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730B1 -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 Google Patents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730B1
KR101597730B1 KR1020140174287A KR20140174287A KR101597730B1 KR 101597730 B1 KR101597730 B1 KR 101597730B1 KR 1020140174287 A KR1020140174287 A KR 1020140174287A KR 20140174287 A KR20140174287 A KR 20140174287A KR 101597730 B1 KR101597730 B1 KR 101597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release
release layer
colored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철
최태규
이문복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색층과 이형층이 단일층으로 구성되는 이형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이형 필름과는 구분되는 다양한 용도에 이용할 수 있는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구비하되, 상기 유색 실리콘 이형층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염료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유색 코팅 조성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SILICONE RELEASE FILM COMPRISING COLORED SILICONE RELEASE LAYER}
본 발명은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색층과 이형층이 단일층으로 구성되는 이형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이형 필름과는 구분되는 다양한 용도에 이용할 수 있는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형 필름은 점, 접착 성분에 잘 붙지 않는 이른바 이형성을 갖는 필름을 총칭하며 점, 접착 필름 또는 테이프에 보호필름 용도로 부착되어 점, 접착제를 사용 전까지 원치 않는 피착물에 피착되거나 먼지 또는 이물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또 다른 용도로는 프린트 배선기판, 인몰드 성형과 같이 가열가압 성형공정에서 형틀과 성형물이 고착되지 않게 하거나 적층 세라믹 캐퍼시터용 유전체 등 얇은 세라믹 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캐리어 필름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이형 필름이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에 사용되던 이형 필름은 무색, 투명이거나 백색 혹은 흑색이어서 그 이외의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이형 필름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많았고, 이로 인해 합지되어 있는 경우 이형 필름을 구별하기 용이하지 않아 공정 상의 실수도 많았고 불량률도 상당히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형 필름에 색상을 부여하고, 이형층과 염색층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였으나, 두 단계 이상의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형층 상에 염색층이 위치하는 경우 염색층이 이형 필름과의 밀착성이 부족하여 염색층이 벗겨져 나가는 문제점 등이 있었는바,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밀착성이 우수한 염색층을 가지는 이형 필름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형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에 염료를 혼합함으로써 유색 이형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5845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56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무색 투명, 화이트 또는 블랙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어 이형 필름의 구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정 상의 실수 혹은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고, 또한 충분한 이형성을 가지면서도 이형층과 염색층을 동시에 하나의 층으로 형성함으로써 공정이 간편하고 기재 필름과 이형층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내용제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구비하되, 상기 유색 실리콘 이형층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염료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유색 코팅 조성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색 코팅 조성물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 1~15 중량%,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 0.1~3중량%, 에폭시계 화합물 0.01~0.3중량%, 염료 0.01~5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의 몰비가 1:1~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색 실리콘 이형층의 두께는 0.01 내지 1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 필름의 타면에 상기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 필름의 타면에 염료를 포함하지 않은 무색 실리콘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색 실리콘 이형층은 300~800nm의 파장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흡광 피크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무색 투명, 화이트 또는 블랙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형 필름의 구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정 상의 실수 혹은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이형성을 가지면서도 이형층과 염색층을 동시에 하나의 층으로 형성함으로써 공정이 간편하고 기재 필름과 이형층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내용제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고/하거나 청구함에 있어서, 용어 "공중합체"는 둘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를 언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한 공중합체는 이원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또는 더 고차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의 단면도로부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100)은 기재 필름(110)과 기재 필름의 일면에 유색 실리콘 이형층(120)을 구비하되, 상기 유색 실리콘 이형층(120)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염료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유색 코팅 조성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색 코팅 조성물은 적어도 1회 이상 도포할 수 있다.
유색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 1~15 중량%,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 0.1~3 중량%, 에폭시계 화합물 0.01~0.3 중량%, 염료 0.01~5 중량% 및 잔량의 용매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18799105-pat00001
여기서, m은 0 또는 1~100의 정수이고, n은 20~5000의 정수이다. 이때 m과 n은 블록 결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은 단지 각각 단위의 합이 m과 n이라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식에 있어서 각 단위는 랜덤 결합 혹은 블록 결합하고 있다. 또한 R1, R2, R3는 각각 -CH=CH2, -CH2CH=CH2, -CH2CH2CH2CH2CH=CH2로부터 선택되는 알케닐기이다. 이러한 알케닐기는 분자 중의 어느 부분에 존재하여도 좋으나, 최소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14118799105-pat00002
여기서, a는 1~200의 정수이고, b는 2~400의 정수이다. 이때 a와 b는 블록 결합을 의미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은 단지 각각 단위의 합이 a과 b이라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식에 있어서 각 단위는 랜덤 결합 혹은 블록 결합하고 있다.
유색 코팅 조성물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수소 폴리실록산은 혼합 형태로 사용되며, 혼합 비율은 몰비로 1 : 1~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몰비가 1:5(알케닐 폴리실록산:수소 폴리실록산) 미만이면 미반응 수소 폴리실록산의 양이 많아짐으로 인해 이형층의 박리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고 1:1을 초과하는 경우 미반응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양이 많아짐으로 인해 충분한 경화성을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색 코팅 조성물에서,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은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부가반응을 돕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한 일례로는 백금과 유기 킬레이트 화합물로 구성되는 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은 0.1~3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며, 0.1 중량% 미만이면 부가반응이 원하는 비율만큼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으며, 3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 조성물 상태에서 젤이 형성됨에 따라, 소위 포트 라이프(pot life)가 짧아지고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형성 시 백금촉매에 의한 부가형 경화반응 타입으로 박리력을 낮추거나 높임을 통해 이형층의 박리성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박리 조절제를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유색 코팅 조성물에서 에폭시계 화합물이라 함은 내용제성 및 내구성 향상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에폭시드 관능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폭시계 화합물은 0.01~0.3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중량% 미만이면 고분자 기재 필름과의 충분한 밀착력을 부여하기 힘들어 바람직하지 않고, 0.3중량%를 초과하면, 알케닐 폴리실록산과 수소 폴리실록산의 반응을 방해하고, 코팅 조성물의 젖음 특성에 문제가 발생하며, 실리콘 피막의 유연성을 저해함에 따라 박리성 구현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유색 코팅 조성물에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염료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염료를 사용함으로써, 실리콘 이형층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으며, 발색단과 조색단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염료는 질소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가지지 않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백금촉매의 활성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리콘 이형층 형성 및 물성 구현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기재 필름의 하부에 무색 실리콘 이형층을 형성할 목적으로 염료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쥬게이트 유기 화합물을 염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광학 특성 측정을 통하여, 실리콘 이형층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염료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을 사용한다. 이때, 염료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이형층의 색상 변화가 관찰되지 않고, 5 중량% 초과하면 이형층의 박리성에 변형을 주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유색 코팅 조성물은 상술한 조성 이외에, 소포제 0.001~0.5 중량%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소포제는 통상의 이형액 조제 공정 시 발생되는 기포를 줄이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한정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은 유색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되, 도포량을 0.01 내지 10g/m2로 도포하여, 두께가 0.01 내지 10㎛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형층의 두께가 0.01㎛ 미만이면, 균일한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아 점착층과의 이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형층의 두께가 10㎛를 초과하면, 코팅층이 형성된 면과 배면 사이에 블로킹(blocking)이 발생되고, 낮은 잔류접착률 및 높은 실리콘 전사량으로 인해 박리 이후의 점착층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경시 박리력 변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유색 코팅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고형분을 분산시켜 고분자 기재 필름 상에 도포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종류의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한다.
상술한 유색 실리콘 이형층은 300~800nm의 파장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흡광 피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의 단면도인 도 2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200)은 기재 필름(210)과 기재 필름의 일면에 유색 실리콘 이형층(220)과 다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2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의 단면도인 도 3으로부터,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300)은 기재 필름(310)과 기재 필름의 일면에 유색 실리콘 이형층(320)과 무색 실리콘 이형층(33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분자 기재 필름은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공정의 편의성을 위해 입자들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알케닐 폴리실록산:수소 폴리실록산의 몰비는 1:2, Dow Corning사 제품) 2.5 중량%,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Dow Corning사 제품) 0.1 중량%, 에폭시계 화합물(Dow Corning사 제품) 0.02 중량%, 수용성 염료(Bromophenol blue, Sigma-Aldrich, CAS 115-39-9) 0.2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스터(PET) 기재필름(도레이첨단소재, Excell-50㎛)의 일면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180℃에서 50초간 건조하여 유색 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알케닐 폴리실록산:수소 폴리실록산의 몰비는 1:2, Dow Corning사 제품) 2.5 중량%,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Dow Corning사 제품) 0.1 중량%, 에폭시계 화합물(Dow Corning사 제품) 0.02 중량%, 수용성 염료(Bromophenol blue, Sigma-Aldrich, CAS 115-39-9) 0.50 중량% 및 잔량을 물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스터(PET) 기재필름(도레이첨단소재, Excell-50㎛)의 일면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180℃에서 50초간 건조하여 유색 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3>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알케닐 폴리실록산:수소 폴리실록산의 몰비는 1:2, Dow Corning사 제품) 5.0 중량%,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Dow Corning사 제품) 0.2 중량%, 에폭시계 화합물(Dow Corning사 제품) 0.02 중량%, 수용성 염료(Bromophenol blue, Sigma-Aldrich, CAS 115-39-9) 0.50 중량% 및 잔량을 물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스터(PET) 기재필름(도레이첨단소재, Excell-50㎛)의 일면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180℃에서 50초간 건조하여 유색 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알케닐 폴리실록산:수소 폴리실록산의 몰비는 1:2, Dow Corning사 제품) 2.5 중량%,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Dow Corning사 제품) 0.1 중량%, 에폭시계 화합물(Dow Corning사 제품) 0.02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스터(PET) 기재필름(도레이첨단소재, Excell-50㎛)의 일면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180℃에서 50초간 건조하여 무색 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알케닐 폴리실록산:수소 폴리실록산의 몰비는 1:2, Dow Corning사 제품) 5.0 중량%,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Dow Corning사 제품) 0.1 중량%, 에폭시계 화합물(Dow Corning사 제품) 0.02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스터(PET) 기재필름(도레이첨단소재, Excell-50㎛)의 일면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180℃에서 50초간 건조하여 무색 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른 이형 필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통해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박리력 측정
- 시료 준비: 이형 필름의 이형층면이 위에 오도록 냉간 압연 스텐레스 판에 양면 점착테이프로 부착한 후, 점착테이프 (TESA7475)를 이형층면에 얹고, 2kg의 압착 롤러로 압착하고, 24시간 방치한 뒤 물성을 측정한다.
- 측정 방법: Chem-Instrument AR-1000 장비를 사용하며, 박리각도 180도, 박리속도 0.3 mpm을 적용하여 박리력을 측정한다.
- 측정 데이터: 박리력 단위는 g/inch 이며 측정값은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2. 잔류접착률
이형 필름의 이형층면에 점착 테이프(Nitto 31B)를 얹고, 2kg의 압착 롤러로 압착하고, 30분간 방치하였다. 이를 이형 필름으로부터 박리한 후에 냉간 압연 스텐레스판에 붙인 후, 실험예 1의 측정 방법에 준하여 접착력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접착력을 "A"로 한다. 한편 사용한 적이 없는 점착 테이프(Nitto 31B)의 압연 스텐레스판과의 접착력을 마찬가지 방법으로 도출하여 이를 "B"로 하여, 다음의 식으로 잔류접착률을 계산하였다.
잔류접착률 = (A/B) * 100 (%)
3. 색차 및 흡광도 측정
- 색차 측정: 실시예(유색 이형 필름) 및 비교예(무색 이형 필름)의 색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광 광도계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이형 필름의 명도(L*) 및 색차(△E)를 확인하였다. 색차(△E)는 명도(L*) 뿐만 아니라 색상과 채도를 나타내는 색도(a*b*)를 고려하는 것으로 분광 광도계의 측정 결과로부터 계산하여 얻어지며, 비교예 1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되었다. 참고로 색차(△E)의 값이 0~0.5인 경우는 인지 정도에 있어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이고, 0.5~1.5인 경우는 약간 차이가 있는 것이며, 1.5 이상인 경우는 눈에 띄는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 흡광도 측정: 실시예(유색 이형 필름) 및 비교예(무색 이형 필름)의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UV Visible Spectrometer (Shimazu)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하였다. 300~800nm의 파장 범위에서 측정된 흡광도 곡선에서 흡광 피크의 유무 및 피크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코팅 조성물
전체 고형분 함량
(중량%)
2.87 3.12 5.72 2.62 5.12
염료 함량
(중량%)
0.25 0.50 0.50 0 0

코팅층 물성
박리력(g/inch) 26.6 29.9 25.2 24.3 20.3
잔류접착률(%) 90.8 91.1 90.9 92.0 93.3
색차(△E) 2.27 2.32 2.63 0 0.28
흡광피크(nm) 408, 614 411, 612 457, 596 없음 없음
위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색 이형 필름은 박리력 30g/inch 이하이며 잔류접착률 90% 이상으로 우수한 이형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육안으로도 색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에 따른 무색 이형 필름과 비교한 색차는 2 이상이며 흡광 피크도 하나 이상 관찰되어 뚜렷한 색상이 부여되었음을 분석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1, 2에 따른 무색 이형 필름과 같이 염료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 육안으로도 색상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색차도 0.5이하로서 유의미한 색상 차이를 관찰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색 이형 필름으로서, 우수한 이형 특성을 가지면서 색상 부여가 가능하므로 원하는 용도에 맞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200, 300: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110, 210, 310: 기재 필름
220, 230, 320: 유색 이형 코팅층
330 : 무색 이형 코팅층

Claims (8)

  1.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구비하되,
    상기 유색 실리콘 이형층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염료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유색 코팅 조성물로 도포되고,
    상기 염료는 질소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가지지 않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코팅 조성물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 1~15 중량%, 백금촉매 함유 화합물 0.1~3중량%, 에폭시계 화합물 0.01~0.3중량%, 염료 0.01~5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및 수소 폴리실록산의 몰비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실리콘 이형층의 두께는 0.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타면에 상기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타면에 염료를 포함하지 않은 무색 실리콘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실리콘 이형층은 300~800nm의 파장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흡광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KR1020140174287A 2014-12-05 2014-12-05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KR101597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87A KR101597730B1 (ko) 2014-12-05 2014-12-05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87A KR101597730B1 (ko) 2014-12-05 2014-12-05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730B1 true KR101597730B1 (ko) 2016-02-25

Family

ID=5544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287A KR101597730B1 (ko) 2014-12-05 2014-12-05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313A (ko) * 2017-04-10 2018-10-1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751A (ja) * 1995-06-12 1996-12-24 Shin Etsu Chem Co Ltd 剥離シート
KR20030095845A (ko) 2002-06-15 2003-12-24 (주)국제라텍 자동라벨기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65668A (ko) 2009-12-10 2011-06-16 율촌화학 주식회사 이형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75066A (ko) * 2012-12-10 2014-06-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751A (ja) * 1995-06-12 1996-12-24 Shin Etsu Chem Co Ltd 剥離シート
KR20030095845A (ko) 2002-06-15 2003-12-24 (주)국제라텍 자동라벨기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65668A (ko) 2009-12-10 2011-06-16 율촌화학 주식회사 이형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75066A (ko) * 2012-12-10 2014-06-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박리 특성을 개선한 실리콘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313A (ko) * 2017-04-10 2018-10-1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 필름
KR101964515B1 (ko) * 2017-04-10 2019-04-0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1710B (zh) 粘合剂组合物及利用该粘合剂的光学元件
KR101833565B1 (ko) 개선된 코팅을 갖는 유리 또는 유리-세라믹의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품
CN110171176A (zh) 树脂膜、层叠膜、光学构件、显示构件、前面板、以及层叠膜的制造方法
CN108977053B (zh) 复合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S58191749A (ja) 剥離性被膜形成用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CN110172311A (zh) 粘合剂组合物、粘合剂层、带粘合剂层的偏振膜及图像显示装置
CN104619498A (zh) 树脂片、带树脂层的支承体、层叠板和覆金属箔层叠板
KR20170096881A (ko) 대전방지 중박리 실리콘 이형필름
KR20160038937A (ko) 무광 코팅 조성물, 무광 코팅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7730B1 (ko) 유색 실리콘 이형층을 포함하는 실리콘 이형 필름
KR100282701B1 (ko) 금속판 등의 비흡수성 표면에 사용되는 그라비아 전사자와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CN111675999A (zh) 一种可光固化的胶层组合物及其保护膜
KR20110065668A (ko) 이형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92098B1 (ko)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96823A (zh) 量子点膜的制备方法及其在液晶显示器中的应用
KR101777617B1 (ko) 자개 장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KR101806120B1 (ko) 염색 가능한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이 코팅된 컬러기판의 제조방법
JP2005271405A (ja) 鏡面光沢積層体
TW202120650A (zh) 光硬化性黏著劑組合物、雙面黏著片材及其製造方法、以及光學裝置及其製造方法
KR20070066266A (ko) 휴대 단말기 및 전자기기의 표면에 사용되는 질감 도료용도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16875119B (zh) 一种油漆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504363B1 (ko) 실리콘계 이형제 조성물, 이로부터 경화된 이형층을 구비하는 이형필름
KR102498354B1 (ko) 실리콘계 이형제 조성물, 이로부터 경화된 이형층을 구비하는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33457B1 (ko)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선도장강판 제조 방법
CN114193950B (zh) 一种结构色树脂碳带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