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887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887A
KR20110068887A KR1020100127177A KR20100127177A KR20110068887A KR 20110068887 A KR20110068887 A KR 20110068887A KR 1020100127177 A KR1020100127177 A KR 1020100127177A KR 20100127177 A KR20100127177 A KR 20100127177A KR 20110068887 A KR20110068887 A KR 20110068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material
roller
adsorption
carri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095B1 (ko
Inventor
유우스께 도리마루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8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Feeding path after the transfer point and up to the fixing point, e.g. guides and feeding means for handling copy material carrying an unfused toner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9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with means for preconditioning the paper base before the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49Electrodes close to the copy feeding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54Charg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담지체; 반송체; 전사 수단; 전사재의 반송 방향에서 전사 수단의 상류에 배치되고, 전사재를 반송체 상에 흡착하기 위한 흡착 수단; 및 전사재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전사 수단의 하류에 배치되고, 반송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수단을 포함하고, 흡착 수단이 반송체를 누르는 반송 방향에서의 폭이 제1 폭인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권취 수단과 반송체 사이의 접촉량은, 반송체를 누르는 흡착 수단의 반송 방향에서의 폭이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인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권취 수단과 반송체 사이의 접촉량보다 작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채색 토너나 흑백 토너를 사용해서 초박형 전사재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복사기 및 레이저 빔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드럼 및 전사 장치 사이에, 전사재를 담지하면서 반송하기 위한 반송 벨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반송 벨트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에 권취된다. 구동 롤러의 회전을 따라 복수의 롤러가 회전하여, 반송 벨트가 회전한다. 이 구성에 기초하여,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33419호 및 제2001-356564호는, 전사재가 반송 벨트에 의해 확실하게 흡착되도록 흡착 롤러를 갖는 발명을 제안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33419호 및 제2001-356564호에 기재된 발명은, 전사재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흡착 롤러가 배치되어 있고, 전사재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분리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33419호 및 제2001-356564호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전사재는, 흡착 롤러의 위치로부터 분리 롤러의 위치까지 확실하게 반송 벨트에 의해 흡착된다.
그러나, 토너가 음전하를 갖는 경우, 반송 벨트(724)로부터 전사재(7)로 양전하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없고, 분리 롤러(726)의 위치에서 이상 화상(abnormal image)이 발생하기 쉽다(도 12a 참조).
분리 롤러가 그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단면을 갖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롤러가 크라운(crown) 형상을 갖는 경우, 이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즉, 그 폭방향의 전사재의 중심부에 비해, 그 폭방향의 전사재의 에지에서, 나무 가지 형상의(arborescent) 이상 화상이 현저하게 발생된다. 이것은, 전사재의 에지는 전사재의 분리 타이밍이 빠른 장소에 대응하고, 전사재의 분리 타이밍이 더 빠른 장소에서 더 큰 (나무 가지 형상의 화상을 야기하는) 연면 방전(creeping discharge)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또한, 전사재의 분리 타이밍이 빠른 장소에서는, 전사재의 표면에 양전하가 증가하고, 전사재의 분리 타이밍이 늦은 장소에서는, 전사재의 표면에 양전하가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사재의 폭방향으로, 전사재 표면의 양전하가 균일하게 대전하지 않는다.
전사재가 균일하게 대전되는 경우, 토너 화상의 전하량과 균형을 유지하도록 대전이 가능하다면 분리부에서 방전은 발생하지 않고, 화상 불량도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화상은 페이지마다 또는 잡마다 변경되고, 전사재의 폭방향의 토너 화상의 전하량은 많은 경우에 불균일하여, 토너 화상의 전하량과 균형을 유지하도록 전사재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것은 곤란하다.
도 12b는, 하프톤(HT)의 조건, 초박형(ultrathin) 전사재의 조건, 얇은 전사재의 조건, 보통 전사재의 조건, 및 두꺼운 전사재의 조건이 고려되는 이상 화상의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상 화상의 발생 상태는 X-Rite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제조된 스펙트로덴시토미터(spectrodensitometer)를 사용한 측정에 기초해서 평가되고, 발생 상태는 화상 농도의 품질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도 12b에서, 화상 상태는 o, △ 및 ×로 표현되고, o는 양호를 의미하고, △은 허용할 수 있지만 양호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은 불량을 의미한다. 도 12b의 가장 좌측의 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프톤 화상의 도트 D가 0.6이고, 전사재가 초박형인 경우, 이상 화상이 발생한다. 하프톤의 도트 D가 1.6이고, 전사재가 두꺼운 경우, 이상 화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분리부에서의 화상 불량은 화상이 하프톤인 경우, 특히 하이라이트의 경우에 더 자주 발생하고, 화상 불량은 엔진의 최대 화상 농도(솔리드(solid) 화상)에서는 발생하기 어렵다. 즉, 하이라이트 화상에서 화상 불량이 경감될 수 있도록 설계가 이루어지면, 모든 화상에서 화상 불량이 경감된다.
도 4a 및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의 전체면의 토너량이 균일한 경우에도, 무엇보다도 토너 화상의 전하량과 완전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전사재를 대전하는 것은 곤란하다. 가능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전사재가 2차 전사부를 통과하기 전에 전사재가 균일하게 대전되는 경우에도, 전사재는 양 또는 음으로 대전되며, 즉, 전사재는 양 또는 음으로 극성을 띠게 된다. 분리부에서의 구성이 그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지 않는 경우, 극성에 상관없이, 그 폭방향으로 전사재의 분리부에서 불균일이 발생한다.
전사재가 전사재 반송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때에 발생될 수 있는, 전사재의 폭 방향의 불균일과 같은 화상 불량을 경감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 화상을 담지하기 위한 화상 담지체;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향되고, 전사재를 담지 및 반송하기 위한 반송체; 상기 반송체에 대향되고, 상기 반송체에 의해 반송되는 전사재에 상기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 상기 전사재의 반송 방향에서 상기 전사 수단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재를 상기 반송체 상에 흡착하기 위한 흡착 수단; 상기 흡착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 수단; 및 상기 전사재의 반송 방향에서 상기 전사 수단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수단이 상기 반송체를 누르는 상기 반송 방향에서의 폭이 제1 폭인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반송체 사이의 접촉량은, 상기 반송체를 누르는 상기 흡착 수단의 상기 반송 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인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반송체 사이의 접촉량보다 적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향되고, 전사재를 담지 및 반송하기 위한 반송체; 상기 반송체에 대향되고, 상기 반송체에 의해 반송되는 전사재에 상기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 상기 전사재의 반송 방향에서 상기 전사 수단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재를 상기 반송체 상에 흡착하기 위한 흡착 수단; 상기 흡착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 수단은, 상기 흡착 수단이 상기 반송체 또는 상기 전사재를 제1 대전량으로 대전시키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반송체 사이의 접촉량이, 상기 흡착 수단이 상기 반송체 또는 상기 전사재를 상기 제1 대전량보다 적은 제2 대전량으로 대전시키는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반송체 사이의 접촉량보다 더 적게 되는 형상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향되고, 전사재를 담지 및 반송하기 위한 반송체; 상기 반송체에 대향되고, 상기 반송체에 의해 반송되는 전사재에 상기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 상기 전사재의 반송 방향에서 상기 전사 수단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재를 상기 반송체 상에 흡착하기 위한 흡착 수단; 상기 흡착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체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반송체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 수단이 상기 반송체 또는 상기 전사재를 대전시키는 제1 대전량인 제1 영역은 상기 비접촉부에 대응하고, 상기 흡착 수단이 상기 반송체 또는 상기 전사재를 대전시키는 상기 제1 대전량보다 적은 제2 대전량인 제2 영역은 상기 접촉부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및 2b는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분리 롤러의 평면도.
도 3a 내지 3d는 흡착 롤러가 없는 경우에, 전사재, 전사 벨트 및 분리 롤러의 위치를 나타내고,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고, 전사재가 분리 롤러에 도달하기 직전에 나타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a 내지 4d는 흡착 롤러가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사재, 전사 벨트 및 분리 롤러의 위치를 나타내고,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고, 전사재의 이면의 양의 대전량이 작은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a 및 5b는 전사 벨트, 전사재 및 흡착 롤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전사재가 흡착 롤러를 통과하기 전의 전사재의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의 (a) 및 (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분리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 내지 8c는 흡착 전류 및 인쇄 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의 (a) 내지 (c)는 분리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의 (a) 내지 (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분리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전사재의 종류 및 환경의 상태에 기초하는 목표 흡착 전류를 나타내는 표.
도 12a 및 12b는 종래의 분리 롤러가 전사재를 전사 벨트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크기, 재료, 형상 및 상대적인 위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 및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이하, "장치 본체"라 함)(100A)를 포함하고, 이 장치 본체(100A)의 내부에는, 화상 형성 유닛(51Y, 51M, 51C, 51k)이 제공된다. 화상 형성 유닛(51Y, 51M, 51C, 51k)은, 전사 롤러(5Y, 5M, 5C, 5k)를 포함하며, 각 롤러쌍의 절반은 감광 드럼(1Y, 1M, 1C, 1k)을 포함한다.
"화상 담지체"로도 알려진 감광 드럼(1Y, 1M, 1C, 1k)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표면은, 대전 장치(2Y, 2M, 2C, 2k)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또한, 노광 장치(3Y, 3M, 3C, 3k)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Y, 1M, 1C, 1k)을 노광한다. 알려진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해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정전 화상이 감광 드럼(1Y, 1M, 1C, 1k)에 형성된다.
현상 장치(4Y, 4M, 4C, 4k)는 그 내부에 각각 유채색 토너, 즉, 옐로(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토너를 포함한다. 정전 화상은 현상 장치(4Y, 4M, 4C, 4k)에 의해 현상되어, 각 감광 드럼(1Y, 1M, 1C, 1k)의 표면 상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정전 화상의 노광부에 토너가 부착되는 반전 현상 방식이 사용된다.
"화상 담지체"로도 알려진 중간 전사 벨트(6)는, 감광 드럼(1Y, 1M, 1C, 1k)의 표면에 대하여 중간 전사 벨트(6)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중간 전사 벨트(6)는, 텐션 롤러(20), 2차 전사 대향 롤러(21) 및 구동 롤러(22)와 같은 복수의 롤러에 팽팽하게 걸쳐져서, 화살표 G의 방향으로 300mm/s로 회전된다. 텐션 롤러(20)는 중간 전사 벨트(6)의 텐션을 제어하여 일정한 값으로 텐션을 유지하는 롤러이다. 구동 롤러(22)는 중간 전사 벨트(6)를 구동한다. 2차 전사 대향 롤러(21)는 2차 전사용의 대향 롤러이다. "반송체"로도 알려진 전사 벨트(24)는, 중간 전사 벨트(6)에 대향되고, 전사재(7)를 담지하면서 반송하고, 감광 드럼(1)의 토너 화상을 전사재(7)에 전사한다. 전사 벨트(24)는, 복수의 권취 롤러(25, 26, 27) 둘레로 팽팽하게 유지되어, 전사재의 반송 방향 M으로 300mm/s로 회전한다. 중간 전사 벨트(6)를 통해 구동 롤러(2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벨트 클리닝 장치(12)가 배치된다.
전사재(7)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8)의 위치에서 일단 정지된다. 중간 전사 벨트(6)의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 닙으로 반송되는 타이밍에 동기하여, 전사 벨트(24)에 전사재(7)가 공급된다.
전사 벨트(24)의 표면에는, 흡착 수단의 예인 흡착 롤러(28a)가 배치된다. 전사 벨트(24)의 이면에는 흡착 대향 롤러(28b)가 배치된다. 흡착 롤러(28a) 및 흡착 대향 롤러(28b)는 닙을 형성한다. 전사재(7)는, 흡착 롤러(28a) 및 흡착 대향 롤러(28b)에 의해 닙을 향해서 반송되어 협지된다. 흡착 롤러(28a)는, "흡착 전압 인가 수단"인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에 접속된다. 흡착 대향 롤러(28b)는 접지된다. -12 내지 -30μA의 전류가 흡착 롤러(28a)를 통해 인가되고,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에 의해 제어되는 정전류인 흡착 바이어스로서 기능한다. 흡착 바이어스 전류의 사용으로, 전사재(7)가 전사 벨트(24)에 정전기적으로 흡착된다.
"전사 수단"이라고도 칭하는 전사 롤러(9)는, 전사 벨트(24)의 내주면에 대향되고, 중간 전사 벨트(6)로부터 전사 벨트(24)에 의해 반송되는 전사재(7)로 토너 화상을 전사할 수 있게 한다. 전사 바이어스 인가 장치(55)는 전사 롤러(9)로 전사 전압을 인가한다. 전사 벨트(24)가 화살표로 나타낸 전사재 반송 방향 M으로 이동하면, 전사재(7)는 2차 전사 대향 롤러(21)와 전사 롤러(9)로 형성된 2차 전사 닙을 통과한다. 이 때, 토너 화상의 극성과 역극성으로 정전류 제어된 전사 바이어스가 전사 롤러(9)에 인가된다. 예를 들어 +30 내지 +40μA의 전류를 흐른다면, 중간 전사 벨트(6)의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재(7)로 전사된다. 전사재(7)는 분리 롤러(26)로 반송되고, 전사재(7)는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된다. 전사재는 정착 장치(도시 생략)로 반송되어, 토너 화상의 가열, 가압 및 정착 단계를 거친다.
중간 전사 벨트(6) 및 전사 벨트(24)는, 폴리이미드 및 폴리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수지 또는 각종 고무에 대전 방지제(antistatic agent)로서 카본 블랙을 포함함으로써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6) 및 전사 벨트(24)의 각각의 체적 저항은 1×109 내지 1×1014Ω·cm로 설정되고, 그 두께는 0.07 내지 0.5mm의 범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6)는 폴리이미드에 적당량의 카본 블랙을 함유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6)의 체적 저항은 1×1011Ω·cm로 설정되고, 그 두께는 0.09mm로 설정된다. 전사 벨트(24)는, 0.2mm의 두께를 갖는 EPDM 고무에 적당량의 카본 블랙을 함유시켜서 형성된다. PTFE는 0.005mm의 두께를 갖는 우레타 바인더로 분산되고, 이는 전사 벨트(24)의 표층(front layer)으로 사용되고, 전사 벨트(24)의 체적 저항은 1×1013Ω·cm로 설정된다.
전사 롤러(9)는 코어 금속 및 이온 도전성 발포 고무(예를 들어, NBR(nitrile butadiene rubber))를 포함한다. 전사 롤러(9)의 외경은 24mm이고, 롤러의 표면 거칠기는 Rz=6.0 내지 12.0μm이고, 저항값은 N/N(23℃, 50% RH-상대 습도) 측정에서, 2kV 인가시 1×105 내지 1×107Ω이다.
흡착 대향 롤러(28b)는 전사 벨트(24)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온 도전성 솔리드 고무(NBR)의 탄성층과 코어 금속으로 형성된다. 흡착 대향 롤러(28b)의 외경은 18mm이고, 스트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저항값은 N/N(23℃, 50% RH) 측정에서, 50V 인가시 1×105 내지 1×106Ω이다.
컨트롤러(50)는, 화상 정보 제어 장치(34) 및 전사재 반송 제어 장치(33)를 포함한다. 화상 정보 제어 장치(34)는, 노광 정보와 구현된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재(7)의 정보를 포함한다. 화상 정보 제어 장치(34)는,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사재 반송 제어 장치(33)의 구동 상태를 제어한다. 전사재 반송 제어 장치(33)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구동 제어 장치(30) 및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의 구동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전사재(7)의 평량은 37 내지 250g/m2이다.
도 2a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분리 롤러(26)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분리 롤러(26)는 분리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갖는 권취 수단이다. 분리 롤러(26)는 전사 벨트(24)가 현가되는 "제2 회전 샤프트"인 회전 샤프트(26x)와, 그 길이 전체에서 다른 단면적을 갖는 "제2 회전체"인 분리 회전체(26y)를 갖는다. 분리 롤러(26)는 전사 벨트(24)에 의해 반송되는 전사재(7)를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한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 롤러(26)는 정규의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 롤러(26)는, 18mm의 외경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1000±40μm의 정규의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그 중심부의 외경이 그 단부의 외경보다 더 크다. 그 결과, 분리 롤러(26)와 전사 벨트 사이의 접촉 폭에 관해서, 접촉 폭은 분리 롤러의 축 길이에 수직인 방향의 폭이며, 전사 매체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중심부의 접촉 폭은 단부의 접촉 폭보다 더 크다.
도 2b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흡착 롤러(28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롤러(28a)는 역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 수단"의 예인 흡착 롤러(28a)는, "제1 회전 샤프트"인 회전 샤프트(28x)를 갖고, 롤러의 축 길이를 따라 다른 단면적을 갖는 "제1 회전체"인 흡착 회전체(28y)를 갖는다. 흡착 롤러(28a)는, 전사재 반송 방향 M에서 전사 롤러(9)의 상류에 배치되어, 전사재(7)를 전사 벨트(24)로 흡착한다. 도 1에 나타낸 "전압 인가 수단(또는, 흡착 고전압 수단)"인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는, 흡착 롤러(28a)에 흡착 고전압을 인가한다. 흡착 롤러(28a)는, 분리 회전체(26y)의 대응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흡착 회전체(28y)의 부분에서, 큰 대전량(즉, 고전압)으로 전사재(7)를 대전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흡착 롤러(28a)는, 분리 회전체(26y)의 단면적(외경)이 큰 부분에 대응하는 흡착 회전체(28y)의 부분을 통과하는 전사재(7) 부분의 대전량을 경감한다. (흡착 회전체의 대응 부분은 2개 롤러의 대등한 형상으로 인해 작다.) 유사하게, 흡착 롤러(28a)는, 분리 회전체(26y)의 단면적(외경)이 작은 부분에 대응하는 흡착 회전체(28y)의 부분을 통과하는 전사재(7) 부분의 대전량을 증가시킨다. 즉, 흡착 회전체(28a)의 중심보다 단부에 더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즉, 도 2a 및 도 2b를 서로 비교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사재 반송 방향 M에서는) 분리 회전체(26y)의 단면적(외경)이 작은 부분에, 흡착 회전체(28y)의 단면적(외경)이 큰 부분이 대응한다. 또한, 전사재 반송 방향 M에서는, 분리 회전체(26y)의 단면적(외경)이 큰 부분에는, 흡착 회전체(28y)의 단면적(외경)이 작은 부분이 대응한다. 분리 회전체(26y)는, 전사재 반송 방향 M과 직교하는 전사재 폭방향 N에서 그 중심의 단면적(외경)이 그 단부의 단면적(외경)보다 큰 정규의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착 회전체(28y)는, 전사재 반송 방향 M과 직교하는 전사재 폭방향 N에서 단부측의 단면적(외경)이 중심의 단면적(외경)보다 큰 역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전사 동작시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흡착 롤러(28a)가 전사 벨트(24)에 접촉하는 폭에 관해서, 단부에서의 접촉 폭이 중심부의 접촉 폭보다 더 넓게 된다. 여기에서, 흡착 롤러(28a)가 전사 벨트(24)를 누르는 폭이 제1 폭인 제1 영역이 양단부에 대응하고, 흡착 롤러(28a)가 전사 벨트(24)를 누르는 폭이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제2 영역이 중심 영역에 대응한다. 이 경우에, 분리 롤러(26)의 제1 영역(양단부)이 전사 벨트(24)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량은 제2 영역(중심부)에서의 접촉량보다 더 작다.
흡착 롤러(28a)는, 퍼 브러시 롤러이다. 브러시의 투스(tooth) 길이는 5mm이고, 코어 금속의 직경은 8mm이고, 18mm의 최대 외경을 갖는, 500±40μm의 역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착 롤러(28a)의 저항값은 N/N(23℃, 50% RH) 측정에서, 100V 인가시 1×105 내지 1×106Ω이다. 퍼 브러시는 전사 벨트(24)에 최대 1.5 내지 2mm만큼 진입한다. 분리 롤러(26)가 정규의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흡착 롤러(28a)는 대응하는 역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a는, 흡착 롤러(28a)가 없을 경우에, 전사재(7), 전사 벨트(24) 및 분리 롤러(26)의 배치를 나타내고,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고, 전사재(7)가 분리 롤러(26)에 도달하기 직전에 나타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a, 3b, 3c 및 3d는, 도 1의 화살표 J의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a에서, 전사재(7) 및 전사 벨트(24)의 진행 방향은, 도 3a의 시트의 이면으로부터 시트의 표면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재(7)의 표면에 토너가 이동하고, 토너는 음전하를 보유한다.
도 3b는, 흡착 롤러(28a)가 없을 경우에, 전사재(7), 전사 벨트(24) 및 분리 롤러(26)의 배치를 나타내며,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며, 전사재(7)가 분리 롤러(26)에 도달해서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될 때 나타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사재(7) 및 전사 벨트(24)는 전사재 폭방향 N의 중심부에서 서로 접촉하지만, 연면 방전의 상태가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도 3b는, 전사재(7) 및 전사 벨트(24)가 전사재 폭방향 N의 중심부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나타내어진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재(7)의 전사재 폭방향 N의 양단부에서는, 전사재(7)의 중심부보다도, 연면 방전이 강하게 발생된다. 전사재(7)의 이면(또는, 분리 롤러-대향면)에서는, 전사재의 양단부에 접근할수록 양전하량이 더 많고, 전사재의 중심으로 접근할수록 양전하량이 더 적다.
도 3c는, 흡착 롤러(28a)가 없을 경우에, 전사재(7), 전사 벨트(24) 및 분리 롤러(26)의 배치를 나타내며,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며, 전사재(7)가 분리 롤러(26)를 통과하여 연면 방전이 전사재 폭방향 N의 중심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사재(7) 및 전사 벨트(24)는 전사재 폭방향 N의 중심부에서 실제로는 서로 접촉하지만, 연면 방전의 상태가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도 3c는, 전사재(7) 및 전사 벨트(24)가 전사재 폭방향 N의 중심부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나타내어진다.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재 폭방향 N에서 전사재(7)의 중심부측에는, 더 큰 연면 방전이 발생된다. 도 3a 내지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면 방전이 수용되어 양전하량이 증가되는 전사재(7)의 이면부에서는, 전사재(7)의 이면과 전사 벨트(24) 사이의 전위차가 낮아지고, 순차적으로 연면 방전이 경감된다.
도 3d는, 흡착 롤러(28a)가 없을 경우에, 전사재(7), 전사 벨트(24) 및 분리 롤러(26)의 배치를 나타내며,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며, 연면 방전이 더 이상 발생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다시, 전사재(7)와 전사 벨트(24)는 전사재 폭방향 N의 중심부에서 서로 접촉하지만, 연면 방전의 상태가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도 3d는 전사재(7)와 전사 벨트(24)가 전사재 폭방향 N의 중심부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나타내어진다.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전이 약하더라도, 전사재 폭방향 N으로 전사재(7)의 중심부측에 양전하가 부착된다.
도 4a는, 흡착 롤러(828a)가 스트레이트형(굽지 않은 표면 및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전사재(7), 전사 벨트(24) 및 분리 롤러(26)의 배치를 나타내며,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며, 전사재(7)의 이면의 양대전량이 작은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는, 도 1의 화살표 J의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에 대응한다. 도 4a는, 도 1에서 흡착 롤러(828a)가 잠정적으로 접지되고, 흡착 대향 롤러(828b)에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가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전사재(7)의 표면은 양전하로 대전되고, 그 표면 상에 음으로 대전된 토너가 놓인다. 전사재(7)와 전사 벨트(24)는 전사재 폭방향 N의 중심부에서 서로 접촉하지만, 전하의 부착 상태가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도 4a는, 전사재(7)와 전사 벨트(24)가 전사재 폭방향 N의 중심부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나타내어진다.
흡착 롤러(828a)가 스트레이트형으로, 굽지 않은 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사재(7)가 2차 전사부를 통과하기 전에 전사재(7)는 균일하게 대전된다. 전사재(7)는, 양 또는 음의 전하를 띠도록 대전된다. 분리 롤러(26)가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직경을 갖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전사재(7)가 어느 극성으로 대전되어도, 분리 롤러(26)에서의 화상 불량이 전사재 폭방향 N에서 폭방향 불균일로서 발생된다.
도 4b는, 도 4a의 경우에, 전사재(7)의 대전량과 전사재 폭방향 N에서 전사재의 위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에서, 종축은, 분리 롤러(26)를 통과하는 전사재(7)의 전사재 폭방향 N의 대전량을 나타내고, 횡축은, 분리 롤러(26)를 통과하는 전사재(7)의 전사재 폭방향 N의 전사 벨트(24)의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얇은 파선 p는, 전사재(7)의 총 대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얇은 실선 q는, 전사재(7)의 이면이 균일하게 대전되는 경우, 전사재(7)의 이면의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굵은 파선 r은, 전사재 폭방향 N으로 전사재(7)의 표면의 양단부가 미리 대전되는 경우, 전사재(7)가 분리 롤러(26)를 통과하기 전에 전사재(7)의 이면의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굵은 실선 s는, 전사재 폭방향 N으로 전사재(7)의 표면의 양단부가 미리 대전되는 경우, 전사재(7)가 분리 롤러(26)를 통과한 후에, 전사재(7)의 이면의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재(7)의 이면의 분포 대전량이, 전사재(7)의 이면이 흡착 롤러(828a)로 균일하게 대전되는 값을 갖는 것을 상정한다(가는 실선 q 참조). 동시에, 전사재(7)의 이면이 흡착 롤러(828a)로 대전되고, 전사재 폭방향 N의 양단부가 강하게 대전될 경우(굵은 파선 r 및 굵은 실선 s 참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전사재(7)가 균일하게 대전되는 경우에 비하여, 양단부가 강하게 대전되는 경우에, 분리 롤러(26)의 대전량의 절대값이 작아져, 전사재(7)의 대전 강도가 작아진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롤러(28a)가 역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되고, 분리 롤러(26)의 정규의 크라운 형상에 따라 분리 타이밍이 더 빠른 전사재(7)의 단부가 미리 양전하로 더 많이 대전된다. 따라서, 전사재(7), 특히 얇은 전사재(7)의 분리시의 화상 불량의 폭방향 불균일이 억제된다(도 4b의 분포 대전 참조).
도 4c는, 흡착 롤러(828a)가 스트레이트 형상의 일정 직경의 롤러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전사재(7), 전사 벨트(24), 분리 롤러(26)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c는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고, 전사재(7)의 이면의 양의 대전량이 큰 경우를 나타낸다. 도 4d는, 도 4c에 나타내어진 경우의, 전사재(7)의 대전량과 전사재 폭방향 N의 위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c는, 도 1의 화살표 J의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에 대응한다. 도 4a는, 도 1에서 흡착 롤러(828a)가 잠정적으로 접지되어, 흡착 대향 롤러(828b)에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가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실제로는, 전사재(7)의 표면은 양전하로 대전되고, 음으로 대전된 토너가 표면 상에 놓인다. 전사재(7)와 전사 벨트(24)는 서로 접촉하지만, 전하의 부착 상태가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도 4c는 전사재(7)와 전사 벨트(24)가 서로 분리되도록 나타내어진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재(7)의 이면의 대전량은 몇몇 경우에 크다. 이 경우, 분리 롤러(26)로부터 전사재(7)를 향해서 음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재 폭방향 N의 중심에서 음의 대전량이 작고, 양단부에서 음의 대전량이 크다. 도 4d 중 가는 실선은 이러한 사실을 나타내며, 또한, 이는 이상 화상의 악화 레벨을 나타낸다.
도 5a는, 전사 벨트(24), 전사재(7) 및 흡착 롤러(28a) 사이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며, 전사재(7)가 흡착 롤러(28a)를 통과하기 전의 전사재(7)의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b는, 전사 벨트(24), 전사재(7) 및 흡착 롤러(28a) 사이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며, 전사재(7)가 흡착 롤러(28a)를 통과한 후의 전사재(7)의 대전량 분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 및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롤러(28a)의 하방으로 전사재(7)가 통과하면, 전사재(7)의 표면의 전사재 폭방향 N의 단부가 양전하로 대전된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따르면, 분리 롤러(26)가 정규의 크라운 형상을 갖는 경우(도 2a 참조), 흡착 롤러(28a)는, 분리 타이밍이 더 빠른 부분이 더 많이 대전되도록 역 크라운 형상(도 2b 참조)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분리부에서의 전사재 폭방향 N의 불균일과 같은 화상 불량이 경감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흡착 롤러(28a)가 퍼 브러시이지만, 흡착 롤러(28a)는 스펀지 롤러와 같은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의 (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분리 롤러(226)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며,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제2 실시예의 분리 롤러(226) 및 흡착 롤러(228a)(도 6의 (b) 참조)는 제1 실시예의 분리 롤러(26) 및 흡착 롤러(28a)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상이하다. 전사재 반송 방향 M에서, 퍼 브러시(228y1)("제1 저항체")는 흡착 회전체(228y)("제1 회전체")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2 회전체의 단면적(외경)이 더 큰 부분인 접촉편(226y)에 대응하는 제1 저항값을 갖는다. 전사재 반송 방향 M에서, 퍼 브러시(228y1)에 인접한 흡착 회전체(228y)("제1 회전체")의 표면에 배치된 스펀지(228y2)("제2 저항체")는 제2 저항값을 갖고, 제2 회전체의 단면적(외경)이 작은 부분인 회전 샤프트(226x)에 대응한다. 제2 저항값은 제1 저항값보다 낮게 설정된다. 따라서, 낮은 저항값을 나타내는 스펀지(228y2)는 전사재(7)로 더 많은 양전하를 이동시키고, 높은 저항값을 나타내는 퍼 브러시(228y1)는 전사재(7)로 그만큼 많은 양전하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회전체(226)는, 전사 벨트(24) 상의 전사재(7)에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편(226y)을 포함한다. 접촉편(226y)은 더 큰 단면적(외경)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이다. 회전 샤프트(226x)는 더 작은 단면적(외경)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이다. 흡착 회전체(228y)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곡면은 "퍼(fur) 부분"인 퍼 브러시(228y1)와 "스펀지 부분"인 스펀지(228y2)를 전사재 폭방향 N의 소정폭에서 갖는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 롤러(226)는, 회전 샤프트(226x), 및 회전 샤프트(226x)에 설치되어 전사 벨트(24)의 이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편(226y)을 포함한다. 접촉편(226y)은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 롤러는, 전사 벨트(24)에 접촉하는 접촉편(226y)과, 전사 벨트(24)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226x)을 갖는다. 여기에서, 흡착 롤러(228a)가 전사 벨트(24) 또는 전사재(7)를 대전시키는 제1 대전량인 제1 영역이 퍼 브러시(228y1)에 대응하고, 흡착 롤러(228a)가 전사 벨트(24) 또는 전사재(7)를 대전시키는 제1 대전량보다도 작은 제2 대전량인 제2 영역이 스펀지 부분(228y2)이다. 이 경우에, 분리 롤러(226)가 전사 벨트(24)(퍼 브러시)에 접촉하는 제1 영역의 접촉량은, 분리 롤러(226)가 전사벨트(24)(스펀지)에 접촉하는 제2 영역의 접촉량보다 작다. 이것은, 비접촉부인 회전 샤프트(226x)가 전사 벨트(24)에 접촉하는 접촉량은, 접촉부인 접촉편(226y)이 전사 벨트(24)에 접촉하는 접촉량보다도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후술하는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분리 롤러가 전사 벨트에 접촉하는 접촉량은, 흡착 롤러가 전사 벨트를 대전시키는 제1 대전량인 제1 영역에 대응하여 작게 설정된다. 흡착 롤러가 전사 벨트에 접촉하는 접촉량은, 흡착 롤러가 전사 벨트를 대전시키는 제1 대전량보다도 작은 제2 대전량인 제2 영역에 대응하여 크게 설정된다.
도 6의 (b)는,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흡착 롤러(228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롤러(228a)는, 회전 샤프트(228x), 및 회전 샤프트(228x)에 설치되어 전사 벨트(24)의 이면에 접촉하는 흡착 회전체(228y)를 포함한다. 흡착 회전체(228y)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착 회전체(228y)의 표면은, 전사재 폭방향 N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폭을 갖는 퍼 브러시(228y1)를 포함한다. 퍼 브러시(228y1)는, 분리 회전체의 접촉편(226y)의 위치에 대응하는 흡착 회전체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접촉편 대응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흡착 회전체(228y)의 표면은 스펀지(228y2)를 포함한다. 스펀지(228y2)는 "인접 영역", 즉 퍼 브러시(228y1)에 인접하는 표면의 영역에 위치된다. 이러한 스펀지(228y2)로, 이하의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즉, 분리 롤러(226)를 통과할 때에 전사재(7)가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타이밍이 빠른 전사재(7)의 부분에 따라, 전사재(7)의 그 부분의 대전량이 미리 더 크게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퍼 브러시(228y1) 및 스펀지(228y2)를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분리부에 의해 잠재적으로 발생된 길이 방향의 불균일과 같은 화상 불량이 억제된다.
흡착 롤러(228a)로서, 외경이 18mm, N/N(23℃, 50% RH) 측정에서 50V 인가시 저항값이 1×105 내지 1×106Ω인 고무 롤러가 사용된다. 퍼 브러시의 외경 및 다른 성질은, 도 2b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흡착 롤러(28a)와 마찬가지이지만, 퍼 브러시의 형상은 스트레이트측 원통이다.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흡착 롤러(228a)가 퍼 브러시(228y1) 및 스펀지(228y2)로 형성되었지만, 각종 탄성 부재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고,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제3 실시예 특유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200)의 장치 본체(200A)의 내부에서, 중간 전사 벨트(6)는, 텐션 롤러(20), 2차 전사 대향 롤러(21) 및 구동 롤러(22)와 같은 복수의 롤러 둘레에 유지되어, 화살표 G의 방향으로 100 내지 300mm/s로 회전된다. 전사 벨트(24)는, 복수의 권취 롤러(25, 26, 27) 둘레에 유지되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100 내지 300mm/s로 회전된다. 컨트롤러(50)는, 중간 전사 벨트(6) 및 전사 벨트(24)의 회전 속도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전사 벨트(24)를 통해 분리 롤러(26)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사재(7)의 표면의 전하를 제전(diselectrifying)하기 위한 "제전 수단"인 분리 대전기(29)가 배치된다. 즉, 분리 롤러(2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사 벨트(24)의 표면과 대향하여 분리 대전기(29)가 배치된다. 분리 대전기(29)는, 전사재(7)의 표면 상의 토너 화상을 제전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전사재(7)가 분리 롤러(26)로 반송되면, 분리 대전기(29)가 전사재(7)의 표면 상의 토너 화상을 제전하고, 전사 벨트(24)로부터 전사재(7)가 분리되는 것을 보조한다.
전사 벨트(24)의 표면에는 흡착 롤러(328a)가 배치되고, 전사 벨트(24)의 이면에는 흡착 대향 롤러(328b)가 배치된다. 흡착 롤러(328a) 및 흡착 대향 롤러(328b)는 닙을 형성한다. 전사재(7)는, 닙으로 반송되어 협지된다.
도 8a는, 흡착 전류와 인쇄 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컨트롤러(50)는, 장치 본체(200A)가 전사재(7)에 토너 화상을 형성해서 토너 화상을 배출하는 전사재(7)의 인쇄 속도에 기초하여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의 흡착 전압을 조절한다. 전사재(7)가 협지되어 반송되는 경우, 전사 벨트 루프(24)의 외측에 배치된 흡착 롤러(328a)를 통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 내지 -30μA의 전류가 흐른다. 전류값은,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에 의해 제어되는 정전압인 흡착 바이어스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속도에 기초한다. 따라서, 전사재(7)가 전사 벨트(24)에 정전기적으로 흡착된다.
도 8b는, 초박형 전사재 및 두꺼운 전사재에 있어서의 흡착 전류와 흡착 전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컨트롤러(50)는, 전사재(7)의 종류에 기초하여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의 흡착 전압을 조절한다. 컨트롤러(50)는, 전사재(7)의 종류가 바뀌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 흡착 전류가 흐르도록 흡착 전압의 인가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도시하지 않은)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전사재(7)의 종류를 설정한다. 장치 본체(100A)의 컨트롤러(50)는, 인쇄 속도(주속)의 설정에 관한 권장 모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권장 모드로는, 전사재(7)의 평량이 37 내지 100g/m2이면 속도는 300mm/s, 전사재(7)의 평량이 100 내지 200g/m2이면 속도는 200mm/s, 전사재(7)의 평량이 200 내지 250g/m2이면 속도는 100mm/s이다. (도시하지 않은)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속도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c는, 전사재(7)의 종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사재(7)의 인쇄 속도(주속)의 변화에 기초하는 목표 흡착 전류를 나타내는 표이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50)는, 어떤 종류의 전사재(7)의 평량이 37 내지 52g/m2이고, 전사재(7)의 인쇄 속도(주속)가 100mm/s인 경우에는, 목표 흡착 전류를 10μA로 설정한다. 도 8c에 나타낸 표 중의 다른 수치도 동일한 방식으로 읽는다.
전사 벨트(24)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사재(7)가 2차 전사 대향 롤러(21)와 전사 롤러(9)로 형성된 2차 전사 닙을 통과한다(도 7 참조). 이 때, 토너 화상과 역극성의 정전류 제어된 전사 바이어스가 전사 롤러(9)에 인가된다. 예를 들어, +30 내지 +40μA의 전류가 흐르고, 중간 전사 벨트(6) 상의 토너 화상이 전사재(7)로 전사된다.
여기에서, 도 7에 나타낸 컨트롤러(50)는, 화상 정보 제어 장치(34) 및 전사재 반송 제어 장치(35)를 포함한다. 화상 정보 제어 장치(34)는, 노광 정보와,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재(7)의 정보를 포함한다. 화상 정보 제어 장치(34)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사재 반송 제어 장치(35)의 구동 상태가 제어되고, 전사재 반송 제어 장치(35)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구동 제어 장치(30)와, "흡착 바이어스 인가 수단"인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의 구동 상태를 제어한다. 전사재(7)로서는 평량이 37 내지 250g/m2인 재료가 사용된다.
도 9의 (a)는, 제3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분리 롤러(26)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분리 회전체(26y)는, (전사재 반송 방향 M과 직교하는 전사재 폭방향 N에서) 그 중심부의 단면적(외경)이 그 단부의 단면적(외경)보다 큰 정규의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의 (b)는, 제3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흡착 롤러(328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롤러(328a)는, "제1 회전 샤프트"인 회전 샤프트(328x)와, 회전 샤프트(328x)에 설치된 원통형의 "제1 회전체"인 흡착 회전체(328y)를 포함한다. 흡착 회전체(328y)에는, 다른 피치(중심부에서는 더 큰 피치이고, 단부에서는 더 작은 피치임)를 갖는 복수의 환상의(annular) 홈(328y1)이 형성된다. 흡착 회전체(328y)의 작은 피치를 갖는 환상의 홈(328y1)은 작은 단면적(외경)을 갖는 분리 회전체(26y)의 부분에 대응한다. 흡착 회전체(328y)의 큰 피치를 갖는 환상의 홈(328y1)은 큰 단면적(외경)을 갖는 분리 회전체(26y)의 부분에 대응한다. 흡착 롤러(328a)는, 18mm의 외경을 갖는 금속 롤러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홈이 흡착 롤러(328a)에 형성된다. 도 9의 (b)의 경우에, 홈(328y1)의 깊이는 약 50μm이고, 홈(328y1)의 피치는 (분리 롤러에서) 분리 타이밍이 빠를수록 더 작아지고, 피치는 50 μm 내지 1000μm이다.
도 9의 (c)는, 흡착 롤러(428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롤러(428a)는, "제1 회전 샤프트"인 회전 샤프트(428x)와, 회전 샤프트(428x)에 설치된 원통형의 "제1 회전체"인 흡착 회전체(428y)를 포함한다. 흡착 회전체(428y)에는, 전사재 반송 방향 M과 직교하는 전사재 폭방향 N의 위치마다, 다른 깊이(중심부에서 얕고 단부에서 깊음)를 갖는 복수의 환상 홈(428y1)이 형성된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분리 회전체(26y)의 부분에는, 흡착 회전체(428y)의 더 깊은 환상 홈이 대응한다. 큰 단면적을 갖는 분리 회전체(26y)의 부분에는, 흡착 회전체(428y)의 더 얕은 환상 홈(428y1)이 대응한다. 흡착 롤러(428a)는 18mm의 외경을 갖는 금속 롤러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홈이 흡착 롤러(428a)에 형성된다. 도 9의 (c)의 경우에, 홈(428y1)의 피치가 약 100μm이고, 홈(428y1)의 깊이는 분리 타이밍이 더 빠를 수록(즉, 궁극적인 전사 매체(7)의 에지에 가까울수록) 더 깊어지고, 깊이는 50μm 내지 500μm이다.
분리 롤러(26)가 정규의 크라운 형상을 갖는 경우(도 9의 (a) 참조), 분리 타이밍이 더 빠른 금속 흡착 롤러(428a)의 부분이 분리 롤러(26)의 형상에 따라 더 많이 대전되도록, 홈의 피치가 더욱 조밀하게 설정된다(도 9의 (b) 참조). 분리 롤러(26)가 정규의 크라운 형상을 갖는 경우(도 9의 (a) 참조), 분리 타이밍이 더 빠른 금속 흡착 롤러(428a)의 부분이 분리 롤러(26)의 형상에 따라 더 많이 대전되도록, 홈의 깊이가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더 깊게 설정된다(도 9의 (c) 참조). 그 결과, 분리부에서의 화상 불량의 위험이 경감된다. 분리 롤러(26)의 외경 및 크라운량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흡착 롤러(328a, 428a)가 금속으로 이루어지지만, 흡착 롤러(328a, 428a)는 예를 들어, 고강성 수지로 이루어진 강체일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의 (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분리 롤러(226)의 평면도이다. 제4 실시예의 분리 롤러(226) 및 흡착 롤러(528a)(도 10의 (b) 참조)와, 제4 실시예의 변형예의 분리 롤러(226) 및 흡착 롤러(628a)도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회전체"인 접촉편(226y)은, 전사 벨트(24)를 통해 전사재(7)에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편(226y)을 갖는다. "큰 단면적(외경)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이 접촉편(226y)이다. "작은 단면적(외경)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은 회전 샤프트(226x)의 부분이다. 분리 롤러(226)는, 회전 샤프트(226x)와, 회전 샤프트(226x)에 고정된 디스크형 접촉편(226y)을 포함한다. 분리 롤러(226)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롤러는, 전사 벨트에 접촉하는 접촉편(226y)과, 전사 벨트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226x)을 갖는다.
도 10의 (b)는, 제4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흡착 롤러(528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롤러(528a)는, "제1 회전 샤프트"인 회전 샤프트(528x)와, 회전 샤프트(528x)에 설치된 원통형의 "제1 회전체"인 흡착 회전체(528y)를 갖는다. 흡착 회전체(528y)에는, 다른 피치(접촉편(226y)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피치가 크고, 접촉편(226y)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피치가 작음)를 갖는 복수의 환상 홈(328y1)이 형성된다. 큰 피치를 갖는 환상 홈(328y1)은 "큰 단면적(외경)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인 접촉편(226y)에 대응한다. 작은 피치를 갖는 환상의 홈(328y1)은 "작은 단면적(외경)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인 회전 샤프트(226x)에 대응한다. 즉, 작은 피치를 갖는 흡착 회전체(328y)의 환상 홈(328y1)은 "큰 단면적(외경)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인 접촉편(226y)의 인접 영역에 대응한다. 흡착 롤러(528a)는, 회전 샤프트(528x)와, 회전 샤프트(528x)에 고정된 원통형의 흡착 회전체(528y)를 갖는다. 흡착 롤러(528a)의 표면에는, 분리 롤러(226)의 형상에 따라 전사재(7)의 더 빠른 분리 타이밍과 연관된 부분이 더 많이 대전되도록, 조밀한 피치로 이루어진 환상 홈(328y1)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분리부에서의 화상 불량이 경감된다. 외경이 18mm이고, 코어 금속 외경이 10mm인 분리 롤러(226)가 사용된다. 흡착 롤러(528a)의 재료는 금속이지만, 흡착 롤러(528a)는 고강성 수지로 이루어진 강체일 수도 있다.
도 10의 (c)는, 흡착 롤러(628a)의 대안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롤러(628a)는, "제1 회전 샤프트"인 회전 샤프트(628x)와, 회전 샤프트(628x)에 설치된 원통형의 "제1 회전체"인 흡착 회전체(628y)를 갖는다. 흡착 회전체(628y)에는, 전사재 반송 방향 M과 직교하는 전사재 폭방향 N에서, 다른 깊이(접촉편(226y)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얕고 접촉편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접하는 영역에서는 깊음)를 갖는 복수의 환상 홈(428y1)이 형성된다. "큰 단면적(외경)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인 접촉편(226y)에는, 흡착 회전체(428y)의 더 얕은 환상 홈(428y1)이 대응한다. "작은 단면적(외경)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인 회전 샤프트(226x)에는, 흡착 회전체(428y)의 깊은 환상 홈(428y1)이 소정폭에서 포함되어 대응된다. 즉, 접촉편(226y)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흡착 회전체(428y)의 깊은 환상 홈(428y1)이 대응한다. 흡착 롤러(628a)는, 회전 샤프트(628x)와, 회전 샤프트(628x)에 고정된 원통형의 흡착 회전체(628y)를 갖는다. 흡착 롤러(628a)의 표면에는, 분리 롤러(226)의 형상에 따라 전사재(7)의 분리 타이밍이 더 빠른 위치에서 더 많은 대전이 수행되도록, 깊은 환상 홈(428y1)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분리부에서의 화상 불량이 경감된다. 외경이 18mm이고, 코어 금속 외경이 10mm인 분리 롤러(226)가 사용된다. 흡착 롤러(628a)의 재료는 금속이지만, 흡착 롤러(628a)는 강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도 11은, 전사재(7)의 종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른 환경의 상태에 기초하는 목표 흡착 전류를 나타내는 표이다. 제5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제5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와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즉, 컨트롤러(50)는, 장치 본체(100A) 내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의 흡착 고전압을 조절한다.
도 11에 나타낸 각 환경, 즉 온도 및 습도에 있어서의 목표 흡착 전류의 표에서, 환경은 이하와 같다: 보통/낮음: N/L(23℃, 5% RH), 보통/보통: N/N(23℃, 50% RH) 및 높음/높음: H/H(30℃, 80% RH). 이러한 환경과 전사재(7)의 종류에 기초하여 목표 흡착 전류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50)는, 전사재(7)의 종류가 37 내지 52g/m2인 평량을 갖고, 환경 상태가 N/L(23도, 5% RH)인 경우, 목표 흡착 전류를 30μA로 설정한다. 도 11에 나타낸 표의 다른 수치도 동일한 방식으로 취급된다.
일반적으로, 저습 환경에서 방전에 의한 화상 불량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저습 환경인 N/L(23℃, 5% RH)의 목표 흡착 전류도 높게 설정되고, 고습 환경인 H/H(30℃, 80% RH)의 목표 흡착 전류는 낮게 설정된다.
사용자는 (도시하지 않은)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전사재(7)의 종류의 설정하고, 온도 및 습도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에 제공된 온도 및 습도 센서에 의해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26)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규의 크라운 형상을 갖는 경우,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 롤러(26)에서 분리 타이밍이 더 빠른 위치가 흡착 롤러(28a)에서 더 많이 대전되도록, 역 크라운 형상이 흡착 롤러에 대해 채용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분리부에서의 화상의 길이방향의 불균일이 경감될 수 있고, 환경과 전사재(7)의 종류에 따라 목표 흡착 전류를 흡착 롤러(28a)에서 제어함으로써 최적화가 수행될 수 있다. 흡착 롤러(28a)는 퍼 브러시 또는 스펀지 롤러와 같은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흡착 수단은, 제2 회전체의 단면적이 작은 곳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회전체를 사용하여 전사재를 큰 대전량으로 대전시킨다. 또한, 제2 회전체가 큰 단면적(외경)을 갖는 곳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회전체를 사용하여 전사재가 작은 대전량으로 대전된다. 따라서, 전사재가 반송체로부터 분리될 때에 연면 방전을 받기 쉬운 전사재의 부분은 분리 수단의 형상에 대응해서 미리 대전됨으로써 그 영향이 감소된다. 그 결과, 전사재가 반송체로부터 분리될 때에 발생된 연면 방전이 억제되어, 전사재 폭방향(전사재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규정된 폭방향)에서의 전사된 화상의 불균일과 같은 화상 불량이 억제된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큰 단면적(외경)을 갖는 흡착 회전체(28y)의 부분은 작은 단면적(외경)을 갖는 분리 회전체(26y)의 부분에 대응한다. 따라서, 큰 단면적(외경)을 갖는 흡착 회전체(28y)의 부분에 대응하는 전사재(7)의 부분의 대전량이 미리 증가되어, 전사재(7)가 분리 회전체(26y)의 작은 단면적(외경)을 갖는 부분을 통과할 때에 대전량이 증가되는 현상이 억제된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분리 롤러(26)가 정규의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되면, 전사재(7)가 전사 벨트(24)의 전사재 폭방향 N의 에지로부터 분리되어 연면 방전이 쉽게 발생한다. 한편, 흡착 롤러(28a)가 역 크라운 형상으로 형성되면, 흡착 롤러(28a)가 전사재(7)의 전사재 폭방향 N의 에지를 더 큰 대전량으로 대전시킨다. 그 결과, 전하가 전사재(7)의 에지에 이미 축적되므로, 전사재(7)가 분리 롤러(26)로부터 분리될 때에, 전사 벨트(24)로부터 전사재(7)를 향해서 전하가 이동하는 연면 방전이 억제된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스펀지(228y2)의 저항값이 낮으므로, 스펀지(228y2)로부터 전사재(7)를 향해서 전하가 이동하기 더 쉽다. 한편, 퍼 브러시(228y1)의 저항값은 높으므로, 퍼 브러시(228y1)로부터 전사재(7)를 향해서 전하가 그만큼 쉽게 이동하지 않는다. 흡착 회전체(228y)의 스펀지(228y2)의 위치는 분리 회전체(26)의 노광된 회전 샤프트(226x)의 위치에 대응하며, 샤프트의 노광된 부분은 여기에서 "작은 단면적(외경)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이라 한다. 따라서, 스펀지(228y2)를 통과하는 전사재(7)의 부분의 대전량이 증가하고, 전사재(7)가 분리 롤러(226)를 통과할 때에 대전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분리 롤러(226)가 회전 샤프트(226x) 및 복수의 접촉편(226y)으로 형성되면, 전사재(7)가 복수의 접촉편(226y)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연면 방전이 쉽게 발생한다. 이러한 연면 방전을 극복하기 위해서, 흡착 롤러(228b)가 퍼 브러시(228y1) 및 스펀지(228y2)로 형성되고, 전사재(7)에서의 스펀지(228y2)의 접촉부가 전사재의 다른 부분보다 더욱 큰 대전량으로 대전된다. 그 결과, 전사재(7)에는 스펀지(228y2)에 접촉하는 부분에서 이미 전하가 축적되어, 전사재(7)가 분리 롤러(226)를 사용하여 전사 벨트로부터 분리될 때에, 전사 벨트(24)로부터 전사재(7)를 향해서 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제3 및 제4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환상 홈(328y1)으로부터 전사재(7)를 향해서 전하가 이동한다. 환상 홈(328y1)의 피치가 작은 흡착 회전체(328y, 528y)의 부분에서는, 환상 홈(328y1)의 피치가 큰 흡착 회전체(328y, 528y)의 부분보다도, 전사재 폭방향 N의 단위 길이당 설치되는 환상 홈(328y1)의 개수가 많다. 따라서, 환상 홈(328y1)의 개수가 많은 흡착 회전체(328y, 528y)의 부분에 대응하는 전사재(7)의 부분의 대전량이 증가되어, 전사재(7)가 분리 롤러(26, 226)를 통과할 때에 대전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제3 및 제4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환상 홈(428y1)으로부터 전사재(7)를 향해 전하가 이동한다. 깊은 환상 홈(428y1)을 갖는 흡착 회전체(428y)의 부분에서는, 더 얕은 환상 홈(428y1)을 갖는 흡착 회전체(428y, 628y)의 부분보다도, 전사재(7)를 향해 이동하는 전하의 강도가 더 크다. 따라서, 환상 홈(428y1)이 깊은 흡착 회전체(428y, 628y)의 부분에 대응하는 전사재(7)의 부분의 대전량이 증가되어, 전사재(7)가 분리 롤러(26, 226)를 통과할 때에 대전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제5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흡착 바이어스 인가 장치(32)의 구동 상태가 제어되고, 이에 추가하여 분리 대전기(29)의 구동 상태도 제어되어, 얇은 전사재(7)가 분리될 때에 전사재 폭방향 N에서의 화상의 불균일과 같은 화상 불량이 더욱 억제된다.
제5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전사재(7)의 종류에 따라 흡착 전압이 제어되므로, 전사재(7)의 종류의 차이에 따라 전사재(7)가 분리될 때 전사재 폭방향 N에서의 화상의 불균일과 같은 화상 불량이 억제된다.
제5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전사재(7)의 인쇄 속도에 따라 흡착 전압이 제어되므로, 전사재(7)의 인쇄 속도의 차이에 따라 전사재(7)가 분리될 때 전사재 폭방향 N에서의 화상의 불균일과 같은 화상 불량이 억제된다.
제5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온도 및 습도와 같은 환경에 따라 흡착 고전압이 제어되므로, 온도 또는 습도의 차이에 따라 전사재(7)가 전사 벨트(24)로부터 분리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전사재 폭방향 N에서의 화상의 불균일과 같은 화상 불량이 억제된다.
각 실시예에서는, "토너 담지체"로서 중간 전사 벨트(6)가 개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Y 내지 1k)에 대향되도록 "반송체"인 전사 벨트(24)가 배치되는 전사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흡착 수단"이 탄성 부재이고,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는 강체 부재이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흡착 수단"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강체 부재일 수 있으며,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 수단은,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에 대응하는 전사재 반송 방향의 제1 회전체의 부분에서 전사재를 큰 대전량으로 대전시킨다. 또한, 큰 단면적을 갖는 제2 회전체의 부분에 대응하는 전사재 반송 방향 M의 제1 회전체의 부분에서 전사재가 작은 대전량으로 대전된다. 따라서, 전사재는, 전사재가 반송체로부터 분리될 때에 연면 방전이 쉽게 발생되는 부분에서, 분리 수단의 형상에 따라 전사재가 미리 대전된다. 그 결과, 전사재가 반송체로부터 분리될 때에 발생하는 연면 방전이 억제되어, 전사재 반송 방향 M과 직교하는 전사재 폭방향 N의 불균일과 같은 화상 불량이 억제된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써 통합된, 2009년 12월 14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9-282866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Claims (15)

  1. 토너 화상을 담지하기 위한 화상 담지체;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향되고, 전사재를 담지 및 반송하기 위한 반송체;
    상기 반송체에 대향되고, 상기 반송체에 의해 반송되는 전사재에 상기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
    상기 전사재의 반송 방향에서 상기 전사 수단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재를 상기 반송체 상에 흡착하기 위한 흡착 수단;
    상기 흡착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 수단; 및
    상기 전사재의 반송 방향에서 상기 전사 수단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수단이 상기 반송체를 누르는 상기 반송 방향에서의 폭이 제1 폭인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반송체 사이의 접촉량은, 상기 반송체를 누르는 상기 흡착 수단의 상기 반송 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인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반송체 사이의 접촉량보다 적은,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수단은 롤러 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착 수단은,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에서 중심측의 외경이 단부측의 외경보다 작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권취 수단은 롤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권취 수단은, 상기 폭방향에서 중심측의 외경이 단부측의 외경보다 큰 형상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수단은 롤러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반송 방향에서 권취 롤러의 외경이 큰 영역에 대응하는 흡착 수단에는 제1 저항값을 갖는 제1 저항부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방향에서 상기 권취 롤러의 외경이 작은 영역에 대응하는 흡착 수단에는 상기 제1 저항값보다 작은 제2 저항값을 갖는 제2 저항부가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수단 및 상기 권취 수단은 롤러 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착 수단은, 전사재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전사재 폭방향에서 다른 피치를 갖는 복수의 환상 홈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수단의 작은 피치를 갖는 환상 홈 부분이 작은 외경을 갖는 권취 롤러의 일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흡착 수단의 큰 피치를 갖는 환상 홈 부분이 큰 외경을 갖는 권취 롤러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수단은 롤러 형상을 갖고, 상기 흡착 수단은 폭방향에서 다른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환상 홈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수단의 깊은 환상 홈 부분이 작은 외경을 갖는 권취 롤러의 일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흡착 수단의 얕은 환상 홈 부분이 큰 외경을 갖는 권취 롤러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의 표면 상의 전하를 제전하는 제전 수단이 상기 반송체를 통해 상기 권취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의 흡착 고전압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향되고, 전사재를 담지 및 반송하기 위한 반송체;
    상기 반송체에 대향되고, 상기 반송체에 의해 반송되는 전사재에 상기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
    상기 전사재의 반송 방향에서 상기 전사 수단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재를 상기 반송체 상에 흡착하기 위한 흡착 수단;
    상기 흡착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 수단은, 상기 흡착 수단이 상기 반송체 또는 상기 전사재를 제1 대전량으로 대전시키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반송체 사이의 접촉량이, 상기 흡착 수단이 상기 반송체 또는 상기 전사재를 상기 제1 대전량보다 적은 제2 대전량으로 대전시키는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권취 수단과 상기 반송체 사이의 접촉량보다 더 적게 되는 형상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수단은 롤러 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착 수단은,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에서 중심측의 외경이 단부측의 외경보다 작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권취 수단은 롤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권취 수단은, 상기 폭방향에서 중심측의 외경이 단부측의 외경보다 큰 형상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수단은 롤러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반송 방향에서 권취 롤러의 외경이 큰 영역에 대응하는 흡착 수단에는 제1 저항값을 갖는 제1 저항부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방향에서 상기 권취 롤러의 외경이 작은 영역에 대응하는 흡착 수단에는 상기 제1 저항값보다 작은 제2 저항값을 갖는 제2 저항부가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수단 및 상기 권취 수단은 롤러 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착 수단은, 전사재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전사재 폭방향에서 다른 피치를 갖는 복수의 환상 홈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수단의 작은 피치를 갖는 환상 홈 부분이 작은 외경을 갖는 권취 롤러의 일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흡착 수단의 큰 피치를 갖는 화상 홈 부분이 작은 외경을 갖는 권취 롤러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수단은 롤러 형상을 갖고, 상기 흡착 수단은 폭방향에서 다른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환상 홈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수단의 깊은 환상 홈 부분이 작은 외경을 갖는 권취 롤러의 일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흡착 수단의 얕은 환상 홈 부분이 큰 외경을 갖는 권취 롤러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의 표면 상의 전하를 제전하는 제전 수단이 상기 반송체를 통해 상기 권취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의 흡착 고전압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향되고, 전사재를 담지 및 반송하기 위한 반송체;
    상기 반송체에 대향되고, 상기 반송체에 의해 반송되는 전사재에 상기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
    상기 전사재의 반송 방향에서 상기 전사 수단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재를 상기 반송체 상에 흡착하기 위한 흡착 수단;
    상기 흡착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체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반송체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 수단이 상기 반송체 또는 상기 전사재를 대전시키는 제1 대전량인 제1 영역은 상기 비접촉부에 대응하고, 상기 흡착 수단이 상기 반송체 또는 상기 전사재를 대전시키는 상기 제1 대전량보다 적은 제2 대전량인 제2 영역은 상기 접촉부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127177A 2009-12-14 2010-12-13 화상 형성 장치 KR101359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2866 2009-12-14
JP2009282866A JP5067898B2 (ja) 2009-12-14 2009-12-14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887A true KR20110068887A (ko) 2011-06-22
KR101359095B1 KR101359095B1 (ko) 2014-02-05

Family

ID=4360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177A KR101359095B1 (ko) 2009-12-14 2010-12-13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77268B2 (ko)
EP (1) EP2333612A1 (ko)
JP (1) JP5067898B2 (ko)
KR (1) KR101359095B1 (ko)
CN (1) CN1021033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092A1 (ja) * 2008-08-29 2010-03-0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532518B2 (en) 2010-07-29 2013-09-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265817B2 (ja) 2014-04-02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200869A (ja) * 2014-04-02 2015-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2940530B1 (en) 2014-04-02 2020-06-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011798A (ja) * 2018-07-17 2020-01-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268A (ja) * 1992-09-03 1994-03-22 Fuji Xerox Co Ltd ベルト搬送装置
JPH0990770A (ja) 1995-09-22 1997-04-04 Ricoh Co Ltd 転写搬送装置
JPH1020716A (ja) * 1996-06-28 1998-01-23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H10142960A (ja) * 1996-11-13 1998-05-29 Fuji Xerox Co Ltd 記録シート吸着装置
JP2000010421A (ja) * 1998-06-19 2000-01-14 Minolta Co Ltd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画像形成装置
JP2000233841A (ja) 1999-02-15 2000-08-29 Oki Data Corp 画像記録装置
JP2001335178A (ja) * 2000-05-30 2001-12-04 Canon Inc 吸着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356564A (ja) * 2000-06-13 2001-12-26 Konica Corp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06562A (ja) * 2000-06-27 2002-01-09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2091190A (ja) 2000-09-18 2002-03-27 Ricoh Co Ltd 転写搬送装置
JP2003241482A (ja) 2002-02-22 2003-08-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099280A (ja) * 2002-09-11 2004-04-02 Riso Kagaku Corp 用紙搬送装置
JP2004133419A (ja) * 2002-09-20 2004-04-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転写ユニット
JP2004144784A (ja) 2002-10-21 2004-05-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025391A (ja) * 2005-07-19 2007-02-0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3347A (zh) 2011-06-22
US20110142502A1 (en) 2011-06-16
KR101359095B1 (ko) 2014-02-05
JP5067898B2 (ja) 2012-11-07
JP2011123417A (ja) 2011-06-23
CN102103347B (zh) 2015-01-21
EP2333612A1 (en) 2011-06-15
US8577268B2 (en)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095B1 (ko) 화상 형성 장치
CN107664940B (zh) 图像形成装置
JP5247018B2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3895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hotosensitive drums
JP2019086596A (ja) 画像形成装置
US106061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6983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223504B2 (ja) 画像形成装置
JP4316207B2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5134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9028197A (ja) 画像形成装置
US81850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658637B2 (ja) 転写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826776B2 (ja) 画像形成装置
JP6103362B2 (ja) 画像形成装置
JP649330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5222405A (ja) 画像形成装置
JP3890170B2 (ja)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1177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22070A (ja)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8092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29114A (ja) 接触帯電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21152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195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2846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