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357A - 경화 일시 저장기구 - Google Patents

경화 일시 저장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357A
KR20110055357A KR1020100069357A KR20100069357A KR20110055357A KR 20110055357 A KR20110055357 A KR 20110055357A KR 1020100069357 A KR1020100069357 A KR 1020100069357A KR 20100069357 A KR20100069357 A KR 20100069357A KR 20110055357 A KR20110055357 A KR 20110055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rotation
cam
guide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7149B1 (ko
Inventor
마사토 아오키
카즈오 스에토미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5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경화 일시 저장기구를 소형화하고, 경화 저장부에 저장한 경화를 분배하는 동작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그 동작 불량의 발생을 저감시킨다. 대향해서 직립하고, 경화 저장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형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대향 배치되고, 경화 저장부(101)의 측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빗살 형상으로 형성된 각각의 자유단이 서로 내측으로 경사지고, 그 자유단이 맞물려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형성하는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와, 그 자유단이 맞물린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의 규제 및 그 규제를 해제하는 제1 규제부재(17) 및 제2 규제부재(18)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경화 일시 저장기구{APPARATUS FOR RETAINING COIN TEMPORARILY}
본 발명은, 경화 저장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한 경화를 2개의 경화 통로에 분배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를 구비한 경화 처리장치는, 투입구에 투입된 경화를 감별부에서 감별하고, 정상으로 감별되어, 계수된 경화를, 평판형의 저부가 개폐하는 경화 저장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고객의 의사를 확인해서 금고 등의 수납부에 수납할지 또는 고객에게 반환하기 위한 반환부에 반송할지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화 저장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경화를 수납부에 수납하는 경화 반송 통로 또는 반환부에 반환하는 경화 반송 통로에 분배하는 방법으로서, 경화 저장부에 저장한 모든 경화를 일괄해서 저부의 방출구로부터 투입구의 인출부로 되돌리고, 1매씩 재분리를 해서 반송하고, 배분 게이트를 통해 수납부 또는 반환부로 이송하는 방법, 경화 저장부에 저장한 모든 경화를 일괄해서 저부의 방출구로부터 낙하시킨 후, 그 하부에 설치된 배분 게이트로 의해 경화 루트를 변화시키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경화 저장부 자체를 이동 또는 회전시켜, 저부의 개구를 수납부나 반환부로 통하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일본국 특개평 11-265470호 공보(단락 「0007」∼단락 「0010」, 도 4) 일본국 특개평 5-266327호 공보(단락 「0007」∼단락 「0016」, 도 1, 도 2)
그렇지만,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경화 저장부에 저장한 모든 경화를 일괄해서 저부의 방출구로부터 투입구의 인출부로 되돌리고, 1매씩 재분리를 해서 반송하고, 배분 게이트를 통해 수납부 또는 반환부로 이송하는 방법에서는 처리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 또한 경화 저장부에 저장한 모든 경화를 일괄해서 저부의 방출구로부터 낙하시킨 후, 그 하부에 설치된 배분 게이트에 의해 경화 루트를 변화시키는 방법, 경화 저장부 자체를 이동 또는 회전시켜, 저부의 개구를 수납부나 반환부로 통하게 하는 방법에서는 장치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평판형의 경화 저장부의 저부에 저장한 경화의 무게가 직접 걸려, 그 경화의 무게에 의한 저부의 개폐 동작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경화 일시 저장기구를 소형화하고, 경화 저장부에 저장한 경화를 분배하는 동작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그 동작 불량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것을 위해, 본 발명은, 경화 저장부에 저장된 경화의 방출처를 분배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에 있어서, 대향해서 직립하여, 경화 저장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형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대향 배치되고 경화 저장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빗살 형상으로 형성된 각각의 자유단이 서로 내측으로 경사지고, 그 자유단이 맞물려서 경화 저장부의 저부를 형성하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와, 상기 자유단이 맞물린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 및 그 규제를 해제하는 제1 규제부재와, 상기 자유단이 맞물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 및 그 규제를 해제하는 제2 규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 규제부재 및 제2 규제부재로 회전이 규제된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에 의해 경화를 저장하는 경화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규제부재에 의한 규제가 해제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켜 경화 저장부의 저부를 개방해서 제1 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규제부재로 규제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경사로 저장된 경화를 안내해서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경화를 방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규제부재에 의한 규제가 해제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켜 경화 저장부의 저부를 개방해서 제2 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규제부재로 규제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경사로 저장된 경화를 안내해서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기 경화를 방출하여 상기 경화 저장부에 저장한 경화의 방출처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경화 일시 저장기구를 소형화하고, 경화 저장부에 저장한 경화를 분배하는 동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그것의 동작 불량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의 선단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반환측에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납측에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반환측에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
도 10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납측에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
도 11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반환측에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
도 13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납측에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다.
도 1,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100은 경화 일시 저장기구이며, 예를 들면, 현금 자동 인출기나 자동 매표기 등의 자동 거래장치의 경화 처리장치에 탑재되어, 투입된 경화를 저장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그 경화를 수납부로 반송하기 위한 경화 방출 통로 또는 반환부로 반송하기 위한 경화 방출 통로로 분배하는 것이다.
1 및 2는 평판형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이며, 투입된 경화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경화 저장부(101)의 2개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며, 대향해서 직립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3은 제1 가이드 부재, 4는 제2 가이드 부재이며, 사이드 프레임 1 및 사이드 프레임 2의 내측에 대향해서 설치되어, 경화 저장부(101)의 2개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각각의 일단은 경화 저장부(101)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자유단인 각각의 타단은 내각이 둔각이 되도록 서로 내측으로 절곡해서 경사져 있고, 그것의 선단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직경이 최소인 경화(예를 들면, 1엔 경화)의 직경보다 작은 피치의 빗살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의 선단이 상자 구조를 이루고, 그것의 선단이 번갈아 맞물림으로써 저부를 막고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 1 및 사이드 프레임 2,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에 의해, 상부만 개구한 경화 저장부(101)를 형성하고 있다.
5 및 6은 지지축으로서의 샤프트이며, 경화 저장부(101)의 윗쪽에서 사이드 프레임 1과 사이드 프레임 2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것이다.
7 및 8은 돌기형의 가압부이며,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일부가 사이드 프레임 2의 외측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사이드 프레임 2에는, 가압부 7, 8에 대응해서 원호 형태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9는 회전량 및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스텝핑 모터 등의 가이드 회전 모터(구동원)이며, 기어 10을 거쳐, 제1 가이드 부재(3)의 회전 지지점(지지축)으로서의 샤프트 5와 동축으로, 샤프트 5와 독립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체로서의 기어 11,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 지지점(지지축)으로서의 샤프트 6과 동축으로, 샤프트 6과 독립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 회전체로서의 기어 12에 구동을 전달하여, 기어 11과 기어 12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가이드 회전 모터(9)는, 그것의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3 및 14는, 기어 11 및 기어 12에 설치된 돌출부로서의 돌기이며, 돌기 13은 기어 11이 도 1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가이드 부재(3)의 가압부 7에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돌기 14는 기어 12가 도 1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가이드 부재(4)의 가압부 8에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23은 스프링이며, 일단이 제1 가이드 부재(3)에 부착되고, 또한 타단이 제2 가이드 부재(4)에 부착되어 제1 가이드 부재(3)와 제2 가이드 부재(4)를 서로 내측으로 닫는 방향, 즉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자유단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재이다.
따라서, 돌기 13은, 스프링(23)에 의해 부세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부터 제1 가이드 부재(3)의 가압부 7에 접촉하고, 한편 돌기 14는, 스프링(23)에 의해 부세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부터 제2 가이드 부재(4)의 가압부 8에 접촉한다.
15 및 16은 리미터이며, 사이드 프레임 1 또는 사이드 프레임 2에 부착된 것이다. 리미터 15는 스프링(23)으로 내측으로 부세된 제1 가이드 부재(3)에 접촉하고, 또한 리미터 16은 스프링(23)으로 내측으로 부세된 제2 가이드 부재(4)에 접촉하여, 각각의 회전 위치를 규제한다. 이 리미터 15 및 리미터 16에 의해 회전 위치가 규제된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각각의 빗살 형상의 선단은 서로 맞물려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형성하고 있다.
17은 제1 규제부재이고, 18은 제2 규제부재이며, 한쪽의 사이드 프레임(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프레임 1측)에 설치되고, 각각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에 접촉하여, 그것의 회전을 규제하는 부재이다. 제1 규제부재(17)는, 선단이 맞물린 제1 가이드 부재(3)의 경사부의 외측에 접촉해서 그것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배치되고, 제2 규제부재(18)는, 선단이 맞물린 제2 가이드 부재(4)의 경사부의 외측에 접촉해서 그것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19 및 20은 솔레노이드이며, 제1 규제부재(17) 및 제2 규제부재(18)가 설치된 사이드 프레임에 부착되어, 각각 규제부재 17 및 규제부재 18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솔레노이드 19, 20을 흡인함으로써 각각 규제부재 17 및 규제부재 18을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으로 후퇴시켜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고, 한편 흡인을 해제함으로써 각각 규제부재 17 및 규제부재 18을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출시켜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 1 및 사이드 프레임 2, 제1 규제부재(17)로 회전이 규제된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규제부재(18)로 회전이 규제된 제2 가이드 부재(4)는, 경화 저장부(101)의 측면 및 저부를 형성하고 있다.
21은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이고, 22는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이다.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는, 그것의 윗쪽의 개구가 경화 저장부(101)의 아래쪽의 제1 가이드 부재(3)측에 설치되고, 또한, 그것의 아래쪽의 개구가 도시하지 않은 반환부의 개구를 향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는, 그것의 윗쪽의 개구가 경화 저장부(101)의 아래쪽의 제2 가이드 부재(4)측에 설치되어, 또한, 그것의 아래쪽의 개구가 도시하지 않은 수납부의 개구를 향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부재(3)를 도 1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된 경화는 제2 가이드 부재(4)에 안내되어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유도된다. 한편, 제2 가이드 부재(4)를 도 1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된 경화는 제1 가이드 부재(3)에 안내되어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유도된다.
이때, 경화 일시 저장기구(100)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수단 및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제어부와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을 기억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그 제어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제어부가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경화의 저장 동작을 도 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경화 처리장치의 투입구에 투입된 경화는, 도시하지 않은 경화 투입부, 감별부를 거쳐, 정상으로 판단된 것이, 경화 저장부(101)로 보내져서 집적한다. 이때 경화 저장부(101)는, 규제부재 17, 18에 의해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가 외측으로 여는 것이 방지되고, 선단부가 맞물린 그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로 경화를 집적하기 위한 저부가 형성되어 있다.
경화 저장부(101) 내부에 집적된 경화의 매수가 소정의 매수가 되거나, 또는 투입된 모든 경화의 집적이 끝나면, 저장 동작을 종료한다. 이때, 경화의 매수의 측량은, 감별부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시하지 않는 경화 처리장치(100)의 측면 등에 설치된 표시부 및 조작부로 고객 의사 확인을 행하여,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수납부에 「수납」할지, 반환구로 「반환」할지를 선택하는 조작을 조작부에서 접수한다. 이 선택에 따라서,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는, 「반환」인 경우, 경화 저장부(101) 아래 저부에 설치된 반환부로 경화를 인도하는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수납」인 경우, 경화 저장부(101) 아래 저부에 설치된 수납부로 경화를 인도하는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분배된다.
다음에,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의 분배방법을 도 5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반환측으로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 도 6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납측으로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5 및 도 6의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다.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분배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 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솔레노이드 19를 도면 중 화살표 A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흡인함으로써, 제1 가이드 부재(3)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는 회전 규제부재 17을 후퇴시켜 그 규제를 해제하여, 제1 가이드 부재(3)는 도면 중 화살표 E가 표시하는 방향인 외측으로 회전가능해진다.
가이드 회전 모터(9)를 도면 중 화살표 B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정회전시키면, 기어 11은 도면 중 화살표 C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것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 13도 도면 중 화살표 C가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돌기 13이 이것과 접촉하고 있는 제1 가이드 부재(3)의 가압부 7을 누름으로써 제1 가이드 부재(3)는 도면 중 화살표 E가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소정량 회전시킨 후 정지시켜, 제1 가이드 부재(3)가 회전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2 가이드 부재(4)는, 그것의 회전 방향으로 있어서의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는 리미터 16으로 규제되고, 외측으로는 규제부재 18로 규제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회전 모터(9)의 도면 중 화살표 B가 나타낸 방향의 정회전에 의해 기어 12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 14는 도면 중 화살표 D가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가압부 8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제2 가이드 부재(4)의 선단은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의 윗쪽에 위치한 채로 되어, 제2 가이드 부재(4)는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안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 부재(3)를 도면 중 화살표 E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5b에 있어서의 좌측 비스듬한 아래 방향의 저부를 개방해서 개구(제1 개구)를 형성하여,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되어 있었던 경화는, 그것의 자중에 의해, 제2 가이드 부재(4) 하부의 경사를 따라 개구로부터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배출된다.
가이드 회전 모터(9)는,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되어 있었던 경화가 완전히 배출(낙하)될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한다. 도시하지 않은 센서 등에 의해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되어 있었던 경화가 완전히 배출된 것이 검지되면,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역회전한다.
제1 가이드 부재(3)는 가이드 회전 모터(9)의 역회전에 의해 기어 11의 돌기 13이 가압부 7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이드 회전 모터(9)에 의한 강제 회전이 아니고 스프링(23)의 부세에 의해 제1 가이드 부재(3)는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 밀어 되돌아오도록 회전한다.
가이드 회전 모터(9)는, 소정량 역회전하면 정지하고, 제1 가이드 부재(3)는 사이드 프레임 2의 리미터 15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 회전해서 정지한다.
그후, 솔레노이드 19의 흡인을 정지하여, 규제부재 17의 후퇴를 해제한다. 규제부재 17이 제1 가이드 부재(3)의 회전 방향으로 있어서의 경화 저장부(101)의 외측에 있기 때문에, 제1 가이드 부재(3)는 외측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형성하여 경화의 집적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분배하는 동작을 도 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솔레노이드 20을 도면 중 화살표 G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흡인함으로써,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는 회전 규제부재 18을 후퇴시켜 그 규제를 해제하여, 제2 가이드 부재(4)는 도면 중 화살표 L이 표시하는 방향인 외측으로 회전가능해진다.
가이드 회전 모터(9)를 도면 중 화살표 H가 나타낸 방향으로 소정량 역회전시키면, 기어 12는 도면 중 화살표 K가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것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 14도 도면 중 화살표 K가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돌기 14가 이것과 접촉하고 있는 제2 가이드 부재(4)의 가압부 8을 누름으로써 제2 가이드 부재(4)는 도면 중 화살표 L이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소정량 회전시킨 후 정지시켜, 제2 가이드 부재(4)가 회전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1 가이드 부재(3)는, 그것의 회전 방향으로 있어서의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는 리미터 15로 규제되고, 외측으로는 규제부재 17로 규제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회전 모터(9)의 도면 중 화살표 H가 나타낸 방향의 역회전에 의해 기어 11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 13은 도면 중 화살표 J가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가압부 7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부재(3)의 선단은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의 윗쪽에 위치한 채로 되고, 제1 가이드 부재(3)는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 부재(4)를 도면 중 화살표 L이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6b에 있어서의 우측 비스듬히 아래 방향의 저부를 개방해서 개구(제2 개구)를 형성하여,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되어 있었던 경화는, 그것의 자중에 의해, 제1 가이드 부재(3) 하부의 경사를 따라 개구로부터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배출된다.
가이드 회전 모터(9)는,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되어 있었던 경화가 완전히 배출(낙하)될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한다. 도시하지 않은 센서 등에 의해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되어 있었던 경화가 완전히 배출된 것이 검지되면,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정회전한다.
제2 가이드 부재(4)는 가이드 회전 모터(9)의 정회전에 의해 기어 12의 돌기 14가 가압부 8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이드 회전 모터(9)에 의한 강제 회전이 아니고 스프링(23)의 부세에 의해 제2 가이드 부재(4)는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 밀어 되돌아오도록 회전한다.
가이드 회전 모터(9)는, 소정량 정회전하면 정지하고, 제2 가이드 부재(4)는 사이드 프레임 2의 리미터 16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 회전해서 정지한다.
그후, 솔레노이드 20의 흡인을 정지하여, 규제부재 18의 후퇴를 해제한다. 규제부재 18이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경화 저장부(101)의 외측에 있기 때문에, 제2 가이드 부재(4)는 외측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형성하여 경화의 집적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일단이 경화 저장부의 상부에서 회전자재하게 축지지되고, 빗살 형상으로 형성된 자유단이 서로 내측으로 경사진 2개의 가이드 부재를 대향해서 배치하고, 그 자유단이 맞물려서 경화 저장부의 저부를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키는 방향에 의해 경화 저장부에 저장된 경화를 반환부 또는 수납부로 개방된 저부로부터 방출할 수 있어, 경화를 분배하는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경화 처리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경화 저장부의 저부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저장된 경화의 무게에 의한 가이드 부재의 회전 동작에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어, 가이드 부재의 동작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소형화, 저렴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2]
도 7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다. 이때, 전술한 제1 실시예가 같은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구성은, 제1 가이드 부재(3)와 제2 가이드 부재(4)의 경화 저장부(101)의 외측으로의 회전을 규제 및 그 규제를 해제하는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24는 샤프트이며,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선단부가 맞물린 교차 부분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 회전축이다.
27은 제1 가이드 부재(3)의 빗살 형상의 돌출된 부위인 볼록부 25에 접촉하는 캠(제1 규제부재로서의 제1 캠 부재)이며, 또한 28은 제2 가이드 부재(4)의 빗살 형상의 돌출된 부위인 볼록부 26에 접촉하는 캠(제2 규제부재로서의 제2 캠 부재)이다. 이 캠 27 및 캠 28은, 도 8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샤프트(24)의 중앙부의 근방에 1개씩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캠 27과 캠 28은, 그것의 단면(샤프트(24)에 직교하는 평면에 따른 단면)이 샤프트(24)를 사이에 끼워 좌우 대칭(선대칭)의 대략 부채형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캠 27의 외주부의 정수리부 271 및 캠 28의 외주부의 정수리부 281의 각각이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캠 27의 정수리부 271은 제1 가이드 부재(3)의 자유단인 볼록부 25에 아래쪽에서 접촉해서 지지하는 동시에 제1 가이드 부재(3)의 회전을 규제하고, 또한 캠 28의 정수리부 281은 제2 가이드 부재(4)의 자유단인 볼록부 26에 아래쪽에서 접촉해서 지지하는 동시에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캠 27 및 캠 28로 제1 가이드 부재(3)의 선단부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형성하고 있다.
캠 27 및 캠 28을 도 7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45도) 회전시키면 캠 27의 정수리부 271은 제1 가이드 부재(3)의 볼록부 25로부터 벗어나, 제1 가이드 부재(3)는 규제가 해제되어 도 7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한편, 캠 28의 정수리부 281에서의 제2 가이드 부재(4)의 볼록부 26과의 접촉은 해제되지만, 그 정수리부 281에 연속되어 있는 외주부 282에 의해 제2 가이드 부재(4)의 볼록부 26과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어,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캠 27 및 캠 28을 도 7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45도)로 회전시키면 캠 28의 정수리부 281은 제2 가이드 부재(4)의 볼록부 26으로부터 벗어나, 제2 가이드 부재(4)는 규제가 해제되어 도 7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한편, 캠 27의 정수리부 271에서의 제1 가이드 부재(3)의 볼록부 25와의 접촉은 해제되지만, 그 정수리부 271에 연속되어 있는 외주부 272에 의해 제1 가이드 부재(3)의 볼록부 25와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어, 제1 가이드 부재(3)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29는 회전량 및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스텝핑 모터 등의 캠 회전 모터이며, 기어 30을 거쳐, 샤프트(24)를 회전시킨다. 이때, 캠 회전 모터(29)는, 그것의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캠 27 및 캠 28은,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가이드 부재(3)에 접촉하는 캠 27a∼27c와, 제2 가이드 부재(4)에 접촉하는 캠 28a∼28c를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상자 구조의 빗살(볼록부 25 및 볼록부 26)의 간격에 맞춘 폭으로 형성하고,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전체 폭에 걸쳐 복수 쌍,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경화의 저장 동작을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경화 처리장치의 투입구에 투입된 경화는, 도시하지 않은 경화 투입부, 감별부를 거쳐, 정상으로 판단된 것이, 경화 저장부(101)로 보내져 집적한다. 이때 경화 저장부(101)는, 캠 27, 28에 의해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가 외측에 열리는 것이 방지되고, 선단부가 맞물린 그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로 경화를 집적하기 위한 저부가 형성되어 있다.
경화 저장부(101) 내부에 집적된 경화의 매수가 소정의 매수가 되거나, 또는 투입된 모든 경화의 집적이 끝나면, 저장 동작을 종료한다. 이때, 경화의 매수의 측량은, 감별부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시하지 않는 경화 처리장치의 측면 등에 설치된 표시부 및 조작부로 고객 의사 확인을 행하여,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수납부에 「수납」할지, 반환구에 「반환」할지를 선택하는 조작을 조작부에서 접수한다. 이 선택에 따라,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는, 「반환」인 경우, 경화 저장부(101) 아래 저부에 설치된 반환부로 경화를 인도하는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수납」인 경우, 경화 저장부(101) 아래 저부에 설치된 수납부로 경화를 인도하는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분배된다.
다음에,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의 분배 방법을 도 9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반환측에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 도 10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납측에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분배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캠 회전 모터(29)를 도 7에 있어서의 화살표 P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정회전시키면, 그 캠 회전 모터(29)의 구동은, 기어 30을 거쳐 샤프트(24) 및 샤프트(24)에 고정되어 있는 캠 27 및 캠 28을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회전시킨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캠 27 및 캠 28이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정회전하면, 캠 27의 정수리부 271은 제1 가이드 부재(3)의 선단의 볼록부 25에서 벗어나, 제1 가이드 부재(3)는 도면 중 화살표 R이 표시하는 경화 저장부(101)의 외측으로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1 가이드 부재(3)는, 빗살 형상의 인접하는 볼록부 25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캠 28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이드 부재(4)는, 그것의 선단의 볼록부 26이 캠 28의 원호의 부분으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가이드 부재(4)의 선단은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의 윗쪽에 위치한 채로 되어, 제2 가이드 부재(4)는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안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정회전하여, 제1 가이드 부재(3)를 회동시켜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개방해서 경화를 배출한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 부재(3)를 도면 중 화살표 R이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9에 있어서의 좌측 비스듬히 아래 방향의 저부가 개방되어,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되어 있었던 경화는, 그것의 자중에 의해, 제2 가이드 부재(4) 하부의 경사를 따라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배출된다.
이때,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캠 27 및 캠 28을 샤프트(24)를 따라 경화 저장부(101)의 전체 폭에 걸쳐 배치로 하면, 캠 27, 28 전체가 제2 가이드 부재(4) 선단의 아래쪽을 덮고 있어, 경화 반송 통로 외부로의 경화의 침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그것의 형상에 의해 캠 자체가 미끄럼대가 되어 경화의 반송 가이드의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그후 모든 경화가 경화 저장부(101)로부터 배출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역회전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23)의 힘으로 제1 가이드 부재(3)가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가 닫힌다.
더구나, 캠 회전 모터(29)를 소정량 역회전시켜 캠 27 및 캠 28의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이 캠 27 및 캠 28로 규제되어,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형성해서 경화의 집적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분배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 1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캠 회전 모터(29)를 도 7에 있어서의 화살표 Q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정회전시키면, 그 캠 회전 모터(29)의 구동은, 기어 30을 거쳐 샤프트(24) 및 샤프트(24)에 고정되어 있는 캠 27 및 캠 28을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회전시킨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캠 27 및 캠 28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정회전하면, 캠 28의 정수리부 281은 제2 가이드 부재(4)의 선단의 볼록부 26에서 벗어나, 제2 가이드 부재(4)는 도면 중 화살표 S가 표시하는 경화 저장부(101)의 외측으로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2 가이드 부재(4)는, 빗살 형상이 인접하는 볼록부 26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캠 27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이드 부재(3)는, 그것의 선단의 볼록부 25가 캠 27의 원호의 부분으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부재(3)의 선단은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의 윗쪽에 위치한 채로 되어, 제1 가이드 부재(3)는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역회전하여, 제2 가이드 부재(4)를 회동시켜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개방해서 경화를 배출한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 부재(4)를 도면 중 화살표 S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10에 있어서의 우측 비스듬히 아래 방향의 저부가 개방되고,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되어 있었던 경화는, 그것의 자중에 의해, 제1 가이드 부재(3) 하부의 경사를 따라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배출된다.
그후 모든 경화가 경화 저장부(101)로부터 배출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정회전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23)의 힘으로 제2 가이드 부재(4)가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가 닫힌다.
더구나, 캠 회전 모터(29)를 소정량 정회전시켜 캠 27 및 캠 28을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이 캠 27 및 캠 28로 규제되어,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형성해서 경화의 집적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효과 이외에, 2개의 가이드 부재가 맞물린 자유단을 아래쪽에서 캠 부재로 규제함으로써, 경화 저장부에 저장된 경화의 무게로 가이드 부재가 저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어, 저부의 폐쇄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경화 저장부의 전체 폭에 캠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저장한 경화의 무게에 의한 가이드 부재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이드 부재와 그것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화 통로와의 틈에 경화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3]
도 11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 일시 저장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때,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있어서, 9는 가이드 회전 모터(구동원)이며, 제1 실시예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기어 10을 거쳐 기어 11, 12에 구동이 전해지고 있다. 기어 11에는 돌기 13, 기어 12에는 돌기 14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가압부 7, 8과의 사이에 도면 중 화살표 T 및 화살표 U로 표시한 회전 방향으로서 소정량의 유격(틈)을 갖고 있다.
또한, 가이드 회전 모터(9)는, 기어 31을 거쳐 제2 실시예에서 기재한 것 같이 캠 27, 28을 고정한 샤프트(24)에도 구동이 전해지고 있다.
이때,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캠 27 및 캠 28은,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가이드 부재(3)에 접촉하는 캠 27a∼27c와, 제2 가이드 부재(4)에 접촉하는 캠 28a∼28c를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상자 구조의 빗살(볼록부 25 및 볼록부 26)의 간격에 맞춘 폭으로 형성하고,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전체 폭에 걸쳐 복수쌍,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경화의 저장 동작은 제2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의 분배 방법을 도 12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반환측으로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 도 13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납측으로의 경화 방출 동작의 설명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분배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 1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이드 회전 모터(9)를 도 12에 있어서의 화살표 V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정회전시키면, 그 가이드 회전 모터(9)의 구동은, 기어 31 및 기어 30을 거쳐 샤프트(24) 및 샤프트(24)에 고정되어 있는 캠 27 및 캠 28을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회전시킨다.
도 1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캠 27 및 캠 28이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정회전하면, 캠 27의 정수리부 271은 제1 가이드 부재(3)의 선단의 볼록부 25에서 벗어나, 제1 가이드 부재(3)는 경화 저장부(101)의 외측으로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1 가이드 부재(3)는, 빗살 형상의 인접하는 볼록부 25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캠 28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기어 10을 거쳐 기어 11 및 기어 12에 설치된 돌기 13 및 돌기 14도 도면 중 화살표가 표시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돌기 14는 제2 가이드 부재(4)의 가압부 8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돌기 13은 제1 가이드 부재(3)의 가압부 7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돌기 13은, 캠 27의 정수리부 271이 제1 가이드 부재(3)의 선단에서 벗어날 때까지 제1 가이드 부재(3)의 가압부 7에 접촉하지 않도록 유격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캠 27의 정수리부 271이 제1 가이드 부재(3)의 선단에서 벗어나기 전에 제1 가이드 부재(3)의 가압부 7을 가압하여 여는 일은 없다.
그후, 가이드 회전 모터(9)를 더 정회전하면, 도 1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돌기 13은 제1 가이드 부재(3)의 가압부 7에 접촉한 후,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가이드 부재(3)를 회동시켜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개방해서 경화를 배출한다.
한편, 제2 가이드 부재(4)는, 그것의 선단의 볼록부 26이 캠 28의 원호의 부분으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가이드 부재(4)의 선단은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의 윗쪽에 위치한 채로 되어, 제2 가이드 부재(4)는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 부재(3)를 도면 중 화살표 W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12에 있어서의 좌측 비스듬히 아래 방향의 저부가 개방되어,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되어 있었던 경화는, 그것의 자중에 의해, 제2 가이드 부재(4) 하부의 경사를 따라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로 배출된다.
그후 모든 경화가 경화 저장부(101)로부터 배출되고,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캠 27의 정수리부 271이 제1 가이드 부재(3)의 선단에서 벗어난 직후의 위치까지 소정량 역회전하면, 스프링(23)의 힘으로 제1 가이드 부재(3)가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가 닫힌다.
더구나,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소정량 역회전시켜 캠 27 및 캠 28을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이 캠 27 및 캠 28로 규제되어,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형성해서 경화의 집적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여기에서, 가이드 회전 모터(9)의 역회전은, 제1 가이드 부재(3)가 스프링(23)으로 완전히 닫기 전에 캠 27 및 캠 28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소정량 역회전한 위치에서 일단 멈추거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면 된다.
다음에,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분배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 13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이드 회전 모터(9)를 도 13에 있어서의 화살표 X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소정량 역회전시키면, 그 가이드 회전 모터(9)의 구동은, 기어 31 및 기어 30을 거쳐 샤프트(24) 및 샤프트(24)에 고정되어 있는 캠 27 및 캠 28을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회전시킨다.
도 1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캠 27 및 캠 28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역회전하면, 캠 28의 정수리부 281은 제2 가이드 부재(4)의 선단의 볼록부 26에서 벗어나, 제2 가이드 부재(4)는 경화 저장부(101)의 외측으로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2 가이드 부재(4)는, 빗살 형상의 인접하는 볼록부 26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캠 27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기어 10을 거쳐 기어 11 및 기어 12에 설치된 돌기 13 및 돌기 14도 도면 중 화살표가 나타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돌기 13은 제1 가이드 부재(3)의 가압부 7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돌기 14는 제2 가이드 부재(4)의 가압부 8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돌기 14는, 캠 28의 정수리부 281이 제2 가이드 부재(4)의 선단에서 벗어날 때까지 제2 가이드 부재(4)의 가압부 8에 접촉하지 않도록 유격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캠 28의 정수리부 281이 제2 가이드 부재(4)의 선단에서 벗어나기 전에 제2 가이드 부재(4)의 가압부 8을 가압하여 여는 일은 없다.
그후, 가이드 회전 모터(9)를 더 역회전하면, 도 1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돌기 14는 제2 가이드 부재(4)의 가압부 8에 접촉한 후,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 부재(4)를 회동시켜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개방해서 경화를 배출한다.
한편, 제1 가이드 부재(3)는, 그것의 선단의 볼록부 25가 캠 27의 원호의 부분으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부재(3)의 선단은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의 윗쪽에 위치한 채로 되어, 제1 가이드 부재(3)는 경화 저장부(101)에 집적된 경화를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 부재(4)를 도면 중 화살표 Y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13에 있어서의 우측 비스듬히 아래 방향의 저부가 개방되고, 경화 저장부(101)에 저장되어 있었던 경화는, 그것의 자중에 의해, 제1 가이드 부재(3) 하부의 경사를 따라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배출된다.
그후 모든 경화가 경화 저장부(101)로부터 배출되고,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캠 28의 정수리부 281이 제2 가이드 부재(4)의 선단에서 벗어난 직후의 위치까지 소정량 정회전하면, 스프링(23)의 힘으로 제2 가이드 부재(4)가 경화 저장부(101)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가 닫힌다.
더구나, 가이드 회전 모터(9)를 소정량 정회전시켜 캠 27 및 캠 28을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가이드 부재(3) 및 제2 가이드 부재(4)의 회전이 캠 27 및 캠 28로 규제되어,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를 형성해서 경화의 집적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효과 이외에, 가이드 부재의 가압부와 그 가압부에 접촉하는 기어의 돌기부 사이에 유격을 설치하고,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원과 캠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을 공용한 것에 의해, 경화 일시 저장기구를 소형화, 저가로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4]
제4 실시예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제1 가이드 부재(3) 또는 제2 가이드 부재(4)의 개폐 동작을 복수회 행하도록 한 것이다.
그 제1 가이드 부재(3) 또는 제2 가이드 부재(4)의 개폐 동작을 도 1, 도 7,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1 가이드 부재(3) 또는 제2 가이드 부재(4)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모두 닫힐 때에는 스프링(23)으로 되돌리기 때문에, 제1 가이드 부재(3) 또는 제2 가이드 부재(4)는 리미터 15 또는 16에 충돌한 진동이 충격으로서 가해져, 제1 가이드 부재(3), 제2 가이드 부재(4) 위와 사이드 프레임 1, 2 위에 잔류한 경화나 부착된 경화는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에 낙하한다.
그후, 재차 제1 가이드 부재(3) 또는 제2 가이드 부재(4)의 개폐 동작을 1회 이상 행하면, 경화 저장부(101)의 저부에 낙하한 잔류 경화가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21) 또는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22)로 배출된다.
이때, 이 동작을 처리시간이 허용하는 한 복수회 행하거나, 작게 조금씩 행하거나, 개방각을 바꾸거나 해서, 보다 효과를 올리도록 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효과 이외에, 경화 저장부에 가이드 부재를 충돌시켜 진동을 주는 것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이나 가이드 부재에 경화가 부착된 경우나 버(burr)가 있는 경화가 걸린 경우에도, 일시 저장부 내부의 경화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1, 2 사이드 프레임
3 제1 가이드 부재
4 제2 가이드 부재
5, 6, 24 샤프트
7, 8 가압부
9 가이드 회전 모터
10, 11, 12 기어
13, 14 돌기
15, 16 리미터
17, 18 규제부재
19, 20 솔레노이드
21 반환측 경화 방출 통로
22 수납측 경화 방출 통로
23 스프링
27, 28 캠
100 경화 일시 저장기구
101 경화 저장부

Claims (8)

  1. 경화 저장부에 저장된 경화의 방출처를 분배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에 있어서,
    대향해서 직립하여, 경화 저장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형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대향 배치되고 경화 저장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빗살 형상으로 형성된 각각의 자유단이 서로 내측으로 경사지고, 그 자유단이 맞물려서 경화 저장부의 저부를 형성하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와,
    상기 자유단이 맞물린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 및 그 규제를 해제하는 제1 규제부재와,
    상기 자유단이 맞물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 및 그 규제를 해제하는 제2 규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 규제부재 및 제2 규제부재로 회전이 규제된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에 의해 경화를 저장하는 경화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규제부재에 의한 규제가 해제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켜 경화 저장부의 저부를 개방해서 제1 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규제부재로 규제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경사로 저장된 경화를 안내해서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경화를 방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규제부재에 의한 규제가 해제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켜 경화 저장부의 저부를 개방해서 제2 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규제부재로 규제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경사로 저장된 경화를 안내해서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기 경화를 방출하여 상기 경화 저장부에 저장한 경화의 방출처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상기 자유단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지지축과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가압부에, 상기 부세부재에 의한 부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지지축과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가압부에, 상기 부세부재에 의한 부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원을 설치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또는 제2 가이드 부재의 어느 한쪽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부재 및 제2 규제부재는, 맞물린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이 교차하는 위치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회전축에 고정되고, 단면 형상이 부채 형상인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이고,
    상기 제1 캠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에 접촉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제1 외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캠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에 접촉해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제2 외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는, 각각의 단면 형상이 선대칭이 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부착되고, 각각의 외주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로부터 소정량 정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외주부에서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고, 한편, 각각의 외주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로부터 소정량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외주부에서 제1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제1 회전체에 형성된 돌출부의 사이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제2 회전체에 형성된 돌출부의 사이에 유격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가 고정된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캠 부재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규제를 해제한 후,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 캠 부재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규제를 해제한 후,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부재 및 제2 규제부재는, 맞물린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이 교차하는 위치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회전축에 고정되고, 단면 형상이 부채 형상인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이고,
    상기 제1 캠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에 접촉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제1 외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캠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에 접촉해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제2 외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는, 각각의 단면 형상이 선대칭이 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부착되고, 각각의 외주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로부터 소정량 정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외주부에서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고, 한편, 각각의 외주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로부터 소정량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외주부에서 제1 가이드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
  6.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빗살의 간격에 맞춘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캠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빗살의 간격에 맞춘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전체 폭에 걸쳐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또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켜 경화 저장부의 저부를 개방한 후, 개방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또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폐쇄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또는 제2 가이드 부재에 충격을 주고, 그후 재차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또는 제2 가이드 부재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1회 이상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또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켜 경화 저장부의 저부를 개방한 후, 개방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또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폐쇄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또는 제2 가이드 부재에 충격을 주고, 그후 재차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또는 제2 가이드 부재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1회 이상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일시 저장기구.
KR1020100069357A 2009-11-19 2010-07-19 경화 일시 저장기구 KR101097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4101 2009-11-19
JP2009264101A JP5504841B2 (ja) 2009-11-19 2009-11-19 硬貨一時貯留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357A true KR20110055357A (ko) 2011-05-25
KR101097149B1 KR101097149B1 (ko) 2011-12-22

Family

ID=4403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357A KR101097149B1 (ko) 2009-11-19 2010-07-19 경화 일시 저장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04841B2 (ko)
KR (1) KR101097149B1 (ko)
CN (1) CN1020740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8021A (zh) * 2014-09-03 2017-05-17 日本功勒克斯股份有限公司 硬币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912B1 (ko) * 2015-02-10 2021-10-1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용 지폐 반송방향 전환장치
CN106023404B (zh) * 2016-05-06 2018-07-27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双凸轮协作的硬币分拣机及其使用方法
CN109389733B (zh) * 2017-08-10 2021-04-13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硬币卷分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83481B (en) * 1982-02-15 1983-10-26 Plessey Overseas Coin runway with sequencing facility
JPS63172393A (ja) * 1987-01-12 1988-07-16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バケツト式硬貨蓄積装置
JPH0639399Y2 (ja) * 1988-01-20 1994-10-12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振分装置
JPH05266327A (ja) * 1992-03-18 1993-10-15 Sharp Corp 自動販売機の硬貨回収装置
JPH11265470A (ja) * 1998-03-18 1999-09-28 Sanyo Electric Co Ltd 硬貨回収装置
KR20010038340A (ko) 1999-10-25 2001-05-15 배길성 자동 판매기용 동전 반환 장치
JP2001195638A (ja) 2000-01-14 2001-07-19 Nippon Conlux Co Ltd 硬貨処理装置
JP4087103B2 (ja) 2001-11-19 2008-05-2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機
JP4355475B2 (ja) * 2002-07-26 2009-11-0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8021A (zh) * 2014-09-03 2017-05-17 日本功勒克斯股份有限公司 硬币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74070A (zh) 2011-05-25
JP5504841B2 (ja) 2014-05-28
CN102074070B (zh) 2013-03-06
JP2011108099A (ja) 2011-06-02
KR101097149B1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149B1 (ko) 경화 일시 저장기구
DE19739459A1 (de) Kassenterminal
KR20060135503A (ko) 지폐 입출금기
US20100203817A1 (en) Machine for accepting and distributing coins and/or tokens
US10217309B2 (en) Money item dispensing
JP6165652B2 (ja) 紙葉類入出装置
KR102284526B1 (ko) 경화 일괄 투입 장치
AU715736B2 (en) Coin dispenser
JP6417927B2 (ja) 媒体処理装置
JP4370675B2 (ja) 硬貨投入口及びそれを有する自動取引装置
JP6700527B2 (ja) 円板状体払出装置
JP5860611B2 (ja) 硬貨搬送装置及び硬貨処理装置
JP6786966B2 (ja) 硬貨繰出機構、硬貨処理ユニット、および券売機
WO2015136780A1 (ja) 媒体集積繰出装置及び紙幣取引装置
JP5610286B2 (ja) 硬貨選別装置
JP6070476B2 (ja) 回動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5648535B2 (ja) 硬貨一時貯留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硬貨処理装置
JP6182766B2 (ja) コインセレクタ
JP4498776B2 (ja) 硬貨入出金装置
JP5661685B2 (ja) 異物塊崩し機構
JP2022102479A (ja) 硬貨処理装置
JP2012079146A5 (ko)
KR100832123B1 (ko) 매체정렬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매체자동지급기
JP2012160087A5 (ko)
JP2002136733A (ja) パチンコ機の球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