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626Y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626Y1
KR200461626Y1 KR20080000579U KR20080000579U KR200461626Y1 KR 200461626 Y1 KR200461626 Y1 KR 200461626Y1 KR 20080000579 U KR20080000579 U KR 20080000579U KR 20080000579 U KR20080000579 U KR 20080000579U KR 200461626 Y1 KR200461626 Y1 KR 200461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asket
storage
roller
door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0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268U (ko
Inventor
임재훈
이선근
고선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00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62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2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2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626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냉장고는 전면에 도어가 마련된 저장실; 저장실의 하부에 마련된 제 1저장바스켓; 제 1저장바스켓의 상부에 마련된 제 2저장바스켓; 및 제 1저장바스켓의 인출입이 용이하도록 구름작용을 하되, 제 1저장바스켓의 인출시에 제 2저장바스켓이 연동되며 인출되도록 하는 롤러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 1저장바스켓의 인출시에 제 2저장바스켓이 연동되며 인출되어 사용자가 저장물을 손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저장바스켓의 인출시에 제 2저장바스켓이 연동되며 인출되어 사용자가 저장물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공급하여 내부에 보관된 각종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냉동실과 냉장실을 갖춘 통상적인 냉장고 뿐만 아니라 산업용 냉장고부터 김치를 저장하는 김치냉장고, 와인을 저장하는 와인냉장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갖춘 냉장고가 양산 중이며, 냉동 또는 냉장된 음식물을 해동할 수 있는 해동실을 갖추고 있는 냉장고도 개발되었다.
통상적으로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 및 도어의 설치 구조에 따라 일반형, 양문형, 혼합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형 냉장고는 냉동실이 상부에 냉장실이 냉동실 하부에 놓이고,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가 상하로 배치된다.
양문형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놓이고,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가 좌우로 배치된다. 냉동실에는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기가 구비되고 냉동실 도어에는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냉동실 도어 밖에서 쉽게 투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된다. 이러한 양문형 냉장고는 냉동실 용량 및 냉장실 용량이 큰 대용량에 적합하다.
혼합형 냉장고는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고, 냉장실이 냉동실 상부에 놓인다. 냉동실은 서랍식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냉장실은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혼합형 냉장고는 제빙기가 냉장실에 설치되고 디스펜서가 냉장실 도어에 설치됨으로써 제빙기가 냉동실에 설치되는 양문형에 비해 제빙기로 공급되는 물이 결빙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혼합형 냉장고의 일예가 한국공개특허 제2005-11753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혼합형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는 냉장실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냉동실이 구비된다. 냉장실은 한 쌍의 냉장실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냉동실은 서랍식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서랍식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냉동실에는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개의 저장바스켓이 마련된다.
수개의 저장바스켓은 통상적으로 상하로 배치된다. 저장바스켓이 상하로 배치되므로 어느 하나의 저장바스켓을 인출하여 저장물을 확인한 후 사용자가 인출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이 있지 않은 경우에, 다른 저장바스켓을 다시 인출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개방하는 경우에,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수개의 저장바스켓을 하나씩 인출시켜 저장물을 확인하여야 하는 관계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각 저장바스켓을 하나씩 인출시키며 저장물을 확인해야 하는 관계로 냉기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저장바스켓의 인출시에 제 2저장바스켓이 연동되며 인출되어 사용자가 저장물을 손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는 전면에 도어가 마련된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마련된 제 1저장바스켓;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의 상부에 마련된 제 2저장바스켓; 및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의 인출입이 용이하도록 구름작용을 하되,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의 인출시에 상기 제 2저장바스켓이 연동되며 인출되도록 하는 롤러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제 2저장바스켓의 하단과 연결된 롤러브라켓과, 상기 롤러브라켓에 수용되어 회전운동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브라켓에서 측면으로 돌출마련된 돌출리브와,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돌출리브와 접촉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롤러의 상기 구름작용을 유도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롤러는,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 Oxy Methylene) 재질로 마련된 롤러축이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재질의 롤러바퀴에 인서트사출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은 상기 도어와 일체로 개폐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제 2저장바스켓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는 제 1저장바스켓의 인출시에 제 2저장바스켓이 연동되며 인출되어 사용자가 저장물을 손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 내부에 마련된 제 1, 2저장바스켓(42, 46)과, 제 1저장바스켓(42)의 인출시에 제 2저장바스켓(46)이 연동되며 인출되도록 하는 롤러유닛(50)을 포함한다.
저장실(20)은 식료품 등의 저장물이 수납되는 공간이다. 저장실(20)은 냉동, 냉장, 해동 등의 작동모드에 따라 냉동실, 냉장실, 해동실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저장실(20)은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하여 제 1, 2저장바스켓(42, 46)에 의하여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저장실(20) 전면은 도어(30)에 의하여 개폐된다.
도어(30)는 제 1, 2, 3도어(32, 34, 36)로 구분된다. 제 1, 2도어(32, 34)는 각 모서리에 마련된 힌지(76)를 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제 1, 2도어(32, 34)에는 각각 디스팬서(72, Dispenser)와 홈바(74, Home Bar)가 마련된다. 제 3도어(36)는 냉장고(10)의 하단측에 마련된다. 제 3도어(36)는 제 1슬라이드레일(48, Slide Rail)을 따라 서랍식으로 개폐된다는 점에서, 힌지(76)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며 개폐되는 제 1,2도어(32, 34)와 다르다. 즉, 사용자가 제 3도어(36) 전면에 마련된 손잡이(38)를 당기거나 밀어서 제 3도어(36)를 서랍식으로 개폐하여 저장실(20)을 개폐시킬 수 있다. 제 3도어(36)에 의하여 개폐되는 저장실(20)에는 저장바스켓(40)이 마련된다.
저장바스켓(40)은 저장실(20)을 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식료품 등의 저장물을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저장바스켓(40)은 제 3도어(36)와 일체로 마련된 제 1저장바스켓(42)과, 제 1저장바스켓(42)의 상부에 마련된 제 2저장바스켓(46)으로 구분된다.
제 1저장바스켓(42)은 저장실(20)의 하단에 마련된다. 제 1저장바스켓(42)의 전면은 제 3도어(36)와 연결되어 있다. 제 1저장바스켓(42)의 전면이 제 3도어(36)와 연결되었으므로 제 1저장바스켓(42)은 제 3도어(36)와 일체로 개폐된다. 제 1저장바스켓(42)의 양측에는 제 1슬라이드레일(48)이 마련된다. 제 1슬라이드레일(48)에는 탄성부재가 포함된다. 탄성부재가 마련된 제 1슬라이드레일(48)은 제 1저장바스켓(42)이 개방될 때 탄성에너지를 저장한다. 저장된 탄성에너지는 제 3도어(36)를 밀어 제 1저장바스켓(42)을 인입시키는 경우에 제 1저장바스켓(42)이 자연스럽 게 완전히 인입되는데 사용된다. 즉, 사용자가 제 3도어(36)를 끝까지 밀어 완전히 인입시키지 않더라도, 일정정도만 밀어 넣으면 나머지 부분은 제 1슬라이드레일(48)의 탄성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완전히 닫힌다.
제 2저장바스켓(46)은 제 1저장바스켓(42)의 상단에 마련된다. 저장바스켓(40)이 저장실(20) 내에서 상하로 입체적으로 마련되므로 저장실(20) 내부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제 2저장바스켓(46)의 양 측면에는 제 2슬라이드레일(도 2의 44)이 마련되며, 제 1슬라이드레일(48)과 마찬가지로 개방시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인입시 사용하여 자연스럽고 완전히 닫히도록 한다. 한편, 제 3도어(36)에는 제 2저장바스켓(46) 방향으로 돌출부(60)가 마련된다. 돌출부(60)는 제 3도어(36)가 슬라이딩 되며 폐쇄될 때 제 2저장바스켓(46)의 전면(47)과 접촉하며 제 2저장바스켓(46)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저장바스켓(42)과 제 2저장바스켓(46)에는 제 1저장바스켓(42)이 인출되는 경우에 제 2저장바스켓(46)이 연동되며 인출되도록 하는 롤러유닛(50)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제1, 2저장바스켓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롤러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롤러유닛의 사시도이다.
롤러유닛(50)은 제 1저장바스켓(42)의 인출시에 제 2저장바스켓(46)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저장물을 손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롤러유닛(50)은 제 2저장바스켓(46)의 하단과 연결된 롤러브라켓(52)과, 롤러브라켓(52)에 수용되어 회전운동하는 롤러(54)와, 롤러브라켓(52)에서 측면으로 돌출마 련된 돌출리브(56)와, 제 1저장바스켓(42)의 상단에 마련되어 돌출리브(56)와 접촉되는 걸림돌기(58)와, 롤러(54)의 구름작용을 유도하는 가이드(59)를 포함한다.
롤러브라켓(52)은 제 2저장바스켓(46)의 하단과 롤러(54)를 연결해준다. 롤러브라켓(52)의 상단부(51)는 제 2저장바스켓(46)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롤러브라켓(52)의 측면부(53)는 상단부(51)에서 하단으로 연장마련된다. 측면부(53)의 하단에는 돌출리브(56)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며, 측면부(53)의 중단에는 롤러(54)의 롤러축(54a)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결합공(55)이 형성된다.
롤러(54)는 롤러브라켓(52)에 수용되어 가이드(59)의 위에서 구름작용한다. 롤러(54)는 룰러축(54a)과 롤러바퀴(54b)로 구분된다.
롤러축(54a)은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 Oxy Methylene) 재질이다. 폴리옥시메틸렌은 내구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제 2저장바스켓(46) 및 제 2저장바스켓(46)에 수용된 저장물의 무게를 지지하며 상당기간 사용되어도 롤러축(54a)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롤러바퀴(54b)는 롤러축(54a)의 외부를 둘러싼 폴리염화비닐(PVC, PilyVinyl Chloride) 재질이다. 폴리염화비닐은 폴리옥시메틸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이다. 따라서 롤러바퀴(54b)가 가이드(59)를 따라 구름작용할 때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롤러바퀴(54b)를 이루는 폴리염화비닐은 롤러축(54a)을 내부에 수용하여 인서트사출성형된다.
돌출리브(56)는 롤러브라켓(52)의 측면에 마련된다. 돌출리브(56)는 제 3도어(36)와 함께 제 1저장바스켓(42)이 상당거리 인출될 때 까지는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 1저장바스켓(42)의 인출이 상당거리 이루어지면 돌출리브(56)가 걸림돌기(58)와 접촉되며 롤러(54)의 회동이 정지되고 제 2저장바스켓(46)이 함께 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리브(56)는 걸림돌기(58)와 접촉되며 작동한다.
걸림돌기(58)는 제 1저장바스켓(42)의 상단에 마련된다. 걸림돌기(58)가 제 1저장바스켓(42)의 상단에 마련됨으로 인하여 제 1저장바스켓(42)이 제 3도어(36)와 함께 상당거리 인출되면 돌출리브(56)가 걸림돌기(58)에 접촉된다. 돌출리브(56)가 걸림돌기(58)에 접촉되면 롤러(54)는 더 이상 구름작용하지 못하고 걸림돌기(58)에 걸려 제 2저장바스켓(46)이 함께 인출된다.
가이드(59)는 제 1저장바스켓(42)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롤러(54)의 구름작용을 유도한다. 롤러(54)가 원활하게 소음없이 회전운동하기 위하여서 가이드(59)는 제 1저장바스켓(42)의 상면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사용자가 제 3도어(36)를 개방시키면 제 1저장바스켓(42)이 전면으로 인출되고, 걸림돌기(58)가 돌출리브(56)에 접촉될 때까지 가이드(59)를 따라 롤러(54)가 회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을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고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제1, 2저장바스켓의 인출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제1, 2저장바스켓의 인입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 3도어(36)의 전면에 마련된 손잡이(38)를 잡고 제 3도어(36)를 개방방향(A)으로 당기면, 제 3도어(36)가 슬라이딩되며 개방된다. 제 3도어(36)에는 제 1저장바스켓(42)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3도어(36)가 인출되면 제 1저장바 스켓(42)도 함께 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3도어(36)의 개방과 동시에 제 1저장바스켓(42)의 저장물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저장바스켓(42)이 일정거리 인출될 때까지는 롤러(54)가 가이드(59)를 따라 구름운동하므로 제 2저장바스켓(42)은 저장실(20) 내부에서 인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제 3도어(36)를 개방방향(A)으로 계속 인출시키면 롤러(54)가 제 1저장바스켓(42) 상단에 마련된 걸림돌기(58)가 있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롤러(54)가 상술한 위치까지 이동되면, 롤러(54)를 수용하고 있는 롤러브라켓(도 4의 52)의 측면에 마련된 돌출리브(도 4의 56)가 걸림돌기(58)에 접촉된다.
걸림돌기(58)에 돌출리브(도 4의 56)가 접촉되면, 롤러(54)는 더 이상 구름작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 1저장바스켓(42)이 인출되며 제 2저장바스켓(48)이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즉, 사용자가 별도로 제 2저장바스켓(48)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을 가하지 않아도 제 1저장바스켓(42)의 인출과 동시에 제 2저장바스켓(48)이 인출된다. 제 1저장바스켓(42)에 대한 인출동작과 동시에 제 2저장바스켓(48)이 전방으로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제 2저장바스켓(48)의 저장물을 쉽고 빠르게 확인가능하다. 제 2저장바스켓(48)의 저장물을 확인한 사용자는 저장물의 인출입이 필요하다면, 제 2저장바스켓(48)을 제 2저장바스켓인출방향(B)으로 좀더 전방으로 당겨 인출입에 필요한 만큼 추가로 개방한다.
제 1, 2저장바스켓(42, 46)에 대한 저장물의 수납,인출이 끝나면 사용자는 제 3도어(36)를 폐쇄방향(C)으로 밀어 넣는다. 제 3도어(36)를 밀어넣는 동작과 동시에 제 3도어(36)와 일체로 마련된 제 1저장바스켓(42)은 저장실(20) 내부로의 진 입이 진행된다. 한편, 제 2저장바스켓(46)은 걸림돌기(58)와 돌출리브(도 4의 56)의 접촉이 해제된다. 따라서 롤러(54)는 가이드(59)를 따라 구름작용 하므로, 제 2저장바스켓(46)은 개방된 위치에 머무른다.
제 3도어(36)를 폐쇄방향(C)으로 계속 밀어 넣으면, 제 3도어(36)에 마련된 돌출부(60)가 제 2저장바스켓(46)의 전면(47)가 접촉된다. 돌출부(60)와 전면(47)이 접촉된 상태에서 제 3도어(36)를 계속하여 폐쇄방향(C)으로 밀면 제 2저장바스켓(46)도 저장실(20) 내부로 인입된다. 한편, 제 3도어(46)를 폐쇄방향(C)으로 계속 밀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2슬라이드레일(48, 44)이 개방될 때 저장되었던 탄성에너지가 사용되며 제 1, 2저장바스켓(42, 46)이 저장실(2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가 제 1저장바스켓의 상단에 마련되고 롤러가 제 2저장바스켓의 하단에 마련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걸림돌기와 롤러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반대의 경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장실에 저장바스켓이 2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 1저장바스켓과 제 2저장바스켓이라는 표현이 저장바스켓의 개수를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며 저장실 내부에 3개 이상 복수개의 저장바스켓이 마련된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 은 본 발명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2저장바스켓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롤러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롤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제1, 2저장바스켓의 인출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2저장바스켓의 인입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냉장고 20 : 저장실
30 : 도어 42 : 제 1저장바스켓
46 : 제 2저장바스켓 50 : 롤러유닛
52 : 롤러브라켓 54 : 롤러
56 : 돌출리브 58 : 걸림돌기
59 : 가이드 60 : 돌출부

Claims (5)

  1. 전면에 도어가 마련된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마련된 제 1저장바스켓;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의 상부에 마련된 제 2저장바스켓; 및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의 인출입이 용이하도록 구름작용을 하되,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의 인출시에 상기 제 2저장바스켓이 연동되며 인출되도록 하는 롤러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제 2저장바스켓의 하단과 연결된 롤러브라켓과,
    상기 롤러브라켓에 수용되어 회전운동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브라켓에서 측면으로 돌출마련된 돌출리브와,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돌출리브와 접촉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롤러의 상기 구름작용을 유도 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 Oxy Methylene) 재질로 마련된 롤러축이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재질의 롤러바퀴에 인서트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저장바스켓은 상기 도어와 일체로 개폐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제 2저장바스켓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080000579U 2008-01-15 2008-01-15 냉장고 KR200461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0579U KR200461626Y1 (ko) 2008-01-15 2008-01-1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0579U KR200461626Y1 (ko) 2008-01-15 2008-01-1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268U KR20090007268U (ko) 2009-07-20
KR200461626Y1 true KR200461626Y1 (ko) 2012-07-30

Family

ID=4365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0579U KR200461626Y1 (ko) 2008-01-15 2008-01-1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6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520A (ko) * 2012-12-10 201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87925A (ko) * 2014-01-23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106B1 (ko) 2012-04-10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023952B1 (ko) * 2019-01-24 201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5468368B (zh) * 2021-06-10 2024-03-1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520A (ko) * 2012-12-10 201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34293B1 (ko) * 2012-12-10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87925A (ko) * 2014-01-23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57649B1 (ko) 2014-01-23 2020-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268U (ko) 200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091B1 (ko) 냉장고 및 그 저장용기 어셈블리
KR101554852B1 (ko) 냉장고
US10591204B2 (en) Refrigerator
KR200461626Y1 (ko) 냉장고
KR20060081923A (ko) 냉장고
AU2013248179B2 (en) Refrigerator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KR20170052410A (ko) 냉장고
KR101106645B1 (ko) 냉장고
KR101350018B1 (ko)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KR102491969B1 (ko) 냉장고
KR20050071221A (ko) 냉장고의 홈바
KR101713324B1 (ko) 냉장고
JP2001349665A (ja) 冷蔵庫の収納容器
KR102386700B1 (ko) 냉장고
KR102340235B1 (ko) 냉장고
KR102386701B1 (ko) 냉장고
KR102352400B1 (ko) 냉장고
KR102386702B1 (ko) 냉장고
KR102386709B1 (ko) 냉장고
KR102373830B1 (ko) 냉장고
KR10174282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
KR20060094586A (ko) 야채박스의 이중 인출구조
KR200345576Y1 (ko) 냉장고의 야채상자 지지장치
KR100481079B1 (ko) 김치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