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708B1 -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708B1
KR102314708B1 KR1020190130942A KR20190130942A KR102314708B1 KR 102314708 B1 KR102314708 B1 KR 102314708B1 KR 1020190130942 A KR1020190130942 A KR 1020190130942A KR 20190130942 A KR20190130942 A KR 20190130942A KR 102314708 B1 KR102314708 B1 KR 102314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eans
roasting
tank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190A (ko
Inventor
정원
전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Priority to KR102019013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7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콜라겐에 커피 생두를 침지시킨 다음 이를 가공하여 콜라겐이 함유된 더치커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은 생두 상태의 커피 원두를 액상콜라겐에 침지시켜 소정시간 숙성하는 침지단계와, 액상콜라겐에 침시시켰던 원두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원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팅단계와, 로스팅 된 원두를 그라인더를 통해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된 커피원두분말을 추출기에 넣고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Dutch coffee containing collagen}
본 발명은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콜라겐에 커피 생두를 침지시킨 다음 이를 가공하여 콜라겐이 함유된 더치커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의 씨앗인 생두를 수확하고, 수확된 생두를 정제공정을 거쳐 로스팅 한 후, 한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의 분쇄 원두를 섞어 액상으로 추출, 음용하는 기호 음료를 가리킨다.
현재 많이 음용 되는 커피는 크게 아라비카(arabicas), 로부스타(robustas), 리베리카(libericas) 3가지 종으로 분류되는데, 아라비카(arabicas) 종은 단맛, 신맛, 감칠맛, 그리고, 뛰어난 향기 특성을 지니며 전 세계 산출량의 약 70%를 차지한다. 로부스타(robustas) 종은 쓴맛이 강하여 주로 다른 커피와 배합하거나 인스턴트 커피제조용으로 활용되는 특성을 지니며, 전 세계 산출량의 약 27 내지 28%를 차지하며, 리베리카(libericas) 종은, 향미가 풍부하지 못하고, 어려운 재배환경으로 인해 전 세계산출량의 약 2~3% 정도에 머물고있는 수준이다.
한편, 커피의 대표적 성분으로는 카페인, 클로로겐산, 나이아신, 칼륨 등이 있고, 여기서 특히, 커피의 주성분인 카페인은 음용 자의 인체건강에 매우 유익한 작용을 행하는 것인바, 예컨대, 암 예방의 효과, 혈압강화의 효과, 계산력 향상의 효과, 다이어트의 효과, 숙취방지 및 해소의 효과 등이 대표적인 긍정적 작용들의 예라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커피는 로스팅 된 커피 원두를 갈아 분쇄한 다음 이를 추출하여 마시게 되는데, 추출 방식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여과망에 두고 온수를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여과식의 드립커피와, 흔히 에스프레소 머신이라고 부르는 기계장치를 통해 고온 고압으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커피가 담긴 용기에 물을 한 방울씩 2 내지 5초 간격으로 떨어지게 하여 추출하는 점적식 여과방식의 커피 즉 더치커피를 많이 마시는 추세이다.
물론 이러한 커피의 추출 및 제조 방법이 까다롭고 추출을 위한 시간이나 장소, 장비 등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믹스 형태로 물만 섞어서 마실 수 있는 포장형식의 믹스커피도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커피 본연의 맛을 즐기기 위해 드립커피나 에스프레소, 더치커피를 즐기는 사람도 많다.
커피는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어 카페인에 예민한 사람들의 경우 섭취를 꺼리는 경우도 있지만 하루에 1~2잔의 커피는 집중력,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심장질환에도 효과가 있는 등 권장량의 섭취는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국내에서 커피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커피를 음용함과 동시에 건강에 이로운 추가적인 성분을 함유하여 커피의 기능성을 더욱 높이고자 하는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나, 믹스커피의 경우 추가 성분을 쉽게 혼합하여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반면 단순히 원두를 로스팅하여 분쇄한 다음 추출하는 추출방식의 커피의 경우 추가적인 기능성을 포함하도록 커피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9373호 :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한 커피믹스 제조방법 및 그 커피믹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치커피로 추출하는 커피에 콜라겐을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커피의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은 생두 상태의 커피 원두를 액상콜라겐에 침지시켜 소정시간 숙성하는 침지단계와, 액상콜라겐에 침시시켰던 원두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원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팅단계와, 로스팅 된 원두를 그라인더를 통해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된 커피원두분말을 추출기에 넣고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침지단계에서는 커피 원두를 상온의 액상콜라겐에 침지시킨 상태로 45 내지 50시간 숙성시키되, 상기 원두가 침지된 액상콜라겐을 숙성시작 후 15 내지 17시간이 지난 후 3 내지 4시간 동안 내부로 공기를 발포하여 발포숙성을 진행하고, 상기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숙성된 원두를 황토 항아리에서 34 내지 38시간 동안 자연건조시키며, 상기 로스팅단계는 상기 건조단계 후 건조된 원두를 로스팅 기기에 넣어 115 내지 125℃의 온도에서 5분간 로스팅을 진행하는 제1 로스팅 과정과, 제1 로스팅 과정 후 6 내지 7시간 원두를 냉각하는 원두 냉각과정과, 원두 냉각과정 후 원두를 로스팅 기기에 넣고 235 내지 260℃의 온도에서 20 내지 25분간 로스팅하는 제2 로스팅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로스팅 후 분쇄된 커피 원두의 분말을 추출기의 커피탱크에 충진시킨 후 커피탱크에 충진된 커피 원두 분발들이 상호 엉겨붙지 않도록 휘저어주는 과정과, 휘저어준 커피 원두 분말의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 상기 커피 원두 분말들이 상호 일정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가압과정과, 커피탱크에 소정의 물을 한방울씩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떨어뜨려 물이 상기 커피탱크의 내부를 통과해 추출되도록 하는 추출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추출과정은 4 내지 8℃의 온도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에는 물의 온도를 4 내지 8℃의 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1 열교환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피탱크는 외부에 커피원두의 분말 온도가 4 내지 8℃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커피탱크의 외부에서 커피탱크 및 커피탱크에 충진된 커피 원두 분말을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제2 열교환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물탱크 및 커피탱크에는 각각 추출용 물과 커피 원두 분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온도센서와 제2 온도센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제2 온도센서의 측정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가 온도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제2 열교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에 따르면, 더치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콜라겐이 커피음료에 함유되어 커피음료의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건강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의 단계를 표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표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에 따라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추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은 커피 원두를 액상 콜라겐에 침시시켜 숙성하는 침지단계와, 커피 원두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팅단계,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단계 및 커피원두분말로부터 커피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침지단계는 상술한 것처럼 커피 원두를 생두 상태에서 액상콜라겐에 침지시켜 숙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액상콜라겐이 담겨있는 숙성용 용기에 생두 상태의 커피 원두를 액상 콜라겐에 원두가 모두 잠기도록 침지시킨 상태에서 45 내지 50시간 숙성시킨다.
특시 상기 숙성용기의 내부에는 공기를 발포하는 발포용 공기토출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숙성을 시작한 이후 15 내지 17시간이 경과한 다음 약 3 내지 4시간동안 상기 공기토출기를 통해 액상콜라겐에 공기를 발포시킨다.
이렇게 공기방울을 발포시킴에 따라 커피 원두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액상콜라겐의 콜라겐 성분이 원두로 더욱 용이하게 함침될 수 있다.
공기발포 진행 후 다시 커피 원두가 액상콜라겐에 담긴 상태로 추가로 숙성을 진행하여 상술한 것처럼 총 숙성시간이 45 내지 50시간이 되도록 숙성을 진행한다.
침지단계가 끝나면 커피 원두를 액상콜라겐으로부터 건져낸 후 로스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건조시킨다. 건조단계에서는 커피 원두를 황토 항아리에 넣은 다음 황토 항아리의 뚜껑을 열어둔 상태에서 34 내지 38시간 동안 자연건조를 진행한다.
건조된 커피원두는 로스팅을 실시한다.
로스팅 단계는 커피 원두를 짧은 시간동안 1차로 가열하는 제1 로스팅 과정과, 제1 로스팅 과정 후 소정의 냉각시간을 거친 커피 원두를 2차로 가열하는 제2 로스팅 과정을 포함한다.
제1 로스팅 과정에서는 건조된 원두를 로스팅 기기에 넣어 115 내지 125℃의 온도에서 5분간 로스팅을 진행한다. 제1 로스팅 과정에서 커피 원두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고, 커피 원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잡내를 없앤다.
제1 로스팅 과정 완료 후 커피 원두를 상온에서 6 내지 7시간 동안 냉각시키며, 이후 다시 제2 로스팅 과정을 진행한다.
제2 로스팅 과정에서는 커피원두를 로스팅 기기에 넣고 235 내지 260℃의 온도에서 20 내지 25분간 로스팅을 진행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커피 원두는 수분함량이 약 4% 전후로 줄어들게 되고, 부피가 커지면서 세포벽이 얇아져 분쇄가 용이한 상태가 된다. 아울러 제2 로스팅 과정을 통해 당분과 아미노산이 열로 인해 상호 결합하는 메일라드 반응이 나타나면서 맛과 향이 변하게 된다.
제2 로스팅 과정에서의 로스팅 온도와 시간은 기호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로스팅된 커피원두는 그라인더를 통해 분말 상태로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된 커피 원두 분말을 추출기에 넣고 커피 음료를 추출하게 된다.
도 3에는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10)의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분쇄된 커피 원두 분말은 커피탱크(200)에 충진되고, 커피탱크(200)의 상부에는 커피 추출에 사용될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0)가 마련된다.
그리고 커피탱크(200)의 하부에는 추출되는 커피 음료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00)가 구비된다.
분쇄된 커피 원두 분말을 커피 탱크에 충진한 다음 회전체나 막대를 이용해 커피탱크(200) 내에서 커피 분말을 휘저어 준다. 이렇게 하여 엉겨붙어 있는 커피분말들을 풀어줄 수 있다.
그리고 커피탱크(200)의 상단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커피 원두 분말을 가압한다.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전체적으로 커피 원두 분말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함으로 추출되는 커피 음료의 품질을 높인다.
커피탱크(200)를 물탱크(100)와 저장탱크(300)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물을 커피탱크(200)로 투입하며, 물이 커피탱크(200)를 통과하면서 커피음료가 추출되어 저장탱크(300)에 모이게 된다.
상기 커피 원두 분말은 추출과정에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물탱크(100)와 커피탱크(200)에는 각각 물과 커피 원두 분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온도센서(410)와 제2 온도센서(420)가 마련되며, 물탱크(100)와 커피탱크(200)에 각각 제1 열교환기(430)와 제2 열교환기(440)가 구비된다.
제1 열교환기(430)는 물탱크(100) 내부에 설치되며, 열교환을 위한 열매체가 흐르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440)는 커피 원두 분말의 내부로 잠입 설치될 경우 제2 열교환기(440)와 접촉하는 커피 원두 분말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커피탱크(200)가 열전달이 가능한 금속 또는 유리재로 형성되고, 제2 열교환기(440)는 커피탱크(200)의 외부에서 커피탱크(200)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열교환기(430)와 제2 열교환기(440)는 제1 온도센서(410)와 제2 온도센서(420)의 온도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며, 제어부는 물과 커피 원두 분말의 온도가 4 내지 8℃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1 열교환기(430)와 제2 열교환기(4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에 따르면, 액상콜라겐에 침지시켜 콜라겐 성분이 포함된 커피 원두를 통해 커피 음료를 추출함에 따라 콜라겐이 함유된 더치커피를 제조할 수 있으며, 액상콜라겐에 침지하고, 황토항아리에서 자연건조한 다음 2차에 걸친 로스팅을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콜라겐 성분이 유효하게 함유된 더치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추출기
100: 물탱크
200: 커피탱크
300: 저장탱크
410: 제1 온도센서
420: 제2 온도센서
430: 제1 열교환기
440: 제2 열교환기

Claims (3)

  1. 생두 상태의 커피 원두를 액상콜라겐에 침지시켜 소정시간 숙성하는 침지단계와;
    액상콜라겐에 침지시켰던 원두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원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팅단계와;
    로스팅 된 원두를 그라인더를 통해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된 커피원두분말을 추출기에 넣고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침지단계에서는 커피 원두를 상온의 액상콜라겐에 침지시킨 상태로 45 내지 50시간 숙성시키되, 상기 원두가 침지된 액상콜라겐을 숙성시작 후 15 내지 17시간이 지난 후 3 내지 4시간 동안 내부로 공기를 발포하여 발포숙성을 진행하고,
    상기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숙성된 원두를 황토 항아리에서 34 내지 38시간 동안 자연건조시키며,
    상기 로스팅단계는 상기 건조단계 후 건조된 원두를 로스팅 기기에 넣어 115 내지 125℃의 온도에서 5분간 로스팅을 진행하는 제1 로스팅 과정과,
    제1 로스팅 과정 후 6 내지 7시간 원두를 냉각하는 원두 냉각과정과,
    원두 냉각과정 후 원두를 로스팅 기기에 넣고 235 내지 260℃의 온도에서 20 내지 25분간 로스팅하는 제2 로스팅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로스팅 후 분쇄된 커피 원두의 분말을 추출기의 커피탱크에 충진시킨 후 커피탱크에 충진된 커피 원두 분발들이 상호 엉겨붙지 않도록 휘저어주는 과정과,
    휘저어준 커피 원두 분말의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 상기 커피 원두 분말들이 상호 일정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가압과정과,
    추출용 물이 저장된 물탱크로부터 커피탱크에 소정의 물을 한방울씩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떨어뜨려 물이 상기 커피탱크의 내부를 통과해 추출되도록 하는 추출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추출과정은 4 내지 8℃의 온도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에는 물의 온도를 4 내지 8℃의 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1 열교환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피탱크는 외부에 커피원두의 분말 온도가 4 내지 8℃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커피탱크의 외부에서 커피탱크 및 커피탱크에 충진된 커피 원두 분말을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제2 열교환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물탱크 및 커피탱크에는 각각 추출용 물과 커피 원두 분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온도센서와 제2 온도센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제2 온도센서의 측정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가 온도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제2 열교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KR1020190130942A 2019-10-21 2019-10-21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KR102314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42A KR102314708B1 (ko) 2019-10-21 2019-10-21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42A KR102314708B1 (ko) 2019-10-21 2019-10-21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90A KR20210047190A (ko) 2021-04-29
KR102314708B1 true KR102314708B1 (ko) 2021-10-19

Family

ID=7572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942A KR102314708B1 (ko) 2019-10-21 2019-10-21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7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814B1 (ko) * 2016-09-12 2018-08-02 박희동 기능성 커피 원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09373B1 (ko) 2017-02-17 2018-10-17 이서혜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한 커피믹스 제조방법 및 그 커피믹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90A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6609C2 (ru) Обжаренный и молотый порошкообразный кофе и способы его получения
JP4070800B1 (ja) コーヒー飲料用水出しコーヒーの製造方法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JP2010166868A (ja) 風香味改善コーヒー豆及びコーヒー生豆の改善方法
KR20130132368A (ko) 냉수-커피 혼합물의 고속여과에 의한 농축커피 추출방법과 장치
KR20200001571A (ko) 쉐이크 음료수 조성물
KR20230030658A (ko) 추출액, 이의 생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포장된 음료
KR102314708B1 (ko) 콜라겐을 함유하는 더치커피 제조방법
CN111870122A (zh) 低温泡茶方法、装置及其运用
US20050181108A1 (en) Coffee Sustitute Product and Process for Use
Asiah et al. Sensory and chemical changes of cold and hot brew Arabica coffee at various resting time
KR102072657B1 (ko) 디카페인 커피 제조 방법
US2119329A (en) Process of treating coffee
KR101851369B1 (ko) 흑삼화 가공 커피원두의 제조 방법
US20090041893A1 (en) Coffee substitut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855181B1 (ko) 콜드브루 유자커피의 제조방법
US2043443A (en) Method of treating and roasting coffee
US2230031A (en) Method of preparing coffee and product thereof
CN110384156A (zh) 水煮咖啡及其制备方法和制备装置
KR20230174468A (ko) 테프가 혼합된 원두커피 가공방법 및 그러한 가공방법으로 제조된 테프가 혼합된 원두커피
EP4183258A1 (en) Method for producing roasted coffee beans and roasted coffee beans
KR102506316B1 (ko) 새싹보리 분말과 완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드브루 커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콜드브루 커피
JPH0799998B2 (ja) 濃厚化コ−ヒ−豆の製造方法
JP5144638B2 (ja) 風味バランスと飲みやすさを備えた生茶葉抽出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61539A (ko) 팝핑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