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097A -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0097A KR20150080097A KR1020130167007A KR20130167007A KR20150080097A KR 20150080097 A KR20150080097 A KR 20150080097A KR 1020130167007 A KR1020130167007 A KR 1020130167007A KR 20130167007 A KR20130167007 A KR 20130167007A KR 20150080097 A KR20150080097 A KR 201500800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ease film
- film
- release
- polysiloxane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 의해 1회 이상 도포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이형 조성물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2.5 내지 5.0 중량부 및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 0.001~3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은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30중량% 톨루엔 용액에서의 점도가 1000 내지 8,000mPaㆍs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이형필름은 우수한 기재 밀착성 및 경시 박리 안정 특성으로 점착층과 이형필름 박리시 발생될 수 있는 뜯김 현상에 의한 품질 불량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박리력을 유지하면서 박리력의 경시변화가 적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M과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M과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수한 기재 밀착성 및 경시 박리 안정 특성으로 점착층과 이형필름 박리시 발생될 수 있는 뜯김 현상에 의한 품질 불량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박리력을 유지하면서 박리력의 경시 변화가 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형필름(separator 또는 release film)은 PET 및 PP 등의 기재에 실리콘(silicone), 불소, 우레탄(urethane) 등의 도제를 코팅해 이형성을 부여한 것으로서, 세라믹 콘덴서 제조공정용, 편광판 및 PDP 부재 등의 광학필름, 각종 보호, 마스킹 필름, 의약, 화장품 관련, 윈도우용, 태양광 부재, 탄소섬유 가공공정용, 라벨관련, 양면테이프, PCB 기판 제조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 산업에 있어서 근래 고성능화, 고화질화 및 대화면화의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 대비 경박화, 저에너지소비 특성으로 그 채용 및 보급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에 사용되는 편광판 및 PDP 컬러필터 등 점착층을 형성하는 필름의 경우 일반적으로 점착층 위에 실리콘 이형필름을 적층하거나, 실리콘 이형필름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후 롤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하게 되는데(특허문헌 1), 실리콘 이형필름 위에 점착 코팅을 진행할 때 이형필름에 존재하는 주름에 의해 코팅 불균일을 유발하거나, 점착층 위에 실리콘 이형필름을 적층할 때 이형필름에 존재하는 주름에 의해 공기층이 혼입되어 기포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실리콘 이형필름 위에 점착 코팅을 진행할 때 실리콘 이형층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경우 점착제 코팅액에 함유되어 있는 솔벤트에 의해 코팅층이 벗겨지거나 점착층으로 뜯겨나가는 현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후 각각의 적층체 롤은 원하는 사이즈별로 재단하여 보관 및 제조 공정에 투입되는데, 종래의 실리콘 이형필름은 점착제와 합지된 상태로 장시간 보관되는 사이에 실리콘 이형 코팅층 중 실리콘 수지의 미반응 작용기와 점착제 성분 중의 미반응 작용기가 서서히 반응하여, 실리콘 이형필름 박리 시 점착제 뜯김 현상이 발생하거나, 그로 인해 점착제 층에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와 이형필름이 합지된 상태로 장시간 보관되는 사이 실리콘 이형 코팅층의 미반응 화합물 등이 점착제 층으로 전이되어 점착력의 저하가 일어나는 품질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용 부재 필름의 경우 상기와 같은 제조 프로세스로 인하여 수축률이 서로 다른 여러 층이 합지되어 있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휨 또는 말림(CURL)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점착제의 설계를 변경하여 점착층의 수축률을 줄이는 방향으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주로 첨가제를 사용하여 가교 밀도를 높이는 방향으로써, 실리콘 이형필름과 상호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실리콘 이형필름의 설계 변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LCD 산업이 성숙해지면서 성장세가 둔화되고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지면서 가격 하락세는 급격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원가절감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다 보니 LCD 부재필름에 대한 박막화, 경량화가 가속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초기 박리가 용이하고, 시간경과 후에도 박리력이 상승하지 않는 경시안정성이 제공되며, 이형 코팅층의 기재 밀착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박막 이형필름을 개발할 필요성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기재 밀착성 및 경시 박리 안정 특성으로 점착층과 이형필름 박리시 발생될 수 있는 뜯김 현상에 의한 품질 불량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박리력을 유지하면서 박리력의 경시 변화가 적은 이형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 의해 1회 이상 도포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이형 조성물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2.5 내지 5.0 중량부 및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 0.001~3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은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30중량% 톨루엔 용액에서의 점도가 1000 내지 8,000mPaㆍ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M과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이형필름의 [14일 숙성후 박리력]/[1일 숙성후 박리력] 비의 값은 0.8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m의 비는 0.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은 아래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X 및 Y 독립적으로 1 내지 300의 정수이다.
상기에서,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 1개에 대하여 실리콘 원자에 결합한 하이드로겐기가 1.0 내지 2.0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리콘 이형필름은 인라인 또는 오프라인 제조 공정을 거쳐 전기 전자용 및 광학 디스플레이용도의 공정에서 이형필름으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우수한 기재 밀착성 및 경시 박리 안정 특성으로 점착층과 이형필름 박리시 발생될 수 있는 뜯김 현상에 의한 품질 불량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박리력을 유지하면서 박리력의 경시변화가 적은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형필름에 대하여 밀착성(rub-off) 평가한 시편 및 한도견본에 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 의해 1회 이상 도포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이형 조성물이 알케닐 폴리실록산,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2.5 내지 5.0 중량부 및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를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조성물이 도포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1. 기재필름
본 발명에서 기재필름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은 폴리에스테르를 가리킨다. 상기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필름의 기재필름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2,6-나트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제3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도 가능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옥시카르복시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을 들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디카르복시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필름은 높은 투명성을 갖는 동시에 생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일축 또는 이축 배향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명성, 강도 등의 조절을 목적으로 실리카와 같은 무기물 입자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는, 코팅층과의 접착성 향상을 위하여 표면이 코로나 방전처리와 같이 공지의 방법으로 극성기가 도입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10㎛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기재필름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실리콘 경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열량과 코팅설비 주행중 장력을 최소화해도 열주름이 강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한의 경우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가격걱인 면을 고려하여 통상 25㎛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2. 도포층
2.1. 이형 조성물
도포층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백금킬레이트 촉매를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조성물을 기재필름에 1회이상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조성물의 구성 중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은 부가형, 축합형, 자외선 경화형 등 어느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대표적인 분자구조는 다음의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여기서, M과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은 분자 내에 알케닐기를 함유하고, 알케닐기가 분자 중의 어느 부분에 존재하여도 좋으며, 최소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자구조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이라도 좋으며, 직쇄와 분지가 함께 있는 구조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형필름에서, 도포층을 형성하는 상기 이형조성물의 N/M의 비는 0.1 내지 5.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M의 비가 0.1% 미만일 경우 하드 타입의 점착제와의 박리력이 너무 낮아 들뜸 현상을 유발하게 되고, 5.0%를 초과할 경우 무라 및 들뜸 현상은 개선되나 박리력 경시변화가 심화되는 부작용을 갖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은 실리콘 검 상태를 30중량%의 톨루엔 용액으로 희석한 점도가 1000 내지 8000mPaㆍs 에 해당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5000 mPaㆍs 에 포함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이형액의 점도에 대해서는 코팅 설비에 따라 균일한 코팅이 가능한 수준에 부합하면 되는 수준으로 특별히 제한을 두지는 않는 것이 보통이나, 본 발명자들은 통상의 용제형 실리콘 코팅에 있어서 코팅액의 점도를 상술한 수준으로 한정하는 경우 이형 코팅층의 기재 밀착성이 향상되고, 특히, 저온에서도 경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경시적인 박리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 조성물의 구성 중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Hydrogen polysiloxane)은 경화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분자구조는 다음의 화학식 2와 같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X 및 Y는 독립적으로 1 내지 300의 정수이다.
상기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은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어느 쪽이라도 좋으며, 이들의 혼합물도 좋다. 또한, 점도나 분자량도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과의 상용성이 양호하여야 한다.
상기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의 사용량은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 1개에 대하여 실리콘 원자에 결합한 하이드로겐기가 1.0 내지 2.0개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 1개에 대하여 실리콘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가 1.0개 미만인 경우 -Si-CH=CH2의 비닐기가 경화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고 남게 되어 코팅층의 탈락 등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한편, 2.0개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 후의 탄성이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잔류 하이드로겐기와 점착제 층의 반응에 의해 경시 박리력 변화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2.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서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에 비하여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의 양이 많으면 가교가 많이 진행되어 유연성이 감소하여 막의 균열이 생성되어 평활성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는 촉매가 첨가되며, 본 발명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가 사용된다. 백금계 켈레이트 촉매는 백금족 원소(예를 들어, Pt, Pd, Hr, Ru, Os, Ir) 중 하나와 염소이온, 또는 산소 및/또는 질소를 포함하는 유기분자와 단일 또는 다중으로 배위결합을 한 형태의 촉매를 말한다. 촉매의 사용량은 촉매량이면 족하며, 통상적으로는 알케닐 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금 족원소의 함량을 기준으로 0.001~3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는 이형층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요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반응 조정제, 밀착강화제, 박리콘트롤제, 계면활성제 등의 보조제를 병용해도 좋다.
2.2. 이형 조성물의 도포 및 도포층의 형성
이형조성물을 기재필름에 도포하는 것은 인라인 또는 오프라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형조성물의 도포는 고형분 함량 0.2~5중량%의 코팅액 상태에서 기재필름에 도포된 다음, 건조 경화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상기 코탱액의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이다. 코팅액에서 고형분 함량이 0.2중량% 미만일 경우 이형특성이 발현되지 않거나 이형필름 제작 후 박리시 뜯김 현상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5중량%를 초과할 경우 필름간의 블로킹 현상이 발생되며, 코팅 조성물의 기재 밀착성이 나빠져 실리콘 전사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기재상에 상기 이형코팅액의 도포는 메이어바, 바코트,닥터 블레이드,리버스롤 또는 그라비어롤 코트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포는 건조후 도포층의 두께가 0.05~5㎛인 범위가 되도록 수행하되, 1회의 도포 또는 2회 이상으로 나누어 상기 두께에 순차적으로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포 후에는 도막의 건조 및 열경화 또는 자외선경화 등의 경화공정은 개별 또는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동시에 실시할 때에는 100℃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및 열경화의 조건으로는 100℃ 이상에서 30초 정도가 바람직하다. 건조온도가 100℃ 이하 및 경화시간 30초 이하의 조건에서 실시할 경우는 도막의 경화가 불완전하며 도막의 탈락 등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5㎛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된 면에 점도가 3000mPaㆍs인 알케닐 폴리실록산(알케닐기를 실록산 단위로 약 0.4% 함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점도4mPa·s/고형분30%/x=5mmol/g) 2.5 중량부, 백금 킬레이트 촉매 50ppm(백금함량 기준)을 톨루엔에 희석하여 전체 고형분 함량이 2 중량%인 실리콘 이형 조성물을 제조하여 19㎛ 기재필름에 10㎛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포 후 120℃,180℃ 열풍 건조기에서 각각 20초간 열처리하여 건조후 도포층의 두께가 0.3㎛인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점도가 5000 mPaㆍs 인 알케닐 폴리실록산(알케닐기를 실록산 단위로 약 0.4% 함유) 10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점도가 5000 mPaㆍs 인 알케닐 폴리실록산(알케닐기를 실록산 단위로 약 1% 함유) 10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점도가 15000 mPaㆍs 인 알케닐 폴리실록산(알케닐기를 실록산 단위로 약 0.4% 함유) 10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메톡시 실란 커플링제(methoxy silame) 2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점도가 10000 mPaㆍs 인 알케닐 폴리실록산(알케닐기를 실록산 단위로 약 1% 함유) 100 중량부에 박리력 조절제 1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한 물성 평가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박리력 측정
- 시료 준비
①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리콘 코팅된 측정용 이형필름의 샘플을 25℃, 65%RH에서 24시간 보존
② 실리콘 코팅 면에 아크릴계 표준 점착테이프(TESA7475)를 붙인 후 이 샘플을 상온(25℃) 조건에서 20g/cm2의 하중으로 1일, 14일 압착 후 물성 측정
- 측정 기기: chem-instrument AR-1000
- 측정 방법:
① 180°박리각도, 박리속도 30cm/분
② 샘플 크기 510mm x 1500mm, 박리력 측정크기 500㎜ x 1500mm
- 측정 데이터: 박리력 단위는 g/in 이며 측정값은 5회 측정하여 평균값 산출
- 14일차 측정값을 1일차 측정값으로 나누어 경시변화율(%) 계산
2; 밀착성(rub-off) 평가
- 시료 준비
①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리콘 코팅된 측정용 이형필름의 샘플 크기: 10 cm x 20 cm
② 손가락을 이용하여 한쪽 방향으로 10회 문지른 후 잉크를 칠하여 묻어나는 정도를 확인
- 도 1에 도시된 한도견본을 바탕으로 5단계로 구분.
도 1은 밀착성 평가결과에 대한 사진이다. 상기 사진들을 하단의 한도견본과 비교하여 5단계로 분류한 값을 표1에 정리하였다.
3; 열주름 평가
-시료 준비
①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리콘 코팅된 측정용 이형필름의 샘플 크기 : A3용지 크기
②형광등을 비추어 육안으로 주름(열주름)의 강도를 확인.
구분 | 1일 숙성 | 14일 숙성 | 경시변화율 | 밀착성 | 열주름 | |||||
건조온도(℃) | 180 | 120 | 180 | 120 | 180 | 120 | 180 | 120 | 180 | 120 |
실시예 1 | 18.7 | 19.0 | 24.8 | 26.6 | 1.33 | 1.40 | 5 | 5 | 강 | 약 |
실시예 2 | 21.1 | 23.1 | 23.7 | 24.8 | 1.12 | 1.74 | 5 | 4 | 강 | 약 |
실시예 3 | 20.5 | 20.9 | 26.9 | 24.5 | 1.31 | 1.17 | 5 | 4 | 강 | 약 |
비교예 1 | 28.4 | 33.3 | 35.0 | 41.0 | 1.23 | 1.23 | 1 | 1 | 강 | 약 |
비교예 2 | 26.8 | 33.7 | 62.4 | 78.4 | 2.13 | 2.33 | 5 | 1 | 강 | 약 |
비교예 3 | 29.4 | 28.9 | 41.3 | 49.9 | 1.41 | 1.73 | 2 | 1 | 강 | 약 |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준 테이프(tape) 합지 후 박리력의 경시변화가 어느 정도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비교예 2의 경우 첨가제(커플링제)의 영향으로 물성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점도에 따라 밀착성(rub-off) 특성이 차이가 나며, 실험 결과로 볼 때 점도가 낮을수록 밀착성이 좋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재 필름의 두께가 얇아 고온(180℃) 조건에서 제작된 이형필름의 열주름이 강하게 발생되었으며 저온(120℃) 조건에서 제작된 이형필름의 경우 열주름이 약하게 발생되었다. 반면 저온조건에서 제작된 경우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기재 밀착성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점도가 낮을수록 밀착성이 유지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Claims (5)
-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 의해 1회 이상 도포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이형 조성물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2.5 내지 5.0 중량부 및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 0.001~3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은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30중량% 톨루엔 용액에서의 점도가 1000 내지 8,000mPaㆍ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M과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 제1항에 있어서, [14일 숙성후 박리력]/[1일 숙성후 박리력] 비의 값은 0.8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M의 비는 0.001 - 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필름.
- 제4항에 있어서,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 1개에 대하여 실리콘 원자에 결합한 하이드로겐기가 1.0 내지 2.0개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7007A KR20150080097A (ko) | 2013-12-30 | 2013-12-30 |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7007A KR20150080097A (ko) | 2013-12-30 | 2013-12-30 |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0097A true KR20150080097A (ko) | 2015-07-09 |
Family
ID=5379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7007A KR20150080097A (ko) | 2013-12-30 | 2013-12-30 |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8009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3868B1 (ko) | 2016-06-29 | 2016-11-08 | 김진선 |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
-
2013
- 2013-12-30 KR KR1020130167007A patent/KR201500800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3868B1 (ko) | 2016-06-29 | 2016-11-08 | 김진선 |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소형 아크릴 점착물 박리용 엠보 실리콘 이형필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4615B1 (ko) | 불소기 함유 이형 필름 | |
JP6866353B2 (ja) | 高誘電性フィルム、その用途および製造方法 | |
KR101008460B1 (ko) | 편광판 부재용 실리콘 이형필름 | |
KR20150104477A (ko) | 중박리 이형 코팅 폴리에스테르 필름 | |
WO2012043091A1 (ja) | 離型フィルム | |
KR20160038438A (ko) |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13010880A (ja) | 離型フィルム | |
JP6164791B2 (ja) |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KR102046146B1 (ko) | 경시 박리 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이형필름 | |
JP2012137567A (ja) | 偏光板用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JP2012137568A (ja) | 偏光板用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KR101955241B1 (ko) | 계면접착 특성이 우수한 실리콘 이형 조성물, 그를 이용한 실리콘 이형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
JP6771569B2 (ja) |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960490B1 (ko) |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 |
KR20150080097A (ko) |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 |
KR101268584B1 (ko) | 실리콘 이형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점착가공용 캐리어 필름 | |
KR102302204B1 (ko) |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40082029A (ko) | 실리콘 경화도가 우수하고 전사율이 낮은 실리콘 이형필름 | |
WO2011136123A1 (ja) | 離型フィルム | |
KR102581996B1 (ko) |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086821A (ko) | 중박리 실리콘 이형 필름 | |
JP2016188265A (ja) | 離型フィルム | |
JP2015016676A (ja) |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KR20120053670A (ko) | 폴리에스테르계 광학용 필름 | |
KR102110649B1 (ko) | 폴리에스테르 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