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337A -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337A
KR20110062337A KR1020090119035A KR20090119035A KR20110062337A KR 20110062337 A KR20110062337 A KR 20110062337A KR 1020090119035 A KR1020090119035 A KR 1020090119035A KR 20090119035 A KR20090119035 A KR 20090119035A KR 20110062337 A KR20110062337 A KR 20110062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otor
motor case
vehicle
rear suspens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006B1 (ko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006B1/ko
Priority to US12/836,239 priority patent/US8220808B2/en
Publication of KR2011006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20Semi-rigid axle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50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38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moving together with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92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axle being coaxial to the wheel axle

Abstract

본 발명은 휠을 장착하기 위한 허브베어링과, 쇽업소버 및 브레이크캘리퍼 등과 같은 부품들을 인휠모터케이스에 모두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품들의 마운팅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보다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고 차량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각 부품들 사이의 상대적인 조립위치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차량의 제작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인휠모터, 브레이크캘리퍼, 트레일링암, 쇽업소버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Rear Suspens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인휠모터가 채용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커플드 토션빔 액슬(COUPLED TORSION BEAM AXLE)을 사용한 현가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작은 질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행 안정성을 갖고 있어서 오랫동안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플드 토션빔 액슬을 도시한 것으로서, 양측의 트레일링암(500)을 토션빔(502)이 연결하고 있는 구조이며, 상기 토션빔(502)은 하측으로 개구되어 벌어지는 V 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차체와의 사이에 스프링(504)과 쇽업소버(506)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각 트레일링암(500)에는 스핀들브라켓(508)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허브베어링(510)과 브레이크캘리퍼(512) 등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및 연료전지차 등과 같이 환경오염 최소화 및 방지를 위한 친환경 차량의 개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최근의 새로운 차량들에 있어서, 그 구동력을 증대하고 연비를 개선하며, 구동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휠 내측에 위치하는 인휠모터를 구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기본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 인휠모터를 채용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을 보다 간단한 구조와 컴팩트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중량과 제작 비용을 최소화하고, 간단한 조립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은
토션빔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양쪽의 트레일링암과;
상기 트레일링암의 외측에 장착되는 인휠모터케이스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에 고정되는 브레이크캘리퍼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쇽업소버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허브베어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휠을 장착하기 위한 허브베어링과, 쇽업소버 및 브레이크캘리퍼 등과 같은 부품들을 인휠모터케이스에 모두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품들의 마운팅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보다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고 차량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각 부품들 사이의 상대적인 조립위치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차량의 제작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토션빔(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양쪽의 트레일링암(3)과, 상기 트레일링암(3)의 외측에 장착되는 인휠모터케이스(5)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에 고정되는 브레이크캘리퍼(7)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쇽업소버(9)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허브베어링(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리어 서스펜션은 트레일링암(3)의 외측에 장착되는 인휠모터케이스(5)를 통해 브레이크캘리퍼(7)와 쇽업소버(9) 및 허브베어링(11) 등을 장착하도록 하여, 기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물인 인휠모터케이스(5)를 최대한 활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주변 부품들의 마운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 및 최소화를 기하여 컴팩트하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저감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와 상기 트레일링암(3)의 사이에는 마운팅브라켓(13)이 구비되는데, 상기 마운팅브라켓(13)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내측면과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점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지점에서 상기 마운팅브라켓(13)이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내측면에 볼트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일링암(3)에는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플랜지(15)가 적어도 1개 이상 일체로 구비되어, 볼트에 의해 직접 상기 결합플랜지(15)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운팅브라켓(13)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중심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측으로 치우쳐져서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플랜지(15)는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중심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방측으로 치우쳐져서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에 결합되어,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내측면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상기 트레일링암(3)과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마운팅브라켓(13)을 통해 상기 쇽업소버(9)의 하단이 결합되는 하나의 볼트구멍(B-1)과, 상기 마운팅브라켓(13)만이 결합되는 4개의 볼트구멍(B-2) 및 상기 트레일링암(3)의 결합플랜지(15)가 결합되는 1개의 볼트구멍(B-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트레일링암(3)과 토션빔(1)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차량 후방측 구석에는 스프링시트(17)가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시트(17)를 통해 차체와의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쇽업소버(9)는 하단부가 상기 스프링시트(17)의 후방측에서 상기 마운팅브라켓(13)을 통하여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상기 토션빔(1)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측으로 양쪽 측방에 스프링시트(17)가 배치된 후 상기 쇽업소버(9)가 배치됨으로써, 후방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중앙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이 공간을 활용하여,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다 큰 용량의 수소탱크나 기타 연료탱크 등을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 없이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허브베어링(11)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중심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측으로 편심되어 장착되고, 상기 브레이크캘리퍼(7)는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후방측에 고정된다.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후방측에는 상기 브레이크캘리퍼(7)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면을 제공하는 결합리브(19)가 일체로 구비된 구조이다.
물론, 상기 허브베어링(11)에는 허브(21)가 결합되고 상기 허브(21)에는 일체로 브레이크디스크(23)가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크캘리퍼(7)에 상기 브레이크디스크(23)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인휠모터케이스(5)의 외측면을 도시한 도 10에는, 상기 허브베어링(11)을 고정하기 위한 4개의 볼트구멍(B-4)이 구비되어 있고, 좌측에는 상기 브레이크캘리퍼(7)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리브(19)가 2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리브(19)에도 물론 볼트구멍(B-5)이 각각 형성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에서는 휠을 장착하기 위한 허브베어링(11)과, 쇽업소버(9) 및 브레이크캘리퍼(7) 등과 같은 부품들을 인휠모터케이스(5)에 모두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품들의 마운팅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보다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고 차량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각 부품들 사이의 상대적인 조립위치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차량의 제작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좌우 대칭의 구조이지만 좌측은 일부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좌우 대칭의 구조이지만 좌측은 일부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도 2의 리어 서스펜션의 일측 사시도,
도 5와 도 6은 각각 도 4의 우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반대편에서 관측한 도면,
도 8은 도 2의 우측부분 상세도,
도 9는 인휠모터케이스의 내측면도,
도 10은 인휠모터케이스의 외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토션빔 3; 트레일링암
5; 인휠모터케이스 7; 브레이크캘리퍼
9; 쇽업소버 11; 허브베어링
13; 마운팅브라켓 15; 결합플랜지
17; 스프링시트 19; 결합리브
21; 허브 23; 브레이크디스크

Claims (7)

  1. 토션빔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양쪽의 트레일링암과;
    상기 트레일링암의 외측에 장착되는 인휠모터케이스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에 고정되는 브레이크캘리퍼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쇽업소버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허브베어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암과 토션빔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차량 후방측 구석에 설치된 스프링시트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의 내측면과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점에서 결합되도록 상기 트레일링암과 상기 인휠모터케이스 사이에 구비된 마운팅브라켓;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암에는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플랜지가 적어도 1개 이상 일체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측으로 치우쳐져서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는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방측으로 치우쳐져서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에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는 하단부가 상기 스프링시트의 후방측에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에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허브베어링은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측으로 편심되어 장착되고;
    상기 브레이크캘리퍼는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휠모터케이스의 후방측에는 상기 캘리퍼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면을 제공하는 결합리브가 일체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KR1020090119035A 2009-12-03 2009-12-03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KR10110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035A KR101104006B1 (ko) 2009-12-03 2009-12-03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US12/836,239 US8220808B2 (en) 2009-12-03 2010-07-14 Rear suspension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035A KR101104006B1 (ko) 2009-12-03 2009-12-03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337A true KR20110062337A (ko) 2011-06-10
KR101104006B1 KR101104006B1 (ko) 2012-01-06

Family

ID=4408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035A KR101104006B1 (ko) 2009-12-03 2009-12-03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20808B2 (ko)
KR (1) KR1011040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415A (ko) * 2019-12-04 2021-06-15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인휠모터를 구비한 토션 빔 액슬 리어 현가장치
CN114506197A (zh) * 2022-03-23 2022-05-17 无锡泓阳电动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电机便携安装结构及新能源汽车用电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5152A2 (de) * 2010-02-07 2011-08-11 Ksm Castings Gmbh Achsmodul
DE102011080037A1 (de) 2011-07-28 2013-01-31 Zf Friedrichshafen Ag Fahrzeugachse für ein Kraftfahrzeug
KR101283231B1 (ko) * 2011-09-02 2013-07-11 주식회사화신 회전조인트를 갖는 ctba
KR101278914B1 (ko) * 2012-01-09 2013-06-26 주식회사 만도 인휠 모터 시스템의 장착 구조체
JP5932582B2 (ja) * 2012-09-12 2016-06-08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5932581B2 (ja) * 2012-09-12 2016-06-08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1408493B1 (ko) * 2012-12-27 2014-06-17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차의 인휠구동액슬 장치
KR101462790B1 (ko) * 2013-06-21 2014-11-20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리어 서스펜션 장착 구조
JP6312392B2 (ja) * 2013-09-13 2018-04-18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CN103552449B (zh) * 2013-11-06 2016-03-02 沈阳工程学院 电动汽车用主驱动电机支架结构
KR101527047B1 (ko) * 2013-12-30 2015-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륜서스펜션의 모듈화 구조
JP2015147569A (ja) 2014-02-04 2015-08-20 アティエヴァ、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小型リアサスペンションダンパ・スプリング組立体
CN104129245B (zh) * 2014-07-29 2016-04-06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扭梁的半承载结构弹簧托盘
DE102015213356A1 (de) * 2015-07-16 2017-01-19 Zf Friedrichshafen Ag Antreibbare Verbundlenkerachse eines Fahrzeuges mit zwei Längslenkern
DE102015213357B4 (de) * 2015-07-16 2018-02-08 Zf Friedrichshafen Ag Antreibbare Verbundlenkerachse mit einem Querprofil und jeweils endseitig des Querprofils damit verbundenen Längslenkern
CN106476976B (zh) * 2016-10-09 2022-07-15 汉海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碟刹锁组件、电机以及车辆
CN106476975B (zh) * 2016-10-09 2022-07-15 汉海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电机以及车辆
US11084371B2 (en) * 2017-01-10 2021-08-10 Showa Corporation Motor drive device
JP6891783B2 (ja) * 2017-12-04 2021-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の取付構造
CN109109652B (zh) * 2018-10-09 2020-08-0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转接结构、电驱动桥以及车辆
JP7127478B2 (ja) * 2018-10-23 2022-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車両
JP2020069963A (ja) * 2018-11-01 2020-05-07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とブレーキキャリパの結合構造
CN109572400B (zh) * 2019-01-29 2024-03-08 北京大圣格尔冶金设备有限公司 一种车轮、车辆的行走装置及矿用卡车
CN109572399A (zh) * 2019-01-29 2019-04-05 北京大圣格尔冶金设备有限公司 一种车轮、车辆的行走装置及矿用卡车
JP7163857B2 (ja) * 2019-04-16 2022-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結合構造
CN111873783B (zh) * 2019-10-24 2021-11-23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加强散热型轮毂电机纵臂悬架
KR102475919B1 (ko) 2020-10-13 2022-12-09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토션 빔 액슬 현가장치 결합 구조를 가지는 인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6706A1 (de) * 1987-05-19 1988-12-08 Daimler Benz Ag Unabhaengige radaufhaengung fuer lenkbare raeder von kraftfahrzeugen
US5087229A (en) * 1991-05-06 1992-02-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dependently suspended steerable motor wheel apparatus
JP3596230B2 (ja) * 1997-04-21 2004-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輪の支持構造
EP0921018B1 (de) 1997-12-06 2005-02-16 Iprotec Maschinen- und Edelstahlprodukte GmbH Radaufhängung
JPH11170831A (ja) * 1997-12-09 1999-06-29 Araco Corp 電気自動車用懸架装置
JP2000016040A (ja) 1998-06-30 2000-01-18 Araco Corp インホイールモータ式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4225134B2 (ja) 2003-06-25 2009-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懸架装置
DE10359130A1 (de) * 2003-12-17 2005-07-21 Volkswagen Ag Achsvorrichtung mit integrierten Elektroantrieben
KR100572264B1 (ko) * 2004-12-23 2006-04-24 (주) 동희산업 차량 현가시스템의 휠 각도 조절장치
US7350606B2 (en) * 2005-02-15 2008-04-01 Arvinmeritor Technology, Llc Double reduction electric drive wheel assembly
EP1707409B1 (en) * 2005-03-31 2009-12-02 Mazda Motor Corporation Torsion beam type rear suspension
US7673719B2 (en) * 2005-05-31 2010-03-09 Agco Corporation Combination drive and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JP4779582B2 (ja) * 2005-11-10 2011-09-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ドライブユニット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7283987A (ja) 2006-04-19 2007-11-01 Bridgestone Corp 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US20070251742A1 (en) * 2006-05-01 2007-11-01 Adams Herbert L Iii Vehicle with hybrid power train providing part-time all-wheel drive
KR20080013491A (ko) * 2006-08-09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레일링암 마운팅 위치 자동조절장치
JP4438779B2 (ja) 2006-08-11 2010-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構造
US7686315B2 (en) * 2006-08-29 2010-03-30 Arvinmeritor Technology, Llc Wheel drive motor and trailing arm suspension
US7425006B2 (en) * 2006-09-11 2008-09-16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Live twist beam axle assembly
JP5052084B2 (ja) 2006-09-19 2012-10-17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型モータ内蔵センサ付きアクスルユニット
JP2008081090A (ja) 2006-09-29 2008-04-10 Ntn Corp インホイール型モータ内蔵センサ付き車輪用軸受装置
JP4868290B2 (ja) 2007-06-07 2012-02-0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ダブルステータ型インホイールモータ
KR20090028359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이동체의 휠구동장치
WO2009140054A2 (en) * 2008-05-16 2009-11-19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Wheel casing with embedded rotor for hub mo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415A (ko) * 2019-12-04 2021-06-15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인휠모터를 구비한 토션 빔 액슬 리어 현가장치
CN114506197A (zh) * 2022-03-23 2022-05-17 无锡泓阳电动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电机便携安装结构及新能源汽车用电机
CN114506197B (zh) * 2022-03-23 2022-11-29 无锡泓阳电动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电机便携安装结构及新能源汽车用电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32673A1 (en) 2011-06-09
US8220808B2 (en) 2012-07-17
KR101104006B1 (ko) 201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006B1 (ko)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JP4820189B2 (ja) 車両用ホイール駆動装置の配置構造
US20130240273A1 (en) Electrically Driven Axle of a Two-Track Vehicle
US8998230B2 (en) Rear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KR100953320B1 (ko)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스핀들 브라켓
US9604531B2 (en) Suspension structure for in-wheel motor drive device
EP3047996B1 (en) In-wheel motor driving device
US20230202294A1 (en) Electric drive axle in a vehicle
US20220320946A1 (en) Axle assembly having an electric motor module
JP5589766B2 (ja) 電動車両のモータルーム内部品搭載構造
US20110148089A1 (en) Car body for a motor vehicle
US20150008799A1 (en) Wheel-axle generator
US10829157B2 (en) Vehicle body structure
CN107303921B (zh) 车轮壳体增强结构
JP2016043907A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KR20120075197A (ko) 전기자동차 모터 장착 구조
JP2001171320A (ja) 車両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2002127935A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の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構造
JP2007064242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ダストカバー構造
CN113247096A (zh) 搭载高压电池的车辆的车身
KR101163695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JP2000343920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743446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KR20110121399A (ko) 차량용 일체 차축식 현가장치의 허브 베어링 및 샤프트 장치
KR20120122216A (ko) 전기 자동차를 위한 병렬 모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