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737A - 감압 점착 테이프 제조용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감압 점착 테이프 제조용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737A
KR20110049737A KR1020100109788A KR20100109788A KR20110049737A KR 20110049737 A KR20110049737 A KR 20110049737A KR 1020100109788 A KR1020100109788 A KR 1020100109788A KR 20100109788 A KR20100109788 A KR 20100109788A KR 20110049737 A KR20110049737 A KR 20110049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dy
cylinder
tape
base material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쯔시 하마다
히로후미 도리따
신 사사끼
사또루 야마사끼
류지 구와바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9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01Supporting materials without tension, e.g. on or between foraminous belts
    • F26B13/104Supporting materials without tension, e.g. on or between foraminous belts supported by fluid jets only; Fluid blowing arrangements for flotation dryers, e.g. coanda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6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perforated in combination with hot air blowing or suction devices, e.g. sieve drum dr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1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dhesiv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8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heated or cooled, e.g. from inside, the material being dried on the outside surface by conduction
    • F26B13/183Arrangements for heating, cooling, condensate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dhesive Tap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감압 점착층이 띠 형상의 기다란 테이프 기재 상에 형성되는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건조 장치는 테이프 기재의 적어도 일표면 상에 코팅되는 코팅제를 건조한다.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는 테이프 기재는 실린더 본체의 일단측으로부터 실린더 본체의 타단측으로 활주 가능하게 실린더 본체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실린더 본체에는 둘레 벽 전체에 복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둘레 벽을 중심으로 테이프 기재가 나선형으로 권취되며, 공기 구멍을 통해 온풍 또는 열풍이 실린더 본체의 내부로부터 실린더 본체의 외부로 유동한다.

Description

감압 점착 테이프 제조용 건조 장치{DRY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2009년 11월 5일자 출원의 일본 특허공개 제2009-253758호의 개시내용은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띠 형상의 기다란 테이프 기재 상에 감압 점착층이 형성되는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로서, 테이프 기재 상에 코팅된 감압 점착제 또는 프라이머와 같은 코팅제를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압 점착층이 띠 형상의 테이프 기재 상에 형성되는 감압 점착 테이프는 의료용 또는 사무용으로 제공된다.
이들 점착 테이프는 용도에 따라, 상이한 재료 또는 구성의 테이프 기재 또는 감압 점착층을 갖는다. 각각의 테이프는 테이프 기재 상에 코팅된 감압 점착제 또는 프라이머와 같은 코팅제를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감압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테이프 기재 상에 직접 코팅되는 유동성을 갖는 점착제(fluidal adhesive)가 건조되어, 감압 점착 테이프는 감압 점착제가 직접 부착되는 감압 점착층을 갖거나, 테이프 기재 상에 코팅된 프라이머가 건조된 후에 건조된 프라이머 상에 코팅된 유동성을 갖는 점착제가 건조되어 감압 점착 테이프는 감압 점착제가 프라이머를 통해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감압 점착층을 갖게 된다.
따라서, 감압 점착 테이프의 제조 설비는 테이프 기재 상에 코팅되는 감압 점착제 또는 프라이머와 같은 코팅제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건조 장치는 챔버(건조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건조 챔버) 내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테이프 기재를 선형으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 및 반송 동안, 테이프 기재 또는 테이프 기재 상의 코팅제로 열풍을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열풍 발생 수단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건조 장치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반송 경로를 따라 그 길이 방향으로 테이프 기재를 반송하고, 동시에 테이프 기재 또는 테이프 기재 상의 코팅제로 열풍을 송풍한다.
이러한 종류의 건조 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기재를 반송하는 동안 테이프 기재 또는 테이프 기재 상의 코팅제로 열풍을 송풍함으로써 코팅제가 건조되기 때문에, 반송 경로의 길이 및 반송 속도는 코팅제를 건조하는데 필요한 건조 시간(열풍을 송풍하는 시간)을 얻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건조 장치는 건조 챔버 내에서 테이프 기재의 반송 공정 동안 코팅제의 건조를 완료한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JP-A-2001-354927
코팅제의 건조 공정(시간)은 코팅제를 데우는 예열 기간, 코팅제 내에 함유된 용제를 코팅제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항속 건조 기간 및 테이프 기재 상에 고착된 코팅제 내에 함유(잔존)된 용제를 확산시켜 코팅제 내의 용제의 양을 미리 결정된 값까지 감소시키는 감속 건조 기간으로 나뉜다. 항속 건조 기간은 대량의 용제가 코팅제 내에 함유되어 있어 대량의 용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비교적 단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감속 건조 기간은 항속 건조 기간 동안 대량의 용제가 제거되어 소량의 용제만이 코팅제에 잔류하고 있어 소량의 용제를 느린 속도로 제거하게 되며, 예열 기간 또는 항속 건조 기간에 비해 현저하게 긴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코팅제(예를 들어, 감압 점착제) 내에 함유된 용제의 허용량이 엄격하게 제한되고, 용제의 허용량이 낮은 값으로 설정되는 의료용 감압 점착 테이프를 대량 생산하는 경우에는, 감속 건조 기간이 오랜 시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건조 공정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요구된다.
따라서, 건조 장치의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해(코팅제를 건조시키기 위해), 테이프 기재의 반송 경로를 매우 길게 하여 긴 건조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며, 건조 장치는 규모 면에서 커진다.
건조 장치는 테이프 기재의 반송 속도를 늦추거나 반송 경로의 길이를 늘리므로써 건조 시간을 늘릴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테이프 기재의 반송 속도가 느리게 설정되면, 감압 점착 테이프의 생산량이 적어질 것이다. 따라서, 감압 점착 테이프가 대량 생산(미리 결정된 생산량으로 제조)되는 경우, 반송 경로의 길이는 필요한 건조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길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의료용 감압 점착 테이프와 같은, 코팅제(예를 들어, 감압 점착제) 내에 함유된 용제의 허용량이 엄격하게 제한되고 용제의 허용량이 낮은 값으로 설정되는 감압 점착 테이프를 대량으로 제조하는 경우, 종래의 건조 장치는 테이프 기재를 반송하는 선형 반송 경로의 길이가 매우 길어지고 전체 장치가 커져야 한다고 하는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건조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테이프 기재 상의 코팅제를 확실하게 건조할 수 있는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일 태양에 따라, 감압 점착층이 띠 형상의 기다란 테이프 기재 상에 형성되는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프 기재의 적어도 일면 상에 코팅되는 코팅제를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건조 장치는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는 테이프 기재가 활주 가능한 상태로 그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이때 실린더 본체는 테이프 기재가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둘레 벽 전체에 복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구멍을 통해 온풍(溫風) 또는 열풍(熱風)이 실린더 본체의 내부로부터 실린더 본체의 외부로 유동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온풍 또는 열풍이 실린더 본체의 내부로부터 실린더 본체의 외부로 유동하는 복수의 공기 구멍이 테이프 기재가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실린더 본체의 둘레 벽 전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구멍을 통해 온풍 또는 열풍을 유동시킴으로써, 실린더 본체의 둘레 벽 주위에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 또는 테이프 기재 상에 코팅된 코팅제 상에 온풍 또는 열풍이 송풍되고, 이에 따라 테이프 기재 상의 코팅제가 건조될 수 있다.
또한, 건조 장치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는 테이프 기재가 활주 가능한 상태로 그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실린더 본체가 제공되기 때문에, 만약 실린더 본체 주위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의 선단에 인장력이 인가되면, 테이프 기재는 실린더 본체 주위에서 나선 형상을 유지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실린더 본체 상에서 활주한다. 즉, 테이프 기재는 나선 형상의 경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테이프 기재가 이동하는 반송 경로(궤적)가 나선형이기 때문에, 테이프 기재의 반송 경로의 길이는 실린더 본체의 길이(실린더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장치는 건조 장치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지 않고서, 테이프 기재 상에 온풍 또는 열풍을 송풍할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건조에 긴 시간을 요하는 코팅제를 사용한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코팅제는 확실하게 건조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기재가 실린더 본체의 일단측으로부터 실린더 본체의 타단측으로 활주 가능한 상태로 실린더 본체 주위에 나선형으로 권취되기 때문에, 테이프 기재의 반송 경로의 길이는 실린더 본체의 둘레 벽 주위로의 테이프 기재의 권취 횟수를 변경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실린더 본체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는 온풍 또는 열풍의 공기압으로 인해 둘레 벽 상에 간극을 두고 부유하여 테이프 기재가 둘레 벽 상에서 활주할 수 있게 된다.
실린더 본체는 실린더 본체의 둘레 벽으로의 테이프 기재의 접근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그 자세를 변경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 상에 존재하는) 실린더 본체의 둘레 벽 주위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실린더 본체에 대한 테이프 기재의 권취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실린더 본체 주위에서 나선형으로 배열되는 테이프 기재의 나선형 피치가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린더 본체 주위에 존재하는) 테이프 기재의 반송 경로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테이프 기재 또는 테이프 기재 상의 코팅제에 온풍 또는 열풍을 송풍하는 기회(건조 시간)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건조 장치에서, 용도가 상이한 여러 유형의 감압 점착 테이프(건조 시간이 상이한 코팅제를 사용한 테이프 기재)를 제조하는 경우, 감압 점착 테이프의 유형(코팅제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건조 공정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의 자세의 변경에 더해, 실린더 본체의 둘레 벽 주위로의 테이프 기재의 권취 횟수를 변경함으로써, 테이프 기재의 반송 경로의 길이의 변경 가능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실린더 본체는 실린더 본체로 반송되는 테이프 기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린더 본체의 실린더 축선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건조 장치는 실린더 본체로 반송되는 테이프 기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실린더 본체의 실린더 축선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실린더 본체의 실린더 축선을 회전시키는 경사 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장치는, 실린더 본체의 일단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열풍 발생 수단으로부터 실린더 본체의 내부로 온풍 또는 열풍을 도입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린더 본체의 회전 축선이 파이프 상에 제공될 수 있고, 경사 운동 수단은 실린더 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파이프에는 벨로우즈부가 제공될 수 있다.
건조 장치는 각각이 전술한 실린더 본체인 적어도 2개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린더 본체는 실린더 본체 중 하나의 타단측이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에 인접하는 실린더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일단측에 대향하고,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의 일단측이 실린더 본체 중 상기 다른 하나의 타단측에 대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테이프 기재는 각각의 실린더 본체 주위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될 수 있으며 실린더 본체 중 하나의 타단측으로부터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에 인접한 실린더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일단측으로 이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테이프 기재의 반송 경로의 길이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기다란 테이프 기재 상으로 온풍 또는 열풍을 송풍할 기회가 증가될 수 있다. 테이프 기재의 반송 경로가 가급적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건조 시간은 테이프 기재의 반송 속도가 높을 때에도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감압 점착 테이프의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실린더 본체는 실린더 본체 중 하나의 일단측과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에 인접한 실린더 본체 중 다른 하나의 타단측 사이의 간극이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의 타단측과 실린더 본체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일단측 사이의 간극보다 넓어지도록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테이프 기재가 상류측의 실린더 본체(테이프 기재가 먼저 권취되는 실린더 본체)의 타단측으로부터 하류측의 실린더 본체(상류측 실린더 본체 주위에 권취된 후 테이프 기재가 권취되는 실린더 본체)의 일단측을 잇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실린더 본체 사이의 테이프 기재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롤러를 제공할 필요가 없고, 하류측의 실린더 본체로의 테이프 기재의 접근 각도는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건조 장치는 각각이 전술된 실린더 본체인 짝수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최상류의 실린더 본체로의 테이프 기재의 진입 위치는 최하류의 실린더 본체로부터의 테이프 기재의 송출 위치와 동일 선상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기재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건조 장치의 상류에 배열되는 수단(예를 들어, 테이프 기재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은 건조 장치의 하류에 배열되는 수단(예를 들어, 다 쓴 감압 점착 테이프를 재권취하는 테이프 재권취 수단)과 동일 선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의 태양에 따라, 건조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테이프 기재 상의 코팅제를 확실하게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 테이프의 제조 설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선(A-A)을 따라 취해진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테이프 기재가 실린더 본체 주위에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는 상태인 도 1의 A-A 단면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본, 상기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4는 테이프 기재가 실린더 본체 주위에 권취된 상태인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실린더 본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테이프 기재가 실린더 본체 주위에 권취되고 인접한 실린더 본체 사이의 간극이 넓혀진 상태인 도 1의 A-A 단면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본, 상기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6a는 건조 장치가 하나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b는 건조 장치가 3개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건조 장치가 4개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건조 장치가 독립적인 열풍 발생 수단으로부터 각각의 실린더 본체로 열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2개의 실린더 본체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a는 건조 장치가 고정된 상태로 배열된 하나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b는 건조 장치가 고정된 상태로 배열되는 2개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설비(1)는, 띠 형상의 테이프 기재(T)가 권취되어 있고 이 테이프 기재(T)를 길이 방향으로 공급하는 롤(R)을 수용하는 공급 수단(10)과, 공급 수단(10)으로부터 공급된 테이프 기재(T) 상에 감압 점착제(코팅제)(S)를 코팅하는 코팅 수단(20)과, 코팅 수단(20)에 의해 테이프 기재(T) 상에 코팅된 코팅제(S)를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30)와, 건조 장치(30)의 건조 공정이 완료된 테이프 기재(T)를 회전식 권취기 샤프트(400)로 재권취하는 테이프 재권취 수단(4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테이프 기재(T) 상에 코팅된 감압 점착제(S)를 건조하기 위해 감압 점착 테이프 제조 설비(1)의 일 구성요소로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장치(30)는 실린더 본체(310a, 310b)를 포함하며,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는 기다란 테이프 기재(T)가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나선형으로 실린더 본체 주위로 활주 가능한 상태로 권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장치(30)는 건조 챔버(공간)를 형성하는 하우징(300), 하우징(300)에 배열되고 띠 형상의 테이프 기재(T)가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실린더 본체(310a, 310b),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 발생 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하우징(300) 내에서 테이프 기재(T)의 이동(반송) 방향을 변경하는 반송 방향 변경 수단(35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은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지만, 하우징(300) 내의 코팅 수단(20)에 의해 감압 점착제(S)가 코팅되는 테이프 기재(T)를 도입하기 위한 테이프 기재 입구(301)와, 건조 공정이 완료된 테이프 기재(T)를 테이프 재권취 수단(40)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테이프 기재 출구(302)가 형성된다. 테이프 기재 입구(301) 및 테이프 기재 출구(302)는 서로 대향하는 벽면(303, 304) 상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실린더 본체(310a, 310b)에는 테이프 기재(T)가 권취되는 둘레 벽 전체에 복수[무한수(endless number)]의 공기 구멍(311a, 311b)이 형성된다. 고온의 열풍이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내부로부터 공기 구멍(311a, 311b)을 통해 실린더 본체의 외부로 유동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복수(무한수)의 공기 구멍(311a, 311b)이 둘레 벽 전체에 형성되는 실린더 주 본체(312a, 312b) 및 열풍 발생 수단으로부터 실린더 주 본체(312a, 312b)로 열풍을 도입하기 위한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공기 구멍(311a, 311b) 중 일부만을 도시하고 공기 구멍(311a, 311b) 중 나머지는 생략한다.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는 실린더 주 본체(312a, 312b)의 일단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열풍을 열풍 발생 수단으로부터 실린더 주 본체(312a, 312b)로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장치(30)는 실린더 주 본체(312a, 312b)의 둘레 벽(외주) 상에 형성되는 공기 구멍(311a, 311b)을 통해 열풍을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직경 방향]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를 포함하며, 이들 실린더 본체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이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에 인접한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에 대향하고,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일단측이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타단측에 대향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로의 테이프 기재(T)의 진입 위치(X)가 다른 실린더 본체(310b)로부터의 테이프 기재(T)의 송출 위치(Y)에 인접하고,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로부터의 테이프 기재(T)의 송출 위치가 다른 실린더 본체(310b)로의 테이프 기재(T)의 진입 위치(X)에 인접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테이프 기재(T)가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에 인접한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에 이어지고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건조 장치(30)에서, 테이프 기재(T)는 테이프 기재(T)의 반송 방향 상류에 위치되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진입 위치(X)로부터 송출 위치(Y)로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송출 위치(Y)로부터 테이프 기재(T)의 반송 방향 하류에 위치되는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진입 위치(X)로 이어지며,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진입 위치(X)로부터 송출 위치(Y)로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에 있어서,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일단측과 상기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에 인접한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타단측 사이의 간극이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과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 사이의 간극보다 넓도록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다시 말해, 건조 장치(30)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V 형상을 갖도록 배열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테이프 기재(T)가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송출 위치(Y)로부터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진입 위치(X)로 직접 이어지는 경우라도,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둘레 벽에 대한 테이프 기재(T)의 접근 각도[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샤프트 중심과 테이프 기재(T)의 이동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직각보다 클 수 있으며,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둘레 벽으로의 테이프 기재(T)의 접근 각도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둘레 벽에 대한 테이프 기재(T)의 접근 각도[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샤프트 중심과 테이프 기재(T)의 이동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샤프트 중심(중심선)은 하부측으로부터 경사 방향 상부측을 향해(그렇지 않으면, 상부측으로부터 경사 방향 하부측으로) 넓어지는 가상면 상에 배열된다. 다시 말해, 전술된 바와 같이,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대칭 배열을 유지하면서,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하부측으로부터 경사 방향 상부측(그렇지 않으면, 상부측으로부터 경사 방향 하부측)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하우징(300)이 최소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우징(300) 내에서 대각선으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에서, 각각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둘레 벽에 대한 테이프 기재(T)의 접근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그 자세를 변경하도록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각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각각의 실린더 본체(310a, 310b)에 반송되는 테이프 기재(T)의 길이 방향에 대한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실린더 축선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제공된다. 경사 운동 수단(316a)은 실린더 본체(310a)의 자세[테이프 기재(T)의 길이 방향에 대한 실린더 본체(310a)의 실린더 축선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실린더 본체(310a)의 회전 축선(315a)을 중심으로 실린더 본체(310a)의 실린더 축선을 회전시킨다. 경사 운동 수단(316b)은 실린더 본체(310b)의 자세[테이프 기재(T)의 길이 방향에 대한 실린더 본체(310b)의 실린더 축선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실린더 본체(310b)의 회전 축선(315b)을 중심으로 실린더 본체(310b)의 실린더 축선을 회전시킨다.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회전 축선(315a, 315b)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일측면(일단측 또는 타단측)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에서,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가 대칭적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테이프 기재(T)의 반송 방향 상류에 배열되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는 그 타단측[송출 위치(Y) 측]에 회전 축선(315a)을 갖고, 하류에 배열되는 다른 실린더 본체(310b)는 그 일단측[진입 위치(X) 측]에 회전 축선(315b)을 갖는다. 건조 장치(30)에서, 테이프 기재(T)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권취되기 때문에,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회전 축선(315a, 315b)이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회전 축선(회전 중심선)(315a, 315b)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회전 축선(315a, 315b)을 중심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를 회전시키는 각각의 경사 운동 수단(316a, 316b)은 실린더 본체(310a, 310b)를 직접 회전시켜 회전각을 조정할 수 있는 펄스 모터 또는 서보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 실린더가 경사 운동 수단(316a, 316b)으로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기 실린더(316a, 316b)는 실린더 주 본체(도시되지 않음) 및 실린더 주 본체 내에 동심적으로 삽입되는 샤프트 형상의 피스톤 로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실린더 주 본체의 실린더 단부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회전 축선(315a, 315b)(회전 중심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우징(300)[하우징(300)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실린더 주 본체에 대해 삽입 및 퇴피 가능한 피스톤 로드의 로드 단부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회전 축선(315a, 315b)이 형성되는 타단부에 대향하는] 일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에서,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를 이동시키는 하나의 경사 운동 수단(316a)[전기 실린더(316a)]의 로드 단부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일단부 상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연결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른 실린더 본체(310b)를 이동시키는 다른 경사 운동 수단(316b)[전기 실린더(316b)]의 로드 단부는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타단부 [송출 위치(Y) 측]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연결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양 경사 운동 수단(316a, 316b)[전기 실린더(316a, 316b)]은 피스톤 로드의 전진/퇴피 방향이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단부가 지나는 회전 경로에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동기적으로, 경사 운동 수단(316a, 316b)은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을 동시에 이동시킨다(실린더 본체 각각의 자세를 변경시킨다). 다시 말해, 경사 운동 수단(316a, 316b) 각각은 피스톤 로드의 확장/수축 양 또는 확장/수축 타이밍을 정합시키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대칭적 위치를 유지하면서 각도를 변경한다.
실린더 본체(310a, 310b)가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를 포함하기 때문에,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는 각각 독립적인 열풍 발생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T-형상의 조인트(317)(T-타입 조인트)는 하나의 열풍 발생 수단에 연결되는 파이프(P)에 연결되고,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는 T-타입 조인트(317)의 나머지 2개의 포트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열풍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열풍이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에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회전 축선(315a, 315b)을 중심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를 회전시킬 수 있고, 열풍 도입 파이프(313, 313b) 상에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회전 축선(315a, 315b)을 제공한다. 따라서, 벨로우즈부(318a, 318b)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열풍 발생 수단과의 유체적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 내의 미리 결정된 영역[T-타입 조인트(317)와 회전 축선(315a, 315b)이 설정되는 위치 사이]에 제공된다.
열풍 발생 수단은 연료로서 가스, 중유, 또는 디젤유를 사용하는 보일러이거나, 전기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방향 변경 수단(350)은 테이프 기재(T)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고 복수의 롤러(351, 352, 353, 354, 35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반송 방향 변경 수단(350)으로서 테이프 기재 입구(301) 및 테이프 기재 출구(302)의 인접부에서 테이프 기재(T)의 진입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안내 롤러(351, 3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방향 변경 수단(350)은 상류측에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일단측[진입 위치(X)]에 간극을 두고 배열되는 흡착 롤러(이하, 제1 흡착 롤러라 함)(353)를 포함하고 하류측에 다른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b)의 타단측[송출 위치(Y)]에 간극을 두고 배열되는 흡착 롤러(이하, 제2 흡착 롤러라 함)(354)를 포함한다.
제1 흡착 롤러(353)는 테이프 기재(T)를 흡착하면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의 반송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흡착 롤러(353)는 외주를 주위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를 흡착하도록, 그리고 테이프 기재(T)의 반송 방향[테이프 기재(T)가 반송될 반송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흡착 롤러(353)의 회전 샤프트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샤프트 중심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다시 말해, 제1 흡착 롤러(353)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으로의 테이프 기재(T)의 진입 방향이 실린더 본체(310a)의 샤프트 중심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되는 테이프 기재(T)를 안내한다.
제2 흡착 롤러(354)는 제1 흡착 롤러(353)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이프 기재(T)를 흡착하면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의 반송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흡착 롤러(354)는 외주 주위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를 흡착하도록, 그리고 테이프 기재(T)의 반송 방향[테이프 기재(T)가 반송될 반송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흡착 롤러(354)의 회전 샤프트는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샤프트 중심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다시 말해, 제2 흡착 롤러(354)는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외주 벽으로부터의 테이프 기재(T)의 배출 방향이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샤프트 중심에 대해 경사지도록 다른 실린더 본체(310b)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를 안내 및 반송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방향 변경 수단(350)은 안내 롤러(351, 352)와 흡착 롤러(353, 354) 사이에 적절하게 배열되는 보조 롤러(355)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테이프 기재(T)를 안내 롤러(351)로부터 제1 흡착 롤러(353)를 향해 안내하도록 테이프 기재 입구(301)로부터 안내하며, 그 후 테이프 기재(T)를 제2 흡착 롤러(354)로부터 테이프 기재 출구(302)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안내 롤러(352)로 안내하도록 다른 실린더 본체(310b)로부터 테이프 기재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전술한 것과 같이 구성되고,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과 함께 건조 장치(30)의 작동에 관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먼저, 테이프 기재(T)는 감압 점착 테이프의 제조 라인 상에 준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기재(T)가 공급 수단(10)으로부터 공급되고, 테이프 기재 입구(301)를 통해 하우징(300)으로 도입된다. 하우징(300)으로 도입된 테이프 기재(T)는 안내 롤러(351), 보조 롤러(355) 및 제1 흡착 롤러(353) 상에 적절하게 권취된다. 그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기재(T)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일단측[진입 위치(X)]으로부터 타단측[송출 위치(Y)]으로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둘레 벽[실린더 본체(310a)의 주 본체]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송출 위치(Y)]로부터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진입 위치(X)]으로 이어지며,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진입 위치(X)]로부터 타단측[송출 위치(Y)]으로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둘레 벽[실린더 본체(310b)의 주 본체]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타단측[송출 위치(Y)]으로부터 풀어내진 테이프 기재(T)가 제2 흡착 롤러(354) 또는 안내 롤러(352) 상에 적절하게 권취된 후, 테이프 기재(T)는 테이프 기재 출구(302)를 통해 테이프 재권취 수단(40)으로 안내되고, 테이프 기재(T)의 선단부는 테이프 재권취 수단(40)의 권취기 샤프트(400)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테이프 기재(T)는 제조 설비(1)에 완전히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프 기재(T)는 감압 점착제(S)가 테이프 기재(T) 상에 코팅된 상태로, 테이프 기재(T)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에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를 포함하는 제조 설비(1)에 있어서, 코팅 수단(20)은 테이프 기재(T)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권취되는 경우,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에 대향하는 테이프 기재(T)의 일측면의 대향면(다른 측면)에 코팅제(S)가 코팅되도록 제공된다.
열풍은 열풍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되어,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에 공급된다. 그리고,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에 공급되는 열풍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상에 형성되는 무한수의 공기 구멍(311a, 31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출된 열풍(도 4에 화살표로 표시)의 공기압으로 인해 간극을 두고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상에서 부유한다.
그리고, 코팅 수단(20) 및 테이프 재권취 수단(40)이 작동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제(S)가 테이프 기재(T)의 적어도 일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일측면) 상에 코팅되며, 동시에 테이프 기재(T)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테이프 기재(T)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테이프 기재(T)가 전술된 바와 같이 열풍의 공기압으로 인해 간극을 두고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상에서 부유하기 때문에, 테이프 재권취 수단(40)의 권취기 샤프트(400)가 회전되어[테이프 기재(T)가 권취되고], 인장력이 테이프 기재(T)에 작용되는 경우, 실린더 본체(310a, 310b) 주위의 테이프 기재(T)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코팅제(S)가 코팅 수단(20)에 의해 테이프 기재(T) 상에 코팅되고, 테이프 기재(T)가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 주위에서 나선 형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다시 말해, 코팅제(S)로 코팅된 테이프 기재(T)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둘레 벽 주위로 나선 형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그 후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둘레 벽 주위로 나선 형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열풍은 테이프 기재(T)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외주 상에서 이동하는 동안, 테이프 기재(T)로 송풍된다. 따라서, 테이프 기재(T)의 이동 거리(이동 시간)에 따라 건조 공정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띠 형상의 (기다란) 테이프 기재(T)가 복수의 건조 공정 목적부의 연속체인 것으로 가정하면, 건조 공정 목적부 각각이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진입 위치(X)로부터 송출 위치(Y)로 이동하여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진입 위치(X)로부터 송출 위치(Y)로 이동할 때, 열풍은 항상 송풍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테이프 기재(T)의 건조 거리를 확보하고, 동시에 테이프 기재(T)가 반송되고 직선 반송 경로에서 건조되는 종래의 건조 장치(30)보다 작은 공간에서 건조를 확실하게 실행하게 되는데, 이는 실린더 본체(310a, 310b) 주위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의 길이[나선 형상의 테이프 기재(T)의 길이]가 열풍을 송풍할 기회(건조 거리)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건조 장치(30)로부터 송출되어 나온 테이프 기재(T)[코팅제(S)가 건조되는 감압 점착 테이프의 일 구성 요소가 되는 테이프 기재(T)]가 테이프 재권취 수단(40) 상에 권취되어 감압 점착 테이프의 롤(R)이 된다.
전술한 공정에 의해, 각각 상이한 감압 점착제(S) 또는 테이프 기재(T)를 갖는 감압 점착 테이프(건조 공정에 필요한 시간이 상이한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경우, 만약 테이프 기재(T) 또는 코팅제(S)의 기재가 상이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제(S)의 잔류 용제 등의 허용값이 상이하다면,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은 경사 운동 수단(316a, 316b)에 의해 경사진다. 다시 말해, 건조 시간이 짧은 경우(열풍을 송풍하기 위한 기회가 짧은 경우),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으로의 테이프 기재(T)의 접근 각도가 커지도록 경사지고, 건조 시간이 긴 경우(열풍을 송풍하는 기회가 긴 경우),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에 대한 테이프 기재(T)의 접근 각도가 작아지도록 경사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가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를 포함하기 때문에, 건조 시간이 짧은 경우(열풍을 송풍하는 기회가 짧은 경우), 실린더 본체(310a, 310b) 양자는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상대적인 각도가 커지고, 건조 시간이 긴 경우(열풍을 송풍하는 기회가 긴 경우), 실린더 본체(310a, 310b) 양자는 실린더 본체(310a, 310b) 양자의 상대적인 각도가 작아지도록 경사진다.
그리고,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게, 테이프 기재(T)가 제조 라인에 설치된 후에, 코팅제(S)가 테이프 기재(T) 상에 코팅되고, 코팅제(S)는 건조 장치(30)에 의해 건조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에 대한 테이프 기재(T)의 접근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실린더 본체(310a, 310b)를 기울임으로써,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의 나선형 피치(권취 각도)가 변경된다. 따라서,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의 길이는 길거나 짧아질 수 있고, 열풍을 송풍하는 기회는 제조될 감압 점착 테이프의 유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필요한 건조 공정이 확실하게 실행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에서,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내부로부터 이를 통해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외부로 온풍 또는 열풍이 유동하는 복수의 공기 구멍(311a, 311b)이 테이프 기재(T)가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전체에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 구멍(311a, 311b)을 통해 온풍 또는 열풍을 송풍함으로써,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 또는 테이프 기재(T) 상의 코팅제(S) 상에 온풍 또는 열풍이 송풍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이프 기재(T) 상의 코팅제(S)가 건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는 기다란 테이프 기재(T)가 그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활주 가능한 상태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실린더 본체(310a, 310b)가 제공되기 때문에, 실린더 본체(310a, 310b)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의 선단부 상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테이프 기재(T)는 실린더 본체(310a, 310b) 주위에서 나선 형상을 유지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 상에서 활주한다. 다시 말해, 테이프 기재(T)는 나선 형상 경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테이프 기재(T)가 이동하는 반송 경로(궤적)가 나선 형상이므로, 테이프 기재(T)의 반송 경로의 길이는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길이[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의 길이]보다 길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건조 장치(30)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 없이, 테이프 기재(T) 상에 열풍을 송풍할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에 장시간을 요하는 코팅제(S)를 사용하는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경우라도, 코팅제(S)는 확실하게 건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에 있어서, 테이프 기재(T)가 활주 가능한 방식으로 각각의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기 때문에, 테이프 기재(T)의 반송 경로의 길이는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둘레 벽을 중심으로 한 테이프 기재(T)의 권취 횟수를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310a, 310b)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는 열풍 또는 온풍의 공기압으로 인해 간극을 두고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상에 부유하여, 테이프 기재(T)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상에서 활주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에 대한 테이프 기재(T)의 접근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그 자세를 변경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의 둘레 벽 주위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T)[실린더 본체(310a, 310b) 상에 존재하는 테이프 기재(T)]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린더 본체(310a, 310b)에 대한 테이프 기재(T)의 권취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실린더 본체(310a, 310b) 주위로 나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테이프 기재(T)의 나선형 피치가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 주위에 존재하는] 테이프 기재(T)의 반송 경로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온풍 또는 열풍을 테이프 기재(T) 또는 테이프 기재(T) 상의 코팅제(S)로 송풍할 기회(건조 시간)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건조 장치(30)에서 용도가 상이한 감압 점착 테이프[건조 시간이 상이한 코팅제(S)를 사용하는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경우, 제조될 감압 점착 테이프의 유형[코팅제(S)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건조 공정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자세의 변경에 더해,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한 테이프 기재(T)의 권취 횟수를 변경함으로써, 테이프 기재(T)의 반송 경로의 길이의 변경 가능한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은 실린더 본체(310a, 310b)에 반송될 테이프 기재(T)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실린더 축선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에 반송되는 테이프 기재(T)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실린더 축선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회전 축선(315a, 315b)을 중심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실린더 축선을 회전시키는 경사 운동 수단(316a, 316b)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실린더 본체 각각의 일단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열풍 발생 수단으로부터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내부로 온풍 또는 열풍을 도입하는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를 더 포함한다.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회전 축선(315a, 315b)은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 상에 제공되고, 경사 운동 수단(316a, 316b)은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에는 벨로우즈부(318a, 318b)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이 상기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에 인접한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에 대향하고,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일단측이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타단측에 대향하도록 배열되는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 및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으로부터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에 인접한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으로 이어지는 테이프 기재(T)를 포함한다. 따라서, 테이프 기재(T)의 반송 경로의 길이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기다란 테이프 기재(T) 상으로의 온풍 또는 열풍을 송풍될 기회가 증가될 수 있다. 테이프 기재(T)의 반송 경로가 가급적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기재(T)의 반송 속도가 빠를 때에도 필요한 건조 시간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감압 점착 테이프의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일단측과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에 인접한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타단측 사이의 간극이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과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 사이의 간극보다 넓어지도록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테이프 기재(T)가 상류측의 실린더 본체(310a)[테이프 기재(T)가 먼저 권취되는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으로부터 하류측의 실린더 본체(310b)[테이프 기재(T)가 상류측의 실린더 본체(310a) 주위로 권취된 후 권취되는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으로 이어지는 경우라도, 실린더 본체(310a, 310b) 사이에서의 테이프 기재(T)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롤러 등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하류측의 실린더 본체(310b)로의 테이프 기재(T)의 접근 각도는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30)는 최상류측 실린더 본체(310a)에 대한 테이프 기재(T)의 진입 위치가 최하류측 실린더 본체(310b)로부터의 테이프 기재(T)의 송출 위치와 동일 선상에 배열될 수 있도록 짝수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를 포함한다. 따라서, 테이프 기재(T)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건조 장치(30)의 상류에 위치되는 공급 수단(10) 및 건조 장치(30)의 하류에 위치되는 테이프 재권취 수단(40)은 하나의 라인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수많은 변형예들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코팅제(S)로서 감압 점착제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코팅제(S)는 감압 점착제가 코팅되기 전에 테이프 기재(T)에 코팅되는 프라이머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건조 장치(30)는 반드시 감압 점착제(S)를 건조시키는 것은 않는다. 건조 목적물은 코팅제(S)로서의 프라이머일 수도 있으며, 이때 프라이머는 감압 점착제(S)가 코팅되기 전에 테이프 기재(T)에 코팅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가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가 제공될 수 있으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가 제공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본체가 건조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실린더 본체는 테이프 기재(T)가 실린더 본체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활주 가능한 방식으로 실린더 본체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각각의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는 T-형상 조인트(317)에 의해 연결되고, 열풍은 단 하나의 열풍 발생 수단으로부터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발생 수단은 일대일 대응 방식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열풍 도입 파이프(313a, 313b)에 연결되어, 각각의 열풍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열풍은 또한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에 공급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일단측과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에 인접한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타단측 사이의 간극이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과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 사이의 간극보다 넓도록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2개 이상의 실린더 본체(310a, 310b)가 제공되는 경우,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만약 테이프 기재(T)가 직각으로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에 접근한다면, 테이프 기재(T)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나선 형상으로 권취될 수 없다. 따라서, 실린더 본체(310a)에 앞서 테이프 기재(T)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거나 실린더 본체(310a, 310b) 사이에서 테이프 기재(T)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롤러[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바와 같이 흡착 롤러(353, 354) 또는 반송 롤러(355)]와 같은 반송 방향 변경 수단(350)이 각각의 실린더 본체(310a, 310b) 주위로 테이프 기재(T)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도록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이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에 인접한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에 대향하는 동시에,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일단측이 다른 실린더 본체(310b)의 타단측에 대향하도록 배열되고, 테이프 기재(T)는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주위로 실린더 본체(310a, 310b) 각각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a)의 타단측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실린더 본체(310b)의 일단측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 이상의 실린더 본체가 제공되는 경우, 테이프 기재(T)는 상류측의 하나의 실린더 본체로부터 상류측의 하나의 실린더 본체에 인접한 하류측의 다른 실린더 본체로 이어질 수 있다. 만약 실린더 본체 사이를 이어주는 테이프 기재(T)가 실린더 본체 각각의 둘레 벽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될 수 있다면, 각각의 실린더 본체는 서로 인접하여 배열될 필요는 없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짝수의 실린더 본체(310a, 310b)가 제공된다. 그러나, 복수의 실린더 본체(310a, 310b)가 제공되는 경우 홀수의 실린더 본체가 건조 장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 기재(T)는 열풍 발생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의 공기압으로 인해 간극을 두고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상에 부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테이프 기재(T)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는 공정[예를 들어, 코팅 가공 또는 경면 가공(mirror finishing)]이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의 외측면 상에 실행될 수 있고, 테이프 기재(T)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과 접촉하게 될 수 있으며, 코팅제(S)가 건조될 때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상에서 활주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테이프 기재(T)는 코팅제(S)가 코팅되지 않은 테이프 기재(T)의 표면이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에 대향하도록 실린더 본체(310a, 310b)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테이프 기재(T)는 코팅제(S)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에 대향하도록 실린더 본체(310a, 310b)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술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코팅제(S)가 코팅되는 테이프 기재(T)는 코팅제(S)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사이에서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열풍의 공기압으로 인해 간극을 두고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상에서 부유할 수 있다. 코팅제(S)가 감압 점착제인 경우, 만약 열풍이 이러한 감압 점착제에 직접 유동한다면, 감압 점착제는 그 표면으로부터 건조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우수한 점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열풍을 테이프 기재(T)에 송풍하여 코팅제(S)를 간접적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고온의 열풍이 테이프 기재(T)에 송풍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열풍보다 낮고 실온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온풍이 테이프 기재(T) 또는 테이프 기재(T) 상의 코팅제(S)로 송풍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건조될 코팅제(S)의 구성에 따라 열풍 또는 온풍이 송풍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 기재(T)의 일 표면 상에 코팅된 코팅제(S)는 건조 장치(30)에서 건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테이프 기재(T)의 양 표면 상에 코팅되는 코팅제(S)가 건조 장치(30)에서 건조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건조 장치(30)는 양 표면이 점착성을 갖는 테이프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코팅제(S)가 코팅되는 테이프 기재(T)가 열풍의 공기압으로 인해 간극을 두고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상에 부유하여 코팅제(S)와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사이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으로의 테이프 기재(T)의 접근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기울어질 수 있는) 자세를 변경하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본체(310a, 310b)는 고정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테이프 기재(T)는 실린더 본체(310a, 310b)의 둘레 벽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Claims (10)

  1. 감압 점착층이 띠 형상의 기다란 테이프 기재 상에 형성되는 감압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로서, 상기 테이프 기재의 적어도 일면 상에 코팅되는 코팅제를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이며,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는 테이프 기재가 활주 가능한 상태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본체에는 둘레 벽 전체에 복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기재가 상기 둘레 벽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며, 온풍 또는 열풍이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기 구멍을 통해 상기 실린더 본체의 외부로 유동하는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 각각이 제1항에 개시된 실린더 본체인 적어도 2개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본체는 상기 실린더 본체 중 하나의 타단측이 상기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에 인접한 상기 실린더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일단측에 대향하고, 상기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의 일단측이 상기 실린더 본체 중 상기 다른 하나의 타단측에 대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테이프 기재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각각의 상기 실린더 본체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상기 실린더 본체 중 하나의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에 인접한 상기 실린더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일단측으로 이어지는 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는 상기 실린더 본체 중 하나의 일단측과 상기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에 인접한 상기 실린더 본체 중 다른 하나의 타단측 사이의 간극이 상기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의 타단측과 상기 실린더 본체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일단측 사이의 간극보다 넓도록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건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 각각이 제1항에 개시된 실린더 본체인 짝수의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 중 하나 및 상기 실린더 본체 중 상기 하나에 인접한 상기 실린더 본체 중 다른 하나는 V 형상을 갖도록 배열되는 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는 그 자세를 변경하여 상기 실린더 본체의 둘레 벽으로의 상기 테이프 기재의 접근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는 상기 실린더 본체로 반송되는 상기 테이프 기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실린더 본체의 실린더 축선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제공되는 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로 반송되는 상기 테이프 기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실린더 본체의 실린더 축선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실린더 본체의 실린더 축선을 회전시키는 경사 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의 일단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열풍 발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로 온풍 또는 열풍을 도입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본체의 회전 축선은 상기 파이프 상에 제공되고, 상기 경사 운동 수단은 상기 실린더 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파이프에는 벨로우즈부가 제공되는 건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 주위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테이프 기재는 열풍 또는 온풍의 공기압으로 인해 간극을 두고 둘레 벽 상에 부유하여 상기 테이프 기재가 상기 둘레 벽 상에서 활주하는 건조 장치.
KR1020100109788A 2009-11-05 2010-11-05 감압 점착 테이프 제조용 건조 장치 KR20110049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3758A JP5453057B2 (ja) 2009-11-05 2009-11-05 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JP-P-2009-253758 2009-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737A true KR20110049737A (ko) 2011-05-12

Family

ID=4353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788A KR20110049737A (ko) 2009-11-05 2010-11-05 감압 점착 테이프 제조용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99839A1 (ko)
EP (1) EP2325590A3 (ko)
JP (1) JP5453057B2 (ko)
KR (1) KR20110049737A (ko)
CN (1) CN102161035B (ko)
CA (1) CA2719893A1 (ko)
RU (1) RU20101453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74818A (zh) * 2011-07-14 2011-12-14 关敬党 一种带料烘干装置、烘干筒及带料烘干方法
CN108507322A (zh) * 2018-03-08 2018-09-07 麦杰明 一种纺织服装裁剪用布匹风干装置
CN108796908A (zh) * 2018-06-22 2018-11-13 安徽省鼎立服饰有限公司 一种服装加工用风干设备
FR3088431A1 (fr) * 2018-11-14 2020-05-15 Urgo Recherche Innovation Et Developpement Procede et installation d'evaluation du caractere adhesif d'une bande adhesive, procede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une bande adhesive
KR102118329B1 (ko) * 2019-01-31 2020-06-03 주식회사 다성피앤에프 랩핑 테이프 제작장치
JP7481728B2 (ja) 2019-11-25 2024-05-13 株式会社メイコー 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1046A (en) * 1968-03-07 1969-12-02 Fuji Photo Film Co Ltd Process for drying pliable supports
GB1207222A (en) * 1968-03-08 1970-09-30 Fuji Photo Film Co Ltd A process for drying elongated flexible supports
JPS4842903B1 (ko) * 1968-07-18 1973-12-15
JPS4844151B1 (ko) * 1968-07-20 1973-12-22
DE3915278A1 (de) * 1989-05-10 1990-11-15 Hoechs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lauftrocknung von beidseitig beschichteten platten
JPH03235220A (ja) * 1990-02-10 1991-10-21 Taiyo Yuden Co Ltd 長尺フィルム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1206A (ja) * 1993-06-23 1995-01-13 Sekisui Chem Co Ltd 通気性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US5551583A (en) * 1994-08-22 1996-09-03 Mother's Love Pte. Ltd. Adjustable orientation device for connecting a nipple to a baby bottle
GB2303566A (en) * 1995-07-21 1997-02-26 Ykk Europ Ltd Self-sdhesive fastener
JP3299429B2 (ja) * 1995-12-13 2002-07-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用極板の乾燥装置
JPH09227000A (ja) * 1996-02-27 1997-09-02 Kawasaki Steel Corp 帯状材進行方向変更装置
JP4894985B2 (ja) * 2000-06-13 2012-03-14 Dic株式会社 両面接着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4289581B2 (ja) * 2000-10-23 2009-07-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ェブ乾燥方法及び装置
JP4751413B2 (ja) 2008-04-08 2011-08-1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コーダの判定モード設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1035B (zh) 2016-03-16
JP5453057B2 (ja) 2014-03-26
CN102161035A (zh) 2011-08-24
JP2011099604A (ja) 2011-05-19
CA2719893A1 (en) 2011-05-05
EP2325590A3 (en) 2015-07-22
US20110099839A1 (en) 2011-05-05
EP2325590A2 (en) 2011-05-25
RU2010145336A (ru) 201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9737A (ko) 감압 점착 테이프 제조용 건조 장치
JP2011147864A (ja) 両面塗工装置
JP6156992B2 (ja) 塗装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塗装方法
JP2010005505A (ja) 筒体の塗装装置及び塗装方法
JP6276446B1 (ja) 蛇行修正可能な帯状材の搬送装置
CN115515771A (zh) 拉伸装置以及用于将塑料膜沿其运输方向拉伸的方法
CN103890239A (zh) 局部镀敷装置及局部镀敷方法
KR101395767B1 (ko) 스트립형 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JP5597754B2 (ja) 粘着テープの乾燥装置
JP2009262094A (ja) 筒体の塗装方法
KR101627190B1 (ko) 가이드 롤러, 필름 반송 장치 및 시트 성형기
KR101152392B1 (ko) 유체 분사 롤러 유닛
CN106480421B (zh) 竖立基材的连续式薄膜处理设备
JP2011045800A (ja) 塗工装置および塗工方法、並びに、塗膜付きウェブ状基材の製造方法
JP4129597B2 (ja) 円筒状基材の乾燥方法
JP2002128342A (ja) ウェブ乾燥方法及び装置
JP6833566B2 (ja) 塗装装置
JP5265161B2 (ja) ウエブ案内ローラ、およびウエブ搬送装置
US20240018653A1 (en) Roll-to-roll processing
JP7059212B2 (ja) フィルム搬送方法及びフィルム搬送装置
JP2020040083A (ja) 金属管の樹脂被膜形成設備
KR200224912Y1 (ko)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 장치
JP2007218484A (ja) 熱風乾燥炉
US10017886B2 (en) Scrim machine
JP3153733U (ja) 塗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