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176A - 공기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176A
KR20110029176A KR1020117003346A KR20117003346A KR20110029176A KR 20110029176 A KR20110029176 A KR 20110029176A KR 1020117003346 A KR1020117003346 A KR 1020117003346A KR 20117003346 A KR20117003346 A KR 20117003346A KR 20110029176 A KR20110029176 A KR 20110029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ire
circumferential
lug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286B1 (ko
Inventor
나오야 오찌
도모아끼 네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11002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2Tread patterns directional pattern, i.e. with main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inusoidal or zigzag at the trea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설상에서의 트랙션 성능, 브레이크 성능 및 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타이어를 제공한다. 한 쌍의 센터 주위 방향 홈과, 센터 주위 방향 홈을 연결하고 경사 방향이 타이어 주위 방향에서 교대로 역방향이 되는 제1 러그 홈과, 센터 주위 방향 홈으로부터 트레드 단부측으로 연장하여 경사 방향이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역방향이 되는 제2 러그 홈과, 센터 주위 방향 홈과 제2 러그 홈에 의해 세컨드 블록을 구획하는 한 쌍의 숄더 주위 방향 홈과, 세컨드 블록을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횡단하여 제2 러그 홈을 연결하고, 제2 러그 홈의 경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 홈을 공기 타이어가 가짐으로써, 설상에서의 트랙션 성능, 브레이크 성능 및 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타이어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설상(雪上) 성능이 우수한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타이어에서는 설상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되어 주위 방향 리브를 형성하는 주위 방향 광폭 홈과, 주위 방향 광폭 홈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주위 방향 협폭 홈과, 주위 방향 광폭 홈과 주위 방향 협폭 홈을 횡단하는 횡단 홈과, 주위 방향 광폭 홈과 주위 방향 협폭 홈과 횡단 홈에 의해 구획되는 마름모꼴 랜드부를 대략 이등분하는 부 홈을 갖는 트레드 패턴을 채용하고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공기 타이어에서는 주위 방향 광폭 홈과 주위 방향 협폭 홈의 조합에 의해, 설상에서의 직진 안정성 및 코너링 성능을 높이고, 횡단 홈의 타이어 주위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설상에서의 트랙션 성능을 높이고, 마름모꼴 랜드부를 대략 이등분하는 부 홈에 의해 설상에서의 코너링 성능을 높이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55217호 공보
그러나, 시장에서는 한층 더한 설상 성능의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설상에서의 트랙션 성능, 브레이크 성능 및 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는,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센터 주위 방향 홈과, 한쪽의 상기 센터 주위 방향 홈과 다른 쪽의 상기 센터 주위 방향 홈을 연결하고,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경사 방향이 타이어 주위 방향에서 교대로 역방향이 되는 복수의 제1 러그 홈과,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터 주위 방향 홈으로부터 트레드 단부측으로 연장되고,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경사 방향이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역방향이 되는 복수의 제2 러그 홈과,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터 주위 방향 홈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센터 주위 방향 홈과 상기 제2 러그 홈에 의해 세컨드 블록을 구획하는 한 쌍의 숄더 주위 방향 홈과, 상기 세컨드 블록을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횡단하여 한쪽의 상기 제2 러그 홈과 다른 쪽의 상기 제2 러그 홈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러그 홈의 경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 홈을 갖는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에 따르면, 센터 주위 방향 홈과 제1 러그 홈에 의해 트레드 센터부에 복수의 블록(주위 방향 블록 열)이 구획된다. 이에 의해, 센터 주위 방향 홈 사이에 블록 열이 구획되지 않는 타이어와 비교하여, 주위 방향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설상에서의 브레이크 성능 및 트랙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부 홈에 의해 세컨드 블록이 분단됨으로써, 폭 방향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설상에서의 횡방향 미끄럼이 억제되어 코너링시의 트랙션 성능, 즉 설상에서의 코너링 성능이 향상된다.
여기에서, 부 홈을 제2 러그 홈의 경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경사지게 함으로써, 부 홈에 의해 분단된 세컨드 블록의 부 홈측의 코너부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각이 되어, 예를 들어 코너부가 평면에서 볼 때 예각이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코너부의 타이어 폭 방향의 강성이 확보된다. 이에 의해, 설상에서의 코너링시에 있어서, 세컨드 블록의 타이어 폭 방향의 강성이 확보되어 충분한 코너링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는, 상기 부 홈의 홈 폭이, 센터 주위 방향 홈 및 숄더 주위 방향 홈보다 좁고, 또한 접지시에 폐쇄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에 따르면, 부 홈의 홈 폭이 센터 주위 방향 홈 및 숄더 주위 방향 홈보다 좁기 때문에 접지 면적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 홈의 홈 폭이 접지시에 폐쇄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설상에서의 폭 방향 에지 성분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는,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의 상기 부 홈과 타방측의 상기 부 홈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고, 또한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일방측의 상기 부 홈의 적어도 일부와 타방측의 상기 부 홈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에 따르면,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의 부 홈과 타방측의 부 홈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고, 또한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일방측의 부 홈의 적어도 일부와 타방측의 부 홈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면 내에 있어서, 부 홈에 의해 항상 에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의 부 홈의 에지 성분과 타방측의 부 홈의 에지 성분이 접지면 내에 있어서 균일하게 근접하기 때문에 조종 안정성이 확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는, 설상에서의 브레이크 성능, 트랙션 성능 및 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의 평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의 변형예의 트레드의 평면도.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L 방향 및 화살표 R 방향은 타이어 폭 방향, 화살표 A 방향은 타이어 회전 방향, 화살표 B 방향은 타이어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는 라이트 트랙(LT)에 적절하게 사용되는 스터드리스 타이어(겨울용 타이어)이다.
또한, 후술하는 트레드 단부(12E)란, 공기 타이어를 JATMA YEAR BOOK(2008년도판, 일본 자동차 타이어 협회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표준 림에 장착하고, JATMA YEAR BOOK에서의 적용 크기ㆍ플라이 레이팅에서의 최대 부하 능력(내압-부하 능력대응표의 굵은 글자 하중)에 대응하는 공기압(최대 공기압)의 100%를 내압으로서 충전하여, 최대 부하 능력을 부하하였을 때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 접지 부분을 가리킨다. 또한, 사용지 또는 제조지에 있어서 TRA 규격, ETRTO 규격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규격에 따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10)의 트레드(12)에는 타이어 적도면(CL)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축 방향 양측에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쌍의 센터 주위 방향 홈(14)과, 타이어 적도면(CL)을 사이에 두고 센터 주위 방향 홈(14)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쌍의 숄더 주위 방향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드(12)에는 한쪽의 센터 주위 방향 홈(14)(도 1에서는 화살표 L 방향측)과, 다른 쪽의 센터 주위 방향 홈(14)(도 1에서는 화살표 R 방향측)을 연결하는 제1 러그 홈(15)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러그 홈(15)은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경사 방향이 타이어 주위 방향에서 교대로 역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트레드(12)에는 센터 주위 방향 홈(14)과 제1 러그 홈(15)에 의해 복수의 센터 블록(20)(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 형상)이 구획됨과 함께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러그 홈(15)의 경사 방향은, 트레드(12)의 먼저 접지하는 측(이하, 선접지측)으로부터 나중에 접지하는 측(후접지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도 1에서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타이어 폭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음).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1 러그 홈(15)의 후접지측의 단부(15A)(도 1에서는 모두 상단부)는 후술하는 세컨드 블록(24) 내에서 종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러그 홈(15)의 후접지측은, 세컨드 블록(24)의 타이어 적도면(CL)측의 벽면(24C)의 타이어 주위 방향 중앙 부분을 통과하여 세컨드 블록(24) 내에서 단부(15A)가 종단되어 있다. 또한, 제1 러그 홈(15)의 선접지측의 단부(15B)는 홈 폭이 가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터 블록(20)의 제1 러그 홈(15)의 단부(15B)에 대응하는 부분이 돌기되어 있고, 이 돌기부(20A)의 접지면에는 홈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형상의 핀 사이프(19)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20A)가 형성됨으로써, 센터 블록(20)의 돌기부(20A) 주위의 강성이 커진다.
또한, 트레드(12)에는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도 1에서는 화살표 L 방향측)의 트레드 단부(12E) 및 타이어 폭 방향의 타방측(도 1에서는 화살표 R 방향측)의 트레드 단부(12E)로부터, 각각 타이어 적도면(CL)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러그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러그 홈(18)은, 숄더 주위 방향 홈(16)을 횡단하여 센터 주위 방향 홈(14)으로 개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러그 홈(18)은, 트레드 단부(12E)로부터 숄더 주위 방향 홈(16)까지의 제2 러그 홈 외측부(18A)와, 숄더 주위 방향 홈(16)으로부터 센터 주위 방향 홈(14)까지의 제2 러그 홈 내측부(18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드(12)에는 센터 주위 방향 홈(14), 숄더 주위 방향 홈(16) 및 제2 러그 홈 내측부(18B)에 의해 복수의 세컨드 블록(24)이 구획됨과 함께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고, 또한 숄더 주위 방향 홈(16) 및 제2 러그 홈 외측부(18A)에 의해 복수의 숄더 블록(26)이 구획됨과 함께 타이어 주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러그 홈(18)의 경사 방향은, 제1 러그 홈(15)의 경사 방향과 마찬가지로 트레드(12)의 선접지측으로부터 후접지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도 1에서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타이어 폭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음).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제2 러그 홈 외측부(18A)보다 제2 러그 홈 내측부(18B)에서 크게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러그 홈 외측부(18A)와 제2 러그 홈 내측부(18B)의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동일한, 즉 제2 러그 홈(18)이 대략 직선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화살표 L 방향측의 트레드 단부(12E)로부터 연장되는 제2 러그 홈(18)과, 화살표 R 방향측의 트레드 단부(12E)로부터 연장되는 제2 러그 홈(18)은, 타이어 적도면(CL)에 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로 인해, 습윤 노면 주행시에 제2 러그 홈(18)을 통하여 노면 상의 물을 효율적으로 접지면 밖으로 배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레드(12)에는 세컨드 블록(24)을 횡단하여 한쪽의 제2 러그 홈(18)과 다른 쪽의 제2 러그 홈(18)(구체적으로는, 제2 러그 홈 내측부(18B))을 연결하는 부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 홈(22)은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경사 방향이 제2 러그 홈(18)의 경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제2 러그 홈(18)의 경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경사져 있다고 하는 것은, 제2 러그 홈(18)의 경사 방향과 부 홈(22)의 경사 방향의 각도차가 ±20도의 범위 내까지를 포함한다. 또한, 이 각도차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0도이다. 또한, 이 부 홈(22)의 홈 폭은, 센터 주위 방향 홈(14) 및 숄더 주위 방향 홈(16)의 홈 폭보다 좁고, 접지시에 폐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타이어 적도면(CL)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의 부 홈(22)과 타방측의 부 홈(22)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으며,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일방측의 부 홈(22)의 적어도 일부와 타방측의 부 홈(22)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일방측의 부 홈(22)과 타방측의 부 홈(22)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절반 이상 중첩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쪽의 센터 주위 방향 홈(14)과 다른 쪽의 센터 주위 방향 홈(14)을 연결하고,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경사 방향이 타이어 주위 방향에서 교대로 역방향이 되도록 제1 러그 홈(15)이 형성되고, 또한 제1 러그 홈(15)의 후접지 단부측(타이어가 타이어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한 경우에, 접지가 지연되는 방향)으로의 연장 방향에, 제1 러그 홈(15)과 대략 직각으로 부 홈(22)이 형성되기 때문에, 한쪽의 부 홈(22)과 다른 쪽의 부 홈(22)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오버랩하는(겹치는) 것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트레드 센터부(28)란, 한쪽의 숄더 주위 방향 홈(16)과 다른 쪽의 숄더 주위 방향 홈(16) 사이의 구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10)에 있어서는, 습윤 노면 주행시의 센터 주위 방향 홈(14) 내의 물의 흐름이 화살표 B 방향이 되고, 물은 센터 주위 방향 홈(14) 내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흐름과 함께, 일부가 제2 러그 홈(18)으로 흘러 접면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제2 러그 홈(18)의 홈 폭은, 센터 주위 방향 홈(14)으로부터 트레드 단부(12E)를 향하여 서서히 홈 폭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터 블록(20)에는 센터 블록(20)의 광폭 면(20B)(삼각형의 저변에 상당)으로부터 타이어 적도면(CL)을 향하여 지그재그 형상의 사이프(32)가 연장되어 있다. 이 사이프(32)는 그의 중심선이 선접지측의 제1 러그 홈(15)(도 1에서는 센터 블록(20)의 하측의 제1 러그 홈(15))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 홈(22)에 의해 분단된 세컨드 블록(24) 중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외측 세컨드 블록(24A)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사이프(44)가 제2 러그 홈 내측부(18B)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컨드 블록(24) 중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내측 세컨드 블록(24B)에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프(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숄더 블록(26)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사이프(52)가 제2 러그 홈 외측부(18A)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용)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10)의 작용을 설명한다.
공기 타이어(10)에 따르면, 센터 주위 방향 홈(14)과 제1 러그 홈(15)에 의해 트레드 센터부(28)에 복수의 센터 블록(20)(주위 방향 블록 열)이 구획된다. 이에 의해, 센터 주위 방향 홈(14) 사이에 블록 열이 구획되지 않는 타이어와 비교하여, 주위 방향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설상에서의 브레이크 성능 및 트랙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부 홈(22)에 의해 세컨드 블록(24)이 분단됨으로써, 폭 방향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설상에서의 횡방향 미끄럼이 억제되어 코너링시의 트랙션 성능, 즉 설상에서의 코너링 성능이 향상된다.
여기에서, 부 홈(22)을 제2 러그 홈(18)의 경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경사지게 함으로써, 부 홈(22)에 의해 분단된 세컨드 블록(24)(외측 세컨드 블록(24A) 및 내측 세컨드 블록(24B))의 부 홈(22)측의 코너부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각이 되어, 예를 들어 코너부가 평면에서 볼 때 예각이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코너부의 타이어 폭 방향의 강성이 확보된다. 이에 의해, 설상에서의 코너링시에 있어서, 세컨드 블록의 타이어 폭 방향의 강성이 확보되어 충분한 코너링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 홈(22)의 홈 폭이 센터 주위 방향 홈(14) 및 숄더 주위 방향 홈(16)보다 좁기 때문에 접지 면적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 홈(22)의 홈 폭이 접지시에 폐쇄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설상에서의 폭 방향 에지 성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어 적도면(CL)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의 부 홈(22)과 타방측의 부 홈(22)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고, 또한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일방측의 부 홈(22)의 적어도 일부와 타방측의 부 홈(22)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면 내에 있어서, 부 홈(22)에 의해 항상 에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의 부 홈(22)의 에지 성분과 타방측의 부 홈(22)의 에지 성분이 접지면 내에 있어서 균일하게 근접하기 때문에 조종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타이어(10)는, 타이어 적도면(CL)의 양측에서 제2 러그 홈(18)의 경사 방향이 상이함(역방향이 됨)과 함께, 부 홈(22)의 경사 방향이 상이하여 트레드 패턴이 방향성 패턴으로 되어 있으므로, 높은 습윤 성능(하이드로플레이닝성)이 얻어진다.
또한, 트레드(12)에는 한 쌍의 센터 주위 방향 홈(14)과 한 쌍의 숄더 주위 방향 홈(1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상에서의 높은 직진 안정성 및 코너링성이 얻어진다.
또한, 트레드(12)에는 양쪽 트레드 단부(12E)로부터 센터 주위 방향 홈(14)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러그 홈(18)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으므로, 높은 트랙션 성능 및 브레이크 성능이 얻어진다.
제2 러그 홈(18)의 홈 폭을 양쪽 트레드 단부(12E)측보다 센터 주위 방향 홈(14)측의 쪽에서 좁게 하였으므로, 접지압이 비교적 높은 트레드 센터부(28)의 네거티브율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 높은 빙상 브레이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 타이어(10)에서는, 트레드(12)의 센터 블록(20)에 사이프(32) 및 핀 사이프(19), 세컨드 블록(24)에 사이프(36, 44), 숄더 블록(26)에 사이프(52)를 각각 형성하였으므로, 높은 빙설상 성능이 얻어진다.
또한, 사이프(32, 36, 44, 52)는 각각 지그재그 형상이므로, 타이어 주위 방향 및 타이어 축 방향 모두 에지 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빙상에서의 특히 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프(32, 36, 44, 52)가 지그재그 형상이고, 진폭 중심의 궤적을 연속된 형상의 직선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이 공기 타이어(10)를 성형하는 몰드의 블레이드(사이프를 형성하는 판재)를 제조하기 쉬워진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러그 홈(15)의 단부(15A)가 세컨드 블록(24) 내에서 종단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러그 홈(15)의 단부(15A)가 세컨드 블록(24) 내에서 종단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 실시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일례이며,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시험예>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타이어(이하, 실시예 타이어라고 함) 1종, 비교를 위한 공기 타이어(이하, 비교예 타이어라고 함) 2종, 및 종래의 공기 타이어(이하, 종래예 타이어라고 함) 1종을 준비하여, 설상에서 성능 테스트를 행하여 가속 성능(트랙션 성능), 제동 성능(브레이크 성능) 및 설상 휠링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하에 공시(供試) 타이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타이어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1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
종래예 타이어는, 실시예 타이어와 비교하여 센터 블록의 주위 방향 블록 열을 센터 리브로 바꾼 타이어이다.
비교예 1의 타이어는, 종래예 타이어와 비교하여 센터 리브를 센터 블록의 주위 방향 블록 열로 바꾼 타이어이며, 러그 홈의 접지 단부측이 세컨드 블록을 구성하는 블록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타이어이다.
비교예 2의 타이어는, 실시예 타이어의 부 홈이 없는 타이어이다.
본 시험예에서는 모든 타이어에 대하여 타이어 크기를 265/70R16으로 하고, 정규 림에 장착하여 정규 내압으로 하고, 라이트 트랙에 설치하여 정규 하중을 부하한 상태에서 실제 차 주행에 의해 시험을 행하였다.
여기에서, 「정규 림」이란, 예를 들어 JATMA가 발행하는 2008년판의 YEAR BOOK에 정해진 적용 크기에서의 표준 림을 가리키며, 「정규 하중」 및 「정규 내압」이란 마찬가지로 JATMA가 발행하는 2008년판의 YEAR BOOK에 정해진 적용 크기ㆍ플라이 레이팅에서의 최대 하중 및 상기 최대 하중에 대한 공기압을 가리킨다. 사용지 또는 제조지에 있어서, TRA 규격, ETRTO 규격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규격에 따른다.
본 시험예에서는 가속 성능에 대해서는 발진 성능으로서 정지 상태로부터 액셀러레이터를 완전 개방으로 하여, 압설 상에서 50m 주행할 때까지 걸린 시간(가속 타임)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동 성능에 대해서는 속도 40km/h로부터 풀 제동을 걸어 압설 상에서 정지 상태가 될 때까지의 제동 거리를 계측하여, 상기 속도(40km/h)와 제동 거리로부터 평균 감속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설상 휠링 성능에 대해서는, 압설 노면의 테스트 코스에서의 제동성, 발진성, 직진성, 코너링성의 종합 평가로 하였다.
그리고, 가속 성능, 제동 성능, 설상 휠링 성능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종래예의 타이어의 평균 감속도에 기초하는 평가 지수 100으로 하여, 실시예 타이어 및 비교예 타이어에 대하여 상대 평가가 되는 평가 지수를 산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종래예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설상 제동 성능
(브레이크 성능)
100 105 107 107
설상 가속 성능
(트랙션 성능)
100 105 108 108
설상 휠링 성능 100 102 103 110
표 1의 평가 결과에서는 평가 지수가 클수록 설상 성능이 높은 것, 즉 가속 성능, 제동 성능 및 설상 휠링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타이어의 평가 지수는 종래예 타이어와 비교하여 모두 높았다. 그리고, 실시예 타이어의 평가 지수는 종래예 타이어, 비교예 1의 타이어 및 비교예 2의 타이어에 비하여 모두 높았다.
10: 타이어
12: 트레드
12E: 트레드 단부
14: 센터 주위 방향 홈
15: 제1 러그 홈
16: 숄더 주위 방향 홈
18: 제2 러그 홈
20: 센터 블록
22: 부 홈
24: 세컨드 블록
26: 숄더 블록

Claims (3)

  1.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센터 주위 방향 홈과,
    한쪽의 상기 센터 주위 방향 홈과 다른 쪽의 상기 센터 주위 방향 홈을 연결하고,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경사 방향이 타이어 주위 방향에서 교대로 역방향이 되는 복수의 제1 러그 홈과,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터 주위 방향 홈으로부터 트레드 단부측으로 연장되고,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경사 방향이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역방향이 되는 복수의 제2 러그 홈과,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터 주위 방향 홈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센터 주위 방향 홈과 상기 제2 러그 홈에 의해 세컨드 블록을 구획하는 한 쌍의 숄더 주위 방향 홈과,
    상기 세컨드 블록을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횡단하여 한쪽의 상기 제2 러그 홈과 다른 쪽의 상기 제2 러그 홈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러그 홈의 경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 홈
    을 갖는 공기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홈의 홈 폭이, 센터 주위 방향 홈 및 숄더 주위 방향 홈보다 좁고, 또한 접지시에 폐쇄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공기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을 사이에 두고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측의 상기 부 홈과 타방측의 상기 부 홈이 타이어 주위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고, 또한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일방측의 상기 부 홈의 적어도 일부와 타방측의 상기 부 홈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는 공기 타이어.
KR1020117003346A 2008-07-16 2009-07-14 공기 타이어 KR101259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85443A JP5102711B2 (ja) 2008-07-16 2008-07-16 空気入りタイヤ
JPJP-P-2008-185443 2008-07-16
PCT/JP2009/062755 WO2010007996A1 (ja) 2008-07-16 2009-07-14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176A true KR20110029176A (ko) 2011-03-22
KR101259286B1 KR101259286B1 (ko) 2013-05-06

Family

ID=4155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346A KR101259286B1 (ko) 2008-07-16 2009-07-14 공기 타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27864B2 (ko)
EP (1) EP2314464B1 (ko)
JP (1) JP5102711B2 (ko)
KR (1) KR101259286B1 (ko)
CN (1) CN102099206B (ko)
RU (1) RU2457956C1 (ko)
WO (1) WO2010007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0427B2 (ja) * 2011-04-12 2013-10-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WO2013042023A1 (en) * 2011-09-21 2013-03-28 Pirelli Tyre S.P.A. Winter tyre
JP5955044B2 (ja) * 2012-03-14 2016-07-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5915505B2 (ja) * 2012-11-07 2016-05-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046471B2 (ja) * 2012-12-07 2016-12-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5975004B2 (ja) * 2013-09-17 2016-08-2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1514524S (ko) * 2014-06-23 2015-09-28
JP5910709B1 (ja) * 2014-12-01 2016-04-2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939296B2 (ja) * 2014-12-01 2016-06-2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6107728A (ja) * 2014-12-03 2016-06-2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450174B2 (ja) * 2014-12-08 2019-01-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4827831B (zh) * 2015-05-20 2017-03-01 青岛双星轮胎工业有限公司 具有对称花纹的全天候轮胎
JPWO2017082405A1 (ja) * 2015-11-12 2018-08-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326399B2 (ja) 2015-11-27 2018-05-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D781220S1 (en) 2016-03-22 2017-03-14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tread
CN106127827A (zh) * 2016-06-29 2016-11-16 先驱智能机械(深圳)有限公司 设计方法、物体表面纹理、防滑结构及机械装置
JP6790722B2 (ja) * 2016-10-26 2020-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DE102016224369A1 (de) * 2016-12-07 2018-06-07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JP6834583B2 (ja) * 2017-02-24 2021-02-2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922547B2 (ja) * 2017-08-21 2021-08-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1621501S (ko) 2018-05-22 2019-01-07
JP7284037B2 (ja) * 2019-08-21 2023-05-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7346277B2 (ja) * 2019-12-19 2023-09-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1508A (ja) * 1992-04-28 1993-11-1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IT1276118B1 (it) * 1995-11-13 1997-10-24 Pirelli Pneumatico per autoveicoli con disegno battistrada particolarmente adatto per la marcia su fondi innevati
JP3459715B2 (ja) * 1996-01-22 2003-10-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0108615A (ja) * 1998-10-07 2000-04-18 Bridgestone Corp 方向性傾斜溝を備えた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0225814A (ja) * 1999-02-05 2000-08-1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4404398B2 (ja) 1999-03-11 2010-01-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DE60023222T2 (de) 1999-07-19 2006-05-24 Bridgestone Corp. Luftreifen
JP4323623B2 (ja) * 1999-07-19 2009-09-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377017B2 (ja) * 2000-01-13 2009-12-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570262B2 (ja) * 2001-02-26 2010-10-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EP1363790B1 (en) * 2001-02-28 2007-08-08 Pirelli Tyre S.p.A. Tyre tread for motor vehicles, particularly for snow-covered ground
JP2002274126A (ja) * 2001-03-15 2002-09-2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4198366B2 (ja) * 2002-02-14 2008-12-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WO2005005170A1 (ja) * 2003-07-14 2005-01-20 The Yokohama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JP4677408B2 (ja) * 2004-08-25 2011-04-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287876B2 (ja) * 2006-11-10 2009-07-0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7996A1 (ja) 2010-01-21
RU2457956C1 (ru) 2012-08-10
KR101259286B1 (ko) 2013-05-06
EP2314464A1 (en) 2011-04-27
JP2010023595A (ja) 2010-02-04
US20110192514A1 (en) 2011-08-11
US8627864B2 (en) 2014-01-14
CN102099206B (zh) 2014-05-07
CN102099206A (zh) 2011-06-15
JP5102711B2 (ja) 2012-12-19
EP2314464B1 (en) 2012-10-31
EP2314464A4 (en)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286B1 (ko) 공기 타이어
KR101834576B1 (ko) 공기 타이어
EP2163405B1 (en) Pneumatic tire
US9555669B2 (en) Pneumatic tire
EP2077193B1 (en) Pneumatic tire
US9421829B2 (en) Pneumatic tire
US10836215B2 (en) Tire
JP6438768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005322B2 (en) Pneumatic tire
JP540437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684096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50298508A1 (en) Pneumatic Tire
US20160144668A1 (en) Pneumatic tire
KR101974662B1 (ko) 공기 타이어
WO2015190273A1 (ja) タイヤ
JP2011143896A (ja) 空気入りタイヤ
US8162015B2 (en) Pneumatic tire having asymmetrical tread pattern
US20130312887A1 (en) Pneumatic tire
WO2021182301A1 (ja) タイヤ
JP201200654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3103567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633990B2 (en) Tire
JP451864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742054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481092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