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456A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456A
KR20110028456A KR1020107028402A KR20107028402A KR20110028456A KR 20110028456 A KR20110028456 A KR 20110028456A KR 1020107028402 A KR1020107028402 A KR 1020107028402A KR 20107028402 A KR20107028402 A KR 20107028402A KR 20110028456 A KR20110028456 A KR 2011002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member
child seat
pedestal
main body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866B1 (ko
Inventor
히로타카 이노우에
다케시 다마노우치
이사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73838A external-priority patent/JP54368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73767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6727B2/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3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back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시트 본체가 의도치 않게 회전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한다. 차일드 시트(10)는, 받침대(50)와, 받침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시트 본체(20)를 갖는다. 시트 본체(20)의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에는,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와, 시트 본체가 회전 가능해지는 회전 위치가 포함된다. 시트 본체는, 받침대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 부재(32)와, 돌출 부재의 돌출량을 조정 가능한 조작 부재(31)를 갖고, 돌출 부재가 받침대와 걸어맞춰져서 각 위치의 각각에 유지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위치 사이에서의 슬라이딩에 필요해지는 조작 부재의 조작량은,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로의 슬라이딩에 필요해지는 조작 부재의 조작량보다 작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CHILD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부착되는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 등에 유유아(乳幼兒)를 태울 경우에 이용되는 차일드 시트에 대해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JP2002-301965A에는, 차량용 시트에 부착되는 받침대와, 받침대 상에 지지되는 시트 본체를 갖는 차일드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차일드 시트에서는, 시트 본체가 받침대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시트 본체의 받침대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것, 즉, 리클라이닝(reclining)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차일드 시트의 시트 본체는,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의 끝까지 이동했을 때, 받침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해서 유유아를 시트 본체 상에 앉힐 뿐만 아니라, 진행 방향의 후방을 향하도록 해서 유유아를 시트 본체 상에 앉힐 수 있다.
JP2002-301965A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에서는, 시트 본체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시트 본체를 받침대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 본체를 회전 가능한 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킬 경우에는, 받침대에 설치된 레버를 더 조작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이 차일드 시트에 따르면, 시트 본체가 의도치 않게 회전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JP2002-301965A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JP2002-301965A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와는 다른 구성에 의해, 시트 본체가 의도치 않게 회전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예를 들면 JP2003-267099A에는, 차일드 시트 본체와, 차량의 바닥면 및 차일드 시트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차일드 시트 본체를 지지하는 서포트 레그(support leg)를 갖는 차일드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서포트 레그는, 수납에 필요해지는 스페이스를 작게 하기 위해, 요동(搖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서포트 레그는, 외통(外筒)과 내통(內筒)을 갖고,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즈음,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아지고 있다. JP2003-267099A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서포트 레그를 요동 불가능하고 또한 신축 불가능하게 구성하면, 서포트 레그의 유격이 전체적으로 저감되어, 차일드 시트를 더 안정되게 차량용 시트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차량의 종류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포트 레그는, 현실적으로는, 신축 가능하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 한편, 서포트 레그를 신축 가능하게 유지하면서 요동 불가능하게 구성했을 경우, 신축 가능한 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외통과 내통의 연결점에 외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외통과 내통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JP2003-267099A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는, 내통의 통면을 통과해서 내통 내부까지 연장되는 나사에 의해, 내통이 외통에 대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내통을 외통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지만, 고정 작업이 번잡하다.
그래서, JP2003-267099A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나사를 단순한 핀으로 치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내통을 외통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다. 그리고, 핀을 유지하는 하우징 등에 큰 힘이 가해졌을 경우, 하우징 등이 변형해서, 핀이 내통으로부터 빠지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핀이 내통의 내부까지 들어가는 것뿐만 아니라, 핀이 내통을 관통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내통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관통 홀의 양쪽을 핀이 통과하도록 해야만 하기 때문에, 고정 작업이 번잡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기도 하며, 사용 편이성이 양호한 동시에 우수한 강성을 가진 서포트 레그, 및, 이 서포트 레그를 가진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JP2002-301965A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JP2002-301965A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와는 다른 구성에 의해, 시트 본체가 의도치 않게 회전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 편이성이 양호한 동시에 우수한 강성을 가진 서포트 레그, 및, 이 서포트 레그를 가진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차일드 시트는, 차량용 시트에 부착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 상에 지지된 시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본체의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에는, 상기 시트 본체가 서로 다른 경사 각도로 지지되는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와,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받침대 상에서 회전 가능해지는 회전 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시트 본체는, 상기 받침대를 향해서 돌출하는 진퇴(進退) 가능한 돌출 부재와, 상기 돌출 부재에 연결되어, 조작됨으로써 상기 돌출 부재의 돌출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작 부재를 갖고, 상기 돌출 부재가 상기 받침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및 상기 회전 위치의 각각에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부재의 상기 받침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트 본체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상기 조작 부재의 제 1 조작량은, 상기 돌출 부재의 상기 받침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중 하나로부터 상기 회전 위치로 상기 시트 본체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상기 조작 부재의 제 2 조작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차일드 시트에 따르면, 시트 본체가 의도치 않게 회전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하는 복수의 로크 홀이며,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시트 본체가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의 각각에 유지되게 되는 복수의 로크 홀과,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하는 회전 위치 로크 홀이며,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회전 위치에 유지되게 되는 회전 위치 로크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로크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받침대의 면과, 상기 회전 위치 로크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받침대의 면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크 홀은, 상기 회전 위치 로크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받침대의 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저면(底面)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는,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량이 상기 제 1 조작량 이상 상기 제 2 조작량 미만으로 되도록 상기 조작 부재에 접촉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량이 상기 제 2 조작량 이상으로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접촉 규제 부재와, 상기 접촉 규제 부재에 연결되어, 조작됨으로써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규제 해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조작량 조절 기구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이동 경로와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한 조작 레버로서 구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이동 경로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에 따라 상기 이동 경로에 접리(接離) 가능한 벽부(壁部)를 갖고, 상기 벽부의 상기 제 1 위치에 대면하는 부분은, 상기 벽부의 상기 제 2 위치에 대면하는 부분보다, 상기 이동 경로측으로 돌출해 있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규제 해제 조작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의 요동축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한 규제 해제 조작 레버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규제 해제 조작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조작량 조절 기구는,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요동 가능한 유지 레버를 더 갖고, 상기 유지 레버는,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향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이동 경로 밖으로 요동되기까지 상기 접촉 규제 부재를 상기 제 2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돌출 부재가 상기 받침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조작량만큼 이동한 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조작량만큼 이동한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유지 레버에 접촉하는 해방부를 갖고, 상기 유지 레버는,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해방부에 가압되어서,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2 위치로의 유지를 해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돌출 부재가 상기 받침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회전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중간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중간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하는 복수의 로크 홀이며,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시트 본체가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의 각각에 유지되게 되는 복수의 로크 홀과,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하는 회전 위치 로크 홀이며,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회전 위치에 유지되게 되는 회전 위치 로크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위치 로크 홀은, 상기 돌출 부재가 접촉하게 되는 바닥을 가진 바닥 구비 홀(有底孔)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방향을 포함하는 면과, 상기 규제 해제 조작 부재의 조작 방향을 포함하는 면이 직교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링크 기구를 통해서 상기 돌출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돌출 부재의 인입량이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량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차일드 시트는, 차량의 시트에 부착되는 차일드 시트 본체와,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서포트 레그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레그는,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에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해서 상기 끼워맞춤부에 고정된 다리부(脚部)를 갖고, 상기 다리부는, 제 1 통 형상 부재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제 2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대하여 고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갖고,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이,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은,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롯으로서 형성되고,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이며, 상기 복수 쌍의 구멍 중 어느 한 쌍의 구멍을 통과해서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관통 가능한 관통 핀을 포함한 슬라이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차일드 시트에 따르면, 서포트 레그의 사용 편이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서포트 레그의 유격을 저감해서, 서포트 레그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는, 저판(底板)과, 상기 저판 상에 고정되고, 상기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부는,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가압된 끼워맞춤 돌기이며, 상기 수용 부재 내에 삽입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끼워맞춤 돌기를 갖고, 상기 수용 부재에는, 상기 끼워맞춤부의 상기 끼워맞춤 돌기를 수용하게 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저판은,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관통 홀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된 끼워맞춤 해제부이며, 조작됨으로써 상기 관통 홀 내에 돌출한 상기 끼워맞춤 돌기를 상기 수용 부재 내에 압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끼워맞춤 해제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해제부는, 바깥 윤곽의 일부분에서 상기 저판에 연결되고, 바깥 윤곽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저판으로부터 가장자리가 끊어져 있고, 상기 저판에 대하여 휘어서 상기 끼워맞춤 돌기에 접촉 가능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해제될 수 있게 서로 걸어맞춰지고, 상기 관통 핀이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슬리아더 및 상기 하우징의 한 쪽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에 상기 돌기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및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 핀이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의 일단이 상기 끼워맞춤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의 타단에 상기 위치 결정 기구의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며, 상기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상기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단부가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끼워맞춤부에 대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레그는, 차량의 시트에 부착되는 차일드 시트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를 지지하는 서포트 레그로서,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에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해서 상기 끼워맞춤부에 고정된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는, 제 1 통 형상 부재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제 2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대하여 고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갖고,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이,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은,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롯으로서 형성되고,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이며, 상기 복수 쌍의 구멍 중 어느 한 쌍의 구멍을 통과해서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관통 가능한 관통 핀을 포함한 슬라이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레그에 따르면, 서포트 레그의 사용 편이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서포트 레그의 유격을 저감하여, 서포트 레그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차일드 시트 본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시트 본체가 전향(前向) 상태에 있는 차일드 시트를 나타낸 상면도.
도 3은 차량용 시트에 부착되고 시트 본체가 후향(後向) 상태에 있는 차일드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시트 본체의 리클라이닝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일드 시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후향 상태와 전향 상태 사이에서의 시트 본체의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일드 시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시트 본체와 리클라이닝 베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시트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받침대를 전방에서 나타낸 도면.
도 9는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시트 본체의 좌석부 및 등받이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1은 차일드 시트를 측방에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2는 받침대의 기립부 내에 수용된 링크 구조이며, 접속 핀에 연결된 링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후향 상태에 있는 차일드 시트를, 커버를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커버를 나타낸 상면도.
도 15는 차일드 시트에 부착된 커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도 16은 인상(引上) 기구 및 조작량 조절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인상 기구 및 조작량 조절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인상 기구 및 조작량 조절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6 내지 도 18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인상 기구 및 조작량 조절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조작 부재를 아래측에서 나타낸 도면.
도 21은 인상 기구 및 조작량 조절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2는 도 21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인상 기구 및 조작량 조절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3은 도 21 및 도 22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인상 기구 및 조작량 조절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4는 차일드 시트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25는 서포트 레그(support leg)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서포트 레그가 부착된 차일드 시트를 아래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서포트 레그와 받침대의 연결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8은 서포트 레그의 다리부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29는 도 28의 A-A 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0은 도 29의 B-B 선에 따른 단면을, 일부의 구성 부재를 생략하고 나타낸 도면.
도 31은 도 28의 C-C 선에 따른 단면을, 일부의 구성 부재를 생략하고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차일드 카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내지 도 5 등에는, 차일드 시트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10)는, 차량(예를 들면 자동차)의 시트(1)에 부착되는 받침대(50)와, 받침대(50) 상에 지지된 리클라이닝 베이스(80)와, 리클라이닝 베이스(80)와 함께 받침대(50) 상에 지지된 시트 본체(20)를 차일드 시트 본체(11)로서 갖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는, 차일드 시트 본체(11)의 받침대(5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서포트 레그(100)를 더 갖고 있다. 서포트 레그(100)는, 차량용 시트(1)를 지지하는 차량의 바닥면(3)까지 연장되어, 차일드 시트 본체(11)(받침대(50))의 전방 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받침대(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의 좌석부(1a) 상에 탑재되게 되는 베이스부(51)와, 베이스부(51)로부터 기립하는 동시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의 등부(1b)에 대면하게 되는 기립부(52)를 갖고 있다. 이 중, 베이스부(51)는, 전방 면(51a), 측면(옆면)(51b) 및 저면(51c)을 포함하고 있다(도 1 등 참조). 한편, 시트 본체(20)는, 받침대(50)의 베이스부(5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베이스부(51) 상에 지지된 좌석부(21)와, 좌석부(21)로부터 연장 돌출된 등받이부(22)를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베이스(80)는, 연직면에 따른 방향(sd)을 따라,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시트 본체(20)는, 리클라이닝 베이스(80)와 함께, 연직면에 따른 방향(sd)을 따라,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 본체(20)를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의 받침대(50)에 대한 경사 각도가 변화되게 된다. 즉, 전방을 향하게 해서 유유아가 앉아 있는 시트 본체(20)를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20)는, 리클라이닝 베이스(80) 및 받침대(50)에 대하여, 연직면에 따른 회전축(rd)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본체(20)를 받침대(50)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유아를 후방을 향하게 해서 당해 유유아를 차일드 시트(10)에 태울(앉힘 또는 재움)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 시트 본체(20)의 이 상태를, 시트 본체의 「후향 상태」라고도 부르며, 도 5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시트 본체(20)의 상태를, 시트 본체의 「전향 상태」라고도 부른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에 대한 「전」 및 「후」의 용어는, 특별하게 지시가 없을 경우, 차량의 통상의 주행을 기준으로 한 「전」 및 「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도 2 및 도 3 참조).
이하에 있어서는, 우선, 차일드 시트 본체(11)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설명하고, 그 후 차일드 시트(10)의 각 부분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차일드 시트 본체의 전체적인 설명〕
우선, 차일드 시트(10)(차일드 시트 본체(11))의 시트 본체(20)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상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20)는 좌석부(21) 및 등받이부(22)를 갖고 있고, 좌석부(21) 및 등받이부(22)는 프레임재와 프레임재 상에 부착된 쿠션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20)는, 좌석부(21)의 하부에 설치된 원반(24)과, 원반(24)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가이드편(25)을 더 갖고 있다. 원반(24)은, 대략 원주 형상으로 연장되는 레일(24a)을 갖고 있다. 레일(24a)에는, 시트 본체(20)에 착석한 유유아를 기준으로 해서 후방측에 노치(24b)가 설치되어 있다. 즉, 레일(24a)은 당해 후방측에 있어서 도중에 끊어져 있다. 가이드편(25)은, 시트 본체(20)에 착석한 유유아를 기준으로 해서,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평탄 측면(25a)과, 한 쌍의 평탄 측면(25a)의 전측 및 후측을 각각 접속하는 원호 형상 측면(25b)을 갖고 있다. 원호 형상 측면(25b)은, 원통 표면의 일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가이드편(25)의 횡단면에 있어서 원호 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이나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22)에는, 시트 본체(20)에 착석한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접속 가이드(27)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가이드(27)는, 시트 본체(20)의 슬라이딩시에 있어서의 당해 접속 가이드(27)의 이동 경로(sd)(도 4 참조)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등받이부(22)로부터 돌출되는 기단부(27a)와, 기단부(27a)로부터 굴곡하고 더 연장 돌출되는 굴곡부(27b)를 갖고 있다. 즉, 접속 가이드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속 가이드(27)의 기단부(27a)가 연장 돌출되는 방향과, 접속 가이드(27)의 굴곡부(27b)가 연장 돌출되는 방향은, 접속 가이드(27)의 이동 경로(sd)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직교하고 있다. 이 접속 가이드(27)는, 시트 본체(20)가 슬라이딩하고 있을 때에, 받침대(50)의 기립부(52)에 형성된 홈(53) 내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27a)에는, 접속 가이드(27)의 이동 경로(sd)를 따라 연장되는 슬릿(가늘고 긴 관통 홀)(27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50)에 형성되는 홈(53)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22)에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설치된 횡 방향 일측의 접속 가이드(27) 및 횡 방향 타측의 접속 가이드(27)가 설치되어 있다. 일측의 접속 가이드(예를 들면, 도 2의 지면(紙面)에 있어서의 우측의 접속 가이드)(27)의 굴곡부(27b)는, 기단부(27a)로부터 횡 방향의 일측(예를 들면, 도 2의 지면에 있어서의 우측)을 향해 굴곡되고, 타측의 접속 가이드(27)의 굴곡부(27b)는, 기단부(27a)로부터 횡 방향의 타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접속 가이드(27)의 굴곡부(27b)는, 횡 방향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기단부(27a)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시트 본체(20)는, 시트 본체(20)를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 및 회전시킬 때에 이용되게 되는 인상 기구(30) 및 조작량 조절 기구(40)를 내장하고 있다. 인상 기구(3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편(25)의 저면(25c)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부재(32)와, 돌출 부재(32)에 연결된 조작 부재(31)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31)는 요동 가능한 조작 레버로서 형성되고, 돌출 부재(32)는 가이드편(25)으로부터 진퇴(進退) 가능한 핀(로크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조작 레버)(31)를 조작함으로써, 가이드편(25)의 저면(25c)으로부터의 돌출 부재(32)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31)가 링크 기구를 통해 돌출 부재(32)에 연결되어, 돌출 부재(32)의 인입량이 조작 부재(31)의 조작량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량 조절 기구(40)는,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에 접촉해서 조작 부재(31)의 조작량(이동량, 요동량)을 규제하기 위한 기구이다. 또한, 인상 기구(30) 및 조작량 조절 기구(40)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으로, 리클라이닝 베이스(8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리클라이닝 베이스(80)는, 도 10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20)의 원반(24)의 주위에 장착되어, 시트 본체(20)의 원반(24) 및 가이드편(25)의 주위에 배치된다. 또한, 리클라이닝 베이스(80)는, 받침대(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결과,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20)는, 리클라이닝 베이스(80)와 함께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또한 도 6,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베이스(80)는, 원반(24)의 레일(24a)과 결합하는 플랜지부(81)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81)가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반(24)의 레일(24a)이 리클라이닝 베이스(80)의 플랜지부(81)에 안내됨으로써, 원반(24)을 포함하는 시트 본체(20)가, 리클라이닝 베이스(8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이 결과, 시트 본체(20)는, 리클라이닝 베이스(80)가 부착된 받침대(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도 6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81)는, 후방에 노치(8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20)가 전향 상태에 있을 경우, 플랜지부(81)의 노치(81a)와, 원반(24)의 레일(24a)의 노치(24b)는 대면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베이스(80)는, 받침대(50)를 향하는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스커트부(82)를 갖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커트부(82)는, 리클라이닝 베이스(80)가 받침대(50)에 부착되었을 때에, 받침대(50)의 베이스부(51)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받침대(50)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는, 허리 벨트(6a) 및 어깨 벨트(6b)를 가진 차량의 안전 벨트(5)를 이용하여, 차량용 시트(1)에 대하여 부착되게 된다. 이 때문에, 받침대(50)의 기립부(52)에는, 안전 벨트(5)의 어깨 벨트(6b)를 끼워두기 위한 로크 오프 디바이스(79)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오프 디바이스(79)는 횡 방향으로 이간해서 두 개 설치되어 있고, 어깨 벨트(6b)의 두 가지의 경사 방향에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로크 오프 디바이스(79)에 끼워둔 어깨 벨트(6b)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의 기립부(52)를 경사져서 가로지르게 된다. 또한, 받침대(50)는, 허리 벨트(6a)를 안내하는 허리 벨트 가이드부(70)도 갖고 있다. 이 허리 벨트 가이드(70)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의 베이스부(51)에는, 폭 방향(횡 방향)의 중앙에,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 홈(55)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55)은, 서로 평행한 측벽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리클라이닝 안내부(55a)와, 리클라이닝 안내부(55a)의 후방측 단부(端部)에 설치되고 원통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회전 안내부(55b)를 포함하고 있다. 리클라이닝 안내부(55a)는, 시트 본체(20)의 가이드편(25)의 평탄 측면(25a)과 결합하고, 시트 본체(20)가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그 한 쌍의 측벽간의 폭이 결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안내부(55b)는, 시트 본체(20)의 가이드편(25)의 원호 형상 측면(25b)에 걸어맞춰지고, 시트 본체(20)가 받침대(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지도록, 그 원통 형상 오목부의 직경이 결정되어 있다. 즉, 시트 본체(20)의 받침대(50)에 대한 회전 축선(rd)은, 회전 안내부(55b)에 의해 획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전향 상태의 시트 본체(20)의 가이드편(25)이 안내 홈(55) 내를 이동함으로써, 시트 본체(20)가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 본체(20)의 가이드편(25)이 안내 홈(55)의 회전 안내부(55b) 내에 위치할 때, 시트 본체(20)가 받침대(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 본체(20)가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 또는 회전할 때, 시트 본체(20)의 가이드편(25)의 저면(25c)이, 안내 홈(55)의 저면(55c) 상을 미끄러진다. 또한, 마찬가지로, 리클라이닝 베이스(80)가 시트 본체(20)와 함께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때, 리클라이닝 베이스(80)의 스커트부(82)의 적어도 일 부분이 안내 홈(55) 내를 이동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홈(55)의 리클라이닝 안내부(55a)에는, 상술한 시트 본체(20)의 한 쌍의 돌출 부재(32)를 수용하는 좌우 한 쌍의 로크 홀(56a)이, 전후 방향으로 복수 쌍(도면에 있어서는 3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안내부(55b)에는, 한 쌍의 돌출 부재(32)를 수용하는 좌우 한 쌍의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이,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로크 홀(56a)의 간격과 좌우 한 쌍의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의 간격은 동일하지만, 폭 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전후 방향 축선(cd)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치수만큼 오프셋되어 있다. 즉, 전후 방향 축선(cd)과 좌측의 로크 홀(56a)의 간격은, 전후 방향 축선(cd)과 우측의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l1)으로 되게 하고 있다. 또한 전후 방향 축선(cd)과 우측의 로크 홀(56a)의 간격은, 전후 방향 축선(cd)과 좌측의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l2)으로 되어 있다.
로크 홀(56a) 및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의 오프셋에 대응해서, 상술한 시트 본체(20)의 한 쌍의 돌출 부재(32)도, 받침대(50) 상에 지지되었을 경우에, 전후 방향 축선(cd)에 대하여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시트 본체(20)는, 그 한 쌍의 돌출 부재(32)가 로크 홀(56a) 내에 걸어맞춰져서, 전향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시트 본체(20)는, 그 한 쌍의 돌출 부재(32)가 회전 위치 로크 홀(56a) 내에 걸어맞춰져서,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 반전된 상태(후향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본체(20)의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에는, 시트 본체(20)가 서로 다른 경사 각도로 유지되는 세 개의 리클라이닝 위치와, 시트 본체(20)가 받침대(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지는 회전 위치가 포함되게 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로크 홀(56a)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50)의 안내 홈(55) 내의 면(57a)과,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50)의 안내 홈(55) 내의 면(55c)과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55) 내에 있어서 리클라이닝 안내부(55a)의 저면과 회전 안내부(55b)의 저면은, 동일한 연속한 면(55c)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동일한 연속한 면(55c)에 오목부(57)가 형성되고, 오목부(57)의 저면(57a)에 각 로크 홀(56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로크 홀(56a)이 형성되어 있는 면(57a)과,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이 형성되어 있는 면(55c) 사이에는, 오목부(57)의 높이와 동일한 만큼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의 기립부(12)의 하부에는, 시트 본체(20)의 가이드편(25)이 회전 안내부(55b) 상에 이동했을 때에, 리클라이닝 베이스(80)의 플랜지부(82)와 대략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되게 되는 회전 가이드(58)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위치에 있는 시트 본체(20)가 회전할 때에, 시트 본체(20)의 원반(24) 상에 형성된 레일(24a)이, 리클라이닝 베이스(80)의 플랜지부(82)뿐만 아니라 회전 가이드(58)에 의해서도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 결과, 회전 위치에 있어서 시트 본체(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50)의 기립부(52)에는, 시트 본체(20)에 설치된 접속 가이드(27)를 수용하는 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 본체(20)에는, 횡 방향으로 이간해서 일측의 접속 가이드(예를 들면, 도 2의 지면에 있어서의 우측의 접속 가이드)(27) 및 타측의 접속 가이드(2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의 접속 가이드(27)와 걸어맞춰지는 일측의 홈(예를 들면, 도 2의 지면에 있어서의 우측의 홈)(53)과, 타측의 접속 가이드(27)와 걸어맞춰지는 타측의 홈(53)이 횡 방향으로 이간해서 기립부(52)에 형성되어 있다. 도 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홈(53)은, 그 길이 방향(접속 가이드(27)의 이동 경로(sd)에 따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접속 가이드(27)의 형상에 대응해서 굴곡해서 연장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립부(52)의 상방을 향한 단면(상단면)(52a)에 있어서, 기단부(27a)를 수용하는 홈(53)의 부분 및 굴곡부(27b)를 수용하는 홈(53)의 부분의 양쪽이 개구되어 있다. 이 결과,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의 홈(53) 내를 통과하는 시트 본체(20)의 접속 가이드(27)의 상방의 일 부분이, 기립부(52)의 상방 단부면(52a)에 있어서의 개구 부분을 통과하고, 홈(53)의 외부로 연장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20)를 회전 위치까지 슬라이딩시켰을 경우, 시트 본체(20)의 접속 가이드(27)는 홈(53)의 바깥쪽으로 빼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가이드(27)와 홈(5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시트 본체(20)를 받침대(50)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기립부(52)의 전방을 향한 면(전면)(52b)에 있어서도, 홈(53)의 전체 부분이 개구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가이드(27)는, 그 양단 부분에 있어서, 홈(53)의 외부로 연장 돌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8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홈(53) 내에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 핀(6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접속 핀(60)은, 홈(53) 내를 통과하는 접속 가이드(27)의 기단부(27a)에 형성된 슬릿(27c)을 관통하게 된다. 또한, 접속 핀(60)은, 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접속 가이드(27)의 기단부(27a)에 형성된 슬릿(27c)을 관통하는 위치, 및 기립부(52) 내에 인입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캠(61)이, 회전 안내부(55b)보다 더 후방의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안내 홈(55) 내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캠(62)이, 리클라이닝 안내부(55a)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안내 홈(55) 내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캠(61) 및 제 2 캠(62)은, 한 쪽의 캠이 기립하여 안내 홈(55) 상에 선단이 돌출해 있을 경우에는, 다른 쪽의 캠이 안내 홈(55)으로부터 인입된 상태가 되도록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캠(61)은, 또한, 링크를 통해 받침대(50) 내에 설치된 벨 크랭크(63)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캠(61)은, 인장 스프링(64)에 의해, 안내 홈(55) 내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제 1 캠(61)은, 시트 본체(20)의 가이드편(25)이 회전 안내부(55b) 내 로 이동할 때에, 리클라이닝 베이스(80)의 스커트부(82)에 의해 가압되어, 안내 홈(55) 내에 압입된다. 한편, 제 2 캠(62)은, 시트 본체(20)의 가이드편(25)이 리클라이닝 안내부(55a)로 이동할 때에, 리클라이닝 베이스(80)의 스커트부(82)에 의해 가압되어, 안내 홈(55) 내에 압입되게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의 기립부(12) 내에는, 2개의 아암부를 가진 조작 아암(65)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아암부에는 슬롯(65a, 65b)이 형성되어 있다. 한 쪽의 슬롯(65a)은, 링크를 통해 벨 크랭크(63)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슬롯(65b)은 접속 핀(6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조작 아암(65)은, 벨 크랭크(63)가 요동해서 링크를 끌어내렸을 경우에 회동하여, 접속 핀(60)을 받침대(50)의 기립부(52) 내에 인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50)에는 착탈 가능하게 서포트 레그(100)가 부착된다. 받침대(50)의 서포트 레그(100)에 관련되는 구성 등에 대해서는, 서포트 레그(100)와 함께 후에 상술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차일드 시트(10)(차일드 시트 본체(11))에 있어서는, 돌출 부재(로크 핀)(32)를 받침대(50)의 로크 홀(56a) 내로부터 인상함으로써, 시트 본체(20)를 하나의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다른 리클라이닝 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 때, 인장 스프링(64)에 의한 가압에 의해, 접속 핀(60)은 링크 기구를 통해 홈(53) 내로 연장 돌출되어, 홈(53) 내를 통과하는 접속 가이드(27)의 슬릿(27c)을 관통하고 있다. 이 결과, 시트 본체(20)의 가이드편(25)이 받침대(50)의 안내 홈(55)에 유도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20)의 접속 가이드(27)가 받침대(50)의 홈(53) 및 접속 핀에 유도되기 때문에, 시트 본체(20)를 받침대(50)에 대하여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 가이드(27)는, 기단부(27a)뿐만 아니라, 기단부(27a)로부터 굴곡해서 연장 돌출되는 굴곡부(27b)를 갖고 있고, 접속 가이드(27)는 홈(53) 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20)의 받침대(50)에 대한 슬라이딩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또한 안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받침대(50)에 대한 시트 본체(20)의 등받이부(22)의 경사 각도를 안정하게 또한 원활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돌출 부재(로크 핀)(32)를 받침대(50)의 로크 홀(56a) 내로부터 인상하고,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킬 경우, 시트 본체(20)와 함께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리클라이닝 베이스(80)의 스커트부(82)가, 안내 홈(55) 내로 돌출되는 제 1 캠(61)에 접촉해서 가압하게 된다. 이 결과, 시트 본체(20)가 회전 위치에 도달할 때에는, 제 1 캠(61)의 요동 동작이, 벨 크랭크(63), 조작 아암(65) 및 링크를 통해 접속 핀(60)에 전달되고, 접속 핀(60)이 받침대(50)의 기립부(52) 내에 인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20)의 회전 위치로의 이동과 연동해서, 접속 가이드(27)가, 도 5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홈(53)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해진다. 회전 위치까지 이동한 시트 본체(20)는, 접속 가이드(27)가 이제는 홈(53) 내에 구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회전 축선(rd)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쌍의 로크 홀(56a), 회전 위치 로크 홀(56b) 및 돌출 부재(32)는, 횡 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전후 방향 축선(cd)에 관해 오프셋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위치까지 슬라이딩한 시트 본체(20)는 반전해서 후향 상태로 될 때까지, 돌출 부재(32)가 회전 위치 로크 홀(56b) 내에 들어가지 않는다. 이 때문에, 회전 위치까지 슬라이딩한 시트 본체(20)를 후향 상태로 될 때까지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 부재(로크 핀)(32)를 받침대(50)의 로크 홀(56a) 내로부터 인상해서, 후향 상태에 있는 시트 본체(20)를 반전시키고, 또한 리클라이닝 위치까지 이동시킬 경우, 접속 가이드(27)는, 기립부(52)의 상방을 향한 단부면(52a)으로부터, 다시, 홈(53) 내로 들어간다. 접속 가이드(27)는 기단부(27a)뿐만 아니라 기단부(27a)로부터 굴곡해서 연장 돌출하는 굴곡부(27b)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접속 가이드(27)는 홈(53)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유도되게 된다. 이 때, 인장 스프링(64)에 의한 가압에 의해, 제 1 캠(61)이 안내 홈(55) 내로 돌출되게 되는 동시에, 접속 핀(60)이 홈(53) 내로 돌출되게 된다. 굴곡부(27b)를 갖는 접속 가이드(27)는 홈(53)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접속 핀(60)은 원활하게 접속 가이드(27)의 슬릿(27c)을 관통하게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0)(차일드 시트 본체(11))는 기립부(52)에 착탈 가능한 커버(85)를 더 갖고 있다. 이 커버(85)는, 시트 본체(20)의 받침대(50) 상에서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등받이부(22)의 이동에 의해 노출된 기립부(52)를 덮는다. 즉, 커버(85)는, 후향 상태에 있는 차일드 시트(10)(차일드 시트 본체(11))의 기립부(52)에 부착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85)의 이면의 각 단부에는, 부착 유닛(86a, 86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부착 유닛(86a, 86b)에 대응하는 부착 유닛(도시 생략)이, 받침대(50)의 기립부(52)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부착 유닛(86a, 86b)을 통해, 커버(85)가 착탈 가능하게 기립부(52)에 부착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85)는, 기립부(52)의 상방을 향한 단부면(52a)과, 기립부(52)의 전방을 향한 면(52b)을 덮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립부(52)의 상방 단부면(52a)에는, 홈(53)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기립부(52)의 전방 면(52b)에는, 홈(53)의 타단이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로크 오프 디바이스(79)가 설치되고, 또한, 로크 오프 디바이스(79)에 끼워둔 안전 벨트(5)의 어깨 벨트(6b)가 경사져서 가로지르고 있다. 그리고, 커버(85)는, 홈(53), 로크 오프 디바이스(79) 및 어깨 벨트(6b)를 덮는다. 즉, 후향 상태에 있는 차일드 시트(10) 상에 태워진 유유아에 대면하는 위치에, 홈(53), 로크 오프 디바이스(79) 및 어깨 벨트(6b)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85)에 의하면, 개구된 홈(53), 로크 오프 디바이스(79), 어깨 벨트(6b) 등에 물건 등이 걸리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장(意匠)적으로도 우수하고, 또한 차일드 시트(10)를 사용할 때의 안도감도 증대시킨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85)는, 기립부(52)에 부착되었을 때에 노출되는 표면측의 영역이고, 또한 기립부(52)에 부착되었을 때에 단부면(52a) 상에 위치되게 되는 영역에, 횡 방향으로 이간해서 설치된 일측의 시트 형상 부재(87) 및 타측의 시트 형상 부재(87)를 갖고 있다. 일측의 시트 형상 부재(예를 들면, 도 14의 지면에 있어서의 우측의 시트 형상 부재)(87)는, 장방(長方) 형상의 윤곽을 갖고, 횡 방향 일측(예를 들면, 우측) 이외의 세 개의 가장좌석부(예를 들면, 상측 가장좌석부, 하측 가장좌석부 및 좌측 가장좌석부)를 본체 부분에 꿰매 붙이고 있다. 타측의 시트 형상 부재(87)는, 마찬가지로 장방 형상의 윤곽을 갖고, 횡 방향 타측 이외의 세 개의 가장좌석부를 본체 부분에 꿰매 붙이고 있다. 이 결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의 시트 형상 부재(87)는 횡 방향 일측으로 개구되는 동시에, 타측의 시트 형상 부재(87)는 횡 방향 타측으로 개구되게 된다.
이러한 시트 형상 부재(87)는, 커버(85)의 취출 망각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85)를 제거하지 않고 시트 본체(20)를 후향 상태에서 전향 상태를 향해 회전시켰을 경우, 타측의 접속 가이드(27)가 일측의 시트 형상 부재(87)의 개구된 부분(87a)에 걸리거나, 혹은 일측의 접속 가이드(27)가 타측의 시트 형상 부재(87)의 개구된 부분(87a)에 걸리게 된다. 또한, 시트 형상 부재(87)의 이 기능은, 시트 형상 부재(87)가 두꺼운 직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형상 부재(87)를 가진 커버(85)에 의하면, 커버(85)를 기립부(52)에 붙인 상태에서 시트 본체(20)를 슬라이딩시키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트 본체(20)의 파손, 특히 접속 가이드(27)나 쿠션재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인상 기구 및 조작량 조절 기구〕
다음으로, 인상 기구(30), 조작량 조절 기구(40), 및 이들 기구에 관련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더 상술한다.
인상 기구(30)는 돌출 부재(로크 핀)(32)를 인상하기 위한 기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상 기구(30)는, 가이드편(25)의 저면(25c)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부재(로크 핀, 핀)(32)와, 돌출 부재(32)에 연결된 조작 부재(조작 레버)(31)를 갖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31)는, 원반(24)에 부착된 지지대(33)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작 부재(31)의 요동 축선(d1)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편(25)의 내부에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선(d2)(도 16 내지 도 19 참조)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한 리클라이닝 캠(34)이 설치되어 있다. 리클라이닝 캠(34)은, 링크재(35)를 통해 조작 부재(31)에 연결되어, 조작 부재(31)의 요동에 연동해서 요동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편(25)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부재(32)는, 상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리클라이닝 캠(34)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캠(34)의 슬롯 내에 돌출 부재(32)는 지지되고, 이에 따라 돌출 부재(32)는 가이드편(25)의 저면(25c)을, 일정한 위치에 있어서, 관통하게 되어 있다. 또한, 리클라이닝 캠(34)과 원반(24)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36)이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리클라이닝 캠(34)이 받침대(50)를 향해 요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즉, 돌출 부재(32)는 가이드편(25)으로부터 받침대(50)를 향해 가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조작 부재(31)가 링크 기구를 통해 돌출 부재(32)에 연결되어, 돌출 부재(32)의 인입량이 조작 부재(31)의 조작량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 부재(32)가 로크 홀(56a)과 걸어맞춰졌을 경우에, 시트 본체(20)는 리클라이닝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돌출 부재(32)가 회전 위치 로크 홀(56b)과 걸어맞춰졌을 경우에, 시트 본체(20)는 회전 위치에 있어서 후향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안내 홈(55)의 저면(55c)에는 오목부(57)가 형성되어 있고, 로크 홀(56a)은 오목부(57)의 저면(57a)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은 안내 홈(55)의 저면(55c)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 부재(32)의 받침대(50)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해서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사이에서 시트 본체(2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돌출 부재(32)의 인상량, 바꿔 말하면, 로크 홀(56a) 내에 위치하는 돌출 부재(32)를 오목부(57)의 저면(57a)까지 인상하는 양은, 돌출 부재(32)의 받침대(50)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해서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의 하나로부터 회전 위치로 시트 본체(2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돌출 부재(32)의 인상량, 바꿔 말하면, 로크 홀(56a) 내에 위치하는 돌출 부재(32)를 안내 홈(55)의 저면(55c)까지 인상하는 양보다 작다. 즉, 돌출 부재(32)의 받침대(50)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해서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사이에서 시트 본체(2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조작 부재(31)의 제 1 조작량은, 돌출 부재(32)의 받침대(50)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의 하나로부터 회전 위치로 시트 본체(2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조작 부재(31)의 제 2 조작량보다 작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작량 조절 기구(40)의 구성에 대해서 상술한다. 또한, 조작량 조절 기구(40)는,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에 접촉해서 조작 부재(31)의 조작량(이동량, 요동량)을 규제하기 위한 기구이다.
조작량 조절 기구(40)는,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에 접촉 가능한 접촉 규제 부재(42)와, 접촉 규제 부재(42)에 연결되고, 조작됨으로써 접촉 규제 부재(42)를 이동시키는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갖고 있다. 접촉 규제 부재(42)는,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의 조작량이 상기 제 1 조작량 이상 상기 제 2 조작량 미만으로 되도록 조작 부재(31)에 접촉해서 조작 부재(31)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위치(pa1)(도 21 참조)와, 조작 부재(31)의 조작량이 상기 제 2 조작량 이상으로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위치(pa2)(도 22 참조)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는, 조작됨으로써 접촉 규제 부재(42)의 제 1 위치(pa1)로부터 제 2 위치(pa2)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는,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의 요동 축선(d1)과 직교하는 요동 축선(d3)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한 조작 레버로서 구성되어 있다.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에는 슬롯(4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촉 규제 부재(42)는 가늘고 긴 봉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고,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의 슬롯(41a)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33)에는, 조작 기구(30)의 조작 부재(31)의 요동 축선(d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롯(33a)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 규제 부재(42)는 지지대(33)의 슬롯(33a)도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 규제 부재(42)는, 지지대(33)의 슬롯(33a)에 따른 직선 형상의 이동 경로(mr)(도 20 및 도 21 참조)를 이동하게 된다. 또한,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요동시키면,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의 요동 축선(d3)을 따라 관찰할 경우에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의 슬롯(41a)과 지지대(33)의 슬롯(33a)이 교차하게 되는 위치에, 접촉 규제 부재(42)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는, 토션(torsion) 스프링(도시 생략) 등에 의해, 도 22에 나타낸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2 위치(pa2)에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도 21에 나타낸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1 위치(pa1)에 배치되는 위치를 향해 가압되어 있다.
그런데,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는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의 근방에 배치되고, 접촉 규제 부재(42)는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에 상방으로부터 덮이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는, 상기 이동 경로(mr)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조작 부재(31)의 요동에 따라 이동 경로(mr)에 접리(接離) 가능한 벽부(37)를 갖고 있다. 도 20에는, 돌출 부재(32)가 로크 홀(56a)에 인입되어 있을 경우(조작 부재(31)가 초기 위치에 있을 경우)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31)가 하방으로부터 나타나 있고, 도 21에는, 접촉 규제 부재(42)에 대면하는 조작 부재(31)의 벽부(37)의 윤곽이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동 경로(mr) 상의 제 1 위치(pa1)에 대면하는 벽부(37)의 부분(이하에 있어서, 제 1 스토퍼부라고도 부름)(37a)은, 이동 경로(mr) 상의 제 2 위치(pa2)에 대면하는 벽부(37)의 부분(이하에 있어서, 제 2 스토퍼부라고도 부름)(37b)보다, 이동 경로(mr)에 접근하여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1 위치(pa1)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도 16에 나타낸 인상 기구(30)의 돌출 부재(32)가 어느 하나의 로크 홀(56a)과 걸어맞춰져 있는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31)의 벽부(37)의 제 1 스토퍼부(37a)와 접촉 규제 부재(42)가 접촉할 때까지, 조작 부재(31)를 요동시킬 수 있다. 벽부(37)의 제 1 스토퍼부(37a)와 접촉 규제 부재(42)가 접촉할 때까지 조작 부재(31)를 요동시켰을 경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재(32)는 오목부(57)의 저면(57a)보다 상방까지 인상되게 되지만, 안내 홈(55)의 저면(55b)의 높이까지는 인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1 위치(pa1)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사이에서 시트 본체(2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조작 부재(31)의 제 1 조작량 이상의 조작량(이동량)이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의 하나로부터 회전 위치로 시트 본체(2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조작 부재(31)의 제 2 조작량 미만의 조작량(이동량)으로, 조작 부재(31)를 조작(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2 위치(pa2)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도 16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31)의 벽부(37)의 제 2 스토퍼부(37b)와 접촉 규제 부재(42)가 접촉할 때까지, 조작 부재(31)를 요동시킬 수 있다. 벽부(37)의 제 2 스토퍼부(37b)와 접촉 규제 부재(42)가 접촉할 때까지 조작 부재(31)를 요동시켰을 경우,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재(32)는 안내 홈(55)의 저면(55b)보다 상방까지는 인상되게 된다. 따라서,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2 위치(pa2)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의 하나로부터 회전 위치로 시트 본체(2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조작 부재(31)의 제 2 조작량 이상의 조작량(이동량)으로, 조작 부재(31)를 조작(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량 조절 기구(40)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규제 부재(42)의 제 1 위치(pa1)로부터 제 2 위치(pa2)까지의 이동 경로(mr) 상에 연장 돌출되도록 요동 가능한 유지 레버(43)를 더 갖고 있다. 이 유지 레버(43)는, 접촉 규제 부재(42)의 제 1 위치(pa1)로부터 제 2 위치(pa2)를 향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외력을 받아서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 밖으로 요동될 때까지 접촉 규제 부재(42)를 상기 제 2 위치(pa2)에 유지하는 래칫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유지 레버(43)는,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에 직교하는 동시에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의 요동 축선(d3)과 평행한 회전 축선(d4)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유지 레버(43), 토션 스프링(도시 생략) 등에 의해, 도 21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유지 레버(43)는,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의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가압되어 있다. 또한, 유지 레버(43)는, 접촉 규제 부재(42)의 제 1 위치(pa1)로부터 제 2 위치(pa2)를 향한 이동 경로(mr)에 대하여 작은 각도로 경사진 안내면(43a)과, 접촉 규제 부재(42)의 제 2 위치(pa2)로부터 제 1 위치(pa1)를 향한 이동 경로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서 연장되는 유지면(43b)을 갖고 있다. 따라서,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가 조작되어서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1 위치(pa1)로부터 제 2 위치(pa2)를 향해 이동하면, 유지 레버(43)는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 밖으로 일단 요동한다. 이에 따라,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2 위치(pa2)까지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2 위치(pa2)까지 이동하면, 토션 스프링(도시 생략) 등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유지 레버(43)가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의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이 결과, 유지 레버(43)의 유지면(43b)이, 접촉 규제 부재(42)에 접촉하여,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조작 부재(31)에 대한 가압력에 저항해서,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2 위치(pa2)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유지 레버(43)는, 조작 부재(31)의 이동 경로 내로 연장 돌출되는 돌출부(43c)를 더 갖고 있다. 한편, 조작 부재(31)는, 유지 레버(43)의 돌출부(43c)에 접촉할 수 있는 해방부(38)를 갖고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31)가, 돌출 부재(32)가 로크 홀(56a)에 인입되어 있을 때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도 16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조작량만큼 이동한 위치(제 1 해제 위치)로,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조작량만큼 이동한 위치(제 2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에, 이 조작 부재(31)의 개방부(38)는, 유지 레버(43)의 돌출부(43c)에 접촉한다. 또한, 조작 부재(31)가 요동함으로써,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부(38)가 돌출부(43c)를 가압하고, 유지 레버(43)가 가압력에 저항해서,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 밖까지 요동하게 된다.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 밖까지 요동했을 경우에는, 접촉 규제 부재(42)는 제 2 위치(pa2)로부터 제 1 위치(pa1)를 향해 이동 가능해진다.
그런데,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은 바닥을 가진 바닥 구비 홀(有底孔)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재(32)는, 회전 위치 로크 홀(56b)에 삽입되었을 때에,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의 바닥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로크 홀(56a)은,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의 바닥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바닥을 갖는 바닥 구비 홀(도시하는 예)로서, 혹은, 바닥을 갖지 있지 않는 바닥 비구비 홀(無底孔)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9 및 도 16의 비교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위치 로크 홀(56b)에 삽입된 돌출 부재(32)는, 로크 홀(56a)에 삽입되었을 때의 돌출 부재(32)의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돌출 부재(32)가 회전 위치 로크 홀(56b)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의 바닥으로부터의 밀어올림에 의해, 돌출 부재(32)는 가이드편(25)으로부터 돌출해오지 않고, 조작 부재(31)는 상기 초기 위치(도 16에 나타낸 위치)까지 되돌아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조작 부재(31)는, 돌출 부재(32)가 받침대(50)의 회전 위치 로크 홀(56b)과 걸어맞춰져서 시트 본체(20)가 회전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 2 해제 위치(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위치)와 상기 초기 위치(도 16에 나타낸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조작 부재(31)는, 상기 중간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접촉 규제 부재(42)의 제 1 위치(pa1)와 제 2 위치(pa2) 사이의 이동 경로(mr)의 상방에 위치하고 접촉 규제 부재(42)의 제 1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3 스토퍼부(스토퍼)(37c)를 더 갖고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제 3 스토퍼부(37c)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스토퍼부(37a) 및 제 2 스토퍼부(37b) 사이에 있어서,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경로(mr)를 향해 벽부(37)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31)가 대략 초기 위치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제 3 스토퍼 부재(37c)를 넘어 제 1 위치(pa1)까지 돌아갈 수 없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인상 기구(30) 및 조작량 조절 기구(40)를 이용해서 돌출 부재(로크 핀)(32)를 조작할 때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시트 본체(20)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변경할 경우에 있어서의 인상 기구(30) 및 조작량 조절 기구(40)의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트 본체(20)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변경할 경우, 시트 본체(20)를 하나의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다른 리클라이닝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우선, 초기 위치(도 16에 나타낸 위치)에 있는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조작 레버)(31)를, 요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한껏 움직여, 바꿔 말하면, 제 1 위치(pa1)에 위치하고 있는 조작량 조절 기구(40)의 접촉 규제 부재(42)와 조작 부재(31)의 제 1 스토퍼부(37a)가 접촉해서 조작 부재(31)의 새로운 이동이 규제되는 위치까지, 요동시킨다. 조작 부재(31)의 조작에 따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재(32)의 선단이, 로크 홀(56a)로부터 빠져나가, 오목부(57)의 저면(57a)보다 상방으로 인상된다. 이에 따라, 돌출 부재(32)가 다른 로크 홀(56a)의 상방에 위치할 때까지, 시트 본체(20)를 받침대(5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31)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인장 스프링(36)(도 10 및 도 11 참조)의 가압에 의해, 돌출 부재(32)는 가이드편(25)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다른 로크 홀(56a)에 돌출 부재(32)를 걸어맞춤으로써, 시트 본체(20)를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 본체(20)를 전향 상태에서 후향 상태로 변화시킬 경우에 있어서의 인상 기구(30) 및 조작량 조절 기구(40)의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트 본체(20)를 전향 상태에서 후향 상태로 변화시킬 경우, 시트 본체(20)를 하나의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회전 위치에서 시트 본체를 180°회전(반전)시키게 된다.
우선, 조작량 조절 기구(40)의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요동시켜서, 접촉 규제 부재(42)를 제 1 위치(pa1)로부터 제 2 위치(pa2)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초기 위치에 있는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를, 요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한껏 움직여, 바꿔 말하면, 제 2 위치(pa2)에 위치하고 있는 접촉 규제 부재(42)와 조작 부재(31)의 제 2 스토퍼부(37b)가 접촉해서 조작 부재(31)의 새로운 이동이 규제되는 위치까지, 요동시킨다. 이 조작에 따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재(32)의 선단이 로크 홀(56a)로부터 빠져나가, 안내 홈(55)의 저면(57c)보다 상방으로 인상된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20)의 회전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20)가 회전 위치로 이동할 때, 받침대(50)의 접속 핀(60)이 기립부(52) 내로 인입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20)의 접속 가이드(27)가 받침대(50)의 홈(53)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20)의 받침대(50)에 대한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은 전후 방향 축선(cd)으로부터 오프셋되고, 돌출 부재(32)는, 시트 본체(20)가 반전하기 시작해서,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의 대면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시트 본체(20)가 어느 하나의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해서, 돌출 부재(32)가 안내 홈(55)의 저면(55c)에 대면하게 되면, 사용자는 조작 부재(31)로부터 손을 떼어 놓아도 된다. 시트 본체(20)가 회전 위치에 있어서 후향 상태가 되면, 자동적으로, 돌출 부재(32)가 회전 위치 로크 홀(56b) 내에 인입되어, 시트 본체(20)를 후향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시트 본체(20)의 상태를 전향 상태에서 후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트 본체(20)를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조작 부재(31)의 조작량이, 시트 본체(20)를 하나의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다른 리클라이닝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조작 부재(31)의 조작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시트 본체(20)가 회전 가능해지는 회전 위치로 시트 본체(2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작 부재(31)를 크게 조작해야만 한다. 따라서, 시트 본체(20)를 의도치 않게 회전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로크 홀(56a)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50)의 면(57a)과,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50)의 면(55c)과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간이한 구성에 의해, 리클라이닝 위치간에서 시트 본체(20)를 이동시킬 경우와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로 시트 본체(20)를 이동시킬 경우 사이에서, 필요해지는 돌출 부재(32)의 인상량(인입량), 즉 필요해지는 조작 부재(3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조작량이 달라지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31)에 접촉해서 조작 부재(31)의 이동을 규제하게 되는 위치(pa2)로 이동 가능한 접촉 규제 부재(42)를 갖고, 조작 부재(31)의 조작량이 제 1 조작량 이상 제 2 조작량 미만으로 되게 할 수 있는 조작량 조절 기구(40)가 시트 본체(20)에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량 조절 기구(40)에 의하면, 시트 본체(20)를 의도치 않게 회전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31)는,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와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레버로서 구성되는 동시에, 그 요동에 따라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에 접리 가능한 벽부(37)를 갖고 있고, 또한 당해 벽부(37)는, 접촉 규제 부재(42)의 이동 경로(mr)를 따라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촉 규제 부재(42)를 이동시킨다고 하는 간이한 조작에 의해, 조작 레버(31)가 초기 위치로부터 요동 가능(조작 가능)한 범위를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일단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조작하면, 유지 레버(43)에 의해, 접촉 규제 부재(42)를 제 2 위치(pa)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본체(20)가 의도치 않게 회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시트 본체(20)의 회전 위치로의 조작을 매우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는 조작 부재(3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부재(31) 및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조작하여, 시트 본체(20)를 회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가 조작 부재(3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본체(20)를 회전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자가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조작하는 것을 잊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31)의 조작 방향을 포함하는 면(연직면)과,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의 조작 방향을 포함하는 면(대략 수평 방향)이 직교하고 있으므로, 조작 부재(31)의 조작 방향과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의 조작 방향이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된다. 더 엄밀하게는, 조작 레버(31)의 요동 축선(d1)과 규제 해제 조작 레버(41)의 요동 축선(d3)이 대략 직교하고, 이에 따라 조작 레버(31)의 조작 방향(상 방향)과, 규제 해제 조작 레버(41)의 조작 방향(대략 횡 방향)이 대략 직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 부재(31)를 조작할 때에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실수로 조작하게 되는 것, 혹은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조작할 때에 조작 부재(31)를 실수로 조작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 본체(20)를 후향 상태에서 전향 상태로 변화시킬 경우에 있어서의 인상 기구(30) 및 조작량 조절 기구(40)의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트 본체(20)를 전향 상태에서 후향 상태로 변화시킬 경우, 시트 본체(20)를 회전 위치에 있어서 180°회전(반전)시키고, 또한 회전 위치로부터 하나의 리클라이닝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시트 본체(20)를 하나의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2 위치(pa2)에 있는 상태에서, 조작 부재(31)를 요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한껏 요동시킨다. 이러한 조작에 따라, 조작 부재(31)의 해방부(38)가 유지 레버(43)의 돌출부(해방용 돌기)(43c)를 가압하고, 유지 레버(43)가 접촉 돌출 부재(42)의 이동 경로(mr)의 바깥쪽까지 요동하게 된다. 따라서,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통한 가압력에 의해, 접촉 규제 부재(42)는 제 2 위치(pa2)를 떠나 제 1 위치(pa1)를 향해 이동한다.
단지, 돌출 부재(32)는, 회전 위치 로크 홀(56b)에 삽입되어 있을 때, 회전 위치 로크 홀(56b)의 저면에 접촉하고, 조작 부재(31)는 초기 위치(도 16 참조)까지 복귀하지 않고, 중간 위치(도 19 참조)에 위치하게 된다. 조작 부재(31)가 중간 위치에 있을 경우,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규제 부재(42)가 관통하는 지지대(33)의 슬롯(33a)의 상방에, 제 3 스토퍼부(37c)가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시트 본체(20)가 후향 상태에 있을 경우,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규제 부재(42)는, 제 3 스토퍼부(37c)에 의해, 제 1 위치(pa1)와 제 2 위치(pa2) 사이의 위치(pa3)에 유지되어 있다. 도 23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는,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는, 접촉 규제 부재(42)가 제 2 스토퍼부(37b)에 있어서 벽부(37)와 접촉할 때까지, 요동 가능하다. 따라서, 시트 본체(20)가 후향 상태에 있을 경우, 조작량 조절 기구(40)의 규제 해제 조작 부재(41)를 다시 조작하지 않고, 인상 기구(30)의 조작 부재(31)를 조작함으로써, 돌출 부재(32)를 회전 위치 로크 홀(56b)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20)의 회전 위치에서의 받침대(50)에 대한 회전, 및 받침대(50)에 대한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해서, 시트 본체(20)의 상태를 후향 상태에서 전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20)가 전향 상태로 되고 돌출 부재(32)가 어느 하나의 로크 홀(56a)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31)는 초기 위치까지 되돌아간다. 조작 부재(31)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에 따라,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규제 부재(42)도 제 1 위치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시트 본체(20)를 다시 후향 상태로 변화시킬 경우에는, 조작량 조절 기구(40)를 조작할 필요가 생기고, 이에 따라 우수한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의도하지 않은 시트 본체(20)의 회전 위치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차량용 시트로의 고정〕
다음으로, 차일드 시트(10)(차일드 시트 본체(11))를 차량용 시트(1)에 고정할 때의 작용에 대해서, 관련되는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는, 차량용 시트(1)에 설치된 안전 벨트(5)를 이용해서 받침대(50)를 차량용 시트(1)에 고정함으로써, 차량용 시트(1)에 부착된다. 이 때, 받침대(50)의 베이스부(51)가 차량용 시트(1)의 좌석부(1a) 상에 배치되고, 받침대(50)의 기립부(52)가 차량용 시트(1)의 등부(1b)에 대면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전 벨트(5)는,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어깨 벨트(6b)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허리 벨트(6a)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50)의 기립부(52)에 어깨 벨트(6b)를 끼워두는 로크 오프 디바이스(79)가 설치되어 있고, 어깨 벨트(6b)에 의해 받침대(50)의 기립부(52)가 시트 본체(20)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받침대(50)는, 허리 벨트(6a)를 안내하는 허리 벨트 가이드부(70)도 갖고 있다. 이 허리 벨트 가이드부(70)는, 받침대(50)의 베이스부(51)의 전면(51a) 및 양 측면(51b)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오프 디바이스(79)에 끼워지고 기립부(52)를 경사지게 횡단하는 어깨 벨트(6b)와, 베이스부(51) 상을 연장되는 허리 벨트(6a)의 합류 개소에 있는 가동 버클(6c)을, 차량에 고정된 고정 버클(6d)과 연결함으로써, 차일드 시트(10)를 차량용 시트(1)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 허리 벨트 가이드부(7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 벨트 가이드부(70)는, 베이스부(51)의 전면(51a) 상을 연장되는 전방 가이드부(71)와, 전방 가이드부(71)에 연속해서 베이스부(51)의 측면(51b) 상을 연장되는 측방 가이드부(72)를 갖고, 베이스부(51) 상에 있어서 허리 벨트(6a)를 안내한다. 전방 가이드부(71) 및 측방 가이드부(72)는, 전체적으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가이드부(71) 및 측방 가이드부(72)를 상방으로부터 획정하는 상부 가장자리(UE), 및 전방 가이드부(71) 및 측방 가이드부(72)를 하방으로부터 획정하는 하부 가장자리(LE)는, 대략 단차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이러한 허리 벨트 가이드부(70)에 의하면, 허리 벨트(6a)를 안정하게 대략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받침대(50)의 베이스부(51)를 전면(51a) 및 양 측면(51b)으로부터 허리 벨트(6a)에 의해 둘러쌈으로써, 차일드 시트(10)(차일드 시트 본체(11))를 차량용 시트(1) 상에서, 특히 전후 방향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도 9나 도 2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는, 베이스부(51)의 양 측면(51b)으로부터 각각 횡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한 쌍의 측방 가이드 부재(75)를 더 갖고 있다. 측방 가이드 부재(75)는, 베이스부(51)의 측면(51b)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측방 돌출부(76)와, 측방 돌출부(7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오르는 상방 연장 돌출부(77)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이나 도 2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가이드 부재(75)의 측방 돌출부(76)는, 측방 가이드부(72)를 하방으로부터 획정하는 하부 가장자리(LE)의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측방 가이드 부재(75)의 상방 연장 돌출부(77)는, 측방 가이드부(72)에 배치된 허리 벨트(6a)가 측면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규제하게 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가이드부(72)의 하부 가장자리(LE)는, 측방 돌출부(76)에 의해 획정되는 부분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1) 상에 배치되게 되는 베이스부(51)의 저면(51c)으로의 법선 방향(nd)을 따라, 가장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측방 가이드 부재(75)의 측방 돌출부(76)는, 측방 가이드부(72)의 하부 가장자리(LE) 중 전방 가이드부(71)로부터 가장 이간한 부분, 즉 하부 가장자리(LE)의 가장 후방의 부분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허리 벨트(6a)는, 측방 가이드 부재(75)를 통과해서 고정 버클(6c) 및 가동 버클(6d)의 연결점을 향할 때에, 및 측방 가이드 부재(75)를 통과해서 허리 벨트(6b)의 기점(차량으로의 부착 위치)을 향할 때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된다. 이에 따라, 허리 벨트(6a)는, 받침대(50) 또한 차일드 시트(10)를, 차량용 시트(1)에 대하여 후방을 향해 가압할 뿐만 아니라, 받침대(50)(차일드 시트(10))를 차량용 시트(1)에 대하여 하방을 향해 가압하게도 된다. 이에 따라, 받침대(50)(차일드 시트(10))를 차량용 시트(1)에 대하여 양호한 밸런스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측방 가이드부(72)의 하부 가장자리(LE)는, 전방 가이드부(71)와의 접속 개소로부터 측방 돌출부(76)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접근함에 따라, 베이스부(51)의 저면(51c)으로의 법선 방향(nd)을 따라, 점차로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허리 벨트(6a)가 무리없이 측방 가이드부(72) 내를 연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또한 안전 벨트(5)의 허리 벨트(6a)가 허리 벨트 가이드부(70)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가이드부(72)가, 대략, 단차에 의해 획정되는 홈으로서 형성되고,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면(73)이, 측방 가이드 부재(75)의 측방 돌출부(76)의 상면(76a)에 원활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허리 벨트(6a)가 매우 무리없이 측방 가이드부(72) 내를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허리 벨트(6a)를 허리 벨트 가이드부(70)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가이드부(72)를 상방으로부터 획정하는 상부 가장자리(UE)로부터 측방 가이드부(72)를 하방으로부터 획정하는 하부 가장자리(LE)까지의 폭은, 베이스부(51)의 전면(51a)의 측으로부터 측방 돌출부(76)에 의해 하부 가장자리(LE)가 형성되는 부분에 접근함에 따라, 점차 좁아져 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허리 벨트(6b)가 연장되는 방향을, 측방 가이드 부재(75)의 측방 돌출부(76)의 상면(76a)에 있어서, 경사 상방으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원활하게 만곡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측방 가이드부(72) 내에서의 허리 벨트(6b)의 배치를 안정시켜, 허리 벨트(6a)를 허리 벨트 가이드부(70)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측방 가이드 부재(75)의 상방 연장 돌출부(77)는, 측방 가이드부(72)에 배치된 허리 벨트(6a)가 측면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규제하게 되어 있다. 즉, 상방 연장 돌출부(77)에 의하면, 베이스부(51)의 저면(51c)의 법선 방향(nd)에 따른 하부 가장자리(LE)의 높이가 가장 높아져서 허리 벨트(6a)의 경사 방향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허리 벨트(6a)가 벗어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는 영역에 있어서, 허리 벨트(6a)의 측방 가이드부(72)로부터의 벗어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대(50)(차일드 시트(10))를 차량용 시트(1)에 대하여 안정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측방 가이드부(72)를 상방으로부터 획정하는 상부 가장자리(UE)의 적어도 일 부분은, 베이스부(51)의 측면(51b)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하방으로 내려뜨려지는 커프재(7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측방 돌출부(76)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 및 당해 영역의 근방에 있어서, 커프재(7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허리 벨트(6a)의 경사 방향이 변화되는 영역 및 그 근방에 있어서, 측방 가이드부(72)에 의해 허리 벨트(6a)를 대략 일정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51)의 저면(51c)으로의 법선 방향(nd)에 따른 상방 연장 돌출부(77)의 정상부(77a)의 위치는, 측방 돌출부(76)에 의해 하부 가장자리(LE)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측방 가이드부(72)의 상부 가장자리(UE)의 상기 법선 방향(nd)에 따른 위치와, 동일 또는 이 위치보다 약간 낮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상방 연장 돌출부(77)의 정상부(77a)의 위치와, 측방 돌출부(76)에 의해 하부 가장자리(LE)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측방 가이드부(72)의 상부 가장자리(UE)는 상기 법선 방향(nd)을 따라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상방 연장 돌출부(77)를 형성했을 경우, 허리 벨트(6a)의 측면 바깥쪽으로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허리 벨트(6a)를 측방 가이드부(72) 내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차일드 시트(10)의 차량용 시트(1)로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차일드 시트(10)를 차량용 시트(1) 상에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서포트 레그〕
다음으로, 서포트 레그(100) 및 서포트 레그(100)에 관련되는 차일드 시트 본체(11)의 구성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서포트 레그(100)는, 받침대(50)에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부(101)와, 끼워맞춤부(101)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해서 끼워맞춤부(101)에 고정된 다리부(110)를 갖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일정한 각도」란, 예를 들면 끼워맞춤부(101)에 대한 다리부(110)의 연장 돌출 방향이 가변이 아닌 것을 말한다. 따라서, 끼워맞춤부(101)에 대하여 다리부(110)가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은 배제된다. 그러나, 당연히 포함되는 각 부재간에서의 유격에 기인한 각도 변화는 무시하고, 일정한 각도가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취급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트 레그(100)는 받침대(50)에 부착되고, 차량용 시트(1)가 설치된 차량의 바닥면(3)과 받침대(50) 사이를 연장한다. 이 결과, 서포트 레그(100)는, 차량용 시트(1)에 부착된 차일드 시트 본체(11)의 전방 부분을 바닥면(3)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또한, 다리부(110)는, 차량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 길이가 가변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서포트 레그(1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6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101)는, U자 형태로 형성된 통 형상 부재(102), 더 상세하게는, 금속제 원통 형상 파이프를 갖고 있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 형상 부재(102)는, 양 단부가 받침대(50) 내에 삽입되어, 받침대(50)와 결합되게 되어 있다. 통 형상 부재(102)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측면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당해 관통 홀로부터 선단이 돌출되는 끼워맞춤 돌기(103)가 통 형상 부재(102)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부재(102) 내에는 가압 부재(104), 예를 들면 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 부재(104)는, 끼워맞춤 돌기(103)를 가압하여, 통 형상 부재(102)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끼워맞춤 돌기(103)를 가압하고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는, 저면(51c)을 형성하는 저판(底板)(91)과, 저판(91) 상에 고정되고 끼워맞춤부(101)의 통 형상 부재(102)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93)를 더 갖고 있다. 수용 부재(93)에는, 끼워맞춤부(101)의 끼워맞춤 돌기(103)를 수용하게 되는 관통 홀(93a)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부재(93)는, 예를 들면 금속제 각진 파이프나 금속제 둥근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의 전면(51a)에는, 끼워맞춤부(101)의 통 형상 부재(102)가 통과하는 삽입구(94)가 형성되어 있다.
저판(91)은, 수용 부재(93)의 관통 홀(93a)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된 끼워맞춤 해제부(92)를 갖고 있다. 끼워맞춤 해제부(92)는, 조작됨으로써 관통 홀(93a) 내로 돌출한 끼워맞춤 돌기(103)를 수용 부재(93) 내에 압입할 수 있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맞춤 해제부(92)는, 바깥 윤곽의 일 부분에 있어서 저판(91)의 끼워맞춤 해제부(92) 이외의 부분에 연결되고, 바깥 윤곽의 상기 일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저판(91)의 끼워맞춤 해제부(92)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가 끊어져 있고, 저판(91)의 끼워맞춤 해제부(92)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휘어서 끼워맞춤 돌기(103)에 접촉 가능한 설상부(舌狀部)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101)의 통 형상 부재(102)는, 보강판(105)을 통해, 일정한 각도로 다리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101) 및 다리부(110)는,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끼워맞춤부(101) 및 다리부(110)의 연결 개소에는, 연결 개소를 덮는 보호 커버(106)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다리부(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리부(110)는, 제 1 통 형상 부재(111)와,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제 2 통 형상 부재(113)와,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하여 고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120)를 갖고 있다. 제 1 통 형상 부재(111)는, 일단이 끼워맞춤부(101)의 통 형상 부재(102)에 연결되고, 타단이 위치 결정 기구(120)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통 형상 부재(113)는, 일단측으로부터 제 1 통 형상 부재(111) 내에 삽입되어, 제 1 통 형상 부재(111) 내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타단에는, 바닥면(3)에 접촉하게 되는 레그 엔드(leg end)(1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통 형상 부재(111) 및 제 2 통 형상 부재(113)는, 서로 금속제 원통 형상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통 형상 부재(113)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113a)이,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 형성되어 있다(도 28 및 도 29 참조). 각 구멍(113a)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롯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통 형상 부재(113)에는, 회전 방지용 홈(113b)이,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위치 결정 기구(120)는, 하우징(121)과, 하우징(12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125)를 갖고 있다. 하우징(121)에는, 제 1 통 형상 부재(111)의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21)에는,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회전 방지용 홈(113b)과 걸어맞추는, 회전 방지용 돌기(122)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방지용 홈(113b)과 돌기(122)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하우징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어,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구멍(113a)은 일정한 방향을 향해 개구되게 된다.
슬라이더(125)는, 하우징(121)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핀(126)을 갖고 있다. 슬라이더(125)가 하우징(121) 내에 인입되어 감에 따라, 관통 핀(126)은, 복수 쌍의 구멍 중 어느 한 쌍의 슬롯(113a)을 통과해서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 핀(126)이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관통함으로써,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25)는, 하우징(121)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 안내 부재(127)를 더 갖고 있다. 슬라이딩 안내 부재(127)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롯(127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21)에는, 슬라이딩 안내 부재(127)의 슬롯(127a)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 1 안내 돌기(123a)와, 제 1 안내 돌기(123a)에 대향하도록 해서 설치된 제 2 안내 돌기(123b)가 설치되어 있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안내 돌기(123a)는, 슬라이더(125)의 관통 핀(126)에 한쪽으로부터 대면하게 된다. 또한, 제 2 안내 돌기(123b)는, 관통 핀(126)을 세 방향에서 둘러싸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121)의 제 1 안내 돌기(123a) 및 제 2 안내 돌기(123b)와, 슬라이더(125)의 관통 핀(126) 및 슬라이딩 안내 부재(127)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슬라이더(125)가 하우징(121)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안내 부재(127)에는 걸어맞춤 돌기(127b)가 형성되고, 하우징(121)에는, 걸어맞춤 돌기(127b)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안내 부재(127)의 걸어맞춤 돌기(127b)와 하우징(121)의 걸어맞춤부(124)가 걸어맞춰짐으로써, 관통 핀(126)이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관통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다만, 슬라이딩 안내 부재(127)의 걸어맞춤 돌기(127b)와 하우징(121)의 걸어맞춤부(124)의 걸어맞춤은, 슬라이더(125)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더(125)를 하우징(121)으로부터 분리하려고 하는 외력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해제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124)는, 하우징(121)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돌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24)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딩 안내 부재(127)의 걸어맞춤 돌기(127b)가 걸어맞춤부(124)를 타고 넘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24)를 일단 타고 넘은 걸어맞춤 돌기(127b)가 걸어맞춤부(124)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슬라이더(125)에 외력이 가해질 때까지, 관통 핀(126)이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관통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125)의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한 단면이며, 슬라이딩 안내 부재(127)로부터의 걸어맞춤 돌기(127b)의 돌출 방향에 평행한 단면(즉, 도 30의 단면)에 있어서, 걸어맞춤부(124)는, V자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슬라이더(125)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걸어맞춤 돌기(127b)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 돌기(127b)가 걸어맞춤부(124)와 부드럽게 걸어맞춰지고, 슬라이더(125)의 조작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레그(100)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서포트 레그(100)를 받침대(50)에 부착해서 이용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서포트 레그(100)를 받침대(50)에 부착할 경우, 끼워맞춤부(101)의 통 형상 부재(102)의 단부를 받침대(50)의 삽입구(94)에 삽입하고 압입한다. 이 결과, 통 형상 부재(102)의 선단 영역이, 받침대(50)의 베이스부(51) 내에 배치된 통 형상의 수용 부재(93) 내에 삽입된다. 최종적으로는, 통 형상 부재(102)로부터 돌출하도록 가압된 끼워맞춤 돌기(103)가, 수용 부재(93)의 관통 홀(93a) 내로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서포트 레그(100)의 끼워맞춤부(101)가 받침대(50)와 끼워맞춰지고, 서포트 레그(100)가 차일드 시트 본체(11)에 대하여 부착된다.
이 서포트 레그(100)에 의하면, 다리부(110)가 끼워맞춤부(101)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해서 끼워맞춤부(10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서포트 레그(100)의 강성이 대폭 향상되어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의 본체 부분(11), 즉 받침대(50) 및 시트 본체(20)를 차량용 시트(1) 상에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하여 고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120)에 있어서, 슬라이더(125)의 단면 원 형상을 갖는 관통 핀(126)이,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구멍(113a)을 관통하게 되어 있다. 즉, 관통 핀(126)은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관통하므로,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일드 시트(10)(받침대(50) 및 시트 본체(20))를 차량용 시트(1) 상에 더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101)와 다리부(110)가 고정적으로 고강성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부재를 갖는 위치 결정 기구(120)에 외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 핀(126)이 한 쌍의 구멍(113a)을 통해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관통하여,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불량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관통 핀(126)은 제 2 통 형상 부재(113)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113a)을 관통할 필요가 있지만, 한 쌍의 구멍(113a)은 슬롯으로서 형성되어, 그 단면적은 관통 핀(126)의 관통에 필요해지는 크기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25)를 용이하게 조작하고, 관통 핀(126)이 한 쌍의 관통 구멍(113a)의 양쪽을 관통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 기구(120)를 이용한 다리부(110)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슬롯(113a)은,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길이 방향)으로는 연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관통 핀(126)이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관통했을 경우에는, 다리부(110)는 일정한 길이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슬롯(113a)은, 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제 2 통 형상 부재(11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제 2 통 형상 부재(113)에 형성된 회전 방지용 홈(113b)과, 하우징(121)에 형성된 회전 방지용 돌기(122)가 걸어맞춰져 있다. 따라서, 제 2 통 형상 부재(113)와 관통 핀(126)이, 슬롯(113a)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일도 없다.
또한, 제 2 통 형상 부재(113)가 제 1 통 형상 부재(111)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하우징(121)에 큰 변형이 생기게 될 일은 없다. 이 때문에, 하우징(121) 및 슬라이더(125)를 간이한 기구에 의해 서로 걸어 고정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5) 및 하우징(121)이, 슬라이더(125)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해제될 수 있도록 걸어맞추고, 관통 핀(126)이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게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125) 및 하우징(121)의 한쪽에 돌기가 형성되고, 슬라이더(125) 및 하우징(121)의 다른쪽에 상기 돌기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돌기 및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슬라이더(125) 및 하우징(121)이, 관통 핀(126)이 제 2 통 형상 부재(113)를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게 해도 된다. 또한, 도 30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걸어맞춤부는 단면이 V자 형상의 돌기로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 돌기(127b)를 수용하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서포트 레그(100)를 받침대(50)로부터 제거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우선, 전형적으로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저판(91)의 일 부분으로 되는 끼워맞춤 해제부(92)를 가압한다. 이 조작에 의해, 끼워맞춤 돌기(103)가 수용 부재(93)의 내부로 가압되고, 예를 들면 보호 커버(106)를 파지하면서, 끼워맞춤부(101)를 받침대(50)의 내부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서포트 레그(100)를 받침대(50)(차일드 시트 본체(1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성 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수용 부재(93)에 접촉하지 않고, 또한 금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끼워맞춤부(101)의 통 형상 부재(102) 및 끼워맞춤 돌기(103)에 접촉하지도 않고, 끼워맞춤부(101)의 받침대(50)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해서, 서포트 레그(100)를 받침대(50)(차일드 시트(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서포트 레그(100)를 받침대(50)(차일드 시트(10))로부터 안심하고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당연히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0 : 차일드 시트 20 : 시트 본체
21 : 좌석부 22 : 등받이부
27 : 접속 가이드 27a : 기단부
27b : 굴곡부 27c : 슬릿
30 : 인상 기구 40 : 조작량 조절 기구
50 : 받침대 51 : 베이스부
52 : 기립부 60 : 접속 핀
70 : 허리 벨트 가이드부 71 : 전방 가이드부
72 : 측방 가이드부 73 : 단차면
74 : 커프재 75 : 측방 가이드 부재
76 : 측방 돌출부 77 : 상방 연장 돌출부
79 : 로크 오프 디바이스 94 : 삽입구
100 : 서포트 레그 111 : 제 1 통 형상 부재
113 : 제 2 통 형상 부재 118 : 레그 엔드
120 : 위치 결정 기구

Claims (21)

  1. 차량용 시트에 부착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 상에 지지된 시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본체의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에는, 상기 시트 본체가 서로 다른 경사 각도로 지지되는 복수의 리클라이닝(reclining) 위치와,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받침대 상에서 회전 가능해지는 회전 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시트 본체는, 상기 받침대를 향해서 돌출하는 진퇴(進退) 가능한 돌출 부재와, 상기 돌출 부재에 연결되어, 조작됨으로써 상기 돌출 부재의 돌출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작 부재를 갖고, 상기 돌출 부재가 상기 받침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및 상기 회전 위치의 각각에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부재의 상기 받침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트 본체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상기 조작 부재의 제 1 조작량은, 상기 돌출 부재의 상기 받침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중 하나로부터 상기 회전 위치로 상기 시트 본체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필요해지는 상기 조작 부재의 제 2 조작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하는 복수의 로크 홀이며,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시트 본체가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의 각각에 유지되게 되는 복수의 로크 홀과,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하는 회전 위치 로크 홀이며,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회전 위치에 유지되게 되는 회전 위치 로크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로크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받침대의 면과, 상기 회전 위치 로크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받침대의 면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크 홀은, 상기 회전 위치 로크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받침대의 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저면(底面)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는,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량이 상기 제 1 조작량 이상 상기 제 2 조작량 미만으로 되도록 상기 조작 부재에 접촉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량이 상기 제 2 조작량 이상으로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접촉 규제 부재와, 상기 접촉 규제 부재에 연결되어, 조작됨으로써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규제 해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조작량 조절 기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이동 경로와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한 조작 레버로서 구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이동 경로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에 따라 상기 이동 경로에 접리(接離) 가능한 벽부(壁部)를 갖고,
    상기 벽부의 상기 제 1 위치에 대면하는 부분은, 상기 벽부의 상기 제 2 위치에 대면하는 부분보다, 상기 이동 경로측으로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해제 조작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량 조절 기구는,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요동 가능한 유지 레버를 더 갖고,
    상기 유지 레버는,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향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이동 경로 밖으로 요동되기까지 상기 접촉 규제 부재를 상기 제 2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돌출 부재가 상기 받침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조작량만큼 이동한 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조작량만큼 이동한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유지 레버에 접촉하는 해방부를 갖고,
    상기 유지 레버는,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해방부에 가압되어서,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2 위치로의 유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돌출 부재가 상기 받침대와 걸어맞춰져서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회전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중간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중간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접촉 규제 부재의 상기 제 1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하는 복수의 로크 홀이며,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시트 본체가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의 각각에 유지되게 되는 복수의 로크 홀과,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하는 회전 위치 로크 홀이며, 상기 돌출 부재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회전 위치에 유지되게 되는 회전 위치 로크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위치 로크 홀은, 상기 돌출 부재가 접촉하게 되는 바닥을 가진 바닥 구비 홀(有底孔)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방향을 포함하는 면과, 상기 규제 해제 조작 부재의 조작 방향을 포함하는 면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해제 조작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의 요동축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한 규제 해제 조작 레버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링크 기구를 통해서 상기 돌출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돌출 부재의 인입량이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량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4. 차량용 시트에 부착되는 차일드 시트 본체와,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서포트 레그(support leg)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레그는,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에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해서 상기 끼워맞춤부에 고정된 다리부(脚部)를 갖고,
    상기 다리부는, 제 1 통 형상 부재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제 2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대하여 고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갖고,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이,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은,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롯으로서 형성되고,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이며, 상기 복수 쌍의 구멍 중 어느 한 쌍의 구멍을 통과해서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관통 가능한 관통 핀을 포함한 슬라이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는, 저판(底板)과, 상기 저판 상에 고정되고, 상기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부는,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가압된 끼워맞춤 돌기이며, 상기 수용 부재 내에 삽입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끼워맞춤 돌기를 갖고,
    상기 수용 부재에는, 상기 끼워맞춤부의 상기 끼워맞춤 돌기를 수용하게 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저판은,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관통 홀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된 끼워맞춤 해제부이며, 조작됨으로써 상기 관통 홀 내에 돌출한 상기 끼워맞춤 돌기를 상기 수용 부재 내에 압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끼워맞춤 해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해제부는, 바깥 윤곽의 일부분에서 상기 저판에 연결되고, 바깥 윤곽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저판으로부터 가장자리가 끊어져 있고, 상기 저판에 대하여 휘어서 상기 끼워맞춤 돌기에 접촉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해제될 수 있게 서로 걸어맞춰지고, 상기 관통 핀이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아더 및 상기 하우징의 한 쪽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에 상기 돌기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및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 핀이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의 일단이 상기 끼워맞춤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의 타단에 상기 위치 결정 기구의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며,
    상기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상기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단부가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끼워맞춤부에 대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1. 차량용 시트에 부착되는 차일드 시트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를 지지하는 서포트 레그로서,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에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해서 상기 끼워맞춤부에 고정된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는, 제 1 통 형상 부재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제 2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대하여 고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갖고,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이,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은,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롯으로서 형성되고,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이며, 상기 복수 쌍의 구멍 중 어느 한 쌍의 구멍을 통과해서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관통 가능한 관통 핀을 포함한 슬라이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레그.
KR1020107028402A 2008-07-02 2009-06-30 차일드 시트 KR101655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73838A JP5436804B2 (ja) 2008-07-02 2008-07-02 チャイルドシートおよびサポートレッグ
JPJP-P-2008-173838 2008-07-02
JP2008173767A JP5306727B2 (ja) 2008-07-02 2008-07-02 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08-173767 2008-07-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572A Division KR101682975B1 (ko) 2008-07-02 2009-06-30 차일드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456A true KR20110028456A (ko) 2011-03-18
KR101655866B1 KR101655866B1 (ko) 2016-09-08

Family

ID=41465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402A KR101655866B1 (ko) 2008-07-02 2009-06-30 차일드 시트
KR1020157032572A KR101682975B1 (ko) 2008-07-02 2009-06-30 차일드 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572A KR101682975B1 (ko) 2008-07-02 2009-06-30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19129B2 (ko)
EP (1) EP2308715A4 (ko)
KR (2) KR101655866B1 (ko)
CN (2) CN102143860B (ko)
HK (2) HK1160422A1 (ko)
RU (1) RU2502615C2 (ko)
TW (1) TWI472448B (ko)
WO (1) WO2010001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4712B2 (ja) * 2010-09-14 2015-10-14 サイベックス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ミテッドCybex Industrial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CL2012001772A1 (es) 2011-07-01 2014-06-06 Wonderland Nursery Goods Un asiento para un niño que comprende un armazon de asiento con una parte posterior, una banda de anclaje que tiene una porcion intermedia y dos porciones de extremo provistas respectivamente con dos sujetadores operables para fijacion con una estructura de anclaje de un vehiculo, y cierre operable.
US8911015B2 (en) 2013-03-05 2014-12-16 Yochanan Cohen Car seat
US9487110B2 (en) 2014-03-05 2016-11-08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US10220734B2 (en) 2013-03-05 2019-03-05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CN203267824U (zh) * 2013-05-02 2013-11-06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安全座椅基座的支撑架色显机构
JP6462570B2 (ja) * 2013-08-23 2019-01-30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サポートレッグ及びサポートレッグを備えたチャイルドシート
JP6203268B2 (ja) * 2013-08-23 2017-09-27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CN105492246B (zh) * 2013-08-23 2018-03-16 康贝株式会社 儿童座椅
ES1093530Y (es) * 2013-09-18 2014-02-11 Jane S A (100 0%) Asiento infantil de seguridad para automóviles
CN108215953B (zh) * 2013-10-23 2021-09-0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US9499074B2 (en) * 2013-10-25 2016-11-22 Britax Child Safety, Inc. Forward and rearward facing child seat with belt tensioning mechanism for improved installation
CN104551488A (zh) * 2013-10-29 2015-04-29 镇江泰源电器科技有限公司 儿童汽车座椅的支架焊接夹具
US9365135B2 (en) * 2013-12-31 2016-06-14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Infant car seat base with safety belt lock-off arm
US9487111B2 (en) * 2014-03-24 2016-11-08 Jason Lake Spinning infant car seat
US20170129524A1 (en) 2014-04-02 2017-05-11 BridgeHub LLC Baby carrier
US20150282636A1 (en) * 2014-04-02 2015-10-08 Yongmei Wang Baby Carrier
US9616782B2 (en) 2014-08-29 2017-04-11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vehicle connec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EP3075604B1 (en) 2015-04-01 2019-02-27 Volvo Car Corporation Child seat module for a vehicle
KR20180017026A (ko) 2015-05-12 2018-02-20 피? 컨트롤스 인코포레이티드 카시트 및 연결 시스템
CN104859493A (zh) * 2015-05-21 2015-08-2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安全座
CN105034873B (zh) * 2015-08-27 2017-11-17 江苏百佳斯特汽车制品有限公司 360度旋转及俯仰角调节的儿童安全座椅
US10086722B2 (en) * 2015-10-30 2018-10-02 Dorel Juvenile Group, Inc. Child restraint
KR101713245B1 (ko) 2016-01-29 2017-03-09 (주)동인기연 휴대용 카시트
CN107161045B (zh) * 2016-03-08 2021-11-0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US10640020B2 (en) * 2016-04-12 2020-05-05 Dong-In Entech Co., Ltd.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US10322651B2 (en) * 2016-06-14 2019-06-18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afety seat
RU172639U1 (ru) * 2016-08-16 2017-07-18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 Стройков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сиденье безопасности детское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RU172584U1 (ru) * 2016-08-16 2017-07-13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 Стройков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сиденье безопасности детское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10406947B2 (en) 2016-08-25 2019-09-10 Dorel Juvenille Group, Inc. Child restraint for vehicle
US10011198B2 (en) 2016-09-22 2018-07-03 Joshua Hans Theander Vehicular seating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10710478B2 (en) 2017-01-23 2020-07-14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tatable child safety seat
US10829012B1 (en) 2017-01-23 2020-11-1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tatable child safety seat
DE102018010420B3 (de) * 2017-03-17 2022-11-03 Wonderland Switzerland Ag Kindersicherheitssitz
CN106985714A (zh) * 2017-04-10 2017-07-28 浙江雅虎汽车部件有限公司 可旋转儿童安全座椅
US11045014B2 (en) 2017-10-13 2021-06-29 BridgeHub LLC Device for carrying and transporting a baby
ES2900576T3 (es) * 2018-01-10 2022-03-17 Britax Roemer Kindersicherheit Gmbh Asiento infantil de seguridad con dispositivo antirrotación
US11097639B2 (en) 2018-05-24 2021-08-24 Wonderland Switzerland Ag Support base for a child safety seat
ES2747391A1 (es) * 2018-09-10 2020-03-10 Jane Sa Conjunto silla de seguridad para vehiculo automovil
US11447047B2 (en) 2019-01-10 2022-09-20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afety seat
US11440446B2 (en) * 2019-01-10 2022-09-13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restraint system
JP6930751B2 (ja) * 2019-06-10 2021-09-01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US11420540B2 (en) 2019-06-12 2022-08-23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afety seat and related spin lock mechanism
DE102020115498B4 (de) 2019-06-12 2022-09-29 Wonderland Switzerland Ag Drehverriegelungsmechanismus und entsprechender Kindersitz
CN117681746A (zh) * 2019-09-12 2024-03-12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旋转式安全座椅及具有该座椅的载具
JP2022548856A (ja) * 2019-09-12 2022-11-22 ワンダーランド スイツァーランド アーゲー 回転式シートを備えたチャイルドレストレイント
CA3089357A1 (en) * 2019-12-12 2021-06-12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restraint spin lock and a safety seat having the same
CN113002383B (zh) 2019-12-18 2023-06-30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114379431A (zh) * 2020-10-20 2022-04-22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汽车安全座椅底座结构
AU2022200286C1 (en) * 2022-01-17 2024-05-02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A child safety seat rotatably mounted on a base
CN116729216A (zh) * 2022-03-04 2023-09-12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WO2024072888A2 (en) * 2022-09-28 2024-04-04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vehicle sea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68B2 (ja) * 1985-11-25 1994-02-23 マツダ株式会社 ウオ−クイン機構を備えた自動車用シ−ト
JP2002193001A (ja) * 2000-12-25 2002-07-10 Car Mate Mfg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2301965A (ja) * 2001-04-05 2002-10-15 Combi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3094994A (ja) * 2001-09-25 2003-04-03 Combi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サポートレ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870A (en) * 1981-10-13 1984-11-06 Wimmersperg Heinrich F Von Infant restraint for vehicles
EP0164909B1 (en) * 1984-05-14 1988-01-07 Ase (Uk) Limited Child's safety seats
US4936629A (en) * 1988-10-07 1990-06-26 Rock-A-Bye Restraint Company, Inc. Swiveling infant car seat
FR2692851B1 (fr) * 1992-06-30 1994-09-02 Renolux Siège automobile inclinable pour enfant.
US6505887B2 (en) * 1999-11-09 2003-01-14 Lewis E. Hampton Infant's restraining seat
RU2166307C1 (ru) * 1999-12-06 2001-05-10 Бубнов Валерий Георгиевич Способ иммобилизации пострадавшего и иммобилизационные комплексные носилки
JP3429471B2 (ja) 2000-03-01 2003-07-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チャイルドシート支持装置
JP4467732B2 (ja) 2000-08-09 2010-05-26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ベース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US6746080B2 (en) * 2001-04-05 2004-06-08 Combi Corporation Child car seat
US6817665B2 (en) * 2001-07-26 2004-11-1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eat base with load leg
JP3729145B2 (ja) 2002-03-19 2005-1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のチャイルドシート支持構造
EP1636063A1 (en) * 2003-06-25 2006-03-22 Catalyst Developments (Europe) Limited Child safety seat
US20080303321A1 (en) * 2004-05-08 2008-12-11 Britax Excelsior Limited Base for a Child Safety Support
NL1026385C2 (nl) * 2004-06-10 2005-12-14 Maxi Miliaan Bv Kindervoertuigstoel alsmede frame geschikt voor een dergelijke kindervoertuigstoel.
US7073859B1 (en) * 2004-08-19 2006-07-11 Pamela S. Wilson Pivotable child seat for use in a vehicle
GB0420414D0 (en) * 2004-09-14 2004-10-20 Barker Derrick Child car seat
NL1028788C2 (nl) * 2005-04-18 2006-10-20 Maxi Miliaan Bv Onderstel alsmede kindervoertuigstoel voorzien van een dergelijk onderstel.
ES1063434Y (es) * 2006-07-14 2007-01-16 Jane Sa Base para el acoplamiento de asientos infantiles en automoviles
CN2928580Y (zh) * 2006-08-02 2007-08-01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儿童汽车安全座椅的支撑装置
JP2008168847A (ja) * 2007-01-15 2008-07-24 Combi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EP1970247A1 (en) * 2007-03-15 2008-09-17 Team-Tex Device for mounting a child seat in a car and a child seat
JP5247161B2 (ja) * 2008-01-18 2013-07-2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US20100052384A1 (en) * 2008-08-26 2010-03-04 Link Treasure Limited Child safety seat with a transverse engaging base
US8186757B2 (en) * 2009-03-04 2012-05-29 Cosco Management, Inc. Child restraint system including a stationary seat support and a removable juvenile vehicle seat on the seat support
CN102985286B (zh) * 2010-03-24 2015-12-16 谛欧诺有限责任公司 倾斜骑倒式儿童座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68B2 (ja) * 1985-11-25 1994-02-23 マツダ株式会社 ウオ−クイン機構を備えた自動車用シ−ト
JP2002193001A (ja) * 2000-12-25 2002-07-10 Car Mate Mfg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2301965A (ja) * 2001-04-05 2002-10-15 Combi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3094994A (ja) * 2001-09-25 2003-04-03 Combi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サポートレ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8715A4 (en) 2013-08-07
CN103182966B (zh) 2015-11-18
HK1182062A1 (zh) 2013-11-22
RU2502615C2 (ru) 2013-12-27
KR101682975B1 (ko) 2016-12-06
TW201006700A (en) 2010-02-16
CN102143860A (zh) 2011-08-03
RU2011103560A (ru) 2012-08-10
TWI472448B (zh) 2015-02-11
HK1160422A1 (en) 2012-08-17
WO2010001884A1 (ja) 2010-01-07
CN103182966A (zh) 2013-07-03
EP2308715A1 (en) 2011-04-13
US20110109138A1 (en) 2011-05-12
CN102143860B (zh) 2014-07-30
KR20150133298A (ko) 2015-11-27
KR101655866B1 (ko) 2016-09-08
US8419129B2 (en)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8456A (ko) 차일드 시트
KR20110044173A (ko) 차일드 시트
JP530672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4896310B2 (ja) 幼児用椅子
KR0165922B1 (ko) 아동용 좌석 장치
JP2024029085A (ja) 自動車シートに取り付け可能なシート要素およびベースを備える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JP5410313B2 (ja)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EP1493615A2 (en) Child seat
JP5667807B2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5705874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固定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EP3831247A1 (en) Collapsible carry cot
JP5436804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およびサポートレッグ
JP531285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7098996A (ja)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
JP3977515B2 (ja) シートのテーブル構造
JP531285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JP2003225145A (ja) 育児器具
JP4223875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10023651A (ja) 車両用折畳みシート
JP5141198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2007055525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7302093A (ja) 高さ調整機構及び子供用椅子
JPH1095346A (ja) 幼児用着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