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814A -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814A
KR20110091814A KR1020117015996A KR20117015996A KR20110091814A KR 20110091814 A KR20110091814 A KR 20110091814A KR 1020117015996 A KR1020117015996 A KR 1020117015996A KR 20117015996 A KR20117015996 A KR 20117015996A KR 20110091814 A KR20110091814 A KR 20110091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ferrite
weld heat
hard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747B1 (ko
Inventor
데루키 사다스에
사토시 이기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25Hardening, combined with annealing between 300 degrees Celsius and 600 degrees Celsius, i.e. heat refining ("Vergü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 안전성이 요구되는 파이프라인, 교량, 건축물 등의 용접 구조물에 사용하여, 바람직한 강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질량% 로 C : 0.02 ∼ 0.2 %, Si : 0.01 ∼ 0.5 %, Mn : 0.5 ∼ 2.5 %, P : 0.05 % 이하, S : 0.05 % 이하, Al : 0.1 % 이하, N : 0.01 % 이하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Cu : 0.01 ∼ 2 %, Ni : 0.01 ∼ 5 %, Cr : 0.01 ∼ 3 %, Mo : 0.01 ∼ 2 %, Nb : 0.1 % 이하, V : 0.1 % 이하, Ti : 0.1 % 이하, B : 0.01 % 이하, Ca : 0.01 % 이하, REM : 0.1 % 이하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고, 판두께의 1/4 위치의 마이크로 조직이 페라이트와 경질상으로 이루어지고, 경질상의 면적분율이 50 ∼ 90 % 이며, 또한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1.5 이상인 강재.

Description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STEEL WITH EXCELLENT ANTI-DUCTILE CRACK 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WELD HEAT-AFFECTED ZONE AND BAS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구조 안전성이 요구되는 파이프라인 (pipeline), 교량, 건축물 (architectural structure) 등의 용접 구조물 (welded structure) 에 사용하여, 바람직한 강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용접열 영향부 (welded heat affected zone)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 (resistance of ductile crack initiation) 이 우수한 것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함과 함께, 인장 강도 : TS 로 490 ㎫ 이상의 강도와, 샤르피 충격 시험 (Charpy impact test) (JIS Z 2242 의 규정에 준거) 의 연성/취성 파면 천이 온도 (ductile-brittle fracture transition temperature) : vTrs 가 0 ℃ 이하의 고인성(高靭性)을 갖는 구조용 강재를 대상으로 한다.
파이프라인, 교량, 건축물 등의 용접 구조물은, 지진 등의 큰 외적 부하 (external load) 에 노출된 경우, 용접 지단부 (weld toe) 등의 응력 집중 부위 (stress concentration zone) 에 있어서, 연성 균열 (ductile crack) 이 발생하고, 발생한 연성 균열이 트리거 (trigger) 로 되어, 취성 파괴 (brittle fracture) 가 발생하여 구조물의 파손 (break), 파괴 (fracture) 에 이르는 경우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용접 구조물의 파손, 파괴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그것들을 구성하는 강재가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것이 중요하다.
특허문헌 1 에는, 강재 표면부의 마이크로 조직 (microstructure) 이, 페라이트 분율 (ferrite area fraction) 이 10 ∼ 40 %, 베이나이트 (bainite) 의 분율이 50 % 이상이며, 평균 입경 (average grain size) 이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고장력 강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마이크로 조직이 실질적으로 페라이트 조직, 펄라이트 조직 (pearlite structure) 및 베이나이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강판으로서, 강판의 양 표면부 및 판두께 방향의 중심부의 3 층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이 특정한 마이크로 조직을 갖고 있는 어레스트 특성 (arrestrability) 및 내연성 균열 파괴 특성 (resistance of ductile fracture) 이 우수한 강판이 기재되어 있다.
강판의 양 표면부는 판두께의 각 5 % 이상에 걸쳐, 원 상당 입경 : 7 ㎛ 이하, 애스펙트비 (aspect ratio) : 2 ∼ 4 의 페라이트 입자를 갖는 페라이트 조직을 50 % 이상 가지며, 또한 당해 부분의 베이나이트 분율이 5 ∼ 25 % 이하인 층으로 구성되고,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중심부는 판두께의 50 % 이상에 걸쳐, 원 상당 평균 입경 : 4 ∼ 10 ㎛, 애스펙트비 : 2 이하의 페라이트 입자를 가지며, 당해 부분의 베이나이트 분율이 10 % 이하인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2 의 기술은, 강판의 판 표면으로부터 판두께 방향을 향하여, 애스펙트비가 상이한 페라이트 입자로 이루어지는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을 갖는 층이 3 층 존재하고 있는 강판이며, 또한 연질상인 당해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 중에 경질상인 베이나이트 조직을 적절히 분산시킨 것이다. 이 중 강판의 양 표면부에는 각각, 애스펙트비가 큰 가공 페라이트 입자를 적극적으로 형성시킴과 함께, 베이나이트 조직을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써 어레스트 특성을 높이고, 한편 강판의 중앙부는 균일한 등축 페라이트 입자 조직으로 제어함과 함께, 베이나이트 조직을 억제함으로써 상온시의 연성 파괴에 대하여 중요한 신장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이 강판의 양 표면부 및 중앙부를 상기 3 층 구조로 제어함으로써, 「어레스트 특성」과 「연성 파괴 특성」이라는 상반되는 특성을 양방 만족시키는 기술이다.
또한, 특허문헌 3 의 기술도, 특허문헌 2 의 기술과 동일하게, 페라이트-펄라이트강의 강판 표층부에 가공 페라이트 입자를 형성시킴과 함께, 강판 내부의 마이크로 조직을 균일한 등축 페라이트 입자로 하는 기술이다.
즉, 특허문헌 3 에는 압연 조건을 엄격하게 제어하여 강판 표층부를 특정한 마이크로 조직으로 한 어레스트 특성 및 연성 파괴 특성이 우수한 후강판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연 도중의 두께를 t 로 하였을 때, 판두께 방향의 양 표면으로부터 0.05 t 이상 0.15 t 이하의 표층 영역 (surface layer zone) 에 대하여, Ar3 변태점 이상 900 ℃ 이하의 미재결정 온도역 (non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zone) 에 있어서 ε≥0.5 가 되는 상당 소성 변형 (equivalent plastic strain) (ε) 을 부여한다.
그 후, 상기 표층 영역의 잔류 누적의 상당 소성 변형량 (residual and cumulative equivalent plastic strain) (εr) 이 εr≥0.5 를 만족하는 시간 내에, 양 표면으로부터 판두께 t/4 위치보다 심부(芯部)측인 내부 영역의 온도를 Ar3 변태점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표층 영역을 2 ∼ 15 ℃/s 의 냉각 속도로 450 ∼ 650 ℃ 의 온도 범위가 될 때까지 냉각시키고, 이어서 압연을 재개한다.
재개한 압연에 있어서는, 상기 내부 영역에 대하여 0.35≤εr<0.55 의 잔류 누적 상당 소성 변형 (εr) 을 부여하고, Ar3 변태점 이상에서 압연을 완료시킴과 함께, 가공 발열 (processing heat) 및 내부 현열 (internal sensible heat) 에 의해 상기 표층 영역을 Ar3 변태점 이하까지 복열 (recuperate) 시키고, 그 후 평균 냉각 속도가 1 ∼ 10 ℃/s 가 되도록 냉각을 실시한다.
또한, 특허문헌 1 ∼ 3 의 기술은 모두 오스테나이트의 미재결정역 (세립화 온도역) 에서 압연 혹은, 압연 마무리 온도 Ar3 이상에서 압연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중에 미세한 서브그레인을 형성시켜, 변태 후의 조직을 미세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21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2817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1619호
그러나, 특허문헌 1 ∼ 3 의 기술은, 용접 등에 의해 표층부 조직이 용접열 영향부로 변화된 경우에는, 내연성 균열 발생의 효과가 상실되는 것이 염려된다.
또한, 특허문헌 1 의 실시예에 기재된 가열로로부터 추출된 슬래브 표면의 처리에 사용되는 스케일 브레이커 (scale breaker) 나 특허문헌 2 의 실시예에 기재된 세립화 온도역에서의 압연 공정과 설정한 온도역에서의 압연 공정이라는 2 단계에 걸친 압연, 나아가서는 특허문헌 3 과 같은 표층의 조직과 강판 내부의 조직을 나누어 만들기 위한 다단계의 압연이나 온도 제어는, 모두 제조 공정이 번잡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간이한 방법으로,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에 있어서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접열 영향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모재 조직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실시하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평균적인 조직을 나타내는 판두께의 1/4 위치에 있어서, 모재 조직을,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와 경질상 (hard phase) 의 면적분율을 규정한 페라이트와 경질상으로 한 경우, 용접열 영향부에 있어서도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점, 또한 그러한 강재는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도 우수한 점, 추가로 당해 마이크로 조직을 구비한 강판의 제조 조건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고, 추가로 검토를 거듭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즉,
(1) 질량% 로 C : 0.02 ∼ 0.2 %, Si : 0.01 ∼ 0.5 %, Mn : 0.5 ∼ 2.5 %, P : 0.05 % 이하, S : 0.05 % 이하, Al : 0.1 % 이하, N : 0.01 % 이하를 함유하며,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고, 판두께의 1/4 위치의 마이크로 조직이 페라이트와 경질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질상의 면적분율이 50 ∼ 90 % 이며, 또한 상기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2) 성분 조성에 추가로, 질량% 로 Cu : 0.01 ∼ 2 %, Ni : 0.01 ∼ 5 %, Cr : 0.01 ∼ 3 %, Mo : 0.01 ∼ 2 %, Nb : 0.1 % 이하, V : 0.1 % 이하, Ti : 0.1 % 이하, B : 0.01 % 이하, Ca : 0.01 % 이하, REM : 0.1 % 이하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3) 상기 (1) 또는 (2) 에 있어서, 강판 표면의 조직이 페라이트와 경질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40 % 를 초과하며, 또한 상기 페라이트 입경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2 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4) (1) 또는 (2) 에 기재된 성분을 갖는 강 소재를 1000 ℃ 이상으로 재가열하고, 90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율이 50 % 이상이며 압연 마무리 온도가 Ar3 점 ∼ Ar3-50 ℃ 가 되는 압연을 실시한 후, Ar3-10 ℃ ∼ Ar3-70 ℃ 에서 수랭을 개시하고, 500 ℃ 이하에서 수랭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의 제조 방법.
(5) 수랭을 실시한 후, 추가로 최고 가열 온도 Ac1 점 미만에서 템퍼링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에 기재된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지진 등에 의한 큰 변형이 강 구조물에 발생 했다 하더라도, 용접 지단부 등 응력 집중부로부터의 연성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강 구조물의 도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연성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강재를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산업상 각별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은, 용접열 영향부의 연성 균열 발생 시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1400 ℃ 재현 열 사이클재의 연성 균열 발생에 미치는 경질상의 면적분율 그리고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모재부의 연성 균열 발생 시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모재부의 연성 균열 발생에 미치는 경질상의 면적분율 그리고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 조성과 마이크로 조직을 규정한다. 성분 조성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는 간단히 % 로 나타낸다.
[성분 조성]
C : 0.02 ∼ 0.2 %
C 는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는 원소로, 본 발명에서는 특히 경질상의 생성에 기여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2 % 이상의 함유를 필요로 한다. 한편, 0.2 % 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연성 (ductility) 이나 굽힘 가공성 (bending workability) 을 저하시킴과 함께, 용접성 (weldability) 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C 는 0.02 ∼ 0.2 %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0.18 % 이다.
Si : 0.01 ∼ 0.5 %
Si 는 탈산제로서 작용함과 함께, 고용되어 강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 % 이상의 함유를 필요로 한다. 한편, 0.5 % 를 초과하는 함유는, 인성을 저하시킴과 함께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Si 는 0.01 ∼ 0.5 %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0.4 % 이다.
Mn : 0.1 ∼ 2.5 %
Mn 은 담금질성의 향상을 통하여, 강의 강도를 증가시킴과 함께, 인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 % 이상의 함유를 필요로 한다. 한편, 2.5 % 를 초과하는 함유는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Mn 은 0.1 ∼ 2.5 %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0 % 이다.
P : 0.05 % 이하
P 는 인성의 열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가능한 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0.05 % 까지는 허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P 는 0.05 % 이하로 한정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 이하이다.
S : 0.05 % 이하
S 는 강 중에서는 개재물로서 존재하여, 연성, 인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가능한 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0.05 % 까지는 허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S 는 0.05 % 이하로 한정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 이하이다.
Al : 0.1 % 이하
Al 은 탈산제로서 작용함과 함께, 결정립의 미세화에도 기여하는 원소이지만, 0.1 % 를 초과하는 과잉 함유는 인성의 저하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Al 은 0.1 % 이하로 한정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이하이다.
N : 0.01 % 이하
N 은 C 와 동일하게 고용 강화에 의해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이지만, 과잉 함유는 인성의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N 은 0.01 % 이하로 한정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 이하이다.
상기한 성분이 기본 성분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추가로, 원하는 특성에 따라 Cu : 0.01 ∼ 2 %, Ni : 0.01 ∼ 5 %, Cr : 0.01 ∼ 3 %, Mo : 0.01 ∼ 2 %, Nb : 0.1 % 이하, V : 0.1 % 이하, Ti : 0.1 % 이하, B : 0.01 % 이하, Ca : 0.01 % 이하, REM : 0.1 % 이하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Cu : 0.01 ∼ 2 %
Cu 는 담금질성의 증가나 고용을 통하여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0.01 % 이상의 함유를 필요로 한다. 한편, 2 % 를 초과하는 함유는, 용접성이 저하됨과 함께, 강재 제조시에 흠집이 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0.01 ∼ 2 % 의 범위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1 % 이다.
Ni : 0.01 ∼ 5 %
Ni 는 저온 인성의 향상, 담금질성의 증가, Cu 함유시에 Cu 의 열간 취성의 방지에 기여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0.01 % 이상의 첨가에서 관찰되는데, 5 % 이상의 첨가는 강재 비용의 저하를 초래함과 함께, 용접성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0.01 ∼ 5 % 의 범위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4.5 % 이다.
Cr : 0.01 ∼ 3 %
Cr 은 담금질성의 향상이나 템퍼링 연화 저항의 증가를 통하여, 강재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0.01 % 이상의 함유에서 관찰된다. 한편, 3 % 를 초과하는 첨가는 용접성과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0.01 ∼ 3 % 의 범위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2.5 % 의 범위로 한다.
Mo : 0.01 ∼ 2 %
Mo 는 담금질성의 향상이나 템퍼링 연화 저항의 증가를 통하여, 강재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0.01 % 이상의 함유에서 관찰된다. 한편, 2 % 를 초과하는 첨가는 용접성이나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0.01 ∼ 2 % 의 범위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1 % 의 범위로 한다.
Nb : 0.1 % 이하
Nb 는 템퍼링시에 탄화물 (carbide) 이나 탄질화물 (carbonitride) 로서 석출되어, 석출 강화 (precipitation strengthening) 를 통하여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Nb 는 압연시에 오스테나이트 입자를 미세화시켜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갖는다.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1 %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1 % 를 초과하는 함유는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0.1 % 이하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이하이다.
V : 0.1 % 이하
V 는 템퍼링시에 탄화물이나 탄질화물로서 석출되어, 석출 강화를 통하여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압연시에 오스테나이트 입자를 미세화시켜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갖는다.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1 %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1 % 를 초과하는 함유는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0.1 % 이하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이하이다.
Ti : 0.1 % 이하
Ti 는 용접열 영향부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를 미세화시켜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1 %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1 % 를 초과하는 첨가는 인성을 저하시킴과 함께, 강재 비용의 고등으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0.1 % 이하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이하로 한다.
B : 0.01 % 이하
B 는 소량의 함유로 담금질성을 향상시켜,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01 %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01 % 이하의 첨가는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0.01 % 이하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 이하로 한다.
Ca : 0.01 % 이하
Ca 는 CaS 개재물의 형태 제어에 의해 모재 인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용접열 영향부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01 %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01 % 를 초과하는 첨가는 CaS 개재물의 증가로 인해 인성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0.01 % 이하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9 % 이하이다.
REM : 0.1 % 이하
REM 은, 용접열 영향부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01 %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1 % 를 초과하는 첨가는 인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0.1 % 이하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이하로 한다.
또한, REM 은 희토류 원소인 Y, Ce 등의 총칭으로서, 여기서 말하는 첨가량은 이들 희토류 원소의 총량을 의미한다.
[마이크로 조직]
본 발명에 관련된 강재는, 판두께의 1/4 위치의 조직이 페라이트와 경질상으로 이루어지고, 경질상의 면적분율이 50 ∼ 90 % 이며, 또한 페라이트 입경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1.5 이상인 마이크로 조직을 구비한다. 경질상의 면적분율이50 % 미만 혹은, 90 % 초과 혹은, 페라이트 입경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1.5 미만인 범위에서는, 연성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페라이트 입경의 평균 애스펙트비의 상한값은, 특별히 규정할 필요가 없지만, 압연기의 능력 등으로부터 5 이하로 한다. 또한, 경질상의 면적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2 ∼ 90 %, 페라이트 입경의 평균 애스펙트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이상이다.
페라이트와 경질상으로 이루어지는 2 상의 혼합 조직에서는 모재의 항복비가 저하되어, 모재인 채로, 혹은 용접열 영향부를 시뮬레이트한 재현 열 사이클 (simulated heat cycle) 후에 있어서도 응력 집중부에서의 변형 집중 (strain concentration) 이 완화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페라이트 단상 혹은 경질상 단상인 경우에는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강재는, 강판 표면 (판 표면으로부터 1 ㎜) 의 조직이 페라이트와 경질상으로 이루어지고,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40 % 를 초과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또한, 페라이트 입경의 평균 애스펙트비는 2 를 초과한다.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40 % 미만 혹은, 페라이트 입경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2 이하에서는, 용접열 영향부에 있어서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열등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질상은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 혹은 베이나이트/마르텐사이트 혼합 조직이고, 면적분율로 하여 5 % 이하의 섬 형상 마르텐사이트 (island martensite, M-A constituent) (MA) 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도 2 는, 용접부의 재현 열 사이클 시험편 (simulated heat cycle specimen) (최고 가열 온도 1400 ℃) 을 사용하여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재의 경질상의 면적분율이 50 ∼ 90 % 이며, 또한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1.5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재현 열 사이클 후에도 연성 균열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는다.
도 2 에 나타낸 결과는, 본 발명 범위 내의 조성의 강을 다양한 제조 방법으로 제작하여 마이크로 조직을 변화시킨 강재로부터, 12 ㎜ 두께 (= 판두께 방향) × 12 ㎜ 폭 × 200 ㎜ 길이의 시험편을 판두께의 1/4 중심 (판두께 25 ㎜ 이하는 판두께의 1/2 중심) 에서부터 채취하고, 글리블 시험기 (Gleeble tester) 에 의해 용접부의 재현 열 사이클 (최고 가열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 6 s, 최고 가열 온도에서부터 실온까지의 냉각 속도 : 40 ℃/s) 을 부여하여 공시재로서 얻어졌다.
도 1 에, 시험편 형상 및 시험 조건을 나타낸다. 재현 열 사이클을 부여한 공시재 (시험편 1) 의 재현 열 사이클부 (2) 의 중앙에 길이 3 ㎜ 의 판두께 방향으로 편측 관통 노치 (single through-thickness edge notch) 를 도입한 것을 클램프 (clamp) (5) 로 구속하고, 나사 고정시킨 나이프 에지 (knife-edge) (4) 사이의 클립 게이지 (clip gage) (3) 변위로 0.6 ㎜ 까지 인장 재하 (tensile load) (화살표 6) 한 후, 제하(除荷)하고, 시험편 폭 중앙부까지 깎아넣기·경면 연마하여 노치 선단에서의 균열 발생 유무를 평가하였다. 노치 바닥으로부터의 연성 균열이 50 ㎛ 이상인 경우를 균열 발생이라고 정의하였다.
도 2 에 나타내는 결과는, 모재를 페라이트와 경질상의 복합 조직으로 함으로써, 재현 열 사이클 후의 조직에 있어서도 항복비 (0.2 % 내력(耐力)/인장 강도) 가 저하되어, 노치 선단부에 있어서의 변형 집중의 정도가 감소한 것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은 우수한 특성은 재현 열 사이클을 부여하지 않은 모재부에 있어서도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즉, 도 4 는,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에 미치는 모재부의 마이크로 조직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재의 경질상의 면적분율이 50 ∼ 90 % 이며, 또한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1.5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연성 균열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는다.
도 4 에 나타낸 모재부의 결과는, 본 발명 범위 내의 조성의 강을 다양한 제조 방법으로 제작하여 마이크로 조직을 변화시킨 강재로부터, 12 ㎜ 두께 (= 판두께 방향) × 12 ㎜ 폭 × 200 ㎜ 길이의 시험편을 판두께의 1/4 중심 (판두께 25 ㎜ 이하는 판두께의 1/2 중심) 에서부터 채취하여 실시하였다 (도 3).
도 3 에, 시험편 형상 및 시험 조건을 나타낸다. 공시재 (시험편 1) 의 중앙에 길이 3 ㎜ 의 판두께 방향으로 편측 관통 노치를 도입한 것을 클램프 (5) 로 구속하고, 나사 고정시킨 나이프 에지 (4) 사이의 클립 게이지 (3) 변위로 0.8 ㎜ 까지 인장 재하 (화살표 6) 한 후, 제하하고, 시험편 폭 중앙부까지 깎아넣기·경면 연마하여 노치 선단에서의 균열 발생 유무를 평가하였다. 노치 바닥으로부터의 연성 균열이 50 ㎛ 이상인 경우를 균열 발생이라고 정의하였다.
도 4 에 나타내는 결과는, 모재를 페라이트와 경질상의 복합 조직으로 함으로써, 항복비 (0.2 % 내력/인장 강도) 가 저하되어, 노치 선단부에 있어서의 변형 집중의 정도가 감소된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를 크게 하는 것, 즉 특정의 집합 조직이 발달함으로써, 모재인 채로, 및 재현 열 사이클 후에 있어서도, 미끄러짐면 (slip plane) 이 균열 발생 방향에 대하여 크게 경사져 있는 것도 요인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애스펙트비는, 압연 방향으로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압연 방향의 페라이트 입경 (장경)/판두께 방향 (단경) 의 페라이트 입경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재현 열 사이클의 최고 가열 온도가 760 ℃, 900 ℃, 1200 ℃ 인 경우도 도 2 와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본 발명에 관련된 강재는, 상기 성분의 강 소재에, 열간 압연 공정, 수랭 공정, 혹은 추가로 템퍼링 공정을 순차 실시함으로써 얻어진다.
열간 압연은, 1000 ℃ 이상으로 재가열하고, 900 ℃ 이상의 온도역에서 압하율이 50 % 이상이며 압연 마무리 온도가 Ar3 점 ∼ Ar3-50 ℃ 가 되는 것과 같은 압연을 실시한다. 보다 바람직한 압연 마무리 온도는 Ar3 점 미만 ∼ Ar3-40 ℃ 이다. 이 압연 마무리 온도 범위로 함으로써, 압연 중에 생성되는 페라이트에 가공 변형을 가할 수 있어, 페라이트의 애스펙트비를 높일 수 있다. 재가열 온도가 1000 ℃ 를 하회하는 경우, 강 소재에 원하는 누적 압하율을 부여하는 열간 압연을 실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900 ℃ 이상에서의 누적 압하율이 50 % 를 하회하는 경우, 원하는 강도, 인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압연 마무리 온도가 Ar3 점을 초과하는 경우, 페라이트의 애스펙트비가 1.5 이상이 되지 않는다. 압연 마무리 온도가 Ar3-50 ℃ 를 하회하는 경우, 그 후의 수랭에 의해 얻어지는 경질상의 분율이 50 % 이상이 되지 않는다.
수랭 공정은 열간 압연 후, 즉시 Ar3-10 ℃ ∼ Ar3-70 ℃ 에서 수랭을 개시하고, 500 ℃ 이하에서 수랭을 종료한다. 수랭 개시 온도가 Ar3-10 ℃ 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면적분율로 10 % 를 하회하는 페라이트 (면적분율로 90 % 를 초과하는 경질상) 가 된다. 또한, 수랭 개시 온도가 Ar3-70 ℃ 를 하회하는 경우나 열간 압연 후 즉시 (300 초 이내) 수랭을 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면적분율로 50 % 를 상회하는 페라이트 (면적분율로 50 % 에 못 미치는 경질상) 또는 본원 발명에서는 석출시키고 싶지 않은 펄라이트가 석출되게 되어, 원하는 특성을 만족할 수 없다.
상기한 냉각을 실시한 후, 추가로 Ac1 점 미만에서 템퍼링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템퍼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인성, 연성이 향상되어, 원하는 강도나 인성으로 조정할 수 있다. 템퍼링 온도가 Ac1 점을 초과하는 경우, 섬 형상 마르텐사이트가 대량으로 생성되어, 인성이 저하된다.
또한, Ar3 점, Ac1 점은, 각 성분의 함유량 (질량%) 에 기초하여,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Ar3 (℃) = 910 - 310C - 80Mn - 20Cu - 15Cr - 55Ni - 80Mo
Ac1 (℃) = 723 - 14Mn + 22Si - 14.4Ni + 23.3Cr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의 강 소재에, 표 2 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판두께 12 ∼ 100 ㎜ 의 강판으로 하였다.
얻어진 강판에 대하여, 조직 관찰, 인장 시험, 인성 시험, 재현 열 사이클 후의 연성 균열 발생 시험, 모재의 연성 균열 발생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방법은 다음의 (1) ∼ (5) 와 같이 하였다.
(1) 조직 관찰
얻어진 강판으로부터, 압연 방향으로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시험편을 채취하고, 경면 연마, 나이탈 에칭 후에, 판두께의 1/4 위치 및 표면 하 1 ㎜ 의 조직 관찰을 실시하였다. 관찰은 각각 시야수 : 20 시야에서 실시하였다. 면적분율은 페라이트와 경질상을 2 치화하고, 배율×200 으로 구하였다.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는, 배율×400 으로 그 시야에 있는 각각의 페라이트의 압연 방향의 길이와 판두께 방향의 길이를 구하고, 압연 방향의 길이/판두께 방향의 길이를 구하여, 그들의 평균값으로서 구하였다.
(2) 인장 시험
얻어진 강판으로부터, JIS Z 2201 (1998) 의 규정에 준거하여, 인장 방향이 강판의 압연 방향과 직각 방향이 되도록, 전체 두께 JIS 5 호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인장 시험은, JIS Z 2241 (1998) 에 준거하여 실시하고, 0.2 % 내력 (σ0.2), 인장 강도 (TS) 를 구하여, 정적인 인장 특성을 평가하였다.
(3) 인성 시험
얻어진 강판으로부터, JIS Z 2242 (2005) 의 규정에 준거하여, 길이 방향이 압연 방향과 평행 방향이 되도록 V 노치 시험편을 채취하고, 연성/취성 파면 천이 온도를 구하여, 인성을 평가하였다. 시험편은, 판두께가 20 ㎜ 이상인 경우에는 판두께의 1/4 위치, 판두께가 20 ㎜ 미만인 경우에는 판두께의 1/2 위치를 중심이 되도록 채취하였다.
(4) 재현 열 사이클 후의 연성 균열 발생 시험
얻어진 강판으로부터, 판두께의 1/4 중심 (판두께 25 ㎜ 이하는 판두께의 1/2 중심) 에서, 12 ㎜ 두께 (= 판두께 방향 = t) × 12 ㎜ 폭, 전체 길이 200 ㎜ 의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이 시험편에, 글리블 시험기를 사용하여, 최고 가열 온도를 760 ℃, 900 ℃, 1200 ℃, 1400 ℃ 로 하는 용접열 영향부의 재현 열 사이클을 부여하였다 (최고 가열 온도까지의 도달시간 : 6 s, 최고 가열 온도에서부터 실온까지의 냉각 속도 : 40 ℃/s).
그 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현 열 사이클부 중앙에 길이 3 ㎜ 의 판두께 방향으로 편측 관통 노치를 도입하였다. 노치 가공은 방전 가공에 의해 실시하고, 노치 선단 반경은 0.1 ㎜ 로 하였다.
시험은, 시험편의 좌우 양 단부(端部)를 구속 길이 50 ㎜ 로 그립하고, 인장 재하를 부여하였다. 시험 중에는, 노치 근방에 나사 고정에 의해 장착한 나이프 에지 사이의 변위를 클립 게이지로 계측하고, 클립 게이지 변위로 0.6 ㎜ 까지 인장 재하한 후, 제하하였다. 그 후, 시험편을 폭 중앙까지 깎아넣고 경면 연마하여, 노치 바닥에 있어서의 균열 발생 상황을 배율×50 의 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연성 균열 발생의 정의는, 노치 바닥으로부터 연성 균열이 50 ㎛ 이상 신전(伸展)된 때로 하였다.
(5) 모재의 연성 균열 발생 시험
얻어진 강판으로부터, 판두께의 1/4 중심 (판두께 25 ㎜ 이하는 판두께의 1/2 중심) 에서, 12 ㎜ 두께 (= 판두께 방향 = t) × 12 ㎜ 폭, 전체 길이 200 ㎜ 의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얻어진 시험편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편 중앙에 길이 3 ㎜ 의 판두께 방향으로 편측 관통 노치를 도입하였다. 노치 가공은 방전 가공에 의해 실시하고, 노치 선단 반경은 0.1 ㎜ 로 하였다.
시험은, 시험편의 좌우 양 단부를 구속 길이 50 ㎜ 로 그립하고, 인장 재하를 부여하였다. 시험 중에는, 노치 근방에 나사 고정에 의해 장착한 나이프 에지 사이의 변위를 클립 게이지로 계측하고, 클립 게이지 변위로 0.8 ㎜ 까지 인장 재하한 후, 제하하였다. 그 후, 시험편을 폭 중앙까지 깎아넣고 경면 연마하여, 노치 바닥에 있어서의 균열 발생 상황을 배율×50 의 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연성 균열 발생의 정의는, 노치 바닥으로부터 연성 균열이 50 ㎛ 이상 신전된 때로 하였다.
재현 열 사이클을 부여한 시험편에 관하여, 얻어진 실험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규정한 성분, 제조 방법으로 제작한 No.1 ∼ No.10 의 강판은 모두 본 발명의 규정의 조직으로 되었다. 그리고, 우수한 강도와 인성을 갖고 있음과 함께, 용접열 영향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C 가 본 발명의 범위의 하한에 못 미치는 No.11 의 강판 (강종 K*) 은 저인장 강도이다. 또한, C, P, S 가 본 발명의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No.12 의 강판 (강종 L*) 은 인성이 낮고, 용접열 영향부의 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열등하다.
슬래브의 재가열 온도가 본 발명을 하회하며, 또한 900 ℃ 이상의 누적 압하율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No.13 의 강판은 인성이 낮다. 압연 마무리 온도 및 수랭 개시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는 No.14 의 강판은 페라이트가 생성되지 않아 본 발명이 규정하는 조직으로는 되지 않고, 용접열 영향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열등하다.
수랭 개시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하회하는 No.15 의 강판 그리고 수랭 정지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는 No.16 의 강판은 경질상 분율,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본 발명에 규정된 값으로 되지 않고, 모두 저인장 강도임과 함께, 용접열 영향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열등하다. 템퍼링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No.17 의 강판은 섬 형상 마르텐사이트가 대량으로 생성되었기 때문에 저인성이며, 용접열 영향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열등하다.
모재부에 관하여, 얻어진 실험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규정한 성분, 제조 방법으로 제작한 No.18 ∼ No.27 의 강판은 모두 본 발명의 규정의 조직으로 되었다. 그리고, 우수한 강도와 인성을 갖고 있음과 함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것이 인정된다.
한편, C 가 본 발명의 범위의 하한에 못 미치는 No.28 의 강판 (강종 W*) 은 저인장 강도이다. 또한, C, P, S 가 본 발명의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No.29 의 강판 (강종 X*) 은 인성이 낮다. 슬래브의 재가열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하회하며, 또한 900 ℃ 이상의 누적 압하율이 본 발명의 범위에 못 미치는 No.30 의 강판은 인성이 낮다.
압연 마무리 온도 및 수랭 개시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는 No.31 의 강판은 페라이트가 생성되지 않아 본 발명이 규정하는 조직으로는 되지 않고,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열등하다.
수랭 개시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하회하는 No.32 의 강판 그리고 수랭 정지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는 No.33 의 강판은 경질상 분율,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본 발명에 규정된 값으로 되지 않고, 모두 저인장 강도임과 함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열등하다. 템퍼링 온도가 본 발명 값을 초과하는 No.34 의 강판은 섬 형상 마르텐사이트가 대량으로 생성되었기 때문에 저인성이며,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열등하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1 : 시험편
2 : 재현 열 사이클부
3 : 클립 게이지
4 : 나이프 에지
5 : 클램프
6 : 인장 재하

Claims (5)

  1. 질량% 로 C : 0.02 ∼ 0.2 %, Si : 0.01 ∼ 0.5 %, Mn : 0.5 ∼ 2.5 %, P : 0.05 % 이하, S : 0.05 % 이하, Al : 0.1 % 이하, N : 0.01 % 이하를 함유하며,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고, 판두께의 1/4 위치의 마이크로 조직이 페라이트와 경질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질상의 면적분율이 50 ∼ 90 % 이며, 또한 상기 페라이트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조성에 추가로, 질량% 로 Cu : 0.01 ∼ 2 %, Ni : 0.01 ∼ 5 %, Cr : 0.01 ∼ 3 %, Mo : 0.01 ∼ 2 %, Nb : 0.1 % 이하, V : 0.1 % 이하, Ti : 0.1 % 이하, B : 0.01 % 이하, Ca : 0.01 % 이하, REM : 0.1 % 이하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판 표면의 조직이 페라이트와 경질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40 % 를 초과하며, 또한 상기 페라이트 입경의 평균 애스펙트비가 2 를 초과하는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성분을 갖는 강 소재를 1000 ℃ 이상으로 재가열하고, 90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율이 50 % 이상이며 압연 마무리 온도가 Ar3 점 ∼ Ar3-50 ℃ 가 되는 압연을 실시한 후, Ar3-10 ℃ ∼ Ar3-70 ℃ 에서 수랭을 개시하고, 500 ℃ 이하에서 수랭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수랭을 실시한 후, 추가로 최고 가열 온도 Ac1 점 미만에서 템퍼링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의 제조 방법.
KR1020117015996A 2008-12-26 2009-12-25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43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3205 2008-12-26
JPJP-P-2008-333205 2008-12-26
JPJP-P-2008-333204 2008-12-26
JP2008333204 2008-12-26
PCT/JP2009/071908 WO2010074347A1 (ja) 2008-12-26 2009-12-25 溶接熱影響部および母材部の耐延性き裂発生特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814A true KR20110091814A (ko) 2011-08-12
KR101343747B1 KR101343747B1 (ko) 2013-12-19

Family

ID=4228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996A KR101343747B1 (ko) 2008-12-26 2009-12-25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000798A1 (ko)
EP (1) EP2383360B1 (ko)
JP (2) JP5712484B2 (ko)
KR (1) KR101343747B1 (ko)
CN (2) CN105154761A (ko)
RU (1) RU2493287C2 (ko)
WO (1) WO20100743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547A (ko) * 2015-03-27 2017-10-2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강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19181D0 (en) * 2006-09-29 2006-11-08 Dyson Technology Ltd Surface treating appliance
WO2011135700A1 (ja) * 2010-04-28 2011-11-0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動的強度に優れた複相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337478B (zh) * 2010-07-15 2012-11-1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强韧性、强塑性优良的100公斤级调质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277807B1 (ko) 2010-10-27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강도 및 저항복비를 갖는 인장강도 700MPa급 고강도 구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2719757B (zh) * 2012-06-25 2014-03-1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无镍高韧性80公斤级高强钢及其制造方法
WO2015088523A1 (en) 2013-12-11 2015-06-18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Cold rolled and annealed steel sheet
CN104745962A (zh) * 2013-12-31 2015-07-01 天津冶金集团天材科技发展有限公司 21-10Mn7Mo钢锭的冶炼方法
CN104745963A (zh) * 2013-12-31 2015-07-01 天津冶金集团天材科技发展有限公司 21-10Mn7Mo钢锭
CN104745964A (zh) * 2013-12-31 2015-07-01 天津冶金集团天材科技发展有限公司 21-10Mn7Mo钢锭的冶炼技术
CN103983506A (zh) * 2014-05-27 2014-08-13 安徽工业大学 一种热模拟实验材料组织性能的检测方法
CN104532155B (zh) * 2014-12-19 2017-02-22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直缝焊管用x90级别多相组织管线钢
CN105018858B (zh) * 2015-07-08 2016-09-28 中冶陕压重工设备有限公司 一种SY15MnNiCrMoVNbTi钢及其结构件制备方法
KR101758497B1 (ko) * 2015-12-22 2017-07-27 주식회사 포스코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저온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6645373B2 (ja) * 2016-07-19 2020-02-14 日本製鉄株式会社 厚鋼板とその製造方法
CN106244934B (zh) * 2016-08-24 2017-12-22 宁波乾豪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铰链
CN106222575B (zh) * 2016-08-24 2017-12-22 宁波乾豪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耐腐蚀的铰链
CN106568644A (zh) * 2016-11-14 2017-04-19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热模拟试验机连铸坯高温拉伸试验试样及其装夹方法
MX2021003680A (es) * 2018-10-12 2021-05-31 Nippon Steel Corp Tubo de acero soldado por resistencia electrica para barra de torsion.
CN113025890A (zh) * 2021-02-07 2021-06-25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模具用钢、模具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321B2 (ja) * 1987-12-07 1997-02-26 川崎製鉄株式会社 溶接性の優れた高強度高靭性鋼板の製造方法
US5545269A (en) * 1994-12-06 1996-08-13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ultra high strength, secondary hardening steels with superior toughness and weldability
JPH09291339A (ja) * 1996-04-23 1997-11-11 Daido Steel Co Ltd 窒化鋼
JPH10147846A (ja) * 1996-11-19 1998-06-02 Nippon Steel Corp 疲労強度が高い集合組織制御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306316A (ja) * 1997-04-28 1998-11-17 Nippon Steel Corp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JP3849244B2 (ja) * 1997-09-16 2006-11-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繰返し大変形下での延性き裂進展抵抗の優れた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6159312A (en) * 1997-12-19 2000-12-12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Ultra-high strength triple phase steels with excellent cryogenic temperature toughness
DZ2531A1 (fr) * 1997-12-19 2003-02-08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Procédé de préparation d'une tôle d'acier double phase cette tôle et procédé pour renforcer la résistance à la propagation des fissures.
JP2000282175A (ja) * 1999-04-02 2000-10-10 Kawasaki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超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73603B2 (ja) 1999-05-24 2008-10-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アレスト特性および延性破壊特性に優れた鋼板
JP2000345289A (ja) * 1999-06-01 2000-12-12 Nkk Corp オンライン型厚肉耐候性鋼板
GC0000233A (en) * 2000-08-07 2006-03-29 Exxonmobil Upstream Res Co Weld metals with superior low temperature toughness for joining high strength, low alloy steels
JP2002069584A (ja) * 2000-09-05 2002-03-08 Nippon Steel Corp 成形性の優れた高強度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290177B (en) * 2001-08-24 2007-11-21 Nippon Steel Corp A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221619A (ja) 2002-01-31 2003-08-08 Kobe Steel Ltd アレスト特性および延性破壊特性に優れた厚鋼板の製造方法
JP3848211B2 (ja) * 2002-05-31 2006-11-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低温靭性に優れた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41396B2 (ja) * 2003-03-27 2009-10-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靱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電縫管用熱延鋼帯
JP4670371B2 (ja) * 2004-01-30 2011-04-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板厚方向の強度均一性および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4956907B2 (ja) * 2005-03-30 2012-06-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延性き裂発生特性に優れる高強度高変形能厚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4645461B2 (ja) * 2006-01-27 2011-03-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延性亀裂発生特性と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314819A (ja) * 2006-05-23 2007-12-06 Kobe Steel Ltd 耐疲労亀裂進展性に優れた鋼板
JP4923968B2 (ja) * 2006-11-15 2012-04-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鋼材
JP2008156751A (ja) * 2006-11-30 2008-07-10 Jfe Steel Kk 板厚方向の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る板厚50mm以上の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58221B2 (ja) * 2007-02-22 2012-01-1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延性き裂発生特性に優れる高張力鋼材
JP4998708B2 (ja) * 2007-02-26 2012-08-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材質異方性が小さく、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547A (ko) * 2015-03-27 2017-10-2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강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4934A (zh) 2011-11-30
JP2014088623A (ja) 2014-05-15
CN105154761A (zh) 2015-12-16
WO2010074347A1 (ja) 2010-07-01
KR101343747B1 (ko) 2013-12-19
US20130000798A1 (en) 2013-01-03
RU2493287C2 (ru) 2013-09-20
EP2383360B1 (en) 2019-07-03
EP2383360A1 (en) 2011-11-02
JP2010168657A (ja) 2010-08-05
JP5729456B2 (ja) 2015-06-03
RU2011131056A (ru) 2013-02-10
JP5712484B2 (ja) 2015-05-07
EP2383360A4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747B1 (ko) 용접열 영향부 및 모재부의 내연성 균열 발생 특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JP5278188B2 (ja) 耐水素誘起割れ性および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厚鋼板
JP2012188731A (ja)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47983B2 (ja) 伸びおよ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る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EP2963138A1 (en) Thick steel plate and production method for thick steel plate
JP5082667B2 (ja) アレスト特性に優れた高強度厚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9088104A1 (ja) 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4175122A1 (ja) H形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5742750B2 (ja) 厚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81930A (ja) 靭性に優れた低温用ニッケル含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14053A (ja) 超大入熱溶接部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建築構造用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35837B2 (ja) 高張力厚鋼板の溶接継手
JP2015190008A (ja) 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非調質低降伏比高張力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69462B2 (ja) 低降伏比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87086A (ja) 圧延方向に対し45°方向のアレスト特性に優れた高強度厚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57289B2 (ja) 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46429B2 (ja) 調質高張力厚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510620B1 (ja) 鋼板
JP2012197516A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5446900B2 (ja) 高い焼付硬化性と優れた伸びフランジ性を有する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45462B2 (ja) 強度依存性の小さい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73320B2 (ja) 厚鋼板および厚鋼板の製造方法
JP2007277697A (ja) 耐疲労亀裂伝播特性および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高張力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81931A (ja) 靭性に優れた低温用ニッケル含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79071A (ja) 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