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826A - 단일 사이딩된 라우팅 및 더블 사이딩된 부착을 가지는 플렉스 회로 - Google Patents

단일 사이딩된 라우팅 및 더블 사이딩된 부착을 가지는 플렉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826A
KR20110020826A KR1020107028185A KR20107028185A KR20110020826A KR 20110020826 A KR20110020826 A KR 20110020826A KR 1020107028185 A KR1020107028185 A KR 1020107028185A KR 20107028185 A KR20107028185 A KR 20107028185A KR 20110020826 A KR20110020826 A KR 20110020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 circuit
conductors
touch sensor
sensor panel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459B1 (ko
Inventor
마틴 폴 그룬태너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2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3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5Position of the PCB during processing
    • H05K2203/1572Processing both sides of a PCB by the same process; Providing a similar arrangement of components on both sides; Making interlayer connections from two s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DITO 터치 센서 패널의 양쪽 사이드들에 부착하기 위해 도전성 트레이스들이 베이스 막의 하나의 사이드 상에만 형성된 플렉스 회로가 개시된다. 도전성 트레이스들이 베이스 막의 단지 하나의 사이드 상에만 형성되게 함으로써, 단지 하나의 단일 에칭 단계만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프로세스 단계들의 개수 및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플렉스 회로가 더 얇기 때문에, 전체 디바이스 패키지를 확장하지 않고도, 결과적인 공간 절감들은 디바이스 내의 다른 특징들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 사이딩된 라우팅 및 더블 사이딩된 부착을 가지는 플렉스 회로{FLEX CIRCUIT WITH SINGLE SIDED ROUTING AND DOUBLE SIDED ATTACH}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터치 센서 패널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센서 패널의 양쪽 사이드들에 부착될 수 있는 비용-효율적인 플렉스 회로 디자인들에 관한 것이다.
버튼들 또는 키들, 마우스들, 트랙볼들, 조이스틱들, 터치 센서 패널들, 터치 스크린들 등과 같은 다수의 타입들의 입력 디바이스들이 현재 컴퓨팅 시스템에서 동작들을 수행하는데 가용하다. 터치 스크린들은, 특히 그들의 조작 용이성 및 융통성뿐만 아니라 그 하락하는 가격으로 인해 그 인기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들은 터치-민감성 표면을 가지는 투명한 패널일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 및 터치-민감성 표면이 표시 디바이스의 뷰잉가능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패널 뒤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표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들은 표시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의해 지시된 로케이션에서 손가락, 스타일러스 또는 다른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터치 센서 패널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들은 터치 이벤트, 및 터치 센서 패널 상의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그리고나서 컴퓨팅 시스템은 터치 이벤트의 시각에 나타나는 표시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해석할 수 있으며, 그 후에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호 커패시턴스 터치 센서 패널들은, 종종 실질적으로 투명한 기판 상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들로 로우 및 칼럼들로 배열되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과 같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도전성 재료의 드라이브 및 감지 라인들의 매트릭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터치 센서 패널 설계들에서, ITO 드라이브 및 감지 라인들은 여기에서 더블-사이딩된 ITO(DITO)로 지칭되는 구성으로 동일한 기판의 반대 사이드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드라이브 및 감지 라인들은 투명이 요구되지 않는 기판의 경계 영역들의 도전성(예를 들면, 금속) 트레이스들을 이용하는 보드 외(off-board) 접속들을 위해 기판의 하나의 에지로 라우팅될 수 있다. 그러나, 드라이브 및 감지 라인들에 대한 보드 외 접속성(off-board connectivity)을 제공하는데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플렉스 회로들을 제조하는 것은 고가일 수 있다.
이것은 DITO 터치 센서 패널의 양쪽 사이드들에 부착하기 위해 베이스 막의 하나의 사이드 상에만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들을 구비하는 플렉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전성 트레이스들이 베이스 막의 단지 하나의 사이드 상에만 형성되게 함으로써, 단지 하나의 단일 에칭 단계만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단계들의 개수 및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플렉스 회로가 더 얇기 때문에, 전체 디바이스 패키지를 확장하지 않고서도, 결과적인 공간 절감들은 디바이스 내의 다른 특징들에 활용될 수 있다.
플렉스 회로는 베이스 막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터치 센서 패널의 하나의 엔드에서 터치 센서 패널의 최상부 및 기저부 사이드들 양쪽에 본딩될 수 있다. 플렉스 회로는 터치 센서 패널에 본딩될 때 터치 센서 패널을 대향하는 플렉스 회로의 사이드 상에만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들(예를 들면, 구리) 및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스 회로는 터치 센서 패널의 양쪽 사이드 상에 형성된 패드들에 부착될 수 있도록 벤드(bend)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렉스 회로와 필수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테일(tail)은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메인 로직 보드에 부착하기 위한 테일 도전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스 회로는 터치 센서 패널의 최상부 표면 상의 패드들과 전기적 접속들을 만들기 위해 그 길이를 따라 형성된 액티브 도전체들 및 더미 도전체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부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스 회로는 또한 터치 센서 패널의 기저부 표면 상의 패드들과 전기적 접속들을 만들기 위해 그 말단 엔드들에서 형성된 하부 도전체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부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부착 영역 상의 하부 도전체들은 제1 부착 영역 상의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과 관련하여, 플렉스 회로가 폴딩되어 터치 센서 패널에 본딩될 때 터치 센서 패널의 기저부 표면 상의 하부 도전체들 및 최상부 표면 상의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이 터치 센서 패널의 직접적으로 반대되는 사이드들 상에 존재하지 않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은 도전체들 간의 원하지 않는 신호들의 커플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플렉스 회로 상의 모든 트레이스들 및 도전체들은 플렉스 회로의 동일한 사이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스들 및 도전체들이 플렉스 회로의 동일한 사이드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어떠한 비아들 및 플레이팅도 요구되지 않고, 더 얇은 플렉스 회로가 제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벤드는 플렉스 회로 내에서 터치 센서 패널의 얇음에 의해 요구되는 매우 작은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스 회로의 얇음은 다른 전자장치들 및/또는 기계적 구조를 위해 z-방향으로의 더 많은 여유를 제공하거나 더 얇은 전체 디바이스들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전체들 및 트레이스들의 단지 하나의 단일 층을 형성하는 것은 요구되는 프로세스 단계들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단지 하나의 단일 에칭 단계만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는 제조 비용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부착 영역에서, 액티브 도전체들 사이에 특정 개수의 더미 도전체들이 형성될 수 있다. 더미 도전체들의 개수, 및 더미 도전체들과 액티브 도전체들 사이의 간격은 플렉스 회로의 타입 및 두께, 및 도전체들의 단면 치수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예를 들면, 경험적으로). 도전체 간격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제1 부착 영역 아래의 대부분의 ACF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도전체들(더미 및 액티브) 사이에 남아있으므로, 밀려나오는(squeeze out) ACF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2 부착 영역은 도전성 트레이스 층(예를 들면, 플레이팅된 구리) 및 절연체(별명은 커버레이 또는 커버 막)가 형성될 수 있는 베이스 막(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로서도 작용하는 스티프너(stiffener)는 제2 부착 영역의 말단 엔드에 부착되어, 충분한 본딩 압력이 말단 엔드에서 달성되도록 보장한다.
단일-사이딩된 플렉스 회로들에 대한 향상된 실딩을 제공하기 위해, 얇은 도전성 막들이 플렉스 회로들의 양쪽 사이드들에 부착될 수 있다. 플렉스 회로는 도전성 트레이스들(예를 들면, 구리)의 층 및 절연체가 형성될 수 있는 베이스 막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도전성 트레이스들은 고정된 포텐셜(예를 들면, 그라운드)로 홀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절연체 내의 제1 개구(또는 노치)는 그라운드와 같은 고정된 포텐셜에서 홀딩되는 특정 도전성 트레이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절연체 위에 도전성 막이 인가될 수 있고, 여기에서 이는 개구의 형태에 따르고 고정된 포텐셜 트레이스들의 하나 이상과 전기적 접촉하여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한다. 도전성 막이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되는 경우에, 도전성 트레이스들에 대한 실드로서 서브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도전성 막이 인가되기 이전에, 제2 개구(노치)는 임의의 도전성 트레이스들을 회피하면서도 베이스 막 및 절연체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도전성 막이 절연체 위에 인가되고, 여기에서 이는 개구(또는 노치)의 형태에 따르며, 고정된 포텐셜 트레이스들 중 하나 이상과 전기적 접촉을 수행하여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한다. 그리고나서, 도전성 막이 베이스 막 위에 적용되고, 여기에서 이는 홀에 따르며 반대 사이드 상의 도전성 막과 전기적 접촉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플렉스 회로의 양쪽 사이드 들 상의 도전성 막은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될 수 있고, 실드들로서 서브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로 든 플렉스 회로(100)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a의 예로 든 플렉스 회로의 투시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플렉스 회로 베이스 막의 하나의 사이드 상에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들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1b의 플렉스 회로 상의 예로 든 제1 부착 영역의 최상부 뷰를 예시하고 있다.
도 2b는 제1 도전체 구성을 가지는 플렉스 회로 상의 예로 든 제1 부착 영역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c는 제2 도전체 구성을 가지는 플렉스 회로 상의 예로 든 제1 부착 영역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3 도전체 구성을 가지는 플렉스 회로 상의 예로 든 제1 부착 영역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로 든 제2 부착 영역의 말단 엔드의 최상부 뷰 및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최상부 사이드 상 및 선택적으로는 기저부 사이드 상의 도전성 막을 포함하는 예로 든 플렉스 회로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절연체 내에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예로 든 플렉스 회로의 최상부 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절연체 내에 하나의 노치(notch)를 구비하는 예로 든 플렉스 회로의 최상부 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절연체 내에 하나의 상이한 노치(notch)를 구비하는 예로 든 플렉스 회로의 최상부 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e는 어떠한 노치도 구비하지 않지만, 베이스 막을 넘어 연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양쪽 도전성 막들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함께 접속되는 도전성 막들을 구비하는 예로 든 플렉스 회로의 최상부 뷰를 예시하고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그 원래의 편평하게 된 제조 구성에서의 예로 든 플렉스 회로의 투시도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스 회로를 이용하여 패널 서브시스템에 접속된 터치 센서 패널을 포함하는 예로 든 컴퓨팅 시스템을 예시하고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스 회로를 이용하여 패널 서브시스템에 접속된 터치 센서 패널을 구비하는 예로 든 모바일 전화기를 예시하고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스 회로를 이용하여 패널 서브시스템에 접속된 터치 센서 패널을 구비하는 예로 든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의 양호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그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로 도시되어 있는 첨부된 도면들이 참조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것은 DITO 터치 센서 패널의 양쪽 사이드들에 부착하기 위해 도전성 트레이스들이 베이스 막의 하나의 사이드 상에만 형성되는 플렉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전성 트레이스들이 베이스 막의 단지 하나의 사이드 상에만 형성되게 함으로써, 단지 하나의 단일 에칭 단계만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프로세스 단계들의 개수 및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플렉스 회로가 더 얇기 때문에, 전체 디바이스 패키지를 확장하지 않고, 결과적인 공간 절감들은 디바이스 내의 다른 특징들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DITO 터치 센서 패널들의 측면에서 기재되고 예시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라이브 및 감지 라인들이 상이한 기판들 상에 또는 커버 유리의 후방 상에 형성되는 구성들, 및 드라이브 및 감지 라인들이 하나의 단일 기판의 동일한 사이드 상에 형성되는 구성들과 같은 다른 터치 센서 패널 구성들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로 든 플렉스 회로(100)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유의할 점은, 도 1a는 스케일링되지 않고, 단지 예시의 목적상 특히 z-방향으로 치수들을 과장했다는 점이다. 도 1a의 예에서, 플렉스 회로(100)는 베이스 막(110)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터치 센서 패널(102)의 하나의 엔드에서 최상부 및 기저부 사이드들 양쪽에 본딩될 수 있다. 플렉스 회로(100)는 터치 센서 패널에 본딩될 때 터치 센서 패널(102)을 대향하는 플렉스 회로의 사이드 상에만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들(112, 예를 들면 구리) 및 절연체(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의 예로 든 실시예에서, 플렉스 회로(100)는 터치 센서 패널(102)의 양쪽 사이드 상에 형성된 패드들(116, 142)에 부착될 수 있도록 벤드(106)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스 회로(100)와 필수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테일(104)은 터치 센서 패널(102)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메인 로직 보드에 부착하기 위한 테일 도전체들(1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a의 예로 든 플렉스 회로의 투시도를 예시하고 있다. 유의할 점은, 도 1b는 스케일링되지 않고, 단지 예시의 목적상 특히 z-방향으로 치수들을 과장했다는 점이다. 도 1b의 예에서, 플렉스 회로(100)는 터치 센서 패널(102)의 최상부 표면 상에서 패드들과 전기적 접속들을 수행하기 위해 그 길이를 따라 형성된 액티브 도전체들(120) 및 더미 도전체들(122)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부착 영역(104)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스 회로(100)는 터치 센서 패널(102)의 기저부 표면 상에서 패드들과 전기적 접속들을 수행하기 위해 그 말단 엔드들에 형성된 하부 도전체들(124)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부착 영역(106)을 또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부착 영역(106) 상의 하부 도전체들(124)은 제1 부착 영역(104) 상의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120 및 122)과 관련하여, 플렉스 회로(100)가 폴딩되어 터치 센서 패널(102)에 본딩되는 경우에, 터치 센서 패널의 기저부 표면 상의 하부 도전체들 및 최상부 표면 상의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은 터치 센서 패널의 직접적으로 반대되는 사이드들 상에 있지 않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은 도전체들 사이의 신호들의 원하지 않는 커플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플렉스 회로(100) 상의 모든 트레이스들(112) 및 도전체들(118, 120, 122 및 124)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플렉스 회로의 동일한 사이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단지 예시의 목적상 과장된 반경을 가지는 벤드(106)를 예시하고 있지만, 실제로 터치 센서 패널(100)의 얇음을 제공하는 매우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요구될 수 있다. 트레이스들 및 도전체들이 플렉스 회로(100)의 동일한 사이드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어떠한 비아들 및 플레이팅이 요구되지 않고, 더 얇은 플렉스 회로가 제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벤드(106)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얇음에 의해 요구되는 매우 작은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양쪽 사이드들 상에 트레이스들을 가지는 종래의 플렉스 회로들은 비아를 통한 전기적 접속을 확립하도록 베이스 막 및 플레이팅을 통한 비아들을 요구한다. 듀얼 트레이스들 및 플레이팅 때문에, 종래의 플렉스 회로들은 일반적으로 더 경직되어 있고 매우 작은 반경들을 가지는 벤드들을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달성된 플렉스 회로의 얇음은 다른 전자장치들 및/또는 기계적 구조에 대해 z-방향으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거나 더 얇은 전체 디바이스들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전체들 및 트레이스들의 단지 하나의 단일 층을 형성하는 것은 요구되는 프로세스 단계들의 개수를 감소시키고(단지 하나의 단일 에칭 단계만이 필요하므로), 이는 제조 비용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베이스 막(110)의 하나의 사이드 상에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들(112)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막의 양쪽 사이드들 상에 트레이스들을 구비하는 종래의 플렉스 회로들에서, 층들 사이에서 접속들을 수행하기 위해 비아들이 필요하고, 그러므로, 비아들을 통한 도전성을 제공하는데 플레이팅이 필요하다. 그러나, 플레이팅이 트레이스들(112) 위에 인가되는 경우, 트레이스들이 더 두꺼워지고, 따라서 트레이스들 간의 쇼트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트레이스들 사이에 더 넓은 간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단일-사이딩된 실시예들은 플레이팅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트레이스들 간의 더 미세한 피치(P)가 달성될 수 있고, 이는 더 작은 플렉스 회로들로 나타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1b의 플렉스 회로 상의 예로 든 제1 부착 영역의 최상부 뷰를 예시하고 있다. 도 2a의 예에서, 제1 부착 영역(204)은 제1 부착 영역 상의 도전체들과 터치 센서 패널 상의 패드들 간의 도전성 본드를 형성할 수 있는 이방성 도전성 막(ACF)으로 터치 센서 패널(202)에 본딩될 수 있다. 제1 부착 영역(204)을 터치 센서 패널(202)에 본딩하는데 압력이 이용되기 때문에, 참조번호 2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 동안에 일부 ACF가 밀려나올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202)의 광학적 투명도가 중요한 터치 스크린 실시예들에서, ACF가 터치 센서 패널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영역들로 침투하지 않도록 본딩 동안에 밀려나오게 되는 ACF의 양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는 제1 도전체 구성을 가지고 있는 플렉스 회로(200) 상의 예로 든 제1 부착 영역(204)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b의 예에서, 액티브 도전체들(220)이 함께 너무 밀접하게 이격되어 있는 경우, ACF(226)를 포함하기에는 도전체들 사이의 불충분한 공간들이 있을 수 있고, 그 결과로서 과도한 양의 ACF가 터치 센서 패널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영역들로 밀려들어갈 수 있다.
도 2c는 제2 도전체 구성을 가지고 있는 플렉스 회로(200) 상의 예로 든 제1 부착 영역(204)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c의 예에서, 액티브 도전체들(220)이 너무 멀리 떨어져서 이격되는 경우, 제1 부착 영역(204, 유연한 베이스 막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아래로 눌러질 수 있고 도전체들 사이의 공간들의 많은 부분을 채울 수 있으며, 또한 도전체들 사이에 ACF(226)를 포함하기에 불충분한 공간들이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과도한 양의 ACF는 다시 한번 터치 센서 패널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영역들로 밀려들어올 수 있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3 도전체 구성을 가지고 있는 플렉스 회로(200) 상의 예로 든 제1 부착 영역(204)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d의 예에서, 특정 개수의 더미 도전체들(222)이 액티브 도전체들(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더미 도전체들(222)의 개수 및 더미 도전체들과 액티브 도전체들(220) 사이의 간격은 플렉스 회로(200)의 타입 및 두께, 및 도전체들의 단면 치수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예를 들면, 경험적으로). 도전체 간격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제1 부착 영역(204) 아래에 대부분을 ACF를 유지시키는데 충분한 공간이 도전체들(더미 및 액티브) 사이에 남아있으므로, 밀려나오는 ACF의 양을 최소화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로 든 제2 부착 영역의 말단 엔드의 최상부 뷰 및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의 예에서, 제2 부착 영역(306)은 도전성 트레이스 층(312, 예를 들면 플레이팅된 구리) 및 절연체(314, 별명은 커버레이 또는 커버 막)가 형성될 수 있는 베이스 막(310,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로도 작용하는 스티프너(328)는 제2 부착 영역(306)의 말단 엔드에 부착되어, 말단 엔드에서 충분한 본딩 압력이 달성되도록 보장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양쪽 사이드들 상에 트레이스들을 가지고 있는 종래의 플렉스 회로들은 비아를 통한 전기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베이스 막 및 플레이팅에 형성된 비아들을 필요로 한다. 그 위에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들을 보호하기 위해, 또한 플렉스 회로의 양쪽 사이들 상에 절연체들이 요구된다. 듀얼 플레이팅된 트레이스들 및 듀얼 절연체들, 및 종래 플렉스 회로의 전체 증가된 두께로 인해, 종래의 듀얼 사이딩된 플렉스 회로들은 도전성 트레이스들에 대한 실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단일-사이딩된 플렉스 회로들에 대한 향상된 실딩을 제공하기 위해, 얇은 도전성 막들이 플렉스 회로들의 양쪽 사이드들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최상부 사이드 상의 도전성 막(430) 및 선택적으로 기저부 사이드 상의 도전성 막(436)을 포함하는 예로 든 플렉스 회로(400)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유의할 점은, 도 4a는 스케일링하지 않고, 단지 예시의 목적상 치수들을 과장했다는 점이다. 도 4a의 예에서, 플렉스 회로(400)는 도전성 트레이스들(412, 예를 들면 구리) 및 절연체(414)의 층이 형성될 수 있는 베이스 막(410)을 포함한다. 도전성 트레이스들(412)의 하나 이상은 고정된 포텐셜(예를 들면, 그라운드)로 홀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절연체(414)의 제1 개구(또는 노치, 432)는 그라운드와 같은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되는 특정 도전성 트레이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도전성 막(430)이 절연체(414) 위에 적용될 수 있고, 이는 개구(432)의 형태에 따르며 고정된 포텐셜 트레이스들의 하나 이상과 전기적 접촉을 수행하여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할 수 있다. 도전성 막(430)이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되는 경우에, 도전성 트레이스들(412)에 대한 실드로서 서브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도전성 막이 인가되기 이전에, 제2 개구(또는 노치, 434)는 임의의 도전성 트레이스(412)를 회피하면서도 베이스 막(410) 및 절연체(414)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도전성 막(430)이 절연체(414) 위에 인가될 수 있고, 여기에서 이는 개구(또는 노치, 434)에 따르게 되고, 고정된 포텐셜 트레이스들 중 하나 이상과 전기적 접촉을 수행하여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도전성 막(436)이 베이스 막(410) 위에 인가될 수 있고, 여기에서 이는 홀(434)에 따르게 되고 반대 사이드 상의 도전성 막(414)과 전기적 접촉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플렉스 회로의 양쪽 사이드들 상의 도전성 막은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될 수 있고 실드들로서 서브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적어도 절연체(414) 내에 개구(432 또는 434)를 구비하는 예로 든 플렉스 회로(400)의 최상부 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적어도 절연체(414) 내에 노치(432 또는 434)를 구비하는 예로 든 플렉스 회로(400)의 최상부 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적어도 절연체(414) 내에 상이한 노치(432 또는 434)를 구비하는 예로 든 플렉스 회로(400)의 최상부 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e는 어떠한 노치도 없는 예로 든 플렉스 회로(400)의 최상부 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e의 실시예에서, 도전성 막들(430, 436)은 베이스 막(414)을 넘어 연장되고(돌출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양쪽 도전성 막들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돌출하는 영역에 도전성으로 본딩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그 원래의 편평하게 된 제조 구성에서 예로 든 플렉스 회로(500)의 투시도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5a 및 5b의 예에서, 플렉스 회로(500)는 그 길이를 따라 형성된 액티브 도전체들(520) 및 더미 도전체들(522)을 포함하는 제1 부착 영역(504)을 포함한다. 플렉스 회로(500)는 또한 그 말단 엔드들에 형성된 도전체들(524)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부착 영역(506)을 포함한다. 도 5a 및 5b의 예에서, 플렉스 회로(500)는 베이스 막(510)으로부터 형성되고, 도 5b에서 보일 수 있는 베이스 막의 사이드 상에만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들 및 절연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플렉스 회로(500)의 일부로서 필수적으로 형성된 테일(504)은 커넥터(538)에 접속하기 위해 테일 도전체들을 포함한다.
도 6은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예로 든 컴퓨팅 시스템(600)을 예시하고 있다. 컴퓨팅 시스템(600)은 하나 이상의 패널 프로세서들(602) 및 주변장치들(604), 및 패널 서브시스템(606)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장치들(604)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다른 타입들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 워크도그(watchdog) 타이머들 등을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패널 서브시스템(606)은 하나 이상의 감지 채널들(608), 채널 스캔 로직(610) 및 드라이버 로직(614)을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채널 스캔 로직(610)은 RAM(612)에 액세스하고, 감지 채널들로부터 데이터를 자동으로 판독하며 감지 채널들에 대한 제어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채널 스캔 로직(610)은 터치 센서 패널(624)의 라인들을 구동하도록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주파수들 및 위상들에서 자극 신호들(616)을 생성하도록 드라이버 로직(614)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널 서브시스템(606), 패널 프로세서(602) 및 주변장치들(604)은 단일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에 통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624)은 복수의 드라이브 라인들 및 복수의 감지 라인들을 구비하는 용량성 감지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감지 매체가 이용될 수도 있다. 드라이브 및 감지 라인들의 각 교차점들은 용량성 감지 노드를 나타낼 수 있고, 화소(픽셀, 626)로서 보여질 수 있으며, 이는 터치 센서 패널(624)이 터치의 "이미지"를 캡쳐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환언하면, 패널 서브시스템(606)이 터치 센서 패널의 각 터치 센서에서 터치 이벤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 후에, 터치 이벤트가 발행한 멀티-터치 패널의 터치 센서들의 패턴이 터치의 "이미지"(예를 들면, 패널을 터치하는 손가락들의 패턴)로서 보여질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624)의 각 감지 라인은 패널 서브시스템(606)에서 감지 채널(608, 또한 여기에서 이벤트 검출 및 복조 회로로도 지칭됨)을 구동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624)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스 회로를 통해 패널 서브시스템(606), 패널 프로세서(602) 및 주변장치들(604)에 접속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600)은 패널 프로세서(602)로부터 출력들을 수신하고, 출력들에 기초하여, 커서 또는 포인터와 같은 오브젝트들의 이동, 스크롤링 또는 패닝(panning), 제어 세팅들의 조정, 파일 또는 문서 열기, 메뉴 보기, 선택, 명령들의 실행, 호스트 디바이스에 접속된 주변 디바이스의 동작, 전화 호에 대한 답변, 전화 통화 걸기, 전화 통화 종료, 볼륨 또는 오디오 세팅들의 변경, 어드레스들, 자주 다이얼링되는 번호들, 수신된 호들, 누락된 호들과 같은 전화 통신들과 연관된 정보의 저장, 컴퓨터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로의 로그온, 컴퓨터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제한된 영역들로의 허가된 개인들의 액세스 허용, 컴퓨터 데스크탑의 사용자의 바람직한 배열과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의 로딩, 웹 컨텐트로의 액세스 허용, 특정 프로그램의 런칭, 메시지의 암호화 또는 디코딩, 등을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액션들을 수행하기 위한 호스트 프로세서(628)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628)는 패널 처리와 관련되지 않을 수도 있는 추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 스토리지(632), 및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UI를 제공하기 위한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 디바이스(630)에 접속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624)을 구비하는 표시 디바이스(630)는, 터치 센서 패널 아래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로케이팅되는 경우에, 터치 스크린(618)을 형성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상기 설명된 기능들의 하나 이상은 메모리(예를 들면, 도 6의 주변장치들(604) 중 하나)에 저장되어 패널 프로세서(602)에 의해 실행되거나, 프로그램 스토리지(632)에 저장되어 호스트 프로세서(628)에 의해 실행되는 펌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펌웨어는 또한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로부터 명령을 페치하여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기반 시스템, 프로세서-포함 시스템, 또는 다른 시스템과 같이,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그들과 관련하여 이용하기 위한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되거나 트랜스포트될 수 있다. 이러한 문헌의 컨텍스트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자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ROM(자기), EPROM(자기), CD, CD-R, CD-RW, DVD, DVD-R 또는 DVD-RW와 같은 휴대용 광학 디스크, 또는 컴팩트 플래시 카드들, 안전한 디지털 카드들, USB 메모리 디바이스들, 메모리 스틱들, 등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펌웨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로부터 명령들을 페치하여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기반 시스템, 프로세서-포함 시스템, 또는 다른 시스템과 같이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이용하기 위한 임의의 트랜스포트 매체 내에서 전파될 수 있다. 이러한 문헌의 컨텍스트에서, "트랜스포트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프로그램을 통신하거나 전파하며 트랜스포트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일 수 있다. 트랜스포트 판독가능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또는 적외선 유선 또는 무선 전파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7a는 터치 센서 패널(724) 및 표시 디바이스(730)를 포함할 수 있는 예로 든 모바일 전화기(736)를 예시하고 있고, 터치 센서 패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스 회로를 이용하여 패널 서브시스템에 접속된다.
도 7b는 터치 센서 패널(724) 및 표시 디바이스(730)를 포함할 수 있는 예로 든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740)를 예시하고 있고, 터치 센서 패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스 회로를 이용하여 패널 서브시스템에 접속된다. 도 7a 및 7b의 모바일 전화기 및 미디어 플레이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스 회로를 활용함으로써 더 작고 더 낮은 비용의 물리적 제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완전하게 설명되었지만, 유의할 점은 다양한 변경들 및 변형들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한 변경들 및 변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26)

  1. 터치 센서 패널의 양쪽 사이드들에 접속하기 위한 플렉스 회로로서,
    제1 및 제2 부착 영역들을 형성하도록 형상지어지는 베이스 막;
    상기 베이스 막의 단일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부착 영역들의 도전체들로 종료하는 도전성 트레이스들의 층 - 상기 도전체들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제1 및 제2 사이드들과의 전기적 접속들을 수행하도록 형상지어지고 로케이팅됨 -; 및
    상기 도전성 트레이스들 및 도전체들 위에 형성되는 절연체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막, 도전성 트레이스들 및 절연체들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들로의 부착을 위해 폴딩될 수 있는 유연한 스택업(stackup)을 형성하는 플렉스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영역 상의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 및 상기 제2 부착 영역 상의 하부 도전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도전체들은 상기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과 관련하여, 상기 플렉스 회로가 폴딩되어 상기 터치 센서 패널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하부 도전체들 및 상기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이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직접 반대되는 사이드들 상에 있지 않도록 배열되는 플렉스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 회로와 필수적으로 형성된 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일은 로직 보드에 접속하기 위한 테일 도전체들을 포함하는 플렉스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영역 상의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도전체들의 하나 이상은 상기 액티브 도전체들의 각 2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은 상기 제1 부착 영역을 상기 터치 센서 패널에 본딩하는 도전성 본딩 재료를 실질적으로 포함할 만큼 이격되는 플렉스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착 영역 상의 하부 도전체들 -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제2 부착 영역의 각 말단 엔드에서 상기 하부 도전체들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제2 부착 영역의 각 말단 엔드에서 형성된 스티프너(stiffener) - 상기 스티프너들 및 상기 노출된 하부 도전체들은 상기 제2 부착 영역의 말단 엔드들의 직접 반대되는 사이드들 상에 로케이팅됨 -
    을 더 포함하는 플렉스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 회로의 최상부 사이드 상에 형성되고 상기 최상부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도전성 트레이스들에게 접속된 최상부 도전성 막을 더 포함하는 플렉스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도전성 막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전성 트레이스들로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절연체 내에 형성된 제1 개구를 더 포함하는 플렉스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 회로의 기저부 사이드 상에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도전성 트레이스들에게 접속된 기저부 도전성 막을 더 포함하는 플렉스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 도전성 막으로부터 상기 최상부 도전성 막으로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막 및 절연체 내에 형성된 제2 개구를 더 포함하는 플렉스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구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가 노치(notch)들인 플렉스 회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 회로의 기저부 사이드 상에 형성된 기저부 도전성 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및 기저부 도전성 막들은 상기 플렉스 회로를 돌출하고 돌출되는 영역에 도전성으로 본딩되는 플렉스 회로.
  12. 제1항에 있어서, 컴퓨팅 시스템 내에 포함되고 상기 터치 센서 패널과 패널 서브시스템 사이에 접속되는 플렉스 회로.
  13. 터치 센서 패널의 양쪽 사이드들로의 전기적 접속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베이스 막의 단일 표면 상에 도전성 트레이스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막 및 상기 도전성 트레이스들이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제1 및 제2 사이드들로의 부착을 위해 폴딩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제1 및 제2 사이드들 상의 패드들과 정렬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부착 영역들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막을 형상짓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트레이스들 위에 절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영역 상의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 및 상기 제2 부착 영역 상의 하부 도전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도전체들은 상기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과 관련하여, 상기 플렉스 회로가 폴딩되어 상기 터치 센서 패널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하부 도전체들 및 상기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이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직접 반대되는 사이드들 상에 있지 않도록 배열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 회로와 테일을 필수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일은 로직 보드에 접속하기 위한 테일 도전체들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도전체들의 하나 이상이 상기 액티브 도전체들의 각 2개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착 영역 상에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착 영역을 상기 터치 센서 패널에 본딩하는데 이용되는 도전성 본딩 재료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도록 상기 액티브 및 더미 도전체들을 이격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착 영역 상에 하부 도전체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부착 영역의 각 말단 엔드에서 상기 하부 도전체들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절연체를 제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부착 영역의 각 말단 엔드에서 스티프너를 추가하는 단계 - 상기 스티프너들 및 상기 노출된 하부 도전체들은 상기 제2 부착 영역의 말단 엔드들의 직접 반대되는 사이드들 상에 로케이팅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 회로의 최상부 사이드 상에 최상부 도전성 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최상부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상기 최상부 도전성 막을 하나 이상의 도전성 트레이스들에게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도전성 막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전성 트레이스들로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절연체 내에 제1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 회로의 기저부 사이드 상에 기저부 도전성 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부 도전성 막을 고정된 포텐셜로 홀딩하기 위해 상기 기저부 도전성 막을 하나 이상의 도전성 트레이스들에게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 도전성 막으로부터 상기 최상부 도전성 막으로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막 및 절연체 내에 제2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구들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는 노치(notch)들인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 회로의 기저부 사이드 상에 기저부 도전성 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최상부 및 기저부 도전성 막들을 상기 플렉스 회로를 넘어 돌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돌출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최상부 및 기저부 도전성 막들을 도전성으로 본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터치 센서 패널과 패널 서브시스템을 접속하는 플렉스 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 회로는 터치 센서 패널의 양쪽 사이드들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플렉스 회로는,
    제1 및 제2 부착 영역들을 형성하도록 형상지어지는 베이스 막;
    상기 베이스 막의 단일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부착 영역들의 도전체들로 종료하는 도전성 트레이스들의 층 - 상기 도전체들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제1 및 제2 사이드들과의 전기적 접속들을 수행하도록 형상지어지고 로케이팅됨 -; 및
    상기 도전성 트레이스들 및 도전체들 위에 형성되는 절연체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막, 도전성 트레이스들 및 절연체들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들로의 부착을 위해 폴딩될 수 있는 유연한 스택업(stackup)을 형성하는 모바일 전화기.
  26. 터치 센서 패널과 패널 서브시스템을 접속하는 플렉스 회로를 포함하는 미디어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 회로는 터치 센서 패널의 양쪽 사이드들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플렉스 회로는,
    제1 및 제2 부착 영역들을 형성하도록 형상지어지는 베이스 막;
    상기 베이스 막의 단일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부착 영역들의 도전체들로 종료하는 도전성 트레이스들의 층 - 상기 도전체들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제1 및 제2 사이드들과의 전기적 접속들을 수행하도록 형상지어지고 로케이팅됨 -; 및
    상기 도전성 트레이스들 및 도전체들 위에 형성되는 절연체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막, 도전성 트레이스들 및 절연체들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들로의 부착을 위해 폴딩될 수 있는 유연한 스택업(stackup)을 형성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KR1020107028185A 2008-05-16 2009-05-12 단일 사이딩된 라우팅 및 더블 사이딩된 부착을 가지는 플렉스 회로 KR101376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2,441 2008-05-16
US12/122,441 US8456851B2 (en) 2008-05-16 2008-05-16 Flex circuit with single sided routing and double sided attach
PCT/US2009/043592 WO2009140258A1 (en) 2008-05-16 2009-05-12 Flex circuit with single sided routing and double sided atta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826A true KR20110020826A (ko) 2011-03-03
KR101376459B1 KR101376459B1 (ko) 2014-03-19

Family

ID=4088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185A KR101376459B1 (ko) 2008-05-16 2009-05-12 단일 사이딩된 라우팅 및 더블 사이딩된 부착을 가지는 플렉스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456851B2 (ko)
EP (2) EP2930598A1 (ko)
JP (1) JP5118100B2 (ko)
KR (1) KR101376459B1 (ko)
CN (2) CN201540549U (ko)
HK (1) HK1153558A1 (ko)
WO (1) WO20091402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383A (ko) * 2016-02-01 2017-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6851B2 (en) 2008-05-16 2013-06-04 Apple Inc. Flex circuit with single sided routing and double sided attach
CN102802497B (zh) * 2009-06-25 2015-03-25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摄像单元
JP5300684B2 (ja) * 2009-10-27 2013-09-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静電容量型入力装置、静電容量型入力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入力機能付き電気光学装置
JP5455034B2 (ja) * 2009-12-09 2014-03-26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KR101083084B1 (ko) * 2009-12-14 2011-11-16 (주)필스 전극 접속 부재 및 필름형 스피커
TWI450237B (zh) * 2010-01-14 2014-08-21 Wintek Corp 觸控顯示裝置
KR101703503B1 (ko) * 2010-07-13 2017-02-08 (주)멜파스 회로기판을 이용하여 터치센서 칩에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접촉 감지 장치
KR101373047B1 (ko) * 2010-09-07 201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패널장치
US8982062B2 (en) * 2011-05-09 2015-03-17 Blackberry Limited Multi-modal user input device
US8711570B2 (en) 2011-06-21 2014-04-29 Apple Inc. Flexible circuit routing
US8337216B1 (en) * 2011-07-26 2012-12-25 Apple Inc. Touch sensor back plane ground connection
US9024891B2 (en) 2011-11-03 2015-05-05 Synaptics Incorporated Single substrate touch sensor
CN105138172B (zh) * 2011-11-27 2018-08-07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感测装置及其制造方法
US9083344B2 (en) * 2012-02-01 2015-07-14 Apple Inc. Touch sensor with integrated signal bus extensions
US9316677B2 (en) * 2012-02-29 2016-04-1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esting flex cable shielding
US9210810B2 (en) * 2012-07-12 2015-12-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evices
US8907231B2 (en) 2012-07-18 2014-12-09 Nokia Corporation Display arrangement
KR20140026129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US20140069696A1 (en) * 2012-09-11 2014-03-1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ttaching multi-layer flex circuits to substrates
CN103780803A (zh) * 2012-10-23 2014-05-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取像模组
JP6301056B2 (ja) * 2012-12-21 2018-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3246399A (zh) * 2013-05-07 2013-08-14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印制电路板及包含该印制电路板的触摸屏感应模组
CN103338582A (zh) * 2013-05-20 2013-10-02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软性电路板以及使用该软性电路板的电子装置
CN104185367A (zh) * 2013-05-24 2014-12-03 英业达科技有限公司 软板及应用软板的电路板结构
US9448666B2 (en) 2013-06-08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ark film lamination for a touch sensor
CN103309537A (zh) * 2013-06-18 2013-09-18 苏州市健邦触摸屏技术有限公司 电容式触摸屏
US9868273B2 (en) 2013-09-20 2018-01-16 Lg Display Co., Ltd. Pressure-sensing stages for lamination systems
CN104635968A (zh) * 2013-11-09 2015-05-20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模块
US9372587B2 (en) 2013-11-26 2016-06-21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rranging electrode layers and associated routing traces in a sensor device
CN203775513U (zh) * 2013-12-30 2014-08-13 昆山维信诺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
JP5813799B2 (ja) * 2014-02-13 2015-11-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2335784B1 (ko) 2014-10-31 2021-12-06 아이리듬 테크놀로지스, 아이엔씨 무선 생리학적 모니터링 기기 및 시스템
WO2016174983A1 (ja) * 2015-04-28 2016-11-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タッチパネルセンサシートモジュール、およびフレキシブル基板の製造方法
CN104869752A (zh) * 2015-06-02 2015-08-26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及其检测设备、检测方法和显示设备
KR102394723B1 (ko) 2015-09-30 2022-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7085669A2 (en) * 2015-11-20 2017-05-26 Idex Asa Electronic sensor supported on rigid substrate
US10162194B2 (en) * 2016-03-01 2018-12-25 Verily Life Sciences Llc Eye mountable device and flexible assembly for fabrication thereof
JP6199471B1 (ja) * 2016-10-31 2017-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KR102316563B1 (ko) * 2017-05-22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으로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548703B2 (ja) * 2017-09-08 2019-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DE102017220105A1 (de) * 2017-11-10 2019-05-16 Mahle International Gmbh Elektromagnetisches Steuerungssystem
WO2019112836A1 (en) * 2017-12-05 2019-06-13 Google Llc Shielding a bending portion of a flexible display
KR102481250B1 (ko) * 2018-03-08 2022-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551721A (zh) * 2018-06-20 2018-09-18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可挠式电路板及其应用之弯曲式电子模组
US11107841B2 (en) * 2018-07-04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17268B1 (ko) 2018-07-16 202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US11119616B2 (en) * 2018-11-01 2021-09-14 Apple Inc. Trace transfer techniques for touch sensor panels with flex circuits
US11853515B2 (en) 2018-12-19 2023-12-26 Apple Inc. Ultra-thin touch sensors
CN110636688B (zh) * 2019-08-21 2020-10-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JP2021086380A (ja) * 2019-11-27 2021-06-03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11083371B1 (en) 2020-02-12 2021-08-10 Irhythm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data via an executable file on a monitor to reduce the dimensionality of the data and encrypting the data being transmitted over the wireless network
US11552344B2 (en) * 2020-02-28 2023-01-10 Gentherm Gmbh Flex foil substrate connector for sensing battery voltage and temperature
JP2021153116A (ja) * 2020-03-24 2021-09-30 株式会社写真化学 配線基板および配線方法
CA3188325A1 (en) 2020-08-06 2022-02-10 Jeff ABERCROMBIE Adhesive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EP4192335A1 (en) * 2020-08-06 2023-06-14 Irhythm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mponents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US11650704B2 (en) 2021-08-02 2023-05-16 Tpk Advanced Solutions Inc. Bond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11880521B2 (en) 2021-08-17 2024-01-23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4494A (ja) * 1984-08-09 1986-03-04 ソニー株式会社 電気的接続体
US4715928A (en) * 1985-09-27 1987-12-29 Hamby Bill L Flexible printed circuits and methods of fabricating and forming plated thru-holes therein
US4902236A (en) 1988-11-14 1990-02-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ex circuit and cable assembly
JPH0521901Y2 (ko) 1990-05-28 1993-06-04
US5483261A (en) * 1992-02-14 1996-01-09 Itu Research, Inc. Graphical input controller and method with rear screen image detection
US5880411A (en) 1992-06-08 1999-03-09 Synaptics, Incorporated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and gesture recognition
US5488204A (en) 1992-06-08 1996-01-30 Synaptics, Incorporated Paintbrush stylus for capacitive touch sensor pad
US5461202A (en) * 1992-10-05 1995-10-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exible wiring board and its fabrication method
JPH0945183A (ja) * 1995-08-01 1997-02-14 Hitachi Aic Inc タッチパネル
US5825352A (en) * 1996-01-04 1998-10-20 Logitech, Inc. Multiple fingers contact sensing method for emulating mouse buttons and mouse operations on a touch sensor pad
US5835079A (en) * 1996-06-13 1998-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pointing device for touchscreens
JP3219140B2 (ja) 1997-10-14 2001-10-15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電気・電子機器
US6310610B1 (en) * 1997-12-04 2001-10-30 Nortel Networks Limited Intelligent touch display
US6235551B1 (en) * 1997-12-31 2001-05-22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edge bond pads and methods
US8479122B2 (en)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KR100595925B1 (ko) 1998-01-26 2006-07-05 웨인 웨스터만 수동 입력 통합 방법 및 장치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JP4015257B2 (ja) 1998-02-20 2007-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DE19820414A1 (de) * 1998-05-07 1999-11-18 Carmen Diessner Kontaktierungsvorrichtung
US6188391B1 (en) 1998-07-09 2001-02-13 Synaptics, Inc. Two-layer capacitive touchpad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542637B2 (ja) 1998-11-25 2010-09-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及び情報記憶媒体
US6449836B1 (en) * 1999-07-30 2002-09-17 Denso Corporation Method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and interconnection structure
US6747290B2 (en) * 2000-12-12 2004-06-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 device
TW508562B (en) * 2001-01-10 2002-11-01 Atouch Co Ltd A contact structure of touch panel
EP1383420A2 (en) * 2001-05-03 2004-01-28 Masimo Corporation Flex circuit shielded optical sensor
JP3800984B2 (ja) 2001-05-21 2006-07-26 ソニー株式会社 ユーザ入力装置
JP2003173237A (ja) * 2001-09-28 2003-06-20 Ricoh Co Ltd 情報入出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3110207A (ja) 2001-09-28 2003-04-11 Alps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
JP2003108302A (ja) 2001-10-01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透明タッチパネル
CN1205555C (zh) 2001-11-12 2005-06-08 联想(北京)有限公司 硬盘数据备份与恢复方法
US6690387B2 (en) * 2001-12-28 2004-0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ouch-screen image scrolling system and method
US7796122B2 (en) * 2001-12-29 2010-09-14 Taiguen Technology (Shen—Zhen) Co., Ltd. Touch control display screen with a built-in electromagnet induction layer of septum array grids
US6969806B2 (en) * 2002-05-28 2005-11-2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able and method
JP4090939B2 (ja) * 2002-05-29 2008-05-28 ニッタ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275405B2 (en)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KR100480154B1 (ko) * 2002-08-30 2005-04-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패널
CN2567694Y (zh) * 2002-09-16 2003-08-20 台均实业有限公司 内置导线网格电磁感应层的触摸控制显示屏
JP3871991B2 (ja) * 2002-09-30 2007-01-24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KR100451775B1 (ko) * 2002-12-31 2004-10-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 패널
JP4136695B2 (ja) 2003-02-10 2008-08-20 住友電工プリントサーキット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4163054B2 (ja) * 2003-06-23 2008-10-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WO2005002121A2 (en) * 2003-06-26 2005-01-06 Formation, Inc. Environmental protection of serial ata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JP2005158811A (ja) * 2003-11-20 2005-06-16 Alps Electric Co Ltd 無線lanユニット
US7108515B2 (en) * 2004-02-26 2006-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ing board with bending section
JP3857278B2 (ja) * 2004-04-06 2006-12-13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4306590B2 (ja) * 2004-11-05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591157B2 (ja) * 2005-03-31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7088129A (ja) * 2005-09-21 2007-04-05 Citizen Watch Co Ltd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実装体
JP2007165707A (ja) * 2005-12-15 2007-06-28 Nitto Denko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回路基板
US7645941B2 (en) * 2006-05-02 2010-01-12 Multi-Fineline Electronix, Inc. Shielded flexible circui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DE112007001291T5 (de) 2006-06-09 2009-04-09 Apple Inc., Cupertino Flüssigkristallanzeige mit Berührungsbildschirm
JP5273330B2 (ja) * 2006-08-04 2013-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08052874A (ja) 2006-08-28 2008-03-06 Sony Corp 磁気テープドライブ装置
KR100821043B1 (ko) * 2006-09-22 2008-04-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JP2008091797A (ja) * 2006-10-04 2008-04-17 Olympus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の接合装置
US8026903B2 (en) 2007-01-03 2011-09-27 Apple Inc. Double-sided touch sensitive panel and flex circuit bonding
US7920129B2 (en) * 2007-01-03 2011-04-05 Apple Inc. Double-sided touch-sensitive panel with shield and drive combined layer
US8456851B2 (en) * 2008-05-16 2013-06-04 Apple Inc. Flex circuit with single sided routing and double sided attach
JP5455034B2 (ja) * 2009-12-09 2014-03-26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CN103246399A (zh) * 2013-05-07 2013-08-14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印制电路板及包含该印制电路板的触摸屏感应模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383A (ko) * 2016-02-01 2017-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18100B2 (ja) 2013-01-16
EP2930598A1 (en) 2015-10-14
US8456851B2 (en) 2013-06-04
US20110094670A1 (en) 2011-04-28
CN101581995A (zh) 2009-11-18
WO2009140258A1 (en) 2009-11-19
CN101581995B (zh) 2013-03-27
US20090283300A1 (en) 2009-11-19
JP2010009594A (ja) 2010-01-14
KR101376459B1 (ko) 2014-03-19
EP2277102B1 (en) 2016-11-02
US8549738B2 (en) 2013-10-08
EP2277102A1 (en) 2011-01-26
HK1153558A1 (zh) 2012-03-30
CN201540549U (zh)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459B1 (ko) 단일 사이딩된 라우팅 및 더블 사이딩된 부착을 가지는 플렉스 회로
US10474268B2 (en) Reducing the border area of a device
US11269467B2 (en) Single-layer touch-sensitive display
US9626061B2 (en) PET-based touch pad
US9098159B2 (en) Direct connect single layer touch panel
CN101566895B (zh) 用于触摸屏的砖块形布局和叠层
US8446386B2 (en) Double-sided touch sensitive panel and flex circuit bonding
AU2009256350B2 (en) High resistivity metal fan 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