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030A -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030A
KR20110040030A KR1020090097153A KR20090097153A KR20110040030A KR 20110040030 A KR20110040030 A KR 20110040030A KR 1020090097153 A KR1020090097153 A KR 1020090097153A KR 20090097153 A KR20090097153 A KR 20090097153A KR 20110040030 A KR20110040030 A KR 20110040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door
unit
pai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668B1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668B1/ko
Priority to US12/756,216 priority patent/US8653767B2/en
Publication of KR2011004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29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motor-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67Control, human or man machine interface, interactive, HMI, MMI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54Fridge, refrig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쌍의 냉장고 도어 중 어느 하나의 개방을 위한 선택에 따라 구동모터가 정역회전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기어결합된 한쌍의 푸쉬로드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시켜 선택된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푸쉬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재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가 상기 도어 개방을 위한 설정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가 역회전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도어, 개방, 모터

Description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Opening method of refrigerator door }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으로는 섭씨 1~4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채소와 같은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섭씨 -18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이 냉동 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이 제공되며,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배치 및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차폐하는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저장공간의 밀폐를 위해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가스켓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에 밀착되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과 상기 캐비닛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은 스틸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의 내측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도어의 차폐시 자석에 의해 상기 가스켓이 상기 캐비닛상에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가스켓 내부의 자석이 가지는 자력만큼의 힘이 더 들게 되며, 냉장고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냉장고 도어가 커지고 도어 배면의 수납공간이 증가하게 되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힘이 더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한쌍의 도어의 개방을 위한 조작시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대향되는 방향으로 한쌍의 푸쉬로드가 직선운동하여 각각의 도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밀어 개방하고, 개방완료시 한쌍의 푸쉬로드가 모두 초기의 위치로 복귀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개방 방법은, 한쌍의 냉장고 도어 중 어느 하나의 개방을 위한 선택에 따라 구동모터가 정역회전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기어결합된 한쌍의 푸쉬로드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시켜 선택된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푸쉬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재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가 상기 도어 개방을 위한 설정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가 역회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양측의 푸쉬로드 중 하나의 푸쉬로드에 제공되어, 상기 푸쉬로드의 최대 전진과 최대 후진 및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개방 방법은, 냉장고 도어 일측의 조작부로부터 도어 개방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는 단계; 기어부재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 어 직선 이동되는 한쌍의 푸쉬로드에 의해 한쌍의 냉장고 도어 중 선택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푸쉬로드에 구비되는 위치감지부재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 완료 위치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구동모터가 역회전되어 상기 한쌍의 푸쉬로드를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초기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푸쉬로드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구비되는 이동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도어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개방을 위한 도어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양측의 상기 푸쉬로드 중 어느 일측의 상기 푸쉬로드 위치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상기 푸쉬로드에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인식 가능한 한쌍의 위치 확인부로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감지부에 한쌍의 위치 확인부가 각각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가 초기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전방의 감지부에 후방의 위치 확인부가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는 최대 전진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후방의 감지부에 전방의 위치 확인부가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는 최대 후진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상기 푸쉬로드에 구비되는 감지부와, 상기 푸쉬 로드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격 배치되는 세개의 위치 확인부로 구성되며; 상기 감지부에 중앙의 위치 확인부가 각각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가 초기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감지부에 전방의 위치 확인부가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는 최대 후진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감지부에 후방의 위치 확인부가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는 최대 전진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광부와, 상기 푸쉬로드의 최대 이동, 최소 이동 및 초기 위치시 상기 발광부의 빛을 각각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로드에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에 의하면, 한쌍의 냉장고 도어 중 어느 하나의 개방을 위한 조작시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하여 한쌍의 푸쉬로드 중 하나를 전진이동시켜 한쌍의 도어 중 어느 하나를 밀어 개방 또는 개방을 보조한 후 위치감지부재에 의해 한쌍의 푸쉬로드가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다시 도어의 개방시 동작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한 조작시 상기 도어의 개방시작을 위한 가스켓의 분리에 드는 힘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 조작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한쌍의 도어어 각각을 개방하기 위한 푸쉬로드의 동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구성이 간결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푸쉬로드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한쌍의 푸쉬로드 모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푸쉬로드 위치정보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성의 간결화 및 제조비용의 절감효과가 한층 더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양문형(Side by side type)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본 발명은 한쌍의 도어가 구비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도어(20)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 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캐비닛(10)에 힌지결합되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한쌍의 도어(20) 전면에는 각각 도어 핸들(3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핸들(30)은 상기 도어(20)의 좌우측 중 상기 힌지(40)로부터 먼쪽의 단부에 구비되어 좌우 양측의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도어 핸들(30)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시 상기 도어(20)의 개방신호가 입력되는 조작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며, 상기 조작부(32)의 조작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모터(200)의 정역회전이 결정되어 상기 구동모터(200)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32)는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전면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 핸들(3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해 파지하게 될 때 상기 조작부(32)를 통해 상기 도어(20)의 개방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32)는 센서 또는 스위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측의 도어 핸들(3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양측의 도어(20) 중 사용자가 개방을 원하는 도어(20)의 도어 핸들(30)을 파지할 때 해당하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외측 상면에는 도어 개방장치(5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사용자의 상기 도어 핸들(30) 파지시 해당하는 상기 도어(20)를 밀어 개방시키는 것으로, 상기 캐비닛(10) 상면 전단에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구비된 상기 도어(20)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한쌍의 도어(20) 각각을 개방하기 위한 한쌍의 푸쉬로드(400)가 외부로 노출되며, 나머지 다른 구성들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00), 상기 도어(20)를 밀어 개방하는 푸쉬로드(400)와,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을 상기 푸쉬로드(400)로 전달하는 다수의 기어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천공된 푸쉬로드 관통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구동모터(200)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기 모터로 다양한 형태의 전기모터가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후측(도 2에서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푸쉬로드(400)와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축(210)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에는 웜기어(31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푸쉬로드(400)가 구비된다. 상기 푸쉬로드(400)는 상기 구동모터(2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전후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기어부재(300)와 기어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푸쉬로드(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하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전후방향(도 2에서 좌우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400)는 최초의 중립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의 배면과 접하거나 떨어진 상태가 되고, 상기 푸쉬로드(400)가 최대 전진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를 밀어서 개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푸쉬로드(400)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기 푸쉬로드 관통구(110)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쉬로드(400)의 후반부(도 2에서 좌측)에는 랙기어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랙기어부(410)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어부재(300)와 기어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푸쉬로드(400)의 스트로크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부재(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과 인접하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하면에는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 홈(42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4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 가이드(120)를 수용하여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후 직선운동하는 것 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기어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기어부재(300)는 상기 웜기어(310)와 제1기어(320) 내지 제4기어(3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에 상기 웜기어(310)가 장착되며, 상기 웜기어(310)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제1기어(3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320)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과 교차되는 회전축(210)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웜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320)의 상면에는 직경이 다소 작은 상부기어(3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기어(322)는 제2기어(33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기어(330)는 다시 제3기어(340)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3기어(340)의 상면에도 직경이 작은 상부기어(342)가 형성된다. 상기 제3기어(340)의 상부기어(342)의 상하 양측에는 한쌍의 제4기어(350)가 각각 상기 상부기어(34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기어(350)는 각각 인접하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랙기어부(410)와 서로 맞물려 기어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웜기어(310)를 제외한 다수의 기어부재(300)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들 다수의 기어비가 서로 다른 기어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이 감속되어 토크가 증가된 상태로 상기 푸쉬로드(400)로 전달되어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하측에 구비된 상기 푸쉬로드(400)는 상기 구동모터(2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며, 어느 하나가 전진하게 되면, 다른 하나는 후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00)가 정지된 초기상태 또는 중립상태에서는 상기 푸쉬로드(400)는 동일한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쉬로드(400)의 장착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후단에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푸쉬로드의 결합관계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 의 I-I'단면도 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가이드(120)는 상하 양측의 푸쉬로드(400)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로드(4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연장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120)는 상기 푸쉬로드 관통구(110)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100)의 우측단(도 2에서 볼 때)에서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푸쉬로드(400)가 가장 후방에 이동하게 될 때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가이드(120)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쉬 로드(400)에 형성된 가이드 홈(42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420)은 상기 푸쉬로드(400)의 후단에서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1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후단에는 스토퍼(13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이동 가이드(12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 가이드(120)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연장되는 방향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 및 상기 푸쉬로드(400)에는 위치감지부재(500)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이동에 따른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감지부재(500)에 의해 감지된 상기 푸쉬로드(40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푸쉬로드(400)에 구비되는 위치 확인부(510)와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감지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20)는 스위치 또는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확인부(510)는 상기 감지부(520)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거나 개구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감지부(520)에서 인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확인부(510)와 상기 감지부(520)는 상기 위치감지부재(500)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태 또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상기 위치감지부재(500) 및 상기 구동모터(200)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부(32)와도 연결되는 제어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감지부재(500) 및 조작부(32)로부터 상기 푸쉬로드(40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도어(20) 개방을 위한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200)를 제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치감지수단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 확인부(510)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홈(4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 또는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520)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위치 확인부(510)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520)는 상기 케이스(1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확인부(510)의 인식이 가능한 접촉 스위치 또는 근접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520)는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상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전후방의 위치 확인부(510)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전방과 후방의 위치 확인부(512,514)가 상기 전방의 감지부(522)와 후방의 감지부(524)에 각각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의 위치 즉 중립의 위치가 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 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중립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다른 일측의 푸쉬로드(400) 또한 동일하게 중립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후방의 위치 확인부(514)가 상기 전방의 감지부(522)에서 인식되고, 상기 후방의 감지부(524)에서 인식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되는 경우 상기 다른 일측의 푸쉬로드(400)는 후방으로 최대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전방의 위치 확인부(512)가 상기 후방의 감지부(524)에서 인식되고, 상기 전방의 감지부(522)에서 인식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후방으로 최대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후방으로 최대 이동되는 경우 상기 다른 일측의 푸쉬로드(400)는 전방으로 최대 이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부재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위치감지부재의 위치 확인부와 감지부는 도 5에서의 상기 위치감지부재의 위치 확인부 및 감지부와 그 수량과 위치 및 형상에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위치감지부재(501)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가이드 홈(420) 내측에 구비되는 세개의 위치 확인부(530)와 상기 이동 가이드(120)에 구비되는 하나의 감지부(54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감지부(540)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의 위치 즉, 중립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세개의 상기 위치 확인부(530) 중 중앙에 위치한 위치 확인부(53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감지부(530)에 중앙에 위치한 위치 확인부(532)가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위치감지부재(501)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 위치 즉, 중립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앙의 위치 확인부(532) 전방과 후방에도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전방 위치 확인부(534)와 후방 위치 확인부(53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540)에서 상기 전방의 위치 확인부(534)가 인식되면, 상기 위치감지부재(501)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최대한 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540)에서 상기 후방의 위치 확인부(536)가 인식되면, 상기 위치감지부재(501)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최대한 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수단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감지부재(502)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560)와, 상기 발광부(560)에서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570) 그리고, 상기 발광부(560)에서 발산되는 빛을 차단하여 상기 수광부(570)에서 감지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560)는 상기 푸쉬로드(400) 측방의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로드(400)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56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위치 즉, 중립상태일 때 아래에서 설명할 차단부(4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가이드(120)의 일측면에는 수광부(570)가 구비된다. 상기 수광부(570)는 상기 발광부(560)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560)에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광부(570)는 전방의 발광부(562)에서 후방의 발광부(564)까지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두개의 상기 발광부(560)에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430)는 상기 이동 가이드(12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30)는 전후방에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56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위치 즉, 중립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56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430)가 형성되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일면은 상기 차단부(4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430)에 의해서만 상기 발광부(560)에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후방의 차단부가 상기 전방의 발광부(562)를 차단하여 상기 수광부(570)에서는 후방의 발 광부(564)에서 조사되는 빛만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위치감지부재(502)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400)가 후방으로 최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방의 차단부가 상기 후방의 발광부(564)를 차단하여 상기 수광부(570)에서는 전방의 발광부(562)에서 조사되는 빛만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위치감지부재(502)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후방으로 최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며,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개시되는 위치감지부재의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작 신호전달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일측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타측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에 따른 감지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표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와 도 5 및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20)를 개방하기 전 상기 도어(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32)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도어(20)가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 방장치(50)는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에 구비되는 양측의 푸쉬로드(400)는 모두 상기 각각의 도어(20) 후방에 배치되며, 접촉 또는 다소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도어(20)로 개방을 위한 힘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푸쉬로드(400)는 초기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도 5의 (a)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한쌍의 위치 확인부(510)는 각각 대응하는 한쌍의 감지부(5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는 모두 동일한 길이만큼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해서 사용자가 양측의 도어(20) 중 일측의 도어 핸들을 잡게 되면, 상기 도어 핸들(30)에 구비되는 조작부(32)에 해당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양측의 도어(20) 중 사용자가 선택한 도어(20)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구동모터(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00)의 정역회전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양측의 도어(20) 중 개방되는 도어(20)가 선택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상기 구동모터(200)가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좌측의 냉동실 도어가 개방되고,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우측의 냉장실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10)에 장착된 웜기어(310)를 비롯하여, 상기 웜기어(310)와 연결된 제1기어(320) 및 연속하여 연결된 제2,3,4,기어(330,340,350)들로 구성되는 기어부재(30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320) 내지 제4기어(350)는 기어비가 다르게 설정되어 상기 구동모터(200)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푸쉬로드(400)에 전달되는 힘이 커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기어(350)의 회전으로 상기 제4기어(350)와 기어 결합되는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개방을 위한 상기 도어(20)에 대응하는 위치의 푸쉬로드(40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렇지 않은 푸쉬로드(40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쉬로드(400)는 후방의 위치 확인부(514)가 전방의 감지부(522)에 위치하게 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 5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다른 일측의 푸쉬로드(40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5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방이동시 상기 푸쉬로드(400)의 전단이 상기 도어(20)의 배면을 밀어서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최대 전방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도어(20)는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가 되며, 상기 위치감지부재(500)에서는 상기 제어부(130)로 상기 푸쉬로드(400)의 위치정보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130)에 서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의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상기 구동모터(200)를 최초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00)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전방으로 최대 이동되었던 상기 푸쉬로드(40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후방으로 최대 이동되었던 상기 푸쉬로드(40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상기 푸쉬로드(400)는 도 5의 (a)와 같은 초기위치 상태가 된다.
상기 도어(20) 중 반대편 도어(20)를 개방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동모터(20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될 경우 양측의 푸쉬로드(400) 중 다른 일측의 푸쉬로드(400)가 전진되어 해당하는 상기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푸쉬로드(400)의 위치에서의 상기 위치감지부재(500)의 상태를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상기 푸쉬로드(400)가 중립인 상태에서는 상기 한쌍의 위치 확인부(510)와 한쌍의 감지부(520)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한쌍의 감지부(520)는 모두 온(ON)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외부에서 상기 구동모터(2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초기 상태 또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진 또는 후진하지 않는 중립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400)가 전진하게 되면, 상기 한쌍의 감지부(520)는 상기 푸쉬로드(400)의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감지부(520)에서는 상기 위치 확인부(510)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한쌍의 감지부(520) 모두 오프(OFF)상 태가 된다.
상기 구동모터(200)의 지속적인 동작으로 상기 푸쉬로드(400)가 최대 전진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의 위치 확인부(514)가 상기 전방의 감지부(522)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의 감지부(522)는 온상태가 되고, 후방의 감지부(524)는 오프상태가 된다.
이처럼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전방의 감지부(522)가 온되고, 후방의 감지부가 오프되면, 상기 푸쉬로드(400)의 위치가 최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모터(200)가 역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00)가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푸쉬로드(400)는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한쌍의 위치 확인부(510) 또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감지부(520)는 다시 모두 오프상태가 된다.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한쌍의 감지부(520)가 모두 온 되어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로부터 상기 푸쉬로드(400)가 중립이 되었다고 판단되는 순간까지 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한쌍의 감지부(520)가 모두 온되는 순간 상기 구동모터(200)의 동작을 정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푸쉬로드(400)가 초기의 중립위치에서 후진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쌍의 감지부(520)는 모두 오프상태가 되며, 상기 푸쉬로드(400)가 최대 후진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전방의 위치 확인부(512)가 상기 후방의 감지부(522)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후방의 감지부(524)가 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서 상기 위치감지부재(500)는 상기 푸쉬로드(400)가 최후방에 위치하게 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때 상기 도어(20)는 상기 후방 이동된 푸쉬로드(400)가 아닌 다른 쪽의 도어(20)가 개방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푸쉬로드(400)를 역회전시켜 상기 푸쉬로드(400)가 최초의 중립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푸쉬로드의 결합관계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의 I-I'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치감지수단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수단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구조의 위치감지수단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 변화 감지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작 신호전달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일측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타측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의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푸쉬로드의 위치에 따른 감지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9)

  1. 한쌍의 냉장고 도어 중 어느 하나의 개방을 위한 선택에 따라 구동모터가 정역회전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기어결합된 한쌍의 푸쉬로드를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시켜 선택된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푸쉬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재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가 상기 도어 개방을 위한 설정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가 역회전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양측의 푸쉬로드 중 하나의 푸쉬로드에 제공되어, 상기 푸쉬로드의 최대 전진과 최대 후진 및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3. 냉장고 도어 일측의 조작부로부터 도어 개방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는 단계;
    기어부재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직선 이동되는 한쌍의 푸쉬로드에 의해 한쌍의 냉장고 도어 중 선택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푸쉬로드에 구비되는 위치감지부재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 완료 위치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구동모터가 역회전되어 상기 한쌍의 푸쉬로드를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초기화 단계;로 이루어지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로드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구비되는 이동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도어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개방을 위한 도어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양측의 상기 푸쉬로드 중 어느 일측의 상기 푸쉬로드 위치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상기 푸쉬로드에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인식 가능한 한쌍의 위치 확인부로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감지부에 한쌍의 위치 확인부가 각각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가 초기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전방의 감지부에 후방의 위치 확인부가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는 최대 전진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후방의 감지부에 전방의 위치 확인부가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는 최대 후진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상기 푸쉬로드에 구비되는 감지부와,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격 배치되는 세개의 위치 확인부로 구성되며;
    상기 감지부에 중앙의 위치 확인부가 각각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가 초기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감지부에 전방의 위치 확인부가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는 최대 후진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감지부에 후방의 위치 확인부가 인식되면, 상기 푸쉬로드는 최대 전진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재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광부와,
    상기 푸쉬로드의 최대 이동, 최소 이동 및 초기 위치시 상기 발광부의 빛을 각각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로드에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KR1020090097153A 2009-10-13 2009-10-13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KR101658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53A KR101658668B1 (ko) 2009-10-13 2009-10-13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US12/756,216 US8653767B2 (en) 2009-10-13 2010-04-08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53A KR101658668B1 (ko) 2009-10-13 2009-10-13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30A true KR20110040030A (ko) 2011-04-20
KR101658668B1 KR101658668B1 (ko) 2016-09-21

Family

ID=4385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153A KR101658668B1 (ko) 2009-10-13 2009-10-13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53767B2 (ko)
KR (1) KR10165866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865A1 (ko) 2015-07-30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7018864A1 (ko) 2015-07-30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521737A1 (en) 2015-04-27 2019-08-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US10578349B2 (en) 2015-04-27 2020-03-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KR20200045798A (ko) 2018-10-23 202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US10900271B2 (en) 2017-05-17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795793A1 (en) 2015-06-11 2021-03-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10058236A (ko) 2019-11-13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006072A (ko) * 2021-07-02 2023-01-10 대동도어 주식회사 도어 위치 감지 기능을 갖는 차량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
KR20230128827A (ko) 2022-02-28 202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4101675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6600B4 (de) * 2011-10-21 2017-11-23 Diehl Ako Stiftung & Co. Kg Vorrichtung zum Öffnen und/oder Schließen einer Tür
KR101618552B1 (ko) * 2014-09-05 2016-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1056B1 (ko) * 2016-11-03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73115B1 (ko) * 2016-11-03 2018-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72785B1 (ko) * 2017-03-29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90433B1 (ko) 2017-04-24 2023-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39143B1 (ko) * 2017-08-09 2018-03-15 박재갑 금속부품 고정용 밀착장치
TR201902445A2 (tr) * 2019-02-19 2020-09-21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Otomatik kapı açma sistemi ve ilgili yöntem.
CN112797711A (zh) * 2019-11-13 2021-05-14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3048711A (zh) * 2019-12-26 2021-06-29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家电自动开门控制方法、自动开门装置
CN113048710A (zh) * 2019-12-26 2021-06-29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双开门控制方法、自动双开门装置
CN113048702A (zh) * 2019-12-26 2021-06-29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用于家电的自动开门控制方法、自动开门装置
CN113446813A (zh) * 2020-03-26 2021-09-28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家电内消耗模块的余量指示方法、余量指示结构
CN113641107A (zh) * 2020-05-11 2021-11-12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家电自动开门装置控制方法、存储介质、自动开门装置
US10961762B1 (en) 2020-05-18 2021-03-30 Jack Botu Door control system
CN113250574B (zh) 2021-06-18 2022-06-2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开门装置和储物设备
WO2023010719A1 (zh) * 2021-08-06 2023-02-09 芜湖美的智能厨电制造有限公司 推出机构和洗碗机
WO2024034988A1 (ko) * 2022-08-11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334A (ja) * 1999-04-07 2000-10-17 Sankyo Seiki Mfg Co Ltd 動作補助装置およびドア開閉機構
JP2000320955A (ja) * 1999-05-12 2000-11-24 Sankyo Seiki Mfg Co Ltd 動作補助装置及び冷蔵庫用の動作補助装置
KR20070111856A (ko) * 2006-05-19 200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개방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0794603B1 (ko) * 2006-12-08 2008-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9318B2 (ja) * 2002-10-22 2006-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的情報記録装置または再生装置
US8099970B2 (en) * 2006-12-08 2012-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oor ope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8072932A1 (en) * 2006-12-15 2008-06-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E102007036746A1 (de) * 2007-08-03 2009-02-05 Dorma Gmbh + Co. Kg Türbetätigungsvorrichtung zur Betätigung der Tür eines Kühl-/Gefrierschrankes
US8061790B2 (en) * 2007-12-20 2011-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ed drawer for an appli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334A (ja) * 1999-04-07 2000-10-17 Sankyo Seiki Mfg Co Ltd 動作補助装置およびドア開閉機構
JP2000320955A (ja) * 1999-05-12 2000-11-24 Sankyo Seiki Mfg Co Ltd 動作補助装置及び冷蔵庫用の動作補助装置
KR20070111856A (ko) * 2006-05-19 200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개방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0794603B1 (ko) * 2006-12-08 2008-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7918B2 (en) 2015-04-27 2020-09-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position sensor and control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US11274872B2 (en) 2015-04-27 2022-03-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US11852398B2 (en) 2015-04-27 2023-12-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US11740007B2 (en) 2015-04-27 2023-08-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EP4083549A1 (en) 2015-04-27 2022-1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US10690393B2 (en) 2015-04-27 2020-06-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EP3521737A1 (en) 2015-04-27 2019-08-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US10746457B2 (en) 2015-04-27 2020-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US10578349B2 (en) 2015-04-27 2020-03-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EP3617624A1 (en) 2015-04-27 2020-03-04 LG Electronics Inc. Refridgerator with door and refridgerator door manufacturing method
US11041670B2 (en) 2015-04-27 2021-06-2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US10677511B2 (en) 2015-04-27 2020-06-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US10677510B2 (en) 2015-04-27 2020-06-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EP3795793A1 (en) 2015-06-11 2021-03-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4036499A1 (en) 2015-06-11 2022-08-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CN106662390B (zh) * 2015-07-30 2020-01-03 Lg 电子株式会社 冰箱
EP3489599A1 (en) 2015-07-30 2019-05-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7018864A1 (ko) 2015-07-30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662390A (zh) * 2015-07-30 2017-05-10 Lg 电子株式会社 冰箱
WO2017018865A1 (ko) 2015-07-30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041671B2 (en) 2015-07-30 2021-06-2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591202B2 (en) 2015-07-30 2020-03-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260797B2 (en) 2015-07-30 2019-04-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998445A2 (en) 2015-07-30 2022-05-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054362B2 (en) 2015-07-30 2018-08-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441348B2 (en) 2017-05-17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00271B2 (en) 2017-05-17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45798A (ko) 2018-10-23 202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KR20240014567A (ko) 2018-10-23 2024-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KR20210058236A (ko) 2019-11-13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006072A (ko) * 2021-07-02 2023-01-10 대동도어 주식회사 도어 위치 감지 기능을 갖는 차량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
KR20230128827A (ko) 2022-02-28 202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4101675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668B1 (ko) 2016-09-21
US8653767B2 (en) 2014-02-18
US20110087376A1 (en)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0030A (ko)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KR20110040037A (ko) 냉장고
EP3189292B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CN110887320B (zh) 冰箱
JP2019132579A (ja) 冷蔵庫
KR101618552B1 (ko)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4438B1 (ko) 냉장고
KR102421650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480459B1 (ko) 냉장고의 도어 자동 개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0433B1 (ko) 냉장고
KR20120063316A (ko) 냉장고용 이중 도어 개폐 장치
KR10240303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017826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구조
WO2022121852A1 (zh) 具有推开式开门器的冰箱
KR20120063307A (ko) 냉장고용 이중 도어 개폐 장치
KR20090020024A (ko) 냉장고
KR101745124B1 (ko) 냉장고
KR102492945B1 (ko) 도어 자동 개폐 장치
JP2009127980A (ja) 冷蔵庫
KR20130119277A (ko) 도어 자동열림장치가 장착된 양문형 냉장고
KR0129658Y1 (ko) 냉장고의 도아
KR20050078357A (ko) 냉장고
KR20100064615A (ko) 냉장고
KR2011012290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