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494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494A
KR20110050494A KR1020117005073A KR20117005073A KR20110050494A KR 20110050494 A KR20110050494 A KR 20110050494A KR 1020117005073 A KR1020117005073 A KR 1020117005073A KR 20117005073 A KR20117005073 A KR 20117005073A KR 20110050494 A KR20110050494 A KR 20110050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connector device
insulating housing
guid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146B1 (ko
Inventor
테츠야 타가와
히로하루 이카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Publication of KR2011005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01R12/598Each conductor being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e.g. multiple coaxial cables in fla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부와의 감합이 적정하고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상태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얻을 수 있게 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감합 볼록부(17)가 설치된 절연 하우징(15)과, 절연 하우징(15)에 배열 배치되어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도전 콘택트에 접촉 접속되는 도전 콘택트와, 절연 하우징(15)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16)에 장착되고, 감합 볼록부(17)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에 즈음하여, 절연 하우징(15)에 배열 배치된 도전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을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15)에 배열 배치된 도전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계합시켜서, 절연 하우징(15)의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정렬 커버(1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이나 플렉시블 인쇄 배선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이 연결된 하에서, 예를 들면 솔리드(solid) 인쇄 배선 기판 등의 주기판에 장착된 상대측 커넥터 장치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고, 케이블이나 FPC 등과 상대측 커넥터 장치와의 전기적 접속을 완수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비교적 가는 케이블이나 비교적 소형인 FPC를 각종의 전기 부품이 장착되는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 등의 주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즈음해서는, 복수의 케이블 혹은 FPC가 연결되는 케이블 등 측의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1의 커넥터 장치와, 주기판에 장착되어 주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고, 제1의 커넥터 장치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2의 커넥터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제1의 커넥터 장치로부터 보면, 제2의 커넥터 장치는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로 되고, 제2의 커넥터 장치로부터 보면, 제1의 커넥터 장치는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로 된다.
이러한 경우, 제1의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제2의 커넥터 장치와의 감합부(engaging portion)를 형성하는 감합 볼록부(engaging protrusion portion)가 설치되는 절연 하우징(housing)을 구비하고, 그 감합 볼록부에, 복수의 케이블 등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전 콘택트(contact)의 부분이 배열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를 이루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1의 커넥터 장치는 통상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noise) 대책을 위해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금속 판재제(板材製)의 도전성 쉘(shell)이나 도전성 커버(cover)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2의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제1의 커넥터 장치와의 감합부를 형성하여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에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가 설치되는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고, 그 감합 오목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단자부로 되어 주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도전 콘택트의 부분이 배열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이루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2의 커넥터 장치도 통상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 대책을 위해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금속 판재제의 도전성 쉘이나 도전성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하에서,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가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전 콘택트가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각각 접촉 접속된다.
상술과 같은 케이블 등 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1의 커넥터 장치 및 기판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2의 커넥터 장치가 주기판에 장착된 하에서, 복수의 케이블 혹은 FPC가 연결된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가,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제2의 커넥터 장치가 장착되는 주기판 상에 있어서, 높이 방향(주기판의 기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의 치수가 가능한 한 작게 되는 것이 주기판의 주위 공간의 저감화를 도모하는 관점으로부터 요망된다. 이러한 요망에 응하는데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이루는 제2의 커넥터 장치가, 그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가 주기판의 기판면에 평행으로 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것으로 하여 주기판에 장착되는 것으로 되고, 플러그 커넥터를 이루는 제1의 커넥터 장치가, 주기판의 기판면을 따라 이동시켜지게 되어, 그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를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에 감합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때, 플러그 커넥터를 이루는 제1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볼록부를 주기판에 장착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이루는 제2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오목부에 감합시키는데 즈음해서는, 감합 볼록부를 감합 오목부에 대해서 적정한 위치와 방향을 가지고 대향시킨 후, 적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두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를 이루는 제1의 커넥터 장치에, 그 감합 볼록부를 넘어 외방으로 돌출하는 안내 감합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를 이루는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안내 감합부를 받아들이는 감합 구멍부을 설치하여, 제1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볼록부를 제2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오목부에 감합시킬 때에는, 감합 볼록부의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에 앞서, 안내 감합부를 감합 구멍부에 감합시키고, 이에 의해 감합 볼록부의 감합 오목부에 대향하는 위치와 방향을 결정함과 아울러, 감합 오목부에 대한 이동 방향을 결정하여, 감합 볼록부를 감합 오목부에 대한 적정한 위치와 방향과 이동 방향을 가지고 감합 오목부에 감합하는 것을 이루는 방책이 종래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술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 제안되어 있는 방책이 채택되는 경우에는, 플러그 커넥터를 이루는 제1의 커넥터 장치(플러그(20))에, 절연 하우징(케이블측 하우징(21))에 설치된 복수의 보호편(34)을 형성함과 아울러 복수의 접촉부(24)가 배열 배치된 감합 볼록부에 더하여, 그 감합 볼록부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있어서 감합 볼록부를 넘어 외방으로 돌출하는 한 벌의 안내 감합부(감합팔(engaging arm)(30))가 설치되고,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이루는 제2의 커넥터 장치(리셉터클(receptacle)(70))의 절연 하우징(기판측 하우징(71))에, 제1의 커넥터 장치의 감합 볼록부가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감입홈(engaging groove)(80))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감합 오목부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제1의 커넥터 장치의 한 벌의 안내 감합부가 각각 감합하는 한 벌의 감합 구멍부(감합구멍(79))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볼록부를 제2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오목부에 계합시키는데 즈음해서는, 먼저,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한 벌의 안내 감합부를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한 벌의 감합 구멍부에 각각 감합시키고, 제1의 커넥터 장치가 제2의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 안내 감합부와 감합 구멍부에 의한 안내를 받도록 한 하에서, 제1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볼록부를 제2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를 취하는 것을 이룬다.
또한, 각각의 접촉자가 상호 맞닿는 것으로 되는 한 벌의 커넥터 장치(제1 및 제2의 커넥터 장치)로서,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접촉자를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접촉자에게 맞닿게 할 때에,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돌출 안내부(안내 감합부)를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몰입(沒入) 안내부(감합 구멍부)에 몰입(감합)시키도록 한 것도 종래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이러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 같은 한 벌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도,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접촉자의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접촉자와의 맞닿음에 앞서,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안내 감합부를 이루는 돌출 안내부가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구멍부을 이루는 몰입 안내부에 몰입(감합)시켜지게 됨으로써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제2의 커넥터 장치에 대한 위치와 방향과 이동 방향이 결정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2-93528호 공보(제3~5페이지, 도 1) 일본국 특허공개 2001-223057호 공보(제3~4페이지, 도 1, 2 및 4)
상술의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볼록부의 제2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혹은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접촉자의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접촉자와의 맞닿음은,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안내 감합부가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구멍부에 감합시켜지게 되어, 제1의 커넥터 장치가 제2의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 안내 감합부와 감합 구멍부에 의한 안내를 받고, 이에 의해 제2의 커넥터 장치에 대한 위치와 방향과 이동 방향이 정해진 하에서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안내 감합부가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구멍부에 감합시켜지게 된 후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볼록부의 제2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혹은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접촉자의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접촉자와의 맞닿음이, 적정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해지는 것이 기대되지만,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안내 감합부의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구멍부와의 감합에 대해서는, 제1의 커넥터 장치가 제2의 커넥터 장치에 대한 아무런 안내도 받지 않는 하에서 행해지게 되므로, 그 원활한 달성은 보증되지 않는다.
즉, 전술의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안내 감합부를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구멍부에 감합시킴으로써, 제1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볼록부의 제2의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혹은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접촉자의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접촉자와의 맞닿음이, 적정하고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상태를 얻는 것이 의도되고 있는 것이지만, 이러한 상태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에 설치되어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이 배열 배치되는 감합부를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부에 감합시켜서,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을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된 도전 콘택트에 접촉 접속시킬 때에,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부와의 감합이 적정하고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상태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얻을 수 있게 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즉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로부터 청구항 6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제2의 감합부가 설치된 절연 하우징과, 제2의 감합부에 배열 배치되는 접촉 부분을 가지고 절연 하우징에 배치되어 제2의 감합부가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제1의 도전 콘택트에 접촉 접속되는 복수의 제2의 도전 콘택트와,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과, 도전성 쉘에 그 외면을 부분적으로 덮어 장착되고, 제2의 감합부의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에 즈음하여, 복수의 제2의 도전 콘택트의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을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계합시켜서, 절연 하우징의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정렬 커버(alignment cover)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정렬 커버가, 복수의 제2의 도전 콘택트의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의 각각에, 절연 하우징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1의 안내부와 그리고 제2의 감합부측으로 이격된 제2의 안내부가, 제2의 감합부의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에 즈음하여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정렬 커버의 복수의 제2의 도전 콘택트의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의 안내부가, 정렬 커버에 있어서의 도전성 쉘의 외면을 따라 퍼지는 부분으로부터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단면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뻗는 것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에 그 외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서 장착되는 정렬 커버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1의 감합부에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제2의 감합부가 감합할 때에, 제2의 감합부의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에 앞서, 제2의 감합부에 배치된 복수의 제2의 도전 콘택트의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을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계합시키고, 이에 의해 절연 하우징의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정렬 커버에 의해 절연 하우징의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이 규제됨으로써,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1의 감합부에 대한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제2의 감합부의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이 정해진 하에서, 제2의 감합부가 제1의 감합부에 감합하는 상태가 취해진다.
이러한 기능을 완수하는 정렬 커버는, 예를 들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와 같이, 복수의 제2의 도전 콘택트의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의 각각에 제1 및 제2의 안내부가 설치된 것으로 된다. 이들의 제1 및 제2의 안내부는, 각각이, 예를 들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와 같이, 정렬 커버에 있어서의 도전성 쉘의 외면을 따라 퍼지는 부분으로부터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단면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뻗는 것으로 된 하에서, 제1의 안내부가, 절연 하우징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것으로 됨과 아울러, 제2의 안내부가, 제1의 안내부로부터 제2의 감합부측으로 이격된 것으로 되어, 제2의 감합부의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에 즈음하여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계합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의 안내부는, 예를 들면 제1의 감합부에 제2의 감합부가 감합할 때에는, 먼저, 제2의 안내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제1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절연 하우징에 대한 안내를 행하고, 이어서 제1의 안내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제2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그 제2의 계합부를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단면부와에 의해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사이에 두고, 절연 하우징에 대한 새로운 안내를 행하는 것으로 되어, 그 결과, 제2의 감합부의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이 완료되는 상태가 얻어진다.
그리고, 제2의 감합부의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예를 들면 정렬 커버에 있어서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술의 배열 방향의 단부의 일부분을, 도전성 쉘의 외면으로 상술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사이에 두는 상태를 취한다.
상술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1의 감합부에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제2의 감합부가 감합할 때에,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에 그 외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서 장착되는 정렬 커버에 의해, 제2의 감합부의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에 앞서, 절연 하우징의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이 규제되고, 이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1의 감합부에 대한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제2의 감합부의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이 정해진 하에서, 제2의 감합부가 제1의 감합부에 감합하는 상태가 취해지므로,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이 배열 배치되는 제1의 감합부를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2의 감합부에 감합시켜서,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을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된 도전 콘택트에 접촉 접속시킬 때에,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제2의 감합부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이 적정하고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상태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2,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정렬 커버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의 각각에, 절연 하우징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1의 안내부와 그리고 제2의 감합부측으로 이격된 제2의 안내부가 설치되고, 이들이 예를 들면 제1의 감합부에 제2의 감합부가 감합할 때에, 먼저, 제2의 안내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제1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절연 하우징에 대한 안내를 행하고, 이어서 제1의 안내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제2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그 제2의 계합부를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단면부와에 의해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사이에 두고, 절연 하우징에 대한 새로운 안내를 행하는 것으로 되어, 그 결과, 제2의 감합부의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이 완료하는 상태가 얻어지게 되는 것으로 됨으로써,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제2의 감합부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이 적정하고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상태를 확실하게, 또한 보다 더 용이하고 원활하게 얻어진다.
또한, 제2의 감합부의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이 완료되었을 때, 정렬 커버에 있어서의 상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의 각각이,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술의 배열 방향의 단부의 일부분을, 도전성 쉘의 외면으로 상술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사이에 두는 상태를 취하는 경우에는, 제2의 감합부가 제1의 감합부로부터 발거(拔去)될 때에, 제2의 감합부가 제1의 감합부에 대해서 상술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림(swing)”을 일으키는 소망하지 않는 사태가 회피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거기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거기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커넥터 본체부를 거기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커넥터 본체부를 거기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정렬 커버를 단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정렬 커버를 단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대향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대향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있어서의 직사각형틀 F1 내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와의 계합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와의 계합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와의 계합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있어서의 직사각형틀 F2 내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와의 계합 과정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와의 계합 과정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의 직사각형틀 F3 내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있어서의 XIX-XIX선을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와의 계합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와의 계합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와의 계합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있어서의 직사각형틀 F4 내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는 이하에 진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거기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과 함께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커넥터 장치(11)는, 커넥터 본체부(12)와 거기에 장착된 정렬 커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장치(11)는, 커넥터 본체부(12)에 복수의 동축 케이블(14)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에서, 예를 들면 솔리드(solid)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되어 장착된, 기판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감합하는 케이블 등 측의 커넥터 장치로서 이용된다.
커넥터 본체부(1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듯이,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 하우징(15),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 대책을 위해 절연 하우징(15)의 외면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된, 예를 들면 각각이 탄성을 가진 금속 판재료가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16)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 하우징(15)에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절연 하우징(15)의 긴 방향(화살표 L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서, 이하, L방향이라고 함)으로 뻗은 감합 볼록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15)에는, 각각이,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금속재료가 굴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18)가, 각각의 접촉 부분이 감합 볼록부(17)에 L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L방향은 감합 볼록부(17)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18)의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이기도 하다.
복수의 도전 콘택트(18)의 각각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에 배열 배치된 접촉 부분은, 감합 볼록부(17)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그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되어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이 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 중의 대응하는 것에 접촉 접속되고, 이에 의해 복수의 도전 콘택트(18)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각각 접속되게 된다. 또, 복수의 도전 콘택트(18)의 각각에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4) 중의 대응하는 것의 신호 도체가 접속된다. 복수의 동축 케이블(14)의 각각은, 그 신호 도체가 도전 콘택트(18)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지 도체가 도전성 쉘(16)에 접촉 접속되어, 커넥터 본체부(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전성 쉘(16)은, 절연 하우징(15)의 도 1에 있어서 상측으로 되는 외면(이하, 상면이라고 함)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된 상면측 반체(半體)와 절연 하우징(15)의 도 1에 있어서 하측으로 되는 외면(이하, 저면이라고 함)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된 저면측 반체가, 각각의 L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도전성 쉘(16)의 L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16a, 16b)는, 상면측 반체와 저면측 반체가 상호 계합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전성 쉘(16)의 상면측 반체에는, 도전성 쉘(16)의 단부(16a)를 형성하는 일단부의 근방에, 절연 하우징(15)의 감합 볼록부(17)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계합구멍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16c)가 설치되고, 또 도전성 쉘(16)의 단부(16b)를 형성하는 타단부의 근방에, 절연 하우징(15)의 감합 볼록부(17)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계합구멍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16d)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 돌기(16c, 16d)의 각각은, 도전성 쉘(16)의 상면측 반체의 일부가 형성하는 탄성편에 형성되어 있어,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계합구멍과의 계합 및 그 계합구멍으로부터의 이탈을 탄성편의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행한다.
정렬 커버(13)는,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금속 판재료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커넥터 본체부(12)에 있어서의 도전성 쉘(16)에 그 상면측 반체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덮어 장착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정렬 커버(13)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6)에 장착되었을 때 그 상면측 반체를 일부분을 남겨 전면적으로 덮는 평판 모양부(20)를 가지고 있고, 도전성 쉘(16)에 장착되었을 때 평판 모양부(20)의 L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되는 한 벌의 단부의 일방에, 평판 모양부(20)로부터 굴곡하여 뻗은 계합부(21a)와 2개의 안내부(22a, 23a)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술의 한 벌의 단부의 타방에, 평판 모양부(20)로부터 굴곡하여 뻗은 계합부(21b)와 2개의 안내부(22b, 23b)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22a)의 안내부(23a)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외방으로 굴곡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계합 안내부(24a)를 형성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안내부(22b)의 안내부(23b)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외방으로 굴곡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계합 안내부(24b)를 형성하고 있다. 또, 안내부(22a)는, 도전성 쉘(16)에 장착되었을 때 L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안내부(23a)보다 외방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안내부(22b)는, 도전성 쉘(16)에 장착되었을 때 L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안내부(23b)보다 외방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는 정렬 커버(13)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커넥터 본체부(12)에 있어서의 도전성 쉘(16)에, 그 평면 모양부(20)가 도전성 쉘(16)의 상면측 반체의 외면을 약간의 부분을 남겨서 대략 전면적으로 덮고, 그 계합부(21a, 21b)가 도전성 쉘(16)의 양단부(16a, 16b)에 각각 계합하는 상태를 가지고 장착된다. 이러한 정렬 커버(13)의 도전성 쉘(16)에의 장착에 즈음해서는 정렬 커버(13)가 도전성 쉘(16)에 납땜되어 고정되도록 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정렬 커버(13)가 도전성 쉘(16)에 장착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11)가 얻어진다.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는, 정렬 커버(13)의 평면 모양부(20)가, 도전성 쉘(16)의 상면측 반체로부터 L방향에 직교하는 S방향(화살표 S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5)의 감합 볼록부(17)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감합 볼록부(17)의 상면을, 그것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덮고 있다. 또, 정렬 커버(13)의 평면 모양부(20)는, 도전성 쉘(16)의 상면측 반체로부터 L방향에 있어서 도전성 쉘(16)의 단부(16a)측 및 단부(16b)측으로도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에 나타나듯이,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3b)가, 절연 하우징(15)의 L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부(25b)에, 그것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것으로 됨과 아울러,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2b)가, 안내부(23b)로부터 절연 하우징(15)의 감합 볼록부(17)측으로 이격된 것으로 되고, 마찬가지로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3a)가, 절연 하우징(15)의 L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부(25a)에, 그것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것으로 됨과 아울러,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2a)가, 안내부(23a)로부터 절연 하우징(15)의 감합 볼록부(17)측으로 이격된 것으로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는, 절연 하우징(15)의 단면부(25a, 25b)의 각각은, 그 외면이 도전성 쉘(16)에 의해 덮여 있지 않지만, 그 외면이 도전성 쉘(16)의 일부에 의해 덮이도록 되어도 좋다.
도 7 및 도 8은 커넥터 장치(11)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는, 예를 들면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되어 장착된 상태 하에서, 커넥터 장치(11)가 감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 하우징(31), 및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 대책을 위해 절연 하우징(31)의 외면부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 된,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금속 판재료가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32)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는, 커넥터 장치(11)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절연 하우징(31)의 긴 방향(화살표 L′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서, 이하, L′방향이라고 함)으로 뻗은 감합 오목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31)에는, 각각이,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금속재료가 굴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34)가, L′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도전 콘택트(34)의 각각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31)으로부터 그 외방으로 돌출하는 일단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배선 패턴부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형성하고 있다. 또, 복수의 도전 콘택트(34)의 각각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부분은, 감합 오목부(33) 내에 배치되어 커넥터 장치(11)의 감합 볼록부(17)가 감합 오목부(3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18)의 접촉 부분 중의 대응하는 것이 접촉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도전성 쉘(32)에 있어서는, L′방향에 있어서의 단부(35a, 35b)에,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설치된 계합 돌기(16c, 16d)가 각각 계합하게 되는, 계합구멍(36a, 36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에는,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의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2a)가 계합하게 되는 계합부(37a) 및 커넥터 장치(11)의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3a)가 계합하게 되는 계합부(38a)가 설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b)에는,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의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2b)가 계합하게 되는 계합부(37b) 및 커넥터 장치(11)의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3b)가 계합하게 되는 계합부(38b)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부(37a)는, L′방향에 있어서 계합부(38a)보다 외방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계합부(37b)는, L′방향에 있어서 계합부(38b)보다 외방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 35b)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전성 쉘(32)에는, 배열 배치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34)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31)으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되고, 기판측 커넥터 장치(3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접지 접속부에 접속되는 접지 접속 단자(39a, 39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을 구비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는, 복수의 도전 콘택트(34)의 각각의 일단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3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배선 패턴부에 접속되고, 또 접지 접속 단자(39a, 3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접지 접속부에 접속되어,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되어 장착된 상태에 놓여진다.
상술의 커넥터 장치(11) 및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30)가, 예를 들면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되어 장착된 상태 하에서, 커넥터 장치(11)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에 계합하는 것으로 되고, 그 때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에 감합한다. 이러한 커넥터 장치(11)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와의 계합을 할 때는, 먼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듯이, 복수의 동축 케이블(14)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 장치(11)가, 그 절연 하우징(15)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를,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장착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에, S방향에 있어서 대향시키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정렬 커버(13)에 의해 덮인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도 9에 있어서는, 편의상, 커넥터 장치(11)가, 정렬 커버(13)의 일부가 파단 제거되어 나타나 있고, 또 도 10에 있어서는, 편의상, 정렬 커버(13)의 전체가 가상선을 가지고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나듯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에는, 그것으로부터 굴곡하여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내부측으로 뻗는 탄성편부(40a)가 설치되어 있고, 또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b)에는, 그것으로부터 굴곡하여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내부측으로 뻗는 탄성편부(40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도 9에 나타나는 직사각형틀 F1 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 11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1)의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2b, 23b), 및 절연 하우징(15)의 단면부(25b)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b)와의 위치 관계는, 안내부(22b)가, S방향에 있어서, 단부(35b)에 설치된 계합부(37b)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고, 안내부(23b) 및 단면부(25b)가, S방향에 있어서, 단부(35b)에 설치된 계합부(38b) 및 탄성편부(40b)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커넥터 장치(11)의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2a, 23a), 및 절연 하우징(15)의 단면부(25a)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와의 위치 관계는, 안내부(22a)가, S방향에 있어서, 단부(35a)에 설치된 계합부(37a)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고, 안내부(23a) 및 단면부(25a)가, S방향에 있어서, 단부(35a)에 설치된 계합부(38a) 및 탄성편부(40a)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커넥터 장치(11)가 S방향에 있어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되고, 도 12, 도 13 및 도 14, 또 도 12에 나타나는 직사각형틀 F2 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 15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1)의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2a, 22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에 설치된 계합부(37a) 및 단부(35b)에 설치된 계합부(37b)에 각각 계합하는 상태가 취해진다. 또한,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정렬 커버(13)에 의해 덮인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도 12에 있어서는, 편의상, 커넥터 장치(11)가, 정렬 커버(13)의 일부가 파단 제거되어 나타나 있다. 이러한 때, 안내부(22a)의 단부가 외방으로 굴곡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계합 안내부(24a)를 형성하고 있고, 또 안내부(22b)의 단부가 외방으로 굴곡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계합 안내부(24b)를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계합 안내부(24a, 24b)에 의해 안내부(22a, 22b)가 계합부(37a, 37b)로 각각 안내되게 되어, 안내부(22a, 22b)가 계합부(37a, 37b)에 각각 계합하는 상태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계합부(37a, 37b)에 각각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는 안내부(22a, 22b)는,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대해서, 그 위치 및 방향을 규제하고, 또한 그 이동 방향을 S방향으로 정할 수 있도록 규제한 하에서의 안내를 행한다. 그리고, 상술의 도 12~도 15에 나타나는 상태 하에 있어서는,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는, 아직도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의 위치에는 달하지 않았다.
이어서, 커넥터 장치(11)가, 그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2a, 22b)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계합부(37a, 37b)에 각각 계합시킨 하에서, S방향에 있어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더 이동시켜지게 된다. 이에 의해 도 16 및 도 17, 또 도 16에 나타나는 직사각형틀 F3 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 18에 나타나듯이, 안내부(22a, 22b)가 계합부(37a, 37b)에 각각 계합함과 아울러, 커넥터 장치(11)의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3a, 23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에 설치된 계합부(38a) 및 단부(35b)에 설치된 계합부(38b)에 각각 계합하는 상태가 취해진다. 또한,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정렬 커버(13)에 의해 덮인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도 16에 있어서는, 편의상, 커넥터 장치(11)가, 정렬 커버(13)의 일부가 파단 제거되어 나타나 있고, 또 도 17에 있어서는, 편의상, 정렬 커버(13)의 전체가 가상선을 가지고 나타나 있다. 이러한 안내부(23a)의 계합부(38a)와의 계합 및 안내부(23b)의 계합부(38b)와의 계합은, 안내부(22a, 22b)가 계합부(37a, 37b)에 각각 계합함으로써,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이, 그 위치 및 방향이 규제됨과 아울러 그 이동 방향이 S방향으로 규제되어 안내되는 하에서 행해지고, 따라서, 안내부(23a, 23b)가 계합부(38a, 38b)에 각각 계합하는 상태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얻어진다.
이 때, 도 17에 있어서의 XIX-XIX선을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 19에 나타나듯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b)의 계합구멍(36b)이 설치된 부분이, L방향 및 S방향의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계합 돌기(16d)가 설치된 부분과 정렬 커버(13)의 평판 모양부(20)에 있어서의 단부와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의 계합구멍(36a)이 설치된 부분이, L방향 및 S방향의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계합 돌기(16c)가 설치된 부분과 정렬 커버(13)의 평판 모양부(20)에 있어서의 단부와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도16~도 19에 나타나는 상태 하에 있어서도,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는, 아직도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의 위치에는 달하지 않았다.
그 후, 커넥터 장치(11)가,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2a, 22b)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계합부(37a, 37b)에 각각 계합시킴과 아울러, 정렬 커버(13)에 설치된 안내부(23a, 23b)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계합부(38a, 38b)에 각각 계합시킨 하에서, S방향에 있어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더 이동시켜지게 된다.
이에 의해 도 20, 도 21 및 도 22, 또 도 20에 나타나는 직사각형틀 F4 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 23에 나타나듯이, 안내부(22a, 22b)가 계합부(37a, 37b)에 각각 계합함과 아울러, 안내부(23a, 23b)가 계합부(38a) 및 계합부(38b)에 각각 계합하고, 이에 더하여 도 20 및 도 23에 나타나듯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의 단부(35b)에 있어서의 계합부(38b)와 탄성편부(40b)가 설치된 부분이,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단면부(25b)와 거기에 대향하는 안내부(23b)에 의해 끼워지는 것으로 되고, 마찬가지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의 단부(35a)에 있어서의 계합부(38a)와 탄성편부(40a)가 설치된 부분이,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단면부(25a)와 거기에 대향하는 안내부(23a)에 의해 끼워지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하에서 행해지는 커넥터 장치(11)의 S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은, 예를 들면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양단부(16a, 16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의 단부(35a)에 있어서의 탄성편부(40a)가 설치된 부분 및 단부(35b)에 있어서의 탄성편부(40b)가 설치된 부분에 각각 맞닿는 상태가 될 때까지 행해진다.
그리고, 도 20,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양단부(16a, 16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의 단부(35a)에 있어서의 탄성편부(40a)가 설치된 부분 및 단부(35b)에 있어서의 탄성편부(40b)가 설치된 부분에 각각 맞닿고, 커넥터 장치(11)의 S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종료한 상태가 취해질 때는,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설치된 계합 돌기(16c, 16d)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 35b)에 설치된 계합구멍(36a, 36b)에 각각 계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설치된 계합 돌기(16c, 16d)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 35b)에 설치된 계합구멍(36a, 36b)에 각각 계합할 때에는,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의 위치에 이르고 있어, 감합 볼록부(17)가 감합 오목부(33)에 감합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러한 감합 볼록부(17)의 감합 오목부(33)와의 감합은, 안내부(22a, 22b)가 계합부(37a, 37b)에 각각 계합함과 아울러, 안내부(23a, 23b)가 계합부(38a) 및 계합부(38b)에 각각 계합하고, 이에 더하여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의 단부(35b)에 있어서의 계합부(38b)와 탄성편부(40b)가 설치된 부분이,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단면부(25b)와 거기에 대향하는 안내부(23b)에 의해 끼워짐과 아울러,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의 단부(35a)에 있어서의 계합부(38a)와 탄성편부(40a)가 설치된 부분이,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단면부(25a)와 거기에 대향하는 안내부(23a)에 의해 끼워지는 것으로 된 하에서, 커넥터 장치(11)가 S방향에 있어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즉, 커넥터 장치(11)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계합부(37a, 38a)에 각각 계합하는 안내부(22a, 23a)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계합부(37b, 38b)에 각각 계합하는 안내부(22b, 23b)가 설치된 정렬 커버(13)에 의해, 절연 하우징(15)에 대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에 대한,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이 규제된 안내가 행해지는 하에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됨으로써,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에 감합하는 상태가 얻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감합 볼록부(17)가 감합 오목부(33)에 감합하는 상태는 용이하고 원활하게 얻어지게 된다.
또한,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설치된 계합 돌기(16c, 16d)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 35b)에 설치된 계합구멍(36a, 36b)에 각각 계합했을 때에는,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계합 돌기(16d)가 설치된 부분과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b)의 계합구멍(36b)이 설치된 부분과의 관계는,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계합 돌기(16d)가 설치된 부분이, 도 19에 나타나는 상태로부터, 또한, S방향에 있어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측으로 이동한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되고,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b)의 계합구멍(36b)이 설치된 부분이, L방향 및 S방향의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계합 돌기(16d)가 설치된 부분과 정렬 커버(13)의 평판 모양부(20)에 있어서의 단부에 의해 끼워진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의 계합구멍(36a)이 설치된 부분이, L방향 및 S방향의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계합 돌기(16c)가 설치된 부분과 정렬 커버(13)의 평판 모양부(20)에 있어서의 단부에 의해 끼워진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b)의 계합구멍(36b)이 설치된 부분이, L방향 및 S방향의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계합 돌기(16d)가 설치된 부분과 정렬 커버(13)의 평판 모양부(20)에 있어서의 단부에 의해 끼워진 것으로 됨과 아울러,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의 계합구멍(36a)이 설치된 부분이, L방향 및 S방향의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계합 돌기(16c)가 설치된 부분과 정렬 커버(13)의 평판 모양부(20)에 있어서의 단부에 의해 끼워진 것으로 됨으로써, L방향 및 S방향의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에 대한 커넥터 장치(11)의 자세 변동이 저지되어 커넥터 장치(11)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상호 계합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그 후, 커넥터 장치(11) 및 기판측 커넥터 장치(30)가, 상호 계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로부터 발탈되는데 즈음해서는, 감합 볼록부(17)가 감합 오목부(3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진 커넥터 장치(11)가, S방향에 있어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된다. 그 때,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b)의 계합구멍(36b)이 설치된 부분이, L방향 및 S방향의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계합 돌기(16d)가 설치된 부분과 정렬 커버(13)의 평판 모양부(20)에 있어서의 단부에 의해 끼워진 것으로 됨과 아울러,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있어서의 단부(35a)의 계합구멍(36a)이 설치된 부분이, L방향 및 S방향의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6)에 있어서의 계합 돌기(16c)가 설치된 부분과 정렬 커버(13)의 평판 모양부(20)에 있어서의 단부에 의해 끼워진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에 대해서 커넥터 장치(11)가 L방향 및 S방향의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절연 하우징(31) 및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3)로부터, “흔들림”을 일으키는 일 없이, S방향으로 적정하게 발탈된다. 또, 커넥터 장치(11)의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감합 오목부(33)로부터 발탈될 때,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의 단부(35b)에 있어서의 계합부(38b)와 탄성편부(40b)가 설치된 부분이,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단면부(25b)와 거기에 대향하는 안내부(23b)에 의해 끼워지는 것으로 되고, 마찬가지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의 단부(35a)에 있어서의 계합부(38a)와 탄성편부(40a)가 설치된 부분이,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5)에 있어서의 단면부(25a)와 거기에 대향하는 안내부(23a)에 의해 끼워지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에 대해서 커넥터 장치(11)가 L방향으로 변위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11)의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감합 오목부(33)로부터, “흔들림”을 일으키는 일 없이, S방향으로 적정하게 발탈된다.
이어서, 커넥터 장치(11)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계합부(37a, 38a)에 각각 계합하는 안내부(22a, 23a)와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의 도전성 쉘(32)에 설치된 계합부(37b, 38b)에 각각 계합하는 안내부(22b, 23b)가 설치된 정렬 커버(13)에 의해, 절연 하우징(15)에 대해서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30)에 대한,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이 규제된 안내가 행해지는 하에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되고,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11)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30)로부터의 이탈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행해진다.
상술의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는, 그 커넥터 본체부(12)에 장착되는 정렬 커버(13)가, 커넥터 본체부(12)에, 예를 들면 그것이 구비하는 도전성 쉘(16)에 납땜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정렬 커버(13)는 커넥터 본체부(1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것으로 되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절연 하우징에 설치되어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이 배열 배치되는 감합부를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부에 감합시켜서,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을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된 도전 콘택트에 접촉 접속시킬 때에,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부와의 감합이 적정하고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상태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1 커넥터 장치 12 커넥터 본체부
13 정렬 커버(alignment cover)
14 동축 케이블
15, 31 절연 하우징 16, 32 도전성 쉘(shell)
16a, 16b 단부(도전성 쉘(16)의)
16c, 16d 계합 돌기
17 감합 볼록부
18,34 도전 콘택트
20 평판 모양부(flat plate portion)(정렬 커버(13)의)
21a. 21b, 37a, 37b, 38a, 38b 계합부
22a, 22b, 23a, 23b 안내부
24a, 24b 계합 안내부
25a, 25b 단면부(절연 하우징(15)의)
30 기판측 커넥터 장치(상대측 커넥터 장치)
33 감합 오목부 35a, 35b 단부(도전성 쉘(32)의)
36a, 36b 계합구멍 39a, 39b 접지 접속 단자
40a, 40b 탄성편부 (彈性片部)

Claims (6)

  1.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제2의 감합부가 설치된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제2의 감합부에 배열 배치되는 접촉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절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의 감합부가 상기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제1의 도전 콘택트에 접촉 접속되는 복수의 제2의 도전 콘택트와,
    상기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과,
    이 도전성 쉘에 그 외면을 부분적으로 덮어 장착되고, 상기 제2의 감합부의 상기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에 즈음하여, 상기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을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상기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계합시켜서, 상기 절연 하우징의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정렬 커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커버가, 상기 양단 부분의 각각에,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기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1의 안내부와, 이 제1의 안내부로부터 상기 제2의 감합부측으로 이격된 제2의 안내부가, 상기 제2의 감합부의 상기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에 즈음하여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부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부가, 상기 정렬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성 쉘의 외면을 따라 퍼지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기 단면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뻗는 것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부가, 상기 제2의 감합부의 상기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에 즈음하여, 먼저, 상기 제2의 안내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상기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제1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상기 절연 하우징에 대한 안내를 행하고, 이어서 상기 제1의 안내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상기 단부에 설치된 제2의 계합부에 계합하고, 이 제2의 계합부를 상기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단면부와에 의해 상기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사이에 두고, 상기 절연 하우징에 대한 새로운 안내를 행하는 것으로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의 감합부의 상기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이 완료하는 상태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 부분의 각각이, 상기 제2의 감합부의 상기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상기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일부분을, 상기 도전성 쉘의 외면으로 상기 접촉 부분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사이에 두는 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 부분의 각각과 상기 도전성 쉘의 외면이, 상기 제2의 감합부의 상기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상기 단부를 형성하는 도전성 쉘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는 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17005073A 2008-09-19 2008-10-27 커넥터 장치 KR101249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0640 2008-09-19
JP2008240640A JP4558824B2 (ja) 2008-09-19 2008-09-19 コネクタ装置
PCT/JP2008/069467 WO2010032341A1 (ja) 2008-09-19 2008-10-27 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494A true KR20110050494A (ko) 2011-05-13
KR101249146B1 KR101249146B1 (ko) 2013-04-01

Family

ID=4203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073A KR101249146B1 (ko) 2008-09-19 2008-10-27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17543B2 (ko)
EP (1) EP2328240B1 (ko)
JP (1) JP4558824B2 (ko)
KR (1) KR101249146B1 (ko)
CN (1) CN102217146B (ko)
TW (1) TW201014072A (ko)
WO (1) WO20100323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283B1 (ko) * 2012-05-17 2014-12-09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KR20200045411A (ko) * 2018-10-22 2020-05-04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240222A (en) * 2011-03-18 2012-10-01 Ant Prec Industry Co Ltd Thin plug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5779004B2 (ja) * 2011-06-14 2015-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435499B (zh) * 2011-09-13 2014-04-21 Wistron Corp 通訊連接器
JP5821564B2 (ja) * 2011-11-21 2015-11-2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597051B2 (en) * 2012-03-02 2013-12-0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Receptacle connector
CN104103927B (zh) * 2013-04-15 2018-05-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件
JP6052268B2 (ja) * 2014-11-28 2016-12-2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6634856B2 (ja) * 2016-02-04 2020-01-2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1592564S (ko) * 2017-04-07 2017-12-11
JP7247814B2 (ja) * 2019-08-22 2023-03-29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7263A (en) * 1983-03-10 1987-08-18 Amp Incorporated Shielding kit for electrical connectors terminating multiconductor 360 degree shielded cable
JP2913156B2 (ja) * 1996-02-21 1999-06-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JP3196018B2 (ja) * 1997-03-31 2001-08-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JP2001223057A (ja) 2000-02-09 2001-08-17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637859B2 (ja) 2000-09-14 2005-04-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2164116A (ja) * 2000-11-24 2002-06-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装置
US7344409B2 (en) * 2005-02-23 2008-03-1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guide member
CN100399637C (zh) * 2005-05-16 2008-07-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7179942A (ja) * 2005-12-28 2007-07-12 Niles Co Ltd スライド・ドアの導通接続装置
JP4274381B2 (ja) * 2006-10-13 2009-06-03 Smk株式会社 極細同軸ケーブルの端末接続方法
JP4286279B2 (ja) * 2006-10-31 2009-06-24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装置
JP2008140555A (ja) * 2006-11-30 2008-06-19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283B1 (ko) * 2012-05-17 2014-12-09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KR20200045411A (ko) * 2018-10-22 2020-05-04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17146A (zh) 2011-10-12
CN102217146B (zh) 2013-12-25
KR101249146B1 (ko) 2013-04-01
EP2328240A4 (en) 2013-09-25
EP2328240B1 (en) 2016-10-05
EP2328240A1 (en) 2011-06-01
US8317543B2 (en) 2012-11-27
TW201014072A (en) 2010-04-01
JP2010073535A (ja) 2010-04-02
JP4558824B2 (ja) 2010-10-06
TWI369822B (ko) 2012-08-01
US20110165790A1 (en) 2011-07-07
WO2010032341A1 (ja)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146B1 (ko) 커넥터 장치
KR20180123980A (ko) 커넥터
JP4522440B2 (ja) 基板搭載用コネクタ及びその相手方コネクタ並びに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
US11349240B2 (en) Flo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KR20130061056A (ko) 배선 단자 접속 장치
JP2018186056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20130344710A1 (en) Circuit board-circuit board connector
EP3316406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US8942007B2 (en) Electrical component
WO2010045338A1 (en) Board-to-board connector
JP2018092780A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US11322870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141478A (ko)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9339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US11289841B2 (en) Cable connector
JP4837631B2 (ja) 電気接続部品
JP5218786B2 (ja) コネクタ装置
JP7263494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2168886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196402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8037265A (ja)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2017139170A (ja) コネクタ装置
JP2021051977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5988029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1003393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