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503A - 지폐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지폐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503A
KR20060135503A KR1020060053780A KR20060053780A KR20060135503A KR 20060135503 A KR20060135503 A KR 20060135503A KR 1020060053780 A KR1020060053780 A KR 1020060053780A KR 20060053780 A KR20060053780 A KR 20060053780A KR 20060135503 A KR20060135503 A KR 20060135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bill press
pool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622B1 (ko
Inventor
하지메 토기야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Abstract

지폐를 깜박하고 두고 가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 입출금기를 제공한다. 입금할 지폐가 투입되거나 또는 출금할 지폐를 받는 지폐 입출금 입구(3)와, 그 지폐 입출금 입구(3)로부터 투입된 지폐 및 반송로에서 반송된 출금할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풀(22)의 저면 및 3측면을 형성하는 지폐 풀 벽(21)과, 그 지폐 풀(22)에 투입되어 집적된 지폐를 분리해서 내 보내는 내보는 롤러(27)를 가지는 지폐 입출금기(1)에 있어서, 제1의 판재(31)와 제2의 판재(32)를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 지점(33)에서 스프링 등의 탄성재에 의해 가압되어 굴절가능한 빌프레스(25)와, 일단부에 설치한 스터드(37)가 상기 빌프레스의 제1의 판재(31)에 설치한 슬라이드부(38)의 규제틀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지폐 풀 벽(21)에 설치한 지점(26)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축지지된 빌프레스 암링크(36)을 구비하며, 상기 빌프레스 암링크(36)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빌프레스(25)로 지폐 풀(22) 앞측면을 형성하도록 했다.
지폐 입출금기, 지폐 풀, 빌프레스

Description

지폐 입출금기{BILL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도 1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입출금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3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빌프레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빌프레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5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풀을 구성하는 부위의 사시도,
도 6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빌프레스 암링크의 설명도,
도 7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투입 또는 수취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8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입금 지폐분리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9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출금 지폐집적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입출금기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출금시의 빌프레스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1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출금시의 빌프레스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입금시의 빌프레스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14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입금 지폐분리시의 빌프레스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15는 종래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투입 또는 수취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16은 종래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입금 지폐 분리 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
도 17은 종래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출금 지폐집적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폐 입출금기 2 : 고객조작 표시반
3 : 지폐 입출금 입구 4 : 카드 삽입 배출구
5 : 명세표 배출구 7 : 케이싱
21 : 지폐 풀벽 22 : 지폐 풀
23 : 이물질 회수상자 24 : 지폐
25 : 빌프레스 26,33,35 : 지점
27 : 내 보내는 롤러 28 : 피드 롤러
29 : 게이트 롤러 30 : 입금 지폐 반송로
31 : 빌프레스 A 32 : 빌프레스 B
34 : 암 36 : 빌프레스 암링크
37 : 스터드 38, 45 : 슬라이드부
39 : 스프링 40 : 걸어 고정하는 부
41 : 기어 43 : 걸어 맞춤 돌기
44 : 슬라이드 지점 46 : 출금 지폐 반송로
48 : 카운터 기어 50 : 스토퍼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동거래 장치 등의 지폐 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폐를 깜박하고 두고 가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지폐 입출금기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5는 종래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투입 또는 수취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부호 161은 지폐 풀 벽이며, 지폐 입출금부에 지폐(165)를 축적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측단면이 대략 L자형의 부재이다.
부호 162는 지폐 풀이며, 지폐 풀 벽(161)으로 형성된 입금 또는 출금할 복수의 지폐(165)를 일시적으로 축적해 두는 공간이다. 이 지폐 풀(162)은 지 폐(165)의 길이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짧은 쪽 방향이 연직방향이 되도록 형성되고, 고객이 지폐(165)의 투입 및 수취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163은 지폐 입출금 출구 셔터이며, 지폐 풀(162)의 상부에 전후로 슬라이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164는 빌프레스이며, 측단면이 대략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굴절한 것이다. 이 빌프레스(164)는 지폐 풀(162)의 일측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빌프레스(164)는 투입된 지폐(165)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6은 종래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입금 지폐분리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166은 내 보내는 롤러이며, 지폐 풀(162)에 투입되어, 빌프레스(164)로 가압된 지폐(165)를 1장씩 분리해서 내 보내는 것이다.
부호 167은 지폐 풀 지점이며, 지폐 풀(162)을 지폐 입출금기의 안쪽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킬 수 있는 지점이다. 지폐 풀(162)을 90도 회전시켜 지폐(165)를 내 보내는 롤러(166)에 닿게 하고, 그 내 보내는 롤러(166)를 회전시켜 지폐(165)을 1장씩 분리하여 내보내 입금 동작을 행한다.
도 17은 종래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출금 지폐집적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168은 지폐집적 롤러이다. 이 지폐집적 롤러를 회전시켜 반송로(169)로부터 반송된 출금 지폐(165)를 지폐 풀(162)에 집적하기 위해서 반송한다. 이 출금 지폐(165)를 지폐 풀(162)에 집적할 때 빌프레스(164)는 지폐(165) 가 충돌하지 않도록 지폐 입출금부의 상부에 대피시켜 둔다. 지폐(165)의 집적이 완료하면 지폐 풀(162)을 지폐 입출금기의 앞쪽으로 90도 회전시키고, 다시 지폐 입출금 입구 셔터(163)를 개방하여 고객이 지폐(165)를 받을 수 있게 한다.
종래의 지폐 입출금기는, 이렇게 구성된 지폐 입출금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촉수검지 센서를 지폐 입출금기에 부착하여 지폐를 의식적으로 꺼냄으로써 지폐를 놓고 가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302116호 공보(단락 「0008」∼단락 「0014」, 도 4)
[발명의 개시]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빌프레스(164)로 눌러 지폐(165)를 내 보내는 롤러(166)에 접촉시키므로, 빌프레스(164)의 일단에서 타단부가 굴절한 부위까지의 길이는 지폐 풀(162)의 저면으로부터 내 보내는 롤러(166)의 중심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빌프레스(164)는 거의 지폐의 짧은 방향의 길이를 필요로 하므로 지폐 풀(162)이 깊어지게 되어, 조작자가 지폐 풀(162)에 남은 지폐 등을 시각으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노인이나 휠체어에 탑승한 사람의 시점은 낮기 때문에, 시각으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자동거래 장치 등에는 동전 입출구 입구도 존재하므로 지폐 입출금 입 구에 동전이 잘못해서 투입되는 경우도 있는 바, 빌프레스(164)의 측단면은 대략 직선형상이며, 그 직선형상을 형성하는 면으로 투입된 지폐를 누르므로, 투입된 지폐에 이물질이 혼입할 경우, 그 이물질을 낙하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입금할 지폐가 투입되거나 또는 출금할 지폐를 받는 지폐 입출금 입구와, 그 지폐 입출금 입구로부터 투입된 지폐 및 반송로에서 반송된 출금할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풀의 저면 및 3측면을 형성하는 지폐 풀벽과, 그 지폐 풀에 입력되어 집적된 지폐를 분리해서 내 보내는 내보내는 롤러를 가지는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 제 1의 판재와 제 2의 판재를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 지점에서 스프링 등의 탄성재에 의해 가압되어 굴절 가능한 빌프레스와, 일단부에 설치한 스터드가 상기 빌프레스의 제1의 판재에 설치한 슬라이드부의 규제틀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지폐 풀 벽에 설치한 지점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지된 빌프레스 암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빌프레스 암링크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빌프레스로 지폐 풀 앞측면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빌프레스 암링크에 지폐 풀의 안쪽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접속하여, 입금시에, 상기 빌프레스 암링크를 회전 운동시키고, 상기 빌프레스의 제1의 판재로 지폐 풀에 투입된 지폐를 눌러 내보내는 롤러에 닿도록 한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입출금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입출금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지폐 입출금기이며, 그 앞면에 고객조작 표시반(2), 지폐 입출금 입구(3), 카드 삽입 배출구(4) 및 명세표 배출구(5)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 7은 지폐 입출금기(1)의 케이싱이다.
도 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입출금부의 좌측 단면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2의 도면 중, 오른쪽이 지폐 입출금기(1)의 앞면측(이하, 간단히 「앞면측」이라고 한다.)이며, 도면 중, 왼쪽이 지폐 입출금기(1)의 뒷면측(이하, 간단히 「뒷면측」이라고 한다.)이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21은 지폐 풀 벽이며, 측단면이 대략 L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지폐 풀 벽(21)은 지폐를 축적하는 공간인 지폐 풀(22)의 측면 및 저부를 형성하고, 그 지폐 풀(22)의 측면은 뒷면측의 측면 및 좌우의 측면의 3방향이다. 지폐 풀(22)의 저부는 투입된 지폐(24)에 혼입된 이물질 등을 지폐 풀(22)로부터 낙하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막대 모양의 부재를 사다리 모양으로 배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폐 풀(22)과 케이싱(7)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지폐 입출금 입구 셔터 및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호 23은 이물질 회수상자이며, 지폐 풀(22)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지폐 풀(22)에 투입된 지폐(24)에 혼입된 이물질 등을 지폐 풀 벽(21)의 저부로부터 낙하시켜 그것을 저장해 두는 것이다.
부호 25는 빌프레스이며, 지폐 풀(22)의 앞면측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 빌프레스(25)는 지폐 풀(22)에 투입된 지폐(24)를 후술하는 내 보내는 롤러에 닿도록 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전술한 지폐 풀 벽(21) 및 빌프레스(25)에 의해 지폐 풀(22)의 저부 및 측면을 형성하고, 또한 도면 중 상부가 개구한 지폐 풀(22)을 형성한다.
부호 26은 지점이며, 지폐 풀 벽(21)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된 것이다. 이 부호 26을 지점으로 하여, 지폐 풀(22)을 형성하는 지폐 풀 벽(21)등을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시킨다.
지폐를 지폐 풀(22)에 투입할 경우 및 지폐 풀(22)의 지폐를 받을 경우, 지폐 풀(22)의 개구부가 지폐 입출금 입구(3)와 대향하는 위치(이 위치를 「지폐투입 수취 위치」라고 말한다.)에 회전 운동시켜, 지폐 풀(22)에 투입된 지폐를 내 보내 입금할 경우 및 출금할 지폐를 지폐 풀(22)에 집적할 경우, 지폐 풀(22)의 개구부가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전한 위치(이 위치를 「입금 지폐 분리 위치」 또는 「출금 지폐 집적 위치」라고 말한다.)에 회전 운동시킨다.
부호 27은 내 보내는 롤러이며, 외주의 일부가 다른 부분보다 마찰계수가 큰 고무 등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내 보내는 롤러(27)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빌프레스(25)에 의해 접촉된 지폐(24)를 1장씩 분리하여 내 보낼 수 있다. 또한, 지폐 풀 벽(21)의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지폐 풀 벽(21)을 회전시킴으로써 지폐 풀(22)에 투입된 지폐(24)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돌출한 내 보내는 롤러(27)에 닿게 할 수 있다.
부호 28은 피드 롤러이며, 내 보내는 롤러(27)에 의해 내 보내지는 지폐(24)의 내보내는 방향 근방에 배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한 것이다.
부호 29는 게이트 롤러이며, 피드 롤러(28)의 주면과 접촉시켜서 배치되어 지폐를 넣는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피드 롤러(28)를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내 보내는 롤러(27)에 의해 분리되어 내 보내진 지폐(24)를 피드 롤러(28)와 게이트 롤러(29)로 형성된 지폐 입력 게이트로부터 입금 지폐반송로(30)에 반송한다.
부호 46은 출금 지폐반송로이며, 벨트 등으로 구성되어, 출금할 지폐를 반송하는 것이다. 이 출금 반송로(46)에 의해 반송된 지폐는 출금 지폐 집적 위치로 회전된 지폐 풀(22)에 집적된다.
전술한 지폐 풀벽(21), 지폐 풀(22), 이물질 회수상자(23), 빌프레스(25), 내보내는 롤러(27), 피드 롤러(28) 및 게이트 롤러(29)등으로 지폐 입출금부를 구성한다.
도 3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빌프레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5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풀을 구성하는 부위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에 있어서, 부호 31은 빌프레스 A이며, 32는 빌프레스 B이며, 대략 직방체 모양의 판재이다. 이 제1의 판재인 빌프레스 A31와 제2의 판재인 빌프레스 B32는 지점(33)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빌프레스(25)를 형성한다. 또한, 빌프레스 A31 및 빌프레스 B32의 측단면의 형상은 직선형상이거나 곡선형상이라도 된다.
지점(33)에는 토션바 스프링 등의 탄성재가 설치되고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빌프레스 B32는 지점(33)에서 지폐 입출금기(1)의 앞면측인 지폐 풀(22)의 외측으로 굴절하여, 빌프레스(25)가 < 자 모양을 형성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지폐 풀(22)의 공간을 넓게 하는 동시에 지폐 풀(22)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부호 34는 암이며, 양단부에 관통공이 설치된 판자 모양의 부재이다. 하나의 단부에 설치된 관통공이 지점(35)에서 빌프레스 A31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다른 단부에 설치된 관통공이 지점(26)에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부호 36은 빌프레스 암링크이며, 하나의 단부에 스터드(37)가 설치되고, 다른 단부에 회전축을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공을 설치한 판자 모양의 부재이다. 그 스터드(37)는 빌프레스 A31에 설치한 규제틀인 슬라이드부(38)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접속되고, 다른 단부가 지점(26)에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빌프레스 암링크(36)는 스프링(39)에 의해 26을 지점으로 하여 도면 중 반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이 빌프레스 암링크(36)에는 걸어 고정하는 부(40)가 설치되고, 이 걸어 고정하는 부(40)가 후술하는 기어에 설치된 걸어 맞추는 돌기와 걸어 맞추고, 스프링(39)에 의해 가압된 방향과 반대 방향인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빌프레스 A31를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부호 41은 기어이며, 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 기어(4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다른 기어에 맞물려서 회전 구동이 전달되고, 도면 중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기어(41)에는 걸어 맞춤 돌기(43)가 설치되어 있고,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걸어 맞춤 돌기(43)가 빌프레스 암링크(36)의 걸어 고정하는 부(40)와 걸어 맞추어 빌프레스(25)를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빌프레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단면의 설명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부호 44는 슬라이드 지점이며, 빌프레스 B3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빌프레스 B32와 지폐 풀 벽(21)을 접속하는 막대 모양의 부재이다.
부호 45는 슬라이드부이며, 지폐 풀 벽(21)의 저면에 설치된 규제틀이다. 이 슬라이드부(45)는 빌프레스 B32의 슬라이드 지점(44)이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빌프레스 B32의 하단은 슬라이드부(45)로 규제된 안에서 개방되고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빌프레스 암링크의 설명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부호 47은 기어이며, 빌프레스 암링크(36)에 고정된 것이다. 부호 48은 카운터 기어이며, 기어(47)에 맞물려서 빌프레스 암링크(36)가 회전 운동하는 구동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 기어(47), 카운터 기어(48) 및 빌프레스 암링크(36)는 빌프레스(25)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며, 2개의 카운터 기어(48)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쪽의 빌프레스 암 링크(36)가 회전 운동하는 구동을 다른 쪽의 빌프레스 암링크(36)에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지폐의 투입으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내 보낼 때까지의 지폐 입출금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지폐 풀(22)을 지폐투입 수취 위치에 회전 운동시킨다.
다음에 도 4에 있어서 기어(41)를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어(41)를 회전시키면 걸어 맞춤 돌기(43)가 빌 프레스 암 링크(36)의 걸어 고정하는 부(40)에 걸어 맞추고, 빌프레스 암링크(36)를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빌프레스 암링크(36)를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빌프레스 A31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폐 풀 벽(21)의 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고, 빌프레스 B32는 지점(33)에서 지폐 풀(22)의 외측으로 굴절하여, 빌프레스(25)은 <자 모양이 되어 지폐 풀(22)을 형성한다.
지폐 입출금기(1)는 도시하지 않은 지폐 입출금 입구 셔터를 개방하여, 고객 이 입금할 지폐를 투입할 수 있게 한다. 고객은 지폐 풀(22)에 지폐(24)를 투입한다.
고객에 의해 지폐 풀(22)에 지폐(24)가 투입되면 기어(41)를 도 4에 있어서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어(41)를 회전시키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빌프레스 암링크(36)는 스프링(39)의 탄성에 의해 가압되어 빌프레스 A31는 지폐(24)를 누른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지폐 풀 벽(21)을 입금 지폐분리 위치로 회전 운동시키고, 빌프레스 A31에 의해 눌린 지폐(24)를 내 보내는 롤러(27)에 접촉시킨다. 여기에서,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빌프레스 A31는 지폐(24)의 선단부를 누른다.
투입된 지폐(24)를 내 보내는 롤러(27)에 접촉시키면, 내 보내는 롤러(27), 피드 롤러(28) 등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지폐(24)를 1장씩 분리하여 내 보내, 지폐의 입금 동작을 시작한다.
다음에 출금할 지폐를 지폐 풀에 집적할 경우의 지폐 입출금부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지폐 풀(22)을 출금 지폐집적 위치에 회전 운동시킨다. 다음에 도 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기어(41)를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어(41)를 회전시키면 걸어 맞춤 돌기(43)가 빌프레스 암링크(36)의 걸어 고정하는 부(40)에 걸어 맞추고, 빌프레스 암링크(36)을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 전 운동시킨다.
빌프레스 암링크(36)를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빌프레스 A31는 26을 지점으로 하여 상승하고, 거기에 따른 빌프레스 B32도 상승한다. 또한 지점(35)에서 빌프레스 A31에 접속된 암(34)도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또한 빌프레스 암링크(36)를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그것에 따라 회전 운동되는 암(34)은 스토퍼(50)에 의해 걸려 회전 운동을 정지한다.
암(34)이 스토퍼(50)에 의해 걸려 회전 운동을 정지한 후, 또한 빌프레스 암링크(36)을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빌프레스 A31 및 빌프레스 B32가 상승하여 직선 모양이 된다.
빌프레스 암 링크(36)를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고,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빌프레스 A31 및 빌프레스 B32를 직선 모양으로 하면, 또한, 빌프레스 A31의 단부가 지폐반송로(46)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이때 빌프레스 B32의 슬라이드 지점(44)은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부에서 슬라이드부(45)와 연결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빌프레스(25)를 지폐반송로(46)보다 위쪽에 배치시키고, 또한 빌프레스(25)를 직선 모양으로 하여, 지폐 풀(22)의 측면을 형성해서 출금 지폐반송로(46)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집적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빌프레스(25)를 지점으로 굴절시키도록 하여 그 선단부인 빌프레스 A31에서 지 폐 풀에 투입된 지폐를 내 보내는 롤러(27)에 닿도록 누르므로, 내보내는 롤러(27)에 의한 내보내는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그 후단부인 빌프레스 B3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며, 또 선단부인 빌프레스 A31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폐 풀(22)의 지폐를 조작자(100)의 시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어, 지폐를 두고 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빌프레스 A31는 투입된 지폐(24)의 상부를 누르므로, 지폐(24)에 혼입한 이물질(51)은 지폐 풀(22)로부터 낙하하기 쉽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빌프레스 A31는 투입된 지폐(24)의 선단부를 누르므로, 지폐(24)에 혼입한 이물질(51)은 내 보내는 롤러(27)에 의해 내 보내지 않고 지폐 풀(22)에 남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빌프레스 A31 및 빌프레스 B32를 직선 모양으로 하기 위해서, 출금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풀의 공간을 넓게할 수 있으며, 지폐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잘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본 발명은, 지폐 풀에 존재하는 지폐를 조작자의 시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범위를 넓게 할 수 있고, 지폐를 놓고 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 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빌프레스는 지폐 풀에 투입된 지폐의 상단부를 누르므로, 지폐에 혼입한 이물질을 지폐 풀로부터 낙하하기 쉽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낙하시킬 수 없었던 이물질은 지폐 풀내에 남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입금할 지폐가 투입되거나 또는 출금할 지폐를 받는 지폐 입출금 입구와, 그 지폐 입출금 입구로부터 투입된 지폐 및 반송로에서 반송된 출금할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풀의 저면 및 3측면을 형성하는 지폐 풀 벽과, 그 지폐 풀에 투입되어 집적된 지폐를 분리해서 내 보내는 내보내는 롤러를 가지는 지폐 입출금기로서,
    제1의 판재와 제2의 판재를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 지점에서 스프링 등의 탄성재에 의해 가압되어 굴절가능한 빌프레스와,
    일단부에 설치한 스터드가 상기 빌프레스의 제1의 판재에 설치한 슬라이드부의 규제 범위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지폐 풀 벽에 설치한 지점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축지지된 빌프레스 암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빌프레스 암링크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빌프레스로 지폐 풀 앞측면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빌프레스 암링크에 지폐 풀의 안쪽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접속하고,
    입금시에, 상기 빌프레스 암링크를 회전 운동시키고, 상기 빌프레스의 제1의 판재로 지폐 풀에 투입된 지폐를 눌러 내보내는 롤러에 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빌프레스의 제1의 판재의 선단부에 지점을 설치하여, 그 지점에서 일단부가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축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지폐 풀 벽에 설치한 지점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축지지된 암과, 상기 지폐 풀 벽에 설치한 상기 암의 회전 운동을 걸어 멈추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출금시에, 상기 빌프레스 암링크를 회전 운동시키고, 그 회전 운동에 의한 빌프레스의 이동과 함께 회전 운동되는 상기 암을 상기 스토퍼로 걸어 멈추며, 또 상기 빌프레스 암링크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빌프레스의 제1의 판재와 제2의 판재가 직선 모양이 되도록 하여 출금할 지폐를 집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기.
KR1020060053780A 2005-06-24 2006-06-15 지폐 입출금기 KR101162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84906 2005-06-24
JP2005184906A JP4655777B2 (ja) 2005-06-24 2005-06-24 紙幣入出金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503A true KR20060135503A (ko) 2006-12-29
KR101162622B1 KR101162622B1 (ko) 2012-07-05

Family

ID=3758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780A KR101162622B1 (ko) 2005-06-24 2006-06-15 지폐 입출금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55777B2 (ko)
KR (1) KR101162622B1 (ko)
CN (1) CN18853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7078B2 (ja) * 2006-04-11 2013-03-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KR101026917B1 (ko) * 2006-06-30 2011-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롤러 회전방지장치
JP5030678B2 (ja) * 2007-06-15 2012-09-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記録媒体処理装置
CN101377869B (zh) * 2007-08-31 2011-10-26 黄金富 存入的钞票能即时供提款人提取的自动柜员机用的钞票箱
JP5326266B2 (ja) * 2007-12-06 2013-10-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繰出機構
JP5176568B2 (ja) * 2008-01-31 2013-04-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308216B2 (ja) * 2009-04-06 2013-10-0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274355B2 (ja) * 2009-04-23 2013-08-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N101685557B (zh) * 2009-08-21 2013-11-06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存取款机及其钱箱
CN103150810B (zh) * 2013-03-29 2015-11-2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设备及其出入钞机构
CN104821040A (zh) * 2015-05-28 2015-08-0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分钞装置
CN106251475B (zh) * 2016-07-27 2022-05-3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压币装置、纸币出入装置以及自动存储款机
CN106408755B (zh) * 2016-11-11 2022-09-30 浙江维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压钞结构
CN106384429B (zh) * 2016-11-11 2022-09-30 浙江维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清分机
CN107636742B (zh) * 2017-03-31 2020-07-24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前通道板固定架及前通道板组件
EP3657449A4 (en) * 2017-07-21 2021-03-10 Fujitsu Frontech Limited HANDLING DEVICE FOR PAPER MONEY
JP7426178B2 (ja) * 2021-02-17 2024-02-01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317Y2 (ja) * 1981-04-21 1984-12-21 株式会社東芝 自動受入れ機
JPH02282122A (ja) * 1989-04-24 1990-11-19 Omron Corp 紙葉類処理装置の受入れ部回転機構
JP2772171B2 (ja) * 1991-07-24 1998-07-02 甲府日本電気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の入出金機構
JP3490318B2 (ja) * 1999-01-22 2004-01-26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処理機
CN1436341A (zh) * 2000-06-15 2003-08-13 欧姆龙株式会社 介质处理装置
JP3901966B2 (ja) * 2001-08-22 2007-04-04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2004210505A (ja) * 2003-01-07 2004-07-29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分離繰り出し機構
JP4408730B2 (ja) * 2004-03-23 2010-02-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622B1 (ko) 2012-07-05
JP2007004554A (ja) 2007-01-11
CN1885353A (zh) 2006-12-27
CN1885353B (zh) 2012-03-21
JP4655777B2 (ja)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622B1 (ko) 지폐 입출금기
US8939449B2 (en) Sheet transport apparatus facilitating establishing a continuous sheet transport path
JP564228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6072631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910001258B1 (ko) 지폐출납기
JP2011233084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14170386A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2016224869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3560516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5003267B2 (ja) 紙幣入出金機
KR101261060B1 (ko) 지폐 입출금기
JP3604603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20120078306A (ko) 지폐입출금부의 프론트 플레이트와 백 플레이트 구동장치
WO2019225195A1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04258972A (ja) 紙幣搬送機構
JP2013117997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363786B2 (ko)
JP5927909B2 (ja) 紙葉類搬送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JP2006209717A (ja) 紙幣処理装置
JP2002145462A (ja) 紙幣処理装置
US20220335768A1 (en) Banknote deposit-withdrawal system and architecture
JP3714915B2 (ja) 紙幣収納処理装置
JP4064283B2 (ja) 紙幣収納繰出し装置
JP2006302235A (ja) 紙幣処理装置
JP4753271B2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