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390A - 입체감 형성 외장재 - Google Patents

입체감 형성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390A
KR20110074390A KR1020090131331A KR20090131331A KR20110074390A KR 20110074390 A KR20110074390 A KR 20110074390A KR 1020090131331 A KR1020090131331 A KR 1020090131331A KR 20090131331 A KR20090131331 A KR 20090131331A KR 20110074390 A KR20110074390 A KR 20110074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aque
coating
dimensional appearan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수
유경종
김해식
허식
박상준
박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4390A/ko
Priority to US12/977,155 priority patent/US8685526B2/en
Priority to JP2010288528A priority patent/JP5221634B2/ja
Priority to CN2010106043163A priority patent/CN102179962B/zh
Publication of KR2011007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4Metallic leaves or foils, e.g. gold lea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44F1/04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 B44F1/045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having mirrors or metallic or reflective layers at the back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8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crystalline structures, pearl effects, or mother-of-pear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10T428/24545Containing metal or metal comp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10T428/2490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including coloring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17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metal lay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상에 형성되며, 요철패턴을 갖는 수지층; 및 상기 요철패턴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 순차로 형성된 금속막 및 불투명막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는 빛을 투과하는 광투과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증착으로 낼 수 없는 다양한 질감 및 컬러의 구현이 가능하여, 또한, 성형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컬러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인쇄의 조절을 통해 여러가지 입체감을 조절함으로써, 금속 본연의 감각은 유지하면서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금속 필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외장재, 바 코터, 그라비어 코터, 금속감

Description

입체감 형성 외장재{DECORATING MATERIAL WITH CUBIC EFFECT}
본 발명은 입체감이 형성된 외장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증착으로 낼 수 없는 다양한 컬러의 구현이 가능한 입체감 형성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외장재는 생활 공간을 아름답게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가구, 가전제품, 전자제품 등의 외장 혹은 내장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해, 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 외장재 및 유리가 널리 사용되었다.
통상적으로, 합성 수지 외장재는 합성 수지 시트, 필름, 패널 등에 패턴을 평면 인쇄하고 색상효과를 부여한 후 투명한 표면층을 코팅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합성 수지 외장재는, 평면 패턴의 단순 반복 및 패턴 색상의 단순성 등으로 인해, 소비자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이러한 심미성을 개선하기 위해 요철패턴이 형성된 기판상에 단일 금속층을 증착하여 금속성의 미감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단일 금속을 전면에 증착시 다양한 질감 및 색상을 구현할 수 없으며, 보는 각도를 달리해도 동일한 질감과 색상밖에 느낄 수 없다.
더욱이, 금속으로 금속미를 구현시에는 금속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그 특성이 변화한다. 즉, 금속층이 너무 얇으면 금속성이 떨어지거나. 너무 두꺼우면 떨어져 나가거나 패턴 내의 색이 너무 진해지는 효과로 실제적인 금속감을 나타내기가 어려웠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요철패턴이 형성된 외장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요철패턴에 형성된 금속막 (150)은 수지층 (140)의 전면에 단일 금속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는 각도에 따라 명암의 차이가 작아서 전체적으로 어두운 감이 높은 금속 컬러를 나타낸다. 또한, 일정한 모양이 형성된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의 컬러가 많은 차이를 보이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된 패턴의 형상이나 수치의 변화와 동시에 금속 페이스트 (또는 잉크)의 인쇄특성을 조절하고 굴절, 투과, 반사율 차이를 이용하여 실제 금속감 및 패턴의 입체감을 구현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입체감 형성 외장재는, 기판상에 형성되며, 요철패턴을 갖는 수지층; 및 상기 요철패턴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 순차로 형성된 금속막 및 불투명막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는 빛을 투과하는 광투과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막 및 불투명막은 상기 돌출부 또는 오목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며,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돌출부 또는 오목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금속막 또는 상기 금속막과 불투명막으로 형성된 반투과부; 및 상기 금속막 및 불투명막이 형성되지 않은 완전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금속막의 두께는 1㎛ 이상 10㎛ 이하일 수 있고, 상기 불투명막의 두께는 1㎛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막의 재료는 알루미늄 (Al) 페이스트 및 니트로 셀룰로오스 (Nitrocellulose), 카본 블랙 (carbon black), 폴리에스터 수지 (resin), 이소시아네이트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불투명막의 재료는 카본 블랙 (Carbon black) 및 변성 아크릴 (Acryl), 폴리에스터 수지 (resin)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1㎛ 이상 100㎛ 이하, 피치 (pitch)는 1㎛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판의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등 필름 및 시트 형태로 제작가능한 플라스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체감 형성 외장재는, 상기 기판 아래에 PSA로 접착된 유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층의 평면부상에 형성된 불투명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은, (a) 기판상의 수지층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요철패턴턴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 금속 페이스트 또는 잉크를 코팅하여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막상에 불투명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c) 단계는, 불투명 잉크를 코팅하거나, 불투명 필름 또는 시트를 라미네이팅하거나, 불투명 잉크를 코팅 후 그 위에 불투명 필름 또는 시트를 라미네이팅하여 불투명막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 또는 (c) 단계의 코팅은, 바 코터 또는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은, (d) 상기 수지층의 평면부에 불투명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상기 수지층의 평면 부에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불투명 잉크를 코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철패턴의 돌출부에 코팅하는 경우, 요철패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은, (e) 상기 기판 아래에 PSA 코팅하는 단계; 및 (f) 상기 PSA 아래에 유리층을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증착으로 구현할 수 없는 다양한 질감 및 컬러의 구현이 가능하여, 또한, 성형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컬러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인쇄의 조절을 통해 여러가지 입체감을 조절함으로써, 금속 본연의 감각은 유지하면서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금속 필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 형성 외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전면 필름 또는 후면 필름의 일 면의 "상 (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요철패턴으로서 오목부를 갖는 형태로 표현하였으나, 돌출부를 갖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음각, 양각 모두가 가능하나. 설명의 편의상 음각 패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입체감 형성 외장재를 제조하는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정에 대응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를 제조하는 공정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마스터 몰드 (10)를 준비한다 (S1). 그 후, 이를 이용하여 소프트 몰드 (40)를 제조한다 (S2).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하고자 하는 무늬형이 형성된 마스터 (10)에 몰드용 자외선 경화형 몰드수지 (20)를 코팅한다. 그 후, 몰드용 자외선 경화형 몰드수지 (20)에 지지체 (30)를 밀착시킨다. 그리고 지지체 (30)를 상기 마스터 (10) 방향으로 가압하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몰드용 자외선 경화형 몰드수지 (20)를 경화시켜 소프트 몰드 (40)를 형성한다. 그 다음, 소프트 몰드 (40)를 상기 마스터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소프트 몰드 (40)를 이용하여 성형품을 제작한다 (S4).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 (130)에 패턴용 자외선 경화수지 (50)를 코팅하고, 패턴용 자외선 경화수지 (50)에 소프트 몰드 (40)를 가압 접촉시키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패턴용 자외선 경화수지 (50)를 경화시켜 음각패턴이 형성된 수지층 (140)을 형성한 후, 수지층 (140)을 상기 소프트 몰드 (40)로부터 분리하여 성형품을 제작한다.
그리고 금속성분이 포함된 페이스트 또는 잉크를 코터 (180) (바 코터 (bar coater) 또는 그라비어 코터 (Gravure coater))를 이용하여 요철패턴의 오목한 부 분에 코팅한다 (S4).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UV 수지층 (140)의 경우 소프트 몰드 (40)와의 이형성을 고려하여 이형력이 좋은 (즉 인쇄성이 떨어짐) 수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더불어, 인쇄 코터 (180)의 사용중 바 또는 코마 (comma) 코터 (바 코터와 유사한 코터로서 바 코터의 자동화를 의미하며, 이하 바 코터를 사용하는 것은 코마 코터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함) 코터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방향에 따라 평면부와 패턴부의 단차에 의해 평면 부분은 코팅이 부족하여 투과가 높은 상태가 되고 패턴 부분은 잉크가 채워지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는 경우, 인쇄롤의 압력 때문에 코팅성이 향상되어 투과되는 부분이 많이 줄어들게 된다. 이런 방식을 이용하여 반사와 투과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금속 컬러감 및 질감, 패턴 부분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금속 페이스트 또는 잉크의 재료는 알루미늄 페이스트 및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60℃에서 약 5분 내지 10분 동안 열경화하거나 자연건조시켜 금속 페이스트를 경화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금속막 (150) 상에 불투명 잉크를 코팅한다 (S5). 불투명막의 재료는 카본 블랙 (Carbon black) 및 변성 아크릴 (Acryl), 폴리에스터 수지 (resin)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투명 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블랙 잉크로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며, 그 외에 불투명 필름을 라미네이션으로 부착하는 방법 이 있다. 구체적으로, 불투명 필름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가 붙어있는 PVC, PET 필름 등 불투명 필름으로 시트 형태인 모든 플라스틱 필름으로 가능하다. 또한, 블랙 잉크로 형성한 후, 그 위에 불투명 필름을 라미네이팅할 수도 있다. 이는 블랙 잉크의 코팅이 불완전할 경우(잉크 코팅이 안 된 미코팅부가 있을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60℃에서 약 5분 내지 10분 동안 열경화하거나 자연건조시켜 불투명 잉크를 경화시켜 불투명막 (160)을 형성한다. 여기서, 수지층 (140)의 요철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에 불투명 잉크 (170)를 코팅하는 과정을 더 거칠 수도 있다. 여기서, 평면부의 코팅과정은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4 단계 및 S5 단계는 바 코터와 그라비어 코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일정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S4 단계부터 S5 단계 중 평면부가 코팅되지 않은 단계까지는 바 코터만을 사용하거나, S4 단계부터 S5 단계 평면부가 코팅된 단계까지를 그라비어 코터만을 사용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코터를 이용한 방법을 기재하였으나, 실크 스크린 인쇄 등 인쇄가 가능한 모든 Wet 코팅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S4 단계 및 S5 단계에서, 요철패턴이 돌출부를 갖는 경우, 요철패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금속막 및 불투명막의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의 코팅층이 중앙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게 하기 위함이다.
그 후, 기판 아래에 PSA 코팅한 후 (S6), 유리층을 접착한다 (S7). 여기서, 유리층을 접착하지 않고 필름 형태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한다. 이와 같이 필름 형 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드 코팅 등 표면의 내구성, 신뢰성을 강화하여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입체감 형성 외장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금속막 (150) 및 불투명막 (160)은 오목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며, 요철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의 표면이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평면부에는 빛이 그대로 통과하며,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금속막 (150)과 불투명막 (160)이 얇은 부분 (이하 광투과부로 지칭)으로 빛이 투과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장자리는 오목부의 중앙으로부터 양단으로 1/2 이상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광투과부는 빛을 전부 투과시키는 완전 투과부와 그렇지 않은 반투과부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반투과부는 금속막 (150)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금속막 (150)과 불투명막 (160)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완전투과부는 오목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금속막 (150)과 불투명막 (160)이 좁아져서, 빛이 그대로 투과되도록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금속막 (150)은 알루미늄 페이스트와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두께를 1㎛ 내지 10㎛ 이하로서, 두께가 증가할수록 투과율을 0% 내지 20%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불투명막 (160)은 카본 블랙 (또는 블랙 피그먼트 (pigment) 또는 블랙 다이 (dye)) 및 변성 아크릴 (Acryl)을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두께를 1㎛ 내지 15㎛ 이하로서, 두께가 증가할수록 투과율을 0% 내지 10%로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광투과부 때문에 밝아짐과 동시에 금속막의 반사의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금속의 느낌을 살릴 수 있고, 종래 기술에 비해 명암차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보는 각도에 따른 빛의 경로차 때문에 높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질감과 컬러를 다르게 느낄 수 있고 수지층 (140)과 금속막 (150) 간의 반사율, 투과율 차이에 의해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두께 및 증착 면적의 조절로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입체감 형성 외장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구조는 도 4의 구조 중 평면부에 불투명층 (170)이 더 코팅된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도 4의 실시형태보다는 투과율이 감소하지만 광투과부의 형성에 따른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층에 형성된 요철패턴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요철패턴 오목부의 깊이는 1㎛ 이상 100㎛ 이하, 피치 (pitch)는 1㎛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치는 5~40㎛, 105~140㎛으로 기재된 부분을 합친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의 입체감을 설명하기 위해 우선 입체감을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규정하고 각 특성치를 분석한다.
[기본 측정 원리] : 측정 장비 - 코니카 미놀타 CM512M3
측정 원리는 첫째, 색차계의 3가지 측정 Mode를 통해 입체감이 높을 시 25도 와 75의 L*값 및 반사율의 차이가 크고, 입체감이 없을 때는 차이가 작아질 수 있음으로 평가한다.
둘째, 25도로 보았을 때와 75도로 보았을 때 차이가 크면 입체감을 더 느낄 수 있다 (보는 각도에 따라 L*값의 차이는 명암의 차이와 같은 의미이므로 시야를 돌렸을 경우 명암차이를 느낄 수 있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3) 단 바탕의 경우 각도에 따라 L*값의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나므로 오히려 패턴보다 더 큰 Gap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패턴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척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 결과 분석]
포인트
색차계
각도 L*(D65) a*(D65) b*(D65) 550nm △L* 반사율차이

1
25 98.24 -0.52 -0.17 95.84 0.00% 0.00%
45 81.65 -0.2 0.5 67.36 -12.82% -29.72%
75 51.44 -0.38 -0.24 19.64 -47.64% -79.51%

2
25 93.35 0.03 2.33 84.08 0.00% 0.00%
45 82.4 -0.27 0.18 61.12 -11.73% -27.31%
75 52.72 -0.09 -0.28 20.72 -43.52% -75.36%

3
25 94.26 -0.24 1.19 86.2 0.00% 0.00%
45 87.57 0 1.35 71.31 -7.10% -17.27%
75 53.23 -0.55 -0.96 21.33 -43.53% -75.37%

4
25 100.93 -0.44 0.25 102.8 0.00% 0.00%
45 88.02 0 1.24 72.22 12.79% -29.75%
75 53.34 -0.28 0.05 21.34 -47.15% -79.24%
테스트 결과를 참조하면, 패턴 4포인트 측정 분석 결과 △L* 값이 각각 다름을 알 수 있다. (단, 측정 방향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서로 L*값이 차이가 있으므로 인해 정면에서 보더라도 명암의 차이에 의한 입체감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야각에 따라 L*값의 차이가 발생하여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 차이가 클수록 화이트에서 블랙으로의 명암계조가 큼을 알 수 있다.
참고로, △L* = (75도 L*값 - 25도 L*값)/25도 L*값
이다.
아래의 표 1은 종래의 외장재 구조(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형태 (도 4의 실시형태는 실시예 1, 도 5의 실시형태는 실시예 2로 지칭함)에서 비슷한 색상을 구현했을 경우 투과율의 차이를 나타낸다.
헤이즈 T.T L* a* b* 반사율
(550nm)
비교예 87.98 4.38 62.53 -0.71 1.32 31.14
실시예 1 77.78 0.19 70.84 -0.79 2.35 42.2
실시예 2 100 0 75.39 -2.3 0.41 49.42
여기서, L, a, b 는 조명 협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 Eclairge; CIE)에 따른 색상을 나타낸다. 훼이즈는 흐린 정도, T.T 투과하는 정도, L* 은 명암으로서 밝기의 정도를 나타낸다. a 는 녹색에서 빨강의 범위로서 + 로 갈수록 녹색에 근접하고 - 로 갈수록 빨강에 근접하며, b 는 파랑에서 노랑의 범위로서 + 로 갈수록 파랑에 근접하고 - 로 갈수록 노랑에 근접한다.
표 1을 참조하면, 코팅 면적의 차이에 따라 투과율의 차이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요철패턴의 은폐력, 즉 광투과부의 변화와 반사 면적의 차이를 통해 보는 각도에 따라 입체감
아래의 표 2는 비교예,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비슷한 색상을 구현했을 경우 입체감의 차이 및 그 기준값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조건 색차계
각도 L*(D65) a*(D65) b*(D65) 550nm △L*
(입체감)
증착

25 66.54 0.14 6.41 36.27
-27.83%
45 57.21 0.34 5.02 25.21
75 48.02 -0.05 3.52 16.86
실시예 1

25 62.53 -0.71 1.32 31.14
-29.20%
45 53.25 -0.68 0.24 21.3
75 44.27 -0.48 -0.19 14.01
실시예 2

25 71.6 -0.73 2.83 43.32
-33.38%
45 57.43 -0.86 1.84 25.5
75 47.7 -0.69 1.55 16.62
여기서, △L* 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감의 기준을 정의한다. 증착과 인쇄의 차이는 비슷한 컬러에서 인쇄방식이 동일 수준이거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입체감의 기준은 육안에서 좋다고 느끼는 부분에 대한 정량화 수치이며, 절대적인 기준값 (범위)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입체감의 기준인 △L*(입체감) > -20%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요철패턴이 형성된 외장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입체감 형성 외장재를 제조하는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공정에 대응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를 제조하는 공정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입체감 형성 외장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입체감 형성 외장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층에 형성된 요철패턴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유리층 120: PSA
130: 기판 140: 수지층
150: 금속막 160: 불투명막
170: 평면부 불투명막 180: 코터

Claims (18)

  1. 기판상에 형성되며, 요철패턴을 갖는 수지층; 및
    상기 요철패턴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 순차로 형성된 금속막 및 불투명막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는 빛을 투과하는 광투과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 및 불투명막은 상기 돌출부 또는 오목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상기 돌출부 또는 오목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금속막 또는 상기 금속막과 불투명막으로 형성된 반투과부; 및
    상기 금속막 및 불투명막이 형성되지 않은 완전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의 두께는 1㎛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막의 두께는 1㎛ 이상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의 재료는 알루미늄 (Al) 페이스트 및 니트로 셀룰로오스 (Nitrocellulose), 카본 블랙 (carbon black), 폴리에스터 수지 (resin), 이소시아네이트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막의 재료는 카본 블랙 (Carbon black) 및 변성 아크릴 (Acryl), 폴리에스터 수지 (resin)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8. 제 1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돌출부 또는 오목부의 깊이는 1㎛ 이상 100㎛ 이하, 피치 (pitch)는 1㎛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중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필름 또는 시트 (she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10. 제 1항에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감 형성 외장재는,
    상기 기판 아래에 PSA로 접착된 유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감 형성 외장재는,
    상기 수지층의 평면부상에 형성된 불투명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12. (a) 기판상의 수지층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요철패턴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 금속 페이스트 또는 잉크를 코팅하여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막상에 불투명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불투명 잉크를 코팅하거나, 불투명 필름 또는 시트를 라미네이팅하거나, 불투명 잉크를 코팅 후 그 위에 불투명 필름 또는 시트를 라미네이팅하여 불투명막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또는 (c) 단계의 코팅은,
    바 코터 또는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또는 (c) 단계의 코팅은,
    상기 요철패턴의 돌출부에 코팅하는 경우, 요철패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은,
    (d) 상기 수지층의 평면부에 불투명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수지층의 평면부에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불투명 잉크를 코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은,
    (e) 상기 기판 아래에 PSA 코팅하는 단계; 및
    (f) 상기 PSA 아래에 유리층을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형성 외장재 제조 방법.
KR1020090131331A 2009-12-24 2009-12-24 입체감 형성 외장재 KR20110074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331A KR20110074390A (ko) 2009-12-24 2009-12-24 입체감 형성 외장재
US12/977,155 US8685526B2 (en) 2009-12-24 2010-12-23 Decorating material with cubic effect
JP2010288528A JP5221634B2 (ja) 2009-12-24 2010-12-24 立体感形成外装材
CN2010106043163A CN102179962B (zh) 2009-12-24 2010-12-24 具有立体效果的装饰材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331A KR20110074390A (ko) 2009-12-24 2009-12-24 입체감 형성 외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390A true KR20110074390A (ko) 2011-06-30

Family

ID=4418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331A KR20110074390A (ko) 2009-12-24 2009-12-24 입체감 형성 외장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85526B2 (ko)
JP (1) JP5221634B2 (ko)
KR (1) KR20110074390A (ko)
CN (1) CN1021799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66595A1 (en) * 2013-04-19 2016-03-10 Nestec S.A. Molded food pro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8074A1 (en) * 2009-09-14 2012-04-12 Compal Electronics, Inc. Workpiece with three-dimensional pattern
CN102886343A (zh) * 2011-07-18 2013-01-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基体表面图案制作方法及其制品
JP5803394B2 (ja) * 2011-08-03 2015-11-04 マツダ株式会社 加飾成形部材
US9248636B2 (en) * 2012-05-01 2016-02-02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a structural laminate that resists stress
CN103448328B (zh) * 2012-05-31 2016-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层结构装饰件及空调室内机
JP6196503B2 (ja) * 2013-09-03 2017-09-13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装飾構造
FR3012363B1 (fr) * 2013-10-30 2015-10-23 Saint Gobain Element en couches transparent
CN104816511B (zh) * 2015-04-29 2017-06-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壳体框架及其制作方法
CN105096736A (zh) * 2015-08-21 2015-11-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标识及其制备方法
WO2017206724A1 (zh) * 2016-05-31 2017-12-07 昇印光电(昆山)股份有限公司 装饰片、电子设备盖板以及电子设备
CN108661261B (zh) * 2017-03-29 2020-06-16 苏州红泥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浸渗涂覆复合抗裂肌理夹芯涂层、涂料及制作方法
JP6405004B1 (ja) * 2017-07-14 2018-10-17 株式会社セイコーアドバンス 加飾シートおよび加飾成形品
KR20210008654A (ko) * 2019-07-15 2021-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얼 소재의 모사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부품
CN110281682B (zh) * 2019-07-25 2022-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膜层结构及其制备方法、壳体机构和电子设备
AU2020352135A1 (en) * 2019-09-27 2022-03-31 Dai Nippon Printing Co., Ltd. Decorative material
IT202100031211A1 (it) * 2021-12-13 2023-06-13 Gruppo Mastrotto S P A Metodo per la riproduzione seriale di disegni in rilievo su materiali laminari flessibili
CN115384220A (zh) * 2022-08-23 2022-11-25 四川江天科技有限公司 水晶玻璃饰品和水晶玻璃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730A (en) * 1964-02-18 1967-08-29 Little Inc A Method of treating reflective surfaces to make them multihued and resulting product
JPS5814312B2 (ja) * 1977-03-29 1983-03-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14312A (ja) 1981-07-17 1983-01-27 Canon Inc 複合型磁気ヘツド
JPS5818263A (ja) * 1981-07-28 1983-02-02 凸版印刷株式会社 ワイピング着色化粧材の製造方法
JPS5879570A (ja) * 1981-11-06 1983-05-13 Toppan Printing Co Ltd ワイピング化粧シ−トの製造方法
JPS646026A (en) 1987-06-30 1989-01-10 Nec Corp Purification of photosensitive polymer
JPS6435708A (en) 1987-07-31 1989-02-06 Pioneer Electronic Corp Production of magnetic head
JPH05220891A (ja) 1991-10-18 1993-08-31 Toto Ltd フィルムラミネート化粧板及びそれの製造方法
JPH05162277A (ja) 1991-12-16 1993-06-29 C I Kasei Co Ltd 化粧フィルム
JPH0687200A (ja) 1992-09-07 1994-03-29 C I Kasei Co Ltd 化粧フィルム
JPH06305063A (ja) 1993-04-22 1994-11-01 Goyo Paper Working Co Ltd 凹凸模様を有する蒸着積層シート
JPH081895A (ja) * 1994-06-21 1996-0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18578A (ja) 1994-10-19 1996-05-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42597A (ja) 1994-11-21 1996-06-04 Dainippon Printing Co Ltd 転写箔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ガラス
JPH11207864A (ja) 1998-01-26 1999-08-03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箔調シート及び金箔調部材
JP2001341498A (ja) 2000-05-31 2001-12-11 Dainippon Printing Co Ltd 転写シート
JP2002079628A (ja) 2000-09-07 2002-03-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2002103515A (ja) 2000-09-27 2002-04-09 Kyodo Printing Co Ltd 成形加工用の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化粧シートを用いた成形加工品
JP2002127694A (ja) 2000-10-27 2002-05-08 Kyodo Printing Co Ltd 装飾体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029735A (ja) 2003-07-10 2005-02-03 Mitsuboshi Belting Ltd ポリイミド樹脂の無機薄膜形成方法及び表面改質した無機薄膜形成用ポリイミド樹脂の製造方法
JP3933128B2 (ja) 2003-12-26 2007-06-20 松下電工株式会社 金属箔付き樹脂フィルム、金属箔付き樹脂シート、金属張り積層板
CN100430216C (zh) 2005-10-14 2008-11-05 陈福生 具有立体纹路的多层材料
KR20090052005A (ko) 2007-11-20 2009-05-25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66595A1 (en) * 2013-04-19 2016-03-10 Nestec S.A. Molded foo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85526B2 (en) 2014-04-01
CN102179962B (zh) 2013-11-20
CN102179962A (zh) 2011-09-14
JP5221634B2 (ja) 2013-06-26
US20110159243A1 (en) 2011-06-30
JP2011131597A (ja)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4390A (ko) 입체감 형성 외장재
KR101452507B1 (ko) 장식재 및 장식 물품
CN108382043B (zh) 板材及其制备方法、壳体、电子设备
US8574707B2 (en) Molded resin product and process for surface treatment thereof
CN111098560A (zh) 一种光致变色渐变膜及其制备方法
KR20110019899A (ko) 입체패턴을 나타내는 인서트 몰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748603B2 (ja) 加飾フイルム構造体及び加飾成形部材
JP5784405B2 (ja) 加飾フイルム構造体及び加飾成形部材
KR20180129039A (ko)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3376703B2 (ja) 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7216088A (ja) 装飾材の製造方法
JP5803394B2 (ja) 加飾成形部材
KR101001866B1 (ko) 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입체 표면 장식부재 및 그제조방법
KR20220120231A (ko) 데코 필름의 제조 방법
JP7126164B2 (ja) 加飾フィルム
KR20120034859A (ko) 잉크젯 프린트용 입체시트
CN219115133U (zh) 一种uv纹理装饰膜及含有其的产品
KR101576785B1 (ko) 필름 형태의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JP5910289B2 (ja) 加飾フイルム構造体及び加飾成形部材
JPH05162277A (ja) 化粧フィルム
CN111923621B (zh) 一种珐琅彩制作工艺
KR20100120435A (ko) 경사 증착을 이용한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JP7329787B2 (ja) 装飾板及びそれからなる自動車用内装部品
JPH0687200A (ja) 化粧フィルム
CN211808269U (zh) 一种光致变色渐变膜片及搭载其的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