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868B1 -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 Google Patents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868B1
KR101673868B1 KR1020160081761A KR20160081761A KR101673868B1 KR 101673868 B1 KR101673868 B1 KR 101673868B1 KR 1020160081761 A KR1020160081761 A KR 1020160081761A KR 20160081761 A KR20160081761 A KR 20160081761A KR 101673868 B1 KR101673868 B1 KR 10167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base film
pet base
toluene
ethyl ace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선
Original Assignee
김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선 filed Critical 김진선
Priority to KR102016008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17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73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of non-flat surfaces, e.g. curved, profi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은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엠보층(200)을 형성하여 제조되되, 상기 PET 기재 필름(10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필름이 사용되고,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엠보 무늬층으로 형성되고, 실리콘 배합액을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한 후 건조, 경화 및 숙성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PET 기재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엠보층을 형성함으로써 이형지의 비용 및 지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과도한 도포량으로 인한 실리콘 비용의 증대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MANUFACTURING METHOD FOR EMBOSSING SILICONE RELEASE FILM AND EMBOSSING EMBOSSING RELEASE FILM FOR STRIPPING SMALL ACRYLIC STICKUM}
본 발명은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ET 기재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엠보층을 형성함으로써 이형지의 비용 및 지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과도한 도포량으로 인한 실리콘 비용의 증대를 해결할 수 있는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형필름(separator 또는 release film)은 PET 및 PP 등의 기재에 실리콘(silicone), 불소, 우레탄(urethane) 등의 도제를 코팅해 이형성을 부여한 것으로서, 세라믹 콘덴서 제조공정용, 편광판 및 PDP 부재 등의 광학필름, 각종 보호, 마스킹 필름, 의약, 화장품 관련, 윈도우용, 태양광 부재, 탄소섬유 가공공정용, 라벨 관련, 양면테이프, PCB 기판 제조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 산업에 있어서 근래 고성능화, 고화질화 및 대화면화의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 대비 경박화, 저에너지소비 특성으로 그 채용 및 보급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에 사용되는 편광판 및 PDP 컬러필터 등 점착층을 형성하는 필름의 경우 일반적으로 점착층 위에 실리콘 이형필름을 적층하거나, 실리콘 이형필름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후 롤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하게 되는데, 실리콘 이형필름 위에 점착 코팅을 진행할 때 실리콘 이형층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경우 점착제 코팅액에 함유되어 있는 솔벤트에 의해 코팅층이 벗겨지거나 점착층으로 뜯겨나가는 현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후 각각의 적층체 롤은 원하는 사이즈별로 제단하여 보관 및 제조 공정에 투입되는데, 종래의 실리콘 이형필름은 점착제와 합지된 상태로 장시간 보관되는 사이에 실리콘 이형 코팅층 중 실리콘 수지의 미반응 작용기와 점착제 성분 중의 미반응 작용기가 서서히 반응하여, 실리콘 이형필름 박리 시 점착제 뜯김 현상이 발생하거나, 그로 인해 점착제 층에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와 이형필름이 합지된 상태로 장시간 보관되는 사이 실리콘 이형 코팅층의 미반응 화합물 등이 점착제 층으로 전이되어 점착력의 저하가 일어나는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용 부재 필름의 경우 상기와 같은 제조 프로세스로 인하여 수축률이 서로 다른 여러 층이 합지되어 있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휨 또는 말림(CURL)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점착제의 설계를 변경하여 점착층의 수축률을 줄이는 방향으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주로 첨가제를 사용하여 가교 밀도를 높이는 방향으로써, 실리콘 이형필름과 상호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실리콘 이형필름의 설계 변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종래의 실리콘 이형필름은 그 위에 점착층과 합지된 상태로 장시간 보관되는 동안에 실리콘 이형필름의 실리콘 이형층 중 실리콘 주제 및 실란 커플링제와의 미반응 작용기와 상기 점착층 성분 중의 미반응 작용기가 서서히 반응하거나, 점착층을 구성하는 고분자 수지와 실리콘 이형층을 구성하는 고분자 수지 간의 엉킴(Entanglment) 현상으로 인하여, 실리콘 이형필름 박리 시 뜯김 현상이 발생하거나, 그로 인해 점착층에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모듈이나 안테나에 사용되는 소형 점착물에서는 역박리 현상으로 인한 공정 트러블의 발생 빈도가 높으며, 이러한 현상은 실리콘 자체의 표면장력 특성과 아크릴 점착제와의 접촉 면적에 기인한다.
소형 점착물의 역박리 개선을 위해 초경박 이형필름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형필름의 생산공정, 가공공정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 정전기 및 실리콘층의 파괴로 인한 기술적 한계에 직면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PET 기재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엠보층을 형성함으로써 이형지의 비용 및 지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과도한 실리콘의 도포량으로 인한 실리콘 비용 증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42330호(2013년 03월 05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080097호(2015년 07월 09일 공개)
본 발명은 PET 기재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엠보층을 형성함으로써 이형지의 비용 및 지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과도한 도포량으로 인한 실리콘 비용의 증대를 해결할 수 있는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표면 외관 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엠보 무늬가 형성되고 이형필름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은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엠보층(200)을 형성하여 제조되되, 상기 PET 기재 필름(10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필름이 사용되고,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엠보 무늬층으로 형성되고, 실리콘 배합액을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한 후 건조, 경화 및 숙성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은 48 내지 52㎛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3㎛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용제를 혼합하여 교반한 상태에서 실리콘 폴리머를 투입한 후, 하이드로겐실록산과, 실란 커플링제 및 촉매를 순차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실리콘 배합액을 제조하는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 및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실리콘 배합액을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하여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엠보층(200)을 형성하는 점착 공정을 거쳐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 상기 용제는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K) 및 에틸아세테이트(EA)를 혼합한 혼합 용제가 사용되되,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는 3:2: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혼합 용제를 제조한 후 상기 혼합 용제를 600 내지 700rpm의 속도로 4 내지 6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비닐기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사용되되,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와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5:1 내지 7:1의 중량 비율로 투입되고, 상기 실리콘 폴리머를 상기 혼합 용제에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트리메틸실릴의 말단 그룹을 갖는 직쇄형의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이 사용되되,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2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을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가 사용되되,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5 내지 0.6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촉매는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가 사용되되, 상기 촉매는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0.7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를 투입한 후 8 내지 12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점착 공정은 50㎛의 두께의 PET 기재 필름(100)을 준비하고,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배합액을 도포하여 코팅하되, 상기 코팅은 마이크로그라비아(150mesh, M-type)로 라인스피드는 43m/min 및 219rpm으로 세팅한 후, 상기 실리콘 배합액이 7 내지 8g/m2으로 도포(wet 도포량)되도록 하며, 상기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120 내지 155℃로 유지되는 건조 챔버에서 열풍 건조함으로써 경화시키고, 상기 경화된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48 내지 52℃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숙성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은 PET 기재 필름(100); 및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형성되고 소형 점착물이 부착되는 실리콘 엠보층(200)을 포함하되,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은 48 내지 52㎛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3㎛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용제를 혼합하여 교반한 상태에서 실리콘 폴리머를 투입한 후, 하이드로겐실록산과, 실란 커플링제 및 촉매를 순차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실리콘 배합액을 제조하는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 및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실리콘 배합액을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하여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엠보층(200)을 형성하는 점착 공정을 거쳐 형성되되,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 상기 용제는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K) 및 에틸아세테이트(EA)를 혼합한 혼합 용제가 사용되되,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는 3:2: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혼합 용제를 제조한 후 상기 혼합 용제를 600 내지 700rpm의 속도로 4 내지 6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비닐기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사용되되,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와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5:1 내지 7:1의 중량 비율로 투입되고, 상기 실리콘 폴리머를 상기 혼합 용제에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트리메틸실릴의 말단 그룹을 갖는 직쇄형의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이 사용되되,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2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을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가 사용되되,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5 내지 0.6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촉매는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가 사용되되, 상기 촉매는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0.7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를 투입한 후 8 내지 12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점착 공정은 PET 기재 필름(100)을 준비하고,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배합액을 도포하여 코팅하되, 상기 코팅은 마이크로그라비아(150mesh, M-type)로 라인스피드는 43m/min 및 219rpm으로 세팅한 후, 상기 실리콘 배합액이 7 내지 8g/m2으로 도포(wet 도포량)되도록 하며, 상기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120 내지 155℃로 유지되는 건조 챔버에서 열풍 건조함으로써 경화시키고, 상기 경화된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48 내지 52℃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숙성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소형 점착물은 휴대폰의 안테나 또는 오디오 부속물에 사용될 수 있는 크기의 소형 아크릴 점착물일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은 PET 기재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엠보층을 형성함으로써 이형지의 비용 및 지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과도한 도포량으로 인한 실리콘 비용의 증대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은 시공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표면 외관 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엠보 무늬가 형성되고 이형필름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에 소형 점착물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PET 기재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엠보층을 형성함으로써 이형지의 비용 및 지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과도한 도포량으로 인한 실리콘 비용의 증대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은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엠보층(200)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은 표면 조도가 낮은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은 48 내지 52㎛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은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필름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의 공지된 성형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형성되고, 엠보 무늬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실리콘 배합액을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한 후 건조, 경화 및 숙성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에 형성된 엠보 무늬층은 경화 공정 후 발현이 되나, 제품, 즉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은 숙성 공정 후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배합액을 코팅한 후 건조, 경화 및 숙성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데, 이하에서는 (1) 상기 실리콘 배합액을 제조하는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과, (2)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실리콘 배합액을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하여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엠보층(200)을 형성하는 점착 공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실시콘 배합액 제조 공정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는 용제를 혼합하여 교반한 상태에서 실리콘 폴리머를 투입한 후, 하이드로겐실록산과, 실란 커플링제 및 촉매를 순차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실리콘 배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리콘 배합액을 형성하기 위한 용제는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K) 및 에틸아세테이트(EA)를 혼합한 혼합 용제를 사용하는데,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는 3:2:1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혼합 용제를 제조한 후 상기 혼합 용제를 600 내지 700rpm의 속도로 4 내지 6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배합액을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 폴리머는 점도 500mpa·s인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알케닐기는 비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펜테닐기 또는 헥세닐기 등일 수 있고,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구체적으로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비닐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폴리실록산,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비닐실록산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 비닐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트리메틸실록시기가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트리메틸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트리메틸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5-헥세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비닐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 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하이드록시기가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또는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하이드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상기 실리콘 배합액을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 폴리머로는 알케닐기는 비닐기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와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5:1 내지 7:1의 중량 비율로 투입되고, 상기 실리콘 폴리머를 상기 혼합 용제에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가교제(crosslinker) 역할을 수행하며, 하나의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를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트리메틸실릴 또는 하이드로겐디메틸실릴의 말단 그룹을 갖는 직쇄형의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트리메틸실릴 또는 하이드로겐디메틸실릴의 말단 그룹을 갖는 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직쇄형의 공중합체; 또는 트리메틸실릴 또는 하이드로겐디메틸실릴의 말단 그룹을 갖는 디메틸실록산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직쇄형의 공중합체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실릴의 말단 그룹을 갖는 직쇄형의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2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을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PET 기재 필름(100)과 실리콘 엠보층(200)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에폭시 실란계, 아미노실란계, 비닐 실란계, 메타크릴옥시 실란계 및 이소시아네이트 실란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5 내지 0.6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는 백금족 원소(예를 들어, Pt, Pd, Hr, Ru, Os, Ir) 중 하나와 염소이온, 또는 산소 및/또는 질소를 포함하는 유기분자와 단일 또는 다중으로 배위결합을 한 형태의 촉매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의 사용량은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0.7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를 투입한 후 8 내지 12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실리콘 배합액을 제조할 수 있다.
2. 점착 공정
상기 점착 공정은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실리콘 배합액을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하여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엠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먼저, PET 기재 필름(100)을 준비할 수 있는데,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은 48 내지 52㎛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50㎛의 두께의 PET 기재 필름(100)을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배합액을 도포하여 코팅할 수 있는데, 상기 코팅은 마이크로그라비아(150mesh, M-type)로 라인스피드는 43m/min 및 219rpm으로 세팅한 후, 상기 실리콘 배합액이 7 내지 8g/m2으로 도포(wet 도포량)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120 내지 155℃로 유지되는 건조챔버에서 열풍 건조함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경화된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48 내지 52℃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숙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에 형성된 엠보 무늬층은 경화를 진행한 후에 발현될 수 있고, 상기 숙성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품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숙성 공정을 거침으로써 실리콘 배합액의 건조 도포량(dry 도포량)은 0.9 내지 1.0g/m2으로 되고, 박리력은 기준 계측 테이프(tape) tesa7475(폭 25mm)로 24시간 기준 3g/25mm 이하의 초경박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은 50㎛ 두께의 PET 기재 필름(100) 상에 3㎛ 두께의 실리콘 엠보층(20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 상에는 소형 점착물(50)이 점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점착물로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모듈이나 안테나에 사용되는 소형 점착물(50)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톨루엔 3kg, 메틸에틸케톤 2kg 및 에틸아세테이트 1kg를 혼합하여 혼합 용제를 제조하였고, 상기 혼합 용제에 점도 500mpa·s 이하의 비닐기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kg을 투입한 후 3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가교제로 트리메틸실릴의 말단 그룹을 갖는 직쇄형의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10g을 투입한 후 3분 동안 교반하였고, 실란 커플링제로 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 25g을 투입 후 3분 동안 교반하였으며, 이후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 30g을 투입한 후 10분간 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실리콘 배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50㎛ 두께의 PET 기재 필름(100)을 준비한 후,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배합액을 도포하여 코팅하였는데, 상기 실리콘 배합액은 wet 도포량으로 7 내지 8g/m2이 되도록 도포하였고, 마이크로그라비아(150mesh, M-type)로 라인스피드는 43m/min 및 219rpm으로 세팅한 후 코팅하였다.
이어서,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120 내지 155℃로 유지되는 건조챔버에서 열풍 건조함으로써 경화시켰고, 이후 5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킴으로써,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 공정을 거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의 액정 화면에 사용(도 4의 좌측 사진)되거나, 휴대폰의 안테나 또는 오디오 부속물에 사용(도 4의 우측 사진)될 수 있는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0; 소형 점착물 100; PET 기재 필름
200; 실리콘 엠보층

Claims (5)

  1.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엠보층(200)을 형성하여 제조되되,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필름이 사용되고,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엠보 무늬층으로 형성되고, 실리콘 배합액을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한 후 건조, 경화 및 숙성 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은 48 내지 52㎛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3㎛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용제를 혼합하여 교반한 상태에서 실리콘 폴리머를 투입한 후, 하이드로겐실록산과, 실란 커플링제 및 촉매를 순차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실리콘 배합액을 제조하는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 및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실리콘 배합액을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하여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엠보층(200)을 형성하는 점착 공정을 거쳐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 상기 용제는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K) 및 에틸아세테이트(EA)를 혼합한 혼합 용제가 사용되되,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는 3:2: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혼합 용제를 제조한 후 상기 혼합 용제를 600 내지 700rpm의 속도로 4 내지 6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실리콘 배합액을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 폴리머는 점도 500mpa·s인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고, 상기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비닐기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사용되되,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와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5:1 내지 7:1의 중량 비율로 투입되고, 상기 실리콘 폴리머를 상기 혼합 용제에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트리메틸실릴의 말단 그룹을 갖는 직쇄형의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이 사용되되,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2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을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가 사용되되,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5 내지 0.6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촉매는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가 사용되되, 상기 촉매는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0.7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를 투입한 후 8 내지 12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점착 공정은,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을 준비하고,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배합액을 도포하여 코팅하되, 상기 코팅은 마이크로그라비아(150mesh, M-type)로 라인스피드는 43m/min 및 219rpm으로 세팅한 후, 상기 실리콘 배합액이 7 내지 8g/m2으로 도포(wet 도포량)되도록 하며,
    상기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120 내지 155℃로 유지되는 건조 챔버에서 열풍 건조함으로써 경화시키고,
    상기 경화된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48 내지 52℃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숙성함으로써 진행되되, 상기 숙성 공정을 거침으로써 실리콘 배합액의 건조 도포량(dry 도포량)은 0.9 내지 1.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PET 기재 필름(100); 및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형성되고 소형 점착물이 부착되는 실리콘 엠보층(200)을 포함하되,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엠보 무늬층으로 형성되고, 실리콘 배합액을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한 후 건조, 경화 및 숙성 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은 48 내지 52㎛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3㎛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엠보층(200)은,
    용제를 혼합하여 교반한 상태에서 실리콘 폴리머를 투입한 후, 하이드로겐실록산과, 실란 커플링제 및 촉매를 순차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실리콘 배합액을 제조하는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 및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실리콘 배합액을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코팅하여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엠보층(200)을 형성하는 점착 공정을 거쳐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배합액 제조 공정에서 상기 용제는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K) 및 에틸아세테이트(EA)를 혼합한 혼합 용제가 사용되되,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는 3:2: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혼합 용제를 제조한 후 상기 혼합 용제를 600 내지 700rpm의 속도로 4 내지 6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실리콘 배합액을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 폴리머는 점도 500mpa·s인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고, 상기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비닐기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사용되되,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와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5:1 내지 7:1의 중량 비율로 투입되고, 상기 실리콘 폴리머를 상기 혼합 용제에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트리메틸실릴의 말단 그룹을 갖는 직쇄형의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이 사용되되,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은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2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하이드로겐실록산을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가 사용되되,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5 내지 0.6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투입한 후 2 내지 4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촉매는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가 사용되되, 상기 촉매는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 용제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0.7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를 투입한 후 8 내지 12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점착 공정은,
    상기 PET 기재 필름(100)을 준비하고, 상기 PET 기재 필름(100) 상에 실리콘 배합액을 도포하여 코팅하되, 상기 코팅은 마이크로그라비아(150mesh, M-type)로 라인스피드는 43m/min 및 219rpm으로 세팅한 후, 상기 실리콘 배합액이 7 내지 8g/m2으로 도포(wet 도포량)되도록 하며,
    상기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120 내지 155℃로 유지되는 건조 챔버에서 열풍 건조함으로써 경화시키고,
    상기 경화된 실리콘 배합액이 도포된 PET 기재 필름(100)을 48 내지 52℃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숙성함으로써 진행되되, 상기 숙성 공정을 거침으로써 실리콘 배합액의 건조 도포량(dry 도포량)은 0.9 내지 1.0g/m2이며,
    상기 소형 점착물은 휴대폰의 안테나 또는 오디오 부속물에 사용될 수 있는 크기의 아크릴 점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KR1020160081761A 2016-06-29 2016-06-29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KR10167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761A KR101673868B1 (ko) 2016-06-29 2016-06-29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761A KR101673868B1 (ko) 2016-06-29 2016-06-29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868B1 true KR101673868B1 (ko) 2016-11-08

Family

ID=5752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761A KR101673868B1 (ko) 2016-06-29 2016-06-29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832B1 (ko) * 2017-01-04 2018-05-14 오성윤 실리콘 이형 조성물, 이형필름 및 강판 공정용 보호 테이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509A (ko) * 2007-08-02 2009-02-05 장창오 인몰드 성형용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합성수지 제품과 금속판의 제조방법
KR101242330B1 (ko) 2009-12-30 2013-03-12 (주)엘지하우시스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0097A (ko) 2013-12-30 2015-07-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509A (ko) * 2007-08-02 2009-02-05 장창오 인몰드 성형용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합성수지 제품과 금속판의 제조방법
KR101242330B1 (ko) 2009-12-30 2013-03-12 (주)엘지하우시스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0097A (ko) 2013-12-30 2015-07-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832B1 (ko) * 2017-01-04 2018-05-14 오성윤 실리콘 이형 조성물, 이형필름 및 강판 공정용 보호 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9061B (zh) 壓感黏合層形成性有機聚矽氧烷組合物及其使用
CN101326251B (zh) 具有受控剥离力的有机硅剥离组合物和涂覆有所述组合物的有机硅剥离涂覆膜
JP5745036B2 (ja) シリコーン系材料
KR100882719B1 (ko) 경시 박리력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제조방법
JP6866353B2 (ja) 高誘電性フィルム、その用途および製造方法
CN107001870A (zh) 便携式电子设备用粘合片
KR20090099078A (ko) 무용제형 박리성 경화 피막 형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및 박리성 경화 피막을 갖는 시트상 기재
JP7046196B2 (ja) 感圧接着層形成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JP2006028416A (ja) 粘着テープ類
KR101927851B1 (ko) 점착제용 이형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
EP3168275A1 (en) Delamination control agent, silicone delamination agent composition containing same, delamination sheet, and laminate body
CN101722783B (zh) 用于模内注射的转移膜
JP6591841B2 (ja) ウレタン系粘着シートおよびウレタン系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ウレタン系粘着シートの粘着力制御方法
CN111386314A (zh) 溶剂型固化性有机聚硅氧烷组合物、剥离性片及其制造方法
KR101673868B1 (ko)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CN207619318U (zh) 粘着膜
KR101844051B1 (ko) 보호필름
WO2016140452A2 (ko) 진공 열 성형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진공 열 성형용 데코레이션 시트
KR102069612B1 (ko) 양면 점착 시트
JP6077327B2 (ja) 離型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シリコーン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657953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93004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型用粘着テープ
KR100734760B1 (ko) 대전방지 박리필름,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점착 박리필름및 그 제조방법
KR101960490B1 (ko)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CN207862251U (zh) 超薄型遮光双面压敏胶带及其卷材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