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588A -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0588A KR20230000588A KR1020210082876A KR20210082876A KR20230000588A KR 20230000588 A KR20230000588 A KR 20230000588A KR 1020210082876 A KR1020210082876 A KR 1020210082876A KR 20210082876 A KR20210082876 A KR 20210082876A KR 20230000588 A KR20230000588 A KR 202300005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lectric
- disposed
- hole
- pin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기판에 배치되는 리셉터클;및 상기 리셉터클과 결합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일측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접촉부가 배치되는 핀; 상기 핀의 외측에 배치되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쉴드캔;및 상기 쉴드캔의 외측에 배치되는 플러그 쉘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는 상기 핀이 배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유전체의 외면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제2 홀에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가 상기 제1 홀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의 접점에 직접 탄성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예컨대, 유무선 통신기기 등)에서 내부회로는 회로기판에 구현된다. 회로기판을 다른 전자장치 또는 다른 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사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플러그 커넥터는 케이블과 결합되며,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체결되면, 플러그 커넥터의 핀이 회로기판에 직접 탄성접촉하여 케이블과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는 5G 등 초고속 무선통신 장치에도 널리 이용되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뛰어난 전자파 차폐 성능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커넥터 조립체는 고주파에서 요구되는 전자파 차폐 성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하나의 커넥터로 다수의 케이블과 회로기판을 동시에 연결하는 경우 커넥터 내에서의 케이블 간 및 핀 간의 전자파 간섭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할 때, 기판의 접점과 연결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핀과 플러그 커넥터의 핀이 접촉하여야 하기 때문에, 핀 구조가 복잡하고, 나아가 커넥터 조립체의 전체 구조가 복잡하며 부품수가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파 차폐 성능이 뛰어나고, 또한 다수의 케이블과 회로기판을 동시에 연결하면서 커넥터 내에서의 케이블 간 및 신호핀 간의 전자파 간섭을 최소화하면서도, 구성이 간소한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기판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및 상기 리셉터클과 결합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일측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접촉부가 배치되는 핀과, 상기 핀의 외측에 배치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쉴드캔 및 상기 쉴드캔의 외측에 배치되는 플러그 쉘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는 상기 핀이 배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유전체의 외면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제2 홀에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가 상기 제1 홀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의 접점에 직접 탄성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은, 상기 접촉부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2 영역은 평행 혹은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는 제1-1 영역과, 상기 제1-1 영역에서 상기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제2 영역에 연결되는 제1-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은 제2-1 홀과 제2-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2-1 홀 및 상기 제2-2 홀과 연통하고, 상기 제2-1 홀의 방향과 상기 제2-2 홀의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영역은 상기 제2-1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2 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영역 및 상기 접촉부는 상기 유전체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는 제2-2 홀과 연통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는 상기 제2 홈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홈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는 상기 쉴드캔과 접촉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캔은 상기 돌기가 배치되는 제3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는 상기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4 홈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캔은 상기 제4 홈에 배치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는 2개의 상기 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는 상기 제1 홀의 내벽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는 제5 홈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의 제1 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5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일측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접촉부가 배치되는 핀과, 상기 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을 고정하는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캔 및 상기 쉴드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플러그 쉘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접촉부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2 영역은 평행 또는 사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유전체의 외면보다 돌출되어, 상기 핀은 상기 접촉부의 눌림에 대응하여 복원력을 갖을 수 있다.
실시예는, 쉴드캔과 플러그 쉘을 통해 이중으로 전자파를 차폐하여, 차폐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쉴드캔의 일부영역이 인접하는 2개의 핀 사이에 위치하여, 2개의 핀 사이에서 신호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플러그 커넥터의 핀이 회로기판의 접점에 직접 탄성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구성이 간소하고, 부품수가 적은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핀이 회로기판의 접점에 직접 탄성 접촉하는 구성이지만. 유전체가 핀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핀의 강성을 확보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유전체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베이스의 제1 홀의 내벽으로 안내되어 핀과 회로기판의 접점의 정렬이 용이하고,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유전체의 제1 돌기가 쉴드캔의 제3 홈에 삽입됨으로써, 유전체의 고정력일 높이고, 조립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핀이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2 영역과, 접촉부와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접촉부와 제2 영역이 평행 또는 사선으로 배치되어, 회로기판의 접점에 대한 접촉력을 높이고 핀의 복원력을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접촉부와 연결된 핀의 제1 영역의 일부가 유전체와 이격되어, 접촉부가 눌릴때, 핀의 복원력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핀의 접촉부가 눌릴 때, 유전체의 제2 홈을 통해 핀이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베이스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핀의 측면도,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한 유전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D-D를 기준으로 하는 유전체의 측단면도,
도 9는 핀이 고정된 유전체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E-E를 기준으로 하는 유전체의 측단면도,
도 11은 상부 쉴드캔의 저면도,
도 1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15는 하측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
도 16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베이스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핀의 측면도,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한 유전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D-D를 기준으로 하는 유전체의 측단면도,
도 9는 핀이 고정된 유전체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E-E를 기준으로 하는 유전체의 측단면도,
도 11은 상부 쉴드캔의 저면도,
도 1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15는 하측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
도 16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커넥터 조립체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커넥터 조립체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커넥터 조립체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수평”은 x-y평면과 평행한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후면", "후방"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케이블을 향하는 방향이고, "전면", "전방"은 그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하면", "하측"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플러그 커넥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상면", "상측"은 그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200)는 전후방향(x)으로 케이블(10)과 연결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케이블(10)을 동축케이블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케이블(10)은 동축케이블 대신에 데이터 케이블(data cable), 와이어(wire), FFC(Flexible Flat Cable),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일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방향은 상하방향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별도의 핀을 포함하지 않고, 플러그 커넥터(200)가 회로기판(도4의1)의 접점(CP)과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플러그 커넥터(20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베이스(110)와 탄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내측에 제1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H1)은 베이스(110)를 상하방향(z)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H1)은 격벽(111)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전자파 차폐 및 접지를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20)는 금속 또는 차폐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도록 부분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20)는 베이스(110)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탄성부(120)는 베이스(110)의 표면 중 플러그 커넥터(200)의 쉴드캔 및 플러그 쉘과 마주하는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탄성부(120)는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결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200)와 베이스(110) 사이의 이격을 최소화하여 차폐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탄성부(120)는 다수의 절개된 탄성편(121)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편(121)은 플러그 커넥터(200)의 쉴드캔 및 플러그 쉘과 마주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탄성편(121)은 플러그 커넥터(200), 탄성부(120), 베이스(110) 간의 접촉력을 증가시켜 차폐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베이스(110)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제1 홀(H1)은 격벽(11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나열되는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공간에 회로기판(1)의 접점(CP)이 각각 위치하도록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회로기판(1)에 실장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표면 실장(surface mount devices, SMD / surface mount technology, SMT) 방식, 관통 방식인 SIP(single in-line package), DIP(dual in-line package), QIP(quad in-line package) 방식 등으로 회로기판(1)에 실장되거나, 표면 실장 방식과 관통 방식을 혼용하여 실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별개의 부품이 아니라 회로기판(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플러그 커넥터(200)의 분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10)은 신호선(11)과, 신호선(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케이블 유전체(12)와, 케이블 유전체(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도체(13)와, 외부도체(13)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1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유전체(12)는 신호선(11)과 외부도체(13) 사이를 절연시키고 분리한다. 외부도체(13)는 신호선(11)의 전자기파를 차폐(shield)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도체(13)는 알루미늄, 구리 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외피(14)는 외부도체(1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 커넥터(20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안내를 통해, 회로기판(1)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0)는 2중으로 전자파를 차폐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200)는 핀(210)과 유전체(220)(dielectric)와 쉴드캔(230)(shield can)을 포함할 수 있다.
핀(210)의 일측은 케이블(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핀(210)은 하나의 케이블(10)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핀(210)의 개수는 케이블(10)수와 동일하다. 복수 개의 케이블(10)이 좌우방향(y)을 따라 병렬로 나열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핀(210)이 좌우방향(y)을 따라 병렬로 나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케이블(10)은 2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케이블(10)은 1개일 수도 있고,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케이블(10)의 신호선(11)과 핀(210)은, 핀(210)의 일측에 신호선(11)이 삽입되는 구조가 형성되어 연결되거나, 핀(210)의 일측을 오므리거나 솔더링하여 케이블(10)의 신호선(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전체(220)는 핀(210)의 타측을 고정하여 핀(210)의 강성을 확보하고, 핀(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유전체(220)의 좌우방향(y) 크기는 핀(2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쉴드캔(230)은 케이블(10)에서 생성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부재이다. 쉴드캔(23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쉴드캔(230)은 전체적으로 케이블(10)과 핀(210)의 연결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진다. 핀(210)의 전단부는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쉴드캔(230)은 핀(210)을 덮을 수 있다. 쉴드캔(230)과 핀(210)은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쉴드캔(230)은 상부 쉴드캔(231)과 하부 쉴드캔(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쉴드캔(231)은 케이블(10)과 핀(210)의 상측을 덮는다. 그리고 하부 쉴드캔(232)은 케이블(10)과 핀(210)의 연결부분의 하측을 덮는다. 상부 쉴드캔(231)은 핀(210)의 전단부까지 덮도록 하부 쉴드캔(232)보다 전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쉴드캔(231)과 하부 쉴드캔(23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쉴드캔(230)을 별품으로 구성되는 상부 쉴드캔(231)과 하부 쉴드캔(232)의 조합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쉴드캔(230)은 하나의 부재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쉴드캔(230)과 케이블(10)의 외부도체(13)는 솔더링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하면, 핀(210)은 회로기판(1)의 접점(CP)에 직접 접촉한다. 핀(210)이 회로기판(1)의 접점(CP)에 눌릴 때, 핀(210)과 회로기판(1)의 접점(CP)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핀(210)은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변형되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핀(210)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핀(210)은 접촉부(211)와 제1 영역(212)과 제2 영역(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11)와 제1 영역(212)과 제2 영역(213)은 기능과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구분되어 있을 뿐, 서로 연결된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접촉부(211)는 회로기판(1)의 접점(CP)과 접촉하는 영역이다. 접촉부(211)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212)은 접촉부(211)에서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6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212)은 전체적으로 상하방향(z)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영역(213)은 제1 영역(212)에서 제1 방향으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213)의 단부는 케이블(10)과 연결된다. 제2 영역(213)은 접촉부(211)와 평행 또는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핀(210)은 접촉부(211)가 회로기판(1)의 접점(CP)과 접촉할 때, 복원력을 충분이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영역(212)은 제1-1 영역(212a)과 제1-2 영역(21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1 영역(212a)은 접촉부(211)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는 영역이며, 제1-2 영역(212b)은 제1-1 영역(212a)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어 제2 영역(213)에 연결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 영역(212)의 일부가 제2 영역(213)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핀(210)의 복원력을 높이고, 접촉부(211) 부근에서 핀(210)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제1-1 영역(212a)을 유전체(220)와 후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한 유전체(22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D-D를 기준으로 하는 유전체(220)의 측단면도이다.
도 7및 도 8을 참조하면, 유전체(220)는 핀(210)을 고정하여 핀(210)의 강성을 확보한다. 또한, 유전체(220)는 핀(210)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유전체(220)는 핀(21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체(220)는 핀(210)이 배치되는 제2 홀(H2)과, 제2 홀(H2)과 연통되는 제1 홈(G1)과 제2 홈(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H2)은 제2-1 홀(H21)과 제2-2 홀(H2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홈(G1)은 제2-1 홀(H21)과 제2-2 홀(H22) 사이에 배치되며, 제2-1 홀(H21)과 제2-2 홀(H22)과 연통된다. 제1 홈(G1)은 유전체(220)의 상면과 전면의 모서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홈(G2)은 제2-2 홀(H22)과 연통된다. 그리고 제2 홈(G2)은 유전체(220)의 하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2 홀(H22)은 유전체(220)의 후면에서 제1 홈(G1)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1 홀(H21)은 제1 홈(G1)에서 제2 홈(G2)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2 홀(H22)은 전후방향(x)으로 배치되며, 제2-1 홀(H21)은 상하방향(z)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전체(220)는 상면에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제1 돌기(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P1)는 상부 쉴드캔(231)과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1 돌기(P1)는 상부 쉴드캔(231)의 제3 홈(도 11의 G3)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1 돌기(P1)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제1 돌기(P1)가 좌우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로 상부 쉴드캔(231)에 돌기가 배치되고, 유전체(220)에 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유전체(220)는 제4 홈(G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홈(G4)도 상부 쉴드캔(231)과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4 홈(G4)은 유전체(220)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홈(G4)은 유전체(220)의 후면과 전면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홈(G4)은 유전체(220)의 좌우방향(y)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홈(G4)은 좌우방향(y)으로 2개의 제1 홈(G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전체(220)는 제5 홈(G5)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홈(G5)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베이스(110)와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5 홈(G5)은 유전체(220)의 하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홈(G5)은 유전체(220)의 후면과 전면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5 홈(G5)은 유전체(220)의 좌우방향(y)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핀(210)이 고정된 유전체(22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E-E를 기준으로 하는 유전체(220)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핀(210)의 접촉부(211)는 상하"??*(z)으로 유전체(220)의 하면보다 돌출된다. 핀(210)의 제1-1 영역(212a)은 제2 홈(G2)에 위치하되, 유전체(220)와 이격되어, 접촉부(211)의 변형 공간이 확보된다. 제1-2 영역(212b)은 유전체(220)의 제2-1홀에 삽입된다. 제2 영역(213)은 제2-2 홀(H22)에 삽입되나. 제2 영역(213)과 제1-2 영역(212b)의 연결부부분은 제1 홈(G1)에 의해 노출된다.
이러한 유전체(220)는 핀(210)의 제2-2 홀(H22)을 통해 상하방향(z)으로 제2 영역(213)을 고정하고, 제2-1 홀(H21)을 통해 전후방향(x)으로 제1-2 영역(212b)을 고정하여, 핀(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방향(z)뿐만 아니라 전후방향(x)도 핀(210)을 고정함으로써, 핀(2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상부 쉴드캔(231)의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쉴드캔(231)은 유전체(220)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는 제2 돌기(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P2)는 유전체(220)의 제4 홈(G4)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2 돌기(P2)는 유전체(2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유전체(220)와 쉴드캔(230)의 조립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 돌기(P2)는 인접한 2개의 핀(210)의 전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핀(210) 사이에서 신호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쉴드캔(231)은 제3 홈(G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홈(G3)은 유전체(220)의 제1 돌기(P1)가 삽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로 상부 쉴드캔(231)에 돌기가 배치되고, 유전체(220)에 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될 때,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핀(210)이 회로기판(1)에 접촉하도록 유전체(22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유전체(220)의 전면과 양 측면은 각각 제1 홀(H1)의 내벽과 마주보고 배치된다.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될 때, 유전체(220)가 제1 홀(H1)의 내벽을 타고 삽입되기 때문에, 유전체(220)의 전면과 양 측면은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베이스(110)에 배치된 격벽(111)이 유전체(220)의 제5 홈(G5)에 삽입됨으로써, 유전체(22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베이스(110)와 조립성이 확보된다. 또한, 격벽(111)이 제5 홈(G5)을 따라 이동하면서, 핀(210)의 위치와 회로기판(1)의 접점(CP)의 위치가 정렬된다.
도 14는 도 1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하측에서 바라본 플러그 커넥터(200)의 분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쉴드캔(231)은 상부 안착홈(23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안착홈(231a)은 케이블(10)을 마주보는 상부 쉴드캔(231)의 내면에 배치되어 케이블(10)의 상측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쉴드캔(232)은 하부 안착홈(232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안착홈(232a)은 하부 쉴드캔(232)의 내면에 배치되어 케이블(10)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다.
상부 쉴드캔(231)은 케이블(10)을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는 제3 돌기(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기(P3)는 하부 쉴드캔(232)의 관통홀(232b)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3 돌기(P3)는 인접한 2개의 케이블(10)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케이블(10) 사이를 차폐하고, 인접하는 핀(210)의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핀(210)의 후단부 사이를 차폐한다. 또한, 제3 돌기(P3)는 관통홀(232b)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부 쉴드캔(231)과 하부 쉴드캔(232)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6은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00)는 플러그 쉘(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쉘(240)은 쉴드캔(230)의 외측에 배치된다.
플러그 쉘(240)은 핀(210)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쉴드캔(230)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플러그 쉘(240)은 전자파 차폐를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쉘(240)은 쉴드캔(230)의 후방에서 쉴드캔(230)의 밖으로 노출되는 케이블(10)의 일부분을 감싸 지지하는 감쌈부(24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감쌈부(241)는 플러그 쉘(240)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감쌈부(241)는 케이블(10)이 과도하게 꺾이거나 이탈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 쉘(240)은 전면 및 양 측면에 배치되는 탄성체결부(242,24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의 베이스(110)는 전면 및 양 측면에 탄성체결부(242,243)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홈(112,113)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하면, 탄성체결부(242,243)가 체결홈(112,113)에 체결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쉴드캔(231)의 상면에 복수 개의 제4 돌기(P4)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쉘(240)의 상부에는 제4 돌기(P4)에 대응하는 관통홀(2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돌기(P4)가 관통홀(244)에 삽입됨으로써 플러그 쉘(240)과 상부 쉴드캔(231)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10)의 신호선(11) 및 외부도체(13), 핀(210)을 통해 발생되는 전자파가 쉴드캔(230)에 의해 1차적으로 차폐되고 플러그 쉘(240)에 의해 2차적으로 차폐되므로 전자파 차폐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인접한 신호선(11) 간 또는 인접한 핀(210) 간의 전자파가 쉴드캔(230)의 제2 돌기(P2) 및 제3 돌기(P3)에 의해 차폐되므로 신호 간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차폐 성능 향상 또는 진동 등에 대한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플러그 쉘(240)을 커버하는 추가적인 쉘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플러그 쉘(240)의 전면과 측면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측면이 전면으로 연장 절곡되어 연장 절곡된 부분에 의해 전면 일부가 감싸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베이스
120: 탄성부
200: 플러그 커넥터
210: 핀
220: 유전체
230: 쉴드캔
240: 플러그 쉘
H1: 제1 홀
H2: 제2 홀
G1: 제1 홈
G2: 제2 홈
G3: 제3 홈
G4: 제4 홈
G5: 제5 홈
P1: 제1 돌기
P2: 제2 돌기
P3: 제3 돌기
P4: 제4 돌기
110: 베이스
120: 탄성부
200: 플러그 커넥터
210: 핀
220: 유전체
230: 쉴드캔
240: 플러그 쉘
H1: 제1 홀
H2: 제2 홀
G1: 제1 홈
G2: 제2 홈
G3: 제3 홈
G4: 제4 홈
G5: 제5 홈
P1: 제1 돌기
P2: 제2 돌기
P3: 제3 돌기
P4: 제4 돌기
Claims (11)
- 기판에 배치되는 리셉터클;및
상기 리셉터클과 결합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일측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접촉부가 배치되는 핀;
상기 핀의 외측에 배치되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쉴드캔;및
상기 쉴드캔의 외측에 배치되는 플러그 쉘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는 상기 핀이 배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유전체의 외면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제2 홀에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가 상기 제1 홀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의 접점에 직접 탄성 접촉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접촉부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2 영역은 평행 또는 사선으로배치되는 커넥터 조립체.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는 제1-1 영역과, 상기 제1-1 영역에서 상기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제2 영역에 연결되는 제1-2 영역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은 제2-1 홀과 제2-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2-1 홀 및 상기 제2-2 홀과 연통하고,
상기 제2-1 홀의 방향과 상기 제2-2 홀의 방향은 서로 상이한 커넥터 조립체.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영역은 상기 제2-1 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2 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영역 및 상기 접촉부는 상기 유전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넥터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제2-2 홀과 연통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는 상기 제2 홈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홈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쉴드캔과 접촉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캔은 상기 돌기가 배치되는 제3 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4 홈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캔은 상기 제4 홈에 배치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는 2개의 상기 핀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제1 홀의 내벽을 따라 안내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제5 홈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의 제1 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5 홈에 배치되는 커넥터 조립체. - 일측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접촉부가 배치되는 핀;
상기 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핀을 고정하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캔;및
상기 쉴드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플러그 쉘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접촉부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시계반대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2 영역은 평행 또는 사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유전체의 외면보다 돌출되어,
상기 핀은 상기 접촉부의 눌림에 대응하여 복원력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2876A KR102569847B1 (ko) | 2021-06-25 | 2021-06-25 |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
PCT/KR2022/008293 WO2022270806A1 (ko) | 2021-06-25 | 2022-06-13 |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
CN202280056190.1A CN117813732A (zh) | 2021-06-25 | 2022-06-13 | 包括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的连接器组件及插头连接器 |
JP2023579567A JP2024523562A (ja) | 2021-06-25 | 2022-06-13 |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とプラグコネクタと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及びプラグコネクタ |
US18/573,811 US20240291207A1 (en) | 2021-06-25 | 2022-06-13 |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2876A KR102569847B1 (ko) | 2021-06-25 | 2021-06-25 |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0588A true KR20230000588A (ko) | 2023-01-03 |
KR102569847B1 KR102569847B1 (ko) | 2023-08-23 |
Family
ID=8454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2876A KR102569847B1 (ko) | 2021-06-25 | 2021-06-25 |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91207A1 (ko) |
JP (1) | JP2024523562A (ko) |
KR (1) | KR102569847B1 (ko) |
CN (1) | CN117813732A (ko) |
WO (1) | WO20222708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7438B1 (ko) * | 2023-01-12 | 2024-06-21 | 주식회사 유니컨 | 통신 선로 및 커넥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63795A (ja) * | 2016-10-12 | 2018-04-19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構造 |
KR20180106187A (ko) * | 2017-03-17 | 2018-10-01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KR20180125831A (ko) * | 2017-05-16 | 2018-11-26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접점 커넥터 |
WO2019136199A2 (en) * | 2018-01-05 | 2019-07-11 | Molex, Llc |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differential pair cable interfa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6131B1 (ko) * | 2018-05-03 | 2019-08-01 | 주식회사 엠피디 |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
-
2021
- 2021-06-25 KR KR1020210082876A patent/KR1025698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6-13 WO PCT/KR2022/008293 patent/WO202227080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6-13 JP JP2023579567A patent/JP2024523562A/ja active Pending
- 2022-06-13 CN CN202280056190.1A patent/CN117813732A/zh active Pending
- 2022-06-13 US US18/573,811 patent/US2024029120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63795A (ja) * | 2016-10-12 | 2018-04-19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構造 |
KR20180106187A (ko) * | 2017-03-17 | 2018-10-01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KR20180125831A (ko) * | 2017-05-16 | 2018-11-26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접점 커넥터 |
WO2019136199A2 (en) * | 2018-01-05 | 2019-07-11 | Molex, Llc |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differential pair cable interfa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270806A1 (ko) | 2022-12-29 |
CN117813732A (zh) | 2024-04-02 |
KR102569847B1 (ko) | 2023-08-23 |
JP2024523562A (ja) | 2024-06-28 |
US20240291207A1 (en) | 2024-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64628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between low and high frequency terminals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using the same | |
US11769970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KR101344933B1 (ko) | 커넥터 조립체 | |
US11444414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JP7113551B2 (ja) |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に摺動挿入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 |
US11196203B1 (en)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 |
KR102569847B1 (ko) |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 |
US20240322497A1 (en)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 |
US20220329014A1 (en) |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shielding and grounding feature | |
JP2022183602A (ja) | 多連同軸コネクタ | |
JP2012114044A (ja) | ケーブルコネクタ | |
JP2024118334A (ja) |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 |
JP2024118335A (ja) |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連結体 | |
JP2024118333A (ja) | 電気コネクタ対 | |
JP2024110293A (ja) | 電気コネクタ装置、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