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926A - 수지관 이음매 - Google Patents

수지관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926A
KR20110040926A KR1020117003425A KR20117003425A KR20110040926A KR 20110040926 A KR20110040926 A KR 20110040926A KR 1020117003425 A KR1020117003425 A KR 1020117003425A KR 20117003425 A KR20117003425 A KR 20117003425A KR 20110040926 A KR20110040926 A KR 20110040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tube
expansion
union nu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228B1 (ko
Inventor
가즈키요 데시마
아키히로 마스다
다케히로 나카무라
마사테루 야마다
다카유키 기시모토
도시유키 후쿠모토
다케시 나카가와
료 이마니시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023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1122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021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871947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16L19/0283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and having a bell-mouthed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16L47/041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the plastic pipe end being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이음매 본체와 유니온 너트의 2점으로 이루어지는 경제적인 것으로 하면서, 내인발성과 양호한 시일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한다. 내부 통부(4)와, 수나사부(5)와, 튜브 단이 들어오는 둘레 홈 m을 구비하는 불소 수지제 이음매 본체(1), 암나사부(8)와, 튜브 직경 확대부(3A)의 선단부를 압압하는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단부분에 작용하는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와,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외부 끼움 가능한 누름 내주부(13)를 구비하는 투시 가능한 불소 수지제 유니온 너트(2)를 갖고, 내부 통부(4)에 튜브(3) 단이 삽입되어 직경 확대부(3A)가 형성되는 상태에 있어서의 유니온 너트(2)의 조임에 의해,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누름 내주부(13)가 압접되어 외부에서 끼워지고, 또한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단부분으로 되는 부분이 빠짐 방지용 압압부(11)로 압압되고, 또한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소직경측 단부분이 시일용 압압부(10)로 압압되는 수지관 이음매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지관 이음매{RESINOUS TUBE JOINT}
본 발명은 유체 이송로로서의 튜브를 직경 확대(플레어)시켜 접속시키는 구조의 수지관 이음매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반도체 제조나 의료ㆍ의약품 제조, 식품 가공, 화학 공업 등의 각종 기술 분야의 제조 공정에서 취급되는 고(高)순도액이나 초(超)순수의 배관에도 적합하며, 펌프, 밸브, 필터 등의 유체 기기나 유체 이송로인 튜브의 접속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수지관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수지관 이음매로서는 특허문헌 1에 있어서 개시되는 튜브 이음매가 알려져 있다. 즉, 합성 수지제의 튜브(1)를 이음매 본체(4)의 내부 통부(5)에 강제적으로 밀어 넣거나, 또는 특허문헌 1의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미리 튜브 단부(2)를 직경 확대시키고 나서 내부 통부(5)에 끼워 넣거나 한다. 그것으로부터 미리 튜브에 끼워 만들어져 있는 유니온 너트(6)를 이음매 본체에 나사 결합시키고, 체결 조작하여 이음매 본체(4)의 축심 방향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튜브(1)의 직경 확대를 갖는 근원 부분(2a)을 에지부(6a)에서 축심 방향으로 강하게 압압(押壓)하여, 튜브(1)와 내부 통부(5)의 사이를 시일(seal)하는 구조이다.
상술의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서는 특허문헌 2의 도 8, 도 9에 있어서 개시된 것이나, 특허문헌 3의 도 6에 있어서 개시된 수지관 이음매가 알려져 있다. 이들과 같이, 튜브의 선단(先端)을 직경 확대(플레어)시켜 이음매 본체에 끼워 너트 고정하는 이음매 구조는 특허문헌 2의 도 5나 특허문헌 3의 도 5 등에 있어서 개시되는 구조, 즉 전용 부품의 내부 링에 직경 확대되어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튜브 단을 이음매 본체의 통형상 받이부에 내부에서 끼워 유니온 너트 고정하는 3부품 구조의 관 이음매에 비해, 이음매 본체와 유니온 너트라고 하는 적은 부품 점수(2점)로 경제적으로 관 이음매를 구성하면서도, 양호한 시일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2점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수지관 이음매에서는 튜브 단을 직경 확대시켜 강고하게 끼워 맞추고, 또한 직경 확대 근원 부분을 유니온 너트로 조이고 있지만, 그 조임은 시일 기능을 내기 위한 것이기 때문인지, 튜브를 이음매 본체로부터 인발(뽑아냄)하려고 하는 힘에는 비교적 약하다고 하는 경향이 있었다. 튜브가 인발 이동되는 것 자체가 문제이지만, 그것에 의해서 에지부의 압압에 의한 시일 포인트도 어긋나 버려, 시일성에 악영향이 생기는 문제도 있다. 특히, 100℃ 이상의 고온 유체를 취급하기 위해 수지관 이음매가 불소 수지 등의 큰 팽창 계수를 갖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 문제가 더욱 현저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특허문헌 4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튜브 직경 확대부와 유니온 너트의 사이에 C자 형상의 분할 링을 튜브 직경 확대부의 둘레 홈에 꼭 들어 맞는 상태에서 개장(介裝)시키는 구조의 내(耐)인발 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시일 기능뿐만 아니라 튜브의 인발에 대해서도 강한 수지관 이음매를 얻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그 특허문헌 4에서 개시되는 수지관 이음매에서는 미리 튜브 직경 확대부에 둘레 홈을 형성하는 전처리가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부품 점수가 증가하여 3부품으로 되는 것으로부터 원래 갖고 있었던 경제성의 장점이 손상되어 버린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이음매 본체와 유니온 너트의 2점으로 이루어지는 수지관 이음매를, 그 새로운 문제를 초래하는 일 없이 인발에 대해서도 강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한층 더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등록304189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7-2727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개2002-357294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실용신안 등록258744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이음매 본체와 유니온 너트의 2점으로 이루어지는 경제적인 것으로 하면서, 내인발성과 양호한 시일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합성 수지제 튜브(3)의 단부를 직경 확대하여 외부 끼움 장착 가능한 내부 통부(4)와, 상기 내부 통부(4)의 안쪽측에 상기 튜브(3)의 들어옴을 허용하는 직경 방향의 간극 m을 갖고 덮이는 커버 통부(6)와, 수나사부(5)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이음매 본체(1), 및
상기 수나사부(5)에 나사 결합 가능한 암나사부(8)와, 상기 튜브(3)의 상기 내부 통부(4)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소(小)직경측 부분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압압부(10)와, 상기 직경 확대부 (3A)에 있어서의 직경이 일정한 직동(直胴; straight barrel) 통부분(4B)에 외부에서 둘러싸이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외부 끼움 가능한 누름 내주부(內周部)(13)를 구비하는 투시 가능한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2)를 갖고,
상기 내부 통부(4)에 상기 튜브(3)가 외부 끼움 장착되어, 상기 직경 확대부 (3A)가 형성되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부(8)를 상기 수나사부(5)에 나사 결합시킨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상기 이음매 본체(1)의 축심 P방향으로의 나사 전진에 의해,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상기 누름 내주부(13)가 압접(壓接)되어 외부에서 끼워지고, 또한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소직경측 부분이 상기 시일용 압압부(10)에서 상기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누름 내주부(13)는, 이것과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직경 방향의 간극이 없고, 또한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체결에 의한 상기 직경 확대부(3A)의 동반 회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압접되어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2)에,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大)직경측 부분에 작용 가능한 빠짐 방지용 압압부(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상기 나사 전진에 의해서,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이 상기 빠짐 방지용 압압부(11)에서 상기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합성 수지제 튜브(3)의 단부를 직경 확대하여 외부 끼움 장착 가능한 내부 통부(4)와, 수나사부(5)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이음매 본체(1), 및
상기 수나사부(5)에 나사 결합 가능한 암나사부(8)와, 상기 튜브(3)의 상기 내부 통부(4)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소직경측 부분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압압부(10)와,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에 작용 가능한 빠짐 방지용 압압부(11)와, 상기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이 일정한 직동 통부분(4B)에 외부에서 둘러싸이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외부 끼움 가능한 누름 내주부(13)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2)를 갖고,
상기 내부 통부(4)에 상기 튜브(3)가 외부 끼움 장착되어, 상기 직경 확대부 (3A)가 형성되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부(8)를 상기 수나사부(5)에 나사 결합시킨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상기 이음매 본체(1)의 축심 P방향으로의 나사 전진에 의해,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상기 누름 내주부(13)가 압접되어 외부에서 끼워지고, 또한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이 상기 빠짐 방지용 압압부(11)에서 상기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고, 또한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소직경측 부분이 상기 시일용 압압부(10)에서 상기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빠짐 방지용 압압부(11)에 의한 상기 대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된 후에 상기 시일용 압압부(10)에 의한 상기 소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누름 내주부(13)는, 이것과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직경 방향의 간극이 없고, 또한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체결에 의한 상기 직경 확대부(3A)의 동반 회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압접되어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1)에는 상기 내부 통부(4)의 안쪽측에 상기 튜브(3)의 들어옴을 허용하는 직경 방향의 간극 m을 갖고 덮이는 커버 통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니온 너트(2)가 투시 가능한 합성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부(4)가 상기 튜브(3)를 서서히 직경 확대시키는 선단 축소 통부(4A)와, 상기 선단 축소 통부(4A)의 대직경측에 계속해서 형성되는 상기 직동 통부분(4B)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3)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이 상기 선단 축소 통부(4A)에 덮이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5)가 상기 커버 통부(6)의 외주부(外周部)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5)가 상기 커버 통부(6)의 외주부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직동 통부분(4B)이 상기 내부 통부(4)의 상기 선단 축소 통부(4A)와는 반대측의 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1) 및 상기 유니온 너트(2)가 모두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상세하게는 실시형태의 항에서 설명하지만, 내부 통부의 선단 개소에서 시일부가 형성되는 것이 되고, 내부 통부와 직경 확대부의 사이에 유체가 들어오는 일 없이 튜브와 이음매 본체가 양호하게 시일되도록 된다. 그리고, 내부 통부에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가 직동 통부분의 외주면과 누름 내주부로 압접되므로, 인발력에 강하게 저항할 수 있는 동시에, 인발력에 기인하여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가 직경 확대되어 있는 구조에 기인하여 직경 방향으로 팽창 변형하는 것에 의해 축심 방향으로 어긋나게 움직이려고 하는 것도 저지되도록 되고, 직경 확대부가 축심 방향에서 내부 통부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이동이 유효하게 규제되는 기능이 생긴다. 또, 유니온 너트를 사이를 두고 보이는 직경 확대부의 단부가 커버 통부의 단부보다 안쪽에 있는지 없는지를 시인(視認)할 수 있는 것에 의해, 튜브가 내부 통부에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지 어떤지의 판단을 실행할 수 있게도 된다. 그 결과, 이음매 본체와 유니온 너트의 2점으로 이루어지는 경제적인 것으로 하면서, 또한 유니온 너트를 사이를 두어 튜브 삽입량의 좋고 나쁨을 알 수 있는 인디케이터 수단의 기능도 발휘 가능하면서, 내인발성과 양호한 시일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유니온 너트에 체결에 수반하는 직경 확대부의 동반 회전이 생기지 않고, 직경 확대부의 회전 운동 이동에 의한 시일 포인트의 어긋남이나 내인발력 저하 등의 부적합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면서, 직동 통부분과 누름 내주면의 사이에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를 확실히 끼워 넣어 고정시킬 수 있고, 내인발력의 한층의 향상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내부 통부에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가 직동 통부분의 외주면과 누름 내주부로 압접되어 빠져나갈 장소가 없고(팽창 변형 등을 할 수 없음), 압압력이 강화되어 확실히 홀딩될 뿐만 아니라, 빠짐 방지용 압압부가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대직경측 부분을 축심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위치하고 있으므로, 직경 확대부가 축심 방향에서 내부 통부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의 이동 방지 작용이 강화되어, 내인발력이 더욱 한층 향상하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상세하게는 실시형태의 항에서 설명하지만, 시일용 압압부가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소직경측 부분을 누르므로, 내부 통부의 선단 개소에서 시일부가 형성되는 것이 되고, 내부 통부와 직경 확대부의 사이에 유체가 들어오는 일 없이 튜브와 이음매 본체가 양호하게 시일되도록 된다. 내부 통부에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가 직동 통부분의 외주면과 누름 내주부로 압접되므로, 인발력에 강하게 저항할 수 있는 동시에, 인발력에 기인하여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가 직경 확대되어 있는 구조에 기인하여 직경 방향으로 팽창 변형하는 것에 의해 축심 방향으로 어긋나게 움직이려고 하는 것도 저지되도록 되고, 직경 확대부가 축심 방향에서 내부 통부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이동이 유효하게 규제되는 기능이 생긴다.
그리고, 내부 통부에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가 직동 통부분의 외주면과 누름 내주부로 압접되어 빠져나갈 장소가 없고(팽창 변형 등을 할 수 없음), 압압력이 강화되어 확실히 홀딩될 뿐만 아니라, 빠짐 방지용 압압부가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대직경측 부분을 축심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위치하고 있으므로, 직경 확대부가 축심 방향에서 내부 통부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의 이동 방지 작용이 강화되어, 내인발력이 더욱 한층 향상한다. 그 결과, 이음매 본체와 유니온 너트의 2점으로 이루어지는 경제적인 것으로 하면서, 또한 내인발성과 양호한 시일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에 누름 내주부가 압접되어 외부에서 끼워지는 상태에서, 빠짐 방지용 압압부가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대직경측 부분을 누르므로, 유니온 너트의 조임에 수반하여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를 안쪽측에 적극적으로 밀어 넣는다고 하는 바람직한 작용도 생기고, 튜브를 더욱 확실히 안쪽까지 삽입하는 것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빠짐 방지용 압압부에 의한 대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된 후에 시일용 압압부에 의한 소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되기 때문에, 유니온 너트의 조임 조작에 의해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를 내부 통부의 더욱 안쪽측에 밀어 넣는 작용이 생겨, 더욱 확실히 내부 통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 내주부의 압접되어 외부 끼움에 의해서 튜브는 용이하게는 안쪽으로 움직일 수 없는 상황에 있기 때문에, 빠짐 방지용 압압부의 상기 밀어 넣음으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의 두께가 증대하는 작용이 생기고, 그것에 의해서 직동 통부분과 누름 내주부의 사이에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가 더욱 강고하게 끼워져, 내인발력이 한층 향상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2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유니온 너트에 체결에 수반하는 직경 확대부의 동반 회전이 생기지 않고, 직경 확대부의 회전 운동 이동에 의한 시일 포인트의 어긋남이나 내인발력 저하 등의 부적합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면서, 직동 통부분과 누름 내주면의 사이에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를 확실히 끼워 넣어 고정시킬 수 있고, 내인발력의 한층의 향상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유니온 너트를 사이를 두고 보이는 직경 확대부의 단부가 커버 통부의 단부보다 안쪽에 있는지 없는지를 시인할 수 있도록 된다. 고로, 튜브가 커버 통부의 단부에 대해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시인하는 것에 의해, 튜브가 내부 통부에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지 어떤지의 판단을 실행하는 것, 즉 유니온 너트를 사이를 두어 튜브 삽입량의 좋고 나쁨을 알 수 있는 인디케이터 수단의 기능도 발휘 가능하게 되어, 더욱 사용상의 편리함이 향상하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선단 축소 통부를 사용하여 튜브를 직경 확대시킨 내부 통부에의 외부 끼움 장착이 실행되기 쉬운 동시에, 시일용 압압부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에의 작용 개소와 빠짐 방지용 압압부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에의 작용 개소가 서로 축심 방향에서 떨어진 개소로 되어, 시일 기능과 빠짐 방지 기능의 각각을 명확히 발휘시키기 쉬워지고,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한 상기 효과를 강화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8, 청구항 9의 발명에 따르면, 수나사부와 튜브의 내부 통부에의 삽입부가 축심 방향에서 겹쳐지는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유니온 너트와 이음매 본체의 나사 결합 연결 구조로 하면서, 축심 방향 길이의 콤팩트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갖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르면, 내부 통부가 축소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직관(直管)(스트레이트 관)형으로 형성되므로, 틀 성형이나 절삭 가공 등이 실행되기 쉽고 생산성에 뛰어난 이점이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따르면, 이음매 본체도 유니온 너트도 내약품성 및 내열성에 뛰어난 특성을 갖는 불소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체가 약액이라던가 화학 액체라도, 또는 고온 유체라도 이음매 구조 부분이 변형되어 누설되기 쉬워지는 일이 없고, 양호한 시일성이나 내인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불소계 수지는 고온에도 안정되고, 발수성에 뛰어나며, 마찰 계수가 작고, 내약품성도 극히 높으며, 전기 절연성도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음매 본체와 유니온 너트를 서로 동일한 불소 수지재로 형성하면 선 팽창 계수도 서로 동일하게 되어, 고온 시의 시일성도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도 1] 실시예 1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3] 도 3은 실시예 2의 수지관 이음매의 유니온 너트의 조임 도중에서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4] 도 3의 유니온 너트의 조인 후에서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5] 실시예 3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 표준적 튜브의 내부 통부로부터의 내인발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수지관 이음매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2의 수지관 이음매의 유니온 너트의 조임 도중에서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유니온 너트의 조인 후에서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3의 수지관 이음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내인발력 테스트의 결과 도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안쪽측」이란, 거기서 말하는 기준으로 되는 부위(또는 부분)로부터 축심 P방향에서 안쪽으로 되는 측이라고 하는 정의이고, 대상물(예: 이음매 본체(1))에 있어서의 축심 P방향에서의 중앙 위치가 반드시 안쪽이 된다고 하는 뜻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A)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소 수지(PFA, PTFE 등으로 대표되는 합성 수지의 일례)제의 튜브(3)를 펌프, 밸브 등의 유체 기기나, 다른 직경 또는 동일 직경의 튜브에 연이어 통해 접속하는 것이고, 불소 수지(PFA, PTFE 등으로 대표되는 합성 수지의 일례)제의 이음매 본체(1)와 불소 수지(PFA, PTFE 등으로 대표되는 합성 수지의 일례)제 유니온 너트(2)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2는 유니온 너트(2)를 소정량 체결한 맞붙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음매 본체(1)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3)의 단부를 직경 확대하여 외부 끼움 장착 가능한 일단의 내부 통부(4)와, 내부 통부(4)의 안쪽측 부분의 외주측에 직경 확대된 튜브(3) 선단의 들어옴을 허용하기 위해 축심 P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홈(「직경 방향의 간극」의 일례) m을 갖고 덮이는 커버 통부(6)와, 사다리꼴 나사로 되는 수나사부(5)와, 축심 P를 갖는 원기둥 공간 형상의 유체 경로(7)를 구비하는 통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통부(4)는 튜브(3)를 서서히 직경 확대시키는 선단 축소 통부(4A)와, 선단 축소 통부(4A)의 대직경측에 계속해서 형성되는 직동 통부분(4B)을 갖는 스트레이트형의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둘레 홈 m은 그 직경 내측의 둘레면인 외주면은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 (4b)이고, 그 직경 외측의 둘레면인 외주면은 커버 통부(6)의 내주면(6a)이다. 둘레 홈 m의 안측 둘레면(21)으로부터 축심 P방향으로 소정 길이 떨어진 개소에 이음매 플랜지(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이음매 플랜지(1A)의 대략 근원 부위로부터 커버 통부(6)의 단부의 외주면에 걸쳐 수나사부(5)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통부(4)의 선단면은 직경 방향에서 내측만큼 안쪽측(축심 P방향에서 안쪽)에 접근하는 역 테이퍼의 각도가 실시되는, 즉 선단만큼 대직경으로 되는 커트면(16)이 형성되어 있고, 튜브(3)의 내주면이 직경 확대부(플레어부)를 향해 확대 변위하는 것에 의한 액체 고임 둘레부(17)의 형상을 내주측 확대 형상으로 하여, 그 유체가 액체 고임 둘레부(17)에 정체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커트면(16)은 그 최대 직경이 자연 상태의 튜브(3)의 내경과 외경의 대략 중간값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그것에는 구애되지 않는다.
유니온 너트(2)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나사부(5)에 나사 결합 가능한 암나사부(8)와, 튜브(3)의 내부 통부(4)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소직경측 단부분(「소직경측 부분」의 일례)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둘레 에지(시일용 압압부의 일례)(10)와,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단부분(「대직경측 부분」의 일례)에 작용 가능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빠짐 방지용 압압부의 일례)(11)와,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이 일정한 직동 통부분(4B)에 외부에서 둘러싸이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 (12)에 외부 끼움 가능한 누름 내주부(13)와, 시일용 둘레 에지(10)에 계속해서 튜브(3)를 축심 P방향의 소정 길이에 걸쳐 외부에서 둘러싸는 가이드 통부(14)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용 둘레 에지(10)는 그 내경이 튜브(3)의 외경에 대략 동등하고, 그 압압면(10a)은 축심 P에 직교하는 측둘레면으로 되어 있다.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 (11)는 그 내주면의 직경이 내부 통부(4)의 최대 직경인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 (4b)보다 대직경이고, 또한 튜브(3)의 두께를 더한 직경, 즉 누름 내주부(13)의 직경보다는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아도(예: 외주면(4b)보다 소직경) 좋고,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에 작용하면 좋다.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의 압압면(11a)도 축심 P에 직교하는 측둘레면이다.
누름 내주부(13)는, 이것과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직경 방향의 간극이 없고, 또한 유니온 너트(2)의 체결에 의한 직경 확대부(3A)의 동반 회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압입(壓入)(압접되어 외부 끼움)되는 값으로 설정되어 빠짐 방지 수단 N이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유니온 너트(2)의 체결에 의해, 튜브(3)의 빠져나감을 저지하기 위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를 축심 방향으로 죄어 들도록 압압하지만, 그 압압력에 의해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직경 외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빠져나감 변형할 수 없도록 하고,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와의 협동에 의한 내인발력을 높여서 얻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튜브(3)의 단부를 내부 통부(4)에 외부에서 끼워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온 하에서 강제적으로 튜브(3)를 밀어 넣어 직경 확대시켜 장착하거나, 열원을 이용하여 따뜻하게 해서 팽창 변형하기 쉽도록 하고 나서 밀어 넣거나, 또는 직경 확대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미리 튜브 단을 직경 확대시켜 놓고 나서 내부 통부 (4)에 밀어 넣거나 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단(3t)이 커버 통부(6)의 단벽(15)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될 때까지 삽입한다. 내부 통부(4)에 외부 끼움 장착되는 직경 확대부(3A)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축소 통부(4A)의 외주면(4a)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확대 변화 영역(9)과,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4b)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로 이루어진다.
즉,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통부(4)에 튜브(3)가 외부 끼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암나사부(8)를 수나사부(5)에 나사 결합시킨 유니온 너트 (2)의 체결에 의한 이음매 본체(1)의 축심 P방향으로의 나사 전진에 의해,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누름 내주부(13)가 외부에서 끼워지고, 또한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에 있어서의 내부 통부(4)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 되는 부분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에서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고, 또한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소직경측 부분이 시일용 둘레 에지(10)에서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튜브(3)의 유체 이송로(3W)의 직경과 유체 경로(7)의 직경은 원활한 유체의 흐름으로 하기 위해 서로 동일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서로 달라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 내주부(13)와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의 직경 방향에는 간극이 없고, 직동 통부분(4B)과 누름 내주부(13)의 사이에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압접되어 끼워져 있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있다. 또,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튜브(3)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이 선단 축소 통부(4A)에 덮이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은 서서히 확대되는 테이퍼 관의 상태이고,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는 축심 P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 관계에 있지만, 선단 축소 통부(4A)의 외주면(4a)의 축심 P에 대한 각도가 급격하게 되면 될수록,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의 축심 P방향의 거리는 접근한다. 또,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내부 통부(4)의 선단은 축심 P방향에서 조금 떨어져 있지만(도 2 등 참조), 상기 외주면(4a)의 각도가 급격하게 되면 그 이간 거리는 확대되고, 평온해지면 그 이간 거리는 축소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관 이음매(A)의 소정의 맞붙음 상태에 있어서는 시일용 둘레 에지(10)는 튜브(3)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소직경측 단부분을 축심 P방향으로 압압하므로,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외주면(4a)의 소직경측 단과, 그 개소에 접하는 튜브(3)의 내주면이 강하게 압접되어 시일부 S가 형성된다. 이 내부 통부(4)의 선단 개소에서의 시일부 S에 의해, 내부 통부(4)와 직경 확대부(3A) 사이에 세정액, 약액 등의 유체가 들어오는 일 없이 튜브(3)와 이음매 본체(1)가 양호하게 시일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통부(4)에 압입적으로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직경 확대부(3A)의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4b)과 누름 내주부 (13)로 둘러싸여 있어, 우선 팽창 변형할 수 없도록 홀딩되어 있고, 또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거의 그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죄어 들어가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단부분, 즉 실질적으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죄어 들어가도록 누르는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의 걸림에 의해서 직경 확대부(3A)에 작용하는 인발력에 저항할 수 있는 동시에,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를 기점으로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인발력에 의해서 직경 방향으로 팽창 변형할 수 있는 것에 기인하여 직경 확대부(3A)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이 견제 저지되게도 된다. 직경 확대부(3A)가 축심 P방향으로 조금이라도 어긋나게 움직이면, 시일부 S에 있어서의 시일 포인트도 어긋나서 시일 기능이 불확실화 될 우려가 있지만, 그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된다. 따라서, 직경 확대부(3A)가 축심 P방향에서 내부 통부(4)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이동이 강고하게 규제되는 빠짐 방지 수단 N이 구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서 뛰어난 내인발력이 실현되고 있다. 그 결과, 이음매 본체(1)와 유니온 너트(2)로 이루어지는 플레어형의 수지관 이음매(A)를, 튜브가 내부 통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너트 조작에 의해서 간단히 맞붙일 수 있어 맞붙임성에 뛰어난 동시에, 시일부 S에 의한 뛰어난 시일성과 빠짐 방지 수단 N에 의한 뛰어난 내인발력의 양립도 도모할 수 있는 개선된 것으로서 실현되어 있다.
또,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통부(4)의 안쪽측과 커버 통부 (6)로 형성되는 둘레 홈 m, 및 투시 가능한 불소 수지로 형성되는 유니온 너트(2)에 의해, 튜브(3)가 올바르게 내부 통부(4)에 삽입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목시(目視) 확인 가능한 인디케이터 수단(B)이 구성되어 있다. 즉, 누름 내주부(13)의 안쪽측이고, 또한 암나사부(8)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골짜기 형상 내주면(22)을 통과하는 라인(도 2의 화살표 イ 참조)에서의 목시에 의해, 직경 확대부(3A)가 보이고, 또한 직경 확대 단부(3t)가 보이지 않는 정상 상태라면, 튜브(3)가 내부 통부 (4)에 올바르게 외부 끼움 장비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직경 확대부 (3A)가 보이고, 또한 직경 확대 단부(3t)도 보이는 삽입 불량 상태, 또는 직경 확대부(3A) 자체가 보이지 않는 삽입 부족 상태라면, 튜브(3)의 삽입이 아직 규정량에 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고, 이 경우는 상기 정상 상태를 목시할 수 있을 때까지 튜브(3)를 더욱 밀어 넣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이 된다.
인디케이터 수단(B)에 있어서는 유니온 너트(2)가 투명 또는 반투명(유백색 등)의 불소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어 그 내측에 있는 물체를 목시 시인 가능하고, 특히, 누름 내주부(13)의 안쪽측이고, 또한 암나사부(8)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골짜기 형상 내주면(22)을 통과하는 라인(도 2의 화살표 イ 참조)에서의 목시에서는, 유니온 너트(2)의 두께가 적은 부분만의 투시에 의해서 직경 확대부(3A)를 비교적 확실하게 시인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것에 대해, 골짜기 형상 내주면(22)의 부위보다 두께가 두꺼운 누름 내주부(13)의 부위에서는 직경 확대부 (3A)의 시인도가 뒤떨어져, 보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튜브(3)의 단부가 들어오는 것이 가능한 둘레 홈 m의 부분에서는 유니온 너트(2)와 커버 통부(6)가 겹쳐져 있으므로, 이음매 본체(1)도 투시 가능하다고 해도, 두께가 골짜기 형상 내주면(22)의 부분보다 두꺼워지고, 또한 수나사부(5)와 암나사부(8)의 겹쳐짐에 의한 경계면에서의 굴절률의 변화도 부가되어, 직경 확대 단부(3t)가 어디에 있는가의 시인은 우선 무리한 상태가 된다. 또, 이음매 본체(1)가 착색되어 있는 등의 투시 불가의 경우에는, 커버 통부(6)의 단벽 (15)보다 안쪽측에 있어서는 말할 필요도 없이 직경 확대부(3A)나 직경 확대 단부 (3t)를 볼 수는 없다.
따라서, 골짜기 형상 내주면(22)으로부터 직경 확대부(3A)가 보이고, 또한 직경 확대 단부(3t)가 보이지 않는다고 하는 정상 상태를 시인할 수 있는지 없는지 라고 하는 인디케이터 수단(B)의 기능에 의해서, 유니온 너트(2)를 조임 조작한 후의 맞붙음 상태에서 목시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편리하고 사용상의 편리함에 뛰어난 수지관 이음매(A)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인디케이터 수단(B)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홈 m 및 커버 통부(6)의 존재에 의해, 튜브(3)를 내부 통부(4)에 삽입 시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로서도 기능한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즉, 튜브(3)를 플레어 한 내부 통부(4)에의 삽입량이 소정량이 되어 있는지 없는지의 확인을 할 수 있다. 즉, 내부 통부(4)에 삽입된 직경 확대부(3A)로서의 단부(3t)가 단벽(15)보다 안쪽에 있으면 좋고, 그 좋고 나쁨을 튜브(3)의 내부 통부(4)에의 맞붙음 시에 있어서 시인 판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직경 확대부(3A)의 축심 P방향에서의 내부 통부(4)에의 끼워 맞춤 길이를 L(직경 확대 끼워 맞춤 길이 L), 내부 통부(4)의 선단으로부터 커버 통부 (6)의 단벽(15)까지의 거리를 D(최저 끼워 맞춤 길이 D), 그리고 둘레 홈 m의 튜브 최대 끼워 맞춤 길이를 d(조절 끼워 맞춤 길이 d)로 하면, 직경 확대 끼워 맞춤 길이 L은 최저 끼워 맞춤 길이 D 이상이고, 또한 최저 끼워 맞춤 길이 D에 조절 끼워 맞춤 길이 d를 더한 길이 이하로 설정되면 좋고, 그것이 인디케이터 수단(B)에 의해, 유니온 너트(2)의 조인 후에 있어서도 알 수 있다. 즉, D≤L≤(D+d)라면 튜브 (3)의 내부 통부(4)에의 삽입량이 적량인 것이 된다.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를 작용시키지 않고, 튜브(3)를 내부 통부(4)에 삽입한 상태에서, 축심 P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힘으로 끌어당기면 튜브(3)가 내부 통부(4)로부터 빠지는가 라고 하는 시험을 표준적인 직경의 튜브(3)를 이용하여 실행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표준적인 직경의 일례로서, 내경 15.8㎜, 외경 19㎜의 것을 이용한 경우에는, L=5㎜에서는 인발력이 ○이고, L=10㎜에서는 인발력이 ◎, L=15㎜에서도 인발력은 ◎라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여기서, 내인발력이 80kg 이상이면 판정은 ○이고, 90kg 이상이면 판정은 ◎이다. 이제부터, L은 최저 10㎜ 있으면 양호한 내인발력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L≥10㎜가 얻어진다. 이 경우, L의 상한 규정이 없지만, 그렇게 되면 둘레 홈 m이 쓸데없이 길어져 관 이음매로서의 축심 방향 길이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그런데, 튜브(3)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는 데에, 정확하게 자르기 위해서는 절단 공구를 이용하지만, 통상은 일반의 작업자가 가위를 사용하여 절단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그 경우에는 절단면이 튜브 축심에 대해 정확하게 직각은 되지 않고, 경사지게 절단되어 버리는 일이 많다. 그 경사 커트에 의한 절단면의 축심 방향 위치의 편차는 대략 최대로 5㎜ 정도인 것이 데이터로부터 판명되고 있으므로, 둘레 홈의 실질 깊이(축심 P방향 길이), 즉 d=5로서 L≤15㎜, 결과로서, 10㎜≤L㎜≤15㎜(D=10㎜, D+d=15㎜)로 설정하면, 튜브(3)의 절단면이 경사지게 되는 것, 및 관 이음매로서 축심 P방향 길이를 극력 억제하는 것의 쌍방을 고려하면서, 충분한 내인발력을 갖는 상태로 튜브(3)와 내부 통부(4)를 끼워 맞추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직경 확대 단부(3t)의 축심 P방향의 위치는 도 1,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통부(6)의 단벽(15)으로부터 조금이라도 안쪽에 있으면 OK라면, 튜브(3)의 내부 통부(4)에의 삽입량은 OK이고, 도 2에 가상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홈 m의 안쪽 단 근접한 위치까지 들어가 있어도 좋다. 물론, L<D라면 삽입 부족이고, 더욱 튜브(3)를 밀어 넣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전술의 10㎜나 15㎜라고 하는 구체 길이는 어디까지나 실시예이고, 실제의 값은 튜브(3)의 재질, 직경, 두께, 내부 통부(4)에의 직경 확대량 등의 제반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되는 것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A)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에 의한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된 후에 시일용 둘레 에지(10)에 의한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소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즉, 압압 시차 수단을 갖는 것) 이외는 실시예 1의 수지관 이음매(A)와 동일하고, 동일한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이 실시된 것으로 한다. 이 압압 시차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나 효과가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2)를 돌려 체결해(나사 전진시켜) 가면, 우선,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먼저 직경확대 변화 영역(9)(상세하게는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에 맞닿고, 그때는 시일용 둘레 에지(10)는 직경확대 변화 영역(9)에 아직 달하지 않고 있다. 이것에 의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만이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 더욱 상세하게는 직동 통부분(4B)보다 대직경으로 되는 부분을 축심 P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유니온 너트(2)의 조임 조작에 의해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를 내부 통부(4)의 더욱 안쪽측에 밀어 넣으려고 하는 작용이 생긴다.
직동 통부분(4B)에 압입되어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는 누름 내주부(13)에도 압접되지만, 그 압접력이 비교적 약한 경우에는 직경 확대부(3A)를 어긋나게 움직여서 내부 통부(4)의 더욱 안쪽측에 삽입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더욱 확실하게 튜브를 이음매 본체(1)에 삽입시킨다거나, 그것에 부가하여, 축심 P방향으로 눌려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축심 P방향으로 움직이기 어려운 것에 기인하여 직경 방향으로 팽창하려고 하여, 더욱 압접력이 높아져 확실히 끼워지는 작용이 생긴다고 하는 바람직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압접력이 비교적 강한 경우에는, 축심 P방향으로 눌려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축심 P방향으로 우선 움직일 수 없는 것에 의해서 직경 방향으로 팽창하려고 하는 강한 작용이 생기고, 내부 통부(4)와 누름 내주부(13)의 사이에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더욱 한층 강고하게 홀딩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결국 시일용 둘레 에지(10)가 직경 확대부(3A)에 박힘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직경 확대부(3A)를 축심 P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직동 통부분(4B)과 누름 내주부(13)에 의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 (12)의 압접 홀딩력이 강화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로 눌려지는 부분이 직경 외측으로 유동하여 압압면(11a)과 누름 내주부(13)로 이루어지는 모서리각 공간부가 메워져 버린다거나, 누름 내주부(13)에 의한 직경 외측의 구속이 풀린 부분이 직경 외측으로 팽창하여 팽창부(12m)가 형성된다고 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정도이다.
이상과 같이, 압압 시차 수단에 의해, 튜브(3)의 내부 통부(4)에 대한 압접 홀딩력도 내인발력도 한층 향상하는 효과가 얻어지도록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가상 선의 유니온 너트(2)는 시일용 둘레 에지(10)가 직경확대 변화 영역 (9)(상세하게는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소직경측 부분)에 달했을 때를 나타내고, 그때에는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는 이미 직경확대 변화 영역(9)에 명확하게 죄어 들어가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A)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생략된 유니온 너트(2)를 이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의 수지관 이음매(A)와 동일하고, 동일한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이 실시된 것으로 한다. 즉, 직동 통부분(4B)에 압입적으로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를 누름 내주부(13)로 팽창 변형 불가능하게 확실히 억제하고 있고,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없어도 충분한 내인발력이 나오는 경우에 적합한 구조이다.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와 직경 확대부(3A)의 접촉이 없으므로, 실시예 1의 것에 비해, 유니온 너트(2)의 체결 조작이 가볍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가상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2)에 있어서의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누름 내주부(13)의 사이의 내주부를,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의 튜브 외주에 근접하여 따르도록 경사 내주면(23)에 형성하고, 시일부 S를 형성하기 위해 시일용 둘레 에지(10)의 압압력에 의해, 직경확대 변화 영역(9)이 직경 외측으로 팽창 변형하지 않고 또는 하기 어렵도록 고안된 수지관 이음매(A)라도 좋다.
[다른 실시예 1]
시일용 압압부(10)나 빠짐 방지용 압압부(11)는 둘레 방향에서 복수로 분할된 간헐 둘레 형상의 에지나, 단면 형상에서 각부의 각도가 80도나 100도 등, 도 2 등에 나타나는 90도(직각) 이외의 각도라도 좋다.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4b)과 누름 내주부(13)은 서로 평행하지만, 빠짐 방지용 압압부(11)의 압압력에 의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의 직경 외측에의 불룩해짐 변형이 생기지 않는 범위라면 약간 상대 각도가 붙어 있어도 좋다. 가이드 통부(14)의 내경은 시일용 둘레 에지(10)의 내경과 동등해도 좋다.
합성 수지로서는 불소 수지의 이외에, PEEK(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PP(폴리프로필렌) 등 여러 가지의 것이 가능하다. 또, 불소 수지로서는 PTFE, PFA, PVDF, ETFE 등 여러 가지의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2]
도시는 생략하지만, 직경 방향의 간극 m 및 커버 통부(6)를 갖지 않는 구성의 이음매 본체(1)를 갖는 수지관 이음매라도 좋다.
1: 이음매 본체 2: 유니온 너트
3: 튜브 3A: 직경 확대부
4: 내부 통부 4A: 선단 축소 통부
4B: 직동 통부분 5: 수나사부
6: 커버 통부 8: 암나사부
9: 직경확대 변화 영역 10: 시일용 둘레 에지
11: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 12: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
13: 누름 내주부 P: 축심
m: 직경 방향의 간극

Claims (11)

  1. 합성 수지제 튜브의 단부를 직경 확대하여 외부 끼움 장착 가능한 내부 통부와, 상기 내부 통부의 안쪽측에 상기 튜브의 들어옴을 허용하는 직경 방향의 간극을 갖고 덮이는 커버 통부와,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이음매 본체, 및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 가능한 암나사부와, 상기 튜브의 상기 내부 통부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 확대부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소직경측 부분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압압부와, 상기 직경 확대부에 있어서의 직경이 일정한 직동 통부분에 외부에서 둘러싸이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에 외부 끼움 가능한 누름 내주부를 구비하는 투시 가능한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를 갖고,
    상기 내부 통부에 상기 튜브가 외부 끼움 장착되어, 상기 직경 확대부가 형성되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부를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시킨 상기 유니온 너트의 상기 이음매 본체의 축심 방향으로의 나사 전진에 의해,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에 상기 누름 내주부가 압접되어 외부에서 끼워지고, 또한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소직경측 부분이 상기 시일용 압압부에 의해 상기 축심 방향으로 압압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내주부는, 이것과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에 직경 방향의 간극이 없고, 또한 상기 유니온 너트의 체결에 의한 상기 직경 확대부의 동반 회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에 압접되어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에,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대직경측 부분에 작용 가능한 빠짐 방지용 압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상기 나사 전진에 의해서,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대직경측 부분이 상기 빠짐 방지용 압압부에 의해 상기 축심 방향으로 압압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4. 합성 수지제 튜브의 단부를 직경 확대하여 외부 끼움 장착 가능한 내부 통부와,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이음매 본체, 및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 가능한 암나사부와, 상기 튜브의 상기 내부 통부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 확대부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소직경측 부분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압압부와,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대직경측 부분에 작용 가능한 빠짐 방지용 압압부와, 상기 직경 확대부에 있어서의 직경이 일정한 직동 통부분에 외부에서 둘러싸이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에 외부 끼움 가능한 누름 내주부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를 갖고,
    상기 내부 통부에 상기 튜브가 외부 끼움 장착되어, 상기 직경 확대부가 형성되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부를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시킨 상기 유니온 너트의 상기 이음매 본체의 축심 방향으로의 나사 전진에 의해,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에 상기 누름 내주부가 압접되어 외부에서 끼워지고, 또한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대직경측 부분이 상기 빠짐 방지용 압압부에 의해 상기 축심 방향으로 압압되고, 또한 상기 직경확대 변화 영역의 소직경측 부분이 상기 시일용 압압부에 의해 상기 축심 방향으로 압압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빠짐 방지용 압압부에 의한 상기 대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된 후에 상기 시일용 압압부에 의한 상기 소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내주부는, 이것과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에 직경 방향의 간극이 없고, 또한 상기 유니온 너트의 체결에 의한 상기 직경 확대부의 동반 회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상기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에 압접되어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에는 상기 내부 통부의 안쪽측에 상기 튜브의 들어옴을 허용하는 직경 방향의 간극을 갖고 덮이는 커버 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니온 너트가 투시 가능한 합성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부는 상기 튜브를 서서히 직경 확대시키는 선단 축소 통부와, 상기 선단 축소 통부의 대직경측에 계속해서 형성되는 상기 직동 통부분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의 직경확대 변화 영역이 상기 선단 축소 통부에 덮이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커버 통부의 외주부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커버 통부의 외주부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동 통부분은 상기 내부 통부의 상기 선단 축소 통부와는 반대측의 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11.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 및 상기 유니온 너트는 모두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KR1020117003425A 2008-08-05 2009-07-14 수지관 이음매 KR101361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2373A JP5112216B2 (ja) 2008-08-05 2008-08-05 樹脂管継手
JPJP-P-2008-202373 2008-08-05
JPJP-P-2008-302137 2008-11-27
JP2008302137A JP4871947B2 (ja) 2008-11-27 2008-11-27 樹脂管継手
PCT/JP2009/062748 WO2010016364A1 (ja) 2008-08-05 2009-07-14 樹脂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926A true KR20110040926A (ko) 2011-04-20
KR101361228B1 KR101361228B1 (ko) 2014-02-10

Family

ID=4166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425A KR101361228B1 (ko) 2008-08-05 2009-07-14 수지관 이음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22608B2 (ko)
EP (2) EP2322835B1 (ko)
KR (1) KR101361228B1 (ko)
CN (1) CN102112793A (ko)
TW (1) TWI522559B (ko)
WO (1) WO2010016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0130A (zh) * 2011-11-03 2013-05-08 江苏康诺医疗器械有限公司 氧气瓶快速接头
JP5360619B2 (ja) * 2011-12-12 2013-12-04 Smc株式会社 管継手
KR102094045B1 (ko) * 2013-01-28 2020-03-26 니혼삐라아코오교오카부시키가이샤 관 접속 장치
TWI534381B (zh) 2013-04-25 2016-05-21 和正豐科技股份有限公司 防止管件與管接頭鬆脫之管接頭
JP5878143B2 (ja) * 2013-05-08 2016-03-0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JP5873833B2 (ja) * 2013-05-08 2016-03-0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JP5986953B2 (ja) * 2013-05-08 2016-09-06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JP5871855B2 (ja) * 2013-05-08 2016-03-0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リング
JP2014219052A (ja) * 2013-05-08 2014-11-2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JP6240455B2 (ja) * 2013-10-01 2017-11-2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TWI614438B (zh) * 2014-09-05 2018-02-11 Daikin Ind Ltd 接頭及接頭組裝體
JP6259873B1 (ja) * 2016-08-02 2018-01-1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の製造方法
CN106764140A (zh) * 2016-12-26 2017-05-31 常熟市惠机电有限公司 一种升降阀门连接件
US11518114B2 (en) 2019-06-07 2022-12-06 Fit-Lin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ssemble a high purity liquid distribution system
CN110529676A (zh) * 2019-09-23 2019-12-03 杭州科百特过滤器材有限公司 一种密封管接头
CN110672177B (zh) * 2019-10-14 2020-11-27 山东和同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NB-IoT物联网智能水表
JP7364458B2 (ja) * 2019-12-23 2023-10-18 住友理工株式会社 樹脂製フィラー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449B2 (ja) 1988-04-28 1997-03-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後輪舵角制御装置
JPH0452556Y2 (ko) * 1988-10-26 1992-12-10
JPH0341899A (ja) 1989-07-07 1991-02-22 Ricoh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0341899U (ko) * 1989-08-30 1991-04-22
JP3041899B2 (ja) 1990-07-27 2000-05-15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意匠性印刷インキ
JPH04248095A (ja) * 1991-01-24 1992-09-03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流体機器の管継手構造
US5332271A (en) * 1991-10-02 1994-07-26 Grant Robert W High temperature ceramic nut
US5388871A (en) * 1992-05-22 1995-02-14 Kakizaki Manufacturing Co., Ltd. Fittings with box nuts
JPH0712692A (ja) 1993-06-25 1995-01-17 Taisei Corp 鋼板の板厚方向引張特性試験方法
JP2562784B2 (ja) 1993-07-07 1996-12-1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流体機器の管継手構造
JP2587449Y2 (ja) * 1993-08-04 1998-12-16 日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配管用継手機構
JP3644749B2 (ja) * 1996-03-22 2005-05-11 Smc株式会社 管継手
US6022053A (en) * 1997-03-27 2000-02-08 Flowell Corporation Joint for coupling tubes
JP3041899U (ja) 1997-03-27 1997-10-03 株式会社フロウエル チューブ継手
JPH10318475A (ja) 1997-05-16 1998-12-04 Furoueru:Kk チューブ継手
JP3430237B2 (ja) * 1999-07-02 2003-07-28 Smc株式会社 管継手
WO2001094833A1 (en) * 2000-06-08 2001-12-13 Fluoroware, Inc. Plastic fitting for flared tubing
JP2002317886A (ja) * 2001-04-20 2002-10-31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製管継手
JP3706813B2 (ja) 2001-06-01 2005-10-1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におけるチューブ抜止め方法及びチューブ抜止め構造
JP3947971B2 (ja) * 2002-11-25 2007-07-25 Smc株式会社 管継手
DE10345450A1 (de) * 2003-09-30 2005-06-02 Poloplast Gmbh Sicherheitssteckfitting
CN100427819C (zh) * 2004-02-23 2008-10-22 株式会社普利司通 管接头
JP2007333127A (ja) 2006-06-16 2007-12-27 San-Ei Faucet Mfg Co Ltd パイプと継手の接続構造
CN102112792A (zh) * 2008-08-05 2011-06-29 日本皮拉工业株式会社 树脂管接头
WO2010064519A1 (ja) * 2008-12-01 2010-06-1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228B1 (ko) 2014-02-10
TWI522559B (zh) 2016-02-21
EP2322835A1 (en) 2011-05-18
CN102112793A (zh) 2011-06-29
US20110210544A1 (en) 2011-09-01
EP2698572A1 (en) 2014-02-19
EP2322835B1 (en) 2014-09-03
US9222608B2 (en) 2015-12-29
WO2010016364A1 (ja) 2010-02-11
TW201022569A (en) 2010-06-16
EP2698572B1 (en) 2014-09-03
EP2322835A4 (en)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228B1 (ko) 수지관 이음매
KR101322152B1 (ko) 수지관 이음매
WO2012105525A1 (ja) チューブ継手
EP2995839B1 (en) Pipe connecting device
KR101887260B1 (ko) 이너 링
EP2995840A1 (en) Pipe connecting device
EP3001086A1 (en) Pipe connecting device
JP2010101477A (ja) パイプ継手
CA2682038A1 (en) Sealing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JP5764469B2 (ja) インナーリング
JP2011012691A (ja) 樹脂管継手
JP5764470B2 (ja) 管接続装置
JP4789999B2 (ja) 樹脂管継手
JP2008138694A (ja) 管継手
JP5764471B2 (ja) 管継手構造
JP4871947B2 (ja) 樹脂管継手
JP5112216B2 (ja) 樹脂管継手
JP2010127461A (ja) 樹脂管継手
JP5171467B2 (ja) 樹脂管継手
JP2010223291A (ja) 樹脂管継手
JP2010038268A (ja) 樹脂管継手
JP5690553B2 (ja) 樹脂管継手の組付構造及び樹脂管継手の組付方法
JP2010038258A (ja) 管継手
JP5542484B2 (ja) 樹脂管継手
JP5210756B2 (ja) 樹脂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