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187A -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187A
KR20180106187A KR1020170033951A KR20170033951A KR20180106187A KR 20180106187 A KR20180106187 A KR 20180106187A KR 1020170033951 A KR1020170033951 A KR 1020170033951A KR 20170033951 A KR20170033951 A KR 20170033951A KR 20180106187 A KR20180106187 A KR 2018010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ent
terminal
plug connec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143B1 (ko
Inventor
이혜준
임채은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14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그 길이 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일면이 절곡되어 상기 관통구 내부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관통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 및 이와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보드(board) 또는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는 돌출된 터미널부를 포함하고, 리셉터클 커넥터는 터미널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또는 체결 후 단자 간의 접촉 유지가 제품 신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8621호에는 표면실장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향상된 제품 신뢰성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향상된 제품 신뢰성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이와 결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그 길이 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일면이 절곡되어 상기 관통구 내부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관통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관통구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관통구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는 연직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는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d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타측으로 절곡되어 압착되는 중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저면이 실장되는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터미널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보드에 실장되고는 플러그 커넥터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그 길이 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제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일면이 절곡되어 상기 관통구 내부로 연장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가 상기 관통구 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및 내부에 상기 터미널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2 하우징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구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의 삽입 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일면을 가압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타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는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일단이 소정 각도로 절곡된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탈거 시 말단부의 절곡면으로 상기 돌기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타측으로 절곡되어 압착되는 중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저면이 실장되는 제1 보드,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저면이 실장되는 제2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가 두 개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중첩된 두 개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미널부를 포함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위치 변동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의 탄성 변형으로 터미널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간의 전기적 연결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는 향상된 제품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포함된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포함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 전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 후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포함된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포함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 전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 후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제1 보드(500)에 실장된 제1 하우징부(105)와, 제1 하우징부(105)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터미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05)는 저면부(145), 측면부(155) 및 상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155)는 상면부(110)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저면부(145)는 측면부(155)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1 보드(50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Y)은 제1 하우징부(105)의 폭 방향이고, 제3 방향(Z)은 제1 하우징부(105)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저면부(145)는 도 2a 내지 도 2c 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부(155)의 양 측으로부터 절곡된 양단이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상면부(110)가 측면부(155)의 양 측으로부터 절곡된 양단이 만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하우징부(105)의 상면부(110), 측면부(155) 및 저면부(145)에 의해 제1 하우징부(105)를 제3 방향(Z), 즉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40)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05)는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금 또는 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부(105)의 표면에는 주석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부(160)는 제1 하우징부(105)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에에서, 상기 제1 하우징부(105)의 일면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하우징부(105)의 상면부(110)일 수 있다. 즉, 터미널부(160)는 제1 하우징부(105)의 상면부(110)로부터 절곡되고, 제3 방향(Z)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미널부(160)는 제1 하우징부(105)의 상면부(110)가 관통구(14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연결부(120)와, 제1 연결부(120)가 제1 하우징부(105) 내부에서 절곡되어 관통구(140)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1)로부터 연장되어 제1 하우징부(105) 외부로 노출되고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접촉하는 접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20)와 제1 하우징부(105)의 상면부(110)는, 관통구(140)의 내측으로 절곡하는 제1 절곡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31)는 관통구(140) 내부에서 절곡하는 제2 절곡부(12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절곡부(115)를 통해 제1 연결부(120)와 제1 하우징부(105)의 상면부(110)는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2 절곡부(125)를 통해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31)는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05)의 상면부(110), 제1 연결부(120), 제2 연결부(131)는 제2 방향(Y)으로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반면, 제1 하우징부(105) 외부로 노출된 접촉부(130)는 제1 하우징부(105)의 상면부(110), 제1 연결부(120), 제2 연결부(131)와 제2 방향(Y)으로 각각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절곡부(115) 및 제2 절곡부(125)는 각각의 형상으로 인해 터미널부(160)에 수직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Y 방향)의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터미널부(160)는 일측이 제1 절곡부(115) 및 제2 절곡부(125)를 통하여 제1 하우징부(105)의 상면부(110)와 연결되는 외팔보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부(160)가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커넥터(100)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변위에도 불구하고 터미널부(16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부(160)는 제1 하우징부(105)의 저면부(145)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터미널부(160)는 제1 하우징부(105)의 저면부(145)가 관통구(14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연결부(120)와, 이들과 각각 연결되는 제2 연결부(131) 및 접촉부(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미널부(160)는 제1 하우징부(105)와 일체로(integrally)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부(160)는 제1 하우징부(105)와 같이 구리, 알루미늄, 은, 금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부(130)는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돌기부(135)가 형성된 접촉부의 상면을 일측이라 하고, 이와 대향되는 하면을 타측이라고 한다. 돌기부(135)는 접촉부(130)의 일측에서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35)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결합 시 터미널부(16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접촉부(130)의 타측에는 중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첩부(132)는 접촉부(130)의 폭 방향(X)의 양단으로부터 접촉부(130)의 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중첩부(132)는 상기 타측으로 절곡된 부분이 접촉부(130)의 후면으로 압착되어 납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첩부(132)로 인해 증가된 터미널부(160)의 두께로 인해,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100)의 결합 시 터미널부(160)의 탈락을 방지하는 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실장부(15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1 보드(500)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예를 들어, 제1 보드(500) 상에 실장부(150)를 솔더링 하여 고정될 수 있다. 실장부(150)와 실장되는 제1 보드(500)의 표면상에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있을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터미널부(160)가 삽입되는 삽입구(255)가 형성된 제2 하우징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205)는 저면부(230), 측면부(245) 및 상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245)는 상면부(210)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저면부(230)는 측면부(245)의 양 측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 보드(60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저면부(145)는 도 3a 내지 3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부(245)의 양측에서 절곡된 양단이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상면부(210)가 측면부(245)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된 양단이 서로 만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도 3b와 같이 제2 하우징부(205)는 삽입구(255)에 의해 완전히 관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하우징부(205)는 터미널부(160)가 삽입되는 측의 반대측을 막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하우징부(205)의 상면부(210)로부터 고정부(225)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25)는, 제2 하우징부(205)의 상면부(210)가 삽입구(255)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205)의 상면부(210)와 고정부(225) 사이에는 삽입구(255)의 내측으로 절곡하는 절곡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부(160)가 삽입구(255)를 통해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삽입된 경우, 고정부(225)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220)를 통해 삽입된 터미널부(160)의 일측과 접촉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하우징부(205)의 저면부(230) 상에서 돌출된 제2 돌출부(235)는 중첩부(132)와 접촉할 수 있다.
고정부(225)는 일단이 제2 하우징부(205)의 상면부(210)에 고정되어, 제2 하우징부(205)의 저면부(230)의 수직한 방향(즉 도 4의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터미널부(160)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제1 돌출부(220)와 제2 돌출부(235)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터미널부(160)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제1 돌출부(220)는 고정부(225)가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제2 돌출부(235)와 서로 접촉하고 있을 수 있다.
고정부(225)의 일단이 소정 각도로 구부러져 말단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말단부(221)는 터미널부(160)의 탈거 시 고정부(225)의 일단이 돌기부(135)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곡면으로 돌기부(135)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225)는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고정부(225a, 225b)로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고정부(225a, 225b) 상에 각각 두 개의 제1 돌출부(220a, 220b)가 형성되며, 이와 대응하는 저면부(230) 상의 제2 돌출부(235a, 235b) 또한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225), 제1 돌출부(220) 및 제2 돌출부(235)는 각각 하나씩 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하우징부(205)는 실장부(250)에 의해 제2 보드(600)에 실장될 수 있다. 실장부(250)는 솔더링 등을 통해 제2 보드(6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실장부(250)가 실장되는 제2 보드(600)의 표면상에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있을 수 있다.
터미널부(160)가 삽입구(255)에 삽입되어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체결되면, 고정부(225)는 제1 돌출부(220)를 통해 터미널부(160)와 접촉하여 터미널부(160)의 일측을 가압한다. 이와 동시에, 제2 하우징부(205)의 저면부(230) 상의 제2 돌출부(235)는 터미널부(160)의 타측, 즉 중첩부(132)와 접촉하여 이를 가압한다. 이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각각 실장되는 제1 및 제2 보드(500, 600), 또는 제1 및 제2 보드(500, 600)가 장착되는 전자 제품에 가해지는 외적 요인으로 인하여, 제1 및 제2 보드(500, 600) 사이, 또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변형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환경에서, 제1 및 제2 보드(500, 600)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방향(Z)으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서로 결합된다.
그러나, 플러그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자체의 열, 또는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제품에 발생한 열로 인하여 제품 변형이 발생하거나, 플러그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 상에 진동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 사이의 위치 관계가 도 7a 및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화할 수 있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것은,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수평 레벨이 제1 거리(D1)만큼 상대적으로 상승한 경우(도 7a)와,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수평 레벨이 제2 거리(D2)만큼 상대적으로 하강한 경우(도 7b)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는, 제1 하우징부(105)의 내부에서 제2 절곡부(125)로 서로 연결되고 서로 대향되는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31)의 중첩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변위 발생 시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31)가 각각 탄성 변형되고, 제2 연결부(131)로부터 연장된 접촉부(130)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촉부(130)와 고정부(225) 또는 제2 돌출부(235) 사이의 접촉이 유지되며,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 사이의 전기적 연결도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진동 또는 열로 인한 커넥터 사이의 변위 발생에도 불구하고 동작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 7a 및 7b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00)의 병진 방향의 변위 발생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보드(500)가 제2 보드(6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회전 방향의 변위 발생의 경우에도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131)의 탄성 변형에 의해 터미널부(16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 사이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플러그 커넥터 105: 제1 하우징부
110, 210: 상면부 115: 제1 절곡부
120: 제1 연결부 125: 제2 절곡부
130: 접촉부 140: 관통구
200: 리셉터클 커넥터 205: 제2 하우징부
220: 제1 돌출부 225: 고정부
235: 제2 돌출부

Claims (14)

  1. 그 길이 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일면이 절곡되어 상기 관통구 내부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관통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관통구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관통구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는 연직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타측으로 절곡되어 압착되는 중첩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저면이 실장되는 보드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터미널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플러그 커넥터.
  8. 보드에 실장되고는 플러그 커넥터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그 길이 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제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일면이 절곡되어 상기 관통구 내부로 연장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가 상기 관통구 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및
    내부에 상기 터미널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2 하우징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구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의 삽입 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일면을 가압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타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단이 소정 각도로 절곡된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탈거 시 말단부의 절곡면으로 상기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타측으로 절곡되어 압착되는 중첩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플러그 커넥터.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저면이 실장되는 제1 보드,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저면이 실장되는 제2 보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70033951A 2017-03-17 2017-03-17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8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951A KR102182143B1 (ko) 2017-03-17 2017-03-17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951A KR102182143B1 (ko) 2017-03-17 2017-03-17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87A true KR20180106187A (ko) 2018-10-01
KR102182143B1 KR102182143B1 (ko) 2020-11-23

Family

ID=6387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951A KR102182143B1 (ko) 2017-03-17 2017-03-17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06A1 (ko) * 2021-06-25 2022-12-29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136A (ko) * 2004-05-27 2006-05-1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기판취부형 전기커넥터
JP4946863B2 (ja) * 2005-03-24 2012-06-06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の電線接続構造および電線接続構造を有する合わせガラス
JP2013089372A (ja) * 2011-10-14 2013-05-13 Jst Mfg Co Ltd 接続端子
KR101458621B1 (ko) * 2013-09-12 2014-11-12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JP2015220017A (ja) * 2014-05-15 2015-12-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端子金具、端子金具
JP2016018596A (ja) * 2014-07-04 2016-02-01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コネクタ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136A (ko) * 2004-05-27 2006-05-1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기판취부형 전기커넥터
JP4946863B2 (ja) * 2005-03-24 2012-06-06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の電線接続構造および電線接続構造を有する合わせガラス
JP2013089372A (ja) * 2011-10-14 2013-05-13 Jst Mfg Co Ltd 接続端子
KR101458621B1 (ko) * 2013-09-12 2014-11-12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JP2015220017A (ja) * 2014-05-15 2015-12-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端子金具、端子金具
JP2016018596A (ja) * 2014-07-04 2016-02-01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コネクタ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06A1 (ko) * 2021-06-25 2022-12-29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KR20230000588A (ko) *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143B1 (ko)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430B1 (ko) 전기 커넥터
KR100721071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접속 구조
KR101249146B1 (ko) 커넥터 장치
TWI225321B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 and flexible circuit board
KR20080007625A (ko) 커넥터 조립체
JP2002033147A (ja) 電気コネクタ
KR20090004550A (ko) 낮은 프로파일의 기판탑재 커넥터
US8942007B2 (en) Electrical component
US9343832B2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830529B2 (ja) 可撓性平型導体ケーブルの接続コネクタ
KR20190085601A (ko) 플러그 커넥터
US20100203747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embossed contact engaging portion
KR20180106187A (ko)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0664236B1 (ko) 지프 콘넥터의 에프피시비 이탈 방지장치
JP3784019B2 (ja) コネクタ
KR20050080434A (ko) 모듈용 커넥터
US5938464A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JP4837631B2 (ja) 電気接続部品
JP2007305531A (ja) 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H043430Y2 (ko)
JP4563250B2 (ja)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並びに、携帯型無線端末又は小型電子機器
JP2018073758A (ja) 電気コネクタ
JP2002095135A (ja) 基板の電気接続構造
JP2001351706A (ja) フラット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S5828371Y2 (ja) 回路接続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