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742A - 수축성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 - Google Patents

수축성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742A
KR20110032742A KR1020090090388A KR20090090388A KR20110032742A KR 20110032742 A KR20110032742 A KR 20110032742A KR 1020090090388 A KR1020090090388 A KR 1020090090388A KR 20090090388 A KR20090090388 A KR 20090090388A KR 20110032742 A KR20110032742 A KR 2011003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aka
construction
shrinkage
taka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149B1 (ko
Inventor
박종성
손정일
남경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9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149B1/ko
Priority to JP2012529675A priority patent/JP5557201B2/ja
Priority to CN201080042548.2A priority patent/CN102510795B/zh
Priority to PCT/KR2010/006351 priority patent/WO2011037364A2/en
Priority to US13/394,775 priority patent/US8715818B2/en
Publication of KR2011003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목재 기반의 타카 시공용 판재로서, 합성수지 및 50 중량% 이상의 목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판재의 두께는 2 mm 내지 10 mm이며, 온도 60℃ 및 습도 90% RH의 조건으로 24 시간 경과 시점에서 판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1 내지 3%의 수축률을 나타내는 타카 시공용 판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축성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 {Tacker Construction Panel with Contractility}
본 발명은 합성목재 기반의 타카 시공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및 50 중량% 이상의 목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판재의 두께는 2 mm 내지 10 mm이며, 온도 60℃ 및 습도 90% RH의 조건으로 24 시간 경과 시점에서 판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1 내지 3%의 수축률을 나타내는 타카 시공용 판재에 관한 것이다.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site)는 목분 또는 목섬유 등의 천연 소재와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성형한 복합 소재로서, 천연목재와 비교했을 때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플라스틱에서 얻을 수 없는 우수한 천연 질감 및 가공성으로 목재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내, 외장재로서 북미 및 일본에서 연 20% 이상의 시장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시장이 점점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합성목재는 과립 또는 펠릿(Pellet) 형태의 목분과 합성수지를 일정 배율로 혼합하고, 제품 용도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추가로 혼합하여, 압출 또 는 사출 등의 공정에 의해 판재 형태의 제품으로 만들어진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압출성형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따른 압출성형 방법에서 사용되는 압출 다이 및 진공냉각장치(calibration unit)의 부분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압출 성형은 압출물의 진행 방향에 따라 압출기(10), 압출다이(20), 진공냉각장치(30), 인취기(40) 및 절단기(50)를 차례로 거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교반기(11)에 의해 혼합된 압출 원료를 가소화시켜 압출기(10)를 통해 용융된 상태로 압출된 압출물은, 소정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노즐(21)을 따라 외부 가열 수단(22)이 장착된 압출다이(20)를 통과하고, 압출다이(20)에서 고온의 상태로 압출물이 토출된다. 이 때, 고온의 상태로 다이에서 압출된 형상의 프로파일을 냉각하고 형상을 고화시키기 위하여 진공냉각장치(30)를 통과시키고, 인취기(40)를 거쳐 절단기(50)에 의해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됨으로써 압출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합성목재는 데크, 펜스 및 사이딩 등의 외장재로 주로 사용되고, 예를 들어, 사이딩(SIDING)을 시공할 경우, 주로 타카 시공이 행해진다. 타카 시공은, 벽면에 판재를 직결시공(못이나 앵커 등을 이용하여 직접 체결)하거나, 각재 및 형강을 이용하여 벽면에 1차 시공을 한 후 판재를 각재 및 형강에 못 등을 이용하여 2차 직결 시공하거나, 클립 부자재 등을 이용하여 간접 체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합성목재는 수지 복합체로서 합성수지와 목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기후 또는 온도와 습도 등 외부요인에 의해 판재가 팽창할 경우 들뜨는 현상 및 뒤틀림 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타카 시공을 통해 판재간의 결합을 이루더라도, 판재가 들뜨는 현상을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외장재로 사용되는 합성목재 판재가 팽창되지 않고 타카 시공에 의해 외장재로 시공된 상태에서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타카 시공용 판재를 특정 조건으로 미리 수축성을 가지도록 형성할 경우, 외부요인에 의해서도 판재의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타카 가공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소망하는 수준으로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카 시공용 판재는 합성목재 기반의 타카 시공용 판재로서, 합성수지 및 50 중량% 이상의 목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판재의 두께는 2 mm 내지 10 mm이며, 온도 60℃ 및 습도 90% RH의 조건으로 24 시간 경과 시점에서 판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1 내지 3%의 수축률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타카 시공용 판재는 상기와 같은 특정한 조건의 수축률을 나타내는 판재로 제조됨으로써, 외부환경에 의해 판재가 팽창되는 조건에서도 수축률의 보상에 의해 결과적으로 들뜨는 현상(warpage)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타카 시공 이후 장기간 소망하는 수준의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목분은 천연원목이나 재활용 나무 등을 과립, 펠릿 등의 형태로 작게 분쇄한 목분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단섬유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목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85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목분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합성수지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아져서 천연원목에 상응하는 외관 내지 질감을 제공하기 어렵고, 반대로 목분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합성수지의 함량 감소로 인한 목분 상호간의 결합력 저하로 소망하는 정도의 강도 및 내구성을 제공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판재의 두께는 판재 형상, 타카 시공성, 수축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는 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2 mm 내지 1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압출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압출성형 공정에서 연신하여 상기 수축률을 부 여할 수 있다. 즉, 압출에 의해 생성되는 압출물을 길이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상기 압출물을 구성하는 합성수지가 부분 결정화를 이루게 되고, 이를 냉각 등에 의해 적당한 내부 응력 상태로 고화시키면, 소망하는 수축률을 가진 판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판재의 수축률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판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1 내지 3%이며, 수축률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수축에 따른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수축률이 너무 큰 경우에는, 과도한 수축에 의해 소망하는 판재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는다면 수축률이 상기 범위를 넘어설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 바람직한 수축률은 0.2 내지 1%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수축률은 판재의 치수 변화율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치수 변화율 은 판재가 팽창 등에 의해 판재 본래의 치수에서 늘어난 증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후 또는 온도와 습도 등 외부요인에 의해 판재가 팽창하더라도, 압출성형 공정시 판재에 부여된 수축률보다 작으므로, 상기 판재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판재를 소망하는 형태로 유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수축률을 상기 판재 두께 범위에서 두께 대비 반비례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판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수축률을 적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와 큰 수축률의 판재와 비교하여, 동일한 외부 환경 하에서 전체적인 수축 크기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판재는 솔리드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g/cm3 이하의 밀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g/cm3 이상 1.0 g/cm3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판재는 미세 발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세 발포형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 제2005-11563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세 발포체의 스킨 부분의 기공이 코어 부분의 기공보다 미세한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써, 스킨 부분의 밀도가 조밀하고 무발포 시트와 유사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출원의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합체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 시공된 사이딩의 평면 사진이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이딩(100)은 다수의 판재들(110, 120, 130, 140, 150)을 부분 중첩 방식으로 소정 부위에 고정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제 1 판재(110)의 하부는 제 2 판재(120)의 상부를 소정의 폭(W)으로 덮고 있고, 제 2 판재(120)의 하부는 제 3 판재의 상부를 상기와 동일한 폭(W)으로 덮고 있으며, 나머지 판재들(130, 140, 150)도 동일한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각각의 판재들(110, 120, 130, 140,150)의 상부는 콘크리트용 타카(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등을 참조하여 발명의 내용을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의 압출장치에서 압출기(10)에 폴리에틸렌 34 중량%, 침엽수 목분 53 중량% 및 탈크 10 중량%와, 나머지 함량으로 기타 첨가제를 첨가한 후, 용융 압출하고 연신하여, 두께 6 mm와 길이 3 m의 타카 시공용 판재를 다수 개 제조하였다. 상기 판재는, 온도 60℃ 및 습도 90% RH의 조건으로 24 시간 경과 시점에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약 0.2%의 수축률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압출물의 연신 조건을 달리하여, 동일 조건에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8%의 수축률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를 다수 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압출물의 연신 조건을 달리하여, 동일 조건에서 길이방향을 기 준으로 1%의 수축률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를 다수 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압출물의 연신 조건을 달리하여, 동일 조건에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3%의 팽창률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를 다수 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압출물을 6 mm (T), 210 mm (W) 크기로 잘라 제조된 판재로 항온항습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항온항습 실험은 미리 길이가 측정된 판재를 온도 60℃ 및 습도 90% RH의 조건으로 24 시간 경과시킨 다음, 변화된 길이를 측정하여 길이변화율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표 1>
Figure 112009058672775-PAT00001
또한, 실시예 2과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된 타카 시공용 판재들을 각각 타 카 시공한 후, 온도 60℃ 및 습도 90% RH의 조건에 노출시켰다. 도 4에는 실시예 2에 따른 타카 시공용 판재(200)를 촬영한 사진과 비교예 1에 따른 타카 시공용 판재(300)를 촬영한 사진이 개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타카 시공용 판재(200)는 들뜨지 않지만, 비교예 1의 타카 시공용 판재(300)는 타카 시공으로 고정된 판재의 중앙부위가 팽창에 의해 들뜨는 현상이 나타났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타카 시공용 판재들을 각각 사용하여 도 3와 같은 형상으로 사이딩을 제조하였다.
즉, 상기 타카 시공용 판재들을 6 mm (T), 210 mm (W) 크기로 자르고, 길이가 30 mm인 콘크리트용 타카로 판재의 상단만 타카 시공하여 사이딩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사이딩을 대상으로 시공 들뜬 높이의 측정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은 상온에서 2 일 및 150 일 경과 후, 들뜬 높이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그것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표 2>
Figure 112009058672775-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타카 시공용 판 재를 사용한 사이딩은, 팽창에 의한 들뜸 현상이 경과 시간과 상관없이 2 mm로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1의 타카 시공용 판재를 사용한 사이딩은 2 일 경과 후에는 7 mm, 150 일 경과 후에는 16 mm의 들뜸 발생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비교예 1의 타카 시공용 사이딩은 경시적으로 들뜸의 크기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5a에는 수축률이 부여된 사이딩을 2 일 동안 경과한 후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과 들뜬 부분이 확대된 사진이 개시되어 있고, 5b에는 수축률을 부여한 사이딩을 150 일 동안 경과한 후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과 들뜬 부분이 확대된 사진이 개시되어 있다.
도 5a 및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축률이 부여된 사이딩은 경과된 시간과 상관없이 팽창에 의한 들뜬 높이가 2 mm로 고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a에는 수축률이 부여되지 않은 사이딩을 2 일 동안 경과한 후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과 들뜬 부분이 확대된 사진이 개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수축률이 부여되지 않은 사이딩을 150 일 동안 경과한 후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과 들뜬 부분이 확대된 사진이 개시되어 있다.
도 6a 및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축률이 부여되지 않은 사이딩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팽창에 의해 들뜨는 현상이 외관상으로 명료하게 확인되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카 시공용 판재는 판재의 길이방향으로 수축성을 나타내므로, 타카 시공을 할 때,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의 목재 각관에 대해 타카 못 등을 사용하여 판재를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기술의 타카 시공용 판재는 판재의 길이방향으로 팽창성을 나타내므로, 타카 시공을 할 때,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의 금속 각관들을 다수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 클립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용접 방식으로 판재를 시공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기반의 타카 시공용 판재는, 특정한 조건의 수축률을 나타내는 판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요인에 의해 판재가 팽창하여도,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판재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외장재로 사용될 경우, 타카 가공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소망하는 수준으로 장기간에 걸쳐 구조물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압출 냉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출 냉각 시스템의 압출 다이 및 진공냉각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 시공용 판재를 사용한 사이딩의 평면 사진이다;
도 4는 수축률이 부여된 판재의 평면 사진과 수축률이 부여되지 않은 판재의 평면 사진이다;
도 5a는 실시예 2의 타카 시공용 판재와 관련하여 2 일 동안 경과한 판재의 평면 사진과 들뜬 부분의 확대 사진이다;
도 5b는 실시예 2의 타카 시공용 판재와 관련하여 150 일 동안 경과한 판재의 평면 사진과 들뜬 부분의 확대 사진이다;
도 6a는 비교예 1의 타카 시공용 판재와 관련하여 2 일 동안 경과한 판재의 평면 사진과 들뜬 부분의 확대 사진이다;
도 6b는 비교예 1의 타카 시공용 판재와 관련하여 150 일 동안 경과한 판재의 평면 사진과 들뜬 부분의 확대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카 시공용 판재를 사용한 타카 시공의 예를 보여주는 부분 모식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타카 시공용 판재를 사용한 타카 시공의 예를 보여주는 부분 모식도이다.

Claims (9)

  1. 합성목재 기반의 타카 시공용 판재로서, 합성수지 및 50 중량% 이상의 목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판재의 두께는 2 mm 내지 10 mm이며, 온도 60℃ 및 습도 90% RH의 조건으로 24 시간 경과 시점에서 판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1 내지 3%의 수축률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 시공용 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의 함량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8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 시공용 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두께는 3 내지 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 시공용 판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압출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압출성형 공정에서 연신하여 상기 수축률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 시공용 판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수축률은 0.2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 시공용 판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률은 판재의 치수 변화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 시공용 판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률은 상기 판재 두께 범위에서 두께 대비 반비례 관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 시공용 판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1.0 g/cm3 이하의 밀도를 갖는 솔리드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 시공용 판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미세 발포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 시공용 판재.
KR1020090090388A 2009-09-24 2009-09-24 수축성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 KR10118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388A KR101182149B1 (ko) 2009-09-24 2009-09-24 수축성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
JP2012529675A JP5557201B2 (ja) 2009-09-24 2010-09-16 収縮性を有する合成木材板材
CN201080042548.2A CN102510795B (zh) 2009-09-24 2010-09-16 具有收缩性的木塑复合物板
PCT/KR2010/006351 WO2011037364A2 (en) 2009-09-24 2010-09-16 Wood plastic composite panel with contractility
US13/394,775 US8715818B2 (en) 2009-09-24 2010-09-16 Wood plastic composite panel with contract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388A KR101182149B1 (ko) 2009-09-24 2009-09-24 수축성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742A true KR20110032742A (ko) 2011-03-30
KR101182149B1 KR101182149B1 (ko) 2012-09-12

Family

ID=4379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388A KR101182149B1 (ko) 2009-09-24 2009-09-24 수축성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15818B2 (ko)
JP (1) JP5557201B2 (ko)
KR (1) KR101182149B1 (ko)
CN (1) CN102510795B (ko)
WO (1) WO201103736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474A (ko) 2017-11-15 2019-05-23 (주)태림이엔티 태양광 보온여재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14347416A (zh) * 2022-02-08 2022-04-15 安徽戴家工艺有限公司 一种木塑家具板材加工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5448B (fi) 2009-03-11 2015-10-15 Onbone Oy Uudet materiaalit
KR20130112234A (ko) * 2012-04-03 2013-10-14 (주)엘지하우시스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3121A (ja) * 1995-12-28 1997-07-15 Sangyo Gijutsu Kenkyusho:Kk ペット樹脂をバインダーとするセルロース粉ペレット及び該セルロース粉ペレットの造粒方法
US6341461B1 (en) * 1997-01-09 2002-01-29 New England Classic Interiors, Inc. Modular wall panel system
JP3605977B2 (ja) * 1997-01-17 2004-12-22 三菱化学エムケーブイ株式会社 木粉含有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3609917B2 (ja) * 1997-03-28 2005-01-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07307914A (ja) * 1997-12-25 2007-1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繊維板
JP3500403B2 (ja) * 1999-09-21 2004-02-23 Ykk Ap株式会社 セルロース系粉体含有複合樹脂成形体
US6449913B1 (en) * 2000-02-08 2002-09-17 Floyd Shelton Parquet flooring panel comprising spaced, wooden strips secured by adhesive and forming irregular end shapes for alignment with adjacent panels
US20050045015A1 (en) * 2001-02-21 2005-03-03 Brayton Russell S. Lightweight dimensionally stable steel rule die
KR100704808B1 (ko) * 2001-08-28 2007-04-10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Cfrp제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3094411A (ja) * 2001-09-26 2003-04-03 Nichiha Corp 木質板および木質板の製造方法
CN1252166C (zh) 2002-12-23 2006-04-19 北京欧尼克环保技术有限公司 木塑复合材料的板材或片材的制备方法
CN1252165C (zh) * 2002-12-23 2006-04-19 北京欧尼克环保技术有限公司 木塑发泡材料及其加工成型工艺
US7943070B1 (en) * 2003-05-05 2011-05-17 Jeld-Wen, Inc. Molded thin-layer lignocellulose composites having reduced thicknes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5124901B2 (ja) * 2003-07-04 2013-01-23 東レ株式会社 木材代替材料
EP2508263B1 (en) 2005-03-24 2015-11-25 Xyleco, Inc. Method of densifying fibrous material
JP2007008107A (ja) * 2005-07-04 2007-01-18 Toray Ind Inc 木質系板材及びそれを用いたユニット床材
JP4781793B2 (ja) * 2005-11-25 2011-09-28 ヤマハリビングテック株式会社 木質系成形体および木質系成形体の製造方法
US20070251173A1 (en) * 2006-05-01 2007-11-01 Stokes Stokes Flat strip with one or more slight bends with one or more guides and two or more terminal fasteners for interlocking three or more floor planks and a method of creating a floor of hardwood, laminate or artificial floor planks using a flat strip
JP4829712B2 (ja) * 2006-08-03 2011-12-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成木材
KR20080085289A (ko) * 2007-03-19 2008-09-24 케이앤씨컨설턴트 주식회사 타카 핀으로 고정이 가능한 건축 내장용 황토 보드의 제조방법
KR100908788B1 (ko) * 2007-04-05 2009-07-22 이신영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CN101204824B (zh) * 2007-12-04 2010-09-01 中国林业科学研究院木材工业研究所 一种木塑复合制品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474A (ko) 2017-11-15 2019-05-23 (주)태림이엔티 태양광 보온여재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14347416A (zh) * 2022-02-08 2022-04-15 安徽戴家工艺有限公司 一种木塑家具板材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71446A1 (en) 2012-07-05
CN102510795B (zh) 2014-12-31
WO2011037364A2 (en) 2011-03-31
JP2013505150A (ja) 2013-02-14
JP5557201B2 (ja) 2014-07-23
WO2011037364A3 (en) 2011-07-07
CN102510795A (zh) 2012-06-20
KR101182149B1 (ko) 2012-09-12
US8715818B2 (en) 201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149B1 (ko) 수축성을 가진 타카 시공용 판재
JP2008297479A (ja) セルロース繊維含有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6773794B2 (en) Construction panel
JP4940840B2 (ja) 床材の製造方法および床材
KR20180110409A (ko) 흡음 석고보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음 석고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001597A (ja) セルロース繊維含有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05415839A (zh) 一种聚氯乙烯共挤木塑板及其制备方法
EP2514730A2 (en) Wood wool lightweight building elements and binder systems therefore
JPS6218512B2 (ko)
RU168326U1 (ru) Панель опалубки стен и перекрытий из вспененного поливинилхлорида
KR20110040319A (ko)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US20040173928A1 (en) Method of forming building materials mostly consisting of magnesium oxide
JP6659291B2 (ja) 建築板
JPH02151637A (ja) 棟瓦固定構造材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3909937B1 (en) Lightweight fiber-reinforced cement material
US11624192B2 (en)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KR102248035B1 (ko) 건축용 무석면 압출성형패널 및 그 조성물
JP5256697B2 (ja) 木質系樹脂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木質系樹脂発泡成形体、及びこれを用いた床材
JP4853825B2 (ja) 床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床材
PT11291Y (pt) Conjunto de transporte e/ou armazenamento de placas empilhadas
ITSV990001A1 (it) Lastra,pannello,o simili di materia plastica termoformabile e metodoper la produzione degli stessi.
JPH09315846A (ja) 軽量無機質成形体の製造方法
JP3804664B2 (ja) 微細木繊維入り樹脂成形品及び微細木繊維入り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RU168327U1 (ru) Панель опалубки стен и перекрытий из вспененного поливинилхлорида
GB1271650A (en) Lightweight aggreg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