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225B1 -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225B1
KR101727225B1 KR1020170018567A KR20170018567A KR101727225B1 KR 101727225 B1 KR101727225 B1 KR 101727225B1 KR 1020170018567 A KR1020170018567 A KR 1020170018567A KR 20170018567 A KR20170018567 A KR 20170018567A KR 101727225 B1 KR101727225 B1 KR 10172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magnetized water
coffee beans
magnet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옥균
Original Assignee
(주)담쟁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담쟁이 filed Critical (주)담쟁이
Priority to KR102017001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225B1/ko
Priority to CN201711222282.XA priority patent/CN108402262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방법은, 커피 생두를 세척하는 제1 단계; 세척된 커피 생두를 72시간 동안 온수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제2 단계; 숙성이 완료된 커피 생두를 챔버 내에 적재시킨 후, 상기 챔버 내에 적재된 커피 생두에 자화수를 투입하는 제3 단계; 상기 커피 생두를 건조시키는 제4 단계; 건조가 완료된 커피 생두를 로스팅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는, 측벽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급수구와 배수구가 형성되는 챔버;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자화시킨 후 상기 급수구로 제공하는 자화수생성기;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 중 상기 급수구가 형성된 지점과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지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다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 중 상기 가열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자화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가이드판; 상기 챔버 내의 온도와 습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자화수 공급유량과 상기 가열부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온습도조절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coffee beans}
본 발명은 커피 생두를 발아시킨 후 로스팅하여 커피 원두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화수를 사용하여 생두를 발아시킴으로써 커피의 유효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나무는 열대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하는 꼭두서니과 상록수다. 커피나무는 커피생두를 심어 싹을 틔운 후 묘목을 밭에 옮겨 심음으로써 재배되고, 보통 식수 후 3~5년 정도 지나면 열매를 맺는데, 이때부터 수확이 가능해진다. 커피열매는 녹색에서 서서히 붉은색으로 변하면서 익어가기 때문에 커피 체리라고도 한다.
이러한 커피열매 속에는 '커피콩'이라 부르는 생두 부분이 있다. 보통 두 개의 반원형 생두가 마주 보는 형태로 들어 있으며, 그 주변을 은피(sliver skin)라 불리는 얇은 막과 내과피(parchment)라고 불리는 딱딱한 껍질이 한번 더 감싸고 있다. 그리고 내과피 바깥쪽에는 과육이 있고, 과육은 익을수록 붉은 색을 띤다.
이때 커피열매의 과육은 쉽게 상하기 때문에, 수확된 커피열매는 곧바로 생두를 추출하는 작업을 하고, 정제 과정을 통해 생두를 얻는다. 이때 생두에는 은피가 많이 묻게 된다. 그리고 정제된 생두는 로스팅 과정을 통해 원두로 제조되고, 로스팅 된 원두는 커피 음료의 재료가 된다.
한편, 생두는 로스팅을 통해 탄화과정을 거치면서 원두로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두는 고유의 맛과 향을 내게 되는 데, 이때 생두에 묻어 있는 은피는 생두와 함께 타면서 원두가 고유의 맛과 향을 내는 것을 저해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은피는 타면서 발암물질을 발생시키게 되는 데, 발암물질이 원두에 스며들 경우 제조된 원두는 인체에 매우 해롭게 된다.
또한, 커피는 산지나 종류에 따라 미차는 있으나 광물질, 탄닌, 지방, 당분, 수분, 단백질, 엑기스분, 섬유질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 성분들의 조성비를 분석하여보면 카페인 1.0 ~ 2.0 중량%, 광물질 3 ~ 5 중량%, 탄닌 5 ~ 7중량%, 당분 7 ~ 10 중량%, 수분 10 ~ 15 중량%, 지방 10 ~ 13 중량%, 단백질 10 ~ 15 중량%, 진액분 15 ~ 20중량% 및 섬유질 25 ~ 35 중량%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커피는 기호 식품이기 때문에 향이나 맛을 즐기기 위한 것으로 은은한 향과 커피 고유의 맛은 카페인이나 탄닌 성분의 함량에 좌우될 정도로 커피에서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카페인은 뇌신경의 말단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인 아데노신의 작용을 억제시켜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심장박동수가 증가하여 흥분을 일으키거나 불면증 및 소화불량의 등을 부적용이 나타나는 등 카페인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는 사람들은 문제점이 있어 카페인 성분의 함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32220호에서는 커피 생두를 발아시킴으로써 카페인이나 탄닌의 함량을 줄이면서도 커피의 향과 맛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배전된 원두를 냉동고에서 동결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나, 여전히 카페인이나 탄닌을 근본적으로 조절하지는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31142호에서는 커피생두를 알칼리 수에 침지시킨 후 다시 알칼리 수가 흡수된 생두를 발아장치에 넣어 습윤 분위기하에서 수차에 걸쳐 알칼리 수를 분사하는 복잡한 과정을 통하여 커피 생두를 발아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상기의 방법은 커피 생두의 발아를 촉진 및 카페인이나 탄닌의 함량을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알칼리 수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이나 마그네슘 및 유기물질들로 인하여 커피 생두가 부패할 우려가 있다.
KR 10-103114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화수를 이용하여 커피 생두를 발아시킴으로써 커피의 유효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커피 원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생두에 자화수와 열을 고르게 공급하여 모든 커피 생두를 고르게 발아시킬 수 있고,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방법은, 커피 생두를 세척하는 제1 단계; 세척된 커피 생두를 72시간 동안 온수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제2 단계; 숙성이 완료된 커피 생두를 챔버 내에 적재시킨 후, 상기 챔버 내에 적재된 커피 생두에 자화수를 투입하는 제3 단계; 상기 커피 생두를 건조시키는 제4 단계; 건조가 완료된 커피 생두를 로스팅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는, 측벽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급수구와 배수구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급수구에 연결되는 자화수생성관과, 상기 자화수생성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화수생성관 내부를 흐르는 물에 자장을 인가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자화수생성관 내부에 장착되는 불순물흡착부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자화시킨 후 상기 급수구로 제공하는 자화수생성기;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 중 상기 급수구가 형성된 지점과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지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다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 중 상기 가열부 하측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자화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가이드판; 상기 챔버 내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챔버 내의 온도와 습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자화수 공급유량과 상기 가열부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온습도조절기; 및 상기 거치판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가로판과 세로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거치판을 통해 전도되는 열전달판;을 포함한다.
상기 불순물흡착부는 그물망 구조의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화수생성관 내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횡단면 형상이 다수개의 모서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 끝단만이 상기 자화수생성관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삭제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 중 커피 생두가 적재되는 공간과 상기 급수구가 형성된 지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다수 개의 분배공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된 자화수를 고르게 분배시키는 자화수분배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자화수를 이용하여 커피 생두를 발아시킴으로써 커피의 유효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커피 생두에 자화수와 열을 고르게 공급하여 모든 커피 생두를 고르게 발아시킬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자화수생성기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불순물흡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거치판의 상면에 열전달판이 추가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거치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관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8은 자화수 분배판이 추가로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방법은 커피 생두를 그대로 로스팅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수준 발아시킨 이후 로스팅하되, 자화수를 이용하여 커피 생두를 로스팅함으로써 커피의 유효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생두를 세척하는 제1 단계(S10)와, 세척된 커피 생두를 72시간 동안 온수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제2 단계(S20)와, 숙성이 완료된 커피 생두를 챔버 내에 적재시킨 후 상기 챔버 내에 적재된 커피 생두에 자화수를 투입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커피 생두를 건조시키는 제4 단계(S40)와, 건조가 완료된 커피 생두를 로스팅하는 제5 단계(S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자화수란 물 분자 중의 산소원자가 수소원자를 사이에 둔 한변으로 하여 6각형으로 배열된 구조로서, 유동하는 물에 자장을 걸어주었을 때 자속의 자화력에 의해 물 분자가 재배열되어 생성된다.
6각형으로 배열된 자화수는 물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 간 간격이 일반적인 물보다 좁기 때문에 강력한 침투력을 갖게 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쉽게 인체를 비롯한 동식물의 세포막에 용이하게 흡수되어, 세포막을 보호하고 산소와 영양물질을 원활하게 공급하며, 이에 따라 세포의 활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화수 생성 원리를 설명하면, 물 분자는 15-20개가 모여 클러스터 형태를 나타내는데, 물에 자장을 인가하면 물분자를 구성하는 수소는 -극(N극)쪽으로, 산소 분자는 +극(S극)쪽으로 인력이 작용하며 자력에 의해 물 분자는 빠르게 회전하게 되고, 물 분자가 빠른 속도로 회전할 때 자장 내에 형성된 무수한 음전하(음이온)와 충돌하여 물 분자의 미세화가 이루어진다. 이후, 미세화된 물 분자들이 다시 재결합하여 활성화하고, 이온화 되어 클러스터를 이루는데 이때 재결합 구조가 육각 구조를 이루어 6각형의 자화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커피 생두를 자화수를 사용하여 발아시키면, 휴면상태에 있는 효소가 일제히 활성화되어 기존의 각종 단백질 및 미네랄과 섬유질, GABA가 발아과정에서 대량 축적되어 일반 커피 생두에서는 볼 수 없는 커피의 유효성분이 증가하고, 인체 흡수를 도와주며, 각종 아미노산의 평균적인 분포로 맛과 향이 부드러워 인체에 유익한 커피 원두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자화수로 커피 생두를 발아시킨 이후 커피 생두를 건조 및 로스팅하는 과정은 종래의 커피 원두 제조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자화수생성기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불순물흡착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는 자화수를 이용한 커피 생두(10)의 발아과정을 자동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측벽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급수구(110)와 배수구(120)가 형성되는 챔버(100)와,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자화시킨 후 상기 급수구(110)로 제공하는 자화수생성기(20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급수구(110)가 형성된 지점과 상기 배수구(120)가 형성된 지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다수 개의 배출공(310)이 형성되는 거치판(300)과, 상기 거치판(300)을 가열하는 가열부(400)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가열부(400)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310)을 통해 배출되는 자화수를 상기 배수구(120)로 안내하는 가이드판(500)과, 상기 챔버(100) 내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610)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챔버(100) 내의 온도와 습도를 사용자가 선택한 범위 이내로 조절하는 온습도조절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화수생성기(200)는, 길이방향 양측이 급수라인(20)과 급수구(11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급수라인(20)을 통해 공급된 물이 내부를 지나 급수구(110)로 흐르는 자화수생성관(210)과, 상기 자화수생성관(2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화수생성관(210) 내부를 흐르는 물에 자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자화수생성관(210) 내부를 흐르는 물을 자화수로 변환시키는 자성체(220)와, 상기 자성체(220)를 둘러싸도록 상기 자화수생성관(210) 내부에 장착되는 불순물흡착부(230)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물에 자장을 인가하여 자화수로 변환시키는 자성체(220)는 종래의 자화수 생성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자성체(220)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거치판(300)은 다량의 커피 생두(10)를 받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급수구(110)를 통해 제공된 자화수가 일정 비율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배출공(3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피 생두(10)가 배출공(310)을 통해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배출공(310)은 커피 생두(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열부(400)는 거치판(300) 상에 적재된 커피 생두(10)가 발아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판(300)을 가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발열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전기 발열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거치판(300)의 가열 온도를 미세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면, 상기 가열부(400)는 전기 발열장치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발열장치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공(310)을 통해 흐르는 자화수가 가열부(400)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열부(400)는 방수 기능을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500)은, 거치판(300)의 배출공(310)을 통해 떨어지는 자화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수구(120)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자화수의 유동방향을 배수구(120)로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각각의 배출공(310)을 통해 떨어진 자화수가 배수구(120)로 흐를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챔버(100)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610)는 챔버(100) 내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 후 이를 온습도조절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온도계 및 습도계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와 습도계는 본원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구조로 널리 알려져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온습도조절기(600)는 상기 챔버(100) 내의 온도와 습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자화수 공급유량(더 명확하게는 급수구(110)를 통해 챔버(100) 내부로 제공되는 자화수 유량)과 상기 가열부(400)의 발열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챔버(100)는 다량의 커피 생두(10)가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규격으로 제작되는바,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 중 상측과 하측의 온도 및 습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610)는 챔버(100)의 내부공간 중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급수라인(20)을 통해 공급된 일반적인 물이 자화수생성기(200)를 통과하면서 자화수로 변환되어 급수구(110)를 통해 커피 생두(10)로 뿌려진다. 이때, 상기 급수구(110)를 통해 공급된 자화수가 챔버(100)의 내부공간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구(110)에는 별도의 분사노즐(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피 생두(10)로 뿌려진 자화수는 거치판(300) 상에 고여 있는 것이 아니라 배출공(310)을 통해 일정 비율로 배출되고, 상기 급수구(110)로는 새로운 자화수가 일정 비율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바, 상기 거치판(300) 상에 적재된 커피 생두(10)는 항상 새로운 자화수와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피 생두(10)에 자화수가 뿌려지는 동안 가열부(400)는 커피 생두(10)의 발아에 적절한 온도로 거치판(300)을 가열하는바, 상기 거치판(300) 상에 적재된 커피 생두(10)는 보다 효과적으로 발아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습도조절기(600)는 챔버(100) 내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가열부(400)의 발열량과 자화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챔버(100) 내부를 커피 생두(10)의 발아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하는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커피 생두(10)의 발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물을 자화시키는 과정에서는 탄산칼슘 등과 같은 스케일(Scale)이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스케일은 자화수생성관(210)의 내측면에 침전된다. 자화수생성관(210) 내벽에 침전되는 스케일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자화수생성관(210)의 유로가 좁아져 물이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물의 자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침전되는 스케일을 주기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하는데, 자화수생성관(210)에 직접 침전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구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자화수생성관(210)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자화수생성관(210)을 교체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자화수생성기(200)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자성체(220) 주변을 둘러싸는 중공관 형상의 불순물흡착부(230)를 구비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 불순물흡착부(230)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로 제작되되, 탄산칼슘 등과 같은 스케일이 침전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자화수생성관(210) 내에 불순물흡착부(230)가 형성되면, 자화수생성관(210) 내의 물이 자화수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탄산칼슘 등과 같은 스케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스케일은 자화수생성관(210)의 내벽에 침전되는 것이 아니라 불순물흡착부(230)에 침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불순물흡착부(230)에 일정량 이상의 스케일이 침전되었을 때 상기 불순물흡착부(230)만을 새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자화수생성관(210)과 자성체(220)는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즉,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불순물흡착부(230)는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자화수생성관(210)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자화수생성관(210) 내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불순물흡착부(230)의 외측면 전체가 자화수생성관(210)의 내측면에 접촉되면 불순물흡착부(230)에 침전되는 스케일이 자화수생성관(210)의 내측면에도 고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불순물흡착부(230)는 자화수생성관(210)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불순물흡착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다수 개의 모서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 끝단만이 상기 자화수생성관(21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자화수생성관(21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불순물흡착부(230)가 6개의 모서리를 갖되 모서리 부위가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벽면이 만곡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불순물흡착부(230)의 모서리 개수와 모서리의 각도, 벽면의 곡률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거치판(300)의 상면에 열전달판(700)이 추가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거치판(300)에 다량의 커피 생두(10)가 안착되면, 상기 거치판(300)이 가열부(400)에 의해 가열되었을 때 거치판(300)과 가깝게 위치하는 커피 생두(10)는 발아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지만, 거치판(300)과 멀게 위치하는 커피 생두(10)는 가열이 미미하여 발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할 우려가 있다. 즉, 거차핀 상에 적재된 다량의 커피 생두(10)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커피 생두(10)는 정상적으로 발아가 되고 위쪽에 위치하는 커피 생두(10)는 발아가 이루어지지 아니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는 거치판(300) 상에 적재된 다량의 커피 생두(10)에 가열부(400)의 열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판(3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열전달판(7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판(7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가로판(710)과 세로판(720)으로 구성되는바, 거치판(300)으로 전달된 열을 보다 고르게 분산하여 전도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판(300) 상에 적재된 다량의 커피 생두(10)는 열전달판(700)을 통해 고르게 열을 전달받는바, 거치판(300)과의 거리차에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발아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판(710)과 세로판(720)에는 물과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통기공(730)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기공(730)의 개수 및 배열패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거치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관의 형상을 도시한다.
거치판(300)을 가열하는 가열부(400)가 방수처리된다고 하더라도, 배출공(310)을 통해 배출되는 자화수가 상기 가열부(400)와 장시간 접촉하게 되면 상기 가열부(40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판(300)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3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배출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20)의 끝단은 가열부(400)의 저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바, 거치판(300) 상의 자화수는 배출관(320) 내부를 통해 배출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열부(400)가 자화수와 접촉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관(320)은 거치판(30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상기 거치판(300)과 별도로 제작된 후 배출공(3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은 자화수 분배판이 추가로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가 챔버(100)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면, 상기 급수구(110)와 가깝게 위치하는 커피 생두(10)는 자화수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지만, 급수구(110)와 멀리 위치하는 커피 생두(10)는 자화수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원두 제조장치는,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 중 커피 생두(10)가 적재되는 공간과 상기 급수구(110)가 형성된 지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다수 개의 분배공(810)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형성되는 자화수분배판(80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100)의 내부에 자화수분배판(800)이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급수구(110)를 통해 공급된 자화수는 자화수분배판(800) 상에 모였다가 각각의 분배공(810)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므로, 모든 지점의 커피 생두(10)가 자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수분배판(800)이 추가로 장착되면, 급수구(110)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모든 커피 생두(10)가 고르게 발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커피 생두 20 : 급수라인
100 : 챔버 110 : 급수구
120 : 배수구 200 : 자화수생성기
210 : 자화수생성관 220 : 자성체
230 : 불순물흡착부 300 : 거치판
310 : 배출공 320 : 배출관
400 : 가열부 500 : 가이드판
600 : 온습도조절기 610 : 센서
700 : 열전달판 710 : 가로판
720 : 세로판 730 : 통기공
800 : 자화수분배판 810 : 분배공

Claims (4)

  1. 삭제
  2. 측벽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급수구(110)와 배수구(120)가 형성되는 챔버(100);
    상기 급수구(110)에 연결되는 자화수생성관(210)과, 상기 자화수생성관(2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화수생성관(210) 내부를 흐르는 물에 자장을 인가하는 자성체(220)와, 상기 자성체(220)를 둘러싸도록 상기 자화수생성관(210) 내부에 장착되는 불순물흡착부(230)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자화시킨 후 상기 급수구(110)로 제공하는 자화수생성기(200);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급수구(110)가 형성된 지점과 상기 배수구(120)가 형성된 지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다수 개의 배출공(310)이 형성되는 거치판(300);
    상기 거치판(300)을 가열하는 가열부(400);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가열부(400) 하측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공(310)을 통해 배출되는 자화수를 상기 배수구(120)로 안내하는 가이드판(500);
    상기 챔버(100) 내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610)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챔버(100) 내의 온도와 습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자화수 공급유량과 상기 가열부(400)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온습도조절기(600); 및
    상기 거치판(3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가로판(710)과 세로판(720)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부(40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거치판(300)을 통해 전도되는 열전달판(700); 을 포함하고,
    상기 불순물흡착부(230)는 그물망 구조의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화수생성관(210) 내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횡단면 형상이 다수 개의 모서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 끝단만이 상기 자화수생성관(21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제조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 중 커피 생두(10)가 적재되는 공간과 상기 급수구(110)가 형성된 지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다수 개의 분배공(810)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110)를 통해 공급된 자화수를 고르게 분배시키는 자화수분배판(8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제조장치.
KR1020170018567A 2017-02-10 2017-02-10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72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567A KR101727225B1 (ko) 2017-02-10 2017-02-10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
CN201711222282.XA CN108402262A (zh) 2017-02-10 2017-11-29 咖啡豆制备方法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567A KR101727225B1 (ko) 2017-02-10 2017-02-10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225B1 true KR101727225B1 (ko) 2017-04-17

Family

ID=5870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567A KR101727225B1 (ko) 2017-02-10 2017-02-10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7225B1 (ko)
CN (1) CN10840226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5675A (ja) * 2005-07-31 2009-04-16 フィトウッシ,メイヤー 磁化濾過装置
KR101454413B1 (ko) * 2014-03-17 2014-10-27 주식회사 미랑에프앤비 커피 생두 가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5725B2 (ja) * 2007-05-08 2012-09-12 有限会社イミー コーヒー生豆の迅速発芽方法
CN103354711B (zh) * 2011-01-25 2016-05-04 李相垣 咖啡生豆发芽装置及应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5675A (ja) * 2005-07-31 2009-04-16 フィトウッシ,メイヤー 磁化濾過装置
KR101454413B1 (ko) * 2014-03-17 2014-10-27 주식회사 미랑에프앤비 커피 생두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02262A (zh)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7508B (zh) 生咖啡豆的迅速发芽方法
CN107258148B (zh) 一种加快薄壳山核桃种子发芽的处理方法
CA2910462C (en) Improved method for seed priming
KR101763456B1 (ko) 커피 향과 맛을 향상시키기 위한 커피생두 사전처리 방법
CN103444923A (zh) 一种用古茶树茶叶制作红茶的工艺
CN103688728A (zh) 玛咖育苗方法
Kandil et al. Response of some canola cultivars (Brassica napus L.) to salinity stress and its effect on germination and seedling properties
KR101041865B1 (ko) 발아커피의 생육방법
CN106879447A (zh) 一种诸葛芽苗菜无土栽培方法
CN112602591A (zh) 一种澳洲坚果的铯-137诱变育种方法
KR101727225B1 (ko) 커피 원두 제조방법 및 장치
CN108668557A (zh) 一种利用发芽玉米富集叶黄素的方法及其产品和应用
KR20160049580A (ko) 발암 물질 및 유해 탄화물 발생 저감을 위한 발아 커피 밀 그 제조 방법
CN103430661B (zh) 一种提高嘉兰百合种子出苗率的方法
KR100407217B1 (ko) 발아현미의 재배방법 및 그 장치
CN105875377A (zh) 一种芽苗菜培育方法
KR101886865B1 (ko) 땅콩나물 재배방법 및 재배기
Dziwulska-Hunek et al. Short-Term Exposure to Pre-Sow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Amaranth Seeds Affects Germination Energy but not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KR101444749B1 (ko) 자화활성수를 이용한 커피 생두 발아 방법
CN107593689A (zh) 一种薄壳山核桃花粉处理及冷冻保存方法
KR20080007293A (ko) 작두콩의 발아율과 성장율 향상 방법 및 수경재배에 의한작두콩 콩나물 재배 방법
CN104286298A (zh) 一种沙棘叶的加工方法及配套使用的专用除毫设备
RU2486735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семян тыквы к посеву
JP6827251B2 (ja) 増強された栄養素を含有する穀物種子の製造方法
CN113396666A (zh) 一种促进细叶韭种子萌发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