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182A -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 Google Patents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182A
KR20110042182A KR1020117003460A KR20117003460A KR20110042182A KR 20110042182 A KR20110042182 A KR 20110042182A KR 1020117003460 A KR1020117003460 A KR 1020117003460A KR 20117003460 A KR20117003460 A KR 20117003460A KR 20110042182 A KR20110042182 A KR 20110042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statin
adsorption
nonionic surfactant
sampl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999B1 (ko
Inventor
야스노리 미나카와
Original Assignee
덴카 세이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세이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덴카 세이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2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93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or stability, e.g. by coating or irradiation of surface, by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by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81Protease inhibitors
    • G01N2333/8107Endopeptidase (E.C. 3.4.21-99) inhibitors
    • G01N2333/8139Cysteine protease (E.C. 3.4.22) inhibitors, e.g. cysta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시스타틴 C의 용기에의 흡착을 간편한 방법으로 억제하여 시스타틴 C의 측정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상기 흡착 억제제를 포함하는 시스타틴 C 측정 시약 및 시스타틴 C 측정 키트를 제공했다. 또한, 비이온형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시스타틴 C를 함유하는 시료를 측정 기구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을 제공했다. 상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형 계면활성제이다. 또는, 상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페녹시 구조,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질페녹시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CYSTATIN C ADSORPTION INHIBITOR}
본 발명은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및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스타틴 C는 전신의 유핵 세포로부터 시스테인 프로테아제로서 산생되고 있다. 시스타틴 C는 시스타틴 슈퍼패밀리에 속하고, 분자량 13kD의 염기성 저분자 단백질이다. 임상검사에서는 크레아티닌을 대신하는 신기능의 마커로서 주목받고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임상검사에서는 한번에 다수의 검체를 취급하기 때문에 자동화에 의한 정확한 시스타틴 C의 정량 수단이 필요하다.
시스타틴 C의 정량방법으로서 항인간 시스타틴 C 항체를 결합시킨 라텍스를 사용하여 라텍스 응집 비탁법으로 가시광의 흡수 또는 산란을 측정하는 방법(특허문헌 1 참조)이나 효소 표식법으로 측정하는 방법(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요 중으로 배설된 시스타틴 C 농도 및 내인성 클리어런스 물질인 크레아티닌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시스타틴 C 농도와 크레아티닌 농도의 비를 산출하고, 이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질환의 검사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4에는 황산 에스테르염계 및 술폰산염계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반응 측정용 프로존 현상 억제제를 사용한 시스타틴 C의 정량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시스타틴 C는 그 물성으로부터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 용기에 흡착하기 쉬운 것이 지적되어 있다. 자동 분석장치에서는 시판의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임상적인 시스타틴 C 측정에서는 시스타틴 C가 플라스틱 용기에 흡착하는 것에 의한 측정 정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고 있다. 시스타틴 C의 용기에의 흡착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용기 자체를 표면처리하는 수단이 고려되지만 표면처리한 전용 용기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정확하게 자동 측정할 수 있는 시스타틴 C의 정량방법이 필요로 되고 있어 시스타틴 C의 용기에의 흡착을 간편한 방법으로 억제하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0-193662호 공보 일본 특허 제03342819호 공보 일본 특허 제0339837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149244호 공보
사이토 켄스케, "제 13 회 생물 시료분석 과학학회 대회 시스타틴 C의 측정과 임상학적 의의", [online], 2003년 3월 14일, [2008년 2월 8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higo.ne.jp/anal-bio-sci13/NewFiles/saitou.html>
본 발명은 시스타틴 C의 용기에의 흡착을 간편한 방법으로 억제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시스타틴 C의 측정 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비이온형 계면활성제에 시스타틴 C의 플라스틱 용기에의 흡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원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를 함유하는 시스타틴 C 측정 시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를 포함하는 시스타틴 C 측정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이온형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시스타틴 C를 함유하는 시료를 측정 기구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흡착 억제방법에 의해 상기 측정 기구에의 시스타틴 C의 흡착을 억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료 중의 시스타틴 C의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계 내에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공존시킨다고 하는 간편한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제 용기 등의 측정 기구로의 시스타틴 C의 흡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수의 검체를 동시에 취급하는 임상검사에서는 통상 플라스틱제 측정 용기를 사용한 자동 측정 시스템에 의해 피측정물의 측정이 행해지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자동 측정 시스템에 의해 시스타틴 C를 측정할 경우에도 용이한 조작으로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게 되므로 임상 응용상 매우 유용하다.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란 용액 중의 시스타틴 C가 측정 기구에 흡착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제를 말한다. 상기 흡착 억제제는 특히 플라스틱제 기구에의 흡착을 억제하는데도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측정 기구」란 시스타틴 C의 측정을 위한 일련의 조작에 있어서 사용되는 각종 기구류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자동분석 장치에 포함되는 검체 시료와 접촉하는 부재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 셀 등의 용기, 피펫, 칩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기구」라고 했을 경우, 기구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뿐만 아니라 시스타틴 C 함유 시료와 접촉하는 표면만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 용기」에는 적어도 용기 내벽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이 폭넓게 포함된다. 「플라스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실험 기구류에 종래 사용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스티렌 등의 합성 수지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제 2급 알콜에톡실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쿠밀페닐에테르, p-이소옥틸폴리옥시에틸렌 페놀포름알데히드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다환 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프로필렌디아민, 노닐페놀에톡실레이트, 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라우릴알콜알콕실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디스티렌화 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옥타데실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벤질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벤질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형이나 지방족 인산 에스테르 등의 인산 에스테르형, 알킬알킬올 아미드 등의 아미드형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1종류뿐이어도 좋고, 또한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하기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시스타틴 C 함유 시료에 첨가하면 시스타틴 C가 플라스틱 기구에 흡착되는 양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온형 계면활성제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비교예 참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형 계면활성제의 경우, 시료 중의 시스타틴 C가 용기 기벽에 흡착되는 양이 특히 적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페녹시 구조를 친유기로서 갖는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도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벤질페닐에테르나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벤질페닐에테르 등의 벤질페녹시 구조를 친유기로서 갖는 비이온형 계면활성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벤질페녹시 구조란 Ph-CH2-Ph-O- 구조이며, Ph는 페닐기이며, 페닐기 또는 CH2기의 수소 H의 일부는 할로겐 또는 알킬기 등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비이온형 계면활성제의 HLB값(Hydrophile-Lipophile Balance값)은 11∼16이 바람직하고, 특히 12.5∼15가 보다 바람직하다. HLB값이 이 범위이면 측정 기구에의 시스타틴 C의 흡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다.
계면활성제에 벤질페녹시 구조를 채용하면 시스타틴 C의 흡착을 특히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직쇄상 친유기 중에 있는 벤질페녹시 구조 부분이 시스타틴 C 또는 측정 기구의 친유성 부위와 얽혀서 시스타틴 C가 측정 기구에 흡착되는 것을 억제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는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만으로 이루어진 것이어도 좋고, 또한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완충액에 용해한 형태이어도 좋다. 완충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스타틴 C의 측정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어느 완충액을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완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굿 완충액, 트리스 완충액, 인산계 완충액, 탄산계 완충액, 아세트산계 완충액, 글리신 완충액 등이 사용가능하다. 굿 완충액으로서는 MES, Bis-Tris, ADA, Bis-Tris 프로판, PIPES, ACES, 콜라민 클로라이드, BES, MOPS, TES, HEPES, HEPPS, 트리신, 글리신아미드, 비신, TAPS, CHES, CAPS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는 안정화제, 킬레이트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의 구체예로서는 소혈청 알부민이나 카제인 등의 안정화제, EDTA 등의 킬레이트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는 시스타틴 C를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해서 사용할 수 있다. 시스타틴 C를 포함하는 용액으로서는 생체로부터 분리한 검체 시료나 시스타틴 C의 정량에 필요한 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한 시스타틴 C 표준액 등을 들 수 있다. 생체로부터 분리한 시료로서는, 예를 들면 혈액, 혈청, 혈장, 요, 변, 타액, 조직액, 수액, 스왑(swab)이나 이들의 희석물을 들 수 있다.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의 사용량은 용액 중의 시스타틴 C 함유량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지만, 생체 유래 시료 중의 함유량은 보통 0.01∼100mg/L 정도의 범위 내이며, 검량선의 작성도 통상 이 농도 범위의 시스타틴 C 표준액을 사용해서 행해진다. 따라서,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0.01∼100mg/L의 시스타틴 C 농도에 적합한 양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비이온형 계면활성제의 최종 농도(복수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경우는 그 합계 농도)로 0.001∼10w/v%가 바람직하고, 0.01 ∼5w/v%가 보다 바람직하다.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를 첨가한 시료는 공지의 시스타틴 C 측정방법의 어느 것에도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를 시료에 첨가하면 시료 중의 시스타틴 C가 플라스틱제 용기 등의 기구에 흡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시료 중의 시스타틴 C를 정확하게 측정 가능하게 된다.
시스타틴 C의 측정방법으로서는 시스타틴 C에 대한 항체를 사용한 면역측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4 및 비특허문헌 1 참조). 시스타틴 C는 공지의 단백질이며, 시스타틴 C에 대한 항체도 이미 알려져 있다. 또한, 면역측정방법 자체는 주지의 상법이어서 이것을 위한 시약류나 키트도 시판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는 그러한 시판의 측정 시약이나 키트와 조합시켜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를 포함하는 측정 시약이나 키트도 제공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측정 시약」으로는 검체 희석액, 항체 희석액, 세정액, 효소액, 기질액 등의 것 이외에 상기 시스타틴 C 표준액도 포함된다. 시스타틴 C 표준액 중에 본 발명의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를 첨가하면 표준액 중의 시스타틴 C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검량선을 작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를 사용함으로써 생체 시료 등의 시료 중의 시스타틴 C가 측정 기구에 흡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비이온형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시스타틴 C를 함유하는 시료를 측정 기구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도 제공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흡착 억제방법」이란 플라스틱제 용기 등의 측정 기구에 시료 중의 시스타틴 C가 흡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흡착 억제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비이온형 계면활성제, 그 존재 농도, 시스타틴 C함유 시료의 조건은 흡착 억제제에 대해서 상술한 조건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에 의해 측정 기구에의 시스타틴 C의 흡착을 억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시료 중의 시스타틴 C의 측정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측정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면역측정법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흡착 억제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타틴 C의 측정 정도를 높여서 시료 중의 시스타틴 C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흡착 억제방법을 실시하는 공정은 시료를 측정 플레이트 등의 측정 용기에 접촉시키기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측정에 제공하는 시료를 조제하는 공정에서 시료와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측정」이라고 하는 단어에는 「검출」, 「정량」, 「반정량」이 포함된다.
시료 중의 시스타틴 C의 측정 자체는 공지의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시스타틴 C에 대한 항체를 사용한 면역측정이 공지되어 있고(예를 들면, 특허문헌 1∼4 및 비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단, 면역 측정방법 자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지이기 때문에, 이들 공지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면역 측정방법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반응형식에 기초하여 분류하면 샌드위치법, 경합법, 응집법, 면역크로마토법 등이 있고, 표식에 기초하여 분류하면 효소 면역분석, 방사 면역분석, 형광 면역분석, 화학 발광 면역분석 등이 있지만, 이들 모두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면역측정」에 포함되어 상기 면역측정법으로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타틴 C는 공지의 단백질이며, 항시스타틴 C 항체도 공지되어 있으며 시판품도 존재하기 때문에 입수는 용이하다. 또한, 공지의 단백질을 유전자공학적 수법에 의해 조제하는 방법도, 공지의 단백질에 대한 폴리클로날 항체나 모노클로날 항체 등의 항체 및 항원결합성 단편(Fab 단편이나 F(ab')2 단편과 같은 대응 항원에 대한 결합성을 유지하고 있는 항체 단편)의 조제방법도 본 분야에서 주지의 상법이기 때문에, 당업자이면 시스타틴 C에 대한 항체 또는 그 항원결합성 단편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타틴 C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시료로서는 생체로부터 분리된 시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혈액, 혈청, 혈장, 요, 변, 타액, 조직액, 수액, 스왑이나 이들의 희석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방법에는 특히 혈액, 혈청 및 혈장 등의 혈액 유래의 체액 및 혈액 유래의 체액 희석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면역응집법이 채용되어 있다. 이하, 면역응집법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면역응집법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면역응집법은 항원 항체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반응액의 탁도나 흡광도와 같은 광학적 성질의 변화에 기초하여 피검 시료 중의 항원 또는 항체를 검출 또는 정량하는 방법이다. 면역응집법에는 면역비탁법 및 면역비롱법(네펠로법)이 포함된다. 면역응집법에서는 금 콜로이드나 라텍스 입자와 같은 감작 입자가 사용된다. 면역응집법에서는 검체 중의 항원과 감작입자의 항체가 항원 항체반응하거나 또는 검체 중의 항체와 감작입자의 항원이 항원 항체반응하여 용액의 탁도나 흡광도 등의 광학적 성질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해서 피검물질(본 발명에서는 시스타틴 C)의 측정을 행한다. 라텍스 입자를 사용하는 면역응집법은 라텍스 응집법이라고도 불린다. 면역응집법에는 감작입자 대신에 항혈청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시스타틴 C 측정방법으로서 면역응집법을 채용할 경우, 반응액 중의 감작입자의 농도는 보통 0.01∼0.5% 정도이며, 반응 온도는 보통 1∼55℃, 바람직하게는 35∼40℃에서 1분간∼10분간 정도이다. 반응 매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글리신 완충액이나 굿 완충액 등의 각종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시료 중의 시스타틴 C 농도는 반응 용액의 탁도 또는 흡광도를 측정하여 변화 크기(종말점법) 또는 변화 속도(레이트법)에 기초해서 산출된다. 종말점법은 반응의 개시전과 개시후 일정 시간 측정한 탁도 또는 흡광도의 변화 크기에 기초하고, 레이트법은 반응의 개시전 및 개시후 경시적으로 측정한 탁도 또는 흡광도의 변화 크기에 기초하는 방법이다. 면역응집법은 수동으로 행해도 좋고, 공지의 자동 분석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샘플액의 조제)
50mM Hepes 버퍼(pH7.5)에 하기 각 계면활성제를 0.1(w/v)%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베이스액으로 하고, 각각의 베이스액에 시스타틴 C 항원을 약 1mg/L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해서 조제 샘플액으로 했다.
조제 샘플액을 2개의 신품의 히타치 자동 분석용 샘플 컵으로 옮기고, 하나를 「이동 0회 샘플」이라고 했다. 또 하나의 샘플액은 새로운 샘플 컵으로 이동시키고 보텍스로 충분히 교반함으로써 컵에 충분히 접촉시켰다. 이 조작을 한번 더 반복하여 계 2회의 이동을 행했다. 이 샘플액을 「이동 2회 샘플」이라고 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베이스액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샘플액을 조제하고, 실시예와 같이 흡광도 변화량의 측정을 행했다.
(사용 재료)
비이온형 계면활성제 A: EMULGEN 707(Kao Corporation 제품,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주체), HLB값 12.1
비이온형 계면활성제 B: EMULGEN A-90(Kao Corporation 제품, 폴리옥시에틸렌 디스티렌화 페닐에테르를 주체), HLB값 14.5
비이온형 계면활성제 C: EMULGEN B-66(Kao Corporation 제품,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벤질페닐에테르를 주체), HLB값 13.2
비이온형 계면활성제 D: Tween 80(Sigma-Aldrich Co. 제품,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를 주체), HLB값 15.0
음이온형 계면활성제 A: PS-1(Tosoh Corporation 제품, 폴리스티렌술폰산 나트륨을 주체)
음이온형 계면활성제 B: PELEX NBL(Kao Corporation 제품, 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을 주체)
시스타틴 C 항원: 재조합 인간 시스타틴 C(DAKO 제품)
(측정용 시약)
제 1 시약: 100mM 트리스완충액, pH8.5, 500mM 염화나트륨을 함유.
제 2 시약: 항인간 시스타틴 C 항체 감작 라텍스 부유액.
측정방법: 히타치 7180형 자동 분석장치(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제품, http://www.hitachi-hitec.com/science/medical/7180.html 참조)에 의해 종말점법으로 자동 측정했다.
(자동 분석장치에 의한 측정)
상술한 시스타틴 C 측정용 시약을 사용해서 각 샘플의 시스타틴 C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상술한 조제 샘플액 3μL에 제 1 시약 230μL를 첨가하고, 이 혼합 액을 37℃에서 교반 혼합한 후, 5분 방치후 제 2 시약을 50μL 첨가하고, 37±0.1℃에서 더 교반 혼합했다. 약 5분간의 응집반응을 546nm의 흡광도 변화량으로서 측정하고, 시스타틴 C 농도를 비교했다. 미리 기지의 농도의 시료를 동일 조건에서 측정하고, 시스타틴 C 농도와 흡광도 변화량의 관계를 이용해서 검량선을 작성했다. 흡광도 변화량의 측정, 검량선 작성 및 정량값의 계산은 자동 분석장치의 부속 소프트웨어로 행했다.
이하의 계산식으로 흡착률을 산출하고, 판정 기준에 따라서 각 검토 재료에 있어서의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능을 평가했다.
흡착률[%]=(이동 2회 샘플액의 시스타틴 C 농도/이동 0회 샘플액의 시스타틴 C 농도-1)×100
판정 기준
◎(우량): 흡착률의 절대치가 1% 이하
○(양호): 흡착률의 절대치가 10% 이하
×(불가): 흡착률의 절대치가 10% 초과
Figure pct00001
주 1: 흡착률의 수치는 절대치가 작은 편이 흡착량이 적다.
(고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타틴 C의 샘플 컵에의 흡착을 간편하게 억제할 수 있었다. 이것에 의해, 자동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정확하게 시스타틴 C의 정량이 가능한 것을 나타냈다.

Claims (15)

  1.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형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페녹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벤질페녹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 측정 시약.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 측정 키트.
  7. 비이온형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시스타틴 C를 함유하는 시료를 측정 기구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형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페녹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는 벤질페녹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의 존재량은 0.001∼10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형 계면활성제의 존재량은 0.01∼5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구는 플라스틱제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
  1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스타틴 C의 흡착 억제방법에 의해 상기 측정 기구에의 시스타틴 C의 흡착을 억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중의 시스타틴 C의 측정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면역측정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중의 시스타틴 C의 측정방법.
KR1020117003460A 2008-08-22 2009-08-24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KR101665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4513 2008-08-22
JP2008214513 2008-08-22
PCT/JP2009/064729 WO2010021399A1 (ja) 2008-08-22 2009-08-24 シスタチンc吸着抑制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182A true KR20110042182A (ko) 2011-04-25
KR101665999B1 KR101665999B1 (ko) 2016-10-13

Family

ID=4170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460A KR101665999B1 (ko) 2008-08-22 2009-08-24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46517B2 (ko)
EP (1) EP2325639B1 (ko)
JP (1) JP5653216B2 (ko)
KR (1) KR101665999B1 (ko)
CN (1) CN102187221B (ko)
BR (1) BRPI0917851B1 (ko)
WO (1) WO20100213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953A (ko) 2014-12-16 2016-06-24 정문기 휴대폰 배터리 충전 완료 후 분리가 되는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7932B2 (ja) * 2010-08-03 2014-08-06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試薬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方法
JP6013717B2 (ja) * 2010-09-30 2016-10-25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液状保存可能なタンパク質溶液及びタンパク質溶液の液状での保存方法
CN103014047B (zh) * 2011-09-27 2016-08-03 菲鹏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天然活性的重组人胱抑素c蛋白及其制备方法
JP5883645B2 (ja) * 2011-12-28 2016-03-15 デンカ生研株式会社 気泡吸着抑制方法
JP6931673B2 (ja) * 2014-10-09 2021-09-08 デンカ株式会社 免疫分析方法及び試薬
JP6862963B2 (ja) * 2017-03-17 2021-04-21 東ソー株式会社 ペプチドの吸着抑制剤
JP2018169273A (ja) * 2017-03-29 2018-11-01 東ソー株式会社 ペプチドの吸着抑制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662A (ja) 1998-12-25 2000-07-14 Tomakomai Rinsho Kensa Center:Kk 尿中シスタチンc測定試薬及び診断方法並びにキット
JP3342819B2 (ja) 1997-08-20 2002-11-11 株式会社いかがく 腎症の早期診断用キット
JP3398372B1 (ja) 2001-10-02 2003-04-21 株式会社いかがく 腎疾患の診断用キット
JP2003149244A (ja) 2001-11-07 2003-05-21 Azwell Inc 免疫反応におけるプロゾーン現象抑制方法及び免疫反応測定用試薬
JP2004271226A (ja) * 2003-03-05 2004-09-30 Fuji Photo Film Co Ltd バイオセンサーを用いた検出又は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8791B2 (ja) * 1992-08-19 2001-11-12 日本化薬株式会社 検体中の抗原又は抗体の測定法
JP3071678B2 (ja) * 1995-08-31 2000-07-3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免疫反応用緩衝液
JP3849823B2 (ja) * 1997-06-03 2006-11-22 東洋紡績株式会社 免疫学的測定用試薬
JPH1156395A (ja) * 1997-08-27 1999-03-02 Dai Ichi Pure Chem Co Ltd 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法
JP4236934B2 (ja) 2001-04-17 2009-03-11 中外製薬株式会社 界面活性剤の定量方法
US20050037504A1 (en) * 2003-07-17 2005-02-17 Dimagno Theodore John One-step assay for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JP4580180B2 (ja) * 2004-02-26 2010-11-10 デンカ生研株式会社 免疫測定法用測定値低下抑制剤及びそれを用いた免疫測定法
EP2299271B9 (en) 2005-11-09 2014-02-26 Ajinomoto Co., Inc. Kokumi-imparting compositions
EP2094832B1 (en) * 2006-11-15 2015-04-22 The J. David Gladstone Institut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amyloid beta levels
JP5364310B2 (ja) * 2008-07-14 2013-12-11 アルフレッサファーマ株式会社 反応性物質が結合した微小粒子の安定化方法および該微小粒子含有試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2819B2 (ja) 1997-08-20 2002-11-11 株式会社いかがく 腎症の早期診断用キット
JP2000193662A (ja) 1998-12-25 2000-07-14 Tomakomai Rinsho Kensa Center:Kk 尿中シスタチンc測定試薬及び診断方法並びにキット
JP3398372B1 (ja) 2001-10-02 2003-04-21 株式会社いかがく 腎疾患の診断用キット
JP2003149244A (ja) 2001-11-07 2003-05-21 Azwell Inc 免疫反応におけるプロゾーン現象抑制方法及び免疫反応測定用試薬
JP2004271226A (ja) * 2003-03-05 2004-09-30 Fuji Photo Film Co Ltd バイオセンサーを用いた検出又は測定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사이토 켄스케, "제 13 회 생물 시료분석 과학학회 대회 시스타틴 C의 측정과 임상학적 의의", [online], 2003년 3월 14일, [2008년 2월 8일 검색], 인터넷 &lt;URL:http://www.higo.ne.jp/anal-bio-sci13/NewFiles/saitou.html&g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953A (ko) 2014-12-16 2016-06-24 정문기 휴대폰 배터리 충전 완료 후 분리가 되는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21399A1 (ja) 2012-01-26
KR101665999B1 (ko) 2016-10-13
EP2325639A1 (en) 2011-05-25
CN102187221A (zh) 2011-09-14
CN102187221B (zh) 2015-08-12
EP2325639A4 (en) 2012-02-08
EP2325639B1 (en) 2016-03-30
WO2010021399A1 (ja) 2010-02-25
US9046517B2 (en) 2015-06-02
BRPI0917851B1 (pt) 2021-05-11
US20110143457A1 (en) 2011-06-16
BRPI0917851A2 (pt) 2015-11-24
JP5653216B2 (ja)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999B1 (ko)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CN109633148B (zh) Kl-6检测乳胶凝集试剂
KR20120101421A (ko) 검체 중의 측정 대상 성분의 측정 방법 및 측정용 키트
KR101894106B1 (ko) 측정계외 성분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CN104634970B (zh) 用于检测脂蛋白相关磷脂酶a2的试剂盒及其制备和应用
JP2007315883A (ja) 免疫測定用ラテックス組成物
JP2022033286A (ja) ヘモグロビンの測定試薬、測定キット及び測定方法
JP6434843B2 (ja) ヘムタンパク質の保存液及びヘムタンパク質の安定化方法
JP2013125005A (ja) Ck−mb測定用ラテックス凝集免疫試薬及び測定方法
KR101675412B1 (ko) 면역 분석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시약
JP2006194746A (ja) 被測定物質測定方法及び免疫測定用試薬
JPWO2016159203A1 (ja) ヘムタンパク質の保存液及びヘムタンパク質の安定化方法
JP2006071574A (ja) 免疫比濁法及びそのための試薬
WO2024038863A1 (ja) 免疫分析方法及び試薬
WO2022154121A1 (ja) ヘプシジンの吸着抑制剤、吸着抑制方法、標準品、試薬、キットおよび測定方法
JP7483109B2 (ja) フェリチン測定試薬
JP2019002871A (ja) 抗ガングリオシド抗体測定方法、抗ガングリオシド抗体測定試薬キット、洗浄液及び抗ガングリオシド抗体測定における感度の向上方法
JP2022161884A (ja) 自動分析装置の測定値の正確性を向上させる方法
JP2024044817A (ja) 特異的結合物質固定化担体粒子の沈降抑制方法
JP2021143946A (ja) 非特異反応の抑制方法
JP2020034492A (ja) 生体試料中の測定対象物質を免疫学的に測定する方法
JPH0886783A (ja) C反応性タンパク質の測定法及び測定試薬
JP2005091111A (ja) 尿中総ヘモグロビン定量試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