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367A - 잉크젯 프린터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367A
KR20110095367A KR1020117013927A KR20117013927A KR20110095367A KR 20110095367 A KR20110095367 A KR 20110095367A KR 1020117013927 A KR1020117013927 A KR 1020117013927A KR 20117013927 A KR20117013927 A KR 20117013927A KR 20110095367 A KR20110095367 A KR 20110095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winding
arm
print medium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580B1 (ko
Inventor
유마 오쿠라
테츠하루 이케다
타카히로 하세가와
마사카즈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1009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 B41J15/165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for tensio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by use of redirecting rollers or redirecting nonrevolv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weighted or spring-press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Landscapes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의 선단에 설치된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99)로 구성되는 풀림측 텐션조정기구(96),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의 선단에 설치된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129)로 구성되는 감김측 텐션조정기구(126)를 가지고, 풀림측 텐션조정기구(96) 및 감김측 텐션조정기구(126)가 인쇄매체(M)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설치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정면방향으로 하는 측면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겹쳐져서 설치되는 잉크젯 프린터(P)이다. 텐션암(93, 123)을 밸러스트 암(98, 128)과 맞물리게 하여 상기 텐션조정기구에 의해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상태와, 떼어놓아 상기 텐션조정기구에 의해 토크를 작용시키지 않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기구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P)이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
본 발명은 장척 시트형상의 인쇄매체에 대하여 인쇄를 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척 시트형상의 인쇄매체에 대하여 인쇄를 하는 잉크젯 프린터로서, 프린터 본체의 뒤쪽에 배치된 풀림기구에 의해 인쇄전의 인쇄매체를 풀어내고, 프린터 본체에서 그 인쇄매체에 대하여 잉크젯 헤드를 상대이동시키면서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하며, 프린터 본체의 앞쪽에 배치된 감김기구에 의해 인쇄가 종료된 인쇄매체를 감도록 구성된 잉크젯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2007-302468호 참조). 이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인쇄매체를 주름이나 느슨해짐없이 적절히 풀어내거나 감기 위하여, 인쇄매체에 소정의 장력(텐션; tension)을 부여하는 텐션부여기구를 풀림기구측 혹은 감김기구측에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2008-279621호,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252501호 참조).
도 8의 (a)에 종래의 텐션부여기구(200)의 개략구성을 나타낸다. 텐션부여기구(200)는, 인쇄매체(M)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204)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로운 미디어 암(203)과, 미디어 암(203)의 선단부에 지지되어 직교방향으로 뻗은 텐션바(201)로 이루어지고, 미디어 암(203)이 자체 중량 및 인쇄매체(M)의 느슨해짐에 따라 아래쪽으로 요동하여 텐션바(201)를 인쇄매체에 맞닿게 하여 인쇄매체를 굴곡시킴으로써 인쇄매체(M)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텐션부여기구(200)에는, 회전축(204)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롭고 반대측 텐션부여기구 쪽으로 뻗은 밸러스트 암(301) 및 밸러스트 암(301)의 선단에 설치된 밸러스트 부재(302)로 구성되는 텐션조정기구(300)가 설치되어 있으며, 밸러스트 부재(302)에 의해 밸러스트 암(301)에 작용하는 토크(torque)를 이용하여 텐션부여기구(200)에 의해 인쇄매체(M)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텐션부여기구(200) 및 텐션조정기구(300)를 풀림측 및 감김측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 서로의 텐션조정기구(300)가 간섭하지 않도록 풀림측 텐션부여기구와 감김측 텐션부여기구를 전후방향으로 크게 떨어뜨려서(거리 E를 두고) 배치해야 하며, 그 때문에 풀림측 및 감김측 텐션부여기구가 전후방향으로 튀어나와서 잉크젯 프린터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러스트 암(301)이 비스듬히 위쪽으로 뻗도록 텐션조정기구(300)를 구성하는 것이 생각되었는데, 이 경우, 서로의 텐션부여기구(300) 사이의 거리를 상기 경우보다 다소 줄일 수는 있지만(거리 F<거리 E), 텐션부여기구(200) 및 텐션조정기구(300)의 보다 많은 공간절약(컴팩트화)이 요구된다.
또한, 이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종류가 다른 여러가지 인쇄매체에 인쇄를 하기 위하여, 텐션부여기구(200)에서는 그 인쇄매체마다 적합한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텐션조정기구(300)가 설치되고, 밸러스트 부재(302)의 중량을 바꿈으로써 텐션부여기구(200)에 의해 인쇄매체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데, 여러가지 인쇄매체에 대응하기 위하여, 한층 넓은 범위에서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풀림측 및 감김측 양쪽에 텐션부여기구 및 텐션조정기구를 설치하는 경우, 텐션부여기구 및 텐션조정기구의 공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 및 텐션부여기구에 의해 부여하는 장력을 한층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는, 인쇄매체에 대하여 인쇄를 하는 프린터 본체와, 상기 프린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지지부(2))와, 장척 시트형상의 인쇄매체를 상기 프린터 본체를 향하여 풀어내는 미디어 풀림수단과, 상기 미디어 풀림수단에 의해 풀려나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서 인쇄된 상기 인쇄매체를 감는 미디어 감김수단과, 상기 미디어 풀림수단에 의해 풀려나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 도달하는 동안의 상기 인쇄매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풀림측 텐션부여수단과, 상기 프린터 본체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미디어 감김수단에 의해 감기는 동안의 상기 인쇄매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을 가지고, 상기 프린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의 한쪽에 위치하여 상기 미디어 풀림수단 및 상기 풀림측 텐션부여수단이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다른 쪽에 위치하여 상기 미디어 감김수단 및 상기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이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풀림측 텐션부여수단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롭게 상기 지지체(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회전축 지지부(92))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감김측 텐션부여수단 쪽으로 뻗은 풀림측 밸러스트 암 및 상기 풀림측 밸러스트 암의 선단에 설치된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로 구성되는 풀림측 텐션조정기구를 가지고, 상기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에 의해 상기 풀림측 밸러스트 암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상기 풀림측 텐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롭게 상기 지지체(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회전축 지지부(122))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풀림측 텐션부여수단 쪽으로 뻗은 감김측 밸러스트 암 및 상기 감김측 밸러스트 암의 선단에 설치된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로 구성되는 감김측 텐션조정기구를 가지고, 상기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에 의해 상기 감김측 밸러스트 암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상기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풀림측 텐션조정기구 및 상기 감김측 텐션조정기구가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설치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정면방향으로 하는 측면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겹쳐져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는, 인쇄매체에 대하여 인쇄를 하는 프린터 본체와, 장척 시트형상의 인쇄매체를 상기 프린터 본체를 향하여 풀어내는 미디어 풀림수단과, 상기 미디어 풀림수단에 의해 풀려나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서 인쇄된 상기 인쇄매체를 감는 미디어 감김수단과, 상기 미디어 풀림수단에 의해 풀려나와 상기 미디어 감김수단에 의해 감기는 동안의 상기 인쇄매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부여수단을 가지고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텐션부여수단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로운 텐션암(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미디어 암(93, 123))을 가지고,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요동하는 상기 텐션암의 선단이 상기 인쇄매체에 맞닿아서 상기 인쇄매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부여기구와, 상기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로운 밸러스트 암 및 상기 밸러스트 암에 설치된 밸러스트 부재를 가지고, 상기 밸러스트 부재에 의해 상기 밸러스트 암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상기 텐션부여기구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텐션조정기구와, 상기 텐션암이 소정의 요동각도로부터 한쪽으로 요동할 때 상기 텐션암을 상기 밸러스트 암과 맞물리게 하여 상기 텐션조정기구에 의해 상기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상태와, 상기 텐션암이 상기 소정의 요동각도로부터 다른 쪽으로 요동할 때 상기 텐션암을 상기 밸러스트 암으로부터 떨어뜨려서 상기 텐션조정기구에 의해 상기 토크를 작용시키지 않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기구(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고정링(97, 127) 및 밸러스트 암(98, 128)의 암측 돌출부(98a, 128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풀림측 텐션부여수단이,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롭게 지지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감김측 텐션부여수단 쪽으로 뻗은 풀림측 밸러스트 암 및 풀림측 밸러스트 암의 선단에 설치된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로 구성되는 풀림측 텐션조정기구를 가지고,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이,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롭게 지지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풀림측 텐션부여수단 쪽으로 뻗은 감김측 밸러스트 암 및 감김측 밸러스트 암의 선단에 설치된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로 구성되는 감김측 텐션조정기구를 가지며, 풀림측 텐션조정기구 및 감김측 텐션조정기구가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설치되고,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을 정면방향으로 하는 측면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겹쳐져서 설치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도 8의 경우와 비교하여, 풀림측 텐션부여수단 및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의 공간을 대폭 절약(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텐션부여수단이,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요동하는 텐션암의 선단이 인쇄매체에 맞닿아서 인쇄매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부여기구와, 밸러스트 부재에 의해 밸러스트 암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텐션부여기구에 의해 인쇄매체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텐션조정기구와, 텐션암이 소정의 요동각도로부터 한쪽으로 요동할 때 텐션암을 밸러스트 암과 맞물리게 하여 텐션조정기구에 의해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상태와, 텐션암이 소정의 요동각도로부터 다른 쪽으로 요동할 때 텐션암을 밸러스트 암으로부터 떨어뜨려서 텐션조정기구에 의해 토크를 작용시키지 않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밸러스트 부재에 의해 밸러스트 암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상태와, 텐션암을 밸러스트 암으로부터 떨어뜨려서 텐션암의 자체 중량에 의해 장력을 부여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텐션부여수단과 비교하여 한층 넓은 범위에서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잉크젯 프린터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잉크젯 프린터를 구성하는 프린터 본체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풀림측 및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맞물림 개시각도보다 위쪽에서의 풀림측 텐션부여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맞물림 개시각도보다 아래쪽에서의 풀림측 텐션부여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풀림측 및 감김측 텐션조정기구와 맞물리는 미디어 암의 요동범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종래의 텐션부여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P)는, 인쇄매체(M)에 대하여 인쇄를 하는 프린터 본체(1)와, 이 프린터 본체(1)를 작업이 용이한 높이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부(2)와, 미인쇄상태의 인쇄매체(M)를 프린터 본체(1)로 풀어내는 풀림장치(3)와, 인쇄가 끝난 인쇄매체(M)를 감는 감김장치(4)로 구성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 나타낸 전후, 좌우 및 상하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을 각각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먼저, 프린터 본체(1)에 대하여, 프린터 본체(1)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프린터 본체(1)는, 각 유닛의 설치 베이스가 되는 몸체(10)와, 인쇄매체(M)를 지지하는 플래튼(20)과, 플래튼(20)에 지지된 인쇄매체(M)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미디어 이동기구(30)와, 플래튼(20)의 위쪽에 위치하여 좌우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캐리지(40)와, 플래튼(20)에 지지된 인쇄매체(M)에 대하여 캐리지(40)를 좌우로 상대이동시키는 캐리지 이동기구(50)와, 캐리지(40)에 고정지지된 복수개의 잉크젯 헤드(60)와, 각 이동기구(30, 50)의 구동 및 잉크젯 헤드(60)로부터의 잉크토출 등을 제어하는 인쇄 컨트롤러(70)를 주체로 구성된다.
몸체(10)는, 지지부(2)를 구성하는 좌우의 지지다리(2a)에 의해 지지되고 플래튼(20)이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11L)과, 캐리지(40)의 지지구조가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1U)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프레임(11)을 구비하고, 상부 프레임(11U)과 하부 프레임(11L) 사이에 인쇄매체(M)가 전후로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는 가로로 긴 창문형상의 미디어 삽입부(15)가 형성된다. 몸체(10)는 본체 프레임(11)의 중앙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13a) 및 좌우를 덮는 사이드 커버(13b, 13b)에 둘러싸여서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플래튼(20)은, 몸체(10)의 좌우중앙부에 위치하여 미디어 삽입부(15)의 전후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잉크젯 헤드(60)가 좌우로 이동하여 인쇄를 하는 프린트부(인쇄영역)에 인쇄매체(M)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된 메인 플래튼(22)과, 메인 플래튼(22)으로부터 뒤쪽으로 뻗어서 몸체(10)의 후면측에 설치된 리어 플래튼(21)과, 메인 플래튼(22)으로부터 앞쪽으로 뻗어서 몸체(10)의 전면측에 설치된 프론트 플래튼(23)으로 구성된다. 리어 플래튼(21)의 후단측 및 프론트 플래튼(23)의 전단측은 각각 매끄러운 곡선을 그리며 아래쪽으로 뻗고, 풀림장치(3)로부터 풀려나와 플래튼(20)에 도입된 인쇄매체(M)가, 리어 플래튼(21), 메인 플래튼(22), 프론트 플래튼(23)의 순으로 각 윗면을 매끄럽게 이동한 후, 프론트 플래튼(23)으로부터 토출되어 감김장치(4)에 감긴다.
메인 플래튼(22)의 지지면에는, 직경이 수mm 정도인 흡착구멍이 다수 개구형성되는 동시에, 그 아래쪽에 감압실(25)이 설치되어 부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감압실(25)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프린트부에서 인쇄매체(M)를 흡착보유하여, 인쇄중에 인쇄매체(M)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되어 있다.
미디어 이동기구(30)는, 좌우로 뻗은 회전축 둘레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둘레면이 메인 플래튼(22)의 지지면에 노출되어 설치된 원통형상의 이송롤러(31)와, 이송롤러(31)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롤러구동모터(33)와, 이송롤러(31)의 축단에 결합된 종동 도르래와 롤러구동모터(33)의 축단에 결합된 구동 도르래 사이에 감겨진 타이밍 벨트(32)와, 각각 전후로 회전이 자유로운 핀치롤러(36)를 가지고 이송롤러(31)의 위쪽에 좌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 어셈블리(35)로 구성된다.
롤러 어셈블리(35)는, 핀치롤러(36)를 이송롤러(31)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한 클램프 위치와, 핀치롤러(36)를 이송롤러(31)의 위쪽으로 이격시킨 언클램프 위치로 변위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고, 롤러 어셈블리(35)를 클램프 위치에 설정하여 인쇄매체(M)를 상하의 롤러(36, 31)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이송롤러(31)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쇄매체(M)가 이송롤러(31)의 회전각도에 따른 이송량 즉, 인쇄 컨트롤러(70)로부터 롤러구동모터(33)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른 이송량으로 전후로 반송된다.
캐리지(40)는, 이송롤러(31)와 평행하게 좌우로 뻗어서 상부 프레임(11U)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45)에 좌우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가이드 레일(45)은 직동축받이의 지지레일이고, 이 가이드 레일(45)에 끼워진 슬라이드 블록에 캐리지(40)가 고정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캐리지 이동기구(5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된다.
캐리지 이동기구(50)는, 가이드 레일(45) 좌우의 측단 근방에 설치된 구동 도르래(51) 및 종동 도르래(52)와, 구동 도르래(51)를 회전 구동하는 캐리지 구동모터(53)와, 구동 도르래(51)와 종동 도르래(52)에 감겨진 타이밍 벨트(55)로 이루어지고, 캐리지(40)가 타이밍 벨트(55)에 연결 고정되어 구성된다. 캐리지 구동모터(53)의 회전은 인쇄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고, 인쇄 컨트롤러(70)로부터 캐리지 구동모터(53)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른 이송량으로 캐리지(40)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왕복이동)시킨다.
잉크젯 헤드(60)는, 아랫면에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랫면(노즐면)이 인쇄매체(M)와 소정의 갭(간격)을 두도록 캐리지(40)에 고정 지지된다. 잉크젯 헤드(60)의 배치구성에는 여러가지 구성형태가 있으며 적절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4색(예를 들어,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의 잉크젯 헤드(60)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한 헤드 구성을 예시한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캐리지 승강기구에 의해 캐리지(40)를 상하로 승강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잉크젯 헤드(60)의 노즐면과 인쇄매체(M)의 갭을 인쇄매체(M)의 표면상태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인쇄 컨트롤러(70)는, 미디어 이동기구(30)에서의 롤러구동모터(3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플래튼(20) 위에 지지된 인쇄매체(M)를 전방으로 간헐이송하여 위치결정하고, 더욱이 캐리지 이동기구(50)에서의 캐리지 구동모터(53)의 구동과 각 잉크젯 헤드(60)의 노즐로부터의 잉크토출을 동기제어함으로써, 인쇄매체(M)에 인쇄 프로그램에 따른 문자나 도형 등의 화상을 형성한다. 이 때, 미디어 이동기구(30)에 의한 플래튼(20) 위에서의 인쇄매체(M)의 이송량에 따라, 풀림장치(3)에 의해 미인쇄상태의 인쇄매체(M)가 풀려나와 플래튼(20)에 도입되는 동시에, 감김장치(4)에 의해 플래튼(20)으로부터 토출된 인쇄완료된 인쇄매체(M)가 감긴다.
이어서, 풀림장치(3) 및 감김장치(4)에 대하여 설명한다. 풀림장치(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2)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고, 미인쇄상태의 인쇄매체(M)가 감겨진 통형상의 풀림축(6)(도 2를 참조)을 지지하는 동시에 풀림축(6)을 회전시켜서 인쇄매체(M)를 풀어내는 미디어 풀림수단(80)과, 미디어 풀림수단(80)에 풀려서 플래튼(20)에 도입되는 동안의 인쇄매체(M)에 장력을 부여하는 풀림측 텐션부여수단(90)과, 미디어 풀림수단(80)에 의한 인쇄매체(M)의 풀림량을 제어하는 풀림 컨트롤러(100)로 구성된다.
미디어 풀림수단(80)은, 풀림축(6)에 삽입되어 풀림축(6)과 일체로 회전가능한 막대형상의 지지 샤프트(shaft;81)와, 좌우의 지지다리(2a)의 뒤쪽 중간부에 설치되어 지지 샤프트(81)를 회전이 자유롭고 착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부(82, 82)와, 좌측 샤프트 지지부(82) 안에 설치되어 지지 샤프트(81)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샤프트 구동기구(85)로 구성된다. 샤프트 구동기구(85)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나 이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지지 샤프트(81)의 단부에 감겨진 타이밍 벨트 등을 가지고 구성되며, 풀림 컨트롤러(10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지지 샤프트(81)를 회전구동한다. 지지 샤프트(81)에 의해 좌우의 샤프트 지지부(82, 82) 사이에 지지된 미인쇄상태의 인쇄매체(M)는, 지지 샤프트(81)의 회전량(회전속도)에 따른 풀림량(풀림속도)으로 플래튼(20)(리어 플래튼(21))을 향하여 풀린다.
풀림측 텐션부여수단(90)은,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매체(M)에 좌우로 횡단하여 맞닿는 원기둥 막대형상의 텐션바(91), 좌우의 지지다리(2a)의 바닥부(2b) 위에 설치된 회전축 지지부(92), 좌우의 회전축 지지부(92)에 가설(架設)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풀림측 회전축(94), 및 기단부가 풀림측 회전축(94)의 단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텐션바(91)의 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미디어 암(93)으로 구성되는 풀림측 텐션부여기구(95)와, 기단부가 풀림측 회전축(94)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99)가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으로 구성되는 풀림측 텐션조정기구(96)와, 풀림측 회전축(94)에 고정되어 풀림측 회전축(94)과 일체로 회전하는 고정링(97)으로 구성된다.
미디어 암(9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단부가 풀림측 회전축(94)의 좌우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이 기단부를 중심으로 풀림측 회전축(94)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요동이 가능하며,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요동하여 선단부에 지지한 텐션바(91)를 풀림축(6)으로부터 풀려나와 플래튼(20)에 도달하는 동안의 인쇄매체(M)에 맞닿게 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미디어 암(93)의 기단부 근방에는, 미디어 암(93)의 요동각도 즉, 텐션바(91)의 높이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요동각도 검출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요동각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신호가 풀림 컨트롤러(100)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링(97)은, 좌우로 뻗은 풀림측 회전축(94)과 일체로 즉, 풀림측 회전축(94)에 고정된 미디어 암(93)의 요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풀림측 회전축(9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링측 돌출부(9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링측 돌출부(97a)는, 미디어 암(93)의 아래쪽으로의 요동에 따라 좌측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미디어 암(93)이 소정의 요동각도(이하, 맞물림 개시각도라고 함)가 되었을 때, 후술하는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의 암측 돌출부(98a)의 아랫면에 비로소 맞닿게 되어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링측 돌출부(97a)가 암측 돌출부(98a)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고정링(97)과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의 맞물림 상태라고 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은 기단부가 고정링(97)에 인접하여 풀림측 회전축(94)에 축지지되고, 그 기단부로부터 앞쪽으로 후술하는 감김측 회전축(124)을 아래쪽으로부터 걸치도록 뻗어 형성되어 있다. 이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은 후술하는 감김 밸러스트 암(128)에 대하여 좌우방향(인쇄매체(M)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설치되고(도 4 참조), 측면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서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의 선단부에 설치된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99)는, 고정링(97)과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이 맞물림 상태일 때, 측면에서 보아 텐션바(91)와 풀림측 회전축(94)을 잇는 직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99)는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의 선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한 복수개의 추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이 추 부재의 개수를 바꿈으로써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99)의 중량을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의 기단부 근방에는 고정링(97)측으로 돌출한 암측 돌출부(98a)가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암(93)이 맞물림 개시각도가 되었을 때, 암측 돌출부(98a)에 고정링(97)의 링측 돌출부(97a)가 맞닿아서 고정링(97)과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이 맞물림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맞물림 상태일 때, 즉 미디어 암(98)이 맞물림 개시각도보다 아래쪽에서 요동할 때는,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이 기단부(풀림측 회전축(94))를 중심으로 미디어 암(93)의 요동에 따라(미디어 암(93)과 연동하여) 상하로 요동한다(도 6의 (a)의 참조). 한편, 비맞물림 상태일 때, 즉 미디어 암(93)이 맞물림 개시각도보다 위쪽에서 요동할 때는,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이 지지다리(2a)의 바닥부(2b) 위에 맞닿아서 정지상태가 된다(도 5 참조).
한편, 미디어 암(93)이 맞물림 개시각도보다 아래쪽으로 요동하여 소정의 요동각도(이하, 하한 요동각도라고 함)가 되었을 때는, 미디어 암(93)의 선단이 바닥부(2b)에 설치된 스톱퍼 부재(2c)에 맞닿아서, 미디어 암(93)이 그 이상 아래쪽으로 요동하는 것이 규제된다(도 6의 (b) 참조). 이 때, 풀림측 밸러스트 암(98)과 감김측 회전축(124)이 맞닿지 않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풀림측 텐션부여수단(90)에서는, 텐션바(91) 및 좌우의 미디어 암(93)의 자체 중량에 의해 미디어 암(93)이 풀림축(6)으로부터 플래튼(20)에 도달하는 동안의 인쇄매체(M)의 길이(이하, 인쇄매체(M)의 풀림측 느슨해짐이라고 한다)에 따라 아래쪽으로 요동하고, 텐션바(91)를 인쇄매체(M)의 안쪽에 맞닿게 하여 인쇄매체(M)를 굴곡시킴으로써, 인쇄매체(M)에 대하여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텐션바(91)의 높이위치 즉, 미디어 암(93)의 요동각도에 따른 장력을 부여한다.
이 때, 미디어 암(93)이 맞물림 요동각도보다 아래쪽(도 7에 나타낸 요동범위(B))에서 요동하는 경우에는, 고정링(97)과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이 맞물려서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이 미디어 암(93)과 연동하여,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99)에 의해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인쇄매체(M)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상술한 경우보다 장력이 줄어든다). 이 때, 인쇄매체(M)의 특성(경도 등)에 따라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99)의 중량을 변경함으로써, 인쇄대상이 되는 인쇄매체(M)에 적합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99)가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을 통하여 텐션바(91) 및 풀림측 회전축(94)과 측면에서 보아 일직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99)의 중량을 인쇄매체(M)에 부여하는 장력에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한편, 미디어 암(93)이 맞물림 개시각도보다 위쪽(도 7에 나타내는 요동범위(A))에서 요동하는 경우에는, 고정링(97)과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이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미디어 암(93)이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으로부터 떨어져나와, 인쇄매체(M)에는 텐션바(91) 및 미디어 암(93)의 중량에 의한 장력이 부여된다.
풀림 컨트롤러(10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회전축 지지부(92) 안에 배치되어 있고, 미디어 풀림수단(80)의 샤프트 구동기구(85)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지지 샤프트(81)에 지지된 인쇄매체(M)를 미디어 이동기구(30)(도 3 참조)에 의한 플래튼(20) 상에서의 인쇄매체(M)의 이송량에 근거한 소정의 풀림량으로 풀어낸다. 또한, 풀림 컨트롤러(100)는 미디어 암(93)의 요동각도가 소정의 요동범위로 유지되도록 풀림량을 제어한다. 한편, 이 소정의 요동범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술한 요동범위(B) 내로 설정하면, 풀림측 텐션조정기구(96)에 의해 인쇄매체(M)에 부여하는 장력을 항상 조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감김장치(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2)의 앞쪽에 설치되어 있고, 인쇄가 끝난 인쇄매체(M)를 감기 위한 통형상의 감김축(8)(도 2 참조)을 지지하는 동시에 감김축(8)을 회전시켜서 인쇄매체(M)를 감는 미디어 감김수단(110)과, 플래튼(20)으로부터 토출되어 미디어 감김수단(110)에 감기는 동안의 인쇄매체(M)에 장력을 부여하는 감김측 텐션부여수단(120)과, 미디어 감김수단(110)에 의한 인쇄매체(M)의 감김량을 제어하는 감김 컨트롤러(130)로 구성된다. 한편, 감김장치(4)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풀림장치(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미디어 감김수단(110)은, 감김축(8)에 삽입되어 감김축(8)과 일체로 회전이 가능한 막대형상의 지지 샤프트(111)와, 좌우의 지지다리(2a)의 앞쪽 중간부에 설치되어 지지 샤프트(111)를 회전이 자유롭고 착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부(112, 112)와, 좌측 샤프트 지지부(112) 안에 설치되어 지지 샤프트(111)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샤프트 구동기구(115)로 구성된다. 샤프트 구동기구(115)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나 이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지지 샤프트(111)의 단부에 감겨진 타이밍 벨트 등을 가지고 구성되며, 감김 컨트롤러(13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지지 샤프트(111)를 회전구동한다. 플래튼(20)(프론트 플래튼(23))으로부터 토출되는 인쇄가 끝난 인쇄매체(M)는, 지지 샤프트(111)에 의해 좌우의 샤프트 지지부(112, 112) 사이에 지지된 감김축(8)의 주위로, 지지 샤프트(111)의 회전량(회전속도)에 따른 감김량(감김속도)으로 감긴다.
감김측 텐션부여수단(120)은,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매체(M)에 좌우로 횡단하여 맞닿는 원기둥 막대형상의 텐션바(121), 좌우의 지지다리(2a)의 바닥부(2b) 위에 설치된 회전축 지지부(122), 좌우의 회전축 지지부(122)에 가설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감김측 회전축(124), 및 기단부가 감김측 회전축(124)의 단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텐션바(121)의 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미디어 암(123)으로 구성되는 감김측 텐션부여기구(125)와, 기단부가 감김측 회전축(124)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129)가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으로 구성되는 감김측 텐션조정기구(126)와, 감김측 회전축(124)에 고정되어 감김측 회전축(124)과 일체로 회전하는 고정링(127)으로 구성된다.
미디어 암(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단부가 감김측 회전축(124)의 좌우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이 기단부를 중심으로 감김측 회전축(124)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요동이 가능하며,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요동하여 선단부에 지지한 텐션바(121)를 플래튼(20)으로부터 토출되어 감김축(8)에 감기는 동안의 인쇄매체(M)에 맞닿게 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미디어 암(123)의 기단부 근방에는, 미디어 암(123)의 요동각도 즉, 텐션바(121)의 높이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요동각도 검출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요동각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신호가 감김 컨트롤러(130)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링(127)은, 좌우로 뻗은 감김측 회전축(124)과 일체로 즉, 감김측 회전축(124)에 고정된 미디어 암(123)의 요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감김측 회전축(124)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링측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링측 돌출부는, 미디어 암(123)의 아래쪽으로의 요동에 따라 좌측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미디어 암(123)이 소정의 요동각도(이하, 맞물림 개시각도라고 함)가 되었을 때, 후술하는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의 암측 돌출부(128a)의 아래면에 비로소 맞닿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측 돌출부가 암측 돌출부(128a)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고정링(127)과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의 맞물림 상태라고 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은 기단부가 고정링(127)에 인접하여 감김측 회전축(124)에 축지지되고, 그 기단부로부터 뒤쪽으로 풀림측 회전축(94)을 아래쪽으로부터 걸치도록 뻗어 형성되어 있다. 이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은 풀림측 밸러스트 암(98)에 대하여 좌우방향(인쇄매체(M)의 이송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설치되고(도 4 참조), 측면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서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의 선단부에 설치된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129)는, 고정링(127)과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이 맞물림 상태일 때, 측면에서 보아 텐션바(121)와 감김측 회전축(124)을 잇는 직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129)는 상술한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99)와 마찬가지로,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의 선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한 복수개의 추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이 추 부재의 개수를 바꿈으로써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129)의 중량을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의 기단부 근방에는 고정링(127)측으로 돌출한 암측 돌출부(128a)가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암(123)이 맞물림 개시각도가 되었을 때, 암측 돌출부(128a)에 고정링(127)의 링측 돌출부가 맞닿아서 고정링(127)과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이 맞물림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맞물림 상태일 때, 즉 미디어 암(123)이 맞물림 개시각도보다 아래쪽에서 요동할 때는,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이 기단부(감김측 회전축(124))를 중심으로 미디어 암(123)의 요동에 따라(미디어 암(123)과 연동하여) 상하로 요동한다. 한편, 비맞물림 상태일 때, 즉 미디어 암(123)이 맞물림 개시각도보다 위쪽에서 요동할 때는,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이 지지다리(2a)의 바닥부(2b) 위에 맞닿아서 정지상태가 된다.
한편, 미디어 암(123)이 맞물림 개시각도보다 아래쪽으로 요동하여 소정의 요동각도(이하, 하한요동각도라고 함)가 되었을 때는, 미디어 암(123)의 선단부가 바닥부(2b)에 설치된 스톱퍼 부재(2c)에 맞닿아서, 미디어 암(123)이 그 이상 아래쪽으로 요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때,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과 풀림측 회전축(94)은 맞닿지 않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감김측 텐션부여수단(120)에서는, 텐션바(121) 및 좌우의 미디어 암(123)의 자체 중량에 의해 미디어 암(123)이 플래튼(20)으로부터 감김축(8)에 감겨질 때까지의 인쇄매체(M)의 길이(이하, 인쇄매체(M)의 감김측 느슨해짐이라고 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요동하고, 텐션바(121)를 인쇄매체(M)의 안쪽에 맞닿게 하여 인쇄매체(M)를 굴곡시킴으로써, 인쇄매체(M)에 대하여 반송방향으로 텐션바(121)의 높이위치 즉, 미디어 암(123)의 요동각도에 따른 장력을 부여한다.
이 때, 미디어 암(123)이 맞물림 요동각도보다 아래쪽(도 7에 나타내는 요동범위(D))에서 요동하는 경우에는, 고정링(127)과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이 맞물려서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이 미디어 암(123)과 연동하여,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129)에 의해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인쇄매체(M)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상술한 경우보다 장력이 줄어된다). 이 때, 인쇄매체(M)의 종류에 따라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129)의 중량을 바꿈으로써, 인쇄대상이 되는 인쇄매체(M)에 적합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129)가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을 통하여 텐션바(121) 및 감김측 회전축(124)과 측면에서 보아 일직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129)의 중량을 인쇄매체(M)에 부여하는 장력에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한편, 미디어 암(123)이 맞물림 개시각도보다 위쪽(도 7에 나타내는 요동범위(C))에서 요동하는 경우에는, 고정링(127)과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이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미디어 암(123)이 감김측 밸러스트 암(128)으로부터 떨어져나와, 인쇄매체(M)에는 텐션바(121) 및 미디어 암(123)의 자체 중량에 의한 장력이 부여된다.
감김 컨트롤러(13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회전축 지지부(122) 안에 배치되어 있고, 미디어 감김수단(110)의 샤프트 구동기구(115)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지지 샤프트(111)에 지지된 감김축(8)에 인쇄가 끝난 인쇄매체(M)를 미디어 이동기구(30)(도 3 참조)에 의한 플래튼(20) 상에서의 인쇄매체(M)의 이송량에 근거한 소정의 감김량으로 감는다. 또한, 감김 컨트롤러(130)는 미디어 암(123)의 요동각도가 소정의 요동범위로 유지되도록 감김량을 제어한다. 한편, 이 소정의 요동범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술한 요동범위(D) 내로 설정하면, 감김측 텐션조정기구(126)에 의해 인쇄매체(M)에 부여하는 장력을 항상 조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풀림측 텐션부여수단(90)과 감김측 텐션부여수단(120)에서는, 풀림측 텐션조정기구(96)(풀림측 밸러스트 암(98)) 및 감김측 텐션조정기구(126)(감김측 밸러스트 암(128))가 인쇄매체(M)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좌우방향)으로 어긋나 설치되고, 측면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져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는 종래의 풀림측 및 감김측 텐션부여수단과 비교하여, 풀림측 텐션부여수단(90) 및 감김측 텐션부여수단(120)의 공간을 대폭 절약(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암(93, 123)의 요동각도에 따라, 미디어 암(93, 123)이 밸러스트 암(98, 128)으로부터 떨어져나와 인쇄매체(M)에 텐션바(91, 121) 및 미디어 암(93, 123)의 자체 중량에 의한 장력이 부여되는 상태와, 밸러스트 암(98, 128)이 미디어 암(93, 123)과 연동하여 밸러스트 부재(99, 129)에 의해 밸러스트 암(98, 128)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인쇄매체(M)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텐션부여수단과 비교하여 한층 넓은 범위에서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M: 인쇄매체 1: 프린터 본체
2: 지지부(지지체) 3: 미디어 풀림장치
4: 미디어 감김장치 80: 미디어 풀림수단
90: 풀림측 텐션부여수단 92, 122: 회전축 지지부(지지체)
93, 123: 미디어 암(텐션암) 95: 풀림측 텐션부여기구
96: 풀림측 텐션조정기구 97, 127: 고정링(전환기구)
98: 풀림측 밸러스트 암 98a, 128a: 암측 돌출부(전환기구)
99: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 110: 미디어 감김수단
120: 감김측 텐션부여수단 125: 감김측 텐션부여기구
126: 감김측 텐션조정기구 128: 감김측 밸러스트 암
129: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

Claims (2)

  1. 인쇄매체에 대하여 인쇄를 하는 프린터 본체와, 상기 프린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장척 시트형상의 인쇄매체를 상기 프린터 본체를 향하여 풀어내는 미디어 풀림수단과, 상기 미디어 풀림수단에 의해 풀려나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서 인쇄된 상기 인쇄매체를 감는 미디어 감김수단과, 상기 미디어 풀림수단에 의해 풀려나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 도달하는 동안의 상기 인쇄매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풀림측 텐션부여수단과, 상기 프린터 본체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미디어 감김수단에 의해 감기는 동안의 상기 인쇄매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을 가지고, 상기 프린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의 한쪽에 위치하여 상기 미디어 풀림수단 및 상기 풀림측 텐션부여수단이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다른 쪽에 위치하여 상기 미디어 감김수단 및 상기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이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풀림측 텐션부여수단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롭게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감김측 텐션부여수단 쪽으로 뻗은 풀림측 밸러스트 암 및 상기 풀림측 밸러스트 암의 선단에 설치된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로 구성되는 풀림측 텐션조정기구를 가지고, 상기 풀림측 밸러스트 부재에 의해 상기 풀림측 밸러스트 암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상기 풀림측 텐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롭게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풀림측 텐션부여수단 쪽으로 뻗은 감김측 밸러스트 암 및 상기 감김측 밸러스트 암의 선단에 설치된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로 구성되는 감김측 텐션조정기구를 가지고, 상기 감김측 밸러스트 부재에 의해 상기 감김측 밸러스트 암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상기 감김측 텐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풀림측 텐션조정기구 및 상기 감김측 텐션조정기구가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설치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정면방향으로 하는 측면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겹쳐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2. 인쇄매체에 대하여 인쇄를 하는 프린터 본체와, 장척 시트형상의 인쇄매체를 상기 프린터 본체를 향하여 풀어내는 미디어 풀림수단과, 상기 미디어 풀림수단에 의해 풀려나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서 인쇄된 상기 인쇄매체를 감는 미디어 감김수단과, 상기 미디어 풀림수단에 의해 풀려나와 상기 미디어 감김수단에 의해 감기는 동안의 상기 인쇄매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부여수단을 가지고 구성되는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여수단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로운 텐션암을 가지고,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요동하는 상기 텐션암의 선단이 상기 인쇄매체에 맞닿아서 상기 인쇄매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부여기구와,
    상기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자유로운 밸러스트 암 및 상기 밸러스트 암에 설치된 밸러스트 부재를 가지고, 상기 밸러스트 부재에 의해 상기 밸러스트 암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여 상기 텐션부여기구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부여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텐션조정기구와,
    상기 텐션암이 소정의 요동각도로부터 한쪽으로 요동할 때 상기 텐션암을 상기 밸러스트 암과 맞물리게 하여 상기 텐션조정기구에 의해 상기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상태와, 상기 텐션암이 소정의 요동각도로부터 다른 쪽으로 요동할 때 상기 텐션암을 상기 밸러스트 암으로부터 떨어뜨려서 상기 텐션조정기구에 의해 상기 토크를 작용시키지 않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KR1020117013927A 2009-01-30 2009-01-30 잉크젯 프린터 KR101212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1660 WO2010087013A1 (ja) 2009-01-30 2009-01-30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367A true KR20110095367A (ko) 2011-08-24
KR101212580B1 KR101212580B1 (ko) 2012-12-14

Family

ID=4239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927A KR101212580B1 (ko) 2009-01-30 2009-01-30 잉크젯 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37415B2 (ko)
EP (1) EP2385009B1 (ko)
JP (1) JP5289466B2 (ko)
KR (1) KR101212580B1 (ko)
CN (1) CN102300797B (ko)
WO (1) WO20100870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4009A2 (en) 2011-09-21 2013-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apparatus based on content name, method of generating and authenticating content name
KR20140131990A (ko) * 2013-01-31 2014-11-14 로란드디지코오포레이션 기록매체의 권취 기구 및 프린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012A1 (ja) * 2009-01-30 2010-08-05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6755635B2 (ja) * 2013-12-26 2020-09-16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JP6179877B2 (ja) 2015-02-16 2017-08-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裏反転ユニット、巻き取りずれ防止ユニット、巻き取りずれ防止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6554443B2 (ja) * 2016-05-27 2019-07-31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リンタ及び搬送装置
CN106494086B (zh) * 2016-11-14 2018-09-07 浙江美格机械股份有限公司 扫描式数码高速喷墨印花机
CN109230745B (zh) * 2018-07-27 2020-05-05 郑州新世纪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走纸平稳带电控摆辊的写真机
WO2022019916A1 (en) * 2020-07-24 2022-01-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ing tension of a media during printing
CN114643791A (zh) * 2020-12-21 2022-06-21 罗兰Dg有限公司 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2654C2 (de) * 1979-01-24 1980-11-13 Control Commerce Ag, Ilanz, Graubuenden (Schweiz) Papiertransportvorrichtung für Registrierkassen, Datenverarbeitungsmaschinen o.dgl
JPS5843652A (ja) 1981-09-09 1983-03-14 Hitachi Ltd 直流駆動型ジヨセフソン回路
JPS5843652U (ja) * 1981-09-14 1983-03-2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テ−プレコ−ダのテンシヨンア−ム装置
JPS6026555A (ja) * 1983-07-20 1985-02-09 Hakutou Kk フイルム張力緩和装置
GB2152326B (en) * 1983-12-26 1988-02-17 Casio Computer Co Ltd Document reading apparatus utilizing printer mechanism
JP2992725B2 (ja) * 1992-09-29 1999-12-20 グラフテック株式会社 ロール紙供給装置のテンション機構
JP3817361B2 (ja) * 1997-03-13 200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3252501A (ja) 2002-03-04 2003-09-10 Ishida Co Ltd ラベル発行装置
JP2004314565A (ja) * 2003-04-21 2004-11-11 Mutoh Ind Ltd 記録装置
KR100456811B1 (ko) * 2003-08-19 2004-11-10 주식회사 태일시스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터
JP4669438B2 (ja) 2006-05-15 2011-04-13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印刷装置、搬送装置、及び印刷方法
JP4909785B2 (ja) * 2007-03-28 2012-04-04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リンタ/プロッタ装置
JP4990002B2 (ja) * 2007-03-30 2012-08-01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リンタ・プロッタ装置
JP4990001B2 (ja) * 2007-03-30 2012-08-01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リンタ・プロッタ装置
JP4929038B2 (ja) 2007-05-09 2012-05-09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4009A2 (en) 2011-09-21 2013-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apparatus based on content name, method of generating and authenticating content name
KR20140131990A (ko) * 2013-01-31 2014-11-14 로란드디지코오포레이션 기록매체의 권취 기구 및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7013A1 (ja) 2010-08-05
JPWO2010087013A1 (ja) 2012-07-26
CN102300797B (zh) 2014-07-02
US20110279867A1 (en) 2011-11-17
US8537415B2 (en) 2013-09-17
EP2385009A1 (en) 2011-11-09
EP2385009A4 (en) 2012-08-29
JP5289466B2 (ja) 2013-09-11
EP2385009B1 (en) 2013-07-24
KR101212580B1 (ko) 2012-12-14
CN102300797A (zh)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580B1 (ko) 잉크젯 프린터
KR20110095369A (ko) 잉크젯 프린터
JP604050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120069076A1 (en) Recording apparatus
EP2631072B1 (en) Cleaning apparatus for liquid ejection head,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WO2015005268A1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765562B2 (ja) 液体吐出装置
WO1999061357A1 (fr) Appareil d'alimentation de materiau brut comportant une fonction de correction de direction
JP6217249B2 (ja) 画像形成装置
JPWO2014083694A1 (ja) 長尺帯状体の印刷方法と印刷装置
JP2012139829A (ja) 画像形成装置
JP5518170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1417697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89609A (ja) 画像形成装置
JP4352248B2 (ja) 記録装置
JP596696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163805B2 (ja) 画像形成装置
TWI480169B (zh) A media feeding device, a media feeding device, and a printing system
JP2018020494A (ja) 印刷装置
JP624151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98650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58738A (ja) 印字用紙搬送機構
JP2017065108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のメンテナンス機構
JP6331833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チューブ位置修正方法
JP2005280977A (ja) 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