유지 클로 (43) 와 맞닿아 3 점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본체 (100) 의 요동시에 평판부 (21) 로부터 작용하는 응력은 제 1 분할체 (4) 에만 작용하여 제 1 분할체 (4) 만으로 응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 및 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와 실시예 3 를 조합한 헤드레스트 장치로 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가 나타난다.
1 : 금속 스테이
2 : 금속 플레이트
3 : 심재
4 : 제 1 분할체
5 : 제 2 분할체
10 : 레그부
11 : 가로 봉
20 : 코킹부
21 : 평판부

Claims (13)

  1. 서로 간격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레그부와 1 쌍의 그 레그부를 연결하는 가로 봉을 갖는 대략 コ자 형상의 금속 스테이와, 그 금속 스테이의 그 가로 봉에 소정의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감아 유지되고 그 가로 봉에 대해 마찰하면서 회전 운동하는 금속 플레이트와, 그 금속 스테이의 적어도 그 가로 봉과 그 금속 플레이트와 1 쌍의 그 레그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수지제 심재를 구비한 자용차용 헤드레스트 장치로서,
    그 심재는 각각 별도로 성형된 그 제 1 분할체 및 그 제 2 분할체가 서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지고, 내부에 1 쌍의 그 레그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을 갖고,
    그 금속 플레이트는 그 가로 봉에 코킹된 코킹부와, 코킹부로부터 그 레그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평판부를 갖고, 그 제 1 분할체는 그 평판부를 그 제 1 분할체에 기계적으로 걸어맞춰서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평판부의 표면과 맞닿는 맞닿음면을 갖는 헤드레스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체에는 상기 평판부의 이면의 적어도 일부를 맞닿게 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평판부는 상기 맞닿음면과 그 지지부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평판부를 상기 맞닿음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헤드레스트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 분할체의 적어도 2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수단은 2 개의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평판부의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단면에 각각 대향하는 밑둥부와 1 쌍의 그 밑둥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평판부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 쌍의 유지 클로로 이루어지고, 그 헤드부의 하면이 상기 맞닿음면을 구성하고, 상기 평판부는 1 쌍의 그 유지 클로의 그 헤드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체에는, 상기 평판부의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1 쌍의 단면을 제외한 단면에 대향하는 밑둥부와 그 밑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평판부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제 2 유지 클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는 제 2 그 유지 클로의 그 헤드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평판부에 맞닿는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상기 지지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간격 치수는, 상기 평판부의 두께 이하인 헤드레스트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체에는 제 1 단차부를 갖는 제 1 연결핀을 구비하고, 상기 평판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그 제 1 연결핀이 그 관통공에 삽입 통과되고, 그 제 1 단차부가 상기 지지부를 구성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체에는 상기 제 1 연결핀과 끼워맞춤함과 함께 제 2 단차부를 갖는 제 2 연결핀을 구비하고, 그 제 2 단차부가 상기 평판부의 표면에 맞닿아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 쌍의 상기 유지 클로의 상기 헤드부의 표면은 각각 상기 평판부의 표면을 향하여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이루고, 그 테이퍼면이 상기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체와 상기 제 2 분할체는 기계적인 걸어맞춤만으로 일체화되어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체는 헤드레스트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분할체가 헤드레스트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
KR1020117008377A 2008-11-28 2009-11-02 헤드레스트 장치 KR20110096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04421 2008-11-28
JP2008304421A JP5428308B2 (ja) 2008-11-28 2008-11-28 ヘッドレスト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024A true KR20110096024A (ko) 2011-08-26

Family

ID=4222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377A KR20110096024A (ko) 2008-11-28 2009-11-02 헤드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14078B2 (ko)
JP (1) JP5428308B2 (ko)
KR (1) KR20110096024A (ko)
CN (1) CN102123635B (ko)
WO (1) WO2010061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7823B2 (ja) * 2007-03-31 2012-10-2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及び該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US8322790B2 (en) * 2009-04-08 2012-12-04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 multi-position head restraint assembly
JP5296818B2 (ja) * 2011-02-18 2013-09-25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CN102673685A (zh) * 2011-03-09 2012-09-19 苏州益高电动车辆制造有限公司 头枕
JP5781354B2 (ja) * 2011-03-31 2015-09-2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FR2982545B1 (fr) * 2011-11-15 2014-05-16 Centre Detude Et De Rech Pour Lautomobile Cera Appui tet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2012866A1 (de) * 2012-01-19 2013-07-25 Johnson Controls Gmbh Neigungsverstellbare kopfstütze
JP5775489B2 (ja) * 2012-05-29 2015-09-09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110609B2 (ja) * 2012-07-06 2017-04-0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装置
US9746048B2 (en) 2012-07-06 2017-08-29 Ts Tech Co., Ltd. Seat device for vehicle
JP5989439B2 (ja) * 2012-07-26 2016-09-0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装置
DE102013208316B3 (de) 2013-05-07 2014-05-15 Lear Corp. Kopfstützen-Befestigungssystem
JP5825297B2 (ja) 2013-06-04 2015-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329018B2 (ja) * 2014-06-27 2018-05-23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FR3023225B1 (fr) * 2014-07-07 2016-08-19 Centre D'etude Et De Rech Pour L'automobile (Cera) Appui-tet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5200553B4 (de) 2015-01-15 2022-07-21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pfstütze
JP6488851B2 (ja) * 2015-04-21 2019-03-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の製造方法
JP5969653B2 (ja) * 2015-04-30 2016-08-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インナーカバー構造
JP6516239B2 (ja) * 2015-06-19 2019-05-22 東海化成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ヘッドレストを備えるシート
US9731637B2 (en) * 2015-08-17 2017-08-15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 headrest and method of assembly
US10173565B2 (en) * 2016-05-18 2019-0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nd headrest with dynamic impact energy management system
CN106740329B (zh) * 2016-12-08 2019-07-19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汽车座椅头枕
JP6254731B2 (ja) * 2017-03-09 2017-12-2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装置
FR3075706B1 (fr) * 2017-12-21 2020-02-14 Psa Automobiles Sa Appuie-tete assemble par des moyens de clippag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tel appuie-tete.
CN111186353A (zh) * 2020-03-31 2020-05-22 沈阳金杯安道拓汽车部件有限公司 新型聚氨酯注塑包裹多功能汽车座椅头枕
KR20220087996A (ko) * 2020-12-18 2022-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돌성능이 개선된 차량의 헤드레스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0833Y2 (ko) * 1979-09-19 1986-09-09
JPS5676076U (ko) 1979-11-15 1981-06-20
JPS5911203Y2 (ja) * 1979-11-16 1984-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金具固定構造
US5236246A (en) * 1992-07-22 1993-08-17 Lear Seating Corporation Adjustable headrest having integral pivot connection
JP4517420B2 (ja) * 1999-10-25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取付装置及び取付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4272319B2 (ja) * 1999-11-30 2009-06-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2000388A (ja) * 2000-06-23 2002-01-08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3225137A (ja) * 2002-02-06 2003-08-12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4082792A (ja) * 2002-08-23 2004-03-18 Tachi S Co Ltd 首振りヘッドレスト・フレーム・アッ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25150A (ja) 2010-06-10
US20100283307A1 (en) 2010-11-11
CN102123635A (zh) 2011-07-13
US8414078B2 (en) 2013-04-09
WO2010061714A1 (ja) 2010-06-03
CN102123635B (zh) 2014-07-09
JP5428308B2 (ja)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6024A (ko) 헤드레스트 장치
JP5472474B2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車両用シート
US20080136240A1 (en) Vehicle seat
JP4833261B2 (ja) 自動車用制御盤装置
JP6450935B2 (ja) 乗物用シート
JP2695135B2 (ja) シート用フレームワーク要素、フレームワーク構成部品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2131531B1 (ko) 시트백
JP2014008335A (ja) ヘッドレスト支持構造
JP6008651B2 (ja) 乗物用シート
JP6686698B2 (ja) 乗物用シート
WO2016181677A1 (ja) シートフレーム及びシート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2011255860A (ja) 自動車のシートバックの支持構造
JP5071804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前端部組付け構造
JP4387373B2 (ja) ヘッドレスト
JP2017178164A (ja) 乗物用シート
JP6079546B2 (ja) 乗物用シートバック
JPWO2018003280A1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車両用シート
JP2019182136A (ja) 乗物用シート
JP7380442B2 (ja) 乗物用シートのシートパッド
JP5708211B2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7347333B2 (ja) 乗物用シート
JP5384379B2 (ja) 車両用内装部品
JP6483779B2 (ja) 車両用シート
JP6495365B2 (ja) 車両用シート
JP3737208B2 (ja) 自動車のピラーガーニ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