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260B1 - 이너 링 - Google Patents

이너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260B1
KR101887260B1 KR1020157033076A KR20157033076A KR101887260B1 KR 101887260 B1 KR101887260 B1 KR 101887260B1 KR 1020157033076 A KR1020157033076 A KR 1020157033076A KR 20157033076 A KR20157033076 A KR 20157033076A KR 101887260 B1 KR101887260 B1 KR 101887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ner ring
diameter
press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498A (ko
Inventor
마코토 후지이
도시히데 이이다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7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radially expanding the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16L47/041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the plastic pipe end being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4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for special environments
    • F16L2201/44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for special environments ster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이너 링이 튜브에 기울어져 압입되어도, 유체가 튜브와 이너 링의 사이에 침입해 가는 것이 방지되는 이너 링을 제공한다. 수지제 튜브(4)에 압입되는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부(3G)에 형성된 직경확대 부분(3f)의 선단측에, 튜브 단부(4C)를 압입해서 그 단부(4C)를 직경확대 변형시키는 끝이 가늘어진 외주 직경확대면(3a)이 형성되어 있는 이너 링에 있어서,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이너 링 본체(3A)의 축심 P를 따르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경확대 부분(3f)의 최대 직경 부위(3b)에 있어서의 튜브 압입측의 선단으로 되는 제 1 개소(e1)와, 튜브 압입측의 선단으로 되는 제 2 개소(e2)와, 제 1 개소(e1)과 제 2 개소(e2)의 사이이고 또한 축심 P에 대한 튜브(4)의 외경 D와 동일 직경으로 되는 제 3 개소(e3)의 각각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3 개소(e3)에 있어서의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접선 L과 축심 P가 이루는 각도α가 30∼60도로 되는 볼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이너 링{INNER RING}
본 발명은 수지제의 튜브를 관 접속 장치(예를 들면, 관 이음매나 유체 기기)에 접속할 때에 이용되는 이너 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제조나 의료·의약품 제조, 식품 가공, 화학 공업 등의 각종 기술 분야에서 취급되는 고순도액이나 초순수에 있어서, 이것을 유통시키는 튜브를 접속하는데 바람직한 이너 링에 관한 것이다.
이너 링을 이용한 수지제의 튜브의 접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것에서는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 상태에서 관이음매에 마련된 통형상 나사맞춤부와, 내주부가 유체 유통로로 되고 직경 외측에 환상 대경부가 융기한 관 고정용의 이너 링과, 수나사에 나사맞춤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고 있다.
관 이음매에 튜브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너 링을 튜브의 개방구로부터 튜브의 단부내에 압입해서 환상 대경부에 의해 튜브의 단부를 직경확대 변형시킨다.
다음에, 이 직경확대 변형시킨 이너 링을 갖는 튜브를 통형상 나사맞춤부내에 삽입한다.
다음에, 유니온 너트의 암나사를 통형상 나사맞춤부의 수나사에 나사맞춤한다.
그리고, 유니온 너트를 나사 전진시키고, 이 나사 전진에 의해 유니온 너트로 이너 링을 갖는 튜브를 축심 방향으로 꽉 누르는 것에 의해, 튜브의 접속을 실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너 링을 튜브의 개방구로부터 튜브의 단부내에 압입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압입 지그(압입 장치)를 이용해서 실행되고 있다.
이 압입 지그(압입 장치)를 이용해서 실행되는 강제 압입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 등에 개시된 것에서는 이너 링을 압출 기구에 끼워 장착시키는 한편, 튜브를 클램프 지그에 고정시켜 튜브의 단부를 돌출시키고, 압출 기구의 조작에 의해서 이너 링을 축심 방향으로 꽉 눌러, 튜브의 개방구로부터 튜브의 단부내에 압입시키는 것이다.
이 압입 지그(압입 장치)에서는 튜브와 이너 링을 똑바로 빈틈없이 압입할 수 있도록, 클램프 지그와 압출 기구의 축심의 상대 위치 및 방향을 정밀도 좋게 합치시키고 있다.
이 튜브와 이너 링의 서로의 축심 X, P가 기울어지지 않고 일치해서 압입되어 있으면, 이하와 같이 된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4)의 단부(4C)의 내주면과 이너 링(3)의 외주면(3G)은 크로스 빗금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소 요소가 링형상으로 압접되기 때문에, 어느 요소에 있어서도 끊김이 없는(결원 개소가 없는) 링형상의 시일 상태가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의 이너 링(3)이 튜브(4)의 단부(4C)내에 서로의 축심 X, P가 기울어지지 않고 일치해서 압입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우선,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의 이너 링(3)에는 원추면형상의 끝이 가늘어진 외주 직경확대면(3a)과 최대 직경 부분(3b)을 갖는 직경확대 부분(3f)이 형성되고, 이 직경확대 부분(3f)의 최대 직경 부위(3b)로부터 원추면형상의 끝이 확대된 외주부(3c)가 형성되고, 이 외주부(3c)로부터 동일 외경의 직선형상의 몸통 외주부(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이너 링(3)이 튜브(4)의 단부(4C)내에 압입되면, 외주 직경확대면(3a)에는 선단 바로 앞 부분에 도 12에 나타내는 링형상의 제 1 압접부(a1)가 구성되고, 외주 직경확대면(3a)과 최대 직경 부위(3b)의 사이에서 최대 직경 부위(3b)에 걸쳐 도 12에 나타내는 링형상의 제 2 압접부(a2)가 구성되며, 최대 직경 부위(3b)에서 최대 직경 부위(3b)와 끝이 확대된 외주부(3c)의 사이에 걸쳐 도 12에 나타내는 링형상의 제 3 압접부(a3)가 구성되고, 끝이 확대된 외주부(3c)와 몸통 외주부(3d)의 사이에는 제 4 압접부(a4)가 형성되고, 몸통 외주부(3d)에는 그 대부분에 도 10에 나타내는 링형상의 제 5 압접부(a5)가 구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링형상의 제 1∼제 5 압접부(a1∼a5)가 구성되면, 튜브(4)의 단부(4C)와 이너 링(3)의 사이는 양호하게 시일되며, 유체의 누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단부(4C)와 이너 링(3)의 사이에 유체가 들어갈 여지도 없어진다.
그러나, 실제의 압입 작업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와 이너 링의 서로의 축심이 기울어지지 않고 일치해서 압입된다고 하는 이상적인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이상적인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예의 연구하고 해석한 결과, 주로 다음의 [1]∼[3]의 이유에 의한다.
[1] 수지제의 튜브는 클램프 지그에 고정시켜 튜브의 단부를 돌출시키는 것이다. 이 돌출시킨 튜브의 단부내에 이너 링을 압출 기구에 의해 강제적으로 꽉 눌러 압입시키기 때문에, 이 꽉 눌러 압입할 때에, 돌출시킨 튜브의 단부가 다소 굴곡 변형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굴곡 변형이 일어나면, 이너 링의 축심이 튜브의 단부의 축심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압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2] 현장에서의 인위적 조작에 의해서 절단되는 튜브의 단면은 튜브의 축심에 대해 반드시 직각으로 절단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으며, 조금 경사진 상태에서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단면이 조금 경사진 튜브에 이너 링을 꽉 눌러 압입시키면, 튜브에 있어서의 축심 방향에서 가장 돌출되어 있는 부분부터 순차 압입이 개시되도록 시차가 붙는다.
따라서, 압입에 수반하는 마찰력이 튜브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시에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고, 둘레 방향에서 치우쳐 순차 작용하게 되어, 전술한 [1]과 마찬가지로, 이너 링의 축심이 튜브의 단부의 축심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압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3] 수지제의 튜브는 연속 압출 성형되어 케이블 코어에 감겨진 상태에서 납입된다. 이 감겨진 튜브는 구부러짐 성질이 붙어 있어 똑바로 교정하지만, 이 구부러짐 성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며, 약간이나마 축심 방향에서 만곡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구부러짐 성질의 정도에도 따르지만, 이 구부러짐 성질이 크면, 이너 링의 축심이 튜브의 단부의 축심에 대해 똑바로 압입되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압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튜브 축심과 이너 링 축심이 서로 기울어져 버리는 것이다. 튜브의 기울기는 각각의 축심끼리의 기울기로 해서 고작 1도 정도의 작은 어긋남이지만, 서로의 축심끼리가 기울어져 버리면,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제 5 압접부(a2∼a5)에 대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압접 상황을 나타내지만, 제 1 압접부(a1)는 원추면의 외주 직경확대면(3a)에 있어서 튜브(4)의 강성이 작용하여 직경축소 변형되기 쉬운 이너 링(3)의 선단부에 폭이 좁은 띠형상 영역으로서 형성된다.
이너 링(3)의 최대 직경 부위(3b)가 튜브(4)의 내주면(4A)에 압접하면서 그 압접부를 시점으로 튜브(4)의 단부(4C)가 축심 X에 대해 기울어지기 때문에, 폭이 좁은 제 1 압접부(a1)는 그 압접부가 링형상으로는 되지 않고 둘레방향에서 끊겨 버려, 면압 저하 부분 n 또는 비접촉부 n이 발생한다.
이 면압 저하 부분 n 또는 비접촉부 n이 발생하면, 유체가 고침투성의 액체일수록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그 면압 저하 부분 n 또는 비접촉부 n으로 되는 개소로부터 외주 직경확대면(3a)과 튜브(4)의 확대 변형된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의 사이의 간극 부분 k에 침입하고, 최대 직경 부위(3b)의 바로 앞까지 도달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면압 저하 부분 n 또는 비접촉부 n의 존재는 이너 링(3)에 튜브(4)를 압입하고, 탐상 침투액에 일정시간 침지한 후 이너 링(3)과 튜브(4)의 사이에 침투한 탐상 침투액의 유무에 의해 알 수 있다.
유체가 간극 부분 k(도 13 참조)에까지 침입해 버리면, 이하의 문제점이 생긴다.
즉, 튜브(4)내나 관이음매내를 세정하고 나서 다음의 유체를 흘렸다고 해도, 전의 오래된 유체가 간극 부분 k에 고여 있고, 이 전의 오래된 유체가 면압 저하 부분 n 또는 비접촉부 n으로부터 삼출해서, 치환된 새로운 유체에 혼입되기 때문에, 새로운 유체의 순도가 저하하거나, 새로운 유체가 변질되거나, 혼입을 극력 방지하기 위해 세정이나 치환에 많은 시간, 많은 세정액, 많은 치환 유체를 소비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기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10-054489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041364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8-1947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너 링이 튜브의 단부내에 기울어져 압입된 경우에 있어서도, 유체가 이너 링의 외주 직경확대면의 선단측으로부터 튜브와 이너 링의 외주 직경확대면의 사이에 침입해 가는 것이 방지되고, 이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너 링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수지제의 튜브(4)에 압입하는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부(3G)에 직경확대 부분(3f)이 형성되고, 이 직경확대 부분(3f)의 선단측에 상기 튜브(4)의 개방구로부터 단부(4C)내에 압입시켜 상기 튜브(4)의 단부(4C)를 직경확대 변형시키는 끝이 가늘어진 외주 직경확대면(3a)이 형성된 이너 링에 있어서, 상기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상기 이너 링 본체(3A)의 축심 P를 따르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상기 직경확대 부분(3f)의 최대 직경 부위(3b)로 되는 제 1 개소(e1)와, 튜브 압입측의 선단으로 되는 제 2 개소(e2)와, 상기 제 1 개소(e1)와 상기 제 2 개소(e2)의 사이이고, 또한 상기 축심 P에 대한 상기 튜브(4)의 외경 D와 동일 직경으로 되는 제 3 개소(e3)의 각각을 통과하는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너 링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 본체(3A)의 기단측에, 관 접속 장치 A에 마련되는 시일 구성부(m, 1a)와 압접해서 안쪽 시일부(S3, S4)를 구성하는 시일 요소부(14, 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이너 링 본체(3A)의 축심 P를 따르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경확대 부분(3f)의 최대 직경 부위(3b)로 되는 제 1 개소(e1)와, 튜브 압입측의 선단으로 되는 제 2 개소(e2)와, 제 1 개소(e1)와 제 2 개소(e2)의 사이이고 또한 축심 P에 대한 튜브(4)의 외경 D와 동일 직경으로 되는 제 3 개소(e3)의 각각을 통과하는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너 링(3)의 외주 직경확대면(3a)의 넓은 범위에 걸쳐 튜브 단부(4C)의 내주부와 접촉하게 되고, 이너 링(3)의 외주 직경확대면(3a)과 튜브(4)의 내주부의 사이에 이너 링(3)의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전면에 이를 정도의 폭 넓은 압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링 본체(3A)가 튜브(4)에 대해 다소 기울어져 압입되는 경우가 있어도, 튜브(4)의 단부(4C)와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사이에 형성된 압접부가 끊기는 일이 없어 둘레 방향의 대략 전체가 확실하게 압접되고, 이 사이에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선단측으로부터 유체가 침입하는 바와 같은 사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술한 문제점, 즉 먼저 흘린 오래된 유체가 간극 부분 k에 고이고, 이 전의 오래된 유체가 면압 저하 부분 n 또는 비접촉부 n으로부터 삼출해서, 치환된 새로운 유체에 혼입되기 때문에, 새로운 유체의 순도가 저하하거나, 새로운 유체가 변질되거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세정이나 치환에 많은 시간, 많은 세정액, 많은 치환 유체를 소비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과 같이, 이너 링 본체(3A)의 기단측에, 관 접속 장치 A에 마련되는 시일 구성부(m 또는/및 1a)와 압접해서 안쪽 시일부(S3 또는/및 S4)를 구성하는 시일 요소부(14 또는/및 15)를 형성해 두면, 이너 링 본체(3A)와 관 접속 장치 A의 관계에서 안쪽측(기단측)을 시일할 수 있게 되고, 이 안쪽측의 시일에 의해서, 안쪽측으로부터 유체가 이너 링 본체(3A)와 튜브(4)의 단부(4C)의 사이에 들어가는 사태를 만전에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이너 링의 측면도(실시형태 1)이다.
도 2는 도 1의 이너 링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너 링의 선단측 형상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너 링을 이용해서 튜브를 관 접속 장치에 접속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너 링이 튜브의 단부에 기울어져 압입되었을 때의 압접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이너 링 선단측 형상을 나타내고, (a)는 제 3 개소의 접선 각도가 30도, (b)는 제 3 개소의 접선 각도가 60도이다.
도 8은 이너 링과 튜브의 불합리한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제 3 개소의 접선 각도가 30도 미만인 경우, (b)는 제 3 개소의 접선 각도가 60도를 넘는 경우이다.
도 9는 이너 링의 단면도(실시형태 2)이다.
도 10은 이너 링을 이용해서 튜브를 관 접속 장치에 접속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이너 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이너 링과 튜브의 양호한 압접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이너 링과 튜브의 불합리한 압접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너 링에 있어서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 5, 10에 나타내는 관 접속 장치 A 등에 있어서는 관이음매 본체(1)의 축심 Y와, 이너 링(3)의 축심 P와, 튜브(4)의 축심 X의 삼자는 일직선에 배열하는 서로 동일한 것(축심 Y=축심 P=축심 X)으로서 나타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관이음매 본체(1), 유니온 너트(2), 이너 링(3), 및 튜브(4)의 각 부품에 있어서 「선단측」이나 「선단」은 도 4, 5 등에 있어서, 튜브(4)가 관이음매 본체(1)로부터 축심 Y방향에서 멀어지는 측(또는 방향)을 가리키며, 「기단측」이나 「기단」은 튜브(4)가 관이음매 본체(1)에 축심 Y방향에서 근접하는 측(또는 방향)을 가리킨다고 정의한다.
(실시형태 1)
도 1∼도 3에는 이너 링(3)이 나타나고, 도 4 및 도 5에는 이너 링(3)을 이용해서 튜브(4)를 접속한 관 접속 장치 A가 나타나 있다.
이 관 접속 장치 A는 튜브끼리를 접속하는 관이음매로 이루어지고, 관이음매 본체(1)와, 유니온 너트(2)와, 이너 링(3)을 갖고, 이너 링 본체(3A)를 튜브의 단부인 튜브 단부(4C)내에 압입시킨 상태에서 튜브(4)를 연통 접속하는 것이다.
관이음매 본체(1), 유니온 너트(2), 이너 링(3), 튜브(4)는 모두 내열, 내약품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예:PTFE, PFA, ETFE, CTFE, ECTFE 등) 등의 수지제이다.
또한, 관이음매 본체(1), 이너 링(3), 튜브(4)가 상기의 불소 수지로 구성될 때, 유니온 너트(2)에 있어서는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형성해도 좋다. 또, 관이음매 본체(1), 유니온 너트(2), 이너 링(3), 튜브(4)의 모두를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관이음매 본체(1)는 통형상의 몸통부(1C)와, 그 축심 Y방향의 선단측에 마련한 통형상 나사맞춤부(1A)와, 그 축심 Y방향의 기단측에 마련한 통형상의 받이구(1B)와, 통형상 나사맞춤부(1A)의 근원부의 직경 내측에 형성한 한쪽의 소직경 통부(1a)와, 받이구(1B)의 직경 내측에 형성한 다른쪽의 소직경 통부(1b)와, 내주면(부기 생략)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유로(6)를 갖는 통형상 구조의 것이다. 예를 들면, 축심 Y방향에 있어서 대칭으로 되는 형상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 나사맞춤부(1A)에는 그 선단부 외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 수나사(7)가 형성되고, 그 선단부 내주에 끝이 확대된 내주면(8)이 형성되며, 이 내주면(8)의 기단측에 동일 내경의 직선형상의 내주면(9)이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통부(1a)의 직경 외측에는 직경 일정이고 직선형상인 외주면(10)이 형성되고, 직경 내측에 있어서의 선단부에는 축심 Y방향의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직경이 점차 커지는 선단 확대형상의 경사 내주면(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한쪽의 소직경 통부(1a)의 외주면(10)과 통형상 나사맞춤부(1A)의 내주면(9)의 사이에는 통형상의 환상 홈(m)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이음매 본체(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이구(1B)는 통형상 나사맞춤부(1A)와 동일 구조이고, 또한 다른쪽의 소직경 통부(1b)는 한쪽의 소직경 통부(1a)와 동일 구조로 기재되어 있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구조와 같이 받이구(1B)나 다른쪽의 소직경 통부(1b)는 그들 이외의 구조라도 좋다.
유니온 너트(2)는 수지제 너트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부에, 통형상 나사맞춤부(1A)의 수나사(7)에 나사맞춤하는 암나사(13)와, 이 암나사(13)보다 선단측에 위치해서 직경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의 플랜지부(12)를 갖는다.
플랜지부(12)의 내경 부분은 튜브(4)가 삽입 통과할 수 있도록 튜브(4)의 외경보다 극히 약간 큰 대략 동일 직경의 내주면(12a)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2)의 기단측은 이너 링 본체(3A)를 압입한 튜브 단부(4C)의 선단측 외주면(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의 외주면)을 관이음매 본체(1)의 축심 Y방향으로 누르는 압압부(12b)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암나사(13)의 통형상 나사맞춤부(1A)의 수나사(7)에 나사맞춤시킨 나사 전진에 의해, 압압부(12b)가 튜브 단부(4C)의 선단측 외주면을 관이음매 본체(1)의 축심 Y방향으로 꽉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12)의 내주면(12a)은 직경 일정으로 나타나 있지만, 암나사(13)로부터 멀어질수록(축심 Y방향에서 선단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 내주면에 형성해도 좋다.
이너 링(3)은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4)의 개방구로부터 튜브 단부(4C)내에 압입하는 이너 링 본체(3A)와, 이 이너 링 본체(3A)의 기단측에 튜브(4)의 개방구로부터 돌출된 끼워맞춤 통부(3B)를 갖는 통형상 구조이다.
 이 이너 링 본체(3A)와 끼워맞춤 통부(3B)의 내주는 서로 동일 직경이고 균일한 내주부(3w)에 형성되고, 유체 유통로로 되어 있다.
 이너 링 본체(3A)는 그 외주부(3G)에 직경확대 부분(3f)이 형성되고, 이 직경확대 부분(3f)의 선단측에 끝이 가늘어진 외주 직경확대면(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직경확대 부분(3f)의 기단측에는 최대 직경 부위(3b)와, 이 최대 직경 부위(3b)의 기단측에 끼워맞춤 통부(3B)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끝이 확대된 외주부(3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끝이 확대된 외주부(3c)의 기단측에는 외경이 일정한 몸통 외주부(몸통 외주면)(3d)가 형성되어 있다.
본원의 도면에 있어서는 이너 링의 최대 직경 부위(3b)가 일정한 축 방향의 길이를 구비한 구조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외주 직경확대면(3a)이 즉시 끝이 확대된 외주부(3c)에 변화하는 경계에 대응하는 구조라도 기술적으로 전혀 지장은 없다. 그 경우, 도 6 등에 있어서 나타내는 경계(3g)는 최대 직경 부위(3b)에 일치한다.
직경확대 부분(3f)의 끝이 가늘어진 외주 직경확대면(3a)은 전체가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이 외주 직경확대면(3a)의 기단측에 최대 직경 부위(3b)가 형성되며, 이 외주 직경확대면(3a)과 최대 직경 부위(3b)가 튜브 단부(4C)내에 압입됨으로써, 튜브 단부(4C)가 직경확대 변형되는 것이다.
또, 이너 링 본체(3A)의 선단부에는 축심 P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내주면으로 이루어지는 커트형상의 변형 방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 방지부(16)에 의해서, 외주 직경확대면(3a)이 튜브 단부(4C)내에 압입된 후,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선단부측이 직경내 방향(유체 유통로측)으로 변형되어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 변형 방지부(16)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의 기세나 속도로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선단측이 또한 직경내 방향(유체 유통로측)으로 변형되어 돌출하는 것도 방지하며, 이것에 의해서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선단부의 압접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끼워맞춤 통부(3B)에는 관이음매 본체(1)의 환상 홈(m)에 압입하는 돌출 원통부(14)와, 이 돌출 원통부(14)의 직경 내측에 위치해서 경사 외주면(11)을 구비하는 환상 소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소돌기부(15)의 기단부에는 이너 링 본체(3A)의 축심 P의 기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내주면으로 이루어지는 커트형상의 변형 방지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 방지부(17)에 의해, 환상 소돌기부(15)의 기단측이 직경내 방향(유체 유통로측)으로 변형되어 돌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환상 소돌기부(15)의 경사 외주면(11)과 돌출 원통부(14)의 내주면(14a)의 사이는 환상의 움푹 패임부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움푹 패임부에 관이음매 본체(1)의 소직경 통부(1a)가 끼워 넣어지고, 이 끼워 넣음에 의해서 환상 소돌기부(15)의 경사 외주면(11)과 소직경 통부(1a)의 경사 내주면(5)이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 통부(3B)의 외주면(3e)과 몸통 외주부(3d)의 직경차(단차)는 튜브(4)의 외주면(4B)과 통형상 나사맞춤부(1A)의 내주면(9)의 사이에 극력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튜브(4)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튜브(4)는 그 튜브 단부(4C)내에 이너 링 본체(3A)를 압입해서 직경확대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에 압접하는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와, 이너 링 본체(3A)의 최대 직경 부위(3b)에 압접하는 최대 직경확대 압접부(4b)와,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부(3c)에 압접하는 끝이 확대된 압접부(4c)와, 이너 링 본체(3A)의 몸통 외주부(3d)에 압접하는 몸통 압접부(4d)가 형성된다.
이 형성 상태에 있어서, 튜브(4)의 내주면에서 구성되는 내부 유로(4w)의 직경과 이너 링(3)의 유체 유통로를 구성하는 내주부(3w)의 직경, 및 관이음매 본체(1)의 내부 유로(6)의 직경은 서로 동일 치수 d(도 3, 4 참조)로, 즉 면일치형상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 면일치형상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튜브(4)는 그 튜브 단부(4C)내에 이너 링 본체(3A)를 압입한 후, 관이음매 본체(1)내에 삽입해서 장비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2)의 암나사(13)를 관이음매 본체(1)의 통형상 나사맞춤부(1A)의 수나사(7)에 나사맞춤해서 나사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유니온 너트(2)의 압압부(12b)에서 튜브 단부(4C)의 선단측 외주면(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의 외주면)을 축심 Y방향으로 꽉 누른다.
이 누름에 의해서, 이너 링(3)의 돌출 원통부(14)가 관이음매 본체(1)의 환상 홈(m)에 압입되고, 또 이너 링(3)의 경사 외주면(11)이 관이음매 본체(1)의 경사 내주면(5)에 맞닿아 압접된다.
이와 같이, 이너 링(3)을 압입한 튜브(4)가 관 접속 장치 A에 삽입되어 접속되면,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3개소의 시일부(S1, S3, S4)가 구성된다.
제 1 시일부(S1)는 튜브(4)의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와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압접, 튜브(4)의 최대 직경확대 압접부(4b)와 이너 링 본체(3A)의 최대 직경 부위(3b)의 압접, 튜브(4)의 끝이 확대된 압접부(4c)와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부(3c)의 압접, 또한 튜브(4)의 몸통 압접부(4d)와 이너 링 본체(3A)의 몸통 외주부(3d)의 압접에 의해서 구성되는 시일부이다.
제 2 시일부(S2)는 튜브(4)의 끝이 확대된 압접부(4c)와, 관이음매 본체(1)의 통형상 나사맞춤부(1A)에 있어서의 끝이 확대된 내주면(8)이 압접하는 구조가 취해지는 경우에 구성되는 시일부이다.
제 3 시일부(S3)는 이너 링(3)의 끼워맞춤 통부(3B)의 외주면과 관이음매 본체(1)의 통형상 나사맞춤부(1A)의 내주면(9)에 있어서의 기단측 부분의 압접, 또한 끼워맞춤 통부(3B), 상세하게는 돌출 원통부(14)의 내주면(14a)과 관이음매 본체(1)의 소직경 통부(1a)의 외주면(10)의 압접에 의해서 구성되는 시일부이다.
제 4 시일부(S4)는 이너 링(3)의 환상 소돌기부(15)에 있어서의 경사 외주면(11)과 관이음매 본체(1)의 소직경 통부(1a)에 있어서의 경사 내주면(5)의 충합(衝合) 맞닿음에 의한 압접에 의해서 구성되는 시일부이다.
이들 제 1, 3, 4 시일부(S1, S3, S4)가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튜브(4)내·이너 링(3)내·관이음매 본체(1)내를 흐르는 유체는 관이음매 본체(1)의 통형상 나사맞춤부(1A)와 튜브 단부(4C)의 접촉면에 침입해서 새는 일이 없어, 만전에 시일된다.
또한, 이들 제 1, 3, 4 시일부(S1, S3, S4) 중, 제 1 시일부(S1)가 확실하게 시일되어 있으면, 유체는 관이음매 본체(1)의 통형상 나사맞춤부(1A)와 튜브 단부(4C)의 사이로부터 침입하거나 새는 일이 없어, 양호한 시일이 확보된다. 그러나, 더욱 만전의 시일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 3 시일부(S3) 및 제 4 시일부(S4)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제 1 시일부(S1) 중, 튜브(4)의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와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압접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이너 링 본체(3A)의 축심 P를 따르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경확대 부분(3f)의 최대 직경 부위(3b)로 되는 제 1 개소(e1)와, 튜브 압입측의 선단으로 되는 제 2 개소(e2)와, 제 1 개소(e1)와 제 2 개소(e2)의 사이이고, 또한 축심 P에 대한 튜브(4)의 외경 D와 동일 직경으로 되는 제 3 개소(e3)의 각각을 통과하는 볼록 곡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는 제 1 개소(e1)가 직경확대 부분(3f)의 최대 직경 부위(3b)에 있어서의 튜브 압입측의 선단으로 되는 개소이며, 제 3 개소(e3)에 있어서의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접선 L과 축심 P가 이루는 각도 α는 30∼60도(30°≤α≤60°)로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한 것은 도 3에 있어서,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축심 P를 따르는 단면 형상은 전술한 제 1 개소(e1)∼제 3 개소(e3)의 3점을 통과하고 중심 i를 갖는 반경 R의 원호(3점 원호 또는 3점 곡선)로서 정의되어 있다. 이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에서는 외주 직경확대면(3a)과 변형 방지부(16)의 경계선이 제 1 개소(e1)이고 또한 외주 직경확대면(3a)과 최대 직경 부위(3b)의 경계선이 제 2 개소(e2)이며, 접선 각도α≒42도이다.
또한, 튜브(4)의 외경 D는 외주면(4B)의 직경이다. 또, 반경 R의 원호의 중심 i는 도 3에 있어서는 축심 P의 근방에 있지만, 접선 각도α의 조건 등에 따라,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화한다.
 이와 같이, 끝이 가늘어진 외주 직경확대면(3a)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되는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다음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현재, 이너 링 본체(3A)가 튜브 단부(4C)에 압입되고, 이너 링 본체(3A)가 기울어져 압입되었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 본체(3A)의 축심 P와 튜브의 축심 X의 사이에 상대 각도θ가 존재한다고 한다.
이와 같이 기울어져 압입된 불측(不測)의 상황이어도,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과 튜브(4)의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의 사이에 제 1 압접부(a1)가 형성되고, 이 제 1 압접부(a1)는 둘레 방향에서 끊기는 일 없이 연속된 링형상이고 또한 축심 P방향에 폭이 넓은 면적의 압접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 폭이 넓은 면적의 압접은 튜브(4)의 재료나, 두께, 직경확대량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도 6에 나타내는 종래의 제 1 압접부(a1)에서 제 2 압접부(a2)까지 연속해서 일체화된 바와 같은 압접으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너 링 본체(3A)의 축심 P와 튜브의 축심 X의 사이에 상대 각도θ가 존재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4)의 구부러짐 방향 외측 부분 s에서는 튜브(4)의 자유 직경 부분(도 6에서 부호 '4A'나 '4B'가 붙어 있는 부분)에서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로 직경확대 변화하는 부분의 구부러짐(직경확대 구부러짐)이 완만하게 된다. 따라서,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에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가 꽉 눌려지는 상태가 되며, 강한 압접 상태가 얻어진다.
그리고, 튜브(4)의 구부러짐 방향 내측 부분 v에서는 튜브(4)의 자유직경 부분에서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로 직경확대 변화하는 부분의 구부러짐(직경확대 구부러짐)이 격하게(급격히) 변화하고,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과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를 이간시키는 작용으로 되며, 압접이 약한 상태로 된다.
그러나, 본원의 구성에 있어서는 압접이 약해지는 구부러짐 방향 내측 부분 v에 있어서도, 전술과 같이 폭이 넓은 면적을 갖는 링형상의 제 1 압접부(a1)가 실현(유지)되어 충분히 압접할 수 있고, 면압 저하 부분 n 또는 비접촉부 n이 생긴다고 하는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참고로서, 접선 각도α가 30도인 경우의 이너 링 선단부를 도 7의 (a)에, 그리고, 접선 각도α가 60도인 경우의 이너 링 선단부를 도 7의 (b)에 각각 주요부 단면의 예시도로서 나타낸다. 이 도 7의 (a)와 (b)에 있어서, 이너 링(3)은 외주 직경확대면(3a)으로부터 선단측은 서로 다른 형상 및 치수이지만, 최대 직경 부위(3b)로부터 기단측의 부분은 서로 동일하다.
어느 경우에도, 튜브(4)는 외주 직경확대면(3a)을 따르는 상태로 되도록 원활하게 직경확대되어 이너 링(3)에 압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과 튜브(4)의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의 사이에 이너 링(3)의 선단부로부터 축심 P의 기단측을 향해 폭이 넓은 면적으로, 또한 끊김이 없는 링형상의 양호한 제 1 압접부(a1)가 형성되면, 유체가 고침투성의 액이라도 도 13에 나타내는 종래와 같이, 이너 링 본체(3A)가 기울어져 압입되어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비접촉부 n으로부터,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과 튜브(4)의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의 사이의 간극 부분 k에 침입해 간다고 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제 1 압접부(a1)에 의해, 간극 부분 k에 고여 있는 전의 오래된 유체가 비접촉부 n으로부터 삼출해서 치환된 새로운 유체에 혼입되고, 이 혼입에 의해서, 새로운 유체의 순도가 떨어지거나, 치환 후의 새로운 유체에 변질이 일어난다고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세정이나 치환에 많은 시간, 많은 세정액, 많은 치환 유체를 소비한다고 하는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다.
또,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을 상기와 같이 대경이고, 또한 볼록 곡면으로 하는 발명과는 별도의 구조로서,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의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보다 축심 P에 대한 각도를 더욱 작게 하는 수단, 즉 끝이 가늘어진 원추면의 외주 직경확대면(3a)의 각도 τ를 더욱 작게 하는 수단도 생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수단에서 둘레 방향에 끊김이 없는 제 1 압접부를 얻기 위해서는 축심 P방향의 길이를 상당히 길게 하지 않으면 안 되고, 그렇게 되면 이너 링 본체(3A)의 길이가 현상(도 11)보다 대폭 길어진다. 이에 부가해서, 이너 링 본체(3A)의 축심 P와 튜브의 축심 X의 사이에 상대 각도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부러짐 방향 내측 부분(도 6에 나타내는 「구부러짐 방향 내측 부분 v」 참조)에서의 튜브(4)와 이너 링(3)의 압접이 약해지며, 침투의 우려가 있다.
그런데, 제 3 개소(e3)의 접선 각도α가 60도 초과(α>60°)인 경우에는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축심 P를 따르는 방향의 반경(곡률) R이 작아진다. 이 경우에는 튜브(4)의 압입 하중이 커지고, 이너 링(3)의 압입에 강한 힘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급격한 튜브 직경확대에 의한 튜브재의 기계적 물성의 저하, 즉 튜브재의 변질을 초래한다. 이에 부가해서, 튜브(4)를 가열해서 부드럽게 할 필요도 생기는 등, 튜브의 변질을 초래할 가능성도 커진다.
이와 같이 해서 압입된 경우,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4)의 자연 직경 부분에서 압접부(4a)에 걸친 확대 개소의 구부러짐이 외주 직경확대면(3a)에 추종할 수 없어, 양자의 접촉 면적(도 6의 a1 참조) 자체가 작아지고, 안정된 시일 작용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부가해서, 튜브(4)가 외주 직경확대면(3a)을 따르지 않는 부분, 즉 이반 부분 F가 크게 발생하여 액 고임이 생기고, 액 치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커진다.
한편, 제 3 개소(e3)의 접선 각도α가 30도 미만(α<30°)인 경우에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축심 P를 따르는 방향의 반경(곡률) R이 커져 완만한 곡면으로 된다. 이 경우에서는 튜브(4)의 변형이 그 완만한 곡면에 따를 수 없어, 튜브 내주면(4A)과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사이에 간극 G가 생겨 버리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것에서는 종래의 불합리한 상태와 마찬가지의 접촉 상태가 되어 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접선 각도 α가 30도 미만에서도 60도 초과에서도 각종 불합리를 초래하기 쉬워지게 되며, 따라서, 접선 각도 α는 30∼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이너 링 본체(3A)의 외주 직경확대면(3a)이 구면형상의 볼록 곡면으로 되어 있지만, 외주 직경확대면(3a)은 구면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수(懸垂) 곡면 등의 완만한 볼록 곡면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외주 직경확대면(3a)의 축심 P방향의 치수를 증대시키는 일 없이, 외주 직경확대면(3a)과 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를 압접 상태로 할 수 있고, 축방향으로 폭넓은 띠형상 압접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침투의 우려)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의 이너 링(3)은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통부(3B)의 구성만이 실시형태 1의 것과 다른 것이다. 이 차이에 의해, 관 접속 장치 A에 있어서도, 관이음매 본체(1)의 끼워맞춤 통부(3B)의 구성이 다른 것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받이구(1B)와 다른쪽의 소경 통부(1b)는 도 4에 나타내는 관이음매 본체(1)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즉, 이너 링(3)의 끼워맞춤 통부(3B)에 있어서는 외주면(3e)과, 내주부(3w)와, 기단측에 이너 링(3)의 선단부측일수록 축소하는 끝이 가늘어진 내주면(2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관이음매 본체(1)에 있어서는 통형상 나사맞춤부(1A)의 근원부의 직경 내측에, 관이음매 본체(1)의 선단부측일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외주면(18)을 가진 끝이 가늘어진 소직경 통부(1a)가 형성되고, 이 소직경 통부(1a)의 외주면(18)과 통형상 나사맞춤부(1A)의 내주면(9)의 사이에는 끼워맞춤 통부(3B)의 기단측이 끼워 넣어지는 끝이 확대된 환상 홈(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직경 통부(1a)의 선단부에는 소직경 통부(1a)의 선단측이 직경내 방향(유체 유통로측)으로 변형되어 돌출하고, 이것에 의해서 유체가 침입하여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트형상의 변형 방지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2의 경우는 유니온 너트(2)를 관이음매 본체(1)의 통형상 나사맞춤부(1A)에 나사맞춤시켜 체결 방향으로 돌리는 것에 의해 나사 전진시킨다. 그러면, 유니온 너트(2)의 압압부(12b)에서 튜브 단부(4C)의 선단측 외주면(끝이 가늘어진 압접부(4a)의 외주면)을 축심 Y방향으로 꽉 누른다.
이것에 의해, 이너 링(3)의 끼워맞춤 통부(3B)의 기단측이 관이음매 본체(1)의 환상 홈(19)에 밀어 넣어져, 관이음매 본체(1)의 끝이 가늘어진 외주면(18)(시일 구성부의 일예)과 이너 링(3)의 끝이 가늘어진 내주면(20)(시일 요소부의 일예)이 맞닿아 압접되고, 제 3 시일부(안쪽 시일부의 일예) S3가 구성된다.
또한, 이 제 3 시일부(S3)을 완전히 기능시키기 위해, 즉 끼워맞춤 통부(3B)의 기단측이 환상 홈(19)의 저면에 맞닿아, 끝이 가늘어진 내주면(20)이 통형상 나사맞춤부(1A)의 외주면(18)에 비압접의 상태가 되지 않도록, 끼워맞춤 통부(3B)의 기단측의 단면은 커트형상의 맞닿음 회피부(2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2의 이너 링(3)을 이용한 튜브(4)와 관이음매 본체(1)의 접속은 제 3 시일부(S3)(안쪽 시일부) 이외의 구성에 대해, 도 4,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1의 구성의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9, 도 10에 있어서도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별도의 실시형태〕
이너 링(3)을 압입한 튜브(4)의 접속은 실시형태 1, 2의 관 접속 장치 A(관 이음매)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의 관 접속 장치 A(관 이음매)와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너 링(3)을 압입한 튜브(4)의 접속은 펌프, 밸브 등의 유체 기기로 이루어지는 관 접속 장치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1a; 시일 구성부 3A; 이너 링 본체
3G; 외주부 3a; 외주 직경확대면
3b; 최대 직경 부위 3f; 직경확대 부분
4; 튜브 4C; 단부
14, 15; 시일 요소부 A; 관 접속 장치
D; 튜브의 외경 P; 축심(이너 링의 축심)
S3, S4; 안쪽 시일부 e1; 제 1 개소
e2; 제 2 개소 e3; 제 3 개소
m; 시일 구성부

Claims (2)

  1. 수지제의 튜브에 압입하는 이너 링 본체의 외주부에 직경확대 부분이 형성되고, 이 직경확대 부분의 선단측에 상기 튜브의 개방구로부터 단부내에 압입시켜 상기 튜브의 단부를 직경확대 변형시키는 끝이 가늘어진 외주 직경확대면이 형성된 이너 링으로서,
    상기 외주 직경확대면의 상기 이너 링 본체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상기 직경확대 부분의 최대 직경 부위로 되는 제 1 개소와, 튜브 압입측의 선단으로 되는 제 2 개소와, 상기 제 1 개소와 상기 제 2 개소의 사이이고 또한 상기 축심에 대한 상기 튜브의 외경과 동일 직경으로 되는 제 3 개소의 각각을 통과하고, 지름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주 직경확대면에 대하여 상기 축심보다 먼 위치에 존재하는 중심을 갖는 원호로서 정의되는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3개소에 있어서의 외주 직경확대면의 접선과 축심이 이루는 각도 α는 30 ~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 본체의 기단측에, 관 접속 장치에 마련되는 시일 구성부와 압접해서 안쪽 시일부를 구성하는 시일 요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링.
KR1020157033076A 2013-05-08 2014-03-24 이너 링 KR101887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8311A JP5871855B2 (ja) 2013-05-08 2013-05-08 インナーリング
JPJP-P-2013-098311 2013-05-08
PCT/JP2014/058001 WO2014181589A1 (ja) 2013-05-08 2014-03-24 インナーリ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498A KR20160025498A (ko) 2016-03-08
KR101887260B1 true KR101887260B1 (ko) 2018-08-09

Family

ID=5186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076A KR101887260B1 (ko) 2013-05-08 2014-03-24 이너 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45497B2 (ko)
EP (1) EP2995838B1 (ko)
JP (1) JP5871855B2 (ko)
KR (1) KR101887260B1 (ko)
CN (1) CN105229361A (ko)
TW (1) TWI614437B (ko)
WO (1) WO2014181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6000B2 (ja) 2015-01-23 2016-09-2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構造
JP6564631B2 (ja) * 2015-06-29 2019-08-21 株式会社フジキン 樹脂チューブ用継手
KR101808705B1 (ko) * 2016-05-16 2017-12-15 주식회사유한훌로텍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 방지구조
WO2018066179A1 (ja) * 2016-10-03 2018-04-1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KR20200013107A (ko) * 2016-10-03 2020-02-05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관 이음매
CN110043722A (zh) * 2019-05-17 2019-07-23 杭州科百特过滤器材有限公司 一种与管子连接的管接头
US11518114B2 (en) * 2019-06-07 2022-12-06 Fit-Lin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ssemble a high purity liquid distribution system
DE202019106666U1 (de) * 2019-11-29 2021-03-03 Neoperl Gmbh Sanitärarmatur
JP7337737B2 (ja) * 2020-03-18 2023-09-0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ル部材、及び管継手
JP7349409B2 (ja) * 2020-06-09 2023-09-2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リング、及び管継手
JP2022017782A (ja) * 2020-07-14 2022-01-26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リング、及び管継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7438B2 (ja) * 2003-01-15 2005-05-11 東邦化成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の継手方法
JP2012193758A (ja) * 2011-03-15 2012-10-11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製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61614A (fr) * 1956-11-13 1958-09-02 Fabrication De Tubes En Matier Raccord pour tuyaux
GB852578A (en) * 1957-02-23 1960-10-26 Edgar Cartlidg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rmoplastic tube
FR2046657A5 (ko) * 1970-05-20 1971-03-05 Dba
JPS50109214A (ko) 1974-02-05 1975-08-28
JPS50109214U (ko) * 1974-02-13 1975-09-06
JPS5284013U (ko) * 1975-12-20 1977-06-23
JPS5835158B2 (ja) 1975-12-31 1983-08-01 カブシキガイシヤ サト−ケンキユウシヨ ラベルインジチヨウチヤクキニオケル インジテイアツキコウ
JPH0341285A (ja) * 1989-07-10 1991-02-21 Jun Taga 継手
JP2799562B2 (ja) 1996-08-09 1998-09-17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JPH10196867A (ja) * 1997-01-14 1998-07-31 Nichias Corp チューブ用継手
JP3644786B2 (ja) * 1997-04-14 2005-05-11 Smc株式会社 管継手
JP3156051B2 (ja) 1999-07-30 2001-04-16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のインナリング圧入治具
US6409222B1 (en) * 2000-06-08 2002-06-25 Fluroware, Inc. Torque confirmation fitting
JP3706813B2 (ja) * 2001-06-01 2005-10-1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におけるチューブ抜止め方法及びチューブ抜止め構造
US7530602B2 (en) * 2005-01-17 2009-05-12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Double-pipe joint
JP4580948B2 (ja) 2007-02-15 2010-11-17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材クランプ治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61228B1 (ko) * 2008-08-05 2014-02-10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관 이음매
US9109728B2 (en) * 2008-08-05 2015-08-18 Nippon Pillar Packaging Co., Ltd. Resinous pipe joint
JP2011012691A (ja) * 2009-06-30 2011-01-20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管継手
JP5764469B2 (ja) * 2011-11-09 2015-08-1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リング
JP5764470B2 (ja) * 2011-11-09 2015-08-1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7438B2 (ja) * 2003-01-15 2005-05-11 東邦化成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の継手方法
JP2012193758A (ja) * 2011-03-15 2012-10-11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製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29361A (zh) 2016-01-06
KR20160025498A (ko) 2016-03-08
WO2014181589A1 (ja) 2014-11-13
EP2995838B1 (en) 2019-11-20
TWI614437B (zh) 2018-02-11
JP5871855B2 (ja) 2016-03-01
US10145497B2 (en) 2018-12-04
US20160061360A1 (en) 2016-03-03
EP2995838A4 (en) 2017-01-11
EP2995838A1 (en) 2016-03-16
JP2014219050A (ja) 2014-11-20
TW201447156A (zh)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260B1 (ko) 이너 링
JP5873833B2 (ja) 管接続装置
JP5986953B2 (ja) 管接続装置
KR101929068B1 (ko) 튜브 이음매
US9109728B2 (en) Resinous pipe joint
EP3001086B1 (en) Pipe connecting device
JP2016017543A (ja) 管継手
JP5764469B2 (ja) インナーリング
JP5764470B2 (ja) 管接続装置
JP5764471B2 (ja) 管継手構造
JP6040294B2 (ja) 管接続装置
CN116194701A (zh) 内环以及管接头
KR20230145580A (ko) 관 이음매
CN115769009A (zh) 内环以及管接头
KR20220095180A (ko) 관 이음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