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882A - 개스킷 - Google Patents

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882A
KR20110070882A KR1020117009015A KR20117009015A KR20110070882A KR 20110070882 A KR20110070882 A KR 20110070882A KR 1020117009015 A KR1020117009015 A KR 1020117009015A KR 20117009015 A KR20117009015 A KR 20117009015A KR 20110070882 A KR20110070882 A KR 20110070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protrusion
groove
members
cylind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598B1 (ko
Inventor
슈지 요시츠네
마사루 이토
토모유키 코야마
세이지 타니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마레히루타시스테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마레히루타시스테무즈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홈 내에서의 자세의 더 한층의 안정화를 도모함으로써, 밀봉성의 향상을 도모한 개스킷을 제공한다.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는 홈(201)의 내벽면에 접함으로써 홈(201) 내에서의 개스킷(100)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돌출부(110)가, 개스킷(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개스킷(100)으로, 돌출부(110)가 개스킷 본체의 중앙 부근을 따라 형성되고, 돌출량이 가장 큰 제1돌출부(111)와, 헤드 커버(200) 측에 형성되고, 돌출량이 가장 작은 제2돌출부(112)와, 실린더 헤드 측에 형성되고, 제1돌출부(111)보다 돌출량이 작고 제2돌출부(112)보다는 돌출량이 큰 제3돌출부(113)를 포함하는, 단차를 가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스킷 {GASKET}
본 발명은, 2부재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2부재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개스킷으로서는, 2부재 중의 한쪽 부재에 형성된 홈에 장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개스킷은 2부재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2부재에 대해 각각 밀착됨으로써 밀봉성을 발휘하게 된다.
여기서, 2부재 중의 어느 한쪽이 강성이 낮은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개스킷의 반발력이 지나치게 크면 변형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밀봉성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반발력을 작게 하기 위해, 2부재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개스킷의 폭을 홈 폭보다도 좁게 구성하는 등의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개스킷의 경우에는, 홈 내에서 개스킷이 넘어지거나 좌굴(buckling: 찌그러짐)되거나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자세를 안정시키기가 어려워, 어떻게 자세를 안정시킬지가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예컨대, 개스킷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개스킷의 단면형상을 좌우 비대칭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개스킷의 압축 시에 개스킷을 소망하는 방향으로 넘어지기 쉽게 함으로써, 홈 내에서의 개스킷의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소망하는 자세로 되도록 개스킷을 넘어지게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어, 한층 더 홈 내에서의 개스킷의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 폭이 홈 폭보다도 좁은 개스킷의 경우에는, 조립작업을 할 때 개스킷이 홈으로부터 탈락하기가 쉽다. 그 때문에, 개스킷이 홈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요망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7-002927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내에서의 자세를 한층 더 안정화되도록 함으로써, 밀봉성의 향상을 도모한 개스킷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개스킷은,
2부재 중의 한쪽의 부재에 형성된 홈에 장착되어, 이들 2부재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개스킷에 있어서,
상기 홈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2부재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홈의 내벽면에 접하지 않는 범위에서 밀봉영역 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2부재에 끼여 있는 상태에서는 홈의 내벽면에 접함으로써 홈 내에서의 개스킷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돌출부가 개스킷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개스킷으로,
상기 돌출부는,
개스킷 본체의 중앙 부근을 따라 형성되되, 돌출량이 가장 큰 제1돌출부와,
제1돌출부보다도 상기 한쪽 부재 측에 형성되되, 돌출량이 가장 작은 제2돌출부와,
제1돌출부보다도 상기 2부재 중의 다른 쪽 부재 측에 형성되되, 제1돌출부보다 돌출량이 작고 제2돌출부보다는 돌출량이 큰 제3돌출부를 포함하는, 단차(段差)를 가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스킷에 의하면, 홈 내에서의 개스킷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돌출부로서, 상기와 같이 돌출량이 다른 제1, 제2, 제3돌출부를 포함하는 단차를 가진 구조로 된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스킷이 2부재에 의해 압축되면, 최초로 돌출부에서는 돌출량이 가장 큰 제1돌출부가 홈의 내벽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개스킷의 좌굴(buckling)을 적절히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스킷 본체의 중앙 부근을 따라 형성된 제1돌출부의 돌출량을 가장 크게 하고 있어, 이 제1돌출부가 홈의 내벽면에 최초로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굴을 적절히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한쪽 부재 측(즉, 홈 바닥 측)의 제2돌출부의 돌출량을 가장 작게 하고 있다. 따라서, 충전율(充塡率)의 증가에 따른 반발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다. 즉, 반발력의 증가는, 홈 내, 특히 홈 바닥 부근에서의 개스킷의 충전율이 증가되는 요인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개스킷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돌출부 중, 홈 바닥 측(한쪽 부재 측)으로 되는 제2돌출부의 돌출량을 가장 작게 함으로써, 개스킷이 넘어지거나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전율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다른 쪽 부재 측의 제3돌출부의 돌출량을, 제1돌출부의 돌출량보다 작고 제2돌출부의 돌출량보다는 크게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개스킷의 넘어짐을 적절히 억제할 수가 있다. 즉, 개스킷은, 한쪽 부재에 형성된 홈 바닥과 다른 쪽 부재에 의해 압축된다. 이 압축의 과정에 있어서, 개스킷 중 홈 내에 수납되어 있는 부분은 홈의 내벽면에 접하기 때문에 변형이 억제된다. 이에 대해, 개스킷 중 홈 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변형되기 쉽다. 이와 같이, 2부재에 의해 개스킷이 압축되는 경우에, 개스킷이 넘어지게 되는 원인은, 주로 개스킷 중 홈 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부분(즉, 다른 쪽 부재 측의 부분)의 변형이다. 본 발명에서는, 개스킷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돌출부 중, 다른 쪽 부재 측으로 되는 제3돌출부의 돌출량을 어느 정도 크게 하도록(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량을 높게 한 제1돌출부의 돌출량보다 작지만, 한쪽 부재 측의 제2돌출부의 돌출량보다는 크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돌출부 다음에 제2돌출부가 홈의 내벽면에 접하기 때문에, 다른 쪽 부재 측 부근의 변형을 억제하고, 개스킷의 넘어짐을 적절히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압축 시에 홈 밖으로 비어져 나오거나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스킷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돌출부를, 각 부위에 요청되는 요구에 따라 돌출량이 달라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2부재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의 반발력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좌굴이나 넘어짐을 억제해서 개스킷의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홈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2부재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홈의 내벽면에 접함으로써, 개스킷이 홈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가 개스킷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됨과 더불어,
당해 돌기는, 개스킷 본체의 중심위치보다도 홈 바닥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홈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2부재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당해 홈 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따라, 개스킷이 홈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개스킷을 홈에 장착할 때의 장착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돌기에서의 홈 깊이방향의 치수는, 상기 홈의 깊이 치수에 대해 30% 이상 50%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따라, 충전율의 증가를 억제하고, 반발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홈 내에서의 자세를 한층 더 안정시킴으로써, 밀봉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측면도의 일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을 홈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을 홈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이 2부재에 의해 끼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개스킷을 홈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개스킷을 홈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해서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만으로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실시예)
도 1∼도 7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 커버에 형성된 홈에 장착되어, 헤드 커버(2부재 중의 한쪽의 부재)와 실린더 헤드(2부재 중의 다른 쪽 부재)와의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스킷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개스킷 전체>
도 1∼도 5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측면도의 일부이다. 한편, 도 2는 도 1 중 P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을 홈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한편, 도 3 중의 개스킷은 도 1 중 AA 단면도에 상당하고, 도 4 중의 개스킷은 도 1 중 BB 단면도에 상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이 2부재에 의해 끼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한편, 도 5 중의 개스킷은 도 1 중의 AA 단면부의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은, 헤드 커버(200)에 형성된 홈(201)에 장착되어,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것이다. 도 1 중, (O)가 밀봉영역 측을 나타내고 있고, (A)는 외부측(대기측)을 나타내고 있다.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를 조립하면, 그 내부에 밀봉영역이 형성된다. 이 밀봉영역 내의 오일이,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개스킷(100)에 의해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 있어서는, 밀봉영역으로 되는 측의 측면에, 홈(201) 내에서 개스킷(100)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개스킷(100)이 압축된 상태에서는, 개스킷(100)에서의 실린더 헤드(300)측의 단부가 외부측(A)으로 경사지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10)는, 개스킷(100)이 경사지도록 변형되는 방향과는 반대측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돌출부(110)는, 개스킷(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100)의 내주 측 측면의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돌출부(110)는, 개스킷(100)이 홈(201)에 장착되는 한편,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홈(201)의 내벽면에 접하지 않는 범위에서 밀봉영역 측(O)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 사이에 끼여 있는 상태에서는, 이 돌출부(110)가 홈(201)의 내벽면에 접하게 된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홈(201) 내에서의 개스킷(100)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기능이 발휘된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 있어서는, 밀봉영역으로 되는 측의 측면에, 개스킷(100)이 홈(201)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20)는, 개스킷(10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 이 돌기(120)는, 개스킷(100)이 홈(201)에 장착되는 한편,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홈(201)의 내벽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이에 따라, 개스킷(100)이 홈(201)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기(120)는 돌기 본체(121)와, 이 돌기 본체(121)의 선단에 형성되는 폭이 좁은 소돌기(122)로 구성된다(도 1 참조). 이 소돌기(122)는, 깊이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깊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직경이 작은 반달(半月)형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스킷(100)을 홈(201)에 장착할 때의 삽입력을 저감시키면서 탈락방지 기능을 발휘시킬 수가 있다. 또, 이 돌기(120)에 의해 소망하는 위치로 개스킷(100)을 위치 결정시킬 수가 있다.
<돌출부의 상세>
특히,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서의 돌출부(11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110)는 단차를 가진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즉, 돌출부(110)는, 개스킷 본체의 중앙 부근을 따라 형성되는 제1돌출부(111)와, 헤드 커버(200) 측(홈 바닥 측)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112)와, 실린더 헤드(300) 측에 형성되는 제3돌출부(113)로 이루어진 3단 구조이다.
그리고, 돌출부(110)에서는 제1돌출부(111)의 돌출량이 가장 크고, 제2돌출부(112)의 돌출량이 가장 작다. 또, 제3돌출부(113)의 돌출량은, 제1돌출부(111)보다도 작고, 제2돌출부(112)보다는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돌기의 상세>
특히, 도 2 및 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서의 돌기(12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120)는 개스킷 본체의 중심위치보다도 홈 바닥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있어서, 일점쇄선(L)은 개스킷 본체에서의 높이방향(홈(201)의 홈 깊이방향)의 대략 중심이다. 또, 이 돌기(120)는, 개스킷(100)이 홈(201)에 장착되는 한편,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 홈(201) 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또, 돌기(120)에서의 홈 깊이방향의 치수(도 4 중, 치수(H1))는, 홈(201)의 깊이 치수(도 4 중, 치수(H))에 대해 30% 이상 50%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개스킷의 거동>
특히, 도 5를 참조해서,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를 조립하는 과정 및,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의 개스킷(100)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먼저 개스킷(100)을 헤드 커버(200)의 홈(201)에 장착시킨다. 그리고, 실린더 헤드(300)에 헤드 커버(200)을 조립한다. 이에 따라, 개스킷(100)은 헤드 커버(200; 홈(201)의 바닥)와 실린더 헤드(300)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 전의 상태에서는, 개스킷(100)에서의 돌출부(110)는 홈(201)의 내벽면에 접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압축과정에서 최초로 돌출량이 가장 큰 제1돌출부(111)가 홈(201)의 내벽면에 접하고, 다음에 제3돌출부(113)가 접하고, 마지막으로 돌출량이 가장 작은 제2돌출부(112)가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스킷(100)은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에 의해 압축되고, 그 반발력에 의해 이들 부재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밀봉성을 발휘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는 간극이 확보된 상태로 된다(도 5 참조).
<본 실시예의 우수한 점>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 있어서는, 홈(201) 내에서의 개스킷(100)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돌출부(110)로서, 단차를 가진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개스킷(100)이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에 의해 압축되면, 최초로 돌출량이 가장 큰 제1돌출부(111)가 홈(201)의 내벽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개스킷(100)의 좌굴을 적절히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
즉, 개스킷(100)이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에 의해 압축되면, 개스킷 본체의 중앙 부근에 응력이 집중되기 쉬워, 중앙 부근에서부터 좌굴이 생기기 쉽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 있어서는, 개스킷 본체의 중앙 부근을 따라 형성된 제1돌출부(111)의 돌출량을 가장 크게 하고 있어, 이 제1돌출부(111)가 홈(201)의 내벽면에 최초로 접함으로써, 좌굴을 적절히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개스킷(100)의 중앙 부근이 최초로 홈(201)의 내벽면에 접함으로써, 개스킷(100)이 압축되었을 때, 실린더 헤드(300) 측의 단부를 보다 확실하게 외부 측(A)으로 경사지도록 변형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개스킷(100)이 홈(201) 내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1돌출부(111)를, 소망하는 위치에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 있어서는, 헤드 커버(200) 측(즉 홈(201)의 홈 바닥 측)의 제2돌출부(112)의 돌출량을 가장 작게 하고 있다. 따라서, 충전율의 증가에 따른 반발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다. 즉, 반발력의 증가는, 홈(201) 내, 특히 홈 바닥 부근에서의 개스킷(100)의 충전율이 증가되는 요인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서는, 홈 바닥 측으로 되는 제2돌출부(112)의 돌출량을 가장 작게 함으로써, 충전율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다. 한편, 제2돌출부(112)는, 개스킷(100)이 압축된 상태에 있어서, 개스킷(110)의 홈 바닥 측의 선단이 목적대로 넘어질 만큼의 강성을 갖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밀봉성을 얻기 위한 적당한 반발력을 발생시키면서, 충전율을 낮게 해서, 반발력의 증가를 억제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 있어서는, 실린더 헤드(300) 측의 제3돌출부(113)의 돌출량을, 제1돌출부(111)의 돌출량보다 작고 제2돌출부(112)의 돌출량보다는 크게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개스킷(100)의 넘어짐을 적절히 억제할 수가 있다. 즉, 개스킷(100)는, 헤드 커버(200)에 형성된 홈(201)의 홈 바닥과 실린더 헤드(300)에 의해 압축된다. 이 압축의 과정에 있어서, 개스킷(100) 중 홈 내에 수납되어 있는 부분은, 홈(201)의 내벽면에 접하기 때문에 변형이 억제된다. 이에 대해, 개스킷(100) 중 홈 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변형되기 쉽다. 이와 같이, 개스킷(100)이 압축되는 경우에, 개스킷(100)의 넘어짐이 생기는 원인은, 주로 개스킷(100) 중 홈 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부분(즉, 실린더 헤드(300) 측의 부분)의 변형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스킷(100)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돌출부(110) 중, 실린더 헤드(300) 측으로 되는 제3돌출부(113)의 돌출량을 어느 정도 크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제3돌출부(113)의 돌출량을,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량을 높게 한 제1돌출부(111)의 돌출량보다 작지만, 헤드 커버(200) 측의 제2돌출부(112)의 돌출량보다는 크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돌출부(111) 다음에 제2돌출부(112)가 홈(201)의 내벽면에 접하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300) 측 부근의 변형을 억제할 수가 있다. 즉, 도 5에 있어서, 화살표 X방향의 변형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홈(201) 내에서의 개스킷(100)의 넘어짐을 적절히 억제할 수가 있다. 한편, 제3돌출부(113)는, 개스킷(100)이 압축되었을 때에, 실린더 헤드(300)와 헤드 커버(200) 사이의 간극으로 비어져 나오거나, 이들에 의해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이면서, 개스킷(100)의 실린더 헤드(300) 측의 단부가 목적대로 넘어질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 의하면, 개스킷(100)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돌출부(110)가, 각 부위에 요청되는 요구에 따라 돌출량이 달라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 의하면,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의 반발력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좌굴이나 넘어짐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개스킷(100)의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가 있어,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비교예를 이용해서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개스킷을 홈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개스킷(100a)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밀봉영역으로 되는 측의 측면에, 홈(201) 내에서 개스킷(100a)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돌출부(11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110a)도, 개스킷 본체의 중앙 부근을 따라 형성되는 제1돌출부(111a)와, 헤드 커버(200) 측(홈 바닥 측)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112a)와, 실린더 헤드(300) 측에 형성되는 제3돌출부(113a)로 이루어진 3단 구조이다.
단, 이 비교예에 있어서는, 제1돌출부(111a)의 돌출량이 가장 크고, 제2돌출부(112a)의 돌출량과 제3돌출부(113a)의 돌출량은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비교예에 따른 개스킷(100a)의 경우, 저반발력(低反撥力)을 우선으로 해서 제2돌출부(112a)와 제3돌출부(113a)의 돌출량을 설정하면, 개스킷(100a)이 압축된 경우에, 개스킷(100a)에서의 실린더 헤드(300) 측 부근의 변형(도 6 중 화살표 Y방향으로의 변형)이 커지게 된다. 그 때문에, 홈(201) 내에서의 개스킷(100a)의 넘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어렵게 된다.
역으로, 넘어짐 방지를 우선으로 해서, 제2돌출부(112a)와 제3돌출부(113a)의 돌출량을 설정하면, 개스킷(100a)이 압축된 경우에 홈 바닥 부근에서의 충전율이 높아져 반발력이 지나치게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개스킷(100a)의 경우에는, 저반발력과, 홈(201) 내에서의 개스킷(100a)의 자세의 안정화의 양립(兩立)을 도모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에 있어서는, 개스킷(100)이 홈(201)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120)가, 개스킷 본체의 중심위치보다도 홈 바닥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홈(201)에 장착되는 한편, 헤드 커버(200)와 실린더 헤드(300)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 홈(201) 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스킷(100)을 홈(201)에 장착할 때의 장착성이 뛰어나, 간단히 개스킷(100)을 장착할 수가 있다.
또, 돌기(120)에서의 홈 깊이방향의 치수(H1)는, 홈(201)의 깊이 치수(H)에 대해 30% 이상 50%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홈(201) 내에서의 개스킷(100)의 충전율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어, 반발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다. 이에 대해, 도 7에 나타낸 비교예를 이용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개스킷을 홈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개스킷(100b)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밀봉영역으로 되는 측의 측면에, 개스킷(100b)이 홈(201)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120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출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그리고, 이 비교예에 있어서는, 돌기(120b)에서의 홈 깊이방향의 치수(도 7 중, 치수(H2))는 홈(201)의 깊이 치수(도 7 중, 치수(H))에 대해 50%를 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비교예에 따른 개스킷(100b)의 경우에는, 개스킷(100b)의 탈락방지용 돌기(120b)가 형성되어 있는 부근의 홈(201)에 대한 충전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 때문에, 개스킷(100b)을 홈(201)에 장착하기가 어려워, 장착 작업 시에 개스킷(100b)이 좌굴되거나 넘어지거나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스킷을 헤드 커버에 형성된 홈에 장착시킨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이외에도, 예컨대 타이밍 벨트 커버, 에어 클리너, 인테이크 매니폴드(intake manifold) 등에 적용할 수가 있는바, 그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00 - - - 개스킷
110 - - - 돌출부
111 - - - 제1돌출부
112 - - - 제2돌출부
113 - - - 제3돌출부
120 - - - 돌기
200 - - - 헤드 커버
201 - - - 홈
300 - - - 실린더 헤드

Claims (3)

  1. 2부재 중의 한쪽 부재에 형성된 홈에 장착되어, 이들 2부재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개스킷에 있어서,
    상기 홈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2부재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홈의 내벽면에 접하지 않는 범위에서 밀봉영역 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2부재에 끼인 상태에서는 홈의 내벽면에 접함으로써 홈 내에서의 개스킷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돌출부가 개스킷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개스킷으로,
    상기 돌출부는,
    개스킷 본체의 중앙 부근을 따라 형성되되, 돌출량이 가장 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보다 상기 한쪽 부재 측에 형성되되, 돌출량이 가장 작은 제2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보다 상기 2부재 중의 다른 쪽 부재 측에 형성되되, 제1돌출부보다 돌출량이 작고, 제2돌출부보다는 돌출량이 큰 제3돌출부 포함하는, 단차를 가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2부재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홈의 내벽면에 접함으로써 개스킷이 홈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가, 개스킷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됨과 더불어,
    당해 돌기는, 개스킷 본체의 중심위치보다도 홈 바닥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홈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2부재에 의해 끼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당해 홈 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서의 홈 깊이방향의 치수는, 상기 홈의 깊이 치수에 대해 30% 이상 50%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KR1020117009015A 2008-10-23 2009-07-23 개스킷 KR101243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72774A JP5173732B2 (ja) 2008-10-23 2008-10-23 ガスケット
JPJP-P-2008-272774 2008-10-23
PCT/JP2009/063189 WO2010047165A1 (ja) 2008-10-23 2009-07-23 ガス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882A true KR20110070882A (ko) 2011-06-24
KR101243598B1 KR101243598B1 (ko) 2013-03-20

Family

ID=4211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015A KR101243598B1 (ko) 2008-10-23 2009-07-23 개스킷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7936B2 (ko)
EP (1) EP2341268B1 (ko)
JP (1) JP5173732B2 (ko)
KR (1) KR101243598B1 (ko)
WO (1) WO2010047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0332B2 (ja) * 2011-09-09 2015-10-28 内山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
JP5993161B2 (ja) * 2012-02-29 2016-09-14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開閉装置および開閉装置を有するプリンタ
JP6056343B2 (ja) * 2012-10-03 2017-01-11 Nok株式会社 密封構造
JP5959449B2 (ja) * 2013-02-18 2016-08-02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シール装置
US9051088B2 (en) 2013-03-15 2015-06-09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Vacuum release seal for a closure and container package
JP2015014343A (ja) * 2013-07-08 2015-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ル構造
EP3168508B1 (en) * 2014-07-07 2018-09-19 NOK Corporation Gasket
JP6395491B2 (ja) * 2014-08-05 2018-09-26 内山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
JP6425971B2 (ja) * 2014-10-30 2018-11-2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減速装置および減速装置のケーシングの製造方法
FR3029257B1 (fr) * 2014-12-02 2017-01-06 Freudenberg Carl Kg Joint d'etancheite comprenant une forme continuellement variable et des barrettes laterales de maintien
CZ20162A3 (cs) * 2016-01-05 2017-04-19 Hanon Systems Těsnění, zejména vhodné pro těsnění stykové plochy uchycení výměníku a nádrže výměníku v tepelném výměníku motorového vozidla
US10473218B2 (en) * 2017-10-09 2019-11-12 Aptiv Technologies Limited Perimeter seal
JP2020143750A (ja) * 2019-03-07 2020-09-10 東洋電装株式会社 シール構造およびスイッチ装置
KR102239336B1 (ko) 2019-04-26 2021-04-21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밀봉 가스켓
KR20200129597A (ko) 2019-05-09 2020-11-18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밀봉 가스켓
KR102251418B1 (ko) 2019-06-07 2021-05-12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밀봉 가스켓
KR102251419B1 (ko) 2019-06-07 2021-05-12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밀봉 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유체 라인 조립체
KR102239332B1 (ko) 2019-06-07 2021-04-21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밀봉 가스켓
KR20210003399A (ko) 2019-07-02 2021-01-12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밀봉 가스켓
KR20210025343A (ko) 2019-08-27 2021-03-09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밀봉 하우징
KR102348133B1 (ko) 2020-01-09 2022-01-06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밀봉 가스켓
KR102372680B1 (ko) 2020-03-11 2022-03-10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밀봉 가스켓
KR102509714B1 (ko) 2021-03-10 2023-03-14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파동형 가스켓
CN118019932A (zh) * 2021-09-27 2024-05-10 Nok株式会社 密封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4264A (en) * 1957-03-04 1960-09-27 A P D Co Sealing ring
DE3482887D1 (de) * 1983-12-16 1990-09-06 Kasei Co C I Verbindungsdichtung.
US5536023A (en) * 1994-10-31 1996-07-16 Indian Head Industries, Inc. One piece gasket for complex oil pan configuration
JP3247065B2 (ja) * 1997-02-06 2002-01-15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
JPH11126648A (ja) * 1997-10-21 1999-05-11 Yazaki Corp パッキンの保持構造
JPH11248002A (ja) 1998-03-02 1999-09-14 Tennex Corp ガスケット
JP2002364754A (ja) * 2001-06-07 2002-12-18 Mitsubishi Motors Corp ガスケット構造
US7413099B2 (en) * 2001-06-08 2008-08-19 Shin-Etsu Polymer Co., Ltd. Sealing element with a protruding part approximately obliquely outward and a hermetic container using the same
JP2003269613A (ja) * 2002-03-15 2003-09-25 Keeper Co Ltd ガスケット
US6722660B2 (en) * 2002-06-27 2004-04-20 Federal-Mogul World Wide, Inc. Molded gasket
KR20050074949A (ko) * 2002-11-12 2005-07-19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고무형상 탄성부품
EP1873427A1 (en) * 2005-04-22 2008-01-02 NOK Corporation Gasket
JP4824351B2 (ja) * 2005-06-24 2011-11-30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ガスケット
CN101208547B (zh) * 2005-07-07 2012-02-29 Nok株式会社 垫片
JP2007232014A (ja) * 2006-02-28 2007-09-13 Nok Corp ガスケット
JP5151241B2 (ja) * 2007-05-10 2013-02-27 Nok株式会社 密封構造
FR2930310B1 (fr) * 2008-04-18 2010-08-27 Joint Francais Joint d'etancheite ameliore et utilisations d'un tel joint.
US7954859B2 (en) * 2008-05-01 2011-06-07 National Coupling Company, Inc. Probe seal having pressure-energized sealing elements for female hydraulic coupl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01398A (ja) 2010-05-06
US9027936B2 (en) 2015-05-12
US20110193298A1 (en) 2011-08-11
JP5173732B2 (ja) 2013-04-03
EP2341268B1 (en) 2015-04-01
EP2341268A1 (en) 2011-07-06
EP2341268A4 (en) 2013-09-25
KR101243598B1 (ko) 2013-03-20
WO2010047165A1 (ja)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598B1 (ko) 개스킷
JP5151241B2 (ja) 密封構造
US8764023B2 (en) Gasket
KR20130095302A (ko) 개스킷
JP4875912B2 (ja) ガスケット
US9291266B2 (en) Sealing structure
JP2010138957A (ja) ガスケット
JP6900246B2 (ja) ガスケット
KR20140143736A (ko) 개스킷
JP5029831B2 (ja) ガスケット
JP2007120745A (ja) ガスケット
JP2006029364A (ja) ガスケット
JP5408105B2 (ja) ガスケットのシール構造
JP5434681B2 (ja) ガスケット及び密封構造
JP2019206974A (ja) ガスケット
JP5880395B2 (ja) ガスケット
JP2007239958A (ja) ガスケット
JP2006200649A (ja) 密封構造及びガスケット用装着溝
JP2002364753A (ja) ガスケット
JP2007100825A (ja) ガスケット
JP7181579B2 (ja) ガスケット
JP2004332864A (ja) ガスケット
JP2009257459A (ja) ガスケット
JP2014066277A (ja) ガスケット
WO2023047896A1 (ja) ガ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