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839A -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839A
KR20110077839A KR1020090134506A KR20090134506A KR20110077839A KR 20110077839 A KR20110077839 A KR 20110077839A KR 1020090134506 A KR1020090134506 A KR 1020090134506A KR 20090134506 A KR20090134506 A KR 20090134506A KR 20110077839 A KR20110077839 A KR 20110077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release film
resin
meth
emboss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330B1 (ko
Inventor
이억형
김장순
안영선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3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330B1/ko
Priority to EP10841278.4A priority patent/EP2519409B1/en
Priority to CN201080052159.8A priority patent/CN102666094B/zh
Priority to US13/505,571 priority patent/US9644078B2/en
Priority to PCT/KR2010/009499 priority patent/WO2011081446A2/en
Priority to JP2012545867A priority patent/JP5561840B2/ja
Publication of KR2011007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C08J7/18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using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6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함유하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고,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을 함유하는 엠보 무늬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성이 우수하고, 표면조도가 낮아, 보다 고급스럽고 미려한 외관의 이형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형필름, 합성수지, 광경화성 수지, 표면조도, 엠보 무늬, 로터리 스크린 코팅

Description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Releas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엠보 무늬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반사지, 광고용 필름 및 인테리어 필름 등에는 제품의 용도상 이면에 점착제 처리를 한 후, 이형지(release paper) 또는 이형필름(release film)으로 점착제 면을 보호한다. 즉, 통상적으로 점착 시트는 압연이나 캐스팅을 통해 기재 시트를 생산한 후, 이형지 위에 점착제를 코팅하고, 점착제가 코팅된 면과 기재 시트를 합지하여 생산한다.
종래에는 시공 시 이형지가 점착제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종이 기재 상에 실리콘 용액을 처리한 이형지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점착시트는 점착력의 균일성을 위해 이형지 위에 점착제가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도록 점착제가 코팅되는 이형지면의 평활도가 뛰어나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이 경우 제품을 원하는 피착물에 부착할 때 공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여 시트의 표면이 부푸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형지의 점착제가 코팅되는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엠보 무늬를 부여하여 시공 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방안이 나타났다.
그러나 종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엠보 무늬를 가지는 이형지는 표면조도가 높아서, 외형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형지는 현재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 예로써 각종 스티커를 비롯한 라벨, 1회용 밴드 등을 비롯한 의약품, 포장을 위한 테이프, 아스팔트 포장, 자동차 조립 공정 및 폴리우레탄 합성피혁 등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바, 상기 제품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유지할 수 있는 이형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를 함유하는 기재필름 상에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구조의 엠보 무늬층을 형성하여, 점착 시트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합성수지 및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므로 표면조도가 낮아 고급스러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엠보 무늬층을 가지는 이형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필름 상에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엠보 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엠보 무늬 패턴을 경화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성이 우수하고, 표면조도가 낮아 우수한 표면외관 품 질을 구현할 수 있는 엠보무늬가 형성된 이형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이형필름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엠보 무늬층을 가지는 이형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형필름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를 함유하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엠보 무늬층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표면조도가 낮은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를 함유하는 기재필름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필름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재필름으로서 합성수지를 사용하므로 종래 사용되어 오던 종이 기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형필름의 표면조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형필름은 표면조도가 낮아 고급스러운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이형필름에 포함되는 기재필름의 표면조도(Rt)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3㎛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표면조도(Rt)의 하한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0.1㎛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표면조도(Rt)는 표면조도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상기 표면조도가 3㎛를 초과하면, 표면조도가 너무 높아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의 표면외관이 불량해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이형필름의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미쯔도요사의 에스제이 301 모델과 같은 공지된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평균 조도 값인 Rz 와 최대 조도 값인 Rt 값을 이용하여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또한 상기 기재 필름상에 형성되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엠보 무늬 패턴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 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조성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예로는, 광경화성 올리고머, 희석제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광경화성 올리고머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계 고분자량체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이 중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각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메타)아크릴산의 축합 반응물을 사용할 수 있고,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로는, 에폭시 수지에 (메타)아크릴산을 부가 반응시킨 반응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로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는, 폴리에스테르형 또는 폴리에테르형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진,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가 존재하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 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로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 부분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헤테로사이클릭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복실기 함유 화합물; 히드록시기 함유 화합물; 질소 함유 화합물; 글리시딜기 함유 화합물; 스티렌계 화합물 및 카르본산 비닐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 또는 부분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또는 비고리형 또는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알 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메타)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의 예로는,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클로로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브로모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폴리)알킬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메타)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의 예로는, 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톡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콕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헤테로사이클릭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복실기 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카복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고, 히드록시기 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 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질소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일몰포린 또는 n-치환 (메타)아크릴아미드(ex. n-메틸롤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글리시딜기 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스티렌계 화합물의 예로는, 스티렌 또는 알파 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고, 카르본산 비닐 에스테르의 예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혼합물은, 또한 전술한 성분에 추가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hydroxyl puivalic acid)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allyl)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fluorine) 등과 같은 2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각종 단량체 중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되는 단량체의 종류 및 2종 이상의 배합되었을 경우, 그 비율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벌크 중합 등의 통상의 방식으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 또는 부분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올리고머 성분과 함께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희석제는,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작업성을 개선하거나, 혹은 경화 반응 시제 가교 또는 부가 중합에 의하여 경화 구조물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희석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계 단량체,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비닐계 단량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 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단관능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단관능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전술한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헤테로사이클릭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반응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본 발명의 광중합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광중합 개시제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벤조인 에테르계, 아세토페논계, 안트라퀴논계, 티옥산톤계, 케탈계 및 벤조페논계 등의 화합물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n-부틸 에테르 및 벤조인 페닐 에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는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및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로는 2-메틸 안트라퀴논 및 2-아밀 안트라퀴논 등이 있고, 티옥산톤계 화합물로는 2,4-디메틸 티옥산톤, 2,4-디에틸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및 1-클로로-4-프로폭시 티옥산톤 등이 있으며, 케탈계 화합물로는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및 벤질 디메틸 케탈 등이 있고, 벤조페논계 화합물로는 벤조페논, 디에틸아미노 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 아미노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 벤조페논 및 3,3',4,4'-테트라-(t-부틸 퍼옥실 카르보닐)벤조페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4-벤조일-4'-메틸 디페닐 설피도, 크산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1-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2,4,6-트리메틸 벤조일디페닐 포스핀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상기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및 광중합 개시제 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첨가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디메틸 아미노벤조산 이소아밀 에스테르 및 2-디메틸 아미노에틸 벤조에이트 등과 같은 광중합 촉진제 또는 증감제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광중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를 희석제, 광개시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로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고분자량체를 구성할 단량체 및 희석제로 사용될 단량체 등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라디칼 벌크 중합 등의 방식으로 부분 중합시켜, 고분자량체 및 희석제가 혼재된 중합물을 제조하고, 상기에 광개시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배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내에 함유된 물질들의 함량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을 광경화성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10 내지 4000 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엠보 무늬층은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입체적인 엠보 무늬 패턴이 형성된 층을 의미한다. 이 경우, 엠보 무늬의 형태 및 크기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형필름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돌출부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이형 필름의 평면상에서 점(dot) 형상 또는 채널 형상으로 패턴화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엠보 무 늬층의 돌출부 최대 높이(P)가 1 내지 20 ㎛이고, 밑면 폭(W)이 100 내지 500 ㎛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돌출부는 높이가 5 내지 15 ㎛이고, 밑면 폭이 200 내지 400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100)은 기재 필름(110) 상에 엠보 무늬를 가지는 엠보 무늬층(130)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형필름은 엠보 무늬층 상에 형성된 이형 처리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 처리층은 이형 처리를 위하여 엠보 무늬층 상에 형성되며 높은 박리성을 가지는 층으로서, 예를 들면, 실리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실리콘 재료를 모두 포함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케닐기는 구체적으로 비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펜테닐기 또는 헥세닐기 등일 수 있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구체적으로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비닐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폴리실록산,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비닐실록산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비닐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트리메틸실록시기가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분자사슬 양쪽 말단의 트리메틸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트리메틸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5-헥세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비닐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 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하이드록시기가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또는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하이드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에 예시된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 분류되는 각각의 물질은, 이형 처리층에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재료는 상기 물질 외에도 백금계 경화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금계 경화 촉매의 예로는, 염화 백금산, 염화 백금산의 알코올 용액, 염화 백금산과 올레핀과의 착물(complex), 염화 백금산과 비닐 실록산과의 착물, 염화 백금산과 케톤류와의 착물, 백금을 담지한 산화 알루미늄 미세분말, 백금을 담지한 실리카 미세분말 또는 백금흑(platinum black)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백금계 경화 촉매도 이형 처리층 내에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200)은 기재 필름(210) 및 엠보 무늬층(230) 외에도, 상기 엠보 무늬층(230) 상에 형성된 이형 처리층(2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형필름은 상기 기재 필름과 엠보 무늬층의 사이에 형성된 제1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프라이머층은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는 엠보 무늬층이 보다 잘 접착될 수 있도록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300)은 기재 필름(310), 엠보 무늬층(330) 및 이형 처리층(350)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 필름(310) 및 엠보 무늬층(330) 사이에 제1프라이머층(3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형필름은 기재 필름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라이머층은 기재 필름의 하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2프라이머층의 종류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 략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400)은 기재 필름(410), 제1프라이머층(470), 엠보 무늬층(430) 및 이형 처리층(450)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 필름(410)의 하면에 제2프라이머층(49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필름 상에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엠보 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엠보 무늬 패턴을 경화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1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필름 상에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엠보 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 1 단계에서, 엠보 무늬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코팅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다이렉트 그라비어 코팅, 오프셋 코팅 및 스크린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코팅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이렉트 그라비어 코팅, 리버스 그라비어 코팅, 그라비어 오프셋 코팅, 마이크로그라비어 코팅, 실크 스크린 코팅, 로터리 스크린 코팅, 다이렉트 롤 코팅, 리버스 롤 코팅, 커튼 롤 코팅, 나이프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및 바 코팅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라비어 코팅 및 다이렉트 롤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수행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엠보 무늬층에 함유된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될 수 있도록 자외선 등을 조사하는 단계로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가할 수 있는 모든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원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광 경화 조건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상기 제 2 단계에서, 광경화는 엠보 무늬 패턴에 따라 코팅된 광경화성 수지에 300 내지 450nm의 파장을 가지는 UV광을 0.1 내지 120초 동안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기재 필름(110)을 가이드 롤러를 이용하여 엠보 무늬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롤러(10) 상에 통과시키면서, 상기 롤러의 엠보 무늬 패턴 내에 충전되어 있던 광경화성 수지를 기재 필름(110) 상에 엠보 무늬 패턴에 따라 코팅한다.
이어서, 상기 엠보 무늬 패턴이 형성된 기재 필름(110)을 롤러(10) 상으로 계속 이동시키면서 자외선 조사장치(30)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엠보 무늬 패턴을 경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재 필름(110) 상에 엠보 무늬층(130)이 형성된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이 상기 예시된 공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광경화성 수지의 제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49.8 중량부,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0.2 중량부 및 AIBN 개시제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60℃에서 1 시간 동안 벌크 라디칼 중합하여 광경화성 올리고머 및 단량체 형태의 희석제가 혼재된 부분 중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부분 중합물에서 광경화성 올리고머의 함량은 10 중량부였고, 희석제의 함량은 90 중량부였다.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의 함량은 벌크 라디칼 중합에서 얻어진 부분 중합물 1 그램을 150℃에서 60분 동안 건조시켜 희석제로 사용된 단량체 성분을 휘발 시킨 후에 남은 성분의 무게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된 부분 중합물에 2,4,6-트리메틸 벤조일디페닐 포스핀옥사이드(바스프)를 전체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0.5 중량부 첨가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실리콘 이형 처리액의 제조
다우코닝사의 실오프 큐 2-7785 100 중량부 및 실오프 큐 2-7560 3 중량부를 배합하여 실리콘 이형 처리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두께가 75㎛이고, 아크릴 수지로 표면 처리된 PET 필름(SKC(제), SH 22) 및 오목부의 평균 깊이가 5㎛ 인, 엠보 무늬 패턴이 형성된 그라비어 코팅 롤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상기 그라비어 코팅 롤의 오목부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준비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하고, 가이드 롤러를 통하여 상기 PET 필름을 그라비어 코팅 롤로 이동시겼다. 상기 PET 필름은 그라비어 코팅 롤에 밀착한 채로 인쇄를 진행하여, 광경화 수지 조성물을 상기 PET 필름 상에 코팅하여, 엠보 무늬 패턴이 형성된 엠보 무늬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과 함께 그라비어 코팅 롤의 상부에서 자외선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엠보 무늬를 경화시킨 후, 그라비아 롤에서 PET 필름과 경화된 엠보 무늬층을 분리 하였다. 경화된 엠보 무늬 상에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실리콘 이형 처리액을 10 ㎛의 두께로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00 ℃의 온도에서 2분 동안 동안 건조하였다.
이에 따라, 실시예 1에 따른 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재필름으로 사용한 PET 필름 대신에 종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예 1에 따른 이형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표면조도의 측정
미쯔도요사의 에스제이 301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이형필름과 비교예 1에 따른 이형지의 표면조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Ra(㎛) Rt(㎛)
실시예 1 1.0 6.0
비교예 1 4.5 10.0
상기 표 1에 나타나듯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의 최대 표면조도(Rt) 및 평균표면조도(Ra) 값이 낮으므로, 이형필름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구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 공정도이다.

Claims (14)

  1.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엠보 무늬층을 가지는 이형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형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필름은 표면조도(Rt)가 3㎛ 이하인 이형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광경화성 수지는 광경화성 올리고머, 희석재 및 광중합성 개시제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광경화성 올리고머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형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최대 높이가 1 내지 20 ㎛이고, 밑면 폭이 100 내지 500 ㎛인 이형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엠보 무늬층 상에 형성된 실리콘 이형 처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형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과 엠보 무늬층의 사이에 형성된 제1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형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제1프라이머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형필름.
  10. 제 8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에서 엠보 무늬층의 반대면에 형성된 제2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형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2프라이머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형필름.
  12.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필름 상에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엠보 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엠보 무늬 패턴을 경화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 엠보 무늬 패턴은 다이렉트 그라비어 코팅, 리버스 그라비어 코팅, 그라비어 오프셋 코팅, 마이크로그라비어 코팅, 실크 스크린 코팅, 로터리 스크린 코팅, 나이프 코팅, 바 코팅 및 다이렉트 롤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코팅방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에서, 경화는 엠보 무늬 패턴에 300 내지 45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0.1초 내지 120초 동안 조사하여 수행하는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90134506A 2009-12-30 2009-12-30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506A KR101242330B1 (ko) 2009-12-30 2009-12-30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EP10841278.4A EP2519409B1 (en) 2009-12-30 2010-12-29 Releas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1080052159.8A CN102666094B (zh) 2009-12-30 2010-12-29 离型膜及其制备方法
US13/505,571 US9644078B2 (en) 2009-12-30 2010-12-29 Releas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10/009499 WO2011081446A2 (en) 2009-12-30 2010-12-29 Releas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545867A JP5561840B2 (ja) 2009-12-30 2010-12-29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こ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506A KR101242330B1 (ko) 2009-12-30 2009-12-30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839A true KR20110077839A (ko) 2011-07-07
KR101242330B1 KR101242330B1 (ko) 2013-03-12

Family

ID=4422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506A KR101242330B1 (ko) 2009-12-30 2009-12-30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44078B2 (ko)
EP (1) EP2519409B1 (ko)
JP (1) JP5561840B2 (ko)
KR (1) KR101242330B1 (ko)
CN (1) CN102666094B (ko)
WO (1) WO2011081446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447B1 (ko) * 2014-02-17 2015-07-2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 시트
KR20160060737A (ko) * 2013-09-23 2016-05-30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조합된 핫-멜트 접착제 및 감압 접착제 시스템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 물질
KR20160073838A (ko) * 2014-12-17 2016-06-27 율촌화학 주식회사 이형필름
WO2016117900A1 (ko) * 2015-01-23 2016-07-28 (주)엘지하우시스 진공 열 성형용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형성된 물품, 진공 열 성형용 데코레이션 시트 제조방법
KR20160003404U (ko) * 2015-03-25 2016-10-06 (주)알킨스 엠보 이형 필름
KR20200092785A (ko) * 2019-01-25 2020-08-04 (주)케이에프엠 이형필름 및 접착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4960B (zh) * 2012-07-10 2015-06-03 苏州市星辰科技有限公司 一种防静电离型膜、其制备方法
JP6351576B2 (ja) * 2013-04-24 2018-07-04 ユニチカ株式会社 Led製造用離型フィルム
HUE057921T2 (hu) * 2014-03-21 2022-06-28 Loparex Germany Gmbh & Co Kg Csomagoló film
CN106661254B (zh) * 2014-07-31 2019-04-09 东丽株式会社 聚酯膜
CN104999751B (zh) * 2015-04-27 2017-04-19 江苏斯迪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压纹离型膜
CN104943157B (zh) * 2015-05-25 2018-04-27 江苏优珀斯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离型膜用涂布机在线压纹装置
CN104961865A (zh) * 2015-05-29 2015-10-07 吉翔宝(太仓)离型材料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耐高温复合离型膜
CN104962044A (zh) * 2015-05-29 2015-10-07 吉翔宝(太仓)离型材料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耐腐蚀复合离型膜
KR101673868B1 (ko) 2016-06-29 2016-11-08 김진선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US11504955B2 (en) 2016-08-19 2022-11-22 Wilsonart Llc Decorative laminate with matte finish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077639B2 (en) 2016-08-19 2021-08-03 Wilsonart Llc Surfacing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933608B2 (en) * 2016-08-19 2021-03-02 Wilsonart Llc Surfacing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745475B2 (en) 2016-08-19 2023-09-05 Wilsonart Llc Surfacing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7116741A (zh) * 2017-04-21 2017-09-01 台博胶粘材料(东台)有限公司 压纹非硅离型材料的制备方法
CN107722323A (zh) * 2017-10-20 2018-02-23 广州林云木新材料有限公司 合成革生产用离型膜及其制备方法
CN109466124B (zh) * 2017-12-27 2021-08-06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离型膜
EP3587526B1 (en) * 2018-06-29 2022-0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oth sides coated automotive paint compatible liner for structural adhesive film
KR20210026641A (ko) * 2019-08-30 2021-03-10 (주)케이에프엠 인조피혁 및 이의 제조를 위한 이형필름
KR20210056496A (ko) * 2019-11-08 2021-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형 필름, 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7469478B2 (ja) 2020-01-07 2024-04-16 ラクスクレオ・(ベイジ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合型離型フィルムと付加製造分野で該離型フィルムを使用する装置及び方法
CN111962335A (zh) * 2020-09-21 2020-11-20 浙江道明新材料有限公司 一种网格离型纸及其制备方法
CN114085411B (zh) * 2021-12-14 2023-04-25 金万正(广东)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排气功能的压印光刻胶离型膜材及其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1000B2 (ja) 1988-11-11 1998-10-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離放射線硬化性樹脂からなる凹凸表面を有する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5061535A (en) 1990-06-28 1991-10-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atterned silicone release coated article
JP3098799B2 (ja) * 1991-06-07 2000-10-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工程離型紙
US5232784A (en) 1991-12-20 1993-08-03 Mobil Oil Corporation Release film for label stock
JPH06875A (ja) 1992-06-19 1994-01-11 Toppan Printing Co Ltd 転写用エンボス賦型シートの製造方法
JP4712944B2 (ja) 2000-08-09 2011-06-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EP1484377B9 (en) * 2002-03-13 2013-04-10 Bridgestone Corporation Photo-curable adhesive sheet, photo-curable transfer sheet,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eparing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7361403B1 (en) * 2002-10-18 2008-04-22 Lowe Clifford A Multilayer graphic systems
US20050170126A1 (en) * 2003-02-27 2005-08-04 Shigeo Kawabata Decorative film
KR100500304B1 (ko) * 2003-07-01 2005-07-11 주식회사 엘지에스 광학필름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4695938B2 (ja) 2005-07-15 2011-06-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工程離型材
KR20070036595A (ko) * 2005-09-29 2007-04-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 시트
JP4735299B2 (ja) * 2006-02-06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KR20080096582A (ko) * 2006-02-07 2008-10-30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엠보스 이형 시트의 원반, 엠보스 이형 시트, 엠보스 이형 시트의 원반의 제조 방법, 엠보스 이형 시트의 제조 방법, 엠보스 이형 시트의 제조 장치, 합성 피혁, 및 합성 피혁의 제조 방법
KR200430319Y1 (ko) 2006-08-08 2006-11-10 주식회사 영우 무광처리된 이형 필름
US20080083495A1 (en) * 2006-09-05 2008-04-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Structured Release Liner
JP4984799B2 (ja) * 2006-10-02 2012-07-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エンボス付き工程離型紙
JP5068089B2 (ja) * 2007-03-02 2012-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ライナー
JP5226992B2 (ja) * 2007-09-05 2013-07-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転写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凹凸パターンの形成方法
KR101562878B1 (ko) * 2007-10-05 2015-10-2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엠보스 패턴 이형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2444B1 (ko) 2008-03-10 2013-05-08 (주)엘지하우시스 입체 엠보효과의 성형시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737A (ko) * 2013-09-23 2016-05-30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조합된 핫-멜트 접착제 및 감압 접착제 시스템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 물질
KR101538447B1 (ko) * 2014-02-17 2015-07-2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 시트
KR20160073838A (ko) * 2014-12-17 2016-06-27 율촌화학 주식회사 이형필름
WO2016117900A1 (ko) * 2015-01-23 2016-07-28 (주)엘지하우시스 진공 열 성형용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형성된 물품, 진공 열 성형용 데코레이션 시트 제조방법
KR20160003404U (ko) * 2015-03-25 2016-10-06 (주)알킨스 엠보 이형 필름
KR20200092785A (ko) * 2019-01-25 2020-08-04 (주)케이에프엠 이형필름 및 접착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330B1 (ko) 2013-03-12
WO2011081446A2 (en) 2011-07-07
EP2519409A4 (en) 2016-09-14
JP2013514914A (ja) 2013-05-02
US20120231223A1 (en) 2012-09-13
WO2011081446A3 (en) 2011-11-24
EP2519409B1 (en) 2018-08-29
CN102666094A (zh) 2012-09-12
US9644078B2 (en) 2017-05-09
JP5561840B2 (ja) 2014-07-30
EP2519409A2 (en) 2012-11-07
CN102666094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330B1 (ko)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2739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시트
KR101552740B1 (ko) 하드코팅 형성 방법
KR101585269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수지 조성물
CN107406722B (zh) 光固化型粘接组合物
KR101341883B1 (ko) 몰드 고정용 점착 시트, 몰드 고정용 점착 테이프, 및 미세구조의 제조방법
KR101950538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공극 충전용 수지 조성물
CN104893595A (zh) 层叠体的制造方法和层叠体
KR20170084396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및 필름의 제조방법
KR20130049154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하드코트제, 그들을 이용한 경화막, 경화막이 적층된 가식 필름 및 가식 필름을 이용한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
JP7225530B2 (ja) 無溶剤型樹脂組成物
KR101400554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KR101391241B1 (ko) 광학용 투명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20180132374A (ko) 데코 시트
JP5698958B2 (ja) インプリント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JP2012214698A (ja) 伸長性有機基材
JP6753038B2 (ja) 光硬化性組成物
JP6531898B2 (ja) インプリント用モール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微細構造の製造方法
KR20240041883A (ko) 수소화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신규 화합물
JP5463072B2 (ja) 微細構造の製造方法
JPWO2018101421A1 (ja) 接着剤組成物、該接着剤組成物を用いた積層体、該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該接着剤組成物の使用
JP2017193127A (ja) 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TW201315595A (zh) 硬塗層形成方法
TW201410786A (zh) 光學薄片
JP2014220454A (ja) インプリント用レジスト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微細構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