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490B1 -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 Google Patents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490B1
KR101960490B1 KR1020120142561A KR20120142561A KR101960490B1 KR 101960490 B1 KR101960490 B1 KR 101960490B1 KR 1020120142561 A KR1020120142561 A KR 1020120142561A KR 20120142561 A KR20120142561 A KR 20120142561A KR 101960490 B1 KR101960490 B1 KR 101960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enyl
silicone release
polysiloxane
release film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066A (ko
Inventor
서기봉
엄태수
송정한
오정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4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04Polysiloxanes
    • C08J24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와의 상호작용이 적어 물성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리콘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실리콘 이형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 의해 1회 이상 도포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필름은 하기 식1 내지 4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0.8≤ A ≤2.0 --- (식 1)
1.0≤ B ≤2.0 --- (식 2)
0.5≤ C ≤5.0 --- (식 3)
1000≤ D ≤8,000 --- (식 4)
여기서, A는 14일 숙성 박리력/1일 숙성 박리력 비의 값이고, B는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의 Si-H기/알케닐 폴리실록산의 Si-알케닐기의 몰 비의 값이고, C는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Si-알케닐기/알케닐 폴리실록산의 메틸기의 몰 비의 값이고, D는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점도(단위: mPaㆍs)를 각각 나타냄.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리콘 이형필름은 인라인 또는 오프라인 제조 공정을 거쳐 전기 전자용 및 광학 디스플레이용도의 공정에서 이형필름으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우수한 기재 밀착성 및 경시 박리 안정 특성으로 점착층과 이형필름 박리시 발생될 수 있는 뜯김 현상에 의한 품질 불량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박리력을 유지하면서 박리력의 경시 변화가 적은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Silicone release film having an improved releasing property}
본 발명은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 산업에 있어서 점착 코팅 기재 또는 점착제 보호 용도로 사용되는 실리콘 이형필름으로서 우수한 기재 밀착성으로 점착 가공 시 점착제 층의 영향으로 코팅층이 벗겨지는 현상이 없으며, 동시에 점착제와의 상호작용이 적어 물성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리콘 이형필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형필름(separator 또는 release film)은 PET 및 PP 등의 기재에 실리콘(silicone), 불소, 우레탄(urethane) 등의 도제를 코팅해 이형성을 부여한 것으로서, 세라믹 콘덴서 제조공정용, 편광판 및 PDP 부재 등의 광학필름, 각종 보호, 마스킹 필름, 의약, 화장품 관련, 윈도우용, 태양광 부재, 탄소섬유 가공공정용, 라벨관련, 양면테이프, PCB 기판 제조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 산업에 있어서 근래 고성능화, 고화질화 및 대화면화의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 대비 경박화, 저에너지소비 특성으로 그 채용 및 보급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에 사용되는 편광판 및 PDP 컬러필터 등 점착층을 형성하는 필름의 경우 일반적으로 점착층 위에 실리콘 이형필름을 적층하거나, 실리콘 이형필름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후 롤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하게 되는데, 실리콘 이형필름 위에 점착 코팅을 진행할 때 실리콘 이형층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경우 점착제 코팅액에 함유되어 있는 솔벤트에 의해 코팅층이 벗겨지거나 점착층으로 뜯겨나가는 현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후 각각의 적층체 롤은 원하는 사이즈별로 제단하여 보관 및 제조 공정에 투입되는데, 종래의 실리콘 이형필름은 점착제와 합지된 상태로 장시간 보관되는 사이에 실리콘 이형 코팅층 중 실리콘 수지의 미반응 작용기와 점착제 성분 중의 미반응 작용기가 서서히 반응하여, 실리콘 이형필름 박리 시 점착제 뜯김 현상이 발생하거나, 그로 인해 점착제 층에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와 이형필름이 합지된 상태로 장시간 보관되는 사이 실리콘 이형 코팅층의 미반응 화합물 등이 점착제 층으로 전이되어 점착력의 저하가 일어나는 품질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용 부재 필름의 경우 상기와 같은 제조 프로세스로 인하여 수축률이 서로 다른 여러 층이 합지되어 있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휨 또는 말림(CURL)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점착제의 설계를 변경하여 점착층의 수축률을 줄이는 방향으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주로 첨가제를 사용하여 가교 밀도를 높이는 방향으로써, 실리콘 이형필름과 상호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실리콘 이형필름의 설계 변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초기 박리가 용이하고, 시간경과 후에도 박리력이 상승하지 않고 경시안정성이 제공되며, 이형 코팅층의 기재 밀착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용이한 이형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13729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을 제조하고,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하이드로겐실란을 함유하는 도포액에 백금 촉매 70 내지 10,000 ppm을 첨가하여 중합도가 50 내지 200,000인 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전체 고형분 농도가 0.5 내지 10%가 되도록 함유하여, 경화성 실리콘 수지 함유 도포액을 제조하고,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의 일면에, 상기 경화성 실리콘 수지 함유 도포액을 도포한 후, 경화반응시켜 실리콘 이형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 제안된 방법은 이형필름의 기재 밀착성과 관련된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였다고 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이들 문제점 해결을 위해 더욱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137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 지적된 경시 안정성을 유지하고 동시에 우수한 기재 밀착성을 갖는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실리콘 이형필름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 의해 1회 이상 도포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필름은 하기 식1 내지 4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0.8≤ A ≤2.0 --- (식 1)
1.0≤ B ≤2.0 --- (식 2)
0.5≤ C ≤5.0 --- (식 3)
1000≤ D ≤8,000 --- (식 4)
여기서, A는 14일 숙성 박리력/1일 숙성 박리력 비의 값이고, B는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의 Si-H기/알케닐 폴리실록산의 Si-알케닐기의 몰 비의 값이고, C는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Si-알케닐기/알케닐 폴리실록산의 메틸기의 몰 비의 값이고, D는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점도(단위: mPaㆍs)를 각각 나타냄.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계면활성제 및 백금킬레이트 촉매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는 메틸기를 제외한 반응성 작용기를 나타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2.5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 0.3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 중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실록산계 주쇄에 폴리에테르(Polyether), 아릴알킬(Arylalkyl),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아크릴(Acryl)계 작용기, 카르복실(Carboxyl)계 작용기 및 하이드록실(Hydroxyl)계 작용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성분이 치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0.2 내지 5 중량%의 고형분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은 인라인 또는 오프라인 제조 공정을 거쳐 전기 전자용 및 광학 디스플레이용도의 공정에서 이형필름으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우수한 기재 밀착성 및 경시 박리 안정 특성으로 점착층과 이형필름 박리시 발생될 수 있는 뜯김 현상에 의한 품질 불량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박리력을 유지하면서 박리력의 경시 변화가 적은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밀착성(rub-off) 평가하기 위한 한도견본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은 편광판 부재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로 1회 이상 도포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필름은 하기 식1 내지 4를 동시에 만족한다:
0.8≤ A ≤2.0 --- (식 1)
1.0≤ B ≤2.0 --- (식 2)
0.5≤ C ≤5.0 --- (식 3)
1000≤ D ≤8,000 --- (식 4)
상기 식에서, A는 14일 숙성 박리력/1일 숙성 박리력 비의 값이고, B는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의 Si-H기/알케닐 폴리실록산의 Si-알케닐기의 몰 비의 값이고, C는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Si-알케닐기/알케닐폴리실록산의 메틸기의 몰 비의 값이고, D는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점도(단위: mPaㆍs)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점도는 수십만 mPaㆍs 이상의 실리콘 검을 30% 톨루엔 용액으로 희석한 도료의 점도를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류의 제한이 없으나, 종래에 실리콘 이형코팅의 기재필름으로 알려져 있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리콘 이형필름의 기재는 이들 폴리에스테르 시트 또는 필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은 폴리에스테르를 가리킨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필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트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제3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도 가능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옥시카르복시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을 들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디카르복시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필름은 높은 투명성을 갖는 동시에 생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일축 또는 이축 배향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필름의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백금킬레이트 촉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 조성물의 구성 중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은 부가형, 축합형, 자외선 경화형 등 어느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대표적인 분자구조는 다음의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112012102212162-pat00001
여기서, M과 N은 0 이상의 정수임.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은 분자 내에 알케닐기를 함유하며, 알케닐기가 분자 중의 어느 부분에 존재하여도 좋으며, 최소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자구조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이라도 좋으며, 직쇄와 분지가 함께 있는 구조라도 좋다. N/M의 비는 0.5 내지 5.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M의 비가 0.5% 미만일 경우 하드 타입의 점착제와의 박리력이 너무 낮아 들뜸 현상을 유발하게 되며 5.0%를 초과할 경우 무라 및 들뜸 현상은 개선되나 박리력 경시변화가 심화되는 부작용을 갖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일반적으로 점도에 대해서는 코팅 설비에 따라 균일한 코팅이 가능한 수준에 부합하면 되는 수준으로 특별히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통상 용제형 실리콘 코팅에 있어서 1000 내지 20000 mPaㆍs에 포함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을 사용하나, 이형 코팅층의 기재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점도가 1000 내지 8000mPaㆍs 에 해당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5000 mPaㆍs 에 포함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점착제에 사용되는 첨가제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상기 불량 현상 및 박리력 거동에 차이가 발생하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무리 없이 사용 가능한 수준의 이형필름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 조성물의 구성 중 경화제로는 부가형, 축합형, 자외선 경화형 등 어느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대표적인 경화제인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Hydrogen polysiloxane)의 대표적인 분자구조는 다음의 화학식 2와 같다.
[화학식 2]
Figure 112012102212162-pat00002
여기서, X와 Y는 0 이상인 정수임.
상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은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어느 쪽이라도 좋으며, 이들의 혼합물도 좋다. 또한, 점도나 분자량도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과의 상용성이 양호하여야 하며, 사용량은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 1개에 대하여 실리콘 원자에 결합한 하이드로전기가 1.0 내지 2.0개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 1개에 대하여 실리콘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가 1.0개 미만인 경우 양호한 경화성을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2.0개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 후의 탄성이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잔류 하이드로전기와 점착제 층의 반응에 의해 경시 박리력 변화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2.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서는 알케닐 폴리실록산에 비하여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의 양이 많으면 가교가 많이 진행되어 유연성이 감소하여 막의 균열이 생성되어 평활성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된 면에 점도가 3000 mPaㆍs인 알케닐 폴리실록산(알케닐기를 실록산 단위로 약 0.4% 함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2.5 중량부, 백금 킬레이트 촉매 50 ppm을 톨루엔에 희석하여 전체 고형분 함량이 2 중량%인 실리콘 이형 조성물을 제조하여 10 미크론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포 후 180℃ 열풍 건조기에서 20초간 열처리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점도가 5000 mPaㆍs 인 알케닐 폴리실록산(알케닐기를 실록산 단위로 약 0.4% 함유) 10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점도가 5000 mPaㆍs 인 알케닐 폴리실록산(알케닐기를 실록산 단위로 약 1% 함유) 10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점도가 15000 mPaㆍs 인 알케닐 폴리실록산(알케닐기를 실록산 단위로 약 0.4% 함유) 10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란커플링제 2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점도가 10000 mPaㆍs 인 알케닐 폴리실록산(알케닐기를 실록산 단위로 약 1% 함유) 100 중량부에 박리력 조절제 1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한 물성 평가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박리력 측정
- 시료 준비
①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리콘 코팅된 측정용 이형필름의 샘플을 25℃, 65%RH에서 24시간 보존
② 실리콘 코팅 면에 아크릴계 표준 점착테이프(TESA7475)를 붙인 후 이 샘플을 상온(25℃) 조건에서 20g/cm2의 하중으로 1일, 14일 압착 후 물성 측정
- 측정 기기: chem-instrument AR-1000
- 측정 방법:
① 180°박리각도, 박리속도 30cm/분
② 샘플 크기 510mm x 1500mm, 박리력 측정크기 500㎜ x 1500mm
- 측정 데이터: 박리력 단위는 g/in 이며 측정값은 5회 측정하여 평균값 산출
- 14일차 측정값을 1일차 측정값으로 나누어 경시변화율(%) 계산
2; 밀착성(rub-off) 평가
- 시료 준비
①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리콘 코팅된 측정용 이형필름의 샘플 크기: 10 cm x 20 cm
② 손가락을 이용하여 한쪽 방향으로 10회 문지른 후 잉크를 칠하여 묻어나는 정도를 확인
- 도 1에 도시된 한도견본을 바탕으로 5단계로 구분
구분 1일 숙성 14일 숙성 경시변화율 밀착성
실시예 1 18.7 24.8 32.6 5
실시예 2 21.1 23.7 12.3 5
실시예 3 20.5 26.9 31.2 5
비교예 1 28.4 35.0 23.2 1
비교예 2 26.8 62.4 132.8 5
비교예 3 29.4 41.3 40.5 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준 테이프(tape) 합지 후 박리력의 경시변화가 어느 정도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비교예 2의 경우 첨가제(커플링제)의 영향으로 물성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점도에 따라 밀착성(rub-off) 특성이 차이가 나며, 실험 결과로 볼 때 점도가 낮을수록 밀착성이 좋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에 의해 1회 이상 도포된 도포층을 포함하며, 하기 식1과 식2를 동시에 만족하는 실리콘 이형필름에 있어서,
    0.8≤ A ≤2.0 --- (식 1)
    1.0≤ B ≤2.0 --- (식 2)
    (여기서, A는 14일 숙성 박리력/1일 숙성 박리력 비의 값이고, B는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의 Si-H기/알케닐 폴리실록산의 Si-알케닐기의 몰 비의 값임)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되, 알케닐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과 같으며,
    Figure 112019501876618-pat00004

    (여기서, M과 N은 0 이상의 정수임)
    분자구조는 직쇄상, 분지상, 또는 직쇄와 분지가 함께 있는 구조이나, N/M의 비는 반드시 0.5 내지 5.0%가 되어야하고,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Si-알케닐기/알케닐 폴리실록산의 메틸기의 몰 비는 0.5 내지 5.0이 되어야하며,
    이때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점도는 1,000 내지 8,000mPaㆍ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와 백금킬레이트 촉매를 추가로 포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는 메틸기를 제외한 반응성 작용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2.5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 0.3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 중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실록산계 주쇄에 폴리에테르(Polyether), 아릴알킬(Arylalkyl),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아크릴(Acryl)계 작용기, 카르복실(Carboxyl)계 작용기 및 하이드록실(Hydroxyl)계 작용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성분이 치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0.2 내지 5 중량%의 고형분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KR1020120142561A 2012-12-10 2012-12-10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KR101960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61A KR101960490B1 (ko) 2012-12-10 2012-12-10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61A KR101960490B1 (ko) 2012-12-10 2012-12-10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066A KR20140075066A (ko) 2014-06-19
KR101960490B1 true KR101960490B1 (ko) 2019-07-16

Family

ID=5112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561A KR101960490B1 (ko) 2012-12-10 2012-12-10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730B1 (ko) * 2014-12-05 2016-02-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KR102096527B1 (ko) * 2018-06-20 2020-04-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실리콘 이형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용 및 점착 테이프용 보호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460B1 (ko) * 2009-07-08 2011-01-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편광판 부재용 실리콘 이형필름
KR101200556B1 (ko) 2010-06-10 2012-11-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729A (ko) 2005-07-27 2007-01-31 김홍현 자동차용 독서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460B1 (ko) * 2009-07-08 2011-01-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편광판 부재용 실리콘 이형필름
KR101200556B1 (ko) 2010-06-10 2012-11-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066A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615B1 (ko) 불소기 함유 이형 필름
JP6866353B2 (ja) 高誘電性フィルム、その用途および製造方法
JP6378516B2 (ja) シリコーン系粘着テープ
JP4945818B2 (ja) 偏光板部材用シリコン離型フィルム
KR20150104477A (ko) 중박리 이형 코팅 폴리에스테르 필름
TWI754200B (zh) 矽酮系黏合性保護膜及包括其的光學構件
KR101844051B1 (ko) 보호필름
KR101960490B1 (ko)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KR101520762B1 (ko) 실리콘 이형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55241B1 (ko) 계면접착 특성이 우수한 실리콘 이형 조성물, 그를 이용한 실리콘 이형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46146B1 (ko) 경시 박리 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이형필름
KR102392098B1 (ko)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8584B1 (ko) 실리콘 이형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점착가공용 캐리어 필름
KR102126687B1 (ko)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KR102302204B1 (ko)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4900928B2 (ja) 保護フィルムの未硬化シリコーンの除去方法
JP2011230469A (ja) 離型フィルム
KR20110135059A (ko)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KR20160040505A (ko) 중박리 이형 코팅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50080097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형필름
KR102581996B1 (ko)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188265A (ja) 離型フィルム
KR101556704B1 (ko) 코팅외관이 우수한 실리콘 이형필름
KR20120045213A (ko)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KR20180086821A (ko) 중박리 실리콘 이형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