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047A -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047A
KR20110034047A KR1020117006338A KR20117006338A KR20110034047A KR 20110034047 A KR20110034047 A KR 20110034047A KR 1020117006338 A KR1020117006338 A KR 1020117006338A KR 20117006338 A KR20117006338 A KR 20117006338A KR 20110034047 A KR20110034047 A KR 20110034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hot water
beans
green
alkalin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이미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이미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7/070625 external-priority patent/WO2008139650A1/ja
Publication of KR20110034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생두가 발아하기까지의 발아 기간을 가급적 단축할 수 있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커피 생두를 알칼리성 온수 중에 침지하고, 알칼리성 온수를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하여, 알칼리성 온수를 흡수한 흡수 커피 생두를 얻은 후, 알칼리성 온수로부터 분리한 흡수 커피 생두를, 이 흡수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된 습윤 분위기에서 발아시킨다.

Description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METHOD FOR RAPIDLY SPROUTING RAW COFFEE BEANS, COFFEE DRINK AND APPARATUS FOR SPROUTING RAW COFFEE BEANS}
본 발명은 커피 생두(生豆)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피 음료는, 커피 생두를 배전(불에쬐여 건조)하여 얻은 커피 원두(豆)를 분쇄한 분쇄물로부터 열탕으로 추출하여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커피 음료의 원료로서, 발아(發芽)한 발아 커피 원두를 이용하는 것은,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WO2004/039936A1
본 발명은 커피 생두가 발아하기까지의 발아 기간을 가급적 단축할 수 있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를 제공한다.
발아 커피 원두를 원료로 이용하여 얻어진 커피 음료는, 마일드한 맛으로 마시기 쉽다.
그런데, 커피 생두가 발아하기까지의 발아 기간은, 통상, 약 6주간을 필요로 한다 (「서설 커피학」(주) 광림출판 1999년 5월 30일 제 2판 제 30페이지).
그러나, 커피 생두의 발아 기간이, 이와 같이 장기간이면, 발아 커피 원두를 시장에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은 곤란하고, 발아 커피 원두를 원료로 이용한 커피 음료의 보급은 진척되지 않는다.
또한, 커피 생두를, 그 발아에 최적인 온도·습도로 유지한 습윤 분위기 중에 두어도, 발아 기간은 6주간보다 단축되지만, 발아 기간은 여전히 길다. 이와 같이, 커피 생두의 발아에 최적인 온도·습도로 유지한 습윤 분위기에서는, 포도상구균 등의 잡균이 번식하기 쉽고, 장기간의 발아 기간을 경유하여 발아한 발아 커피 원두에는, 부착되어있는 잡균도 많아질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커피 생두가 발아하기까지의 발아 기간을 가급적 단축할 수 있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여러가지 검토한 바, 커피 생두를 온수 중에 침지하여, 온수를 커피 생두에 흡수시킨 후, 온수가 흡수된 커피 생두를 습윤 분위기 중에서 발아시킴으로써, 커피 생두의 발아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이러한 커피 생두의 발아 기간을 단축할 정도로는 충분하지가 않아, 더욱더 발아 기간의 단축이 필요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는 더욱 검토를 거듭히여, 커피 생두를 침지한 온수로서, 알칼리성 온수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커피 생두의 발아 기간의 단축과 발아의 편차를 감소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커피 생두를 알칼리성 온수 중에 침지하고, 상기 알칼리성 온수를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알칼리성 온수가 흡수된 흡수 커피 생두를 얻은 후, 상기 알칼리성 온수로부터 분리한 흡수 커피 생두를, 상기 흡수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된 습윤 분위기에서 발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으로 얻어진 발아 커피 원두를 원료로 이용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음료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통과하지만 커피 생두를 통과시키지 않는 칸막이판에 의해, 적어도 2실로 구획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2실의 한쪽측에 충전된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를, 상기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기 용기의 다른쪽의 실측에 마련되고, 상기 알칼리성 온수가 흡수된 흡수 커피 생두와 분리되고 또한 상기 다른쪽의 실내에 잔류하도록, 상기 알칼리성 온수를 빼내는 발출 수단과, 상기 다른쪽의 실내에 잔류한 잔류 알칼리성 온수를, 상기 흡수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2실의 한쪽측의 흡수 커피 생두를 습윤 분위기로 하는 가열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습윤 분위기 온도를,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보다도 고온으로 함으로써, 커피 생두의 발아 기간을 더한층 단축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를 15 내지 40℃로 하고, 또한 습윤 분위기의 온도를 37℃ 이상, 특히 4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성 온수를 흡수한 흡수 커피 생두의 분위기를, 상기 흡수 커피 생두에 접촉하지 않도록 저장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습윤 분위기로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특히, 커피 생두를 침지한 알칼리성 온수를 빼내고(拔出), 흡수 커피 생두와 접촉하지 않도록 잔류시킨 잔류 알칼리성 온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흡수 커피 생두의 분위기를 습윤 분위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습윤 분위기 중의 흡수 커피 생두에, 상기 흡수 커피 생두가 건조되지 않도록, 알칼리성 온수를 살포함으로써, 흡수 커피 생두의 건조를 방지하여 흡수 커피 생두의 발아를 촉진할 수 있다. 이 살포하는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를 습윤 분위기 온도와 동등한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성 온수의 pH를 10 내지 11로 조정함으로서, 커피 생두를 안정하게 발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발아」란, 커피 생두의 배(胚)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도 팽윤한 상태로부터 싹(芽)이 15㎜ 정도로 신장하기까지의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피 생두의 발아 기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아 커피 원두를 신속하게 시장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잡균이 번식하기 쉬운 발아 기간을 가급적 단축하여 발아 커피 원두를 얻을 수 있어, 부착되어있는 잡균이 적은 발아 커피 원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발아 커피 원두 중에는, 여러가지의 아미노산류가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발아 커피 원두를 원료로 이용하여 얻어진 커피 음료는, 사람의 건강에 이바지하는 음료로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의 한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커피 생두를 알칼리성 온수에 침지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알칼리성 온수를 흡수한 흡수 커피 생두의 분위기를 습윤 분위기로 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습윤 분위기중의 흡수 커피 생두에 알칼리성 온수를 살포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얻어진 발아 커피 원두와 커피 생두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아미노산의 함유량을 도시하는 막대 그래프.
본 발명에서는, 커피 생두를 알칼리성 온수 중에 침지하고, 알칼리성 온수를 커피 생두에 흡수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커피 생두로서는, 미(未)배전이며 또한 미분쇄의 커피 종자를 말한다. 이러한 커피 생두는, 아라비카종, 로브스타종, 리베리카종의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생산지는 불문이다.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로서는,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한다. 이 온도로서는, 15 내지 40℃가 적합하다.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가 15℃ 미만에서는, 커피 생두의 발아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다른 한편,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가 40℃를 초과하면, 커피 생두가 발아하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알칼리성 온수의 pH는, 10 내지 11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성 온수의 pH가 10 미만에서는, 커피 생두의 발아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다른 한편, 알칼리성 온수의 pH가 11을 초과하면, 얻어진 발아 커피 원두를 원료로 이용한 커피 음료에 아린 맛이 느껴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알칼리성 온수의 pH를 조정하는데는, 식품용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중조(重曹) 등의 알칼리 화합물을 첨가하여도 좋지만,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지는 알칼리 전해수를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피 생두의 알칼리성 온수 중으로의 침지 시간은, 커피 생두의 건조 정도나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2 내지 4시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알칼리성 온수를 흡수한 흡수 커피 생두를, 알칼리성 온수와 분리하여 습윤 분위기 중에 놓는다. 이 습윤 분위기의 온도는,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보다도 고온으로 함으로써, 흡수 커피 생두의 발아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러한 습윤 분위기의 온도를 37℃ 이상, 특히 4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흡수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습윤 분위기의 상한 온도로서는 8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커피 생두의 분위기를 습윤 분위기로 하는데는, 흡수 커피 생두를 알칼리성 온수와 분리한 후, 흡수 커피 생두가 놓여져 있는 용기 내에, 소정 온도의 수증기를 불어 넣어도 좋지만, 흡수 커피 생두와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저장한 저장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흡수 커피 생두의 분위기를 습윤 분위기로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특히, 커피 생두를 침지한 알칼리성 온수를 빼내고, 흡수 커피 생두와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잔류시킨 잔류 알칼리성 온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흡수 커피 생두의 분위기를 습윤 분위기로 하는 것이 더 한층 효율적이고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흡수 커피 생두를 습윤 분위기 중에 재치하고 있으면, 흡수 커피 생두의 일부가 건조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습윤 분위기 중의 흡수 커피 생두에 온수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살포한 온수로서는, 알칼리성 온수를 이용함으로써, 흡수 커피 생두 중의 알칼리성 온수를 씻어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한 커피 생두의 발아 방법에 의하면, 커피 생두를 몇시간에 발아할 수 있고, 발아 커피 원두를 신속하게 시장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잡균이 번식하기 쉬운 커피 생두의 발아 기간을 가급적 단축하여 발아 커피 원두를 얻을 수 있고, 부착하고 있는 잡균이 적은 발아 커피 원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어진 발아 커피 원두에는, 알칼리성 온수에 대신하여 중성 온수를 이용하여 얻은 발아 커피와 비교하여 여러가지의 아미노산이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어진 발아 커피 원두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량의 감소도 적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 얻어진 발아 커피 원두를 커피 음료의 원료로서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피 생두의 발아 방법을, 도면을 이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용기(10) 내는 다공질판 또는 철망의 칸막이판(12)에 의해, 상부실(10a)과 하부실(10b)로 구획되어 있다. 이 칸막이판(12)은, 물을 통과시키지만 커피 생두는 통과시키지 않는 것이다.
상부실(10a)에는, 밸브(20)가 마련된 온수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고, 하부실(10b)에는, 히터(14)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밸브(22)가 마련된 배수관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10)에는, 하부실(10b)의 물을 순환하는 펌프(16)와 밸브(19)가 장착된 순환 배관(1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순환 배관(17)의 용기(10) 상부실(10a)측 단부에는 노즐(18)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에서는, 용기(10)의 상부실(10a)에 소정량의 커피 생두를 충전한 후, 밸브(20)를 열어서 온수를 용기 내에 공급한다. 이 온수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실(10a)에 충전된 커피 생두의 충전층이 침지되는 양이다.
이러한 온수에는, 알칼리 전해수를 첨가하여 pH가 10 내지 11의 알칼리성 온수(24)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 알칼리 전해수에 대신하여, 시판되고 있는 식품 첨가용의 알칼리 화합물(예를 들면, 중조)을 첨가하여 알칼리성 온수(24)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알칼리성 온수(24)의 온도를, 커피 생두가 발아하는 온도,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40℃로 유지한다. 이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의 유지 수단으로서는, 하부실(10b)에 마련되어 있는 히터(14)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때에, 상부실(10a)과 하부실(10b)의 알칼리성 온수(24)의 온도가 동등하게 되도록, 펌프(16)를 구동하여 알칼리성 온수(24)를 순환 배관(17) 및 노즐(18)을 경유하여 순환하여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실(10a)에 충전한 커피 생두를, 알칼리성 온수(24)에, 2 내지 4시간 정도 침지하여, 알칼리성 온수를 흡수하여 흡수 커피 생두로 한 후, 밸브(22)를 열어서 배수관으로부터 알칼리성 온수(24)를 빼낸다.
이러한 알칼리성 온수(24)의 발출에 의해, 상부실(10a)의 흡수 커피 생두와 알칼리성 온수(24)를 분리하지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칼리성 온수(24)의 일부를 하부실(10b)에 잔류한다.
하부실(10b)에 잔류한 잔류 알칼리성 온수(24a)는, 히터(14)에 의해 가열하여 상부실(10a)의 흡수 커피 생두의 분위기를 습윤 분위기로 한다. 이 잔류 알칼리성 온수(24a)를, 도 2에 도시하는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보다도 고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잔류 알칼리성 온수(24a)를 37℃ 이상, 특히 42 내지 80℃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잔류 알칼리성 온수(24a)를, 도 2에 도시하는 알칼리성 온수(24)보다도 고온으로 함으로써, 잔류 알칼리성 온수(24a)와 평형 상태의 수증기가 상부실(10a)에 상승하여 상부실(10a)의 흡수 커피 생두의 분위기를 습윤 분위기로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실(10a)의 흡수 커피 생두를 습윤 분위기로 유지하고 있어도, 흡수 커피 생두의 일부가 건조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펌프(16)를 구동하여 잔류 알칼리성 온수(24a)를 노즐(18)로 흡수 커피 생두에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간헐적으로 잔류 알칼리성 온수(24a)를 살포하면서, 흡수 커피 생두를 습윤 분위기 중에 재치하여 약 3시간 정도에서 발아가 시작되고, 용기(10)에 커피 생두를 담그고 나서 발아가 완료되어 발아 커피 원두를 취출하기까지의 발아 기간을 4 내지 8시간은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아 커피 원두의 생산량을 비약적으로 증가할 수 있고, 시장에 신속하게 발아 커피 원두를 공급할 수 있다.
용기(10)로부터 취출한 발아 커피 원두는, 다시 수세하여 발아중에 유출된 불필요물이나 잡균 등을 씻어낸다. 이 수세에 의해 커피 생두에 부착되어있는 이른바, 채프(chaff)라고 칭하여지는 얇은 막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얻어진 발아 커피 원두에 함유되는 각종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를, 도 5의 하단에 도시한다. 도 5의 상단에는, 발아 처리 전의 커피 생두에 함유되는 각종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를 병기한다.
또한, 도 5의 중단에는, 커피 생두를 알칼리성 온수에 대신하여 중성 온수(알칼리성 성분 무첨가)를 이용하여 얻은 발아 커피 원두에 함유되는 각종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5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발아 커피 원두 중에는, 발아 처리 전의 커피 생두에 함유되는 각종 아미노산에 비교하여, 각종의 아미노산이 개략 균등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커피 생두를 알칼리성 온수를 이용하여 얻은 발아 커피 원두 중의 각종 아미노산은, 중성 온수를 이용하여 얻은 발아 커피 원두에 비교하여 더욱 균등화되어 있다.
또한, 발아 커피 원두중의 카페인 함유량은, 0.9g/100g이고, 발아 처리 전의 커피 생두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 함유량인 1.0g/100g에 비교하여, 그 저하량은 적다. 커피 생두를 물에 노출하면, 통상,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 함유량은 급격하게 저하된다.
얻어진 발아 커피 원두를 원료로 하여 커피 음료를 얻는데는, 발아 커피 원두를 건조한 후, 소망하는 배전을 시행하고 나서 분쇄하여 열탕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이 배전에 있어서, 커피 생두에 부착하고 있는 얇은 막(채프)이 발아 공정으로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배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발아 커피 원두를 원료로 하여 얻어진 커피 음료는, 커피 생두를 발아하는 일 없이 배전하여 분쇄한 후, 열탕으로 추출하여 얻은 종래의 커피 음료에 비교하여, 마일드한 맛을 나타내는 것이고, 공복시에 마셔도 위에 부담을 느끼게 하지 않는 것이었다.
이 커피 음료는 그대로라도 좋지만, 우유 등의 다른 음료에 첨가하여도 좋다.
10 : 용기 10a : 상부실
10b : 하부실 12 : 칸막이판
14 : 히터 16 : 펌프
17 : 순환 배관 18 : 노즐
19, 20, 22 : 밸브 24 : 알칼리성 온수

Claims (11)

  1. 커피 생두를 알칼리성 온수 중에 침지하여, 상기 알칼리성 온수를 흡수한 흡수 커피 생두를 얻은 후,
    상기 알칼리성 온수로부터 분리한 흡수 커피 생두를, 습윤 분위기에서 발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 분위기의 온도를, 상기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도록 상기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를 15 내지 40℃로 유지하고, 상기 습윤 분위기의 온도를 37 내지 8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 분위기 중의 흡수 커피 생두에, 상기 흡수 커피 생두가 건조되지 않도록, 상기 습윤 분위기 온도와 동등한 온도의 알칼리성 온수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5. 제 1 항에 기재된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으로 얻어진 발아 커피 원두를 원료로 이용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음료.
  6. 물을 통과하지만 커피 생두를 통과시키지 않는 칸막이판에 의해 상부실과 하부실로 구획된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실에 놓여진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를 상기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
    상기 용기의 하부실에 마련되고, 상기 알칼리성 온수가 흡수된 흡수 커피 생두와 분리되며 또한 상기 하부실에 잔류하도록 상기 알칼리성 온수를 빼내는 발출 수단; 및
    상기 용기의 하부실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실에 잔류한 잔류 알칼리성 온수를 상기 흡수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하여 상기 상부실의 흡수 커피 생두를 습윤 분위기로 하는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습윤 분위기를 상기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커피 생두가 건조되지 않도록 상기 흡수 커피 생두에 알칼리성 온수를 살포하는 살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
  9. 제 6 항에 기재된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를 이용한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 위에 커피 생두를 놓는 단계;
    상기 칸판이판 위에 놓인 커피 생두가 침지되도록 상기 용기에 알칼리성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알칼리성 온수가 흡수된 흡수 커피 생두가 분리되며 또한 상기 알칼리성 온수가 상기 하부실에 잔류하도록 상기 알칼리성 온수를 빼내는 단계; 및
    상기 하부실에 잔류한 잔류 알칼리성 온수를 가열하여 상기 칸막이판 위에 놓인 흡수 커피 생두를 습윤 분위기에서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 분위기의 온도를 상기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도록 상기 커피 생두를 침지하는 알칼리성 온수를 가열하여 상기 알칼리성 온수의 온도를 15 내지 40℃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흡수 커피 생두가 발아할 수 있도록 상기 잔류 알칼리성 온수를 가열하여 상기 습윤 분위기의 온도를 37 내지 80℃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KR1020117006338A 2007-10-23 2007-10-23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 KR201100340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70625 WO2008139650A1 (ja) 2007-05-08 2007-10-23 コーヒー生豆の迅速発芽方法及びコーヒー飲料並びにコーヒー生豆の発芽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784A Division KR101031142B1 (ko) 2007-05-08 2007-10-23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047A true KR20110034047A (ko) 2011-04-04

Family

ID=4404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338A KR20110034047A (ko) 2007-10-23 2007-10-23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0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84B1 (ko) * 2012-01-13 2014-10-07 이상원 커피 생두 발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방법
KR101454413B1 (ko) * 2014-03-17 2014-10-27 주식회사 미랑에프앤비 커피 생두 가공방법
KR20150078555A (ko) * 2013-12-31 2015-07-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수 전처리를 이용한 커피생두의 신속 발아방법
KR101982526B1 (ko) * 2018-05-29 2019-05-27 이재선 양파즙을 이용한 발아커피의 생육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84B1 (ko) * 2012-01-13 2014-10-07 이상원 커피 생두 발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방법
KR20150078555A (ko) * 2013-12-31 2015-07-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수 전처리를 이용한 커피생두의 신속 발아방법
KR101454413B1 (ko) * 2014-03-17 2014-10-27 주식회사 미랑에프앤비 커피 생두 가공방법
WO2015141999A1 (ko) * 2014-03-17 2015-09-24 주식회사 미랑에프앤비 커피 생두 가공방법
KR101982526B1 (ko) * 2018-05-29 2019-05-27 이재선 양파즙을 이용한 발아커피의 생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142B1 (ko)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CN101411438B (zh) 一种脆笋的加工方法
KR20110034047A (ko) 커피 생두의 신속 발아 방법 및 커피 음료 및 커피 생두의 발아 장치
KR100746937B1 (ko) 현미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101558842A (zh) 一种无涩味柿子糕的加工方法
KR101454413B1 (ko) 커피 생두 가공방법
CN114259020A (zh) 一种鲜腐竹及其加工方法
CN105053867A (zh) 新鲜发芽糙米的生产与保鲜方法
JP2010166868A (ja) 風香味改善コーヒー豆及びコーヒー生豆の改善方法
KR101792914B1 (ko) 커피 원두의 제조방법
KR101791820B1 (ko) 커피원두의 제조방법
JP2006122050A (ja) 玄米の製造方法
KR20160049580A (ko) 발암 물질 및 유해 탄화물 발생 저감을 위한 발아 커피 밀 그 제조 방법
KR101518552B1 (ko)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
KR100788496B1 (ko) 현미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Z70894A3 (en) Method of improving quality of robusta coffee
JP2022034490A (ja) 発芽コーヒー生豆
JP4726008B2 (ja) コーヒー豆の焙煎方法
KR101444749B1 (ko) 자화활성수를 이용한 커피 생두 발아 방법
JP2017000131A (ja) ナイヤシン含有量を高めた発芽コーヒー豆及びコーヒー飲料並びに製造方法
KR102314708B1 (ko)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CN104206612A (zh) 一种咖啡烘焙前生豆制品的二次处理方法
CN109744311A (zh) 一种花生保鲜加工方法
KR101727225B1 (ko)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
US20230284646A1 (en) Coffea seed processing methods an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