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00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002B1
KR101775002B1 KR1020150134844A KR20150134844A KR101775002B1 KR 101775002 B1 KR101775002 B1 KR 101775002B1 KR 1020150134844 A KR1020150134844 A KR 1020150134844A KR 20150134844 A KR20150134844 A KR 20150134844A KR 101775002 B1 KR101775002 B1 KR 10177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oor
gears
pai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662A (ko
Inventor
이명하
정융호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0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16H1/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the members having helical, herringbone, or like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모터를 포함하는 제1동력전달부; 상기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제2동력전달부; 및 상기 캐비닛 및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외력에 의한 상기 도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2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모터와 동력전달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거나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가 수동으로 개폐될 때 모터 및 동력전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저장실 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저장실은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냉장고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최근,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도어가 냉장고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출원 제10-2003-0089742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는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냉장고의 도어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기술은 구동모터(2)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1)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2)의 동력이 구동축(4)으로 전달되고, 상기 구동축(54)의 선단에 결합되는 수직 베벨기어(6)기어가 회전된다.
이때, 도어의 회동축(5)의 단부에 수평 베벨기어(8)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베벨기어(6)의 회전력은 상기 수평 베벨기어(8)를 통해 상기 회동축(5)으로 전달되어 도어(1)가 개폐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동작만 가능하며,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제품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즉,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도어가 개폐될 경우, 상기 수직 베벨기어(6)의 회전에 의해 강제로 모터를 회전시키게 되어,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모터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동으로 도어가 개폐될 경우, 동력전달부에 해당하는 상기 수직 베벨기어(6), 상기 수평 베벨기어(8), 상기 구동축(4) 및 상기 회동축(5) 중 적어도 하나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도어를 수동으로도 개폐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냉장고의 도어를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하더라도, 모터에 강제적인 과부하가 걸리거나 모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으로 도어가 개폐될 때, 동력전달부에 포함되는 기어 및 회전축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모터를 포함하는 제1동력전달부; 상기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제2동력전달부;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외력에 의한 상기 도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2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된 제2기어; 및 상기 도어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기어는 기어바디 및 상기 기어바디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관통홀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3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축에는 상기 한 쌍의 제3기어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와 맞물리는 제4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기어는 기어바디 및 상기 기어바디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연장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3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축에는 상기 한 쌍의 제3기어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와 맞물리는 제4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3기어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구비된 제3회전축은 상기 기어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스퍼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제3기어와 상기 제4기어는 헬리컬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폐될 때,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2기어로 전달되고, 상기 제2기어 및 상기 한 쌍의 제3기어는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폐될 때,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은 상기 제4기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3기어로 전달되어, 상기 한 쌍의 제3기어는 상기 제3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제3기어가 상기 제3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기어는 비회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어의 상면에는 상기 제3회전축을 상기 기어바디에 결합하기 위한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의 두께는 상기 제2기어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2기어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기어는 상기 제2회전축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실은 대상물의 냉동을 위한 제1저장실 및 대상물의 냉장을 위한 제2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제1도어 및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제2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전방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 및 사용자에 의해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 제2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센서는 적외선 센서이고, 상기 제2센서는 터치 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센서로부터의 신호만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도어를 수동으로도 개폐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냉장고의 도어를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하더라도, 모터에 강제적인 과부하가 걸리거나 모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으로 도어가 개폐될 때, 동력전달부에 포함되는 기어 및 회전축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주요 구성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가 캐비닛 및 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 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저장실 내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사이클과 관련된 구성은 이미 다수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실(110)이 마련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냉장고(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실(110)은 상기 캐비닛(100) 내에 형성된 공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실(110)은 음식물 또는 음료 등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실(110)은 음식물 또는 음료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및 냉장보관하기 위한 냉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장실(110)의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하나가 냉동실이 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냉장실이 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200)는 캐비닛(100)의 전방에서 상기 저장실(110)을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200)는 2개의 도어(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도어(210, 220) 중 좌측에 배치되는 도어(210)는 냉동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도어(210, 220) 중 우측에 배치되는 도어(220)는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실(110)은 대상물의 냉동을 위한 제1저장실 및 대상물의 냉장을 위한 제2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200)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제1도어(210) 및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제2도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저장실은 상기 제1도어(210)에 의해 패폐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2도어(2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는 상기 제1도어(210) 및 상기 제2도어(22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도어(210, 220) 각각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211, 22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모터(311)의 구동에 의해 도어(200)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동력전달부(300), 및 상기 도어(2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S1, S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31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S1 ,S2) 및 상기 모터(311)는 상기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S1, S2)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어부(C)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의해 도어(200)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상기 모터(31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S1, S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S1, S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S1, S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311)를 제어하도록 상기 모터(3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S1, S2)는 전방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S1) 및 사용자에 의해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 제2센서(S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센서(S1)는 적외선 센서(IR 센서)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센서(S2)는 터치 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센서(S1) 및 상기 제2센서(S2)는 상기 도어(200)의 손잡이(211, 221)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센서(S2)는 상기 손잡이(211, 221)의 상측에서 상기 도어(20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센서(S1)는 상기 제2센서(S1)의 상측에서 상기 도어(20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도어(200)를 자동으로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200) 전방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센서(S1)는 전방의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S1)가 전방의 사용자를 인식한 상태로 사용자가 제2센서(S2)를 터치하면, 제어부(C)는 상기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전술한 모터(31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도어(200)를 자동으로 닫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200)에 설치된 상기 제2센서(S2)를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도어(200)가 닫히도록 전술한 모터(31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도어(200)를 자동으로 개방할 때, 상기 제1센서(S1) 및 상기 제2센서(S2)의 신호가 모두 제어부(C)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제1센서(S1) 및 상기 제2센서(S2) 중 하나가 사용자의 반려동물 등에 의해 의도치 않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달리, 도어(200)를 자동으로 닫을 때, 상기 제2센서(S2)로부터의 신호만 상기 제어부(C)로 전달되면, 상기 모터(311)의 구동에 의해 도어(200)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센서(S1) 및 상기 제2센서(S2)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상기 제어부(C)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상기 모터(3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센서(S2)로부터의 신호만 상기 제어부(C)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도어(200)가 닫히도록 상기 모터(3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0)에 모터(311)의 구동을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도어(200)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에 외력에 의한 수동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모터(311)에 강제적인 과부하가 걸리거나 도어의 회전축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도어(200)의 수동 개폐시에 모터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축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가 캐비닛 및 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도어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에 대하여 설명하나, 도어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도어에 동력전달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동력전달부(300)는 모터(311)를 포함하는 제1동력전달부(310) 및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된 제2동력전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는 상기 캐비닛(1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도어(210, 220)가 적용된 경우,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는 상기 캐비닛(100)의 폭방향 양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는 상기 캐비닛(100)과 상기 도어(200)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캐비닛(100)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는 상기 도어(2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는 상기 도어(200)와 상기 캐비닛(100)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200)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예를 들어, 회전력)을 상기 도어(200)에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0)를 개폐하기 위해 모터(311)의 구동에 의해 제1동력전달부(310)에 발생된 동력은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로 전달된 동력에 의해 상기 도어(200)가 개방되거나 닫힐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는 외력에 의한 상기 도어(200)의 회전력이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로부터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200)가 수동으로 개폐될 때, 상기 도어(200)의 회전력이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로부터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도어(200)가 개폐되더라도,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에 포함된 모터(311)에 강제적인 부하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모터(3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는 상기 모터(311)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축(317) 및 상기 제1회전축(317)에 구비되는 제1기어(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317)은 상기 모터(311)의 구동에 따라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312)는 상기 제1회전축(317)의 회전에 동반하여 상기 제1회전축(317)과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기어(312)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기어이가 형성된 스퍼기어(평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는 상기 제1기어(312)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된 제2기어(322) 및 상기 도어(200)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200)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3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322)는 상기 제1기어(31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기어(312)가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기어(322)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기어(322)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기어이가 형성된 스퍼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327)은 도어(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327)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200)의 일측도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00)의 일측에는 상기 제2회전축(327)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제2회전축(327)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20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회전축(327)이 상기 도어(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327)은 상기 제2기어(322)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200)에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축(327)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200)가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31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기어(312)가 회전되면, 상기 제2기어(322)는 상기 제1기어(31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회전축(327)은 상기 제2기어(32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327)의 회전력은 도어(200)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기어(322)는 기어바디(323) 및 상기 기어바디(323)를 관통하는 관통홀(32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바디(323)의 반경방향 외측 둘레를 따라서 복수 개의 기어이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바디(323)의 반경방향 내측에 상기 관통홀(3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325)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어(322)를 위에서 볼 때 상기 관통홀(325)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는 상기 관통홀(325)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3기어(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327)에는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와 맞물리는 제4기어(32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기어(322)의 관통홀(325) 내측에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축(327)에 구비되는 상기 제4기어(326)는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기어(326)는 상기 제2회전축(327)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기어(326)는 상기 제2회전축(327)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와 상기 제4기어(326)는 각각 헬리컬 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3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기어(322)가 회전될 때,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 및 상기 제4기어(324)는 상기 제2회전축(327)을 기준으로 상기 제2회전축(327)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모터(3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어(200)가 개폐될 때, 상기 제1기어(312)의 회전력이 상기 제2기어(322)로 전달되고, 상기 제2기어(322) 및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는 상기 제2회전축(327)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와 맞물린 상기 제4기어(324) 역시 상기 제2기어(32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를 개폐하기 위한 모터(311)의 구동력은 제1기어(312) 및 제2기어(32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회전축(327)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회전축(327)이 회전될 때, 상기 제4기어(326)의 회전력은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로 전달되고,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가 상기 관통홀(325)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200)가 개폐될 때, 상기 제2회전축(327)의 회전력은 상기 제4기어(326)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로 전달되어,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회전축(329, 도 6 참조)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가 상기 제3회전축(329)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기어(322)는 비회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도어(200)가 수동으로 개폐될 때, 상기 제2회전축(327)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상기 제4기어(326) 및 상기 제3기어(324)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도어(200)의 수동 개폐 시에, 상기 제2회전축(327)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상기 제2기어(322)를 회전시키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어(200)의 수동 개폐 시에, 상기 제2동력전달부(320)로부터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로의 동력(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200)를 수동으로 개폐하더라도, 모터(311)에 강제적인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 모터(3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회전축(317), 제1기어(312) 및 제2기어(32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기어(312)의 두께는 상기 제2기어(32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어(200)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제1기어(312)에 상하방향으로 유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기어(312)가 상기 제2기어(322)보다 두껍게 형성되면, 도어(200)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제1기어(312)에 상하방향으로 유동이 있더라도, 상기 제1기어(312)와 상기 제2기어(322)의 맞물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312)의 직경은 상기 제2기어(3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200)의 개폐시에 상기 도어(200)와 상기 캐비닛(1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동력전달부(320)의 제2기어(322)에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동력전달부(320)는 기어바디(323)와 관통홀(325)을 구비하는 제2기어(320), 상기 관통홀(325) 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3기어(324) 및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와 맞물리는 제4기어(32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는 상기 제2회전축(327)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4기어(326) 및 전술한 제2회전축(327)이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 사이에서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는 각각 제3회전축(329)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회전축(329)은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회전축(329)은 상기 기어바디(3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기어(326)의 회전력은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를 회전시킬 수 있으나, 상기 제2기어(322)를 회전시킬 수 없다.
또한, 상기 제2기어(322)의 상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3회전축(324)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328)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기어(322)의 상면에는 상기 제3회전축(324)을 상기 기어바디(3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설치홈(328)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기어(322)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3기어(324)를 각각 설치하기 위한 4개의 설치홈(32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328)은 상기 관통홀(325)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기어(324)의 상기 제3회전축(324)은 상기 제2기어(322)의 위쪽으로부터 상기 제2기어(322)에 형성된 상기 설치홈(328) 상에 놓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의 자중에 의해 전술한 제2회전축(327)에 아래쪽을 향하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제3기어(324) 및 상기 제4기어(326)가 상기 설치홈(328)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동력전달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동력전달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동력전달부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와 동일한 특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동력전달부(320)는 제1동력전달부(310)에 구비된 모터(311)의 회전력을 제1기어(312)를 통해 전달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동력전달부(320)는 제2기어(322)에 제3기어(324)의 배치를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20)는 제2기어(322), 상기 제2기어(322)의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3기어(324) 및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 사이에 맞물리는 제4기어(326)를 구비하는 제2회전축(3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322)는 기어바디(323) 및 상기 기어바디(32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3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기어(326)의 상단은 상기 기어바디(323)의 하단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기어(326)의 상단은 상기 기어바디(323)의 하단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는 상기 기어바디(323)의 하측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는 상기 제2회전축(327)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는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32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321)에는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구비된 제3회전축(329)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3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회전축(329)은 상기 체결홀(321')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327)에는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와 맞물리는 제4기어(3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3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와 상기 제4기어(326)는 상기 제2회전축(327)을 기준으로 상기 제2회전축(327)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모터(311)의 구동에 의해 도어(200)가 개폐될 때, 상기 제2기어(322)의 회전력은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와 상기 제4기어(326)를 통해 상기 제2회전축(327)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회전축(327)의 회전력은 상기 제4기어(326)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를 회전시킨다.
즉,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도어(200)가 개폐될 때, 상기 도어(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제2회전축(327)의 회전력은 상기 제4기어(326)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3기어(324)만 회전시킨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도어(200)가 개폐될 때, 도어(200)의 회전에 의한 동력은 제2동력전달부(320)로부터 제1동력전달부(310)로 전달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도어를 수동으로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냉장고의 도어를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하더라도, 모터에 강제적인 과부하가 걸리거나 모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으로 도어가 개폐될 때, 전술한 제1 내지 제4기어와 제1 및 제2 회전축 등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캐비닛 200 도어
300 동력전달부 310 제1동력전달부
311 모터 312 제1기어
317 제1회전축 320 제2동력전달부
322 제2기어 323 기어바디
324 제3기어 326 제4기어
327 제2회전축

Claims (20)

  1.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며,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기어를 포함하는 제1동력전달부;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제2동력전달부;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된 제2기어 및 상기 도어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기어는 기어바디 및 상기 기어바디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관통홀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3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축에는 상기 한 쌍의 제3기어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와 맞물리는 제4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3기어는 상기 제4기어와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며,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기어 를 포함하는 제1동력전달부;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제2동력전달부;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된 제2기어 및 상기 도어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도록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기어는 기어바디 및 상기 기어바디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연장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3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축에는 상기 한 쌍의 제3기어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와 맞물리는 제4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3기어는 상기 제4기어와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구비된 제3회전축은 상기 기어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스퍼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제3기어와 상기 제4기어는 헬리컬 기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폐될 때,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2기어로 전달되고, 상기 제2기어 및 상기 한 쌍의 제3기어는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폐될 때,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은 상기 제4기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3기어로 전달되어, 상기 한 쌍의 제3기어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구비된 제3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가 상기 제3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기어는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기어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의 상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3기어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구비된 제3회전축을 상기 기어바디에 결합하기 위한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의 두께는 상기 제2기어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2기어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기어는 상기 제2회전축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대상물의 냉동을 위한 제1저장실 및 대상물의 냉장을 위한 제2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제1도어 및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제2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방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 및 사용자에 의해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적외선 센서이고, 상기 제2센서는 터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센서로부터의 신호만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134844A 2015-09-23 2015-09-23 냉장고 KR10177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844A KR101775002B1 (ko) 2015-09-23 2015-09-2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844A KR101775002B1 (ko) 2015-09-23 2015-09-2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662A KR20170035662A (ko) 2017-03-31
KR101775002B1 true KR101775002B1 (ko) 2017-09-04

Family

ID=5850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844A KR101775002B1 (ko) 2015-09-23 2015-09-2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037A (ko) * 2019-07-31 2021-02-10 윤순일 냉장고용 자동 개폐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8883A (zh) * 2021-06-29 2022-12-30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用于制冷设备的连动机构和具有其的制冷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77B1 (ko) * 2014-04-16 2015-07-16 주식회사 지산시스템 냉장고 도어용 자동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77B1 (ko) * 2014-04-16 2015-07-16 주식회사 지산시스템 냉장고 도어용 자동개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037A (ko) * 2019-07-31 2021-02-10 윤순일 냉장고용 자동 개폐 도어
KR102303344B1 (ko) * 2019-07-31 2021-09-17 윤순일 냉장고용 자동 개폐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662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9948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771609B2 (ja) 冷蔵庫
EP3189292B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618552B1 (ko)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66472B2 (en) 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10083461A1 (en) Refrigerator
CN107076503A (zh) 冰箱
KR101775002B1 (ko) 냉장고
KR20110040030A (ko)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MX2010011620A (es) Refrigerador.
KR20180119027A (ko) 냉장고
EP3404347B1 (en) Refrigerator
CN106895634A (zh) 冰箱
KR101701466B1 (ko)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냉장고
KR20210098622A (ko) 냉장고
KR102548279B1 (ko) 냉장고 및 제빙 어셈블리
JP6872916B2 (ja) 冷蔵庫
KR20170014565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088545A (zh) 开门装置和冷藏库
KR101745124B1 (ko) 냉장고
CN211500262U (zh) 一种自动开启的冰柜门体
CN105953512B (zh) 一种具有冰激凌机的冰箱
KR100579643B1 (ko) 냉장고의 저장물 실간 자동이동장치
CN108731361A (zh) 冰箱
KR100495153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