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38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389A
KR20110011389A KR1020090069013A KR20090069013A KR20110011389A KR 20110011389 A KR20110011389 A KR 20110011389A KR 1020090069013 A KR1020090069013 A KR 1020090069013A KR 20090069013 A KR20090069013 A KR 20090069013A KR 20110011389 A KR20110011389 A KR 20110011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vity
dispenser
gea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546B1 (ko
Inventor
이남교
김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546B1/ko
Priority to US12/829,454 priority patent/US8701428B2/en
Priority to PCT/KR2010/004624 priority patent/WO2011013925A2/en
Priority to EP10804638.4A priority patent/EP2459948B1/en
Priority to CN201080036177.7A priority patent/CN102472563B/zh
Priority to CN201410342811.XA priority patent/CN104101169B/zh
Publication of KR2011001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7Sanitary protection means for dispensing nozzles or taps, e.g. outle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4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컵이 출입되는 공간인 캐비티가 형성된 디스펜서 본체와, 상기 캐비티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를 개폐시키는 디스펜서 도어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펜서 도어를 구동시키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여 제품의 외관미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청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냉장고, 디스펜서 도어, 도어 구동부, 동작 센서부, 접촉 센서부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음용수를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취득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디스펜서 본체의 캐비티를 평상시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폐쇄시킴과 아울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만 자동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냉장고의 전면 외관을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하기 위한 가전기기로서, 내부에 구비된 전장 부품들에 의해 냉동사이클을 구동시키게 되고, 냉동사이클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여 내부의 식품 저장 공간을 냉각시켜 이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개선과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 추세에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어에 디스펜서 및 홈바와 같은 편의장치가 부가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일부러 이용하여 상기 식품 저장 공간을 개방하지 않더라도 음용수 또는 얼음 등과 같은 사용이 잦은 물품을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의 컵이 출입되는 공간인 상기 디스펜서의 캐비티(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함입되어 있는 소정의 공간을 말함)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때에도 상시 개방되어 있어 외관미가 저하되고, 개방된 상기 캐비티로 먼지 등이 쌓임으로써 수시로 청소하여야 하는 등 소비자의 제품 관리 측면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컵이 출입되는 공간인 캐비티가 형성된 디스펜서 본체와, 상기 캐비티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를 개폐시키는 디스펜서 도어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펜서 도어를 구동시키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캐비티를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폐쇄하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때에만 개방함으로써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청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컵이 출입되는 공간인 캐비티가 형성된 디스펜서 본체와, 상기 캐비티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를 개폐시키는 디스펜서 도어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펜서 도어를 구동시키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접근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부와, 상기 도어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센서부가 제1설정거리 이내로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가 상기 캐비티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동작 센서부가 제2설정거리 이상 물체가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가 상기 캐비티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센서부가 설정거리 이내로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가 상기 캐비티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동작 센서부의 최종 감지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가 상기 캐비티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식품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냉장고 도어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손잡이에 배치되고,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센서부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 면 상기 도어 구동부의 작동을 차단하고, 상기 접촉 센서부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서 상기 동작 센서부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도어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도어는, 상기 캐비티의 좌측 전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좌측 회전도어와, 상기 캐비티의 우측 전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우측 회전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회전도어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는 각각 상기 좌측 전단부 및 상기 우측 전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캐비티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티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도어는, 상기 캐비티의 좌측 전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좌측 회전도어와, 상기 캐비티의 우측 전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우측 회전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회전도어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는 각각 상기 좌측 전단부 및 상기 우측 전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캐비티의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티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좌측 회전도어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좌측 회전도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좌측 회전도어의 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의 우측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벨트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의 회전방향을 상기 좌측 회전도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경시키는 방향전환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 기어부는,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된 연동기어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의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좌측 회전도어 상부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의 좌측 상단부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연동기어와, 상기 좌측 회전도어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치합기어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2연동기어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동기어와 치합되는 제2치합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웜기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치합기어와 상기 제2치합기어는 각각 상기 제1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웜휠기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연동기어는 오른나사 웜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동기어는 왼나사 웜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캐비티를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개방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냉장고의 전면 외관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에는 상기 캐비티를 폐쇄시켜 둠으로써 청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외관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도어 구동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1)는 내부에 식품이 저장되는 식품 저장 공간(미도시)을 구비하고, 냉매를 냉동사이클로 순환시켜 상기 식품 저장 공간으로는 차가운 냉기를 토출시켜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1)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거실 또는 주방의 바닥면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식품 저장 공간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식품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22)를 포함한다.
최근 출시되는 냉장고(1)는, 상기 식품 저장 공간을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냉동을 요하는 냉동 식품이 저장되는 냉동 식품 저장 공간(미도시)과 냉장을 요하는 냉장 식품이 저장되는 냉장 식품 저장 공간(미도시)을 좌우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각각의 냉동 식품 저장 공간 및 냉장 식품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냉동 도어(20)와 냉장 도어(22)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식품 저장 공간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냉동 도어(20)와 상기 냉장 도어(22)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앞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30)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손잡이(30)에는 후술하는 접촉 센서부(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센서부(9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이면 여하한 명목의 센서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기 냉장 도어(22) 또는 상기 냉동 도어(20) 중 어느 하나에는 디스펜서(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50)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상기 냉동 도어(20) 또는 상기 냉장 도어(22)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곧바로 차가운 음용수 또는 얼음을 취득할 수 있도록 마련한 편의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상기 냉장 도어(22) 또는 상기 냉동 도어(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디스펜서(50)는, 상기 냉동 도어(20) 및 상기 냉장 도어(22)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의 컵이 내부로 출입되는 공간인 캐비티(55)가 상기 냉동 도어(20) 또는 상기 냉장 도어(22)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입되게 설치된다.
그런데, 배경 기술 항목에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캐비 티(55)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시 개방되어 있어 먼지가 끼어 청결성을 저하시키고, 외관이 심플하지 못하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기 디스펜서(50)의 청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평상시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55)를 폐쇄함으로써 제품의 외관미를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50)와, 상기 캐비티(55)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50)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55)를 개폐시키는 디스펜서 도어(60)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50)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펜서 도어(60)를 구동시키는 도어 구동부(8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서 도어(60)는, 상기 캐비티(55)의 전방부 좌측 전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좌측 회전도어(61)와, 상기 캐비티(55)의 전방부 우측 전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우측 회전도어(62)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62)는 각각 상기 좌측 전단부 및 상기 우측 전단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티(55)를 개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디스펜서 도어(60)는 상기 캐비티(55)를 중심으로 후방 또는 전방으로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62)가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티(55)를 개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60)는 상기 좌측 회전도어(61) 및 상기 우측 회전도어(62)가 각각 상기 좌측 전단부 및 상기 우측 전단부를 기준으로 후방인 상기 캐비티(55)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티(55)를 개 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좌측 전단부 및 상기 우측 전단부를 기준으로 전방인 상기 캐비티(55)의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티(55)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펜서 도어(60)가 상기 캐비티(55)를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하거나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캐비티(55)의 폐쇄 과정은 상기 캐비티(55)의 개방 과정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디스펜서 도어(60)를 작동시키는 경우가 될 것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도어 구동부(80)는, 상기 디스펜서 도어(60)를 구동시키는 부분으로써,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좌측 회전도어(6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1)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81)는, 일종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상기 좌측 회전도어(61) 또는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부분인 상기 디스펜서 본체(5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구동부(80)는,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의 회전축(63)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81)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구동풀리(8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81)의 회전축(82)에 상기 구동풀리(8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동풀리(84)는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의 회전축(6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81)의 회전축(82)과 상기 구동풀리(84)의 회전축(82)은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의 회전축(63)과 동일한 일직선상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 구동부(80) 의 구성 중 상기 구동모터(81)의 설치 위치가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의 회전축(63) 상부인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구동모터(81)가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의 회전축(64) 상부에 위치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도어 구동부(80)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50)의 우측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종동풀리(85)와, 상기 구동풀리(84)와 상기 종동풀리(85)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풀리(84)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벨트(86)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81)가 회전 구동되면, 상기 구동풀리(84)가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벨트(86)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다시 상기 연결벨트(86)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종동풀리(85)가 회전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구동부(80)는,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의 회전방향을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방향전환 기어부(87)(89)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전환 기어부(87)(89)는, 상기 종동풀리(85)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된 연동기어(87)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의 회전축(64)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동기어(87)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종동기어(89)를 포함한다.
상기 종동풀리(85)는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의 회전축(64) 직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동기어(87)와 상기 종동기어(89)가 치합되도록 상기 종동풀리(85)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종동기어(89)는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의 회전축(64)에 일체로 형성된 바, 상기 종동기어(89)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우측 회전도어(62)가 최종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전환 기어부(87)(89)는, 상기 구동풀리(84)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전환시키는 기어부로써, 상기 연동기어(87)와 상기 종동기어(89)에 의하여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의 회전방향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어 구동부(80)의 실시예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상기 도어 구동부(80)의 실시예를 제1실시예라 칭하고, 후술하는 상기 도어 구동부의 실시예를 제2실시예(180)라 칭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어 구동부(180)는, 상기 좌측 회전도어(61) 상부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50)의 좌측 상단부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81)와, 상기 구동모터(181)의 회전축(182)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연동기어(183)와,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의 회전축(163)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동기어(183)와 치합되는 제1치합기어(185)와, 상기 구동모터(81)의 회전축(182)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2연동기어(184)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의 회전축(164)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동기어(184)와 치합되는 제2치합기어(186)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81)의 회전축(182)은 상기 디스펜서 본체(50)의 상부에 좌우로 길게 연장 배치되되, 상기 제1연동기어(183) 및 상기 제2연동기어(184)가 일체로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고,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의 회전축(163) 상부 및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의 회전축(164) 상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치합기어(185)와 상기 제2치합기어(186)가 각각 상기 제1연동기어(183) 및 상기 제2연동기어(184)에 치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81)가 회전되면 상기 좌측 회전도어(61)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62)가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우측 회전도어(62)와 상기 좌측 회전도어(61)는 회전 방향이 같으면 안되므로, 상기 제1연동기어(183)와 상기 제2연동기어(184)는 웜 기어로 구비되되, 상기 제1연동기어(183)는 오른나사 웜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동기어(184)는 왼나사 웜기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치합기어(185) 및 상기 제2치합기어(186)는, 웜기어로 구비된 상기 제1연동기어(183)와 상기 제2연동기어(184)에 각각 치합되는 웜휠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어 구동부(80)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하나의 구동모터(81)를 이용하여 상기 좌측 회전도어(61) 및 상기 우측 회전도어(62)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인 바, 그 제어가 용이함은 물론 제품의 제작단가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접근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부(70)와, 상기 동작 센서부(70)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도어 구동부(80)(180) 중 상기 구동모터(81)(18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작 센서부(70)는, 사람을 포함한 모든 물체가 접근해오거나 이격되면 그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종류의 센서를 말한다.
상기 동작 센서부(70)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50)에 직접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디스펜서 본체(50)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고 도어(20)(22)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20)(22)의 손잡이(30)에는 사용자의 손 등이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부(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센서부(90)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 도어(20)(22)를 잡아당겨 상기 식품 저장 공간을 개방시키기 위한 초기 동작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 센서부(90)는, 상기 손잡이(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치된 압력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30) 전체에 걸쳐 설치된 전류 측정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 도어(20)(22)를 개방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라면 상기 접촉 센서부(90)의 여하한 명칭에 불구하고 권리범위에 해당됨은 당연하다.
상기 제어부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 센서부(70)가 설정거리(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설정거리"라고 칭함) 이내로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60)가 상기 캐비티(55)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80)(180)의 상기 구동모터(81)(18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의 상기 제1설정거리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를 말하는 바, 물체가 상기 동작 센서부(70)를 향하여 상기 제1설정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상기 동작 센서부(70)가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동작 센서부(70)에 의하여 어떤 물체의 접근이 감지된다는 것은 상기 캐비티(55)를 향하여 사용자가 컵을 출입시키기 위한 의사가 있음을 예비적으로 행동하고 있음을 뜻한다.
그러나, 상기 동작 센서부(70)에 의하여 상기 제1설정거리 이내로 물체가 접근하더라도, 사용자의 의도가 상기 디스펜서(50)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상기 냉장고 도어(20)(22)를 개방시키기 위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상기 동작 센서부(70)에 의하여 상기 제1설정거리 이내로 물체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라도, 상기 접촉 센서부(90)가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면 이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5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냉장고 도어(20)(22)를 개방시키기 위한 의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도어 구동부(80)(180)의 작동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55)를 개방시키는 제어를 하는 경우란, 상기 접촉 센서부(90)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서 상기 동작 센서부(70)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만 이에 해당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50)를 사용한 후에는 상기 캐비티(55)를 폐쇄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센서부(70)가 설정거리(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설정거리"라 칭함) 이상 물체가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60)가 상기 캐비티(55)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80)(180)의 상기 구동모터(81)(18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50)를 사용한 후에는 상기 캐비티(55)를 개방상태로 두지 않고 곧바로 상기 캐비티(55)를 폐쇄시킴으로써 평상시 상기 디스펜서(50)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5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55)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냉장고 도어(20)(22)의 전면 외관을 심플하게 할 수 있는 바, 제품의 외관미를 개선하는 이점도 아울러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55)를 폐쇄시키는 제어는, 반드시 상기 동작 센서부(70)에 의하여 감지된 값에 기초하여 제어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센서부(70)에 의하여 상기 제1설정거리가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60)가 상기 캐비티(55)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80)(180)의 상기 구동모터(81)(18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55)가 개방된 순간부터 상기 캐비티(55)를 폐쇄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인 상기 소정 시간은 사용자 또는 제품 제작자가 미리 설정하여 두는 것으로서, 통상 상기 캐비티(55)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음용수 등을 취득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컵을 가지고 상기 디스펜서(50)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55)의 전방으로 접근시키면, 상기 동작 센서부(70)가 상기 제1설정거리 이내로 컵 또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구동부(80)(180) 중 상기 구동모터(81)(181)를 작동시켜 상기 디스펜서 도어(60)가 상기 캐비티(55)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동작 센서부(70)에 의하여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더라도 이것이 통상의 사용자의 의사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는 바, 만일 상기 접촉 센서부(90)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사용자의 의도는 단순히 상기 냉장고 도어(20)(22)의 손잡이(30)를 잡아당겨 상기 식품 저장 공간을 개방시키는 것이라고 판단되므로,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구동부(80)(180) 중 상기 구동모터(81)(181)가 작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55)가 개방된 상태로 제어된 후 상기 동작 센서부(70)로부터 제2설정거리 이상 물체가 이격되는 것이 감지되거나 상기 제1설정거리 이내에 접근한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펜서 도어(60)가 상기 캐비티(55)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80)(180)의 상기 구동모터(81)(181)를 제어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상기 냉장고 도어(20)(22)의 손잡이(30)에 설치된 상기 접촉 센서부(90)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50) 또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50) 일측에 설치된 상기 동작 센서부(70)로부터 인가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연동하여 상기 디스펜서 도어(6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50)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소정 시간 상기 캐비티(55)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5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55)를 폐쇄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외관미 저하를 방지하고,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외관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도어 구동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냉장고 10: 본체
20: 냉장고 도어(냉동 도어) 22: 냉장고 도어(냉장 도어)
30: 손잡이 50: 디스펜서
51: 디스펜서 본체 55: 캐비티
60: 디스펜서 도어 61: 좌측 회전도어
62: 우측 회전도어 70: 동작 센서부
80,180: 도어 구동부 81,181: 구동모터
82: 구동모터의 회전축(구동풀리의 회전축)
84: 구동풀리 85: 종동풀리
87: 연동기어 88: 종동기어의 회전축
89: 종동기어 90: 접촉 센서부
163: 좌측 회전도어의 회전축
164: 우측 회전도어의 회전축
183: 제1연동기어 184: 제2연동기어
185: 제1치합기어 186: 제2치합기어

Claims (12)

  1. 내부에 컵이 출입되는 공간인 캐비티가 형성된 디스펜서 본체와;
    상기 캐비티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를 개폐시키는 디스펜서 도어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펜서 도어를 구동시키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접근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부와;
    상기 도어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센서부가 제1설정거리 이내로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가 상기 캐비티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동작 센서부가 제2설정거리 이상 물체가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가 상기 캐비티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냉장고.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센서부가 설정거리 이내로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가 상기 캐비티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동작 센서부의 최종 감지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디스펜서 도어가 상기 캐비티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냉장고.
  5. 청구항 2에 있어서,
    냉장고의 식품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냉장고 도어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손잡이에 배치되고,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센서부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도어 구동부의 작동을 차단하고,
    상기 접촉 센서부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서 상기 동작 센서부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도어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냉장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도어는,
    상기 캐비티의 좌측 전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좌측 회전도어와;
    상기 캐비티의 우측 전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우측 회전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회전도어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는 각각 상기 좌측 전단부 및 상기 우측 전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캐비티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티를 개방시키는 냉장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도어는,
    상기 캐비티의 좌측 전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좌측 회전도어와;
    상기 캐비티의 우측 전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우측 회전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회전도어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는 각각 상기 좌측 전단부 및 상기 우측 전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캐비티의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티를 개방시 키는 냉장고.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좌측 회전도어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좌측 회전도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좌측 회전도어의 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디스펜서 본체의 우측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벨트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의 회전방향을 상기 좌측 회전도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경시키는 방향전환 기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기어부는,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된 연동기어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의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좌측 회전도어 상부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 본체의 좌측 상단부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연동기어와;
    상기 좌측 회전도어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치합기어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2연동기어와;
    상기 우측 회전도어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동기어와 치합되는 제2치합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웜기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치합기어와 상기 제2치합기어는 각각 상기 제1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웜휠기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연동기어는 오른나사 웜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동기어는 왼나사 웜기어로 형성된 냉장고.
KR1020090069013A 2009-07-28 2009-07-28 냉장고 KR101687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013A KR101687546B1 (ko) 2009-07-28 2009-07-28 냉장고
US12/829,454 US8701428B2 (en) 2009-07-28 2010-07-02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0/004624 WO2011013925A2 (en) 2009-07-28 2010-07-15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0804638.4A EP2459948B1 (en) 2009-07-28 2010-07-15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080036177.7A CN102472563B (zh) 2009-07-28 2010-07-15 冰箱和控制该冰箱的方法
CN201410342811.XA CN104101169B (zh) 2009-07-28 2010-07-15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013A KR101687546B1 (ko) 2009-07-28 2009-07-2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89A true KR20110011389A (ko) 2011-02-08
KR101687546B1 KR101687546B1 (ko) 2016-12-19

Family

ID=4352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013A KR101687546B1 (ko) 2009-07-28 2009-07-28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01428B2 (ko)
EP (1) EP2459948B1 (ko)
KR (1) KR101687546B1 (ko)
CN (1) CN102472563B (ko)
WO (1) WO201101392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38A1 (ko) * 2016-03-11 201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시스템 정보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7577B2 (en) 2010-10-29 2016-03-29 Whirlpool Corporation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machine vision
DE102011116600B4 (de) * 2011-10-21 2017-11-23 Diehl Ako Stiftung & Co. Kg Vorrichtung zum Öffnen und/oder Schließen einer Tür
SG11201500631XA (en) * 2012-07-04 2015-04-29 Krishna Prasad Panduranga Revankar A device to shade persons from bright sunshine dynamically from large height by matching shade pattern to presence
DE102013211722A1 (de) * 2013-06-20 2014-12-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Wasser- und/oder Eisspender
US9702619B2 (en) 2013-07-31 2017-07-11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led, dynamic lighting of interior of appliance
CN106032958B (zh) * 2015-01-07 2018-10-19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KR102076190B1 (ko) 2015-04-27 202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개방 방법
DE102015208830A1 (de) * 2015-05-12 2016-11-1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Türsteuerung
US10053354B2 (en) * 2015-06-17 2018-08-21 Control Products, Inc. Object detection for equipment control
JP2017083099A (ja) * 2015-10-30 2017-05-1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US20170187894A1 (en) * 2015-12-28 2017-06-29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and method for print job forwarding
TWI637136B (zh) * 2016-02-29 2018-10-01 夏普股份有限公司 Door structure
JP6749105B2 (ja) * 2016-02-29 2020-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扉構造
EP3245877B1 (en) * 2016-05-18 2020-09-16 H. C. Duke & Son , Llc Integrated motor drive system for soft serve dispenser
US9862589B2 (en) * 2016-05-31 2018-01-09 Starbucks Corporation Chilled beverage dispenser
US11525615B2 (en) 2017-12-08 2022-12-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0837690B2 (en) * 2017-12-08 2020-11-17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0563903B2 (en) 2017-12-15 2020-02-18 Midea Group Co., Ltd. Appliance with transitioning door handles
JP2020050360A (ja) * 2018-09-25 2020-04-02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US10852046B2 (en) 2018-12-10 2020-12-01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CN111288701B (zh) * 2018-12-10 2022-06-24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分配器组件及具有其的冰箱
US11293680B2 (en) 2019-06-14 2022-04-05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KR20210157151A (ko) *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048754A1 (en) * 2020-08-12 2022-02-17 Imcp, Llc Consumable-liquid dispens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740A (ko) * 2003-09-06 2005-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54935A (ko) * 2004-11-17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바안전제어냉장고 및 홈바안전제어방법
KR100740800B1 (ko) * 2006-07-24 2007-07-19 삼성전기주식회사 홈바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및 자동개폐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811B1 (ko) * 1996-08-20 1999-01-15 윤종용 냉장고용 램프점등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00111238A (ja) * 1998-10-02 2000-04-18 Nec Gumma Ltd 自動ドア締め冷蔵庫
KR20010074381A (ko) * 2000-01-25 2001-08-04 구자홍 냉장고의 도어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2267352A (ja) * 2001-03-06 2002-09-18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CN1252437C (zh) * 2001-11-27 2006-04-19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门开关控制方法及使用该方法的冰箱
JP2004108604A (ja) * 2002-09-13 2004-04-08 Hitachi Ltd ドア制御装置、自動ドア、ドア制御方法及び自動ドアを用いた冷蔵庫
KR100857605B1 (ko) * 2002-11-27 2008-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2921731Y (zh) * 2005-07-19 2007-07-11 邵建昌 冰箱冰柜开门辅助装置
US7832224B2 (en) * 2005-08-29 2010-11-1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refrigerator
DE102006044559B4 (de) * 2005-09-23 2020-01-23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tür
US20070256442A1 (en) * 2006-05-03 2007-11-08 Viking Range Corporation Motorized ice dispenser door
KR100845861B1 (ko) * 2006-12-31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69510B1 (ko) * 2007-01-18 200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396973B1 (ko) * 2007-07-06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E102008013750A1 (de) * 2008-03-12 2009-09-24 Emz-Hanauer Gmbh & Co. Kgaa Eisklappenvorrichtung für einen Kühlschrank
KR101513628B1 (ko) * 2008-09-30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061185A (ko) * 2008-11-28 2010-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8109301B1 (en) * 2009-01-06 2012-02-07 Jason Adam Denise Illuminated refrigerator dispenser system with sens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740A (ko) * 2003-09-06 2005-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54935A (ko) * 2004-11-17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바안전제어냉장고 및 홈바안전제어방법
KR100740800B1 (ko) * 2006-07-24 2007-07-19 삼성전기주식회사 홈바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및 자동개폐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38A1 (ko) * 2016-03-11 201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시스템 정보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9948B1 (en) 2018-09-26
WO2011013925A4 (en) 2011-08-04
CN102472563A (zh) 2012-05-23
EP2459948A2 (en) 2012-06-06
WO2011013925A3 (en) 2011-04-21
CN104101169A (zh) 2014-10-15
CN102472563B (zh) 2014-11-26
US20110023511A1 (en) 2011-02-03
WO2011013925A2 (en) 2011-02-03
KR101687546B1 (ko) 2016-12-19
US8701428B2 (en) 2014-04-22
EP2459948A4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1389A (ko) 냉장고
USRE49754E1 (en) Refrigerator
US1174658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562087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189291B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476858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644438B1 (ko) 냉장고
KR101480459B1 (ko) 냉장고의 도어 자동 개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02575A (ko) 냉장고의 드로어 구동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8240156B2 (en) Ice dispensing technology
KR102640866B1 (ko) 냉장고
US8151595B2 (en)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in a home bar
KR100740800B1 (ko) 홈바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및 자동개폐방법
KR200461626Y1 (ko) 냉장고
KR200334077Y1 (ko) 김치저장고 서랍실의 개방 장치
CN108375268B (zh) 冰箱
KR101701466B1 (ko)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냉장고
KR101775002B1 (ko) 냉장고
KR101467572B1 (ko) 냉장고
CN104101169B (zh) 冰箱
JP4966168B2 (ja) 冷蔵庫
KR20070083032A (ko) 저장고의 도어개폐장치
KR0129658Y1 (ko) 냉장고의 도아
KR20050095361A (ko) 홈바자동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바개폐방법
KR20140019181A (ko) 냉기덕트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